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김진아 (영화 감독)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김진아는 한국과 미국을 오가며 활동하는 영화감독으로, 5편의 장편 영화와 비디오 아트 작품을 제작했다. 로카르노, 베를린, 베니스 등 유수의 영화제에서 작품을 선보였으며, 하버드 대학교 시각예술학부 교수를 역임했다. 최근작으로는 영화 《파이널 레시피》가 있으며, 현재 UCLA 영화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캘리포니아 인스티튜트 오브 디 아츠 동문 - 엘리자 쿠프
    엘리자 쿠프는 캘리포니아 예술학교 졸업 후 즉흥 코미디 연기를 시작하여 브레이크아웃 연기자상을 수상하며 주목받았고, 《스크럽스》, 《해피 엔딩스》, 《퓨처 맨》, 《피보팅》 등 다양한 코미디 시리즈와 영화에서 활약하는 미국의 배우이다.
  • 캘리포니아 인스티튜트 오브 디 아츠 동문 - 스티븐 힐런버그
    스티븐 힐런버그는 미국의 애니메이션 제작자이자 만화가, 생물학자, 배우로, 니켈로디언의 인기 애니메이션 시리즈 《스폰지밥 네모바지》의 창작자이며, 해당 시리즈의 감독, 각본, 스토리보드, 총괄 프로듀서를 맡았다.
  • 대한민국의 영화 감독 - 유지태
    유지태는 1998년 영화 《바이 준》으로 데뷔하여 《올드보이》 등에서 인상적인 연기를 선보인 대한민국의 배우이자 《마이 라띠마》를 연출한 영화 감독으로, 배우 김효진과 결혼하여 사회 활동과 자선 활동에도 참여하고 있다.
  • 대한민국의 영화 감독 - 봉준호
    봉준호는 대한민국의 영화 감독이자 각본가로, 《플란다스의 개》로 데뷔하여 《살인의 추억》, 《괴물》, 《기생충》 등 사회 비판적인 메시지를 담은 작품을 연출하며 세계적인 거장으로 인정받았다.
  • 미국에 거주한 대한민국인 - 한덕수
    한덕수는 경제 관료 출신 정치인으로, 제47대 국무총리를 역임했으며, 윤석열 정부에서 국무총리로 임명되어 의사 파업 대응과 의료 개혁을 추진했고, 대통령 탄핵 이후 권한대행을 맡았으나 탄핵소추로 직무가 정지되었다.
  • 미국에 거주한 대한민국인 - 전영택
    일제 강점기와 대한민국의 소설가이자 개신교 목사인 전영택은 1919년 한국 최초의 문학 동인지 《창조》를 창간하고, 단편소설 〈화수분〉, 〈소〉 등의 대표작을 남겼으며, 개신교 관련 간행물 발행, 중앙신학교 및 감리교신학대학교 교수, 한국문인협회 초대 회장 등을 역임했다.
김진아 (영화 감독)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출생 이름김진아
출생일1973년 12월 31일
출생지서울특별시, 대한민국
국적대한민국
직업영화 감독, 영화 제작자, 각본가, 교수
활동 기간1995년–현재
웹사이트ginakimfilms.com

2. 생애 및 경력

한국미국을 오가며 영화 연출과 학계 활동을 병행하는 영화 감독이다. 그의 장편 영화와 비디오 아트 작품들은 로카르노, 베를린, 산 세바스찬, 부산, 로테르담, 베니스 등 유수의 국제 영화제뿐만 아니라 뉴욕 현대미술관, 파리 퐁피두 센터, 스미소니언 박물관 등에서도 상영 및 전시되며 국제적인 주목을 받았다.[20]

초기 다큐멘터리 작품들의 성공 이후, 하정우, 베라 파미가 주연의 <두번째 사랑>(2007)과 양자경, 헨리 주연의 파이널 레시피(2013) 등 국제적인 프로젝트를 연출했다. 특히 <두번째 사랑>은 한미 합작 영화로서 주목받았고, 이 성공을 바탕으로 미국 에이전시 CAA와 계약하기도 했다.[20]

영화 작업 외에도 학계에서 활발히 활동하여, 2004년 아시아 감독 최초로 하버드 대학교 시각예술학부 교수로 초빙되었으며, 이후 UCLA 영화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20][22] 2009년에는 베니스 영화제 경쟁 부문 심사위원을 맡아 한국 여성 감독 최초로 세계 3대 영화제 심사위원 기록을 세웠다.[21]

