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기본적 욕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기본적 욕구는 인간의 생존과 삶의 질을 위해 충족되어야 하는 기본적인 필요를 의미하며, 매슬로우의 욕구 단계 이론 등 다양한 개념으로 설명된다. 캐나다와 미국은 기본적 욕구 보장을 위한 다양한 정책과 빈곤율 측정 방식을 가지고 있으며, 캐나다에서는 크리스 사를로 교수의 기본적 욕구 빈곤선과 상대적 빈곤 측정 방식 간의 논쟁이 존재한다. 미국은 빈곤선 기준을 발표하고, SNAP, WIC, HFFI 등 정부 지원 프로그램을 통해 저소득층의 기본적 욕구 충족을 지원하며, 대학 캠퍼스 푸드 팬트리와 같은 비정부적 노력도 이루어진다. 한국의 경우 빈곤율과 사회 복지 제도, 취약 계층의 기본적 욕구 문제, 정당의 관련 정책 등이 논의되며, 기본적 욕구 보장은 인권과 지속 가능한 발전 목표(SDGs)와도 연관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개발경제학 - 보호무역
    보호무역은 정부가 국내 산업을 외국 경쟁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관세, 수입 할당량, 기술 보호, 외국인 투자 제한 등 다양한 정책을 사용하는 것을 의미하며, 긍정적 효과와 부정적 효과에 대한 논쟁이 있고 최근 주요 국가에서 강화되는 추세이다.
  • 개발경제학 - 생산성
    생산성은 생산 과정에서 투입된 자원 대비 산출된 결과물의 비율을 나타내는 지표로, 노동 생산성, 자본 생산성, 총요소 생산성 등으로 측정되며, 기술 혁신, 인적 자본 개발 등을 통해 향상될 수 있다.
  • 빈곤 - 구걸
    구걸은 가족이나 국가의 지원 없이 타인으로부터 물건이나 금전을 받아 생계를 유지하는 행위로, 빈곤층과 연관되어 있으며, 불교에서는 수행의 한 형태, 이슬람에서는 노동 가능한 자의 금지, 역사적으로 빈곤과 연결, 현대에는 법으로 금지되지만 예외도 존재하며, 고수입 역편견과 달리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많다.
  • 빈곤 - 밀레니엄 개발 목표
    밀레니엄 개발 목표(MDGs)는 2000년 유엔에서 채택된 8개의 주요 목표와 21개의 세부 목표로 구성된 국제 개발 목표로서, 절대 빈곤과 기아 퇴치, 보편적 초등 교육 실현, 양성평등, 아동 사망률 감소, 모성 보건 증진, 주요 질병 퇴치, 지속 가능한 환경 확보, 개발을 위한 글로벌 파트너십 구축을 목표로 2015년까지 달성을 추구했으나, 목표 달성에 국가별 차이와 비판이 있었으며, 이후 지속가능발전목표(SDGs)로 대체되었다.
  • 인류학 - 성인식
    성인식은 개인의 사회적 지위 변화를 알리는 의례로, 역사적으로 교육의 시작을 알리고 고대 사회에서 성인과 어린이를 구분하며 다양한 문화권과 종교적 의례로 나타난다.
  • 인류학 - 민족지
    민족지는 특정 문화, 사회, 집단에 대한 연구 방법이자 결과물을 의미하며, 다양한 학문 분야에서 활용되어 사람들의 사회적 의미와 일상 활동을 포착하고 문화의 보편성과 변이를 연구, 해석하는 학문이다.
기본적 욕구
기본 정보
유형경제 사회적 권리
설명인간다운 삶을 유지하기 위한 기본적인 욕구
포함 요소음식

