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동해고속도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동해고속도로는 속초에서 포항을 잇는 고속도로로, 1973년 속초-삼척선으로 지정되어 1974년 착공되었다. 1981년 동해고속도로로 명칭이 변경되었고, 2001년 부산울산고속도로와 통합되어 고속국도 65호선으로 지정되었다. 부산에서 울산 구간은 2008년, 남양양에서 하조대 구간은 2009년, 하조대에서 양양 구간은 2012년, 울산에서 남경주, 동경주에서 남포항 구간은 2015년에 개통되었으며, 남경주에서 동경주 구간은 2016년에 개통되었다. 현재는 포항시 남포항 나들목에서 영덕군 영덕 분기점까지의 구간과 속초 나들목에서 고성군 구간이 미개통 상태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속초시의 도로 - 동해대로
    동해대로는 경상북도 경주시에서 강원특별자치도 고성군까지 이어지는 국도로, 국도 제7호선과 상당 부분 중복되며, 확장 및 개량 공사를 거쳐 현재의 모습을 갖추었고, 일부 구간은 자동차 전용도로이며, 북한과의 접경 지역으로 민간인 출입이 통제되는 구간도 존재한다.
  • 속초시의 도로 - 미시령로
    미시령로는 강원특별자치도 인제군에서 속초시까지 연결되는 도로이며, 1981년 국도로 승격되었고, 미시령터널 구간은 유료로 운영된다.
  • 양양군의 도로 - 서울양양고속도로
    서울양양고속도로는 서울 강동구에서 강원 양양군을 잇는 약 151km의 고속도로로, 1997년 타당성 조사 후 2017년 전 구간 개통되었으며, 민자 및 국고 구간으로 나뉘고 대한민국 최장 터널인 인제양양터널을 포함하여 원톨링 시스템 도입 등 개선 사업이 진행 중이다.
  • 양양군의 도로 - 동해대로
    동해대로는 경상북도 경주시에서 강원특별자치도 고성군까지 이어지는 국도로, 국도 제7호선과 상당 부분 중복되며, 확장 및 개량 공사를 거쳐 현재의 모습을 갖추었고, 일부 구간은 자동차 전용도로이며, 북한과의 접경 지역으로 민간인 출입이 통제되는 구간도 존재한다.
  • 동해시의 도로 - 동해대로
    동해대로는 경상북도 경주시에서 강원특별자치도 고성군까지 이어지는 국도로, 국도 제7호선과 상당 부분 중복되며, 확장 및 개량 공사를 거쳐 현재의 모습을 갖추었고, 일부 구간은 자동차 전용도로이며, 북한과의 접경 지역으로 민간인 출입이 통제되는 구간도 존재한다.
  • 동해시의 도로 - 서동로
    서동로는 강원특별자치도 원주시에서 동해시까지 연결되는 도로이며, 1976년부터 여러 구간이 개통되었고, 2개 이상의 시·군에 걸쳐 있으며 자동차 전용도로 구간도 포함한다.
동해고속도로 - [지명]에 관한 문서
지도
기본 정보
노선 종류고속국도
노선 번호고속국도 제65호선
다른 이름동해선
로마자 표기Donghae Gosok Doro
한자 표기東海高速道路
개통일1975년 10월 14일 (강릉 ~ 묵호 구간)
추가 개통일2001년 11월 28일 (현남 ~ 강릉 구간)
추가 개통일2004년 11월 24일 (강릉 - 동해 구간 4차로 확장 개통)
추가 개통일2008년 12월 29일 (부산 ~ 울산 구간)
추가 개통일2009년 11월 27일 (현남 ~ 하조대 구간)
추가 개통일2012년 12월 21일 (하조대 ~ 양양 구간)
추가 개통일2015년 12월 29일 (울산 ~ 남경주, 동경주, 남포항 구간)
추가 개통일2016년 6월 30일 (문무대왕 1터널)
추가 개통일2016년 9월 9일 (근덕 ~ 동해 구간)
추가 개통일2016년 11월 24일 (속초 ~ 양양 구간)
총 연장부산 ~ 포항: 100.9 km
총 연장삼척 ~ 속초: 122.6 km
총 연장203.93 km
기점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좌동
종점강원특별자치도 속초시 노학동
주요 경유지
경유 도시부산광역시
울산광역시
경상북도 경주시
경상북도 포항시
경상북도 영덕군
강원특별자치도 삼척시
강원특별자치도 동해시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
강원특별자치도 양양군
강원특별자치도 속초시
주요 교차 도로
교차 도로함양울산고속도로
울산고속도로
영동고속도로
서울양양고속도로
부산외곽순환고속도로
국도 제7호선
국도 제14호선
국도 제31호선
국도 제35호선
국도 제38호선
국도 제44호선
국도 제56호선
노선 정보
남쪽 종점[[파일:Korea Urban Expwy No.77.svg|20px]] 광안대교 (해운대구, 부산광역시)
북쪽 종점속초시, 강원특별자치도

2. 역사

동해고속도로는 1973년 8월 23일 강원특별자치도 속초시삼척시를 잇는 고속국도 제5호선 속초삼척선으로 처음 지정되었다. 이는 동해시 지역 개발 지원 목적이었으며, 1975년 10월 14일 모전~동해 구간이 임시 2차선으로 개통된 것이 시초이다. 1981년 11월 7일 노선명이 동해고속도로(동해선)로 변경되었다.[1]

1988년 12월 15일에는 영동고속도로와 연결되었고, 1999년에는 별도로 고속국도 제28호선 부산울산선이 지정되었다. 2001년 8월 24일 고속국도 노선 체계 개편으로 기존 동해고속도로와 부산울산고속도로가 통합되어 노선 번호 제65호를 부여받고, 기점 부산광역시, 종점 속초시의 단일 노선으로 계획되었다.[1][9]

초기 강원도 구간은 왕복 2차로에 선형이 불량하여, 2004년 11월 24일 동해 나들목 ~ 강릉 나들목 구간을 왕복 4차로로 확장·이설 개통했으며, 기존 2차선 구간은 고속도로 지정에서 해제되어 국도 제7호선으로 편입되었다.[106][34]

이후 동해고속도로는 남북으로 계속 확장되었다. 2008년 12월 29일 부산 ~ 울산 구간이 개통되었고[65], 2016년 6월 30일 울산 ~ 포항 구간이 완전 개통되었다.[77] 강원도 구간도 순차적으로 북쪽으로 연장되어 2016년 9월 9일 근덕 나들목 ~ 동해 나들목 구간[47], 2016년 11월 24일 양양 나들목 ~ 속초 나들목 구간이 개통[48]되어 현재의 모습을 갖추게 되었다.

