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피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네피림은 히브리어 단어로, '넘어진 자들' 또는 '타락한 자들'을 의미하며, 성경에 등장하는 존재이다. 창세기와 민수기에 묘사되며, '신의 아들들'과 인간의 딸들 사이에서 태어난 거인 또는 고대 영웅으로 묘사되기도 하고, 타락한 천사와 인간의 혼혈로 해석되기도 한다. 다양한 문헌과 해석을 통해 고대 이스라엘과 적대했던 민족, 고대 영웅, 타락한 천사, 또는 고대 엘리트 전사 등을 상징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네피림은 대중문화에서도 자주 등장하는 소재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유대 전설의 생물 - 골렘
골렘은 유대교 전승에서 특별한 의식으로 진흙을 빚어 만든 인조 인간을 뜻하며, 16세기 랍비 엘리야후와 프라하의 랍비 예후다 레브 벤 베잘렐의 창조 설화로 유명하고, 이후 대중문화에서 다양한 모습으로 변형되어 나타난다. - 유대 전설의 생물 - 지즈
지즈는 유대교 전설에 등장하는 거대한 새로 하늘의 힘을 상징하며, 세상의 종말에 의인들의 연회에 오를 것으로 전해지는 미드라시에 자주 등장하는 원형적인 생물로, 랍비들은 심루그에, 현대 학자들은 안주나 불사조와 비교하며, 새들의 왕으로 불릴 만큼 매우 거대하다고 묘사된다. - 거인 - 골리앗
골리앗은 블레셋 출신의 거인으로, 다윗과의 대결로 유명하며, 이스라엘 군에게 일대일 대결을 제안했으나 다윗에게 죽임을 당한다. - 거인 - 기간테스
기간테스는 고대 그리스 신화에서 대지의 여신 가이아에게서 태어나 올림포스 신들에게 반기를 든 거인 종족으로, 헬레니즘 시대 이후 티탄족과 혼동되기도 하며 괴물스러운 모습으로 묘사되기도 한다. - 창세기 - 노아의 방주
노아의 방주는 창세기에 기록된 대홍수로부터 노아의 가족과 동물들을 구원하기 위해 신의 명령으로 노아가 만든 배로, '테바'라고도 불리며 크기와 구조에 대한 논쟁과 아브라함계 종교에서 중요한 의미, 기원 및 상징적 의미에 대한 논의가 지속되고 있다. - 창세기 - 므두셀라
므두셀라는 창세기에 등장하는 아담과 노아 사이의 족장으로, 성경에서 가장 장수한 인물(969세)로 알려져 있으며, 다양한 종교 문헌과 현대 문화에서 장수의 상징으로 여겨진다.
네피림 | |
---|---|
개요 | |
명칭 | 네필림 |
어원 | 히브리어, "떨어지는 자들" 또는 "넘어뜨리는 자들" |
관련 종교 | 유대교 기독교 에스 இஸ்லாம்교 |
성경에서의 네필림 | |
등장 위치 | 창세기 6:1-4 민수기 13:33 |
창세기 내용 | 신의 아들들과 인간의 딸들 사이에서 태어난 거인족 |
민수기 내용 | 가나안 땅에 살던 거인족 (아낙 자손) |
신체적 특징 | 거대한 체구와 강력한 힘을 지님 |
역할 | 세상에 폭력과 타락을 가져옴 |
해석 | |
전통적 해석 | 신과 인간의 혼혈로 인한 부정한 존재 |
현대적 해석 | 권력자들의 횡포 또는 인간의 죄악을 상징 |
신화적 해석 | 고대 신화 속 거인족의 모티브 |
대중 문화 속의 네필림 | |
판타지 소설 | 초자연적인 능력을 가진 존재로 등장 |
영화 및 드라마 | 신화적 존재 또는 악역으로 등장 |
게임 | 강력한 몬스터 또는 플레이어 캐릭터로 등장 |
기타 | |
관련 개념 | 거인 타락 천사 신화 |
참고 문헌 | 각종 성경 주석, 신화 관련 서적 |
2. 어원
נְפִילִים|네피림he이라는 히브리어 단어는 '넘어지다'라는 뜻의 동사 נָפַל|나팔he에서 파생된 것으로 보인다. 이 단어는 '넘어진 자들', '타락한 자들'로 해석될 수 있으며, 일부에서는 '다른 사람들을 넘어뜨리는 자들'이라는 의미로 해석하기도 한다.[7] 아브라함 이븐 에즈라는 네피림을 본 사람들의 심장이 떨릴 정도였기 때문에 이런 이름이 붙었다고 주장한다. 사무엘 데이빗 루자토는 히브리어 פלא|펠라he(Pela, 놀라운)에서 비롯되었다고 주장한다.[75] 아랍 문화권에서는 네필라(Nephila)라는 단어가 오리온 별자리를 뜻하며, 네피림은 오리온의 (절반이) 성스러운 후손을 의미하기도 한다.
