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글리세롤 3-인산 셔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글리세롤 3-인산 셔틀은 세포질에서 생성된 NADH를 미토콘드리아로 전달하여 산화적 인산화를 통해 ATP를 생성하는 데 기여하는 대사 경로이다. 1950년대에 검정파리의 비행 근육에서 처음 발견되었으며, 이후 포유류의 갈색 지방 조직과 췌장 베타 세포에서도 확인되었다. 이 셔틀은 세포질과 미토콘드리아의 두 가지 효소 반응으로 구성되며, NADH를 NAD+로 산화시키고 다이하이드록시아세톤 인산을 글리세롤 3-인산으로 환원시키는 세포질 반응과, 글리세롤 3-인산을 다이하이드록시아세톤 인산으로 다시 전환하며 FADH2를 생성하는 미토콘드리아 반응을 포함한다. 글리세롤 3-인산 셔틀은 다양한 생물체에서 발견되며, 포유류에서는 말산-아스파르트산 셔틀이 주요 경로로 사용되는 반면, 글리세롤 3-인산 셔틀은 특정 세포에서 기능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세포 호흡 - 유비퀴논
    유비퀴논(CoQ10)은 미토콘드리아 전자 전달계의 주요 구성 요소인 지용성 유기 화합물로, 세포 호흡과 에너지 생산에 필수적이며 항산화 작용을 통해 세포를 보호하고 면역 반응에도 관여한다.
  • 세포 호흡 - 광합성
    광합성은 생물이 빛에너지를 이용하여 이산화탄소와 물로부터 유기물을 합성하고 산소를 방출하는 과정으로, 엽록체 내 틸라코이드 막에서 일어나는 명반응과 스트로마에서 일어나는 암반응으로 구성되며, 환경에 따라 탄소 농축 메커니즘을 통해 효율을 높이기도 하고, 지구 대기의 산소를 생성하는 주요 원천이다.
글리세롤 3-인산 셔틀
일반 정보
명칭글리세롤 3-인산 셔틀
다른 이름글리세롤 인산 셔틀
디하이드록시아세톤 인산 셔틀
말산-아스파르트산 셔틀
생화학적 기능
기능세포질 NADH의 미토콘드리아 내 산화
위치세포질과 미토콘드리아
관여 효소세포질 글리세롤-3-인산 탈수소효소 (GPD1)
미토콘드리아 글리세롤-3-인산 탈수소효소 (GPD2)
관여 분자NADH
NAD+
디하이드록시아세톤 인산 (DHAP)
글리세롤-3-인산 (G3P)
FAD
FADH2
상세 기전
단계 1세포질에서 세포질 글리세롤-3-인산 탈수소효소 (GPD1)에 의해 디하이드록시아세톤 인산 (DHAP)이 글리세롤-3-인산 (G3P)으로 환원되며, NADH가 NAD+로 산화됨.
단계 2글리세롤-3-인산 (G3P)은 미토콘드리아 외막을 통과하여 미토콘드리아 막 사이 공간으로 이동함.
단계 3미토콘드리아 막 사이 공간에서 미토콘드리아 글리세롤-3-인산 탈수소효소 (GPD2)에 의해 글리세롤-3-인산 (G3P)이 디하이드록시아세톤 인산 (DHAP)으로 산화되며, FAD가 FADH2로 환원됨. FADH2는 전자전달계를 통해 산화적 인산화에 기여함.
단계 4디하이드록시아세톤 인산 (DHAP)은 미토콘드리아 외막을 통과하여 다시 세포질로 이동함.
관련 질병
관련 질병갑상선 기능 항진증
관련 유전자
관련 유전자GPD1 (세포질 글리세롤-3-인산 탈수소효소)
GPD2 (미토콘드리아 글리세롤-3-인산 탈수소효소)

2. 역사

글리세롤 인산 셔틀은 처음에는 검정파리의 비행 근육에서 미토콘드리아 수소화물 수송의 주요 경로로 특징지어졌다.[5][6] 처음에는 젖산 탈수소 효소 활성이 글리세롤-3-인산 탈수소 효소 1(GPD1)보다 우세하기 때문에 포유류에서는 이 시스템이 비활성일 것으로 생각되었다.[5][7] 그러나 포유류의 갈색 지방 조직과 췌장 ß-섬에서 높은 GPD1 및 GPD2 활성이 입증되었다.[8][9][10][11]

1956년부터 1959년까지 마르부르크 대학교의 에른스트 체베 등이 메뚜기를 사용하여[19][20], 또한 펜실베이니아 대학교(당시)의 버트람 색터 등이 집파리를 사용하여[21] 각각 독립적으로 비행 근육에 2개의 글리세롤-3-인산 탈수소 효소로 구성된 셔틀계가 존재한다는 것을 제안했다. 1975년에는 햄스터의 갈색 지방 조직에도 존재한다는 것이 밝혀져 포유류에서도 생리학적 중요성을 가진다고 생각하게 되었다.[22]

