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인도법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국제인도법은 무력 충돌 시 인명 피해를 줄이고, 전쟁의 참혹성을 완화하기 위한 국제법 체계이다. 헤이그법과 제네바법으로 구성되며, 헤이그법은 교전 당사자의 권리와 의무, 전쟁 수행 방법 등을 규정하고, 제네바법은 전쟁 희생자, 특히 민간인과 전투 불능 상태의 군인을 보호한다. 국제인도법은 구별, 필요성, 비례성, 인도적 대우, 비차별 등의 기본 규칙을 가지며, 특정 무기 사용을 금지하는 조약을 포함한다. 국제적십자위원회(ICRC)는 국제인도법의 준수를 감시하고, 보호 대상자를 지원하는 역할을 한다. 성과 문화에 대한 고려를 포함하며, 위반 시에는 전쟁 범죄로 처벌받을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인권 - 집회의 자유
집회의 자유는 평화적인 집회와 결사의 자유를 보장하며, 공공의 안녕과 질서를 해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행사되어야 하며, 국가별로 보장 범위가 다르고, 헌법재판소와 대법원 판례는 집회의 자유를 보장하면서도 과도하거나 불법적인 집회에 대한 제한을 인정한다. - 인권 - 복지국가
복지국가는 사회 구성원의 삶의 질 향상과 사회적 안정을 위해 국가가 적극적으로 개입하는 사회 시스템으로, 19세기 후반 독일에서 등장하여 20세기 대공황과 2차 세계대전 이후 많은 국가에서 확대되었으며, 다양한 모델과 지속적인 논의 및 비판이 존재한다. - 국제법 - 선전포고
선전포고는 국가 간 적대 행위 개시를 공식적으로 선언하는 행위로, 과거 전쟁 개시의 필수 절차였으나 국제법 발전과 무력 사용 제한으로 현대에는 드물어졌지만 일부 분쟁에서 사용되며 합법성과 실효성에 대한 논쟁이 있다. - 국제법 - 무주지
무주지는 국제법상 어떤 국가의 영유권도 미치지 않아 점유를 통해 국가가 주권을 취득할 수 있는 지역으로, 로마법의 무주물 개념과 관련되나 영토 취득 대상이라는 점에서 차이가 있으며, 식민지 확장의 명분으로 악용된 역사와 함께 사회적, 정치적 조직을 갖춘 사람들의 땅은 무주지로 간주될 수 없다는 해석이 등장하며 변화를 겪어왔다.
| 국제인도법 | |
|---|---|
| 국제 인도법 | |
| 주요 목표 | 무력 충돌 시 비전투원 보호 |
| 다른 이름 | 무력 충돌법 전쟁법 |
| 법원 및 재판소 | |
| 관련 법원 | 뉘른베르크 재판 극동 국제 군사 재판 구유고슬라비아 국제형사재판소 르완다 국제형사재판소 국제사법재판소 국제형사재판소 |
| 위반 행위 | |
| 위반 행위 유형 | 전쟁 범죄 |
| 조약 | |
| 주요 조약 | 헤이그 협약 제네바 협약 제3 제네바 협약 제4 제네바 협약 제1 추가 의정서 제2 추가 의정서 제3 추가 의정서 로마 규정 |
| 관련 법 분야 | |
| 관련 분야 | 전쟁법(jus ad bellum) 국제 인권법 국제 형법 |
| 국제 인도법의 기본 원칙 | |
| 주요 원칙 | **인도주의:** 인간의 고통을 경감시키고, 무력 충돌의 영향을 받는 모든 개인의 존엄성과 권리를 보호하는 것을 목표로 함. **구별:** 군사 목표물과 민간인, 전투원과 비전투원을 구별해야 함. **비례성:** 공격은 군사적 이점에 비해 민간인 피해가 과도하지 않아야 함. **예방 조치:** 민간인 피해를 줄이기 위한 모든 예방 조치를 취해야 함. **필요성:** 공격은 군사적 목표 달성에 필요한 수준으로 제한해야 함. |
| 국제 인도법과 국제 인권법의 관계 | |
| 관계 | 국제 인도법과 국제 인권법은 상호 보완적인 관계에 있음. 국제 인권법은 평화 시기에 개인의 기본권을 보호하는 반면, 국제 인도법은 무력 충돌 시기에 적용됨. 무력 충돌 상황에서도 인권은 여전히 적용되며, 국제 인도법은 인권 보호를 위한 특별한 규정을 제공함. |
| 적용 범위 | |
| 적용 대상 | 국제적 무력 충돌: 국가 간의 충돌 비국제적 무력 충돌: 국가 내의 무력 충돌 (예: 내전) 점령 상황 |
| 주요 내용 | |
| 보호 대상 | 부상자 및 병자 포로 민간인 인도주의 요원 의료 종사자 및 시설 |
| 금지 행위 | 민간인에 대한 직접 공격 무차별 공격 고문 및 비인도적인 대우 살인, 상해, 강간 등의 성폭력 강제 이주 및 인구 이동 문화재 파괴 환경 파괴 인도적 지원 방해 무기 사용 제한 (예: 독가스, 생물학 무기) |
2. 역사
현대 국제 인도주의법은 헤이그 법과 제네바 법이라는 두 가지 역사적 흐름에서 비롯되었다.[9] 헤이그 법은 전쟁 수행에 있어 교전 당사국의 권리와 의무를 규정하고 피해를 입히는 수단을 제한하며,[11] 전투원의 정의, 전쟁 수행 방법, 군사 목표에 관한 규칙을 다룬다.[12]
전쟁의 야만성을 줄이려는 시도는 19세기에 들어서야 본격적으로 시작되었다. 이는 계몽주의 시대의 영향으로 전쟁에 대한 국가들의 인식이 변화하면서 가능해졌다. 전쟁의 목적은 적국을 굴복시키는 것이었고, 이는 적 전투원을 무력화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었다. 이러한 원칙에 따라 전투원과 민간인을 구분하고, 부상병과 포로를 인도적으로 대우하며, 항복을 받아들여야 한다는 현대 인도주의법의 기본 원칙이 확립되었다.[13]
하지만, 이러한 인도주의적 규범은 19세기 이전 역사 속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 구약 성서에서 이스라엘 왕은 예언자 엘리사(Elisha)의 권고에 따라 적군 포로를 살려주었다.[17]
- 고대 인도 마누 법전에는 숨겨진 무기, 독이 든 무기 등 사용해서는 안 되는 무기에 대한 기록이 있다.[18]
- 이슬람 법은 비전투원(non-combatants)을 해치지 말아야 한다고 명시하며,[20] 초대 칼리프 아부 바크르(Abu Bakr)는 어린아이, 노인, 여성을 죽이지 말라고 선포했다.[21]
다만, 이슬람 법에서 비전투원 살해 금지는 절대적인 것은 아니었다.[23]
2. 1. 인도주의 규범의 발전
현대 국제 인도주의법은 두 가지의 역사적 흐름으로 구성된다.# 과거 전쟁법으로 불렸던 헤이그 법
# 제네바 법 또는 인도주의법[9]
두 흐름은 1899년과 1907년 헤이그 협약 및 제네바 협약(그중 첫 번째 협약은 1863년에 작성됨)과 같이 전쟁과 분쟁과 관련된 조약을 만들어낸 여러 국제 회의의 이름을 따온 것이다.