히브리 성경에는 "네피림"을 언급하는 세 개의 상호 관련된 구절이 있으며, 그 중 두 개는 오경에 나온다. 성경에서 네피림은 가나안의 거인족과 연결된다.[77]
3. 성경에서의 묘사
요르단강 동편 르파임(르바임) 골짜기에 거주했던 족속은 거인족으로, 구약성서 신명기에 따르면 암몬 족속에 의해 쫓겨나 바산 왕을 마지막으로 멸종당했다.[77] 이들은 '르바'족속[78], '에밈', '잠줌밈'이라고도 불렸다.[79] 모세의 지도 아래 이집트를 탈출(출애굽)한 이스라엘 민족이 가나안 땅을 공격할 당시에 얼마간의 르파임족이 남아 이스라엘에 대항하였고, 그들의 왕인 옥(Og)은 거대한 신장을 가진 자였다.
유대 출판 협회 번역본은 히브리어 "네피림"을 "네피림"으로 단순 음역했지만,[22] 킹 제임스 성경은 이 용어를 "거인"으로 번역했다.[23]
에스겔 32장 27절에는 '네피림 전사' 또는 '타락한 전사'로 해석될 수 있는 구절이 등장한다.[26][4][25] B.R. 도악은 이 용어를 히브리어 동사 "타락하다" (נופליםhe ''nophlim'')로 읽을 것을 제안하며, 이는 특정 용어 "네피림"을 사용한 것이 아니라, 창세기에 나오는 네피림 전통에 대한 명확한 언급이라고 주장했다.[5]
요벨서 7장 21-23절에 따르면, 거인들이 인간의 딸을 아내로 삼아 거기에서 네피림이 태어났다고 한다. 네피림은 "모두 서로 다투며 잡아먹고, 서로를 죽였다"고 한다. 이 구절에서는 네피림 외에 엘바하, 네필, 엘요라는 세 종류의 이름이 언급되는데, 이것들 또한 거인을 나타내는 것으로 생각된다.
에녹 1서 7장에서는 지상에 내려와 인간의 딸과 관계를 맺은 천사들(그리골리)에 의해 거인이 태어났다고 한다. 거인의 키는 3000큐빗 (1350미터, 그리스어 에녹서[73]에서는 3000 페퀴스[74])나 되었으며, 인간들의 식량을 다 먹어치우자 서로 잡아먹었다고 한다(7:5).
3. 1. 창세기
창세기 6장 1-4절에 따르면, 네피림은 '하나님(또는 신)의 아들들'과 '사람의 딸들' 사이에서 태어난 존재로, 옛적의 용사들이었다고 한다.[22]
New America Bible영어(NAB)에서는 네피림이 나오는 구절을 '증가하는 인류의 죄악'으로 제목을 붙였으며, 이는 대홍수 이야기와 연결된다.
창세기 6장 4절의 모호함 때문에, 네피림이 "하나님의 아들들"인지, 아니면 그들의 자손이자 "옛날부터 유명한 용사들"인지에 대한 해석은 불분명하다. 리처드 헤스는 네피림이 자손을 의미한다고 해석했으며,[24] P.W. 콕슨도 마찬가지로 해석한다.[25]
고대 이스라엘과 적대했던 민족·국가를 사악하다고 강조하기 위한 상징적 묘사로도 네피림을 생각할 수 있다.