연도내용
2004 ~ 2007미국 하버드 대학교 시각예술환경학부 교수
2004토리노국제영화제 단편경쟁부문 심사위원
2005하버드 필름 아카이브 한국영화회고전 큐레이터
2009베니스 영화제 경쟁부문 심사위원
2009제3회 아시아 태평양 스크린 어워드 심사위원
2013 ~ 2014미국 하버드 대학교 시각예술환경학부 교수
2015 ~ 현재미국 UCLA 영화과 교수[22]


2. 1. 한국과 미국을 오가는 학업과 초기 활동

김진아 감독은 한국과 미국을 오가며 학계와 영화 현장에서 활동해왔다. 그의 장편 영화 5편과 비디오 아트 작품들은 로카르노, 베를린, 산 세바스찬, 부산, 로테르담, 베니스 등 권위 있는 영화제뿐만 아니라 뉴욕 현대미술관, 퐁피두 센터, 스미소니언 박물관 등에서도 상영 및 전시되었다. 프랑스의 영화 잡지 까이에 뒤 시네마는 "한국 영화계의 급진적 발전을 볼 수 있는 유일한 풍경"이라며 김진아 감독의 등장을 높이 평가했고, 엘에이 타임즈는 "극도로 자기성찰적인 예술영화의 성취"를 이룬 감독이라고 극찬했다.[20]

초기 장편 다큐멘터리 김진아의 비디오 일기와 그 집 앞이 세계적으로 좋은 평가를 받은 후, 2007년에는 두번째 사랑을 완성했다. 이 영화는 하정우베라 파미가가 주연을 맡아 인종과 계급을 넘어서는 사랑 이야기를 다루었다. 이창동 감독이 시나리오를 보고 직접 제작자로 나섰으며, 영화 피아노의 음악으로 유명한 세계적인 작곡가 마이클 니먼이 음악 감독을 자청해 제작 단계부터 큰 주목을 받았다.

두번째 사랑은 최초의 한미 합작 영화 중 하나로 제작되어 미국, 프랑스, 한국 등에서 개봉했으며, 이후 김진아 감독은 미국 최대 에이전시 중 하나인 CAA에 스카우트되어 화제가 되었다. 영화를 본 마틴 스코세이지 감독은 "뛰어난 연기와 강렬한 인상을 남기는 걸출한 연출력이 어우러진 감동적인 경험!"이라는 평을 남기기도 했다. 이러한 평단의 지지와 독자적인 작품 세계를 인정받아, 2004년에는 하버드 대학교 시각예술학부 교수로 초빙되었다. 이는 하버드 대학이 아시아 감독을 초청한 첫 사례였다.

2009년에는 장편 에세이 다큐멘터리 서울의 얼굴을 완성하여 베네치아 국제 영화제에서 상영했으며, 같은 해 제57회 베네치아 국제 영화제 경쟁 부문 심사위원을 맡았다. 이는 한국 여성 감독으로서는 최초로 세계 3대 영화제(, 베를린, 베니스) 경쟁 부문 심사위원을 역임한 기록이다.[21]

김진아 감독의 최근작 중 하나인 파이널 레시피는 아시아 여성의 정체성을 탐구해 온 감독의 관심사와, 할리우드에서 활동하는 대표적인 동양인 배우 양자경과의 만남으로 이루어진 대규모 상업 영화이다. 양자경슈퍼주니어-M의 헨리가 주연을 맡았으며, 상하이를 배경으로 태국, 중국, 한국에서 촬영되었다. 김진아 감독은 이 영화에서 연출뿐 아니라 제작에도 참여했다. 파이널 레시피산세바스티안 국제 영화제의 'Culinary Zinema' 섹션 개막작으로 처음 선보였다.