정부는 장기적으로 속초시에서 포항시까지 동해안을 따라 이어지는 노선으로 계획하고 있으나[2], 일부 구간은 아직 착공되지 않았다. 미개통 구간은 포항시 남포항 나들목 ~ 북영일만 나들목 구간, 영덕군 영덕 분기점 ~ 삼척시 근덕 나들목 구간, 속초시 속초 나들목 ~ 고성군 구간이다. 이 중 포항 북영일만 나들목 ~ 영덕 영덕 분기점 구간은 2025년 개통을 목표로 공사 중이며[3], 영덕 분기점 ~ 근덕 나들목 구간은 경제성 부족으로 사업 추진이 보류된 상태이다.[103] 속초 나들목 ~ 고성군 구간은 제2차 고속도로 건설 계획에 포함되어 추후 착공될 예정이다.[3]

2. 1. 공통

당초 정부는 장기적으로 강원특별자치도 속초시에서 경상북도 포항시를 잇는 종단 고속도로로 연장할 계획을 가지고 있었다.[2]

동해고속도로 구간 중 현재까지 착공되지 않은 구간은 경상북도 포항시 남포항 나들목에서 북영일만 나들목 구간, 경상북도 영덕군 영덕 분기점에서 강원특별자치도 삼척시 근덕 나들목까지의 구간과 강원특별자치도 속초 나들목에서 고성군 구간이다. 이 중 영덕 분기점 ~ 근덕 나들목 구간은 2009년 예비타당성조사에서 경제성이 미흡하다는 결과가 나왔다. 경상북도 포항시 북영일만 나들목에서 영덕군 영덕 분기점까지의 31.8km 구간은 2016년 하반기에 착공하여 2025년 개통될 예정이고, 속초 나들목에서 고성군 구간은 최근 정부의 제2차 고속도로 건설 계획에 포함되어 추후 착공될 예정이다.[3]

날짜내용
1973년 8월 23일강원특별자치도 속초시 교동 ~ 삼척시 북평읍 구간을 고속국도 제5호선 속초 ~ 삼척선으로 지정[4]
1981년 11월 7일종점을 강원특별자치도 삼척시 북평읍에서 강원특별자치도 동해시로 변경, 동해고속도로(동해선)으로 노선명 변경[5]
1992년 4월 29일종점을 강원특별자치도 동해시에서 강원특별자치도 동해시 부곡동으로 변경[6]
1997년 8월 27일종점을 강원특별자치도 동해시 부곡동에서 강원특별자치도 동해시 지흥동으로 변경[7]
1999년 8월 31일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송정동 ~ 울산광역시 울주군 범서면 구간을 고속국도 제28호선 부산 ~ 울산고속도로(부산 ~ 울산선)으로 지정[8]
2001년 8월 25일기존 부산 ~ 울산고속도로 전 구간을 편입하고 노선번호를 제5호에서 제65호로 변경[9]
2004년 11월 3일부산 ~ 울산 구간 종점을 울산광역시 울주군 범서면에서 경상북도 포항시 오천읍으로 연장[10]
2008년 1월 3일부산 ~ 포항(부산광역시 해운대구 ~ 경상북도 포항시 오천읍) 구간과 삼척 ~ 속초(강원특별자치도 삼척시 근덕면 ~ 강원특별자치도 속초시) 구간으로 분할[11]
2010년 12월 28일도로명주소에 해운대 나들목부터 속초 나들목까지 381.68km 구간을 동해고속도로로 고시[12]
2015년 3월 27일국토교통부고시로 부산 ~ 포항 구간 기점을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좌동, 종점을 경상북도 포항시 남구 오천읍 문덕리로 명시하고 삼척 ~ 속초 구간 기점을 강원특별자치도 삼척시 근덕면 상맹방리, 종점을 강원특별자치도 속초시 노학동으로 명시[13]


2. 2. 강원특별자치도 구간

1968년 7월 24일, 국제개발협회(IDA)와 대한민국 정부는 도로 조사 및 검사를 통해 태백산 인근과 동해안 개발을 위해 강원특별자치도 속초시, 강릉시, 삼척시를 잇는 고속도로 건설의 필요성을 확인했다.[14][15] 이후 타당성 조사를 거쳐 1974년 3월 26일, 당시 강원도 명주군 강동면 모전리(현 강릉시 강동면) ~ 삼척군 북평읍 천곡리(현 동해시 천곡동) 32km 구간이 착공되었다. 1975년 10월 14일에는 안인 교차로 ~ 천곡 교차로 30km 구간이 왕복 2차로로 우선 개통되었다.[17]

1986년 12월 15일에는 영동고속도로와의 연계를 위해 기존 동해고속도로 종점인 강동면 모전리에서 강릉시 시내를 서쪽으로 우회하여 북쪽의 죽헌동까지 연결하는 12.5km 연장 구간 공사가 시작되었다. 이는 영동고속도로 이용 후 속초묵호 방향으로 갈 때 강릉 시내를 통과해야 하는 불편을 해소하기 위함이었다.

기존 왕복 2차로 구간은 선형이 불량하고 평면교차로가 많아 사고 위험이 높았다. 이에 따라 1999년 8월 20일부터 기존 구간을 이설하고 왕복 4~6차로로 확장하는 공사가 시작되었으며, 노선은 양양군 현남면 지리까지 연장되었다.[29] 이후 강원특별자치도 구간은 다음과 같이 순차적으로 개통 및 확장되었다.

현재 강원특별자치도 구간은 삼척시 근덕 나들목에서 속초시 속초 나들목까지 이어져 있다.

=== 구 노선 (2004년 이전) ===

1975년부터 운영된 동해시 천곡동 ~ 강릉시 죽헌동 41.7km 구간은 건설 당시 경제적, 지형적 제약으로 인해 시속 40~80 km 수준으로 설계되어 선형이 매우 불량했으며, 왕복 2차로 도로에 평면교차로가 많아 사고 위험이 높았다. 이 때문에 기존 노선을 확장하는 대신, 옥계 ~ 망상 구간을 제외한 대부분 구간을 새로 건설하여 2004년 11월 24일 동해 나들목 ~ 강릉 나들목 41km 구간을 왕복 4차선으로 이설 개통했다.[106] 같은 날 기존 구간은 고속도로 지정에서 해제되어 국도 제7호선으로 편입되었다.