3. 2. 민수기
נְפִילִים|느빌림he은 민수기 13장 32-33절에 등장한다. 가나안 땅을 정탐하고 돌아온 이스라엘 백성들은 그곳에 거주하는 네피림과 아낙 자손을 보고 두려워하며, 자신들을 메뚜기에 비유했다.[22]
3. 3. 기타
에스겔 32장 27절에는 '네피림 전사' 또는 '타락한 전사'로 해석될 수 있는 구절이 등장한다.[26][4][25] R.S. 헨델은 이 구절이 창세기 6장 4절을 언급하며 "전사들, 네피림"으로 해석해야 한다고 보았다.[4]
4. 외경 및 기타 문헌에서의 묘사
에녹서는 네필림의 키가 3천 엘(ell)이나 된다고 기록하는데, 이는 정경이 아닌 외경의 기록이며, 해당 사본의 번역 오류이다.[76] 엘은 북서부 유럽에서 사용되던 단위로, 명확한 기준이 없다. 18인치, 45인치, 37인치, 27인치, 54인치 등 다양하게 쓰였기 때문이다. R. H. 찰스 (R. H. Charles) 버전은 3000엘이라고 기록했지만, 옥스포드 히브리어 교수 리차드 로렌스 판본에서는 300큐빗이라고 명시되어 있다. 그러나 에녹서의 사해 사본과 그리스어 본문에는 거인의 키가 언급되지 않았다. 학자들은 에녹 7:2의 그리스어 버전이 원본에 가깝다고 평가하며, 에티오피아 판본은 후대에 삽입된 것으로 추정한다. 니켈스버그(Nickelsburg)와 반더캄(Vanderkam)이 번역한 그리스어 본문에는 "거인들은 네필림을 낳았고, 네필림으로부터 ‘엘리웃/엘리우드 (Elioud)’이 나왔고, 그들은 그들의 거대함(위대함)에 따라 자라고 있었다."라고 되어 있다. 희년서 7:21-22에서도 동일하게 세 가지 종족인 네피딤(Naphidim), 네필(Naphil), 엘조(Eljo)가 언급된다.[76] 찰스는 에녹서를 의도적으로 변개한 것이 아니었으나, 이미 문제가 있는 사본을 번역한 것이다. 즉, 에녹서의 올바른 번역은 감시자들의 자손들로는 3개의 인종이 있었고 그 중 하나가 엘리우드(Elioud)였다는 것인데, 고대 필사가의 실수로 엘리우드는 엘이 되었고, 3은 3000이 되었다. 인종에 관한 내용이 키에 관한 내용으로 바뀌어버린 것이다.
창세기 6장 1-4절에 따르면, 신의 아들들이 사람의 딸들이 아름다운 것을 보고 아내로 삼아 네피림이 태어났다. 그들은 옛날의 유명한 영웅들이었다고 한다.
민수기 13장 32-33절에서는 가나안을 정찰한 이스라엘의 한 무리가 "거기에 사는 백성은 거인이며, 네피림이다. 그들 아낙 사람은 네피림의 후손이다"라고 모세에게 말하는 장면이 있다.
고대 이스라엘과 적대했던 민족·국가를 사악하다고 강조하기 위한 상징적 묘사로도 생각할 수 있다.
4. 1. 에녹서
에녹서는 네피림의 기원을 타락한 천사들인 '감시자(Grigori)'와 인간 여성들 사이의 결합으로 설명한다. 에녹서에 따르면, 감시자들의 우두머리인 사미아자는 인간 여성들과 관계를 맺기 위해 천사들을 이끌고 지상으로 내려왔다.[41]에녹서의 여러 판본에 따라 네피림의 키에 대한 묘사가 다르게 나타난다.
판본 | 네피림의 키 |
---|---|
R. H. 찰스 (R. H. Charles) 번역 | 3000엘(ell) |
옥스포드 히브리어 교수 리차드 로렌스 번역 | 300큐빗 |
에녹서의 사해 사본과 그리스어 본문 | 거인의 키가 언급되지 않음 |
학자들은 에녹 7:2의 그리스어 버전이 더 원본에 가깝다고 평가하며, 에티오피아 판본은 후대에 삽입된 것으로 추정한다. 니켈스버그(Nickelsburg)와 반더캄(Vanderkam)이 번역한 그리스어 본문은 다음과 같다.[76]
희년서 7:21-22에서도 동일하게 세 가지 종족인 네피딤(Naphidim), 네필(Naphil), 엘조(Eljo)가 언급된다.[76] 즉, 에녹서의 올바른 번역은 감시자들의 자손들로는 3개의 인종이 있었고 그 중 하나가 엘리우드(Elioud)였다는 것이다.
