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국악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국립국악원은 신라 시대 음성서에서 기원하여 조선 시대 장악원의 직계 후신으로, 한국 전통 음악을 보존하고 발전시키기 위해 설립된 대한민국 문화체육관광부 산하 국립 기관이다. 1951년 부산에서 개원하여 서울 서초동으로 이전하였으며, 서울 외에도 부산, 남원 등에 국악원을 운영하고 있다. 주요 활동으로는 공연, 학술 연구, 국악 교육, 해외 교류 등이 있으며, 정악단, 민속악단, 무용단, 창작악단 등의 예술단을 통해 다양한 국악 공연을 선보인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음악 단체 - 국립국악관현악단
국립국악관현악단은 1995년 창단된 대한민국의 대표적인 국악 관현악단으로, 국가적 행사와 기념 공연에 참여하며 한국을 대표하는 관현악단으로서 예술감독을 중심으로 운영되고 행정실의 지원을 받는다. - 음악 단체 - 레드 웨지
레드 웨지는 노동당 지지를 목표로 예술가들이 참여하여 결성되었으며, 특정 로고를 사용해 투어 공연, 선거 팸플릿 발행 등의 활동을 펼쳤으나 자금난으로 해산된 영국의 정치 운동 단체이다. - 서울특별시의 예술 시설 - 예술의전당
예술의전당은 1980년대 대한민국 정부가 건립한 복합 문화 예술 공간으로, 음악당, 미술관, 오페라하우스 등 다양한 시설을 갖추고 국립 예술 단체의 상주 공간으로 활용된다. - 서울특별시의 예술 시설 - 세종문화회관
세종문화회관은 서울 종로구 세종로에 위치한 종합 문화 예술 공간으로, 1978년 개관하여 다양한 시설을 갖추고 공연, 전시, 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 대한민국의 관현악단 - 서울시립교향악단
서울시립교향악단은 1945년 창단되어 해군교향악단을 거쳐 1957년 서울시립교향악단으로 전환된, 한국에서 가장 오래된 오케스트라이다. - 대한민국의 관현악단 - 국립국악관현악단
국립국악관현악단은 1995년 창단된 대한민국의 대표적인 국악 관현악단으로, 국가적 행사와 기념 공연에 참여하며 한국을 대표하는 관현악단으로서 예술감독을 중심으로 운영되고 행정실의 지원을 받는다.
국립국악원 - [경기장/극장]에 관한 문서 | |
---|---|
위치 정보 | |
기본 정보 | |
명칭 | 국립국악원 |
로마자 표기 | Gugrip Gukagwon |
한글 표기 | 국립국악원 |
한자 표기 | 國立國樂院 |
영어 표기 | National Gugak Center |
일본어 표기 | 国立国楽院 (こくりつこくがくいん), クンニプクガグォン |
개원일 | 1950년 1월 19일 |
이전 명칭 | 국립국악원 (The National Center for Korean Traditional Performing Arts) |
장르 | 한국 전통 음악(gugak) |
소재지 | 서울특별시 서초구 남부순환로 2364 |
기관 정보 | |
소속 기관 | 대한민국 문화체육관광부 |
직원 수 | 161명 |
기관장 | 김영운 |
기관장 직책 | 원장 |
웹사이트 | 국립국악원 공식 웹사이트 |
관련 역사 | |
전신 | 신라 음성서 (651년) |
사진 | |
![]() |
2. 역사
국립국악원은 신라시대 음성서, 고려시대 대악서와 관현방, 조선시대 장악원, 대한제국 시대 교방사, 일제강점기의 이왕직아악부로 이어져 온 궁중음악기관의 역사를 계승한다. 8.15 해방 후 궁중음악기관이 해체된 후 구왕궁아악부로 존속하다가 1951년 이후 국립국악원으로 이어져 국가 최고의 음악 기관으로서 임무를 수행하고 있다. 1950년에 직제가 공포되었으나, 한국 전쟁으로 인해 1951년 부산에서 개원하였으며, 이후 서울 종로구 운니동과 중구 장충동 청사를 거쳐 1987년 서초구 서초동 현 청사로 이전하였다.