그러나 이설 후 통행료가 기존 500원에서 2,200원으로 인상되고, 노선이 강릉 시내에서 멀어져 접근성이 떨어진다는 이유로 이용률이 예상보다 저조했다. 동해 나들목 기준 예상 통행량의 30% 수준에 그쳤으며, 많은 운전자들이 통행료가 없고 시내 접근이 더 용이한 구 국도를 이용하게 되었다. 이로 인해 국도로 변경된 구 동해고속도로 구간은 통행량이 2~3배 증가하여 출퇴근 시간대 교통 혼잡이 심화되었다.[107]

또한 구 동해고속도로 구간은 고속국도에서 해제되면서 도로교통법상 일반도로로 분류되어 최고 제한속도가 시속 80 km에서 60 km로 하향 조정되었다. 일부 구간은 갓길을 활용하면 편도 2차로 운행이 가능하여, 시민들은 차로 확장 및 제한속도 상향을 요구하고 있다.[108]

아래는 2004년 이설 전 동해고속도로의 나들목 및 분기점 목록이다. (2004년 도로현황조서 기준)

이름로마자 이름한자 이름구간거리
(km)
누적거리
(km)
접속 노선소재지비고
천곡동 시점0.000.00동해시천곡동
천곡Cheongok泉谷0.300.30국도 제7호선부곡동평면 교차로
묵호항Mukhohang墨湖港3.553.85국도 제7호선발한동평면 교차로
초구Chogu草邱1.775.62국도 제7호선망상동평면 교차로
망상Mangsang望祥1.106.72평면 교차로
옥계역Okgye Station玉溪驛5.5212.24국도 제7호선강릉시옥계면평면 교차로
옥계Okgye玉溪1.1313.37국도 제7호선평면 교차로
옥계 요금소Okgye TG玉溪料金所--개방식 본선요금소
정동Jeongdong正東8.4121.78오이동길강동면평면 교차로
임곡Imgok林谷4.9226.70국도 제7호선평면 교차로
모전Mojeon母田3.1329.83국도 제7호선평면 교차로
강릉Gangneung江陵8.0237.85영동고속도로
국도 제35호선
강릉대로
내곡동현재 홍제교차로
지변Jibyeon池邊2.3040.15지변동평면 교차로
죽헌Jukheon竹軒1.5541.70국도 제7호선죽헌동평면 교차로



=== 현재 노선 ===

나들목/
분기점
번호
시설명접속 노선기점
거리 (km)
비고소재지
29근덕 나들목근덕국도 제7호선 (동해대로)0.0삼척시
30삼척 나들목삼척오십천로9.4
31동해 나들목동해국도 제7호선 (동해대로)17.9동해시
32망상 나들목망상국도 제7호선 (동해대로)26.1
SA동해 휴게소동해28.5부산 방면
SA옥계 휴게소옥계31.0속초 방면강릉시
33옥계 나들목옥계옥계로
국도 제7호선 (동해대로)
32.8
34남강릉 나들목남강릉강릉시도 14호선 (칠성로)50.6
SA구정 휴게소구정55.5양방향
35강릉 나들목강릉국도 제35호선 (경강로)58.8
36강릉 분기점강릉50호선 영동고속도로61.5
37북강릉 나들목북강릉국도 제7호선 (동해대로)68.8
38남양양 나들목남양양국도 제7호선 (동해대로)78.0구 현남 나들목양양군
SA양양 휴게소양양82.0양방향 (임시)
39하조대 나들목하조대국도 제7호선 (동해대로)93.2
40양양 나들목
양양 분기점
양양국도 제44호선
국도 제56호선 (설악로)
60호선 서울양양고속도로
102.9
41북양양 나들목북양양양양군도 1호선 (강선중앙로)113.3하이패스 전용
42속초 나들목속초국가지원지방도 제56호선 (미시령로)121.8속초시


2. 3. 부산 ~ 경상북도 구간

1968년 정부의 국가 기간도로 건설 계획에 경상북도 포항시에서 전라남도 여수시까지 이어지는 남동해안고속도로 계획이 포함되었으나[54], 타당성 조사 후[55] 남해고속도로가 먼저 추진되고 포항~울산 구간은 일반도로 개량으로 변경되었다. 이후에도 울산~부산 간 고속도로 계획이 검토되었으나[56][57] 국도 확장으로 결론지어졌다.

본격적인 부산 ~ 경상북도 구간 건설은 1996년 부산~울산 고속도로 계획 발표 이후 시작되었다.

=== 부산 ~ 울산 구간 ===

해운대송정 요금소(부산방향)


동해고속도로 종점 1km 전 안내


동해고속도로 종점(장산로 입구)


흔히 '''부산울산고속도로'''로 불리는 이 구간은 부산광역시 해운대구에서 울산광역시 울주군 울산 분기점까지 이어지는 47.2km 구간이다. 1996년 계획 발표 후 타당성 조사와 실시 설계를 거쳐[58] 2001년 11월 착공[59]하여 2008년 12월 29일 왕복 6차선으로 개통하였다.[65]

이 도로는 부산광역시의 도시고속도로인 장산로와 직결되어 광안대로, 황령터널을 통해 부산 시내로 접근이 용이하며, 종점인 울산 분기점에서는 울산고속도로 및 신복로터리와 접속하여 울산 시내로 진입할 수 있다. 개통으로 울산(남구)과 부산(해운대) 사이 이동 시간이 기존 70분에서 30분으로 크게 단축되었으나[81], 선형이 대한민국 국토해양부 도로시설기준보다[82] 훨씬 완만하여 곡선 구간이 거의 없는 탓에 과속 및 부주의로 인한 사고가 잦다는 지적도 있다[83].

원래 국비 사업이었으나 정부 재원 부족으로 인한 공사 지연을 막기 위해[84] 민자 사업으로 전환되었다[85]. 사업자인 부산울산고속도로(주)한국도로공사(51%)와 국민연금공단(49%)이 100% 출자하여 설립한 회사로, 대한민국 민자고속도로 중 유일하게 공공부문에서 전액 출자한 사례이다[86]. 총 투자비는 1.266조이며, BTO(수익형 민자사업) 방식으로 건설되어 완공과 동시에 소유권은 정부로 넘어갔고, 민간 사업자가 2038년 12월 28일까지 30년간 운영권을 가진다.

개통 당시 통행료는 승용차 기준 3500KRW으로 책정되었는데, 이는 당초 계획(3000KRW) 및 물가상승률 반영안(3600KRW)과 시민 반발 등을 고려하여 조정된 금액이다. 2014년 기준 3800KRW이며, 문수 ~ 청량( 5.3km), 청량 ~ 온양( 7.8km) 등 짧은 구간 이용 시에도 최소 요금 1000KRW이 부과된다. 경부고속도로울산고속도로 이용(3200KRW)보다 비싸지만 다른 민자고속도로보다는 저렴한 편이며[87], 31.5km 이내 단거리 이용 시에는 한국도로공사 구간보다 오히려 저렴하다[88]. 그러나 민자 전환 당시 정부의 "추가 부담 없을 것"이라는 약속과 달리 장거리 요금이 더 비싸다는 점에서 개통 초기 지역사회의 요금 인하 요구가 있었다[89].

동부산 나들목부터 문수 나들목까지 7개의 나들목이 있으며, 장안 나들목온양 나들목 사이에 장안 휴게소가 양방향으로 설치되어 있다. 총 연장의 18.1%에 해당하는 69개의 교량과 7.4%에 해당하는 5개의 터널이 있다.