이 전통에서 네피림의 자녀들은 엘리우드라고 불리며, 네피림과는 별개의 종족으로 여겨지지만 그들의 운명을 함께한다. 일부 전승에 따르면, 네피림을 낳은 타락한 천사들은 타르타로스에 던져졌다고 믿어진다.[42]
4. 2. 희년서
『요벨서』 7:21-23에 따르면, 거인들이 인간의 딸을 아내로 삼아 거기에서 네피림이 태어났다고 한다. 네피림은 "모두 서로 다투며 잡아먹고, 서로를 죽였다"고 한다.[73] 이 구절에서는 네피림 외에 엘바하, 네필, 엘요라는 세 종류의 이름이 언급되는데, 그것들도 거인을 나타내는 것으로 생각된다.[74]5. 다양한 해석
네피림은 히브리어로 נפלים라고 쓰며, '다른 사람을 넘어뜨리는 자'라는 의미이다. 아브라함 이븐 에즈라는 '그들을 본 사람들의 심장이 떨릴 지경으로 되기 때문에 이렇게 불린다'고 주장하고,[75] 사무엘 데이빗 루자토는 히브리어인 פלא Pela (영어로는 wondrous)에서 비롯되었다고 주장한다.[75] 아랍 문화에서 네필라(Nephila)는 오리온자리를 뜻하며, 네피림(Nephilim)은 오리온의 (절반이) 성스러운 후손을 의미한다.
브라운-드라이버-브리그스 사전(1908)은 네피림을 "거인"으로 제시하며, 어원에 대한 제안은 "모두 매우 불확실하다"고 경고한다.[6] 로널드 헨델은 이 단어가 '넘어진 자'를 의미한다고 말한다.[8][9]
70인역, 테오도티온, 라틴 불가타, 사마리아 타르굼, 타르굼 온켈로스, 타르굼 네오피티 등 대부분의 고대 성경 번역본은 이 단어를 "거인"으로 해석한다.[11] 시마쿠스는 "폭력적인 자들"로 번역하고,[12] 아퀼라의 번역은 "넘어진 자들"[12] 또는 "그들의 적들에게 넘어지는 자들"[14][15]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성경의 『창세기』 6장 1-4절에는 신의 아들들과 인간의 딸들 사이에서 태어난 네피림이 옛날의 유명한 영웅들이었다고 기록되어 있다. 『민수기』 13장 32-33절에서는 가나안을 정찰한 이스라엘의 한 무리가 "거기에 사는 백성은 거인이며, 네피림이다. 그들 아낙 사람은 네피림의 후손이다"라고 모세에게 보고한다.
『요벨서』 7:21-23에 따르면, 거인들이 인간의 딸을 아내로 삼아 거기에서 네피림이 태어났으며, 이들은 "모두 서로 다투며 잡아먹고, 서로를 죽였다"고 한다.
『에녹 1서』 7장에서는 지상에 내려와 인간의 딸과 관계를 맺은 천사들(그리골리)에 의해 거인이 태어났다고 한다. 거인의 키는 3000큐빗 (1350미터, 그리스어 『에녹서』[73]에서는 3000 페퀴스[74])나 되었으며, 인간들의 식량을 다 먹어치우자 서로 잡아먹었다고 한다(7:5).
고대 이스라엘과 적대했던 민족·국가를 사악하다고 강조하기 위한 상징적 묘사로도 생각할 수 있다.
5. 1. 타락한 천사
에녹서와 희년서 같은 일부 유대교 및 기독교 전통에서는 네피림을 타락한 천사와 인간 사이에서 태어난 존재로 해석한다. 예를 들어, 에녹 1서 7장 2절에는 다음과 같은 내용이 있다.[41]이러한 견해는 테르툴리아누스와 락탄티우스 같은 초기 기독교 변증가들도 공유했다.
이 전통에서, 높은 지위의 천사였던 사미아자는 인간 여성과 성관계를 맺기 위해 땅으로 내려온 반역 천사들, 즉 (''감시자'') 무리를 이끌었다고 묘사된다. 이들의 자손이 네피림이며, 이들은 악한 거인으로 묘사된다.[44]
에녹서에 따르면, 이들의 키는 300큐빗 (약 137m)에 달했다고 한다.