2018년을 기준으로 UCLA 영화과 교수로 재직하며 할리우드와 한국을 오가며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22]

2. 2. 영화계의 주목과 국제적인 활동

한국미국, 학계와 영화 현장을 오가며 활동하는 김진아 감독의 5개 장편 영화와 비디오 아트 작품들은 로카르노 영화제, 베를린 영화제, 산 세바스찬 영화제, 부산국제영화제, 로테르담 국제 영화제, 베니스 영화제 등 주요 영화제뿐만 아니라 뉴욕의 현대미술관(MoMA), 파리퐁피두 센터, 스미소니언 박물관 등에서도 상영 및 전시되었다. 프랑스의 영화 잡지 까이에 뒤 시네마는 "한국 영화계의 급진적 발전을 볼 수 있는 유일한 풍경"이라며 김진아 감독의 등장을 높이 평가했고, 엘에이 타임즈는 "극도로 자기성찰적인 예술영화의 성취"를 이룬 감독이라고 극찬했다.[20]

장편 다큐멘터리 <김진아의 비디오일기>와 <그 집 앞>이 세계적으로 호평받은 후, 2007년에는 하정우베라 파미가가 주연한 <두번째 사랑>을 완성했다. 이 영화는 인종과 계급을 넘어서는 사랑 이야기를 다루었다. 시나리오를 본 이창동 감독이 제작자로, 영화음악 작곡가로 유명한 마이클 니먼이 음악감독을 자청하여 화제가 되었다.

최초의 한미 합작 영화로 제작된 <두번째 사랑>(영어 제목: Never Forever)은 미국, 프랑스, 한국 등에서 개봉한 후 할리우드의 큰 관심을 받았다. 이 영화의 성공으로 김 감독은 미국 최대 에이전시인 CAA에 스카우트되기도 했다. 영화를 본 마틴 스콜세지 감독은 "뛰어난 연기와 강렬한 인상을 남기는 걸출한 연출력이 어우러진 감동적인 경험!"이라고 평가했다. 이러한 평단의 지지와 독자적인 작품 세계를 인정받아 김진아 감독은 2004년 하버드 대학교 시각예술학부 교수로 초빙되었다. 이는 하버드 대학이 아시아 감독을 초청한 첫 사례였다.

2009년에는 장편 에세이 다큐멘터리 <서울의 얼굴>을 완성하여 베니스 영화제에서 상영했다. 같은 해 제57회 베니스 영화제 경쟁 부문 심사위원을 맡아, 한국 여성 감독으로는 최초로 세계 3대 영화제 경쟁 부문 심사위원이 되는 영예를 안았다.[21]

김진아 감독의 최근작인 파이널 레시피는 아시아 여성의 정체성을 창작의 기반으로 삼아온 김 감독과, 동양인 여배우 중 유일하게 이중 언어를 구사하며 할리우드에서 활동하는 양자경의 만남으로 기획된 대규모 상업 영화이다. 양자경과 슈퍼주니어-M의 헨리가 주연을 맡았으며, 상하이를 배경으로 태국, 중국, 한국에서 촬영되었다. 김 감독은 연출뿐만 아니라 제작에도 참여했다. 이 영화는 산세바스찬 영화제에서 'Culinary Zinema' 섹션 개막작으로 처음 선보였으며, 한국, 중국, 미국 관객과 만날 예정이다.

2018년 기준으로 UCLA 영화과 교수로 재직하며 할리우드와 한국을 오가며 활동하고 있다.[22]

2. 3. 학계에서의 활동

김진아는 1996년 서울대학교에서 미술학사 학위를 받은 후 미국으로 건너가 캘리포니아 예술학교에서 1999년 미술 석사 학위를 받았다.[15]

2004년 하버드 대학교 시각예술환경학부 교수로 초빙되어 2007년까지 재직했으며, 이는 해당 학과 최초의 아시아 여성이자, 하버드 대학이 초청한 최초의 아시아 감독이었다.[16][20] 김진아는 영화 제작 및 이론 수업을 가르쳤고, 그가 개설한 한국 영화 강좌는 아이비 리그 대학 최초였다.[16] 2005년에는 하버드 영화 자료관에서 "남쪽의 비전: 1960-2003년 한국 영화" 시리즈를 기획하기도 했다.[16] 이후 2013년부터 2014년까지 다시 하버드 대학교에서 강의했으며, 학부생 교육에 대한 기여를 인정받아 2014년 10월 하버드 대학교로부터 교육 우수 증명서를 수여받았다.[15]

2017년에는 UCLA 연극, 영화 및 텔레비전 학교 교수로 임용되었으며,[2] 2018년 기준으로 재직 중이다.[22] 같은 해 버라이어티 잡지에서 "영화, TV 분야 최고의 교수" 중 한 명으로 선정되었다.[18]