전쟁의 야만성을 제한하려는 체계적인 시도는 19세기에 들어서야 시작되었다. 전쟁의 목적은 적국을 굴복시키는 것이었는데, 이는 적 전투원을 무력화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었다. 따라서 "전투원과 민간인의 구분, 부상당하거나 포로로 잡힌 적 전투원을 인도적으로 대우해야 한다는 요구 사항, 그리고 사살하지 않고 항복을 받아들여야 한다는 것은 현대 인도주의법의 기둥 중 일부이며, 모두 이 원칙에서 비롯된다".[13]
19세기 이전에도 인도주의적 규범에 대한 언급은 있었다.
- 구약 성서에서 이스라엘 왕은 예언자 엘리사(Elisha)의 권고에 따라 포로를 죽이는 것을 막았다.[17]
- 고대 인도에는 사용해서는 안 되는 무기의 종류를 설명하는 기록(마누 법전)이 있다.[18]
- 이슬람 법은 "여성, 어린이, 수도사, 은둔자, 노인, 눈먼 사람, 정신병자와 같이 싸움에 참여하지 않은 비전투원(non-combatants)"을 괴롭히지 말아야 한다고 명시한다.[20] 초대 칼리프인 아부 바크르(Abu Bakr)는 "절단하지 마라. 어린아이나 노인이나 여성을 죽이지 마라."라고 선포했다.[21]
그러나 비전투원 살해 금지는 이슬람 법에서 절대적인 것은 아니었다.[23]
국제 인도법(IHL)의 가장 중요한 전신은 1820년 베네수엘라 산타 아나 데 트루히요에서 체결 및 비준된 현재의 휴전 협정 및 전쟁 규정화 조약이다.
19세기 후반, 보다 체계적인 접근 방식이 시작되었다. 미국에서는 독일 이민자 프란시스 리버(Francis Lieber)가 1863년에 미국 남북 전쟁(American Civil War) 중 북부군(Union Army)을 위한 행동 강령(리버 규약(Lieber Code))을 작성했다.
동시에 크림 전쟁(Crimean War)에서 플로렌스 나이팅게일(Florence Nightingale)과 솔페리노 전투(Battle of Solferino)에서 부상당한 병사들을 돌봤던 앙리 뒤낭(Henry Dunant)의 참여는 전쟁 희생자들의 고통을 예방하기 위한 보다 체계적인 노력으로 이어졌다. 뒤낭은 ''솔페리노의 기억(A Memory of Solferino)''이라는 책을 썼고, 그의 보고서는 1863년 국제 적십자 위원회(International Committee of the Red Cross, ICRC)의 설립과 1864년 전시 야전군 부상자 처우 개선을 위한 제네바 협약의 작성으로 이어졌다.[24]
제네바 법은 인도주의 원칙에서 직접 영감을 받았다. 이는 분쟁에 참여하지 않는 사람들뿐만 아니라 전투 불능 상태인(hors de combat프랑스어) 군사 인원에도 관련된다. 이는 ICRC와 같은 공정한 인도주의 단체가 수행하는 보호와 인도적 지원(humanitarian assistance)에 대한 법적 근거를 제공한다.[25]
2. 2. 인도주의 규범의 성문화
현대 국제인도법은 두 가지 흐름으로 구성되는데, 하나는 과거 전쟁법으로 불렸던 헤이그 법이고 다른 하나는 제네바 법 또는 인도주의법이다.[9] 이 두 흐름은 1899년과 1907년 헤이그 협약 및 제네바 협약(최초의 협약은 1863년에 작성됨) 등 여러 국제 회의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10]전쟁의 야만성을 제한하려는 체계적인 시도는 19세기에 들어서야 시작되었다. 이러한 움직임은 계몽주의 시대의 영향을 받아 전쟁에 대한 국가들의 변화하는 견해를 바탕으로 발전할 수 있었다. 전쟁의 목적은 적국을 굴복시키는 것이었고, 이는 적 전투원을 무력화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었다. 따라서 전투원과 민간인의 구분, 부상당하거나 포로로 잡힌 적 전투원을 인도적으로 대우해야 한다는 요구, 그리고 사살하지 않고 항복을 받아들여야 한다는 것은 현대 인도주의법의 중요한 원칙들이다.[13]
19세기 후반, 미국에서는 독일 이민자 프란시스 리버(Francis Lieber)가 1863년에 미국 남북 전쟁(American Civil War) 중 북부군(Union Army)을 위한 행동 강령인 리버 규약(Lieber Code)을 작성했다. 리버 규약에는 분쟁 지역의 민간인에 대한 인도적 대우가 포함되어 있으며, 포로(POWs) 처형도 금지했다.