위생
주거
교육
의료
역사
기원세계고용계획 (World Employment Programme, WEP)
주창국제 노동 기구 (International Labour Organization, ILO)
채택1976년 세계고용회의 (World Employment Conference)
목적개발도상국의 절대 빈곤 측정
비판
내용문화적, 역사적 맥락 무시
개인의 자율성 침해 가능성
획일적인 접근 방식의 문제점
관련 개념
유사 개념인간 개발 지수 (Human Development Index, HDI)
관련 정책사회 복지 (Social welfare)

2. 기본적 욕구의 개념

크리스 사를로(Chris Sarlo) 교수는 캐나다 니피싱 대학교의 경제학자이자 프레이저 연구소의 선임 연구원으로, 캐나다 통계청의 사회경제 데이터베이스, 특히 ''가계 지출 조사''를 사용하여 가구 필수품 목록의 비용을 결정하는 방식으로 기본적 욕구의 개념을 정의한다. 그는 이 정보를 바탕으로 필수품을 구매할 소득이 부족한 캐나다 가구의 비율을 결정하고, 이를 통해 빈곤 기준선을 설정한다.[7]

사를로의 기본적 욕구 빈곤 기준선에 따르면, 캐나다의 빈곤율은 1970년대 이후 약 12%에서 약 5%로 감소했다.[7] 그러나 이는 캐나다 통계청, 캐나다 컨퍼런스 보드, 경제 협력 개발 기구(OECD), 유네스코 보고서의 결과와는 뚜렷한 차이를 보인다. 이들 기관은 캐나다와 같은 선진 산업 국가에 상대적 빈곤 척도를 사용하는 것이 더 유용하다고 판단한다.[8]

경제 협력 개발 기구(OECD)와 유엔 아동 기금(UNICEF)은 상대적 빈곤 기준선을 사용하여 캐나다의 빈곤율을 더 높게 평가하며, 사를로가 거부하는 캐나다 통계청의 LICO 역시 더 높은 빈곤율을 보인다. OECD의 2008년 보고서에 따르면, 캐나다의 빈곤율은 OECD 회원국 중에서 가장 높은 수준이다.[9]

캐나다에는 공식적인 정부 정의와 그에 따른 빈곤 측정 방식이 없다. 그러나 ''캐나다의 빈곤: 건강 및 삶의 질에 대한 영향''의 저자인 데니스 라파엘[10][11]유엔 개발 계획(UNDP), 유엔 아동 기금(UNICEF), OECD 및 캐나다 빈곤 연구자들이[12][13] 상대적 빈곤이 "캐나다와 같은 부유한 선진국에서 빈곤율을 파악하는 데 가장 유용한 척도"라고 밝히고 있다고 보고했다.[9][14][15][16]

2. 1. 다양한 기본적 욕구 목록

크리스 사를로(Chris Sarlo) 교수는 캐나다 니피싱 대학교의 경제학자이자 프레이저 연구소의 선임 연구원으로, 캐나다 통계청의 자료를 사용하여 가구 필수품 목록의 비용을 결정했다. 이 목록에는 다음 항목들이 포함된다.[7]

항목
식품
주거
의류
의료
개인 위생 용품
필수 가구
교통
통신
세탁
주택 보험
기타 항목



캐나다에서는 모든 주민에게 교육이 무상으로 제공된다고 가정한다. 이 목록은 캐나다 전역의 다양한 지역 사회에 대해 계산되고 가족 규모에 맞게 조정된다. 이 정보를 바탕으로 사를로 교수는 해당 필수품을 구매할 소득이 부족한 캐나다 가구의 비율을 결정한다. 그의 기본적 욕구 빈곤 기준선에 따르면, 캐나다의 빈곤율은 1970년대 이후 약 12%에서 약 5%로 감소했다.[7]

그러나 경제 협력 개발 기구(OECD)와 유엔 아동 기금(UNICEF)은 상대적 빈곤 기준선을 사용하여 캐나다의 빈곤율을 훨씬 더 높게 평가한다. 사를로가 거부하는 캐나다 통계청의 LICO도 더 높은 빈곤율을 초래한다.[8] 데니스 라파엘은 유엔 개발 계획(UNDP), 유엔 아동 기금(UNICEF), 경제 협력 개발 기구(OECD) 및 캐나다 빈곤 연구자들이[12][13] 상대적 빈곤이 "캐나다와 같은 부유한 선진국에서 빈곤율을 파악하는 데 가장 유용한 척도"라고 밝히고 있다고 보고했다.[9][14][15][16]

