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정치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정치국은 조선로동당의 정책 결정 기구로, 당 중앙위원회 전체회의가 열리지 않을 때 활동을 수행하며 주요 사안을 결정한다. 김일성 시대에는 거수기로 변모하였으나, 김정은 집권 이후 핵심 기구로 부활했다. 정치국은 상무위원, 위원, 후보위원으로 구성되며, 2024년 5월 기준 16명의 정위원과 12명의 후보위원으로 구성되어 있다. 잦은 인적 교체와 숙청으로 김정은의 권력 강화 도구로 활용된다는 비판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 조선로동당 중앙군사위원회
조선로동당 중앙군사위원회는 조선로동당의 군사 정책 결정 및 조선인민군 지휘의 핵심 기구로서 김일성, 김정일을 거쳐 김정은 시대에 이르러 권한과 역할이 강화되었으며, 군사 및 안보 분야의 모든 권한을 가지고 비민주적인 의사결정 구조와 투명성 결여로 한반도 및 동북아시아 지역의 긴장을 고조시킨다는 비판을 받는다. -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 조선로동당 통일전선부
조선로동당 통일전선부는 남북 관계 첩보 활동, 외교 및 정책 결정을 담당하는 핵심 부서로, 대남 심리전, 해외 교포 및 위장 단체 관리, 대남 공작 등의 기능을 수행하며 조총련을 통해 일본 내 친북 활동을 지원하고 정보를 수집했으나, 김정은 시대에 조직 개편 및 기능 조정이 이루어져 현재는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제10국으로 개편되었다는 보고가 있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김조국
김조국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정치인으로, 2019년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위원 겸 당 중앙군사위원회 위원으로 선출되었으며, 당 조직지도부 제1부부장으로 임명되었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광복절
광복절은 대한민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 기념하는 날로서, 대한민국에서는 1945년 8월 15일 일제강점기에서 벗어난 것을 기념하여 국경일 및 공휴일로 지정하고,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는 조국해방의 날로 기념한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정치 - 김조국
김조국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정치인으로, 2019년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위원 겸 당 중앙군사위원회 위원으로 선출되었으며, 당 조직지도부 제1부부장으로 임명되었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정치 - 조선로동당
조선로동당은 1945년 평양에서 창당되어 김일성이 북조선공산당 북조선분국 위원장으로 추대된 후 여러 정당과의 통합을 거쳐 현재의 명칭을 갖게 되었으며, 주체사상을 유일 지도 이념으로 하여 북한 사회의 모든 분야에 막대한 영향력을 행사한다.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정치국 | |