동시에 크림 전쟁(Crimean War)에서 플로렌스 나이팅게일(Florence Nightingale)과 같은 인물들과 솔페리노 전투(Battle of Solferino)에서 부상병을 돌봤던 앙리 뒤낭(Henry Dunant)의 참여는 전쟁 희생자들의 고통을 줄이기 위한 노력으로 이어졌다. 뒤낭은 자신이 목격한 참상을 묘사한 ''솔페리노의 기억(A Memory of Solferino)''이라는 책을 썼고, 그의 보고서는 1863년 국제 적십자 위원회(International Committee of the Red Cross, ICRC)의 설립과 1864년 전시 야전군 부상자 처우 개선을 위한 제네바 협약 작성을 이끌었다.[24]
3. 제네바 협약
제네바 협약은 1864년부터 1949년까지 여러 단계에 걸쳐 발전된 과정의 결과물이다. 무장 분쟁에서 민간인과 더 이상 전투를 수행할 수 없는 사람들의 보호에 중점을 두었다.[26] 제2차 세계 대전의 결과, 기존 개정안과 1907년 헤이그 협약 일부를 바탕으로 네 개의 협약이 모두 개정되어 1949년 국제 사회에 의해 재채택되었다. 이후 회의에서는 특정 전쟁 수행 방법을 금지하고 내전 문제를 다루는 조항이 추가되었다.[26]
1949년에 제네바 협약 세 개는 개정, 확장 및 대체되었고, 네 번째 협약이 추가되었다.
- 현장에 있는 무장 세력의 부상자 및 환자의 상태 개선을 위한 제네바 협약은 1864년에 채택되었다. 1906년판,[27] 1929년판을 거쳐 1949년 제1차 제네바 협약에 의해 상당히 개정 및 대체되었다.[28]
- 해상에서 무장 세력의 부상자, 환자 및 난파자의 상태 개선을 위한 제네바 협약은 1906년에 채택되었다.[29] 이는 1949년 제2차 제네바 협약에 의해 상당히 개정 및 대체되었다.
- 전쟁 포로의 처우에 관한 제네바 협약은 1929년에 채택되었다. 이는 1949년 제3차 제네바 협약에 의해 상당히 개정 및 대체되었다.
- 제4차 제네바 협약 '전시 민간인 보호에 관한' 협약은 1949년에 채택되었다.
제네바 협약에는 세 가지 추가 수정 의정서가 있다.
- 제1 의정서 (1977): 1949년 8월 12일 제네바 협약에 대한 추가 의정서로, 국제 무장 분쟁 피해자 보호와 관련이 있다. 2007년 1월 12일 현재 167개국이 비준했다.
- 제2 의정서 (1977): 1949년 8월 12일 제네바 협약에 대한 추가 의정서로, 비국제적 무장 분쟁 피해자 보호와 관련이 있다. 2007년 1월 12일 현재 163개국이 비준했다.
- 제3 의정서 (2005): 1949년 8월 12일 제네바 협약에 대한 추가 의정서로, 추가적인 식별 표장 채택과 관련이 있다. 2007년 6월 현재 17개국이 비준했으며, 추가로 68개국이 서명했지만 아직 비준하지 않았다.
1949년 제네바 협약은 1864년에 시작된 과정의 결과로 볼 수 있다. 오늘날 "194개 당사국과 함께 보편적인 참여를 달성했습니다".[30] 즉, 거의 모든 국제 무장 분쟁에 적용된다. 그러나 추가 의정서는 미국, 이란, 이스라엘, 인도, 파키스탄과 같은 여러 주요 군사 강국이 현재 당사국이 아니기 때문에 거의 보편적인 수용을 아직 달성하지 못했다.[31]
4. 헤이그법과 제네바법의 통합
현대 국제인도법은 헤이그 법과 제네바 법이라는 두 가지 역사적 흐름으로 구성된다.[9] 이 두 흐름은 각각 1899년과 1907년 헤이그 협약 및 제네바 협약(그중 첫 번째 협약은 1863년에 작성됨) 등 여러 국제 회의의 이름을 따온 것이다.[10]
헤이그 법은 전쟁 수행에 있어 교전 당사국의 권리와 의무를 결정하고, 피해를 입히는 수단의 선택을 제한한다.[11] 특히 전투원의 정의, 전쟁 수행의 수단과 방법에 관한 규칙, 군사 목표 문제를 다룬다.[12]
19세기에는 계몽주의 시대의 영향으로 전쟁에 대한 국가들의 견해가 변화하면서 전쟁의 야만성을 제한하려는 체계적인 시도가 시작되었다. 전쟁의 목적은 적국을 굴복시키는 것이었고, 이는 적 전투원을 무력화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었다. 따라서 전투원과 민간인의 구분, 부상병 및 포로의 인도적 대우, 항복 수용 등의 원칙은 현대 인도주의법의 기둥이 되었다.[13]
1977년 제네바 협약 추가 의정서 채택으로 두 법 체계는 수렴되기 시작했다. 국제 및 내부 갈등에서 피해자 보호에 관한 1977년 추가 의정서는 헤이그 법과 제네바 법의 여러 측면을 통합하고 중요한 인권 조항도 포함했다.[32]
현재의 실정 국제법에서는 헤이그 법과 제네바 법이 모두 인간 존중을 주목적으로 한다는 점에 주목하여, 이 둘을 합쳐 국제인도법이라고 부른다(1996년 “핵무기의 위협 또는 사용의 합법성” 국제사법재판소 권고적 의견).[64]
헤이그법은 1868년의 상트페테르부르크 선언과 1899년부터 1907년까지 네덜란드 헤이그에서 관습을 법전화한 국제조약, 즉 「개전에 관한 조약」, 「육전의 법규 관례에 관한 조약」, (이에 부속하는 「육전의 법규 관례에 관한 규칙」), 「육전의 경우에 있어서의 중립국 및 중립인의 권리 의무에 관한 조약」, 「해전의 경우에 있어서의 중립국 및 중립인의 권리 의무에 관한 조약」 등 일련의 것을 가리킨다.