미국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연간 12760USD를 버는 개인은 빈곤선 이하로 간주된다.[18] 이 금액은 생활비, 교통비, 공과금, 식비, 의류비를 충당하기에 충분하다고 본다. 미국 인구의 13.1%가 빈곤선 이하로 보고되고 있다.[19]

3. 캐나다의 기본적 욕구 보장 현황

캐나다에서는 빈곤을 측정하는 방식과 기본적 욕구 보장 정책에 대해 다양한 논쟁이 존재한다. 특히 경제학자 크리스 사를로(Chris Sarlo)가 제시하는 기본적 욕구 빈곤선과 캐나다 통계청, 경제 협력 개발 기구(OECD) 등에서 사용하는 상대적 빈곤 척도 간의 차이가 크다. 캐나다는 공식적인 정부 정의의 빈곤 측정 방식은 없지만, 빈곤 연구자들은 상대적 빈곤이 더 유용한 척도라고 주장한다.[12][13]

3. 1. 크리스 사를로의 기본적 욕구 빈곤선

프레이저 연구소의 선임 연구원이자 니피싱 대학교의 경제학자인 크리스 사를로(Chris Sarlo) 교수는 캐나다 통계청의 사회경제 데이터베이스, 특히 '가계 지출 조사'를 사용하여 가구 필수품 목록의 비용을 결정한다. 이 목록에는 식품, 주거, 의류, 의료, 개인 위생 용품, 필수 가구, 교통, 통신, 세탁, 주택 보험 및 기타 항목이 포함되며, 캐나다의 모든 주민에게 교육이 무상으로 제공된다고 가정한다.[7]

이러한 정보를 바탕으로, 그는 해당 필수품을 구매할 소득이 부족한 캐나다 가구의 비율을 결정한다. 그의 기본적 욕구 빈곤 기준선에 따르면, 캐나다의 빈곤율은 1970년대 이후 약 12%에서 약 5%로 감소했다.[7] 이는 캐나다 통계청, 캐나다 컨퍼런스 보드, 경제 협력 개발 기구(OECD) 및 유네스코 보고서의 결과와는 뚜렷한 대조를 이룬다. 이들 기관은 캐나다와 같은 선진 산업 국가에 가장 유용하다고 여겨지는 상대적 빈곤 척도를 사용하며, 사를로는 이를 거부한다.[8]

OECD와 유엔 아동 기금(UNICEF)는 상대적 빈곤 기준선을 사용하여 캐나다의 빈곤율을 훨씬 더 높게 평가한다. 사를로가 거부하는 캐나다 통계청의 LICO(저소득층 기준)도 더 높은 빈곤율을 초래한다. 경제 협력 개발 기구(OECD)의 2008년 보고서에 따르면, 캐나다의 빈곤율은 세계에서 가장 부유한 산업 국가인 OECD 회원국 중에서 가장 높은 수준이다.[9]

캐나다에는 공식적인 정부 정의와 그에 따른 빈곤 측정 방식이 없다. 그러나 '캐나다의 빈곤: 건강 및 삶의 질에 대한 영향'의 저자인 데니스 라파엘은[10][11] 유엔 개발 계획(UNDP), 유엔 아동 기금(UNICEF), 경제 협력 개발 기구(OECD) 및 캐나다 빈곤 연구자들이[12][13] 상대적 빈곤이 "캐나다와 같은 부유한 선진국에서 빈곤율을 파악하는 데 가장 유용한 척도"라고 밝히고 있다고 보고했다.[9][14][15][16]