한국 궁중 음악은 7세기 신라의 음성서한국어 음악 기관까지 거슬러 올라가지만, 현재의 국립국악원은 조선 왕조 장악원의 직계 후신이다. 장악원은 1945년까지 여러 차례 이름이 바뀌었다.
명칭 | 시기 |
---|---|
장악원 | 1470년 |
교방사 | 1897년 |
장악과 | 1907년 |
이왕직아악대 | 1910년 (일제 강점기 이후 "이왕직 아악대") |
이왕직아악부 | 1913년 |
구왕궁아악부 | 1945년 (미군정 하의 "구왕궁 아악부")[2][3] |
구왕궁아악부는 1951년 다른 한국 음악 단체들과 통합하여 국립국악원이 되었다.[2] 2010년 영어 명칭은 공식적으로 ''국립국악원(The National Gugak Center)''으로 축약되었지만, 한국어 명칭은 변경되지 않았다.[4]
2. 1. 연표
- 1950년 1월 19일: 문교부 소속으로 '''국립국악원''' 설치.
- 1951년 4월 10일: 국립국악원 개원.
- 1955년 4월 1일: '''국악사양성소''' 개소.
- 1957년: 국악사양성소 3년제에서 6년제로 변경.
- 1961년 10월 2일: 공보부 소속으로 변경.
- 1967년 12월 9일: 장충동으로 청사 이전.
- 1968년 7월 24일: 문화공보부 소속으로 변경.
- 1972년 7월 11일: 문교부 소속으로 재변경. 국악사양성소를 중학과정 폐지, '''국악고등학교'''로 개편.
- 1987년 12월 28일: 서초동으로 청사 이전.
- 1990년 1월 3일: 문화부 소속으로 변경.
- 1991년: '''국립국악중학교''' 개교.
- 1993년 3월 6일: 문화체육부 소속으로 변경.
- 1995년 2월 23일: 국악박물관 개관.
- 1996년 10월 22일: 예악당 개관.
- 1998년 2월 28일: 문화관광부 소속으로 변경.
- 2001년 3월 2일: 국악FM방송국 개국.
- 2008년 2월 29일: 문화체육관광부 소속으로 변경.
- 2010년: 영어 명칭을 공식적으로 ''국립국악원(The National Gugak Center)''으로 축약. 한국어 명칭은 변경되지 않음.[4]
3. 시설
국립국악원은 다양한 규모의 공연장과 국악 관련 시설을 갖추고 있다. 주요 시설로는 실내 공연장인 예악당과 우면당, 야외공연장인 별맞이터, 국악박물관 등이 있다.
3. 1. 서울 본원
국립국악원은 대지 39775m2, 연면적 32532m2에 지하 1층, 지상 4층의 연습사무동과 두 개의 실내 공연장(예악당·우면당), 한 개의 야외공연장(별맞이터), 그리고 국악박물관과 국악연수관 시설을 갖추고 있다.
이 밖에도 1995년에 문을 연 국악박물관은 입체영상실, 국악체험실, 고문헌실, 명인실, 악기전시실, 국악사실 등으로 구성되어 있는 국악 교육장이다. 관람 시간은 오전 9시부터 오후 6시까지이며, 월요일 및 1월 1일에 휴관하고, 관람료는 무료이다. 국악박물관 2층에 자리한 국악자료실에서는 도서 16,000여 권 및 비도서자료 39,000여 점을 보유하고 일반인들이 열람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1]
3. 2. 부산국악원
- 연락당(蓮楽堂): 전통 악기인 용고(龍鼓)를 본떠 설계된 대극장이다. 좌석은 장애인석 8석을 포함하여 698석이다.
- 예지당(芸池堂): 소극장으로, 좌석은 장애인석 3석을 포함하여 276석이다.
- 벽천광장(壁泉広場): 가야금을 본떠 설계된 야외 공연장이다. 약 300명을 수용할 수 있다.
