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독교 악마학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기독교 악마학은 기독교 전통 내에서 악마의 존재와 특성을 연구하는 학문 분야이다. 기독교 외 다른 종교의 신들을 악마로 해석하거나, 악마의 기원, 특성, 모습, 악마 빙의, 상징 등에 대한 다양한 견해를 포함한다. 초기 기독교 시대부터 유대교의 악마학을 바탕으로 발전해 왔으며, 중세 시대에는 악마의 계층 구조와 수에 대한 다양한 주장이 제기되었다. 악마는 타락한 천사로 묘사되며, 인간을 유혹하여 죄를 짓게 하고, 악마 빙의를 통해 사람에게 고통을 주는 존재로 여겨진다. 악마를 상징하는 숫자 666, 거꾸로 된 오각별, 거꾸로 된 십자가 등이 있으며, 악마학 관련 문헌으로는 《신학 대전》, 《마녀 잡는 망치》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악마학 - 아르스 게티아
아르스 게티아는 《솔로몬의 작은 열쇠》의 첫 번째 책으로, 악마를 소환하고 제어하는 방법과 72명의 악마 목록, 능력, 소환 의식을 담고 있으며, 마법적 전통과 솔로몬 왕 전설에 기반하여 현대 의례 마법, 오컬트, 서구 신비주의에 영향을 주었다. - 악마학 - 교실 이데아 소동
교실 이데아 소동은 1994년 서태지와 아이들의 노래 "교실 이데아"를 역재생했을 때 악마의 메시지가 들린다는 소문으로 인해 발생한 논란으로, 언론 보도와 함께 백워드 마스킹 논란, 음모론 등 사회적 파장을 일으켰다. - 기독교의 악마 - 아르테미스
아르테미스는 그리스 신화에 등장하는 사냥, 야생, 순결, 달, 출산의 여신이며, 아폴론의 쌍둥이 자매로 님프들과 함께 사냥을 즐겼고, 고대 그리스 전역에서 숭배되었으며, 예술 작품에서는 사냥개, 사슴, 활과 화살을 든 모습으로 묘사된다. - 기독교의 악마 - 사탄
사탄은 원래 "적대자"를 뜻하는 히브리어 단어였으나, 기독교, 유대교, 이슬람교 등에서 악마, 유혹자, 또는 인간 내면의 부정적인 면모를 상징하는 존재로 다양하게 해석되며 문화 예술 분야에서도 악의 상징으로 묘사된다.
| 기독교 악마학 | |
|---|---|
| 기독교 악마학 | |
![]() | |
| 하위 분류 | 기독교 신학 |
| 연구 | 악마학 |
| 관련 주제 | 기독교 악마 천사 구마 사탄 |
| 주요 인물 | |
| 신학자 | 아우구스티누스 토마스 아퀴나스 마르틴 루터 존 칼빈 |
| 악마학자 | 피터 빈스펠드 미카엘 프셀루스 람베르토 그레나타 |
| 성경 | |
| 구약 성경 | 이사야서 욥기 시편 다니엘서 |
| 신약 성경 | 마태복음 마가복음 누가복음 요한복음 사도행전 로마서 고린토전서 고린토후서 갈라디아서 에베소서 빌립보서 골로새서 데살로니가전서 데살로니가후서 디모데전서 디모데후서 디도서 베드로전서 요한1서 요한계시록 |
| 교리 및 신학 | |
| 주요 개념 | 죄 유혹 구원 지옥 영적 전쟁 |
| 악마의 역할 | 인간을 유혹하여 죄를 짓게 함 하나님의 계획을 방해함 세상에 악을 퍼뜨림 |
| 기독교인의 대응 | 기도와 금식 성경 말씀 묵상 성령의 인도 따름 악에 저항 |
| 영향 | |
| 예술 | 회화 문학 음악 영화 |
| 문화 | 구마 의식 미신 공포 |
| 기타 | |
| 관련 용어 | 귀신 악령 사탄숭배 오컬트 |
2. 역사
일부 기독교 전통에서는 다른 종교의 신들을 악마로 해석하거나, 악마의 개념을 만들어내기도 했다.[26] 바울로는 고린도전서 10장에서 우상 숭배와 관련된 헌주를 금지하며 이러한 관점을 명확히 했다. 초기 기독교에서부터 악마학은 악마의 존재를 단순히 인정하는 것을 넘어, 유대 악마학과 기독교 경전에서 유래한 개념들을 바탕으로 복잡한 연구로 발전해 왔다.[27][28] 많은 기독교 교파들이 악마의 존재를 인정하고 논의하지만,[27][28] 특히 로마 가톨릭 교회에서 악마학을 심도 있게 연구해왔다.[29]