제네바법은 「제네바협약(1949년)」 및 그에 부속하는 「제네바협약 추가의정서(1977년)」(「제1추가의정서」, 「제2추가의정서」) 및 2005년의 「제3추가의정서」에서 정해진 규칙의 총체이다.
무력 분쟁법에서는 조약에 규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도 시민 및 교전 단체가 「문명국 간에 확립된 관례, 인도주의 법, 공의 양심의 요구」에 유래하는 국제법의 여러 원칙 아래에 있다는 것을 확인하는 「마르텐스 조항」이 매우 중요하다.[66]
5. 국제인도법의 기본 규칙
현대 국제인도법은 크게 헤이그 법과 제네바 법의 두 가지 흐름으로 나뉜다.[9] 이들은 각각 헤이그와 제네바에서 열린 국제 회의에서 비롯되었으며, 전쟁과 분쟁에 관한 조약들을 만들어냈다.[10]
헤이그 법은 "작전 수행에 있어 교전 당사국의 권리와 의무를 결정하고 피해를 입히는 수단의 선택을 제한"하는 법이다.[11] 여기에는 전투원의 정의, 전쟁 수행 방법, 군사 목표에 대한 규칙 등이 포함된다.[12]
제네바 협약은 1864년부터 1949년까지 여러 차례에 걸쳐 발전되었으며, 무력 분쟁에서 민간인과 전투 불능 상태의 사람들을 보호하는 데 중점을 둔다.[26] 1949년에는 기존의 세 개 협약이 개정 및 대체되었고, 네 번째 협약이 추가되었다.[28]
- 제1차 제네바 협약: 현장에 있는 군대의 부상자와 환자 보호
- 제2차 제네바 협약: 해상 군대의 부상자, 환자, 난파자 보호
- 제3차 제네바 협약: 전쟁 포로 대우
- 제4차 제네바 협약: 전시 민간인 보호
이후 제네바 협약에는 세 개의 추가 의정서가 더해졌다.[30]
- 제1 의정서 (1977): 국제 무력 분쟁 피해자 보호
- 제2 의정서 (1977): 비국제적 무력 분쟁 피해자 보호
- 제3 의정서 (2005): 추가적인 식별 표장 채택
1977년 제네바 협약 추가 의정서 채택으로 헤이그 법과 제네바 법은 수렴되기 시작했다.[32]
국제인도법의 기본 규칙은 다음과 같다.[33]
- 보호 대상자: 무력 충돌 상황에서 전투 불능 상태이거나 적대 행위에 참여하지 않는 사람들은 모든 상황에서 보호받아야 한다.
- 부상자 및 질병자: 이들은 그들을 장악한 당사국에 의해 돌봄과 보호를 받아야 하며, "적십자", "적신월", "적정체" 표시는 존중되어야 한다.
- 포로: 적대 세력에 의해 포획된 보호 대상자는 폭력 행위 및 보복으로부터 보호받아야 하며, 가족과 서신을 주고받고 구호품을 받을 권리가 있다.
- 고문 및 비인도적 대우 금지: 어떠한 보호 대상자도 고문이나 잔혹하고 비인도적이거나 굴욕적인 처우 또는 형벌을 받아서는 안 된다.
- 전쟁 수행 방법 및 수단의 제한: 충돌 당사국은 전쟁 수행 방법과 수단을 무제한으로 선택할 수 없다.
- 구별: 충돌 당사국은 항상 적 전투원과 보호 대상자를 구분해야 하며, 공격은 오직 합법적인 군사 목표물에만 가해져야 한다.[34]
이러한 규칙의 예로는 적십자를 표시한 구급차나 의사를 공격하거나, 백기를 든 사람을 공격하는 것을 금지하는 것이 있다.
전쟁 법규는 다음 사항들을 다룬다.
특정 요건(예: 군복 착용, 무기 공개)을 충족하지 않고 전투에 참여하는 것은 전쟁 법규 위반이다.