=== 울산 ~ 포항 구간 ===

울산광역시경상북도 포항시를 잇는 이 구간은 당초 경제성 부족으로 사업 추진이 지연되다가[90], 이명박 정부 시기 광역경제권 개발 프로젝트에 포함되면서 다시 추진되었다[91]. 2009년 6월 국고 사업으로 착공하여[67][68] 2014년 개통 예정이었으나[93], 박근혜 정부 들어 예산 부족 문제로 사업이 지연되었다. 결국 2015년 12월 29일 울산 분기점 ~ 남경주 나들목 구간과 동경주 나들목 ~ 남포항 나들목 구간이 부분 개통되었고[74], 2016년 6월 30일 남경주 나들목 ~ 동경주 나들목 구간(양북1터널 포함)이 개통[77]하면서 전 구간이 완전 개통되었다.

이 구간 건설 과정에서는 이명박대통령의 형인 이상득국회의원의 지역구와 연결된다는 점에서 소위 "형님예산"이라는 비판이 제기되기도 했다[94].

총 연장 53.68km의 왕복 4차로 고속도로로, 울산광역시 울주군 범서읍 울산 분기점에서 시작하여 경상북도 포항시 남구 오천읍 남포항 나들목까지 이어진다. 사업비는 1.6424조가 투입되었으며, 나들목 4개소, 휴게소 2개소, 터널 23개소( 24.6km), 교량 52개소( 9.5km)가 건설되었다. 특히 경주국립공원토함산 구간은 7.5km의 장대터널(양북1터널)로 통과하는데, 이는 강원도 인제터널에 이어 대한민국에서 두 번째로 긴 도로 터널이다. 이 구간 개통으로 상습 정체를 겪던 국도 제7호선 울산~포항 구간( 75km)보다 거리가 21km 단축되고 시간은 28분 감소하여 물류비용 절감 및 산업 경쟁력 강화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되었다[95].

=== 포항 ~ 영덕 구간 ===

경상북도 포항시 북구 흥해읍에서 경상북도 영덕군 강구면까지 이어지는 31.06km 구간으로[79], 2009년 예비타당성조사, 2011년 타당성조사를 거쳐 2012년부터 한국도로공사 주도로 기본설계가 시작되었다. 당초 포항에서 강원도 삼척시까지 계획되었으나, 경제성 분석(B/C) 결과가 0.2대로 매우 낮아[96] 영덕까지만 우선 추진되었다. 영일만 북쪽, 청하면, 남정면에 나들목이, 강구면서산영덕고속도로와 연결되는 영덕 분기점이 신설될 예정이다.

하지만 이 구간 역시 낮은 경제성에도 불구하고 사업이 추진되면서 논란이 되었다. 예비타당성조사에서 B/C값이 기준치 1에 크게 못 미치는 0.33, 순현재가치(NPV)는 -1.5444조으로 분석되었으나[98], 경제성 외 다른 요인을 종합적으로 평가하는 AHP 분석도 거치지 않고 실시설계가 시작되었다는 비판이 제기되었다[99]. 특히 이명박 전 대통령의 측근인 이상득 전 의원의 지역구와 관련된 대규모 SOC 사업이라는 점에서 "형님고속도로"라는 비판과 함께[97][101], 막대한 사업비(3.5708조) 투입과 한국도로공사의 부채 문제도 지적되었다[100].

또한, 포항 시내를 우회하는 노선 선정 과정에서 동쪽 바다를 가로지르는 가칭 영일만대교 건설을 전제로 한 방안이 채택되었으나, 영일만대교 건설이 사업비 문제로 지연되면서 현재 공사 중인 포항~영덕 구간은 완공되더라도 기존 울산~포항 구간과 직접 연결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했다. 17.1km에 달하는 영일만대교는 민자 유치가 계획되어 있지만, 과다한 사업비 부담으로 인해 참여 업체를 찾기 어려운 실정이다[102]. 이 구간은 2016년 하반기에 착공하여 2025년 개통될 예정이다.[3]

=== 영덕 ~ 삼척 구간 ===

경상북도 영덕군에서 강원도 삼척시를 잇는 이 구간은 박근혜대통령의 공약 사항이었으나, 타당성 조사 결과 B/C값이 0.26으로 경제성이 매우 낮아 선심성 공약이라는 비판을 받으며 사실상 추진이 무기한 보류된 상태이다[103].

=== 주요 경과 ===

3. 주요 통과지

wikitext


4. 구성

동해고속도로는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좌동을 기점으로 하여 강원특별자치도 속초시 노학동까지 이어지는 고속도로이다. 일부 구간은 계획 중이거나 공사 중이다.



동해고속도로는 크게 1970년대 계획되어 건설된 강원특별자치도 구간과 2000년대 이후 민자로 건설된 부산광역시, 울산광역시 구간, 그리고 현재 계획 중이거나 공사 중인 울산광역시 이북 구간으로 나눌 수 있다. 특히 강원도 구간은 건설 이후 상당 구간이 직선화, 이설되어 기존 도로는 국도 등으로 격하되기도 했다.

'''부산 ~ 울산 구간''' (부산울산고속도로)

부산광역시 해운대구에서 울산광역시 울주군을 잇는 47.2km 구간으로, 2008년 12월 29일 개통했다. 부산광역시의 도시고속도로인 장산로와 직결되어 광안대로, 황령터널을 통해 부산 시내로 접근이 용이하며, 울산 분기점에서는 울산고속도로와 연결된다. 이 구간 개통으로 울산 남구와 부산 해운대 간 이동 시간이 약 70분에서 30분으로 단축되었다.[81] 도로는 곡선 구간이 거의 없이 직선에 가깝게 건설되었으나[82], 이로 인해 과속 및 부주의 운전으로 인한 사고가 잦다는 지적도 있다.[83]

원래 국비 사업이었으나 재원 부족으로 인한 지연을 막기 위해 민자 사업으로 전환되었다.[84][85] 사업 주체는 부산울산고속도로(주)로, 한국도로공사가 51%, 국민연금공단이 49% 지분을 출자하여 공공부문에서 100% 출자한 유일한 민자고속도로이다.[86] 총 투자비는 1.266조이며, BTO 방식으로 건설되어 완공과 동시에 소유권이 정부로 이전되었고, 2038년 12월 28일까지 30년간 운영될 예정이다.