알베르투스 마그누스는 악마학에 대해 "악마에게 가르침 받고, 악마에 관해 가르치고, 악마로 이끈다"라고 표현했다.[30] 가톨릭 백과사전은 이 주제에 대한 많은 잘못된 믿음과 가르침을 언급하며, 악마학이 "A daemonibus docetur, de daemonibus docet, et ad daemones ducitla" (악마에게 가르침을 받으며, 악마에 대해 가르치고, 악마에게로 이끈다)라고 경고했다.[6]
2. 1. 기원
일부 기독교 전통에서 다른 종교의 신들은 악마로 해석되거나 창조된다.[26] 초기 기독교 이후, 악마학은 악마의 존재에 대한 단순한 수용에서 유대 악마학과 기독교 경전에서 가져온 발상에서 자란 복잡한 연구로 발전해 왔다.[27][28]에녹서(현재 에리트리아와 에티오피아 정교회에서만 정경이지만 초기 교회 교부들이 언급한)에 따르면, 네피림의 육체를 벗어난 영이 악귀이다. 에녹서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그리고 지금, 영혼과 육체로 태어난 거인들은 지상에서 악령이라 불리고 그들의 처소는 지상에 있다. 악령은 그들의 몸에서 나온 것이다. 그들은 인간으로부터 창조되고 그들의 최초의 기원과 무대는 거룩한 천사 즉 하늘에서 쫓겨난 천사들이므로 지상에서는 악령이며 또 그렇게 불리는 것이다. 하늘의 영혼은 그 처소가 하늘에 있고 지상에서 태어난 땅의 영혼은 지상에 거주지가 있다. 거인들의 영혼은 괴롭히고 폭력을 휘두르며 부정하고 타락하여 또 싸움을 일으키고 싸우고 지상에서 파괴되며 문제를 야기하고 아무것도 먹지 못해서 굶주리며 목이 말라 심한 갈등을 느끼게 되어 위태롭게 된다. 이런 악령들은 인간의 아들들과 여자들에게 쳐들어온다. 그것은 그들이 그들로부터 태어났기 때문이다. 살육과 타락의 날 또 영혼들이 그 몸에서 생겨 거인들이 죽는 날 그들의 육체는 심판도 받지 않고 부정한 몸을 맡길 것이다. 그렇게 하여 큰 세계와 쫓겨난 천사와 불결한 자들에 대하여 대심판이 행하여지는 날까지 스스로 타락한 생활에 빠질 것이다."[1]
2. 2. 중세
4세기 니사의 그레고리우스는 남성과 여성 악마가 존재한다고 믿었으며, 다른 악마와 인간 여성 사이에서 악마가 태어난다는 생각을 지지했다.[1] 다른 학자들은 악마가 번식할 수 없으며 그 수가 일정하다고 주장했다.[1]1467년 알폰소 드 스피나는 악마의 수가 133,316,666이라고 주장했다.[2] 천사의 3분의 1이 악마로 변했다는 생각은 요한 계시록 12:3-9의 주석에서 비롯된 것으로 보인다.[2]
요한 바이어는 그의 저서 《악마의 거짓왕국》(1583)에서 복잡한 계층 구조와 계산을 통해 악마의 수를 4,439,622로 추산했다.[3] 그는 666개의 군단이 있고, 각 군단은 6,666명의 악마로 구성되며, 66명의 지옥 공작, 왕자, 왕 등이 통치한다고 주장했다.[3] 《솔로몬 왕의 소열쇠》(17세기)는 《악마의 거짓왕국》의 군단 구분을 차용했지만, 더 많은 악마와 군단을 추가했다.[3] 스피나와 바이어는 모두 666과 하나 이상의 6으로 구성된 숫자를 사용하여 악마의 수를 계산했다.[3]
3. 악마의 특성
기독교 전통에서 악마는 타락천사이며[7], 선한 천사와 마찬가지로 영성, 불변성, 불멸성을 가진다. 악마는 전지하지 않지만, 각각 특정한 지식(때로는 하나 이상의 주제에 대한)을 가지고 있다. 악마의 힘은 하느님이 허락하는 범위로 제한되어 전능하지 않다. 편재에 대한 언급은 없으므로, 악마가 동시에 여러 장소에 있을 수 있는지는 확실하지 않지만, 중세 마녀들의 안식일 전통에 따르면 악마가 동시에 여러 장소에 있거나,[8] 자신의 이름으로 사자를 보낸다는[9] 두 가지 결론을 내릴 수 있다.
