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병 전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기병 전술은 말을 이동 수단으로 사용하다가 전투 시 내려서 싸우는 보병에서 시작하여, 기원전 9세기 아시리아의 궁수를 시작으로 발전했다. 경기병은 원거리에서 화살을 쏘며 근접전을 피하는 전술을 사용했고, 중기병은 기창을 활용한 충격 전술을 구사했다. 마케도니아의 망치와 모루 전술은 기병의 기동력과 충격력을 활용하여 적의 측후방을 공격하는 방식으로, 고구려는 철갑기병을 통해 강력한 군사력을 구축했다. 등자는 기병의 안정적인 자세를 유지하고, 양손을 사용하여 무기를 사용할 수 있게 하여 기병 전술 발전에 크게 기여했다.
최초에는 말을 타고 무기를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라고 보지 않았으며, 대신 말을 이동수단으로 활용했다. "Mounted Infantry"는 전투지역으로 이동할 때는 말을 타고 이동하다가 전투에 도착하면 내려서 싸웠다. 오랜 기간 동안 기병에서는 기수와 전차병이 함께 전투를 치렀다. 초기 길들여진 말들은 나중의 역사에서 나타난 전쟁마에 비해 작고 짧았다. 미숙달된 기병 전술과 훈련되지 않은 말의 신경질적인 성격과 결합되어, 말을 타고 싸우는 것은 처음에는 효과적이지 않았다.
2. 초기 기병과 전술
기록에 남아있는 첫 번째 기병은 기원전 9세기에 아시리아 기록에 등장한 이란 지역의 기병 궁사들이다. 몽골 군대는 안전한 거리에서 적에게 화살을 쏟아붓기 위해 부랴트 활을 사용했다. 말을 타고 활을 쏘는 것은 흔들리는 전차보다 목표를 정확하게 맞히기 쉬웠는데, 말의 발이 모두 공중에 떠 있는 동안이 가장 적합한 사격 시간임이 발견하였다.
투창은 많은 기병에서 강력한 원거리 무기로 사용되었다. 크기와 무게에 따라 최대 열 개의 투창이 휴대되었다. 던져진 투창은 화살보다 사거리가 짧지만, 종종 강력한 방어 관통 능력으로 인해 우세했으며, 보통 화살보다 치명적인 상처를 더 자주 입혔다. 경기병과 중기병 양쪽에서 사용이 보고되었는데, 예를 들어, 누미디아와 몽골의 경기병, 켈트, 카타프랙트, 그리고 맘루크의 중기병이 있다.[2] 로마의 기병은 켈트의 기마병 훈련을 본떠 도약 투창을 던지는 기술을 익혔다. 켈트로부터 배운 중요한 기술 중 하나는 투창을 던지기 위해 말을 돌리는 것으로, 이는 활과 화살을 사용한 파르티아 사격과 유사하다.
등자와 박차(拍車)을 사용함으로써 기수들은 마상창 및 기동력을 요구하는 전투 및 연습에서 신속하고 안전하게 행동할 수 있었지만, 그 사용에 대해 의문이 제기되었다. 고대 충격기병은 그들 없이도 만족스럽게 수행되었다. 현대의 역사 재현자들은 발판이나 안장이 창을 효과적으로 사용하는 데 꼭 필요하지 않다는 것을 보여주었으며, 이는 이전에 일반적으로 받아들여진 신념을 반박했다. 기승자의 자유로운 움직임은 경량기병이 모든 방향으로 사격하고 싸우기 위해 매우 소중히 여겨졌으며, 동시대인들은 등자와 박차가 이 목적을 위해 제한적이라고 여겼다. 안달루시아 경량 기병은 12세기까지는 그들을 사용하지 않았으며, 토텐 의기소들도 레그니카 전투(1241년)에서 사용하지 않았다. 종합무기 사용과 기병군의 효율성의 한 예시는 중세 몽골 군대이다. 그들에게 기병의 활쏘기에 있어 중요한 것은 활을 쏘는 동안 기병이 발판 위에 서 있을 수 있도록 발판을 사용한 것이었다. 이 새로운 자세는 적보다 크고 강력한 기병용 활을 사용할 수 있게 했다.