개통 당시 통행료는 승용차 기준 3,500원으로 책정되었으며, 2014년 기준 3,800원을 징수하고 있다. 문수 ~ 청량( 5.3km ), 청량 ~ 온양( 7.8km ) 등 일부 짧은 구간 이용에도 최소 요금 1,000원이 부과된다. 이는 경부고속도로울산고속도로 이용 시(3,200원)보다 비싸지만, 다른 민자고속도로에 비해서는 저렴한 편이다.[87] 또한, 한국도로공사와 다른 요금 체계로 인해 31.5km 이내 구간은 오히려 더 저렴하기도 하다.[88] 그러나 민자 전환 당시 정부의 "추가 부담 없을 것"이라는 약속과 달리 요금이 비싸다는 점에서 개통 초기 지역사회의 요금 인하 요구가 있었다.[89]

이 구간에는 동부산 나들목부터 문수 나들목까지 7개의 나들목과 장안휴게소 1개소(양방향)가 있으며, 회야대교 등 69개의 교량(총 연장의 18.1%)과 문수터널 등 5개의 터널(총 연장의 7.4%)이 있다.

'''나들목, 분기점, 휴게소 목록'''

  • 번호는 진출입교차점(IC, JC) 번호, TG는 요금소(Tollgate), SA는 휴게소(Service Area)를 의미한다.
  • 거리 단위는 '''km'''이다.
  • 연한 파란색() 배경은 부산울산고속도로 민자 운영 구간이다.


번호이름로마자 이름구간
거리
누적
거리
접속 노선소재지비고
장산로 직결
style="background-color: #ddddff;" |부산기점--부산광역시도 제77호선 (장산로)부산광역시해운대구
1-1동부산E.Busan4.5km4.5km부산광역시도 제2302호선 (동부산관광로)기장군속초방향 진출, 부산방향 진입 시 요금지불
1해운대송정 요금소Haeundae-Songjeong TG부산광역시도 제23호선 (기장대로)본선요금소(나들목, 요금소 일체형)
부산방향 진출과 속초방향 진입만 가능
구 기장 요금소
해운대Haeundae1.53km6.03km
2기장Gijang7.89km13.92km국도 제14호선 (기장대로)
국도 제31호선
부산광역시도 제91호선 (기장대로)
2-1기장 분기점Gijang JC600호선 부산외곽순환고속도로
3장안Jangan5.39km19.31km국도 제14호선 (기장대로)
부산광역시도 제91호선 (기장대로)
SA장안휴게소Jangan SA양방향
4온양Onyang10.34km29.65km국도 제14호선 (남창로)
광청로
울산광역시울주군
5청량Cheongnyang7.84km37.49km국도 제14호선 (남창로)
신항로
5-1울주 분기점Ulju JC14호선 함양울산고속도로
6문수Munsu5.27km42.76km국도 제7호선 (웅촌로)
7울산 분기점Ulsan JC4.44km47.2km16호선 울산고속도로
(1호선 경부고속도로)
언양방향 진출시 경부고속도로 간접 연결
8척과구룡Cheokgwaguryong8.1km55.3km국도 제14호선 (관문로)
SA외동휴게소Oedong SAstyle="text-align: right;" |style="text-align: right;" |경상북도경주시양방향
9남경주S.Gyeongju14.56km69.86km국도 제7호선 (산업로)
10동경주E.Gyeongju11.56km81.42km국도 제4호선 (경감로)
국도 제14호선 (감은로·문무대왕로)
지방도 제929호선 (감은로·문무대왕로)
SA양북휴게소Yangbuk SAstyle="text-align: right;" |style="text-align: right;" |양방향
임시 휴게소
TG남포항 요금소S.Pohang TGstyle="text-align: right;" |style="text-align: right;" |포항시본선요금소
11남포항S.Pohang19.41km100.83km국도 제31호선 (영일만대로)
문덕서로
2013년 12월 오천읍 방면 조기 개통
구 문덕 나들목
계획중
북영일만N.orth Yeongilman영일만대로경상북도포항시
북포항N.orth Pohang월포로
SA포항휴게소부산방향
SA영덕휴게소영덕군속초방향
남영덕S.outh Yeongdeok회리길
영덕 분기점Yeongdeok JC30호선 서산영덕고속도로
계획중
29근덕Geundeok-0.00국도 제7호선 (동해대로)
심방금계길
강원특별자치도삼척시구 남삼척 나들목
30삼척Samcheok9.36km9.36km국도 제38호선
오십천로
31동해Donghae8.5km17.86km국도 제7호선 (동해대로)동해시
32망상Mangsang8.24km26.1km국도 제7호선 (동해대로)
SA동해휴게소Donghae SA부산방향
SA옥계휴게소Okgye SA강릉시속초방향
33옥계Okgye6.66km32.76km국도 제7호선 (동해대로)
옥계로·현내시장길
34남강릉S.Gangneung17.86km50.62km국도 제7호선 (동해대로)
칠성로
SA구정휴게소Gujeong SA양방향
35강릉Gangneung8.21km58.83km국도 제35호선 (경강로)
36강릉 분기점Gangneung JC2.7km61.53km50호선 영동고속도로
37북강릉N.Gangneung7.24km68.77km국도 제7호선 (동해대로)
38남양양S.Yangyang9.24km78.01km국도 제7호선 (동해대로)양양군강릉시 주문진읍과의 경계에 있음
구 현남 나들목
SA양양휴게소Yangyang SA양방향
임시 휴게소
39하조대Hajodae15.22km93.23km국도 제7호선 (동해대로)
40양양 분기점Yangyang JC9.68km102.91km60호선 서울양양고속도로
양양Yangyang국도 제44호선 (설악로)
국도 제56호선 (설악로)
국가지원지방도 제56호선 (설악로)
41북양양N.Yangyang10.41km113.32km장재터로
42속초Sokcho8.48km121.8km국가지원지방도 제56호선 (미시령로)속초시
계획중 (43 ~ 48)



'''구간별 개통 현황'''

{| class="wikitable" style="line-height:130%; text-align: right; font-size: 80%;"

|-

|style="width: 3.5em; text-align: center; color: black;" rowspan="2"|'''부산기점'''

|style="width: 4em; color: black; background-color:#CFCFCF; text-align: center;"|'''47.2km'''

|style="width: 3.5em; text-align: center; color: black;" rowspan="2"|'''울산 분기점'''

|style="width: 4em; color: black; background-color:#CFCFCF; text-align: center;"|'''53.7km'''

|style="width: 3.5em; text-align: center; color: black;" rowspan="2"|'''남포항 나들목'''

|style="width: 4em; color: black; background-color:#CFCFCF; text-align: center;"|'''1.5km'''

|style="width: 3.5em; text-align: center; color: black;" rowspan="2"|'''북영일만 나들목'''

|style="width: 4em; color: black; background-color:#CFCFCF; text-align: center;"|'''30.3km'''

|style="width: 3.5em; text-align: center; color: black;" rowspan="2"|'''영덕 분기점'''

|style="width: 4em; color: black; background-color:#CFCFCF; text-align: center;"|'''118km'''

|style="width: 3.5em; text-align: center; color: black;" rowspan="2"|'''근덕 나들목'''