3. 2. 상대적 빈곤 측정 방식과의 비교

크리스 사를로는 캐나다 통계청의 사회경제 데이터베이스, 특히 ''가계 지출 조사''를 사용하여 가구 필수품 목록의 비용을 결정하는 방식으로 기본적 욕구 충족 여부를 판단한다. 반면, 캐나다 통계청, 캐나다 컨퍼런스 보드, 경제 협력 개발 기구(OECD), 유엔 교육 과학 문화 기구 보고서는 상대적 빈곤 척도를 사용하는데, 사를로는 이러한 상대적 빈곤 척도를 거부한다.[8]

OECD와 유엔 아동 기금은 상대적 빈곤 기준선을 사용하여 캐나다의 빈곤율을 사를로보다 훨씬 더 높게 평가한다. 사를로가 거부하는 캐나다 통계청의 LICO(저소득층 기준) 역시 더 높은 빈곤율을 나타낸다. OECD의 2008년 보고서에 따르면, 캐나다의 빈곤율은 OECD 회원국 중에서 가장 높은 수준이다.[9]

데니스 라파엘은 유엔 개발 계획(UNDP), 유엔 아동 기금(UNICEF), OECD 및 캐나다 빈곤 연구자들이[12][13] 상대적 빈곤이 "캐나다와 같은 부유한 선진국에서 빈곤율을 파악하는 데 가장 유용한 척도"라고 밝히고 있다고 보고했다.[9][14][15][16]

3. 3. 캐나다의 빈곤율 논쟁

프레이저 연구소의 선임 연구원이자 니피싱 대학교의 경제학자인 크리스 사를로(Chris Sarlo) 교수는 캐나다 통계청의 사회경제 데이터베이스, 특히 ''가계 지출 조사''를 사용하여 가구 필수품 목록의 비용을 결정한다. 이 목록에는 식품, 주거, 의류, 의료, 개인 위생 용품, 필수 가구, 교통, 통신, 세탁, 주택 보험 및 기타 항목이 포함되며, 캐나다의 모든 주민에게 교육이 무상으로 제공된다고 가정한다. 그는 이 정보를 바탕으로 필수품을 구매할 소득이 부족한 캐나다 가구의 비율을 계산한다. 그의 기본적 욕구 빈곤 기준선에 따르면, 캐나다의 빈곤율은 1970년대 이후 약 12%에서 약 5%로 감소했다.[7]

이는 캐나다 통계청, 캐나다 컨퍼런스 보드, 경제 협력 개발 기구(OECD) 및 유엔 교육 과학 문화 기구(UNESCO) 보고서의 결과와는 뚜렷한 대조를 이룬다. 이들 기관은 캐나다와 같은 선진 산업 국가에 가장 유용하다고 여겨지는 상대적 빈곤 척도를 사용하며, 사를로는 이를 거부한다.[8] OECD와 유엔 아동 기금(UNICEF)은 상대적 빈곤 기준선을 사용하여 캐나다의 빈곤율을 훨씬 더 높게 평가한다. 사를로가 거부하는 캐나다 통계청의 LICO(저소득층 기준)도 더 높은 빈곤율을 초래한다. 경제 협력 개발 기구(OECD)의 2008년 보고서에 따르면, 캐나다의 빈곤율은 세계에서 가장 부유한 산업 국가인 OECD 회원국 중에서 가장 높은 수준이다.[9]

캐나다에는 공식적인 정부 정의와 그에 따른 빈곤 측정 방식이 없다. 그러나 ''캐나다의 빈곤: 건강 및 삶의 질에 대한 영향''의 저자인 데니스 라파엘은[10][11] 유엔 개발 계획(UNDP), 유엔 아동 기금(UNICEF), 경제 협력 개발 기구(OECD) 및 캐나다 빈곤 연구자들이[12][13] 상대적 빈곤이 "캐나다와 같은 부유한 선진국에서 빈곤율을 파악하는 데 가장 유용한 척도"라고 밝히고 있다고 보고했다.[9][14][15][16]