3. 1. 악마의 임무
기독교 악마학에 따르면 악령의 사명은 종종 하느님에 대한 믿음을 시험함으로써 사람들이 죄를 짓게 유도하는 것이라고 한다.[33] 악마는 사람들을 유혹하여 신앙을 버리고, 이단이나 배교를 저지르게 하거나, 이교도를 유지하거나 우상 숭배를 하도록 유도한다. (에베소서 6:12)또한 악마는 사람들의 삶이나 빙의를 통해 고통을 주거나 (마태오 17:15-16), 사람들에게 자신을 보여 주거나, 사람들이 죄를 짓거나 두려워하게 할 수 있는 환상을 자극함으로써 사람들을 괴롭히는 것으로 여겨진다.
루카의 복음서에는 악령이 "물 없는 광야"를 걷고, 휴식을 취하지 않으며 이전 집으로 돌아간다는 내용이 있다.
> "더러운 악령이 어떤 사람 안에 들어 있다가 거기서 나오면 물 없는 광야에서 쉼터를 찾아 헤맨다. 그러다가 찾지 못하면 '전에 있던 집으로 되돌아가야지.' 하면서 돌아간다. 그리고 그 집이 말끔히 치워지고 잘 정돈되어 있는 것을 보고는 다시 나와 자기보다 더 흉악한 악령 일곱을 데리고 들어가 자리잡고 살게 된다. 그러면 그 사람의 형편은 처음보다 더 비참하게 된다." (루카 11:24–26)(공동번역성서)

4. 악마의 모습
악마는 고린토후서 11장 14절에 언급된 것처럼, 원하는 모습을 가질 수 있으며 심지어 "빛의 천사"로도 변신할 수 있다.[13]
>그런 자들은 거짓 사도이며 사람을 속여먹는 일꾼이며 그리스도의 사도로 가장하는 자들입니다. 그러나 그것은 조금도 놀라운 일이 아닙니다. 사탄도 빛의 천사의 탈을 쓰고 나타나지 않습니까? 이렇게 사탄의 일꾼들이 정의의 일꾼으로 가장하고 나선다 해도 조금도 놀라울 것이 없습니다. 그들의 행실에 따라 그들의 최후가 결정될 것입니다.
>:—고린토후서 11:13–15
그럼에도 불구하고, 기독교 악마학자들은 일반적으로 악마를 추하고 괴물 같은 존재로 묘사했다. 이러한 묘사는 루카 시뇨렐리, 히에로니무스 보스, 프란시스코 고야와 같은 유명한 화가들과 지옥 사전의 그림을 그린 예술가들에게 영감을 주었다. 특히 악마는 뱀, 염소, 용을 포함한 다양한 동물로 널리 알려져 있다.