일부 학자들은 하나님이 홍수 이후 네피림의 비물질적 영혼의 10%를 악마로 남아 인류를 그릇된 길로 인도하도록 허락하셨다고 해석한다. 펜실베이니아 대학교 및 위스콘신-매디슨 대학교의 구약성경 학자 마이클 헤이저 박사는 그의 저서 ''보이지 않는 영역''에서 네피림의 비물질적 영혼들이 악마 또는 부정한 영으로 알려지게 되었다고 주장한다.[43]
유다서 (14–15)는 1 에녹서 1:9를 인용하는데, 많은 학자들은 이것이 신명기 33:2에 기초한 것이라고 본다.[45][46]
5. 2. 셋의 후손
일부 기독교 및 유대교 전통에서는 '하나님의 아들들'을 경건한 셋의 후손으로, '사람의 딸들'을 타락한 카인의 후손으로 해석한다. 이들의 결합으로 태어난 자손이 네피림이라고 본다. 히포의 아우구스티누스, 요한 크리소스토무스, 존 칼빈 등이 이러한 견해를 지지했다.에녹서에 따르면, 네피림은 "키가 300큐빗에 달하는 거대한 거인"이었다. 1 큐빗이 이므로, 그들의 키는 에 달한다.
희년서 (7:21-25)는 네피림을 지구에서 몰아내는 것이 홍수를 일으킨 목적 중 하나였다고 말한다.[44] 이 작품들은 네피림을 악한 거인으로 묘사한다.
에티오피아 정교회의 성경 해석도 이와 유사하다.[57] 암하라어 하일레 셀라시에 성경에서는 세트의 자손들이 카인의 자손들과 섞여 악한 자녀를 낳았고, 이들이 "모두 달랐다"고 기록되어 있다. 이는 하나님을 격노하게 하여 홍수를 일으켰다.
꾸란에서는 아드 족을 언급하며, 예언자 후드는 그들을 ''자바린''(히브리어: ''깁보림'')과 같다고 선언하는데, 이는 성경의 네피림을 가리키는 것으로 보인다.[29]
5. 3. 고대 영웅 또는 왕족
일부 학자들은 네피림이 비정상적인 체격이나 신성한 혈통을 가진 존재가 아니라, 고대의 엘리트 전사나 왕족을 지칭하는 것이라고 주장한다.[10] 이는 민수기 13-14장에서 네피림을 이스라엘 이전 가나안에 살았던 토착 엘리트 전사로 보는 관점이며,[10] 고대 근동의 신화와 서사시의 영웅들과 유사한 역할을 한다는 점에서 비롯된 해석이다.브라이언 R. 도크는 네피림 설화가 히브리인들과 유사한 문화의 세계관에서 흔히 발견되는 서사시와 영웅의 통념에 대한 논쟁이라고 믿는다.[17] J.C. 그린필드는 네피림 설화가 수메르 신화의 "압칼루 전통의 부정적인 측면"에 기반한다고 보았다.[18] 압칼루는 뛰어난 지혜로 칭송받은 일곱 명의 대홍수 이전 문화 영웅이었다.
엘렌 화이트는 이야기적으로 네피림의 목적은 "약자"인 선민이 승리할 수 있도록 죽는 것이라고 믿는다.[19]
고대 이스라엘과 적대했던 민족·국가를 사악하다고 강조하기 위한 상징적 묘사로도 생각할 수 있다.