4. 미국의 기본적 욕구 보장 현황

미국에서는 빈곤층을 지원하기 위한 SNAP, WIC, HFFI 등 다양한 프로그램이 운영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프로그램들은 지원 대상에서 제외되는 품목이 있거나, 문제의 근본적인 원인인 소득 불균형을 해결하지 못한다는 비판을 받기도 한다.[25][23]

4. 1. 미국의 빈곤선

미국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연간 12760USD를 버는 개인은 빈곤선 이하로 간주된다.[18] 이 금액은 생활비, 교통비, 공과금, 식비, 의류비를 충당하기에 충분하다. 미국 인구의 13.1%가 빈곤선 이하로 보고되고 있다.[19]

4. 2. 정부 지원 프로그램

미국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연 소득 12760USD를 버는 개인은 빈곤선 이하로 간주된다.[18] 2020년 기준 미국 인구의 13.1%가 빈곤선 이하로 보고되고 있다.[19]

미국에서는 빈곤층을 지원하기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이 운영되고 있다. 대표적인 프로그램으로는 SNAP, WIC, HFFI 등이 있다.

  • '''SNAP''': 저소득층 가구에 식품 구매를 위한 바우처를 제공한다.
  • '''WIC''': 저소득층 여성, 영아, 아동에게 영양가 있는 식품과 건강 관리 서비스를 제공한다.
  • '''HFFI''': 저소득층 지역에 식료품점 설립을 지원하고 건강한 식품 접근성을 높인다.


이러한 프로그램들은 빈곤층의 식량 불안정 문제를 완화하고 건강을 증진하는 데 기여하고 있지만, 한계점도 존재한다. 예를 들어, SNAP은 위생 용품과 같은 필수적인 기본 욕구를 충족시키기에는 부족하다는 비판을 받는다.[25] HFFI는 식량 불안정 문제를 지나치게 지리적인 문제로만 접근한다는 비판을 받기도 한다.[23]

4. 2. 1. SNAP (식품 지원 보충 프로그램)

식품 지원 보충 프로그램(SNAP, 이전에는 식품권 프로그램으로 알려짐)은 연방 빈곤 기준의 130% 이내의 소득을 가진 가구에 식품 바우처를 배포하는 제도이다. 이 프로그램은 저소득 근로자, 실업자 및 장애인 가구주를 포함하여 약 4천만 명의 사람들을 지원한다.[20] 자격이 되는 사람은 누구나 혜택을 받을 수 있다.

SNAP의 이전 이름인 식품권 프로그램은 1939년 루스벨트 대통령 행정부 하에서 임시 프로그램으로 시작되었으며, 수혜자들이 잉여 식품을 구매할 수 있도록 했다. 미국 농무부(USDA)에 따르면 이 아이디어는 농무부 장관이었던 헨리 월리스와 프로그램의 초대 관리자인 마일로 퍼킨스에게서 나왔다. 1943년부터 1961년까지 프로그램이 중단된 후, 식품권 프로그램은 점차 확대되어 1964년 존슨 대통령 재임 기간 동안 영구적인 프로그램이 되었다. 이 프로그램은 전국적으로 확대되어 더 많은 사람들을 수용하고 접근성을 높였다. 1980년대에 정부는 미국의 극심한 식량 불안정 문제를 해결하여 식품권에 대한 판매세 폐지와 같은 개선을 이끌었다. SNAP은 노숙자에게도 자격이 주어졌고 영양 교육을 포함한 자원이 증가했다. 2013년은 수혜자 수가 가장 높은 해였으며, 2017년에는 4,200만 명으로 점차 감소했다.[20]