2. 1. 경기병의 궁술
경기병의 궁술은 적에게서 멀리 떨어져 화살을 발사하고 근접 전투를 피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졌다.[3] 효과적인 장거리 무기가 없는 느린 적들은 종종 경기병에게 대항할 기회조차 없었다. 이러한 전술을 활용하여 파르티아 제국의 기병은 카레 전투에서 크라수스의 군대를 격파했다.[3] 9세기와 10세기에는 마자르 기병 궁사들이 서프랑시아와 동프랑시아에 공포를 퍼뜨렸다.[3]
"집단 사격(shower shooting)" 전술은 갑옷을 입은 기병이 정적인 위치에서 최대한 빠르게 화살을 쏘는 방식으로, 페르시아, 맘루크, 인도의 이슬람 기병 등이 사용했다.[3] 프로코피우스는 벨리사리우스의 사사니드와의 전쟁에서 비잔티움 기병과 페르시아 기병 간의 활 격돌을 언급하며, 페르시아인들이 더 자주 화살을 쏘았지만, 그들의 활은 약해서 로마 활에 비해 큰 피해를 주지 못했다고 기록했다.[3]
경기병 궁사는 가벼운 장비와 넓은 공간이 필요했기 때문에 중기병과의 근접전에서 불리했고, 공성전에 부적합했다.[3] 몽골은 전투에서는 승리했지만 강화된 중국 도시를 점령하는 데 어려움을 겪었고, 이슬람 공성 기술자들을 포획한 후에야 공격에 성공했다.[3] 몽골은 1280년에 헝가리를 재점령하지 못했는데, 이는 헝가리 군대가 서유럽식 중기병과 성 건설에 집중했기 때문이다.[3]
도릴라에움 전투(1097년)에서 셀주크 군주 킬리지 아르슬란 1세의 기병 군단은 십자군을 포위하고 원거리에서 화살을 쏘았으나, 갓프리 오브 불리옹 지휘하의 지원군 도착으로 셀주크 군이 포위되어 근접전에서 전멸하였다.[3] 셀주크의 패배로 십자군은 아나톨리아를 큰 저항 없이 횡단할 수 있었다.[3]
2. 2. 중기병의 기창술
중세 유럽 기사들은 충격전술을 사용했지만, 항상 여러 기사가 함께 형성된 형태로 행동했다.[4] 방어 및 근접 전투를 위해 기병은 서로 가까이 라인을 이루도록 배치되었다.[4] 이는 적의 돌진을 방지하고 개별적으로 둘러싸이는 것을 막았다. 돌진 공격은 약 350m 거리에서 시작되어 15~20초 동안 이루어졌으며, 최대 속도로 가속하면서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했다.[4]
페르시아는 철갑기병과 기병 궁수를 혼합하여 돌격을 지원하는 전술을 사용했다.[4] 몽골의 중장기병은 창에 갈고리를 부착하여 적을 무력화하는 효과를 높였다. 중국과 일본 기병은 폴암을 사용했으며, 양손으로 다루는 아시아식 스타일을 채택했다.
폴란드-리투아니아 후사르들의 주요 전투 전술은 돌진이었다. 그들은 긴 창(후사르의 창은 보통 길이가 4.5~6.2m 정도), 콘체르(긴 찌르는 검), 장검(사브레), 한두 자루의 권총, 칼빈이나 아크버스를 사용했다. 가벼운 터키 스타일 안장은 말과 전사 양쪽에 더 많은 갑옷을 사용할 수 있게 했다. 이들은 루비셰프 전투(1577년), 비치나 전투(1588년), 코켄하우젠 전투(1601년) 등 여러 전투에서 활약했으며, 클루신 전투에서는 수적으로 우세한 러시아-스웨덴 연합군을 상대로 승리하기도 했다.[5][6]
그리스와 페르시아에서는 원거리 무기와 중갑 기병을 통합하려는 시도가 이루어졌다. 그들은 무거운 기병에 활과 마창을 갖춰 무장시켰다. 돌진하기 전에 경기병과 중장기병(캐타프랙트)의 결합으로 반복되는 투창 공격에 약해졌다. 이 전술 시스템은 로마인에 의해 채택되었으며 "노티시아 디그니타툼"에 "에퀴테스 사지타리 클리바나리이" 부대의 존재로 확인되었으며, 이는 그들의 비잔틴 후계자들의 전술에 계승되었다.[7][8]
2. 3. 투창
그리스와 페르시아에서는 원거리 무기와 중갑 기병을 통합하려는 시도가 이루어졌다. 그들은 무거운 기병에 활과 마창을 갖춰 무장시켰다. 돌진하기 전에 적은 경기병과 중장기병(캐타프랙트)의 결합으로 반복되는 투창 공격에 약해졌다.[7] 투창은 화살보다 사거리가 짧지만, 방어 관통 능력이 우수하고 치명적인 상처를 더 자주 입혔다. 이 전술 시스템은 로마인에 의해 채택되었으며, Notitia Dignitatum에 "에퀴테스 사지타리 클리바나리이" 부대의 존재로 확인되었으며, 이는 그들의 비잔틴 후계자들의 전술에 계승되었다.[7][8] 로마 기병은 켈트 기마병의 훈련을 본떠 투창 기술을 익혔다.