6. 고고학적 해석 및 논란
G.E. 라이트를 비롯한 일부 고고학자들은 네피림, 특히 거인에 대한 믿음이 고대 히브리인들이 트랜스요르단의 거석 건축물과 가나안 도시의 사이클로페아 양식 성벽을 보고 거인족의 존재를 상상했기 때문이라고 주장한다.[16] 그러나 라이트는 기원전 3000년경 고대 가나안인들은 비교적 키가 작았으며, 비정상적으로 큰 원주민이 발견된 사례는 없다고 언급한다.[16]
네피림의 유해라고 주장되는 거대한 뼈들이 발견되기도 했지만,[62] 대부분은 맘모스나 마스토돈과 같은 고대 동물의 뼈로 밝혀졌다.[64][65][66] 1577년 루체른 근처에서 발견된 큰 뼈들은 약 5.79m (약 5.8m) 거인의 뼈로 해석되었으나,[63] 요한 프리드리히 블루멘바흐에 의해 맘모스의 것으로 밝혀졌다.[64] 코튼 매더는 1705년 뉴욕주 올버니 근처에서 발견된 화석화된 다리뼈와 이빨을 대홍수 때 멸망한 네피림의 유해라고 믿었지만, 고생물학자들은 마스토돈 유해로 확인했다.[65][66] 1869년에는 네피림 신봉자들을 속이기 위한 사기극인 카디프 거인이 뉴욕주 카디프에서 발견되었다고 알려졌다.[67]
한편, 네피림 설화는 히브리인들과 유사한 문화권에서 흔히 발견되는 서사시와 영웅의 통념에 대한 논쟁이라는 해석도 있다.[17] J.C. 그린필드는 네피림 설화가 수메르 신화의 "압칼루 전통의 부정적인 측면"에 기반한다고 믿는다.[18] 압칼루는 뛰어난 지혜로 칭송받은 일곱 명의 대홍수 이전 문화 영웅이었다.[18]
브랜드 외 (2023)는 네피림이 반드시 비정상적인 체격이나 신성한 혈통을 갖지 않은 전설적인 고대의 엘리트 또는 왕족 전사를 지칭한다고 주장한다.[10]
아나킴은[20] 이집트 중왕국 시대의 저주 문서[21](기원전 2055–1650년)에서 가나안의 이집트 정치적 적으로 언급되는데, 네피림과 연관되어 있다.
고대 이스라엘과 적대했던 민족·국가를 사악하다고 강조하기 위한 상징적 묘사로도 생각할 수 있다.
7. 한국적 관점
창세기 6장 1~4절에는 하느님의 아들들이 사람의 딸들의 아름다움을 보고 아내로 삼아 태어난 것이 네피림이며, 이들은 옛날의 유명한 영웅들이었다고 기록되어 있다.
민수기 13장 32~33절에서는 가나안을 정찰한 이스라엘 백성들이 모세에게 "거기에 사는 백성은 거인이며, 네피림이다. 그들 아낙 사람은 네피림의 후손이다"라고 보고하는 장면이 묘사되어 있다.
요벨서 7장 21~23절에 따르면, 거인들이 인간의 딸을 아내로 삼아 네피림이 태어났으며, 이들은 "모두 서로 다투며 잡아먹고, 서로를 죽였다"고 한다. 여기에서는 네피림 외에 엘바하, 네필, 엘요라는 세 종류의 거인 이름이 언급된다.
에녹 1서 7장에서는 인간의 딸과 관계를 맺은 천사들(그리골리)에 의해 거인이 태어났다고 한다. 거인의 키는 3000큐빗 (1350m)이나 되었으며, 인간들의 식량을 다 먹어치우자 서로 잡아먹었다고 한다.
일부에서는 고대 이스라엘과 적대했던 민족이나 국가를 사악하게 묘사하기 위한 상징적 표현으로 보기도 한다.
8. 대중문화 속 네피림
네피림은 대중 문화에서 자주 사용되는 소재이다. 고딕 록 밴드 필즈 오브 더 네피림이 그 예시이다.[68]
비디오 게임에서도 네피림이 등장한다. ''다크사이더스(Darksiders)'' 시리즈에서 묵시록의 4기사는 네피림으로, 천사와 악마의 결합으로 창조되었다고 묘사된다. ''DmC: 데빌 메이 크라이(DmC: Devil May Cry)'' (2013)의 주인공 단테와 버질도 네피림으로, 악마 스파르다와 천사 에바의 자손이다. ''디아블로 3(Diablo 3)''에서 네팔렘은 천사와 악마의 결합으로 창조된 최초의 인간이다. 롤플레잉 게임 ''네피림(Nephilim)''은 인간으로 환생하는 강력한 원소 존재에 관한 게임이다.[70] 1인칭 슈팅 게임 ''페이데이 2(Payday 2)''에서도 네피림이 언급되며, 게임의 숨겨진 엔딩은 네피림과 관련된 외계 기술을 다룬다.