3. 반응 기작

글리세롤 3-인산 셔틀은 세포질과 미토콘드리아에서 일어나는 두 가지 효소 반응으로 구성된다. 세포질에서는 NADH가 NAD+로 산화되면서 다이하이드록시아세톤 인산글리세롤 3-인산으로 환원된다. 글리세롤 3-인산은 미토콘드리아 외막의 포린을 통과하여 미토콘드리아 막 사이 공간으로 들어간다. 미토콘드리아 내막에 있는 효소는 글리세롤 3-인산을 다시 다이하이드록시아세톤 인산으로 산화시키는데, 이때 FAD가 FADH2로 환원된다. FADH2는 조효소 Q를 환원시키고, 전자는 전자 전달계로 들어가 산화적 인산화에 사용된다.

글리세롤 3-인산 셔틀은 NAD+/NADH를 조효소로 사용하여 전자를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해당과정과 같은 세포질의 이화 작용에서 생성된 NADH는 미토콘드리아 내막을 투과할 수 없으므로, 셔틀을 통해 전자를 미토콘드리아로 전달하여 NAD+를 재생하고 대사를 지속시킨다.

포유류에서는 주로 말산-아스파르트산 셔틀이 이 기능을 수행하며, 글리세롤 3-인산 셔틀은 특정 세포에서만 주로 작동한다.

3. 1. 세포질 반응

세포질의 글리세롤 3-인산 탈수소효소 1 (GPDH-C)은 NADH를 NAD+로 산화시키면서 다이하이드록시아세톤 인산글리세롤 3-인산으로 환원시킨다.[24]

다이하이드록시아세톤 인산의 글리세롤 3-인산으로의 전환

3. 2. 미토콘드리아 반응

글리세롤 3-인산은 미토콘드리아 내막에 존재하는 글리세롤 3-인산 탈수소효소 2 (GPDH-M)에 의해 다시 다이하이드록시아세톤 인산으로 전환되며, 이 과정에서 효소에 결합된 FAD가 FADH2로 환원된다. FADH2는 조효소 Q(유비퀴논유비퀴놀로)를 환원시키고, 이 전자는 산화적 인산화 과정에 참여한다.[24] 이 반응은 비가역적이다.[23] 글리세롤 3-인산 셔틀에서 전자는 전자 전달계의 복합체 I을 우회하므로, 복합체 I에 의한 NADH 산화에 비해 에너지 효율이 떨어진다.[14]

4. 기능

글리세롤 3-인산 셔틀은 해당과정에 의해 세포질에서 생성된 NADH를 미토콘드리아산화적 인산화 과정으로 전달하여 ATP를 생성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24] 이 셔틀은 동물, 균류, 식물에서 발견된다.[23]

이 셔틀에서, 시토플라스마 글리세롤 3-인산 탈수소 효소 1(GPD1 또는 cGPD)은 NADH를 NAD+로 산화시키면서 다이하이드록시아세톤 인산(2)을 글리세롤 3-인산(1)으로 전환시킨다. 글리세롤 3-인산은 미토콘드리아 내막에 결합된 글리세롤 3-인산 탈수소 효소 2(GPD2 또는 mGPD)에 의해 다시 다이하이드록시아세톤 인산으로 전환되는데, 이 과정에서 FAD가 FADH2로 환원된다. FADH2는 조효소 Q(유비퀴논을 유비퀴놀로)를 환원시키고, 이 전자는 산화적 인산화에 들어간다.[12] 이 반응은 비가역적이다.[13] 이러한 전자는 전자 전달계의 복합체 I을 우회하므로, 글리세롤 3-인산 셔틀은 복합체 I에 의한 NADH 산화에 비해 에너지 효율이 떨어진다.[14]

포유류에서는 갈색 지방 조직과 췌장 ß-섬에서 높은 GPD1 및 GPD2 활성이 입증되었다.[8][9][10][11]

4. 1. 다른 셔틀 기작과의 비교

NAD+/NADH는 세포 내 다양한 대사계에서 산화 환원 효소조효소가 되어, 어떤 반응에서 다른 반응으로 전자를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이화 작용은 크게 보면 산화 반응이며, 이에 따라 산화형 NAD+가 환원형 NADH로 변하므로, 대사를 지속하기 위해서는 NADH를 재산화할 필요가 있다. 산소 호흡을 할 수 없는 조건에서는, 예를 들어 젖산 발효에 의해 NAD+를 재생한다. 진핵생물이 호기적 조건에 있는 경우, 일반적으로 미토콘드리아의 전자 전달계가 분자상 산소를 사용하여 NADH를 산화하고, 그 환원력을 효과적으로 이용하여 ATP 합성을 수행한다. 그러나 NADH는 미토콘드리아 내막을 투과할 수 없으므로, 세포질에서 생성된 NADH를 효율적으로 재산화하기 위한 메커니즘이 필요하다.[24]