로마 규정은 민간인을 대상으로 한 의도적인 공격이나, 예상되는 군사적 이점과 비교하여 과도한 민간인 피해를 야기하는 공격을 범죄로 규정한다.[40]
민간인 보호를 위한 국제인도법의 원칙은 다음과 같다.[41]
- 구별의 원칙: 민간인과 민간 시설은 군사 작전의 영향으로부터 보호되어야 한다.[42]
- 필요성과 비례성: 교전 당사자는 적을 제압하는 데 필요한 만큼의 무력만 사용해야 하며, 군사 목표물 공격 시 민간인 희생은 예상되는 군사적 이점과 비례해야 한다.[44]
- 인도적 대우: 민간인은 항상 인도적으로 대우받아야 한다.[47]
- 비차별: 포로, 민간인, 전투 불능자에 대한 처우에서 인종, 성별, 국적, 종교, 정치적 견해 등에 따른 차별은 금지된다.[49]
여성과 아동은 특별한 보호를 받는다.[53]
넓은 의미에서 국제인도법은 국제인권법과 무력분쟁법을 모두 포함한다.[64] 좁은 의미에서는 무력 분쟁 희생자 보호를 목적으로 하는 '''제네바 법'''만을 가리킨다.[65] 그러나 현재는 헤이그 법과 제네바 법을 합쳐 국제인도법이라고 부른다.[66]
무력 분쟁법에서는 마르텐스 조항이 중요하며, 이는 조약에 규정되지 않은 경우에도 문명국 간의 관례, 인도주의 법, 공공 양심에 따른 국제법 원칙이 적용됨을 확인한다.[66]
6. 국제인도법의 적용
현대 국제인도법은 헤이그 법과 제네바 법이라는 두 가지 역사적 흐름으로 구성된다.[9] 헤이그 법은 전쟁 수행에 있어 교전 당사국의 권리와 의무를 결정하고 피해를 입히는 수단의 선택을 제한한다.[11] 제네바 법은 인도주의법이라고도 불리며, 무력 충돌 상황에서 전투 불능 상태이거나 적대 행위에 참여하지 않는 보호 대상자를 보호하는 것을 주 내용으로 한다.
보호 대상자는 무력 충돌 상황에서 전투 불능 상태이거나 적대 행위에 참여하지 않는 자이며, 모든 상황에서 보호받아야 한다. 국제 무력 충돌에서 보호 대상자에서 제외되는 자는 자국 당국의 권한 하에 있는 민간인과 중립국 시민으로 적대 지역에 거주하는 자, 그리고 국적국이 적대 세력과 외교 관계를 유지하는 한 교전자와 교전 공동체 구성원이다.[33]
국제인도법은 다음과 같은 원칙들을 기반으로 적용된다.
- 구별의 원칙: 무력 충돌 당사자들은 전투원과 민간인, 군사 목표물과 민간 시설을 항상 구별해야 하며, 공격은 군사 목표물에만 가해져야 한다.[34] 민간인이 적대 행위에 직접 참여할 경우 이러한 보호를 상실한다.[42]
- 필요성과 비례성의 원칙: 교전 당사자는 적을 제압하는 데 필요한 양과 종류의 무력만을 사용할 수 있다. 군사 목표물에 대한 공격은 예상되는 직접적인 군사적 이점과 관련하여 과도한 민간인 희생을 초래해서는 안 된다.[44]
- 인도적 대우의 원칙: 민간인은 항상 인도적으로 대우받아야 한다.[47] 제네바 협약 공통 제3조는 비전투원에 대한 살해 및 신체 폭행, 인질 감금, 굴욕적이고 비하적인 대우, 정식 재판 없는 처형을 금지한다.
- 비차별 원칙: 포로, 민간인, 전투 불능자에 대한 처우에서 인종, 성별, 국적, 종교적 신념 또는 정치적 견해에 근거한 불리한 차별은 금지된다.[52]
이러한 규칙의 예로는 적십자를 표시한 구급차나 의사를 공격하거나, 백기를 든 사람이나 차량을 향해 발포하는 것을 금지하는 것이 있다. 백기는 휴전의 깃발로 간주되어 항복 의사 또는 의사소통을 원한다는 것을 나타낸다.[33]
7. 국제인도법 위반과 처벌
분쟁 중 전쟁법 위반에 대한 처벌은 보복으로서 전쟁법의 특정하고 고의적이며 제한적인 위반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전쟁법의 특정 조항을 위반하는 전투원은 "유능한 재판소"에 회부된 후에야 비로소 전쟁포로로서 부여받은 보호와 지위를 상실한다.[35] 그 시점에서 그들은 불법 전투원이 되지만, 여전히 공정하고 정규적인 재판을 받을 권리를 박탈당해서는 안 되며 인도적으로 대우받아야 한다. 왜냐하면 그들은 여전히 제4협약 제5조의 적용을 받기 때문이다.
스파이와 테러리스트는 그들을 구금하는 "권력"이 무장 분쟁 또는 전쟁 상태에 있고, 그들이 "불법 전투원"으로 판명될 때까지는 전쟁법에 의해서만 보호된다. 상황에 따라 민법 또는 군사 재판에 회부될 수 있다. 스파이는 재판 후에만 처벌받을 수 있다. 자신의 군대로 복귀한 후에 포로가 된 경우에는 전쟁포로로 취급되어야 한다.[36] 무장 분쟁 중에 포로로 잡혔지만 적대 행위에 참여하지 않은 테러 용의자는 제4협약에 따라서만 구금될 수 있으며 정규 재판을 받을 권리가 있다.[37]
분쟁이 끝난 후에는 전쟁법, 특히 잔혹 행위를 위반한 사람들은 전쟁범죄에 대해 법 절차를 통해 개별적으로 책임을 질 수 있다.
