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김락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김락희는 일제강점기 평안남도 개천군 출신으로, 인민경제대학을 졸업하고 개천군협동농장 관리위원장, 최고인민회의 대의원, 당 중앙위원회 위원, 내각 부총리 등을 역임한 북한의 정치인이다. 1950년대부터 농업 분야에서 경력을 쌓았으며, 2010년 내각 부총리에 임명되고 당 중앙위원회 정치국원 후보에 선출되었으나, 2012년 부총리에서 해임되었다. 2013년 사망했으며, 김정은으로부터 화환을 받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개천시 출신 - 김해송
    김해송은 일제강점기부터 광복 이후까지 활동하며 '재즈의 귀재'로 불린 작곡가, 가수, 지휘자로, 수많은 히트곡을 작곡하고 KPK악극단을 결성하는 등 활발하게 활동했지만, 친일 행적과 한국 전쟁 중 납북으로 사망한 사실로 논란이 된 인물이며, 가수 이난영의 남편이자 김시스터즈와 김브라더즈의 아버지이다.
  • 경주 김씨 - 김만제
    김만제는 1934년생으로 미주리대학교 경제학 박사 출신이며 한국개발연구원 원장, 재무부 장관, 부총리 겸 경제기획원 장관 등 주요 직책을 거쳐 한국 경제 정책 수립에 기여한 경제학자이자 관료, 기업인, 정치인으로, 삼성생명과 포항제철 회장을 역임하고 국회의원으로도 활동하며 은탑산업훈장, 국민훈장 무궁화장, 청조근정훈장 등을 수훈했다.
  • 경주 김씨 - 김석휘
    김석휘는 1935년 충북 청주 출생으로 서울대학교 법학과를 졸업하고 검찰총장, 법무부 장관을 역임했으며, 현재는 학교법인 홍익학원 이사로 재직 중이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정치인 - 김조국
    김조국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정치인으로, 2019년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위원 겸 당 중앙군사위원회 위원으로 선출되었으며, 당 조직지도부 제1부부장으로 임명되었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정치인 - 박헌영
    박헌영은 일제강점기 사회주의 운동가이자 독립운동가, 정치인으로, 조선공산당 창당에 참여하고 해방 후 조선공산당 재건에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했으나, 한국 전쟁 이후 김일성 정권에 의해 처형되어 그의 생애와 활동은 논란과 재평가의 대상이 되고 있다.
김락희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 (한국어)김락희
이름 (한자)金洛姬
로마자 표기Gim Rakhui
출생 및 사망
출생일1933년 11월 11일
출생지개천시, 평안남도
사망일2013년 2월 (79세)
사망 원인알 수 없음
학력
출신 학교인민경제대학
정치 경력
소속 정당조선로동당
최고인민회의 대의원7회
최고인민회의 대의원 임기1957년 8월 - 1977년 11월
1990년 4월 - 1998년 7월
2009년 3월 - 2013년 2월
국가수의비상방역위원회 위원장 임기2011년 2월 - 2013년 2월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정치국 위원 후보 임기2010년 9월 - 알 수 없음
내각 부총리 임기2010년 6월 7일 - 2012년 4월
황해남도 당위원회 책임서기 임기2005년 6월 - 2010년 6월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위원 후보 임기1980년 11월 - 알 수 없음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위원 임기1970년 11월 - 알 수 없음
2010년 9월 - 알 수 없음
수상
훈장노력영웅
김일성훈장
김정일훈장
국기훈장 (1급)

2. 생애

김락희는 1938년 일제강점기 평안남도 개천시에서 태어나 인민경제대학을 졸업했다.[7] 협동농장관리위원장, 군협동농장경영위원장, 도농촌경리위원장, 당중앙위원회 부부장을 거쳐 황남도당 책임비서를 역임했다.[11]

1965년 개천군 당위원회 위원장에 취임했고, 1970년 11월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위원으로 선출되었다.[7]

2010년 6월 내각부총리에 임명되었고, 같은 해 9월 조선로동당 대표회의에서 당중앙위원회 정치국 후보위원으로 선임되었다.[11] 2011년 북한에서 구제역이 발생했을 때 국가수의비상방역위원회 위원장을 맡았다.[7][10] 2012년 내각 부총리에서 해임되어 내각 명예참사에 취임하며 일선에서 물러났다.[6]

2013년 2월 사망했으며, 김정은 제1비서가 화환을 전달했다.[6]

2. 1. 초기 생애 (1933-1953)

김락희는 1933년 11월 11일 일제강점기 평안남도 개천군에서 태어났다.[6][7] 인민경제대학을 졸업하고, 1953년에 개천군협동농장 관리위원장에 취임했다.[7]

2. 2. 농업 분야 경력 (1953-2010)

김락희는 한국 전쟁 중 식량 배급을 감독하였고, 이 공로로 김일성의 주목을 받았다.[4] 1953년 8월 평안남도 봉화농업협동조합의 총경리자가 되었다.[2] 개천 지역의 농장 재건 노력을 주도하여 1955년 로력영웅 칭호를 받았다.[4] 1962년 9월 개천 봉화농업협동조합의 위원장이 되었다.[2]