|style="width: 4em; color: black; background-color:#CFCFCF; text-align: center;"|'''18.6km'''

|style="width: 3.5em; text-align: center; color: black;" rowspan="2"|'''동해 나들목'''

|style="width: 4em; color: black; background-color:#CFCFCF; text-align: center;"|'''27.2km'''

|style="width: 3.5em; text-align: center; color: black;" rowspan="2"|'''강릉 나들목'''

|style="width: 4em; color: black; background-color:#CFCFCF; text-align: center;"|'''20km'''

|style="width: 3.5em; text-align: center; color: black;" rowspan="2"|'''남양양 나들목'''

|style="width: 4em; color: black; background-color:#CFCFCF; text-align: center;"|'''15.2km'''

|style="width: 3.5em; text-align: center; color: black;" rowspan="2"|'''하조대 나들목'''

|style="width: 4em; color: black; background-color:#CFCFCF; text-align: center;"|'''9.7km'''

|style="width: 3.5em; text-align: center; color: black;" rowspan="2"|'''양양 분기점/양양 나들목'''

|style="width: 4em; color: black; background-color:#CFCFCF; text-align: center;"|'''18.5km'''

|style="width: 3.5em; text-align: center; color: black;" rowspan="2"|'''속초 나들목'''

|style="width: 4em; color: black; background-color:#CFCFCF; text-align: center;"|'''43.5km'''

|style="width: 3.5em; text-align: center; color: black;" rowspan="2"|'''고성종점'''

|-

|style="width: 4em; color: white; background-color:#1F841F; text-align: center;"|'''개통'''
(2008년)

|style="width: 4em; color: white; background-color:#1F841F; text-align: center;"|'''개통'''
(2016년)

|style="width: 4em; color: white; background-color:#7A7A7A; text-align: center;"|'''구상'''

|style="width: 4em; color: white; background-color:#896411; text-align: center;"|'''공사중'''

|style="width: 4em; color: white; background-color:#7A7A7A; text-align: center;"|'''구상'''

|style="width: 4em; color: white; background-color:#1F841F; text-align: center;"|'''개통'''
(2016년)

|style="width: 4em; color: white; background-color:#1F841F; text-align: center;"|'''최초 개통'''
(1975년)
'''확장 개통'''
(2004년)

|style="width: 4em; color: white; background-color:#1F841F;

4. 1. 터널

아래는 동해고속도로의 각 구간별 터널 목록이다.

'''부산 ~ 포항 구간'''

터널 이름소재지길이준공 년도비고
해운대터널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송정동680m2008년
기장1터널부산광역시 기장군 기장읍 대라리460m2008년포항 방면
522m부산 방면
기장2터널부산광역시 기장군 기장읍 서부리304m2008년포항 방면
265m부산 방면
일광터널부산광역시 기장군 일광읍 원리150m2008년
온양터널울산광역시 울주군 온양읍 고산리240m2008년
문수터널울산광역시 남구 무거동1599m2008년포항 방면
1508m부산 방면
다운1터널울산광역시 중구 다운동569m2015년포항 방면
374m부산 방면
다운2터널울산광역시 중구 다운동128m2015년부산 방면
다운3터널울산광역시 중구 다운동429m2015년포항 방면
411m부산 방면
다운4터널울산광역시 중구 다운동615m2015년포항 방면
613m부산 방면
범서1터널울산광역시 울주군 범서읍 서사리803m2015년포항 방면
805m부산 방면
범서2터널울산광역시 울주군 범서읍 두산리610m2015년포항 방면
585m부산 방면
범서3터널울산광역시 울주군 범서읍 두산리283m2015년포항 방면
275m부산 방면
범서4터널경상북도 경주시 외동읍 녹동리2833m2015년포항 방면
울산광역시 울주군 범서읍 두산리2708m부산 방면
외동1터널경상북도 경주시 외동읍 녹동리300m2015년포항 방면
울산광역시 울주군 범서읍 두산리553m부산 방면
외동2터널경상북도 경주시 외동읍 냉천리3086m2015년포항 방면
3103m부산 방면
외동3터널경상북도 경주시 외동읍 냉천리41m2015년부산 방면
문무대왕1터널경상북도 경주시 문무대왕면 장항리7543m2016년포항 방면
7540m부산 방면
문무대왕2터널경상북도 경주시 문무대왕면 입천리234m2015년
문무대왕3터널경상북도 경주시 문무대왕면 호암리466m2015년포항 방면
530m부산 방면
문무대왕4터널경상북도 경주시 문무대왕면 용동리217m2015년포항 방면
203m부산 방면
문무대왕5터널경상북도 경주시 문무대왕면 용동리2443m2015년포항 방면
2442m부산 방면
오천1터널경상북도 경주시 문무대왕면 용동리[80]161m2015년
오천2터널경상북도 경주시 문무대왕면 용동리[80]436m2015년포항 방면
경상북도 포항시 남구 오천읍 진전리[80]391m부산 방면
오천3터널경상북도 포항시 남구 오천읍 진전리546m2015년포항 방면
581m부산 방면
오천4터널경상북도 포항시 남구 오천읍 진전리293m2015년포항 방면
278m부산 방면
오천5터널경상북도 포항시 남구 오천읍 진전리2202m2015년포항 방면
경상북도 포항시 남구 오천읍 갈평리2178m부산 방면
오천6터널경상북도 포항시 남구 오천읍 갈평리187m2015년포항 방면
232m부산 방면
오천7터널경상북도 포항시 남구 오천읍 갈평리178m2015년포항 방면
200m부산 방면



'''삼척 ~ 속초 구간'''

터널 이름소재지길이준공 년도비고
근덕터널강원특별자치도 삼척시 근덕면 금계리2473m2016년속초 방면
2558m삼척 방면
적노터널강원특별자치도 삼척시 적노동542m2016년속초 방면
487m삼척 방면
사직터널강원특별자치도 삼척시 사직동237m2016년속초 방면
302m삼척 방면
남양터널강원특별자치도 삼척시 성남동327m2016년속초 방면
380m삼척 방면
지가터널강원특별자치도 동해시 지가동508m2016년속초 방면
490m삼척 방면
귀운터널강원특별자치도 동해시 귀운동305m2016년속초 방면
290m삼척 방면
동해터널강원특별자치도 동해시 평릉동300m2004년
강릉1터널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 강동면 산성우리450m2004년속초 방면
535m삼척 방면
강릉2터널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 강동면 산성우리210m2004년
강릉3터널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 강동면 산성우리140m2004년
강릉4터널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 강동면 산성우리960m2004년속초 방면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 강동면 임곡리삼척 방면
강릉5터널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 강동면 언별리2075m2004년속초 방면
2095m삼척 방면
현남터널강원특별자치도 양양군 현남면 북분리958m2009년속초 방면
971m삼척 방면
현북터널강원특별자치도 양양군 현북면 잔교리543m2009년속초 방면
550m삼척 방면
양양1터널강원특별자치도 양양군 양양읍 거마리470m2016년속초 방면
516m삼척 방면
양양2터널강원특별자치도 양양군 양양읍 거마리887m2016년속초 방면
874m삼척 방면
강현1터널강원특별자치도 양양군 강현면 석교리140m2016년
강현2터널강원특별자치도 양양군 강현면 강선리50m2016년
청대터널강원특별자치도 속초시 조양동1532m2016년속초 방면
1570m삼척 방면
노학터널강원특별자치도 속초시 노학동30m2016년