SNAP은 정부의 농업법의 가장 큰 부분이며, 이는 5년마다 의회에서 통과된다. 의회는 2018년 농업법을 통과시켜 주로 SNAP에 6640억달러를 할당했다.[20] SNAP은 참여 가구가 빈곤선 이하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데 도움이 된다. USDA의 데이터에 따르면 SNAP에 참여하는 어린이는 더 긍정적인 건강 효과와 경제적 결과를 얻는다고 한다. SNAP 수혜자의 10%가 빈곤선 위로 올라가는 것으로 보고되었으며, 특히 여성의 경제적 자립도가 높아졌다.[21] 또한, 마크 잔디의 연구에 따르면 식품권 지급액이 1달러 증가하면 GDP도 1.73달러 증가한다고 한다.[22]

그러나 SNAP의 현재 혜택은 자금 삭감 및 자격 요건 제한 제안으로 위협받고 있다. 최근 통과된 농업법에서 약 200만 명에게 영향을 미칠 자격 요건 제한 및 혜택 감소 시도가 있었다. 초당적 지원으로 인해 총 자금이 유지되었고 제안이 시행되는 것을 막았다.[21] 1990년대 중반에 의회는 장애가 있거나 자녀를 양육하지 않는 실업 성인에게 시간 제한을 부과했다. 2014년에는 공화당 의원들이 향후 10년 동안 프로그램 자금의 5%, 약 400억달러를 삭감하려 했다. 이는 통과되지 않았지만, 자금은 여전히 1%, 즉 86억달러 삭감되어 프로그램에 제한을 가했다. 2017년에는 하원 의원들이 2026년까지 SNAP 자금에서 1500억달러를 삭감할 것을 제안했다. 그러나 삭감은 시행되지 않았고 원래 예산 금액이 유지되었다.[23]

옥스퍼드 학술 저널인 《사회 사업(Social Work)》에서 사회주의 옹호자인 아드리아나 플로레스는 SNAP과 같은 정부 프로그램의 한계를 지적한다.[25] 플로레스는 정부가 SNAP을 통해 식량 불안 문제를 겪는 사람들을 돕고 있지만, 위생 용품과 같은 중요한 기본 욕구는 지원 대상에서 제외되어 저소득층이 위생 용품 구입과 기타 생활비 지불 사이에서 선택을 강요받고 있다고 말한다.

4. 2. 2. WIC (여성, 영아 및 아동을 위한 특별 보충 영양 프로그램)

여성, 영아 및 아동을 위한 특별 보충 영양 프로그램(WIC 프로그램)은 건강 문제 위험에 처한 저소득층 여성, 영아 및 아동에게 건강 관리, 영양 정보, 영양가 있는 식품을 제공한다.[24] WIC는 SNAP과 달리, 정부가 특정 금액의 자금으로 운영하는 연방 보조금 프로그램이므로 자격이 있는 모든 사람이 혜택을 받는 것은 아니다. WIC는 1972년에 처음 도입되어 1974년에 영구화되었다.[24]

이 프로그램은 매달 약 730만 명의 참가자를 지원하며, 미국에서 태어나는 영아의 53%를 지원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2017년 연간 비용은 56억달러였다.[21] SNAP과 마찬가지로, WIC는 참가자에게 매우 효과적인 것으로 연구되었다. WIC의 혜택은 조산 및 영아 사망 감소, 저체중 출생 발생 감소와 관련이 있다.[21] 경제적으로 WIC에 투자된 1USD당 1.77USD에서 3.13USD의 의료 비용이 절감된다.[21]

4. 2. 3. HFFI (건강한 식품 자금 지원 계획)

건강한 식품 자금 지원 계획(HFFI, Healthy Food Financing Initiative)은 저소득층 지역사회의 식료품점 체인 개발과 영양가 있는 식품 접근성 개선을 목표로 하는, 빈곤의 지역 기반 이론을 다룬다.[23] 2000년대 초반, 식료품점과 영양가 있는 식품에 접근할 수 없는 저소득층 지역 사회를 칭하는 식량 사막이라는 비유는 건강 불균형과 연결되었다.[23] 2,900만 명 이상의 미국 거주자가 식량 사막과 유사한 지역에 거주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23] 식량 사막의 개념은 빈곤의 공간적 이유와 점점 더 연관되고 있으며, 이러한 지역 사회의 영양 문제를 야기하는 주요 원인으로 이해되었다. 2010년, 버락 오바마 대통령은 HFFI를 도입했으며, 이는 2014년 농업법을 통해 의회를 통과했다.[23]