국제 인도주의법의 심각한 위반 피해자에 대한 배상은 개인과 공동체가 겪은 고통을 인정하고 그들에게 가해진 피해에 대한 일종의 구제를 제공하려고 한다. ICC와 같은 국제 재판소의 메커니즘을 통해 진화하는 법적 환경은 전쟁범죄 및 국제 인도주의법의 기타 심각한 위반 피해자에게 배상을 청구할 권리가 있다는 개념을 강화했다. 이러한 배상은 피해자가 입은 신체적, 심리적, 물질적 피해를 해결하기 위해 환원, 보상, 재활, 만족 및 재발 방지 보장 등 다양한 형태를 취할 수 있다.[38]
EU은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 제2664호(2022)에 따라 인도적 지원 노력을 더 잘 보호하기 위해 제재 정책에 상당한 변화를 주었다.[54] 여기에는 EU 제재 체제에 인도적 면제를 포함시켜 법적 장벽 없이 필요한 사람들에게 원조가 도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포함된다. 이러한 변화는 니제르와 수단에 대한 새로운 제재틀에 포괄적인 인도적 면제를 포함하고, 레바논, 미얀마, 베네수엘라와 같은 국가의 주요 인도적 상황을 포괄하도록 기존 제재 체제를 수정하는 데로 이어졌다.[55]
제네바 협약은 그 준수를 확보하기 위해 “중대한 위반 행위” 처벌을 위한 국내법(보편주의)의 정비를 조약 당사국에 의무화하고 있다. 이에 따라 각국은 국제 인도법 위반 행위를 처벌하는 국내법을 제정하고, 최근에는 유고슬라비아 분쟁과 르완다의 집단 학살에 관한 기소가 이루어지고 있다. 최근에는 “1993/1999년 벨기에법”, 소위 “벨기에 인도법”이 주목받았다(2003년 8월 독립된 법률로서는 폐지되어 형법전, 형사소송법전에 삽입).[68]
일본에서도 2004년에 보편주의를 규정한 「국제인도법의 중대한 위반 행위의 처벌에 관한 법률」(헤세이 16년 법률 제122호)이 제정되었다.[69] 국제 재판소로서는, 구 유고슬라비아 국제 형사 재판소(ICTY), 르완다 국제 형사 재판소(ICTR)가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에 따라 설치되어 상기 두 사건에 대해 각각 활동하고 있다. 보편적인 것으로서는, 1998년에 처음으로 상설의 국제적인 형사 재판소인 국제형사재판소(ICC)를 위한 「국제형사재판소에 관한 로마 규정」이 성립하여, 2003년에 동 재판소가 설치되어 현재 콩고민주공화국 사건 등에서 활동 중이다.
8. 특정 무기 사용 금지
국제인도법은 특정 무기의 사용을 금지하는 여러 조약을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협약들은 주로 분쟁이 끝난 후에도 오랫동안 사망과 부상을 초래하는 무기들 때문에 만들어졌다. 폭발하지 않은 지뢰로 인해 매년 최대 7,000명이 사망했으며, 특히 많은 소형 "소형 폭탄"을 살포하는 집속탄에서 나온 폭발하지 않은 폭탄으로 인해 많은 사람들이 사망했다. 희생자의 약 98%가 민간인이며, 밭을 갈던 농부와 이러한 폭발물을 발견한 어린이들이 흔한 피해자였다.[66]
- 특정 재래식 무기의 사용 금지 또는 제한에 관한 협약(1980): 비탐지 파편을 생성하는 무기를 금지하고, 지뢰 및 대인지뢰의 사용을 제한(하지만 제거하지는 않음)하며, 방화 무기를 사용하여 민간인을 공격하는 것을 금지하고, 섬광 레이저 무기를 금지하며, 교전 당사국이 적대 행위 종료 시 미폭발 탄약을 제거하도록 요구한다.
- 오타와 협약(1997) (대인지뢰의 사용, 비축, 생산 및 이전 금지 및 파기에 관한 협약): 모든 대인지뢰의 비축(훈련 목적으로 제한된 정도를 제외하고)과 사용을 완전히 금지한다.
- 무력 분쟁에 아동의 관여에 관한 선택 의정서(2000): 아동의 권리에 관한 협약(1989)의 수정안으로, 18세 미만의 사람을 무력 분쟁을 위해 모병하는 것을 금지한다.
- 집속탄 협약(2008): 소형 폭탄을 살포하는 폭탄의 사용을 금지하며, 이 중 상당수는 폭발하지 않고 분쟁이 끝난 후에도 오랫동안 위험한 상태로 남아 있다.
1996년 핵무기의 위협 또는 사용의 합법성에 관한 국제사법재판소 자문 의견에서 재판소는 국제인도법의 핵심 원칙이 첫째, 민간인 보호, 둘째, 전투원에게 불필요한 고통을 가하지 않는 것임을 확인했다.
9. 국제적십자위원회(ICRC)
국제적십자위원회(ICRC)는 국제 인도주의법에 명시적으로 국제적 통제 권한을 가진 유일한 기구이다. ICRC의 법적 권한은 1949년 제네바 협약 4개 조약과 ICRC 자체 규정에서 비롯된다.[24]
앙리 뒤낭(Henry Dunant)은 솔페리노 전투(Battle of Solferino)에서 부상당한 병사들을 돌봤던 제네바 사업가였다. 뒤낭은 자신이 목격한 참상을 묘사한 ''솔페리노의 기억(A Memory of Solferino)''이라는 제목의 책을 썼다. 그의 보고서는 너무나 충격적이어서 1863년 국제 적십자 위원회(International Committee of the Red Cross, ICRC)의 설립과 1864년 제네바에서의 회의 소집으로 이어졌고, 이 회의에서 전시 야전군 부상자 처우 개선을 위한 제네바 협약이 작성되었다.[24]
제네바 법은 인도주의 원칙에서 직접 영감을 받았다. 이는 분쟁에 참여하지 않는 사람들뿐만 아니라 전투 불능 상태인( hors de combat프랑스어) 군사 인원에도 관련된다. 이는 ICRC와 같은 공정한 인도주의 단체가 수행하는 보호와 인도적 지원(humanitarian assistance)에 대한 법적 근거를 제공한다.[25]
ICRC는 다음과 같은 임무를 가진다.