---|---|
개요 | |
지위 |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와 상무위원회 사이의 조선로동당 집행 기구 |
선출 | 중앙위원회에서 선출 |
책임 대상 | 중앙위원회 |
구성원 | 17명 |
정보 | |
원어명 | }} |
한자 표기 | 朝鮮勞動黨 中央委員會 政治局 |
로마자 표기 | Joseon Rodongdang Jungang Wiwonhoe Jeongchiguk |
정치 | |
관련 정당 | 조선로동당 |
지도부 | |
직책 | 상무위원과 중앙위원회 책임 비서에게 책임이 있음 |
책임자 | 상무위원회와 비서국 |
웹사이트 | |
웹사이트 | 해당사항 없음 |
2. 역사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정치국은 1946년 조선로동당 창당과 함께 설치되었으며, 1956년 4월까지는 정무원이라고 불렸다.[1]
2. 1. 정치국의 변화
김일성의 단일 지배 체제가 1960년대에 확립된 이후, 정치국은 정책을 논의하는 의사 결정 기구에서 거수기로 변모하였다. 주요 구성원들이 설명 없이 사라졌으며, 마지막은 1977년의 김동규였다.[1] 김일성과 김정일 시대의 정치국 구성원들은 강력한 기반이 부족했고, 그들의 지위는 당 지도자에게 의존했다.[1] 이 때문에 정치국은 당 지도자의 충실한 종이 되었다.[1]조선로동당 정치국 상무위원회는 1980년 제6차 당대회에서 설립되었으며, 정치국과 중앙위원회가 휴회 중일 때 최고 기구가 되었다.[2] 1995년 오진우의 사망으로, 김정일은 생존해 있는 정치국 상무위원회의 유일한 구성원으로 남게 되었다.[2] 다른 4명 (김일성, 김일, 오진우, 리종옥)은 재임 중 사망했다.[2] 오진우 사망 이후 제3차 당대회까지 김정일이나 당 중앙 지도부가 상무위원회 구성을 갱신할 계획이라는 보고는 없었다.[2]
김정일 통치 기간 동안 정치국은 중앙위원회와 마찬가지로 대부분 휴면 상태였다.[3] 그러나 제3차 당대회에서 새로운 정치국 위원들을 선출했다.[3] 많은 외국의 관찰자들은 이것이 세대 교체를 의미한다고 믿었지만, 그렇지 않았다.[3] 가장 젊은 위원은 53세였고, 평균 연령은 74세였다(12명은 80세 이상).[3] 새로운 위원들의 대다수는 김정일의 측근이거나 김씨 일가 구성원들이었다.[3] 김경희 (김정일의 여동생)와 장성택 (김경희의 남편)은 각각 정위원과 후보위원으로 임명되었다.[3] 장성택의 측근 몇몇이 후보위원으로 선출되었는데, 주상성 (인민보안상), 우동측 (국가안전보위부 제1부부장), 최룡해 (군사 담당 비서) 등이 포함되었다.[3] 박정수 (조직지도부 제1부부장), 김정은의 후계를 이끄는 핵심 인물은 후보위원으로 임명되었다.[3]
새로운 위원들의 대부분은 내각 구성원, 군 관계자, 당 비서 또는 보안 기관 관계자였다.[3] 국방위원회 출신 10명과 부총리 3명이 정치국에 임명되었다.[3] 홍석형과 태종수와 같은 주요 경제 전문가와 강석주, 김영일, 김양건과 같은 외교 전문가가 위원이 되었다.[3] 제4차 당대회에서 정치국 위원의 3분의 1이 예고 없는 퇴임과 해임으로 물러났다.[4] 장성택, 박도춘, 부원수 김정각은 후보에서 정위원으로 승진했으며, 현철해, 김원홍, 리명수 등 모두 중앙군사위원회 위원들이 정치국 정위원으로 임명되었다.[4] 곽범기, 오극렬, 로두철, 리병삼, 조연준은 후보위원으로 선출되었다.[4]
3. 역할
공식적으로 정치국은 두 차례의 당 중앙위원회 전체회의 사이의 활동을 수행하고 중요한 사안을 결정할 책임이 있으며, 매달 한 번 회의를 소집해야 한다. 정치국원은 총리와 국무위원회 부위원장 등 중요 국가 및 군사 지도자들로 구성된다.