캐산드라 클레어의 ''섀도우헌터 연대기(The Shadowhunter Chronicles)'' 시리즈, 베카 피츠패트릭의 ''허쉬 허쉬(Hush, Hush)'' 시리즈, 매들린 랭글의 책 ''많은 물들(Many Waters)'' 등 여러 소설에서도 네피림이 등장한다. TV 시리즈 ''엑스파일''과 ''수퍼내추럴''에서도 네피림을 다룬다. 일본 애니메이션 시리즈 ''심포기어(Symphogear)'' 시즌 2에도 "네피림"이라는 생명체가 등장한다.
네피림에 관한 여러 영화, 비디오, 다큐멘터리 및 팟캐스트도 존재한다.[71][72]
참조
[1]
Encyclopedia
Nephilim
https://www.britanni[...]
2020-11-06
[2]
서적
The Sons of God in Genesis 6:1–4: Analysis and history of exegesis
https://books.google[...]
Brill
2019
[3]
서적
The Holy Scriptures: A new translation
https://www.sefaria.[...]
JPS
2024-02-09
[4]
논문
Of demigods and the deluge: Toward an interpretation of Genesis 6:1–4
[5]
논문
Ezekiel's topography of the (un-)heroic dead in Ezekiel 32:17–32
[6]
서적
A Hebrew and English Lexicon of the Old Testament
[7]
서적
Synonyms of the Old Testament: Their bearing on Christian faith and practice
http://archive.org/d[...]
Longmans, Green
1871
[8]
서적
The Fall of the Angels
https://archive.org/[...]
Brill
2004
[9]
논문
Biblical naming and poetic etymology
1995-Spring
[10]
웹사이트
Nephilim
https://www.degruyte[...]
[11]
서적
Primaeval History Interpreted: The rewriting of ''Genesis'' I–II in the ''Book of Jubilees''
https://books.google[...]
Brill
[12]
서적
The Origin of Evil Spirits: The reception of ''Genesis'' 6.1–4 in early Jewish literature
https://books.google[...]
Mohr Siebeck
[13]
서적
Greek–English Lexicon
https://archive.org/[...]
New York, Harper
[14]
서적
A History of the Holy Bible
https://books.google[...]
Blackie & Son
[15]
간행물
Symmachus readings in the Pentateuch
https://books.google[...]
Mohr Siebeck
1994-07-25
[16]
논문
Troglodytes and giants in Palestine
1938
[17]
논문
The last of the Rephaim: Conquest and cataclysm in the heroic ages of ancient Israel
https://digitalcommo[...]
[18]
서적
Dictionary of Deities and Demons in the Bible
https://books.google[...]
Wm.B. Eerdmans Publishing
[19]
웹사이트
Who are the Nephilim?
https://www.biblical[...]
[20]
웹사이트
Who are the Nephilim?
https://www.biblical[...]
2023
[21]
서적
Space and Time in the Religious Life of the Near East
https://books.google[...]
A&C Black
[22]
서적
Pentateuch
Jewish Publication Society
[23]
웹사이트
Genesis 6 in parallel Hebrew–English format
http://www.mechon-ma[...]
[24]
사전
Nephilim
Doubleday
[25]
사전
Nephilim
https://books.google[...]
William B. Eerdmans
2015-06-05
[26]
서적
Ezekiel: A commentary on the Book of the Prophet Ezekiel, Chapters 25–48
Fortress
[27]
서적
Classical Mythology: A guide to the mythical world of the Greeks and Romans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8]
서적
Jewish Translation – Translating Jewishness
de Gruyter
2018-05-22
[29]
서적
The Qur'an and the Bible: Text and commentary
Yale University Press
[30]
서적
Dictionary of Islam
Asian Educational Services
[31]
서적
Islam and the Divine Comedy
Routledge
[32]
서적
Damascus Document
[33]
논문
Synowie bogów i córki człowieka. Kosmiczny 'mezalians' i jego efekty w Księdze Rodzaju 6:1–6
https://www.academia[...]
[33]
웹사이트
English translation of "The cosmic mis-alliance and its effects in Genesis 6:1–6"
http://acalyludpowie[...]