현대에는 악마의 색상이 빨간색으로 여겨지지만, 제프리 초서와 같은 시인은 녹색과 악마를 관련시켰다.[34]
5. 악마의 성
악마는 일반적으로 육체가 없기 때문에 무성으로 여겨지지만, 다른 종류의 악마들은 한쪽 성별과 연관된다. 많은 신학자들은 악마가 먼저 남성으로부터 정액을 모으기 위해 서큐버스로 활동하고, 그 다음 인큐버스로 활동하여 여성의 질에 정액을 넣는다고 동의했다.[20]
알베르투스 마그누스와 토마스 아퀴나스는 악마와 천사의 계층이 하나님에 의해 동일한 비물질적 실체로 창조되었다고 썼다. 그들은 육체가 없기 때문에 성적 정체성이 없고 인간이나 다른 천사를 낳을 수 없다. 이러한 무형성은 수세기 동안 영원하고 변하지 않는 그들의 본성과 관련이 있다.
울리히 몰리토르와 니콜라스 레미는 여성이 악마에 의해 임신될 수 있는지에 대해 의견이 달랐다. 레미는 여성이 남자가 아닌 다른 존재에 의해 결실을 맺을 수 없다고 생각했다. 하인리히 크라머 (''마녀의 망치''의 저자)는 중간 입장을 취했다. 그는 악마가 먼저 서큐버스로 활동한 다음 인큐버스로 활동한다고 썼다,[21] 하지만 서큐버스가 인큐버스에게서 정액을 받을 수 있다는 가능성을 추가했지만, 이 정액이 여성을 결실시킬 수 없다고 여겼다.
피터 팔루다누스와 마르탱 다르는 다른 사람들과 함께 악마가 죽은 남성에게서 정액을 가져와 여성을 임신시킬 수 있다는 생각을 지지했다. 일부 악마학자들은 악마가 죽어가는 또는 최근 사망한 남성에게서 정액을 가져갈 수 있다고 생각했고, 따라서 죽은 남성은 이를 피하기 위해 가능한 한 빨리 매장되어야 한다고 생각했다.
6. 악마 빙의
'''악마 빙의'''는 초기부터 기독교 악마학 및 신학에서 문제였다. 악마가 어떤 목적을 가지고 또는 단순히 어떤 혐의로 저지른 죄에 대해 그 사람을 벌주기 위해 사람의 몸에 들어간다는 것을 설명하려고 했다.
마태오 복음서, 마르코 복음서 및 루카 복음서에 따르면 악마는 보이고 들을 수 있었으며 쫓겨날 수도 있었다.
7. 악마의 상징
요한 계시록 13:18에서 영감을 받아, 숫자 666 (두 번째 짐승의 수)은 적그리스도와 악마에게 귀속되었다.
중세 흑마법서에 따르면, 악마들은 각각 악마적인 서명이나 봉인을 가지고 있으며, 이를 통해 악마적인 계약에 서명한다. 이러한 봉인은 소환을 통해 악마를 소환하고 조종하는 데도 사용될 수 있다. 다양한 악마들의 봉인은 성 키프리아누스의 대서, 붉은 용, 솔로몬의 작은 열쇠와 같은 흑마법서에 나와 있다.
다양한 문화권에서 다양한 의미로 사용되어 온 오각별은 (그리스도의 다섯 상처를 나타내는 기독교를 포함하여) 일반적으로 거꾸로 뒤집혀 있을 때(한 점이 아래로, 두 점이 위로) 악마의 징표로 여겨진다. 이러한 기호는 주변 원의 유무에 따라 나타날 수 있으며, 때로는 수염이 가장 낮은 점에, 얼굴이 중앙의 오각형에 맞는 뿔이 별의 상단에, 귀가 측면에 맞는 수염 달린 염소 머리가 포함되기도 한다.
거꾸로 된 십자가(특히 십자고상) 또한 악마와 적그리스도의 상징으로 여겨져 왔지만, 가톨릭 전통에서는 평범한 거꾸로 된 십자가(그리스도의 형상이나 형상 없이)는 성 베드로의 상징이다.