- 전쟁과 내부 폭력의 희생자의 생명과 존엄성을 보호하고 그들에게 지원을 제공하는 것을 유일한 인도주의적 임무로 하는, 공정하고 중립적이며 독립적인 기구
다음은 보호되어야 할 특수 표장이다.[71]
- --
- --
- --
- --
- --
- --
- --
- --
- --
- --
- --
- --
10. 성(性)과 문화
여성은 강간, 강제 매춘 및 모든 형태의 추행으로부터 보호받아야 한다. 18세 미만의 아동은 적대 행위에 참여할 수 없으며, 건강과 안전에 대한 절박한 위협으로 인해 일시적인 경우를 제외하고는 자국 이외의 국가가 해외로 이송할 수 없으며, 고아이거나 가족과 헤어진 경우에는 보호받고 교육을 받아야 한다.[53]
국제인도법(IHL)은 제네바 협약 및 추가 의정서의 다양한 조항에서 형식적 평등 및 차별금지 개념을 강조한다. 보호는 "성별을 근거로 한 어떠한 불리한 차별 없이" 제공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자 포로의 경우, 여성은 "남성에게 부여된 것만큼 유리한" 대우를 받아야 한다.[56] 형식적 평등에 대한 주장 외에도, IHL은 여성에게 특별한 보호를 의무화하여, 여자 포로에게 남성과 분리된 숙소를 제공하고,[57] 여성에 대한 성폭력을 금지한다.[58]
분쟁에서 여성과 남성의 삶의 경험 현실은 IHL의 성별적 한계를 부각시켰다. 페미니스트 비평가들은 IHL이 남성 전투원에 초점을 맞추고 여성을 피해자로 격하시키고, 여성에게 거의 전적으로 자녀 양육자로서의 정당성만 부여하는 것을 비판해왔다. 제네바협약과 추가의정서 내 여성과 관련된 42개 조항에 대한 연구에 따르면, 거의 절반이 임신 중이거나 수유 중인 여성을 다룬다는 것을 발견했다.[59] 다른 이들은 분쟁 중 남성에 대한 성폭력 문제가 아직 충분한 관심을 받지 못했다고 주장한다.[60]
무력 분쟁 중 여성 보호를 보완하기 위해 연성법(soft-law) 문서가 활용되었다.
-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 1888호 및 1889호 (2009): 무력 분쟁에서 여성과 아동을 성폭력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목표를 가짐.
- 결의 1325호: 분쟁 후 평화구축에 여성의 참여를 개선하기 위한 목표를 가짐.
특히 유엔 모든 형태의 차별 철폐에 관한 여성에 대한 협약(CEDAW)과 같은 다른 법적 메커니즘과 함께 읽으면 IHL의 해석과 이행을 강화할 수 있다.
또한, 전 유고슬라비아 국제형사재판소, 르완다 국제형사재판소와 같은 국제형사재판소와 시에라리온 특별법정 같은 혼합재판소는 분쟁 중 성폭력과 강간의 정의 범위를 확장하는 데 기여했다. 이들은 무력 분쟁 중에 저질러진 성적 및 성별에 기반한 범죄를 효과적으로 기소했다. 이제 성별에 기반한 범죄에 대한 잘 확립된 판례가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국제인도법 내에서 성별에 대한 구성을 더욱 발전시킬 필요성이 시급하다.[61]
국제인도법(IHL)은 국제인권법과 달리 "문화 상대주의"에 대한 동일한 논쟁과 비판을 받지 않았다. 제네바 협약 및 추가 의정서에서 국제인도법이 현대적으로 성문화된 것은 비교적 최근이고 명칭상으로는 유럽 중심이지만, 핵심 개념은 새롭지 않으며, 전쟁과 관련된 법은 모든 문화권에서 발견할 수 있다. 실제로 비서구권 참가자들은 1907년 제2차 헤이그 평화회의 때부터 이 법 분야의 국제적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해 왔으며, 그 이후로도 계속해서 기여하고 있다.[62]
예를 들어, 국제적십자위원회(ICRC)의 중동, 소말리아, 라틴 아메리카 및 태평양 지역 연구는 다양한 문화권에서 현대 국제인도법에 앞서 존재했지만, 일반적으로 현대 국제인도법과 일치하는 전통적이고 오랜 관행이 존재함을 밝혔다. 국제인도법에 부합하는 지역 및 문화적 관행을 존중하는 것은 중요하다. 이러한 연관성과 지역 관행에 의존하면 지역 집단과 공동체 간의 국제인도법 원칙에 대한 인식 제고 및 준수를 촉진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더럼은 전통적 관행과 국제인도법 규범이 대체로 양립 가능하지만, 완벽한 일치를 가정해서는 안 된다고 주의한다. 법적 규범과 문화적 관행이 충돌하는 영역이 있다. 예를 들어 여성에 대한 폭력은 종종 문화적 논리로 정당화되지만, 국제인도법 및 기타 국제법에서는 금지되어 있다. 이러한 경우 국제인도법이 부정적인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참조
[1]
서적
The law of armed conflict : an operational approach
Wolters Kluwer Law & Business
2012
[2]
서적
Law of Armed Conflict Deskbook
https://web.archive.[...]
The United States Army Judge Advocate General's Legal Center and School
2019-07-18
[3]
웹사이트
Topic Guide Archive
https://web.archive.[...]
2019-08-27
[4]
웹사이트
What is international humanitarian law?
https://web.archive.[...]
2007-03-20
[5]
학술지
Towards a Single Definition of Armed Conflict in International Humanitarian Law
https://commons.alla[...]
2003-06-30
[6]
서적
International Humanitarian Law and International Human Rights Law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11
[7]
학술지
What is the difference between IHL and human rights law?
https://www.icrc.org[...]