2011-05-30
[34]
서적
New American Bible
[35]
서적
Jerusalem Bible
[36]
Bibleverse
Matthew 22:30
[37]
웹사이트
The sons of God and the daughters of men
http://www.bible.org[...]
[38]
웹사이트
Who are the Nephilim and what is their origin?
https://www.logos.co[...]
[39]
서적
The Old Testament in Greek according to the Septuagint
https://archive.org/[...]
Cambridge University Press
[40]
웹사이트
Genesis 6:4 commentary
https://www.bibleref[...]
[41]
웹사이트
Book 1: Watchers
http://www.ancientte[...]
2012-08-14
[42]
서적
A Critical and Exegetical Commentary on the Revelation of St. John
[43]
웹사이트
Where do demons come from?
https://www.logos.co[...]
2021-02-15
[44]
서적
Primaeval History Interpreted: The rewriting of Genesis 1–11 in the Book of Jubilees
https://books.google[...]
BRILL
2022-05-20
[45]
서적
Book of Enoch: Together with a reprint of the Greek fragments
[46]
서적
"1.9 In 'He comes with ten thousands of His holy ones'
[47]
서적
The Jewish world around the New Testament: Collected essays
[48]
서적
Selected studies in pseudepigrapha and apocrypha with special reference to the Armenian Tradition
[49]
서적
The second epistle general of Peter, and the general epistle of Jude
[50]
서적
Traditions of the Bible: A guide to the Bible as it was at the start of the Common Era
Harvard University Press
1998
[51]
웹사이트
Genesis 6:4
http://www.chabad.or[...]
[52]
서적
Jerusalem Bible
[53]
웹사이트
Kitãb al-Magāll, or the Book of the Rolls. One of the books of Clement
http://www.sacred-te[...]
2015-06-05
[54]
웹사이트
Fathers of the Third Century: Gregory Thaumaturgus, Dionysius the great, Julius Africanus, Anatolius, and minor writers
http://www.ccel.org/[...]
2015-06-05
[55]
서적
Commentary in Genesis
[56]
웹사이트
The Nephilim
http://www.probe.org[...]
2005-05-27
[57]
웹사이트
The 'Holy Angels'
http://www.mahiberek[...]
Ethiopian Orthodox Tewahedo Church
[58]
서적
Peake's commentary on the Bible
[59]
서적
Brown Driver Briggs Hebrew Lexicon
[60]
간행물
Fallen angels and the afterlives of Enochic traditions in early Islam
https://www.academia[...]
[61]
서적
Arabs and Intelligent World of the Jinn
Syracuse University Press
[62]
웹사이트
Are these giant human skeleton photographs real?
https://www.snopes.c[...]
2023-05-03
[63]
서적
Library of Universal Knowledge
https://books.google[...]
American Book Exchange
[64]
서적
A Cabinet of Medical Curiosities
https://www.degruyte[...]
Cornell University Press
[65]
서적
American Manufactory: Art, labor, and the world of things in the early republic
https://books.google[...]
Princeton University Press
[66]
뉴스
When giants roamed the Earth
http://archive.archa[...]
2014-10-15
[67]
서적
Frauds, Myths, and Mysteries: Science and pseudoscience in archaeology
http://worldcat.org/[...]
Mayfield Pub
[68]
웹사이트
Nephilim
https://mtg.gamepedi[...]
MTG Wiki
2020-06-25
[69]
book seller
Antarktos Rising
Breakneck Books
2007-06-01
[70]
웹사이트
Nephilim Roleplaying
https://www.chaosium[...]
[71]
웹사이트
IMDb search on Nephilim
https://www.imdb.com[...]
[72]
video review
Evidence of 'biblical giants' found in northern Israel
https://www.jpost.co[...]
2022-02-15
[73]
기타
ギリシア語のエノクの黙示録
http://web.kyoto-ine[...]
[74]
기타
ギリシア語エノクの黙示録第7章7.2.1
http://web.kyoto-ine[...]
[75]
서적
Hamishtadel (his Bible commentary ad. loc.)
[76]
서적
The Book of Enoch the Prophet
Wentworth Press
2019
[77]
성경
신명기 2장 20절 ~ 21절 (공동번역)
[78]
성경
창세기 14장 5절 (공동번역)
[79]
성경
신명기 2장 11절, 20절 (공동번역)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