참조

[1] 법률 大韓民国の大統領令第22537号 高速道路路線指定令 http://www.law.go.kr[...] 2010-12-20
[2] 뉴스 새 고속도로 건설 속초-춘천 간 연결 http://newslibrary.n[...] 매일경제신문 1974-03-29
[3] 웹인용 20년 숙원 동해고속도로 고성 연장 확정…강원 부동산 주목 http://www.constimes[...] 2022-10-20
[4] 법률 대통령령 제6821호 고속국도노선지정령 http://law.go.kr/lsI[...] 1973-08-23
[5] 법률 대통령령 제10625호 고속국도노선지정령 http://www.law.go.kr[...] 1987-11-07
[6] 법률 대통령령 제13636호 고속국도노선지정령 http://www.law.go.kr[...] 1992-04-29
[7] 법률 대통령령 제15468호 고속국도노선지정령 http://www.law.go.kr[...] 1997-08-27
[8] 법률 대통령령 제16545호 고속국도노선지정령 http://www.law.go.kr[...] 1999-08-31
[9] 법률 대통령령 제17228호 고속국도노선지정령 http://www.law.go.kr[...] 2001-05-24
[10] 법률 대통령령 제18579호 고속국도노선지정령 http://www.law.go.kr[...] 2004-11-03
[11] 법률 대통령령 제20526호 고속국도 노선 지정령 http://www.law.go.kr[...] 2008-01-03
[12] 법률 행정안전부고시 제2010-84호 http://gwanbo.mois.g[...] 2010-12-28
[13] 법률 국토교통부고시 제2015-181호 http://gwanbo.mois.g[...] 2015-03-27
[14] 뉴스 뉴 · 코리아 (4) 하이웨이 高速道路 http://newslibrary.n[...] 매일경제신문 1970-06-18
[15] 간행물 영동-동해고속도로 건설지 건설부·한국도로공사 1976-10
[16] 법률 건설부고시 제165호 http://theme.archive[...] 1975-10-01
[17] 법률 건설부공고 제107호 http://theme.archive[...] 1975-10-01
[18] 법률 건설부고시 제66호 http://theme.archive[...] 1976-05-20
[19] 법률 건설부공고 제141호 http://theme.archive[...] 1977-12-16
[20] 법률 건설부고시 제446호 http://theme.archive[...] 1986-10-11
[21] 법률 건설부고시 제248호 http://theme.archive[...] 1988-06-04
[22] 법률 건설부고시 제725호 http://theme.archive[...] 1990-10-26
[23] 법률 건설부고시 제1992-599호 http://theme.archive[...] 1992-11-12
[24] 법률 건설부고시 제1993-103호 http://theme.archive[...] 1993-04-03
[25] 법률 건설교통부고시 제1997-197호 http://theme.archive[...] 1997-06-23
[26] 법률 건설교통부고시 제1997-399호 http://theme.archive[...] 1997-12-09
[27] 법률 건설교통부고시 제1998-256호 http://theme.archive[...] 1998-08-06
[28] 법률 건설교통부고시 제1998-361호 http://theme.archive[...] 1998-11-07
[29] 뉴스 동해고속도로 4차선 우회 확장공사 20일 착공 http://www.kwnews.co[...] 강원일보 1999-08-11
[30] 법률 건설교통부공고 제2001-324호 http://gwanbo.mois.g[...] 2001-11-27
[31] 법률 건설교통부고시 제2004-258호 http://gwanbo.mois.g[...] 2004-10-06
[32] 법률 건설교통부고시 제2004-268호 http://gwanbo.mois.g[...] 2004-10-12
[33] 법률 건설교통부공고 제2004-290호 http://gwanbo.mois.g[...] 2004-11-16
[34] 법률 건설교통부공고 제2004-291호 http://gwanbo.mois.g[...] 2004-11-16
[35] 법률 건설교통부공고 제2004-292호 http://gwanbo.mois.g[...] 2004-11-16
[36] 간행물 건설교통부고시 제2007-414호 http://gwanbo.mois.g[...] 2007-10-09
[37] 뉴스 동해고속도 남강릉 나들목 20일 개통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2007-12-18
[38] 간행물 국토해양부고시 제2008-492호 http://gwanbo.go.kr/[...] 2008-09-09
[39] 간행물 국토해양부고시 제2009-134호 http://gwanbo.mois.g[...] 2009-03-30
[40] 간행물 국토해양부고시 제2009-733호 http://gwanbo.mois.g[...] 2009-08-26
[41] 간행물 국토해양부공고 제2009-990호 http://gwanbo.mois.g[...] 2009-11-27
[42] 웹사이트 주문진 ~ 속초 고속도로 현남 ~ 하조대 개통 안내 http://www.ex.co.kr/[...] 2009-11-27
[43] 간행물 국토해양부공고 제2012-1522호 http://gwanbo.mois.g[...] 2012-12-21
[44] 간행물 국토교통부고시 제2015-191호 http://gwanbo.mois.g[...] 2015-04-02
[45] 간행물 국토교통부고시 제2015-321호 http://gwanbo.mois.g[...] 2015-06-10
[46] 간행물 국토교통부고시 제2016-536호, 제2016-537호, 제2016-538호 http://gwanbo.mois.g[...] 2016-08-25
[47] 간행물 국토교통부공고 제2016-1229호 http://gwanbo.mois.g[...] 2016-09-09
[48] 간행물 국토교통부공고 제2016-1534호 http://gwanbo.mois.g[...] 2016-11-23
[49] 뉴스 남삼척IC→근덕IC 변경 http://www.kwnews.co[...] 강원일보 2017-06-30
[50] 뉴스 동해고속도로 남삼척나들목→근덕나들목 변경 https://www.mbceg.co[...] MBC 강원영동 2017-08-18
[51] 뉴스 현남 IC→남양양 IC로 명칭 변경 http://www.kwnews.co[...] 강원일보 2017-10-10
[52] 뉴스 지역 인지도를 높여라…동해고속도 근덕·남양양IC 명칭변경 http://www.yonhapnew[...] 연합뉴스 2017-11-30
[53] 뉴스 아이트로닉스 국내 첫 4차로 하이패스 구축 http://www.dt.co.kr/[...] 디지털타임스 2018-03-15
[54] 뉴스 뉴 · 코리아 (4) 하이웨이 고속도로 http://newslibrary.n[...] 매일경제신문 1970-06-18