ICRC
2015-10-30
[8]
웹사이트
IHL and human rights law
https://www.icrc.org[...]
ICRC
2016-06-27
[9]
서적
Humanitarian law and the protection of war victims
Sijthoff
[10]
웹사이트
Brief Primer on IHL
https://web.archive.[...]
The Program for Humanitarian Policy and Conflict Research at Harvard University
2010-04-19
[11]
서적
Development and Principles of International Law
https://books.google[...]
Martinus Nijhoff
2016-11-11
[12]
서적
Constraints on the waging of war: An introduction to international humanitarian law
http://www.icrc.org/[...]
ICRC
2001-03
[13]
서적
The Handbook of Humanitarian Law in Armed Conflicts
Oxford University Press
[14]
서적
Encyclopedia of Public International Law
[15]
서적
On the Law of War and Peace
http://www.constitut[...]
[16]
서적
Encyclopedia of Public International Law
North-Holland
[17]
웹사이트
II Kings 6:21-23
http://ebible.com/bi[...]
[18]
웹사이트
The Laws of Manu
http://www.sacred-te[...]
[19]
서적
Studies and Essays on International Humanitarian Law and Red Cross Principles
Kluwer Law International
[20]
서적
War And Peace in the Law of Islam
Lawbook Exchange
[21]
서적
Islamic political ethics: civil society, pluralism, and conflict
https://archive.org/[...]
Princeton University Press
[22]
서적
International Humanitarian Law
Ashgate
[23]
서적
Islamic Law and International Humanitarian Law
Faculty of Islamic Studies, University in Sarajevo, International Committee of the Red Cross
[24]
서적
The Handbook of Humanitarian Law in Armed Conflicts
Oxford University Press USA
[25]
서적
Development and Principles of International Humanitarian Law
https://books.google[...]
Martinus Nijhoff
1985-09-30
[26]
학술지
The Geneva Conventions of 1949 and their Additional Protocols
https://www.icrc.org[...]
ICRC
2016-03-08
[27]
웹사이트
Convention for the Amelioration of the Condition of the Wounded and Sick in Armies in the Field. Geneva, 6 July 1906
http://www.icrc.org/[...]
International Committee of the Red Cross
[28]
웹사이트
1949 Geneva Convention (I) for the Amelioration of the Condition of the Wounded and Sick in Armed Forces in the Field
https://web.archive.[...]
[29]
서적
The International Committee of the Red Cross: A Neutral Humanitarian Actor
Routledge
2007-06-17
[30]
서적
The Handbook of Humanitarian Law in Armed Conflicts
Oxford University Press
[31]
웹사이트
{title}
http://www.gsdrc.org[...]
[32]
웹사이트
Kalshoven+Zegveld (2001) p. 34.
http://www.icrc.org/[...]
[33]
웹사이트
The Practical Guide to Humanitarian Law: Protected Persons
https://guide-humani[...]
Médecins Sans Frontières
[34]
서적
Basic rules of the Geneva Conventions and their Additional Protocols
http://www.icrc.org/[...]
ICRC
[35]
법률
GC III Art 5
[36]
웹사이트
Articles 30 and 31
http://www.icrc.org/[...]
[37]
웹사이트
Foreign Press Centers
https://www.state.go[...]
2019-08-27
[38]
웹사이트
Reparation for victims of serious violations of international humanitarian law: New developments
http://international[...]
2024-03-31
[39]
법률
AP I, Art 50(1)
[40]
웹사이트
Cited in an article in The Guardian newspaper
https://www.theguard[...]
2014-07-20
[41]
웹사이트
Overview of international humanitarian law
https://gsdrc.org/to[...]
2013-01-01 # Assuming January for the month
[42]
법률
AP I, Arts 48, 51-52, 57; AP II, 13-16
[43]
간행물
ICRC, 2005b, vol 1
[44]
법률
AP I, Arts 35, 51(5)
[45]
법률
AP 1, Arts 57, 58
[46]
간행물
ICRC, 2005b, vol. 1
[47]
법률
GCIV, Art 27
[48]
법률
API, Art 75(1)
[49]
법률
GCIII, Art 16
[50]
법률
GCIV, Art 13, common Article 3
[51]
법률
Common Article 3
[52]
법률
Common article 3, GCIV, Art 27
[53]
법률
GCIV, Arts 24, 27; API, Arts 76-78; APII, Art 4(3)
[54]
R
General issues relating to sanctions
2022-12-09
[55]
보도자료
Humanitarian action: EU introduces further exception to sanctions
https://www.consiliu[...]
2024-02-19
[56]
법률
GCIII, Arts 14, 16
[57]
법률
GCIII, Art 25
[58]
법률
GCIV, Art27; API, Art 76(2); APII, Art 4(2)
[59]
간행물
Gardam and Jarvis, cited in Durham and O'Bryne, 2010
[60]
간행물
Lewis, cited in Durham and O'Bryne, 2010
[61]
간행물
See Barrow, 2010
[62]
논문
China's participation in the second Hague conference and the concept of equal sovereignty in international law
[63]
웹사이트
国際人道法のいろは 国際赤十字委員会
https://jp.icrc.org/[...]
2023-12-13
[64]
서적
国際人道法
鹿島出版会
[65]
서적
同上
[66]
서적
The Humanization of International Law
Martinus Nijhoff
[67]
서적
マルテンス条項―百年の軌跡
東信堂
[68]
서적
L'expérience belge de la compétence universelle
[69]
논문
ジュネーブ諸条約及び第一・第二追加議定書に関する日本の国内法制
[70]
서적
国際人道法
有信堂
[71]
웹사이트
ジュネーヴ諸条約及び追加議定書
https://www.mofa.go.[...]
外務省
2022-04-0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