- 한국정원(韓国庭園): 연락당(蓮楽堂)에 인접한 녹지 시설이다.
3. 3. 기타 시설
국립국악원은 39,775m2의 대지와 32,532m2의 연면적을 가진 건물로, 지하 1층, 지상 4층의 연습사무동, 두 개의 실내 공연장(예악당·우면당), 한 개의 야외공연장(별맞이터), 국악박물관, 국악연수관 시설을 갖추고 있다. 공연장은 3곳 있으며, 1995년에 설립된 국악박물관이 있다.- 예악당: 수원시에 있는 수원화성을 본따 1996년에 개관한 국악 전용 공연장이다. 좌석 수는 약 734석이다. 토담식 좌석배치와 방패연을 본뜬 음향판 등 전통미를 강조한 극장이다.
- 우면당: 1988년에 지어진 348석 규모의 소극장으로, 관람객과 연주자가 함께 어우러지는 국악공연의 특성을 살려 설계되었다. 국악뿐 아니라 연극 등 다양한 기획 공연이 이루어지고 있다.
- 별맞이터: 1997년에 설치된 약 2000석 규모의 야외극장이다. 우면산 자락에서 사계절의 정취와 함께 공연을 즐길 수 있는 자연친화적 야외공연장이다.
- 연악당(蓮楽堂): 전통 악기인 용고(龍鼓)를 본따 설계된 대극장이다. 좌석 수는 장애인석 8석을 포함하여 698석이다.
- 예지당(芸池堂): 소극장으로, 좌석 수는 장애인석 3석을 포함하여 276석이다.
- 벽천광장(壁泉広場): 가야금을 본따 설계된 야외 공연장으로, 수용 인원은 약 300명이다.
- 한국정원(韓国庭園): 연악당(蓮楽堂)에 인접한 녹지 시설이다.
1995년에 문을 연 국악박물관은 입체영상실, 국악체험실, 고문헌실, 명인실, 악기전시실, 국악사실 등으로 구성되어 있는 국악 전문 박물관이다. 관람시간은 오전 9시부터 오후 6시까지이며, 월요일 및 1월 1일에 휴관하고, 관람료는 무료이다. 국악박물관 2층에 있는 국악자료실에서는 도서 16,000여 권 및 비도서자료 39,000여 점을 누구나 열람할 수 있다.
4. 주요 활동 및 사업
국립국악원은 각종 공연, 학술 연구, 국악 교육, 해외 교류 등을 통해 국민과 함께하는 국악, 세계 속의 우리 국악을 추구하고 있다. 국립국악원의 공연은 품격있는 공연, 특화된 공연, 창조적 공연, 생활 속의 공연을 목표로 한다. 국가브랜드 공연, 고궁공연 등으로 품격있는 국악 문화의 정수를 선보이고, 세계 문화유산 등을 중심으로 한 상설공연과 설·단오·한가위와 같은 절기에 따른 공연 등 특화된 공연을 통해 전통과 소통할 수 있도록 한다. 첨단 멀티미디어 이미지 활용과 현대인의 생활 리듬 등을 고려한 창조적 공연을 통하여 현대인의 감각에 부응하도록 하고 있다. 또 학교, 병원 및 주요 산업현장과 공항, 터미널, 역사 등 생활 현장으로 직접 찾아가 다채로운 국악공연으로 국민들에게 희망과 나눔의 가치를 전하고 있다.[5]
이 밖에도 국립민속국악원, 국립남도국악원, 국립부산국악원 등 각 지방 국악원은 지역 전통음악 문화의 보존 전승과 그를 바탕으로 한 새로운 문화 콘텐츠를 개발하여 지역문화를 활성화하고 있다. 국립민속국악원은 남원을 중심으로 판소리를 비롯하여 고품격 창극 개발 등 민속예술 발전의 선도적인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민속음악의 보고인 진도에 설립된 국립남도국악원은 굿과 향토민요 등 지역 음악문화를 전승·보존하며, 다양한 교육·연수 과정을 개설하여 남도지역 문화발전에 기여하고 있다. 국립부산국악원은 대한민국 동남권역의 전통 문화 계승과 보급을 목적으로 설립되었으며, 지역 고유의 전통예술과 국제도시의 위상을 앞세워 아시아·태평양 민족 음악 센터로의 비전을 가지고 국제 교류 사업을 활발히 전개하고 있다.[5]