1970년 11월 제5차 당대회에서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위원이 되었다. 1980년 10월 제6차 당대회에서 후보위원으로 강등되었다.[2][4] 1984년 11월 개성시 시 인민위원회 위원장이 되었다. 1990년 4월 평안남도 농촌 관리 위원회 위원장으로 임명되었다. 1997년 9월에 그 직에서 해임되었지만,[2] 같은 해 당 농업부 부부장이 되었고, 평안남도 위원회의 고문 역할을 계속했다. 2005년 6월 황해남도 도당 책임비서가 되었다.[4]

1953년 개천군협동농장 관리위원장에 취임했고[7], 1971년 자강도 농촌경리위원회 위원[7], 1977년 황해북도 농촌경리위원회 위원장을 역임했다.[7] 1984년 개성시 농촌경리위원회 위원장[7], 1988년 평안남도 농촌경리위원회 위원장을 역임했고[7], 1997년 동 위원회 고문에 취임했다.[7]

2. 3. 정치 경력 (1957-2012)

김락희는 1957년 제2기 최고인민회의 대의원으로 선출되었다.[4] 이후 제3기 최고인민회의(1962년), 제4기 최고인민회의(1967년), 제5기 최고인민회의(1972년)까지 연임했고, 제9기 최고인민회의(1990년), 제11기 최고인민회의(2003년), 제12기 최고인민회의에 다시 선출되었다.[2][4]

1970년 11월 제5차 당대회에서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위원이 되었다. 1980년 10월 제6차 당대회에서는 후보위원으로 강등되었다.[2][4] 1984년 11월 개성시 인민위원회 위원장이 되었다. 1990년 4월 평안남도 농촌 관리 위원회 위원장으로 임명되었으나, 1997년 9월 해임되었다.[2] 같은 해 당 농업부 부부장이 되었지만, 평안남도 위원회 고문 역할은 계속했다. 2005년 6월 황해남도 도당 책임비서가 되었다.[4]

2010년 제3차 당대표자회에서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정치국 위원으로 임명되었고, 당내 비공식 서열 27위였다. 2010년 6월 7일 제12기 최고인민회의 제3차 회의에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부총리 6명 중 한 명으로 임명되었다.[4] 이는 여러 지방 정치인들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내각의 중요 직책으로 승진시키기 위한 개편의 일환이었다. 부총리 재임 기간 동안 여러 공식 석상에 나타났으며, 구제역과 같은 가축전염병 발생을 막기 위한 내각 위원회를 운영했다.[4] 내각은 그녀에게 명예 고문 칭호도 수여했다.[3]

김일성 사망(1994년) 이후 그의 장의위원회에 참여했고, 이듬해 오진우 장의위원회에도 참여했다.[2] 조명록 장의위원회에서는 24번째, 2011년 김정일 사망 장의위원회에서는 21번째로 높은 서열이었다.

2. 4. 몰락과 죽음 (2012-2013)

김락희는 2012년 3월 초 국제 여성의 날 행사에 참석한 것을 마지막으로 공식 석상에서 모습을 감췄다.[4] 그해 4월, 제12기 최고인민회의 제5차 회의에서 부총리직에서 해임되었고,[5] 조선로동당 제4차 당대표자회에서는 정치국에서 제외되었다. 김락희의 몰락은 김정은의 권력 강화를 위한 인적 쇄신의 일환으로 추측되었다.[4] 북한 전문가 알렉산드르 만수로프는 그녀를 "김정은의 신뢰를 얻거나 가치를 증명하는 데 실패한 잔류 세력" 중 한 명으로 꼽았다. 조선중앙통신이 2013년 2월 18일 김락희의 사망을 보도한 후, 그녀의 해임은 건강 문제로 알려졌다. 김정은은 그녀의 장례식에 조화를 보냈다.[4] 생전에 그녀는 노력영웅 칭호 외에 김일성 훈장, 김정일 훈장, 국기훈장 1급을 수여받았다.[3]

참조

[1] 웹사이트 김락희(여성) http://nkinfo.unikor[...] Ministry of Unification 2019-05-28
[2] 서적 North Korea Handbook https://books.google[...] Yonhap News Agency
[3] 웹사이트 Kim Rak Hui, Initiator of Plowwoman Movement http://kcna.co.jp/it[...] 2013-02-20
[4] 웹사이트 Former DPRK Vice Premier Kim Rak Hui Dies (updated on 20 February) https://nkleadership[...] 2018-05-31
[5] 웹사이트 Pregaming the 12th SPA's 6th Session (revised) https://nkleadership[...] 2018-06-01
[6] 뉴스 北 김락희 전 부총리 사망…김정은 조화 https://www.yna.co.k[...] 聯合ニュース 2013-02-18
[7] 웹사이트 김락희 金洛姬 http://www.cybernk.n[...]
[8] 뉴스 金平海書記も交替…権力改変の信号か https://dailynk.jp/a[...] デイリーNK 2010-09-27
[9] 뉴스 党代表者会を通じ大々的な人事改変 https://dailynk.jp/a[...] デイリーNK 2010-09-29
[10] 뉴스 통일부 “北 구제역 지원, 검토하고 있지 않다” https://www.dailynk.[...] デイリーNK 2011-02-11
[11] 웹인용 당대표자회, 40년대 해방전후 차세대 기수 전면 등장 http://www.tongilnew[...] 통일뉴스 2011-10-0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