학계 활동 외에도 여러 국제 영화제에서 심사위원으로 활동했다. 2004년 토리노국제영화제 단편경쟁부문 심사위원을 맡았으며,[22] 2009년에는 제57회 베니스 영화제 경쟁부문 심사위원으로 위촉되어 한국 여성 감독 최초로 세계 3대 영화제 경쟁 부문 심사위원을 역임했다.[21][22] 같은 해 제3회 아시아 태평양 스크린 어워드 심사위원으로도 활동했다.[22]

2017년에는 프랑스의 'L'atelier des Cahiers' 출판사를 통해 자신의 장편 다큐멘터리 영화 《서울의 얼굴들》(2009)을 바탕으로 한 멀티미디어 포토 에세이 《서울, 도시의 얼굴들》을 출판했다.[17]

2. 4. 최근 작품 및 활동

2004년에는 하버드 대학교 시각예술학부 교수로 초빙되었다. 이는 하버드 대학이 아시아 감독을 초청한 첫 사례였다.[20]

2007년에는 하정우베라 파미가가 주연한 장편 영화 두번째 사랑을 완성했다. 이 영화는 인종과 계급을 넘어서는 사랑 이야기를 다루었으며, 이창동 감독이 제작자로, 마이클 니먼이 음악감독으로 참여하여 주목받았다. 최초의 한미 합작 영화로 제작되어 미국, 프랑스, 한국 등에서 개봉했으며, 이 영화의 성공으로 김 감독은 미국 에이전시 CAA에 스카우트되기도 했다. 마틴 스콜세지 감독은 "뛰어난 연기와 강렬한 인상을 남기는 걸출한 연출력이 어우러진 감동적인 경험!"이라고 평가했다.[20]

2009년에는 장편 에세이 다큐멘터리 <서울의 얼굴>을 완성하여 베니스 영화제에서 상영했다. 같은 해 제57회 베니스 영화제 경쟁부문 심사위원을 맡아, 한국 여성 감독으로는 최초로 세계 3대 영화제 경쟁 부문 심사위원으로 활동하는 기록을 세웠다.[21]

최근작인 화이날 레시피는 양자경과 헨리가 주연을 맡은 대규모 상업 영화이다. 상하이를 배경으로 태국, 중국, 한국에서 촬영되었으며, 김 감독은 연출뿐 아니라 제작에도 참여했다. 이 영화는 산세바스찬 국제 영화제에서 'Culinary Zinema' 섹션 개막작으로 처음 선보였다.[20]

2018년 기준으로 UCLA 영화과 교수로 재직하며 헐리우드와 한국을 오가며 활동하고 있다.[22]

3. 작품 활동

김진아 감독은 1995년 미국 유학 중 촬영한 Gina Kim's Video Diary|김진아의 비디오 다이어리eng를 시작으로 다큐멘터리와 극영화를 넘나들며 꾸준히 작품 활동을 이어오고 있다. 그의 작품들은 주로 여성, 정체성, 문화적 경계 등의 주제를 탐구하며, 개인적인 경험과 사회적, 역사적 맥락을 연결하는 독창적인 시선으로 주목받았다.

초기 다큐멘터리 작업 이후에는 극영화로 영역을 넓혀 ''두번째 사랑''(2007), ''파이널 레시피''(2013) 등 국제적인 공동 제작 영화를 선보였으며, 선댄스 영화제, 베니스 국제 영화제, 베를린 국제 영화제 등 세계 유수의 영화제에 초청받고 수상하며 국제적인 명성을 얻었다. 특히 ''두번째 사랑''은 대종상 신인감독상을 수상하기도 했다.[5][6][7]

또한, 다큐멘터리 작업도 꾸준히 이어가며 대한민국 국제교류재단의 의뢰로 제작한 《서울의 얼굴》(2009)과 같은 작품을 통해 도시와 역사, 개인의 기억을 성찰하는 작업을 선보였다. 최근에는 VR 기술을 활용하여 동두천 기지촌 여성 문제를 다룬 Bloodless|블러드리스eng(2017)와 후속작 Tearless|눈물 없는eng(2021)을 제작하여 기술과 예술의 접점에서 새로운 영화적 경험을 모색하고 있으며, 이 작품들 역시 베니스 국제 영화제와 제네바 국제 영화제 등에서 수상하며[14] 큰 반향을 일으켰다.