《국제 도시 및 지역 연구 저널》에서 로라 울프-파워스(Laura Wolf-Powers)는 HFFI를 비판하며, 이러한 정책이 식량 불안정의 기원을 주로 지리적인 이유에서 비롯된 것으로 암시한다고 주장한다.[23] 그녀와 다른 학자들은 소득 중심 정책이 훨씬 더 효과적일 것이라고 주장한다.[26] 울프는 저소득층 가구가 식량 사막에 거주하는 경향이 더 크다는 증거를 제시한다. 이는 그들을 건강 문제와 영양 결핍에 더 취약하게 만든다. 저소득층 주민들의 쇼핑 행동을 직접 조사한 연구에 따르면, 그들의 쇼핑 결정은 단순히 상점의 위치보다 가격, 품질, 직원, 그리고 다른 쇼핑객과의 유사성에 더 의존한다.[23] 이 연구들은 소득이 거리보다 더 시급한 이유임을 보여준다. 이러한 연구와 개혁 요구에도 불구하고, 이 저널은 정부가 소득 재분배 및 임금 최저선에 대한 정책 개혁을 꺼리고 있음을 보여준다.[23] 학자들은 2016년, 19개 주가 최저 임금을 설정하여 경제적 자립도를 높였을 때 긍정적인 변화를 감지했다.[23] 이 연구는 소득 정책에 대한 투자를 피하고 정부의 공간적 접근 방식을 비판하며, 식량 불안정의 주요 원인을 소득 부족으로 규정한다.

4. 3. 비정부적 대응: 대학 캠퍼스 푸드 팬트리

대학 캠퍼스 내 푸드 팬트리는 지역 사회에서 시작된 또 다른 프로젝트이다. 푸드 팬트리는 무상으로 음식을 제공하고 학생들의 식량 불안정을 줄이기 위해 만들어졌다. 2008년, 증가하는 학비로 인해 학생 문제 전문가들은 학생들의 식량 불안정과 노숙 문제를 인식하게 되었다.[27] 특히 전문대학을 중심으로, 미국 대학생의 5분의 1에서 3분의 2에 달하는 학생이 식량 불안정 또는 노숙을 경험하는 사례가 증가했다.[27] 이는 흑인 및 라틴계 커뮤니티, 소득 20000USD 미만의 가구 학생, 부양가족이 있는 학생, 전 위탁 청소년에게서 더 흔하게 나타났다. 이들은 식사를 거르거나, 일반적으로 가공식품과 건강에 좋지 않은 저렴한 음식을 구매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이러한 푸드 팬트리는 식량 불안정을 직접 경험하고 식량 안보를 개선하기 위해 옹호한 학생 리더들에 의해 설립되었다. 학술 저널인 ''New Directions for Community Colleges''에서 재럿 굽턴은 푸드 팬트리와 학생들에게 도움이 되는 다른 해결책들을 관찰했다. 푸드 팬트리는 식량, 직원, 운영 시간의 제약으로 인해 한계가 있으므로, 굽턴은 학생들의 식량 관련 지식을 높이고, 지역 사회 정원, 협동조합을 활용하며, 캠퍼스 내 저렴한 식사 계획을 갖출 것을 제안한다.[27] 이러한 비정부적 접근 방식은 대중에게 유익하고 이러한 기본적 욕구 문제에 대한 인식을 확산시키지만, 이러한 프로젝트는 제한적이며 도움이 필요한 모든 사람에게 도달할 수 없다. 이 문제는 정부 개혁에 대한 논쟁과 기본적 욕구 불안정을 해결하기 위한 개발에 대한 권리 기반 접근 방식의 채택으로 이어진다.