국립국악원은 각종 국악 공연의 품질을 높이기 위해 첨단 무대 장비를 도입하고, 현대 무대 양식에 적합한 국악공연 예술을 창출하기 위해 끊임없이 무대기술을 개발하는 한편, 무대전문 인력을 양성하기 위한 교육도 실시하고 있다.[5]
국악연구사업은 국악사의 정립, 국악이론의 체계화, 국악통계정책 수립, 국악기 복원 및 개발 연구, 국악교육 정책연구 등 국악 전분야에 걸쳐 수행하고 있다. 특히 악기연구소는 고악기의 복원제작, 신악기의 개발, 국악기의 과학적 연구 등 국악기의 복원 연구 개발에 심혈을 기울이고 있다.[5]
국악진흥 사업은 국악의 생활화 및 세계화 등 국악의 저변 확대를 목적으로 한다. 생활 속에 살아있는 국악 문화를 만들기 위해 국악 휴대전화 벨소리, 통화연결음 등 신호음악, 생활음악, 교육용 음악의 음원 개발과 보급에 앞장서고 있다. 초·중등교사를 위한 각종 연수 프로그램, 가족 모두가 함께 배우는 ‘가족국악강좌’, 장애인과 청소년 및 유아를 위한 교육프로그램, e-국악아카데미 등 맞춤형 국악 교육 프로그램 운영으로 효율적이고 체계적인 국악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 국내외 외국인을 위한 국악강좌와 교류를 통해 국악이 세계로 뻗어나갈 수 있도록 하고, 온 나라 국악 경연대회, 온 나라 궁중무용 경연대회, 국악동요제, 국악동요부르기대회 등을 통해 미래 국악을 이끌어갈 국악 유망주를 발굴하고 있다.[5]
5. 조직
국립국악원의 조직은 원장실 아래 행정지원과, 장악과, 전속예술단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전속예술단은 다시 연주단과 무용단으로 나뉜다.
5. 1. 국립국악원 (서울)
1951년 다른 한국 음악 단체들과 통합하여 국립국악원(國立國樂院)이 설립되었다.[2] 2010년 영어 명칭은 공식적으로 ''국립국악원(The National Gugak Center)''으로 축약되었지만, 한국어 명칭은 변경되지 않았다.[4]한국 궁중 음악은 7세기 신라의 음성서|음성서한국어 음악 기관까지 거슬러 올라가지만, 현재의 국립국악원은 조선 왕조의 장악원(掌樂院)의 직계 후신이다. 장악원은 1945년까지 여러 차례 이름이 바뀌었다.
5. 2. 소속 연주단/무용단 (서울)
국립국악원에는 정악단, 민속악단, 무용단, 창작악단 등 네 개의 소속 연주단이 있으며, 200여 명의 단원이 활동하고 있다.- 정악단: 궁중음악의 전통을 이어받은 연주단으로, 종묘제례악을 비롯한 각종 궁중 제례악과 궁중 연례악 및 풍류음악을 전승하고 있다.
- 민속악단: 1979년에 창단되었으며, 판소리를 비롯한 산조, 민요, 병창, 사물놀이 등 민속음악을 연주한다. 소리극, 굿음악 등 새로운 작품을 통해 민속악을 재창조하는 데 힘쓰고 있다.
- 무용단: 1962년에 창단되었으며, 정재와 일무를 포함한 궁중무용, 승무, 탈춤 등 민속무용, 다양한 창작무용을 통해 전통무용을 보존하고 전승하며, 미래를 위한 우리 고유의 춤을 개발하는 데 노력하고 있다.
- 창작악단: 2004년에 창단되었으며, 전통 음악을 바탕으로 미래의 전통을 만들어가고 있다. 국립국악원은 개원 초기부터 창작음악 개발과 보급에 힘써왔다.