글리세롤 3-인산 셔틀은 이러한 메커니즘 중 하나이다. 포유류에서는 일반적으로 말산-아스파르트산 셔틀이 주로 기능하며, 글리세롤 3-인산 셔틀은 특정 세포에서만 기능한다. 식물에서는 말산-아스파르트산 셔틀 외에도 말산-옥살아세트산 셔틀이 알려져 있다. 또한 진균류와 식물 등에는, 세포질 측의 NADH를 직접 호흡 사슬에서 산화하는 2형 NADH 탈수소효소가 존재한다.

5. 생리적 의의

글리세롤 인산 셔틀은 처음에는 검정파리의 비행 근육에서 미토콘드리아 수소화물 수송의 주요 경로로 특징지어졌다.[5][6] 처음에는 젖산 탈수소효소 활성이 글리세롤-3-인산 탈수소효소 1(GPD1)보다 우세하기 때문에 포유류에서는 이 시스템이 비활성일 것으로 생각되었다.[5][7] 그러나 포유류의 갈색 지방 조직과 췌장ß-섬에서 높은 GPD1 및 GPD2 활성이 입증되었다.[8][9][10][11]

참조

[1] 간행물 Chapter 9 - Biological Oxidations: Bioenergetics https://www.scienced[...] Academic Press 2023-05-14
[2] 간행물 CHAPTER 14 - Electron Transport and Oxidative Phosphorylation https://www.scienced[...] Academic Press 2023-05-14
[3] 웹사이트 GPD1 glycerol-3-phosphate dehydrogenase 1 [Homo sapiens (human)] – Gene – NCBI https://www.ncbi.nlm[...] 2021-05-03
[4] 웹사이트 GPD2 glycerol-3-phosphate dehydrogenase 2 [Homo sapiens (human)] – Gene – NCBI https://www.ncbi.nlm[...] 2021-05-03
[5] 논문 alpha-Glycerophosphate oxidase of flight muscle mitochondria 1958-10
[6] 논문 Pathways of hydrogen transport in the oxidation of extramitochondrial reduced diphosphopyridine nucleotide in flight muscle 1962-10
[7] 논문 Low levels of soluble DPN-linked alpha glycerophosphate dehydrogenase in tumors 1960-01
[8] 논문 Unusually high mitochondrial alpha glycerophosphate dehydrogenase activity in rat brown adipose tissue 1969-05
[9] 논문 Glycerol-3-phosphate shuttle and its function in intermediate metabolism of hamster brown-adipose tissue 1975
[10] 논문 The role of mRNA levels and cellular localization in controlling sn-glycerol-3-phosphate dehydrogenase expression in tissues of the mouse 1981-04
[11] 논문 Sequence and tissue-dependent RNA expression of mouse FAD-linked glycerol-3-phosphate dehydrogenase 1996-12
[12] 서적 Biochemistry http://bcs.whfreeman[...] W. H. Freeman
[13] 논문 Involvement of a glycerol-3-phosphate dehydrogenase in modulating the NADH/NAD+ ratio provides evidence of a mitochondrial glycerol-3-phosphate shuttle in Arabidopsis 2006-02
[14] 논문 The function and the role of the mitochondrial glycerol-3-phosphate dehydrogenase in mammalian tissues 2013-03-01
[15] 논문 The function and the role of the mitochondrial glycerol-3-phosphate dehydrogenase in mammalian tissues
[16] 논문 Organization and regulation of the cytosolic NADH metabolism in the yeast Saccharomyces cerevisiae
[17] 논문 Involvement of a glycerol-3-phosphate dehydrogenase in modulating the NADH/NAD+ ratio provides evidence of a mitochondrial glycerol-3-phosphate shuttle in Arabidopsis
[18] 논문 The mitochondrial FAD-dependent glycerol-3-phosphate dehydrogenase of Trypanosomatidae and the glycosomal redox balance of insect stages of Trypanosoma brucei and Leishmania spp.
[19] 간행물 Glycerophosphatdehydrogenase unter zellphysiologischen Aspekten
[20] 논문 Über den Glycerin-1-P-Cyclus im Flugmuskel von Locusta migratoria
[21] 논문 α-Glycerophosphate oxidase of flight muscle mitochondria
[22] 논문 Gylcerol-3-phosphate shuttle and its function in intermediary metabolism of hamster brown-adipose tissue
[23] 논문 Involvement of a glycerol-3-phosphate dehydrogenase in modulating the NADH/NAD+ ratio provides evidence of a mitochondrial glycerol-3-phosphate shuttle in Arabidopsis 2006-02
[24] 서적 Biochemistry http://bcs.whfreeman[...] W. H. Freeman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