정치국의 내부 기구는 정무국 상무위원회(구 상무위원회)로,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에서 선출되며 일상적인 당 사업을 담당한다. 보통 최고 지도자와 다른 네 명의 구성원으로 이루어진다. 실제적으로 정무국 상무위원회는 당과 국가 모두에서 최고 기구이며, 그 결정은 사실상 법적 효력을 갖는다.[3]
4. 구성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정치국은 상무위원회, 위원, 후보위원으로 구성된다.[7] 상무위원회는 정치국의 핵심 기구로, 김정은을 비롯한 소수의 최측근 인사들로 구성된다. 정치국 위원과 후보위원은 당, 국가, 군의 주요 직책을 겸임하며, 김정은의 권력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4. 1. 8기 중앙정치국 조직 (2021.9.7. 기준)
2021년 9월 7일 기준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정치국 구성원은 다음과 같다.[7]- 상무위원:
- 김정은: 당 총비서, 국무위원장, 당 중앙군사위원장
- 최룡해: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장, 국무위원회 제1부위원장
- 리병철: 당중앙위원회 비서, 당중앙군사위원회 부위원장, 인민군 원수
- 박정천: 당중앙군사위원회 부위원장, 당중앙위원회 비서, 인민군 원수
- 김덕훈: 내각 총리
- 조용원: 당중앙위원회 비서, 당 조직지도부 제1부부장, 당 중앙군사위원
- 위원:
- 박태성: 당 중앙위 비서, 당 선전선동부장, 최고인민회의 의장
- 정상학: 당중앙검사위원회 위원장, 당 중앙위 비서
- 리일환: 당 중앙위 비서, 당근로단체부장
- 최상건: 당 중앙위 비서, 당 과학교육부장
- 김재룡: 당 조직지도부장
- 오일정: 당 군정지도부장, 당 중앙위 비서
- 김영철: 당 통일전선부장
- 권영진: 조선인민군 총정치국장, 당 중앙군사위원
- 오수용: 당 중앙군사위원, 당 경제부장
- 김정관: 국방상, 당 중앙군사위원
- 정경택: 국가보위상, 당 중앙군사위원
- 리영길: 사회안전상, 당 중앙군사위원
- 리선권: 외무상
- 후보위원:
- 박태덕: 당 규율조사부장, 당 중앙검사위 부위원장
- 박명순: 당 경공업부장
- 허철만: 당 간부부장
- 리철만: 당 농업부장
- 김형식: 당 법무부장
- 태형철: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 부위원장
- 김영환: 평양시당 책임비서
- 박정근: 국가계획위원회 부위원장
- 양승호: 내각부총리
- 전현철: 당 경제정책실장
- 김성남: 당 국제부장
4. 1. 1. 상무위원
- 김정은: 당 총비서, 국무위원장, 당 중앙군사위원장이다.[7]
- 최룡해: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장, 국무위원회 제1부위원장이다.[7]
- 리병철: 당중앙위원회 비서, 당중앙군사위원회 부위원장, 인민군 원수이다.[7]
- 박정천: 당중앙군사위원회 부위원장, 당중앙위원회 비서, 인민군 원수이다.[7]
- 김덕훈: 내각 총리이다.[7]
- 조용원: 당중앙위원회 비서, 당 조직지도부 제1부부장, 당 중앙군사위원이다.[7]
4. 1. 2. 위원
구분 | 성명 | 임명일 | 당내 직책 | 정부 직책 |
---|---|---|---|---|
상무위원 | 김정은 김정은 (1984년 출생) | 2012년 4월 11일 | align="left" | | align="left" | |
상무위원 | 김덕훈 김덕훈 (1962년 출생) | 2019년 12월 31일 | ||
상무위원 | 조용원 조용원 | 2021년 1월 10일 | ||
상무위원 | 최룡해 최룡해 (1950년 출생) | 2012년 4월 11일 | ||
상무위원 | 리병철 리병철 | 2022년 4월 25일 | ||
위원 | 리일환 리일환 (1960년 출생) | 2019년 12월 31일 | ||
위원 | 박정천 박정천 | 2020년 4월 11일 | ||
위원 | 김재룡 김재룡 (1959년 출생) | 2019년 4월 9일 | ||
위원 | 조춘룡 조춘룡 | 2023년 12월 31일 (대안: 2022년 6월 8일) | ||
위원 | 전현철 전현철 | 2022년 6월 8일 (대안: 2021년 1월 10일) | ||
위원 | 박태성 박태성 (1955년 출생) | 2022년 6월 8일 | ||
위원 | 오수용 오수용 | 2023년 6월 18일 (두 번째 임기) | ||
위원 | 정경택 정경택 (1961년 출생) | 2019년 4월 10일 | ||