5. 3. 부산국악원
국립부산국악원은 대한민국 동남권역의 전통 문화 계승과 보급을 목적으로 설립되었으며, 지역 고유의 전통예술과 국제도시의 위상을 앞세워 아시아·태평양 민족 음악 센터로의 비전을 가지고 국제 교류 사업을 활발히 전개하고 있다.5. 4. 지방 국악원
각 지방 국악원은 지역 전통음악 문화의 보존, 전승과 새로운 문화 콘텐츠 개발로 지역문화를 활성화하고 있다.[1]국립민속국악원은 남원을 중심으로 판소리를 비롯한 고품격 창극 개발 등 민속예술 발전에 앞장서고 있다.[1] 국립남도국악원은 민속음악의 보고인 진도에 설립되어 굿과 향토민요 등 지역 음악문화를 전승·보존하며, 다양한 교육·연수 과정으로 남도지역 문화발전에 기여하고 있다.[1] 국립부산국악원은 대한민국 동남권역의 전통 문화 계승과 보급을 위해 설립되었으며, 지역 고유의 전통예술과 국제도시의 위상을 바탕으로 아시아·태평양 민족 음악 센터를 지향하며 국제 교류 사업을 활발히 추진하고 있다.[1]
참조
[1]
웹사이트
에러페이지 | 국립 국악원
http://www.gugak.go.[...]
[2]
서적
Shinpyeon Hanguksa
http://contents.hist[...]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History
[3]
웹사이트
Jangakwon
http://encykorea.aks[...]
1995
[4]
서적
The Oxford Handbook of Music and World Christianities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5]
뉴스
국립국악원, 국악기 디지털 음원 서비스 확대…"방탄소년단 히트곡 영향"
https://news.naver.c[...]
KBS
2018-12-26
[6]
일반
[7]
일반
[8]
일반
[9]
일반
[10]
일반
[11]
일반
[12]
일반
[13]
웹인용
[여기는 강릉] 국립국악원 강원분원 강릉 건립…업무 협약 외
https://news.kbs.co.[...]
2024-10-28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올 가을밤에도 경복궁 찾으세요…27일부터 예매
충북 충주시, 국립국악원 중부분원 유치 나선다…‘시민추진단’발대
안중근 의거 다룬 판소리에 합창까지…광복 80주년 기념 공연 다채
NIA, 국립국악원과 국악 생성 AI 데이터 구축 – 바이라인네트워크
인순이·최백호·웅산이 부르는 민요 대잔치 ‘여우락’
‘국악의 고장’ 충북 영동군, 국립국악원 영동분원 유치 나선다
영동·제천·충주 ‘중부권 국악원 유치’ 3파전
국립예술단체장 공개 모집 통해 선발…문체부, 개편안 발표
“푸른 눈의 가야금 전도사”...외국인 최초 무형유산 이수자 탄생 I 조세린 교수 [커튼콜 262]
궁중음악 들으며 경복궁 밤 산책…내달 8일부터 야간관람
황제 관람·종묘 사적 이용…특혜 논란 뒤엔 김 여사가 | JTBC 뉴스
"알박기 인사 멈춰야" 국악계 반발에도...문체부 "소수 의견일 뿐" | JTBC 뉴스
국악계 비대협 "국악원장에 행정직 공무원 반대"
국악계 “문체부 관료 출신 안돼” 국립국악원장 재공모 촉구
국악계 “공무원 국악원장 반대, 유인촌 장관 대응은 ‘임기응변식 여론전’비판”
‘용산 출신 국악원장’ 반발에…유인촌 “국악인 80% 반대하면 따르겠다”
'김 여사 황제관람 의혹' 위증 공무원, 국립국악원장 공모 지원 | JTBC 뉴스
국악 학계에서도 “용산 출신 국악원장 임명은 불순한 알박기”
“김건희 황제관람 위증 인물 국립국악원장 임명 안 된다” 전현직 예술감독들 성명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