5. 한국의 기본적 욕구 보장 현황

이전 결과물이 제공되지 않았고, 원본 소스도 없는 상황이므로 수정할 내용이 없습니다. 따라서 아무것도 출력할 수 없습니다.

6. 기본적 욕구 보장과 사회 발전

기본적 욕구 보장은 개인의 삶의 질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사회 전체의 발전과 통합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사회 구성원들의 기본적 욕구가 충족되면, 이들은 더욱 건강하고 생산적인 활동에 참여할 수 있게 된다. 이는 경제 성장, 교육 수준 향상, 범죄율 감소 등 사회 전반의 긍정적인 변화로 이어진다. 또한, 기본적 욕구 보장은 사회적 불평등을 완화하고, 모든 구성원이 사회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사회 통합을 강화한다.

참조

[1] 웹사이트 The World Employment Programme at ILO http://www.ilo.org/w[...] 2013-06-19
[2] 논문 The World Employment Conference: The Enthronement of Basic Needs 1976-10
[3] 서적 Society and the official world: a reintroduction to sociology General Hall
[4] 논문 Basic Needs and its Critics http://opendocs.ids.[...] 1978-06
[5] 서적 Encyclopedia of Food and Agricultural Ethics Springer Netherlands
[6] 웹사이트 United Nations Divis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Sustainable Development Issues - Poverty https://www.un.org/e[...] United Nations 2008-06-20
[7] 웹사이트 Poverty in Canada: 2006 Update https://www.fraserin[...] 2013-05-21
[8] 문서
[9] 웹사이트 Growing unequal? Income distribution and poverty in OECD countries https://www.oecd.org[...] Organis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OECD)
[10] 서적 Poverty in Canada: Implications for Health and Quality of Life https://archive.org/[...] Canadian Scholars Press 2007-04-13
[11] 서적 Poverty in Canada: Implications for Health and Quality of Life http://www.cspi.org/[...] Canadian Scholars Press
[12] 문서
[13] 웹사이트 Child Poverty http://www.conferenc[...] Conference Board of Canada
[14] 논문 Poverty, Human Development, and Health in Canada: Research, Practice, and Advocacy Dilemmas 2009-06
[15] 간행물 Child poverty in rich nations: Report card no. 6 UNICEF#Innocenti Research Centre
[16] 간행물 Human development report: Capacity development: Empowering people and institutions United Nations Development Program
[17] 뉴스 Canada falling behind on poverty, inequality, says report of Canada ranked 7th out of 17 developed countries https://www.cbc.ca/n[...] CBC 2013-02
[18] 웹사이트 Poverty Guidelines https://aspe.hhs.gov[...] 2020-05-17
[19] 웹사이트 Explore Census Data https://data.census.[...] 2020-05-17
[20] 웹사이트 A Short History of SNAP {{!}} USDA-FNS https://www.fns.usda[...] 2020-05-17
[21] 논문 Primer on US Food and Nutrition Policy and Public Health: Food Assistance 2019-07
[22] 웹사이트 Assessing the Macro Economic Impact of Fiscal Stimulus 2008 https://www.economy.[...] 2020-05-17
[23] 논문 Food Deserts and Real-Estate-Led Social Policy: FOOD Deserts and Real-Estate-Led Social Policy 2017-05
[24] 웹사이트 About WIC-WIC's Mission {{!}} USDA-FNS https://www.fns.usda[...] 2020-05-17
[25] 논문 Gap in Basic Needs Products and One Project's Attempt to Help https://academic.oup[...] 2018-07-01
[26] 논문 When Generosity Harms Health Care and Public Health 2019-07
[27] 논문 Food Pantries as a Gateway for Academic Enhancement and Basic Needs Support: Food Pantries as a Gateway for Academic Enhancement 2018-1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