후보위원 | 박정근 박정근 | 2021년 12월 31일 | ||
위원 | 리영길 리영길 (1955년 출생) | 2021년 1월 10일 | ||
위원 | 리태섭 리태섭 | 2022년 6월 8일 (대안: 2021년 12월 31일) |
4. 1. 3. 후보위원
후보 위원 | 후보 위원 임명일 | 당직 | 정부 직위 |
---|---|---|---|
강순남 | 2022년 12월 31일 | ||
최선희 | 2022년 6월 8일 | ||
박태덕 | 2021년 1월 10일 | ||
조창일 | 2022년 12월 31일 | ||
김형식 | 2021년 1월 10일 | ||
한광상 | 2022년 6월 8일 | ||
김성남 | 2021년 2월 11일 | ||
김영철 | 2023년 6월 18일 | ||
리철만 | 2021년 1월 10일 | ||
양승호 | 2021년 1월 10일 | ||
리창대 | 2022년 6월 8일 | ||
김수길 | 2022년 12월 31일 |
4. 2. 현재 구성원 (2024년 5월 기준)
2024년 5월 현재,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정치국은 16명의 정위원과 12명의 후보위원으로 구성되어 있다.[4]4. 2. 1. 정위원
구성원 | 구성원 임명일 | 당내 직책 | 정부 직책 |
---|---|---|---|
김정은 | 2012년 4월 11일 | ||
김덕훈 | 2019년 12월 31일 | ||
조용원 | 2021년 1월 10일 | ||
최룡해 | 2012년 4월 11일 | ||
리병철 | 2022년 4월 25일 | ||
리일환 | 2019년 12월 31일 | ||
박정천 | 2020년 4월 11일 | ||
김재룡 | 2019년 4월 9일 | ||
조춘룡 | 2023년 12월 31일 | ||
전현철 | 2022년 6월 8일 | ||
박태성 | 2022년 6월 8일 | ||
오수용 | 2023년 6월 18일 | ||
정경택 | 2019년 4월 10일 | ||
박정근 | 2021년 12월 31일 | ||
리영길 | 2021년 1월 10일 | ||
리태섭 | 2022년 6월 8일 |
4. 2. 2. 후보위원
후보 위원 | 임명일 | 당직 | 정부 직위 |
---|---|---|---|
강순남 | 2022년 12월 31일 | 중앙군사위원회 위원 | 국방상 |
최선희 | 2022년 6월 8일 | 외무상 | |
박태덕 | 2021년 1월 10일 | 중앙검사위원회 부위원장, 규율조사부 부장 | |
조창일 | 2022년 12월 31일 | 선전선동부 부장 | |
김형식 | 2021년 1월 10일 | 법무부 부장 | |
한광상 | 2022년 6월 8일 | 경공업부 부장 | |
김성남 | 2021년 2월 11일 | 국제부 부장, 국무위원회 위원 | |
김영철 | 2023년 6월 18일 (두 번째 임기) | 통일전선부 고문 | |
리철만 | 2021년 1월 10일 | 농업부 부장 | |
양승호 | 2021년 1월 10일 | 부총리 | |
리창대 | 2022년 6월 8일 | 중앙군사위원회 위원 | 국가안전보위상 |
김수길 | 2022년 12월 31일 | 평양시 당 위원회 책임비서 |
참조
[1]
웹사이트
Rules of the Workers' Party of Korea (28 September 2010) (조선로동당규약—2010년 9월 28일)
http://www.voanews.c[...]
2010-09-28
[2]
웹사이트
Kim Jong Un Appointed "First Secretary" of Korean Workers' Party
https://nkleadership[...]
North Korea Leadership Watch
2012-04-11
[3]
웹사이트
Defence Development Exhibition "Self-Defence-2021" Opens with Splendor
http://www.kcna.kp/k[...]
Korean Central News Agency
2021-10-12
[4]
웹인용
북, 당 정치국·비서 등 선출..규율 전담 당 중앙검사위도 (명단)
http://www.tongilnew[...]
2021-01-12
[5]
웹인용
"北 黨정치국중심 집단지도체제"
https://news.naver.c[...]
2020-02-18
[6]
웹인용
정책기획위원회의 김정은 리더십 재평가 이유
http://www.sisaweek.[...]
2020-02-18
[7]
뉴스
(수정) 북, 당 정치국·비서 등 선출..규율 전담 당 중앙검사위도 (명단)
http://www.tongilnew[...]
2021-01-1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