3. 고대 기병 전술
3. 1. 마케도니아의 망치와 모루 전술
고대 그리스 북부의 마케도니아의 망치와 모루 전술은 고대의 대표적인 기병전술이다. 망치와 모루 전술은 보병대가 적을 저지하는 동안 기병대가 측·후방을 타격하는 전술로, 모루 위에 철을 두고 망치로 때리는 행위와 비슷하다고 하여 붙은 이름이다. 보병대가 저지부대 역할을 하여 모루로서 적의 주공을 막고 기병대가 타격부대 역할을 하여 망치로서 적을 파괴하는 전술을 의미한다. 이 전술의 핵심을 기병의 충격력와 기동력에 있다. 고대 그리스의 전쟁은 중장보병 방진(팔랑크스)을 주축으로 하는 중장보병이 주를 이뤘다. 중장보병은 대형 정면에서 강력했으나 측면이나 후방은 매우 취약했다. 팔랑크스 대형의 중장보병들은 창과 방패로 무장했는데 방패로 본인을 온전히 보호할 수 없었고, 바로 옆의 전우가 자신을 일부 보호해주는 방식을 사용했다. 따라서, 가장 측면은 자신을 가려줄 옆 병사가 없으니 가장 취약해진다. 마케도니아는 이 밀집 방진 대형의 약점을 파악하고, 기병의 기동력과 충격력으로 적 방진의 측·후면을 노려 진형을 와해시켰다.
알렉산드로스 대왕이 처음으로 완성된 마케도니아식 망치와 모루 전술을 선보인 전투는 이소스 전투이다. 이 전투에서 알렉산드로스 대왕의 마케도니아군은 수적으로 열세임에도 페르시아를 격파하였다. 알렉산드로스 대왕의 마케도니아 군과 다리우스 3세의 페르시아 군은 이소스 평원에서 일렬로 마주보는 형태로 대치하게 되었다. 마케도니아 군의 보병부대가 페르시아 군을 정면에서 상대하면서 전투가 시작되었다. 전투가 시작되고 양 측이 격돌하기 시작하면 양익의 마케도니아 군의 기병대가 적 제대를 우회기동한다. 그리고 그림(망치와 모루)과 같이 적의 측후방을 공격했다. 기병대 특유의 기동력과 충격력으로 적의 배후를 잡아 적의 진형을 와해시키는 전술인 것이다.
3. 2. 고구려의 철갑기병 전술
고구려는 철갑기병을 통해 강력한 군사력을 보유했으며, 이는 광개토대왕 정복 전쟁의 비밀 병기였다.[9] 고구려 기병은 찰갑(札甲) 형태의 갑옷과 종장판주(縱長板胄)라는 투구를 사용했다.[9]
고구려 기병은 평소에 마상무예, 특히 기사술(騎射術)을 연마했다.[9] 무영총의 '수렵도'에는 기마무사가 안장에 앉은 채 상체만 뒤로 틀어서 화살을 쏘는 모습이 묘사되어 있는데, 이는 삼국시대의 전형적인 활쏘기 기법으로 여겨진다.
4. 등자(鐙子)
제반 마구류 중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말 등에 타고 있는 기사가 안정된 자세를 유지하는데 필수적인 안장과 등자를 꼽을 수 있다. 안장이 기사의 몸을 전후로 잡아주는 것에 비해, 등자는 기사를 좌우로 고정시켜 주었다.[9] 그 덕분에 기사가 말과 한몸이 되어 양손을 사용하여 활을 쏘거나 창을 휘두르고, 기병대의 고유 기능인 돌격을 감행할 수 있었다.[9] 등자는 직접적인 살상 무기가 아니면서도 전쟁의 역사에 커다란 영향을 미친 도구로 평가받는다.[9] 초기 등자는 나무로 만들고 발바닥이 닿는 표면에는 철판을 덧대어 미끄럼과 마모를 방지하였다.[9] 서양 역사에서는 등자의 사용을 중세 천 년에 걸친 기사 시대를 연 원동력으로 보고, 이를 무기 발달사에서 혁명적인 사건으로 평가하고 있다.[9]
5. 참고 문헌
wikitext
- 이내주. 화약무기 발전과 영국군 기병, 1870-1918. 2011.
- 이내주. 전통 기병의 무기와 그 무예, THE ARMY, p.133-138, 2009.
- 최형국. 조선군 기병 전술 변화와 동아시아, 민속원, 2015.
참조
[1]
서적
화약무기 발전과 영국군 기병, 1870-1918
2011
[2]
웹사이트
Saddle, Lance and Stirrup
http://www.classical[...]
2012-08-23
[3]
서적
History of the Wars, Books I and II: The Persian War
2005-09-27
[4]
웹사이트
History of Iran: Parthian Army
https://www.irancham[...]
2024-01-10
[5]
서적
Polish Winged Hussar 1576–1775
Osprey Publishing Ltd.
2006
[6]
서적
Polish armies 1569–1696
[7]
서적
Warfare, State and Society in the Byzantine World, 565–1204
UCL Press
1999
[8]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s://web.archive.[...]
2006-11-20
[9]
저널
전통 기병의 무기와 그 무예
2008-11-0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