[55] 뉴스 서울-강릉간 고속 10월에 타당성 조사 http://newslibrary.n[...] 매일경제신문 1968-09-18
[56] 뉴스 부산 ~ 울산 ~ 포항 새 고속도 건설 검토 http://newslibrary.n[...] 경향신문 1978-11-02
[57] 뉴스 부산권 개발 계획안 내용 http://newslibrary.n[...] 한겨레신문 1994-09-09
[58] 간행물 건설교통부고시 제2000-314호 http://theme.archive[...] 2000-12-11
[59] 간행물 건설교통부고시 제2002-121호 http://gwanbo.mois.g[...] 2002-06-22
[60] 간행물 건설교통부고시 제2005-310호 http://gwanbo.mois.g[...] 2005-10-06
[61] 간행물 건설교통부고시 제2006-164호 http://gwanbo.mois.g[...] 2006-06-05
[62] 간행물 건설교통부고시 제2006-283호 http://gwanbo.mois.g[...] 2006-07-27
[63] 간행물 건설교통부고시 제2007-35호 http://gwanbo.mois.g[...] 2007-02-01
[64] 간행물 국토해양부고시 제2008-468호 http://gwanbo.mois.g[...] 2008-08-28
[65] 간행물 국토해양부공고 제2008-825호 http://gwanbo.mois.g[...] 2008-12-26
[66] 간행물 국토해양부고시 제2008-876호 http://gwanbo.mois.g[...] 2008-12-31
[67] 간행물 국토해양부고시 제2009-375호 http://gwanbo.mois.g[...] 2009-06-17
[68] 뉴스 울산-포항 고속도로 건설 착공 http://www.cbs.co.kr[...] 노컷뉴스
[69] 뉴스 부산-울산 고속도로 요금소 명칭 변경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2009-09-25
[70] 간행물 국토해양부고시 제2011-157호 http://gwanbo.mois.g[...] 2011-04-22
[71] 간행물 국토해양부고시 제2012-39호 http://gwanbo.mois.g[...] 2012-02-08
[72] 간행물 국토교통부공고 제2013-1066호 http://gwanbo.mois.g[...] 2013-12-26
[73] 간행물 국토교통부고시 제2015-519호 http://gwanbo.mois.g[...] 2015-07-23
[74] 간행물 국토교통부공고 제2015-1551호 http://gwanbo.mois.g[...] 2015-12-29
[75] 뉴스 주말 동부산관광단지 교통지옥 숨통 http://www.kookje.co[...] 국제신문 2016-03-24
[76] 간행물 국토교통부공고 제2016-417호 http://gwanbo.mois.g[...] 2016-04-01
[77] 간행물 국토교통부공고 제2016-915호 http://gwanbo.mois.g[...] 2016-06-30
[78] 간행물 국토교통부고시 제2016-684호 http://gwanbo.mois.g[...] 2016-10-19
[79] 간행물 국토교통부고시 제2017-29호 http://gwanbo.mois.g[...] 2017-01-13
[80] 웹인용 (파일) 2015년 도로교량 및 터널현황 https://stat.kosis.k[...] 2016-10-04
[81] 뉴스 고속도 개통 명과 암, 부산~울산 울산~함양 고속도로 https://news.naver.c[...] 부산일보 2007-04-25
[82] 기타
[83] 뉴스 났다하면 사망사고, 희생자 잇따르는 부울고속도로 https://news.naver.c[...] 노컷뉴스 2011-01-04
[84] 뉴스 부울고속도로, 어느 세월에 https://news.naver.c[...] 부산일보 2004-09-14
[85] 뉴스 부산울산고속도로 민자사업 전환 https://news.naver.c[...] 세계일보 2006-05-12
[86] 뉴스 부울고속도로 통행료 또 인상 http://www.kookje.co[...] 국제신문 2012-12-21
[87] 기타
[88] 기타
[89] 뉴스 부울고속도 요금 공사 수준 지키라 <울산시민연대>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2008-12-23
[90] 뉴스 울산~포항 고속도로 사업 물건너 가나 https://news.naver.c[...] 서울경제 2006-10-22
[91] 뉴스 광역경제권 개발 프로젝트 어떤 내용 담았나 https://news.naver.c[...] 매일경제 2008-09-10
[92] 뉴스 '신항~진례분기점' 고속도로 7월 착공 http://news20.busan.[...] 부산일보 2009-02-12
[93] 뉴스 울산-포항 고속도로 건설 착공 https://news.naver.c[...] 노컷뉴스 2009-09-21
[94] 뉴스 예산안 요지경... 형님, 위원장 예산에 국회예산도 수상 https://news.naver.c[...] 노컷뉴스 2010-12-09
[95] 뉴스 포항-울산 간 연결 동해안고속도로 시대 눈앞 http://www.ajunews.c[...] 아주경제 2013-11-03
[96] 뉴스 지방 SOC 공약 3개 중 1개, 경제성 이미 '낙제점' 평가 https://news.naver.c[...] 한국경제 2013-07-15
[97] 뉴스 사업성 떨어지는 포항 ~ 영덕 형님고속도로 재검토해야 https://news.naver.c[...] 세계일보 2012-10-09
[98] 기타
[99] 기타
[100] 뉴스 도공, 24조 부채에도 경제성 없는 고속도로 20조 계속 추진 http://www.anewsa.co[...] 아시아뉴스통신 2012-10-09
[101] 뉴스 MB고향 포항시 신규고속도로 공사 집중 https://news.naver.c[...] 이데일리 2009-02-11
[102] 뉴스 포항 박명재 의원 "영일만대교, 황당하고 가치없는 사업이다" https://news.naver.c[...] 노컷뉴스 2014-01-15
[103] 뉴스 124조 소요 지방 공약들 "사업성 없음" 전면 구조조정 불가피 http://news.heraldco[...] 헤럴드경제 2013-09-24
[104] 뉴스 삼척지역 접근교통망 대대적 확충 https://news.naver.c[...] 강원일보 2014-01-10
[105] 뉴스 고성~속초 잇는 ‘평화고속도로’ 남북통일 교두보 역할 기대 https://www.kado.net[...] 강원도민일보
[106] reference 디지털 강릉 문화대전, 동해고속도로
[107] 뉴스 외면받는 동해고속도로 https://news.naver.c[...] 한국일보 2005-01-09
[108] 뉴스 구 동해고속도로, 관리 뒷전 https://news.naver.c[...] 노컷뉴스 2005-09-01
[109] 뉴스 부울고속도로, 다음달부터 구간단속 http://www.hankookil[...] 한국일보 2015-12-20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