8. 악마학 관련 문헌
- 토마스 아퀴나스, 《신학 대전》 (1274)[1]
- 니콜라스 마그니, 《미신의 조약》 (1405)[1]
- 《호노리우스의 서서》 (13세기)[1]
- 요하네스 하르틀리프, 《모든 금지된 예술서》 (1456)[1]
- 하인리히 크래머와 야콥 스프랭거, 《마녀 잡는 망치》 (1486)[1]
- 아를의 마르탱, 《미신의 조약》 (1515)[1]
- 니콜라스 레미, 《악마 숭배 3부작》 (1595)[1]
- 제임스 1세, 《악마론》 (1597)[1]
- 《솔로몬의 열쇠》 (16세기)[1]
- 루도비코 마리아 시니스트라리, 《악마간 또는 인쿠비스와 수쿠비스에 관하여》 (1680)[1]
- 《아브라멜린서》 (증거는 18세기를 가리키지만, 일부는 1450년대의 것이라고 주장)[1]
- 오귀스탱 칼멧, 《영혼의 유령과 뱀파이어 또는 복수자에 대한 치료》 (1749)[1]
참조
[1]
서적
Dictionary of Deities and Demons in The Bible
William B. Eerdmans Publishing Company
1999
[2]
웹사이트
Exorcism
http://www.sanctamis[...]
1962
[3]
서적
Witchcraft at Salem
Signet Classics
1970
[4]
서적
Overcoming The Power of The Occult
Faith Publishing Company
1996
[5]
웹사이트
CATHOLIC ENCYCLOPEDIA: Demonology
https://www.newadven[...]
[6]
웹사이트
CATHOLIC ENCYCLOPEDIA: Demonology
https://www.newadven[...]
[7]
성경
[8]
웹사이트
Malleus Maleficarum Part 2, Chapter II, "Now the method of profession is twofold. One is a solemn ceremony, like a solemn vow. The other is private, and can be made to the devil at any hour alone"
http://www.sacred-te[...]
[9]
웹사이트
The Witch Persecutions, ed. George L. Burr, p. 3
http://www.sacred-te[...]
[10]
웹사이트
Malleus Maleficarum Part 1 Question V
https://www.sacred-t[...]
[11]
성경
[12]
성경
[13]
성경
[14]
웹사이트
The Beast and the False Prophet (Rev 13:1-18)
http://bible.org/ser[...]
[15]
성경
[16]
성경
[17]
웹사이트
Malleus Maleficarum, Part 2, Chapter VIII, "But all three kinds have this in common, that though they are very heavy,"
http://www.sacred-te[...]
[18]
웹사이트
Pigments through the Ages - Color of power
http://www.webexhibi[...]
[19]
간행물
Henri Boguet: The Threat of Witchcraft, 1602
http://dx.doi.org/10[...]
Routledge
2022-03-18
[20]
서적
Angels A to Z
Visible Ink Press
1996
[21]
웹사이트
The Malleus Maleficarum
http://www.sacred-te[...]
1486
[22]
성경
[23]
성경
[24]
성경
[25]
웹사이트
The Devil, Satan And Demons
http://www.realdevil[...]
[26]
서적
Dictionary of Deities and Demons in The Bible
William B. Eerdmans Publishing Company
1999
[27]
서적
Witchcraft at Salem
Signet Classics
1970
[28]
서적
Overcoming The Power of The Occult
Faith Publishing Company
1996
[29]
웹사이트
Exorcism
http://www.sanctamis[...]
1962
[30]
웹사이트
CATHOLIC ENCYCLOPEDIA: Demonology
http://www.newadvent[...]
[31]
웹사이트
Malleus Maleficarum Part 2, Chapter II, "Now the method of profession is twofold. One is a solemn ceremony, like a solemn vow. The other is private, and can be made to the devil at any hour alone"
http://www.sacred-te[...]
[32]
웹사이트
The Witch Persecutions, ed. George L. Burr, p. 3
http://www.sacred-te[...]
[33]
웹사이트
Malleus Maleficarum Part 1, Question V, "certain men who are called Lunatics are molested by devils more at one time than at another"; "a man begins to be influenced towards and wills to commit sin, there must also be some extrinsic cause of this. And this can be no other than the devil"
http://www.sacred-te[...]
[34]
웹사이트
Pigments throughout the Ages
http://www.webexhibi[...]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