3. 1. 장편 영화

김진아 감독은 ''김진아의 비디오 일기''(2002) 이후, 다큐멘터리에서 다루었던 주제들을 극영화를 통해 탐구하기 시작했다.

첫 극영화인 ''보이지 않는 빛''(2003)은 한국 및 한국계 미국인 여성 두 명의 육체적, 정신적 여정을 따라간다. 프랑스의 영화 잡지 카이에 뒤 시네마는 이 영화를 "여성적 강인함과 억눌린 분노가 응축된 작품"이라고 평가했으며, 영화 비평 웹사이트 센스 오브 시네마는 "김 감독의 엄격한 미장센은 그녀의 흔들림 없는 독창적 시각과 일치한다"고 언급했다. ''보이지 않는 빛''은 2004년 서울여성영화제에서 특별상을 수상했으며, 전 세계 23개 이상의 영화제에서 상영되고 15개국 이상에 소개되었다.

다음 작품인 ''두번째 사랑''(Never Forever, 2007)은 2007년 선댄스 영화제 미국 극영화 경쟁 부문에 초청되어 심사위원 대상 후보에 올랐다. 베라 파미가하정우가 주연을 맡은 이 영화는 멜로드라마 형식을 빌려 여성과 미국 내 한인의 관점에서 성별, 성적 지향, 인종, 계급 문제를 탐구한다. 미국과 대한민국의 첫 공식 합작 영화이기도 한 ''두번째 사랑''은 미국의 연예 전문지 버라이어티로부터 "김진아의 매우 섬세한 카메라가 영화를 조용한 에로티시즘과 놀라운 서사적 긴장감이 있는 실내극으로 만들었다"는 호평을 받았다. 영화 감독 마틴 스코세지 역시 "훌륭하고 감동적인 연기가 돋보이며, 스타일이 강렬하고 매우 정확한 감동적인 경험"이라고 칭찬했다.[4] 김진아 감독은 이 영화로 대종상 신인감독상을 수상했으며, 영화 자체는 2007년 도빌 아메리카 영화제에서 심사위원상을 받았다.[5][6][7]

2013년에는 태국-한국 합작 영화인 ''파이널 레시피''를 연출했다. 양자경과 헨리 라우가 출연한 이 영화는 2013년 산세바스티안 국제 영화제 컬리너리 시네마 부문 개막작으로 상영되었고[10], 하와이 국제 영화제에서도 개막작으로 초청받았다.[11] ''파이널 레시피''는 아시아 출신 감독이 아시아 배우들만으로 제작한 최초의 영어 영화로 평가받으며, 아시아의 단일 문화 중심주의에 대한 도전이자 과거 할리우드의 아시아 묘사에 대한 김진아 감독의 응답으로 해석될 수 있다. 영화 제작에는 중국, 일본, 대한민국, 싱가포르, 태국 등 아시아 전역의 배우와 스태프가 참여했다. 할리우드 리포터는 김진아 감독이 "어느 곳이든 고향처럼 느껴지도록, 지역을 넘나드는 이야기에서 이국적인 느낌을 제거했다"고 평가했다.[12] 이 영화는 2014년 베를린 국제 영화제 컬리너리 시네마 부문에서도 개막작으로 상영되었다.[13] 2015년 1월, ''파이널 레시피''는 중국과 한국 간의 최초 공식 합작 영화로 발표되었으며, 2016년 8월 26일 중국 전역 3,240개 극장에서 개봉했다.

3. 2. 장편 다큐멘터리

연도제목
2017년《동두천》
2013년《파이널 레시피》
2009년《서울의 얼굴》
2007년《두번째 사랑》
2003년《그 집 앞》
2002년《김진아의 비디오 일기》
2001년《다채로와지는 아침》
1999년《빈 집》
1998년《날아다니는 식욕》
1997년《문》
1996년《걷기》
1995년《지나가는 자리》
1995년《내가 그리는 그림》
1995년《당신들의 세상》
1995년《히로인》



대한민국 국제교류재단의 의뢰를 받아 김진아는 다큐멘터리 작업으로 복귀하여, 비디오 에세이 《서울의 얼굴》(Faces of Seoul|페이스 오브 서울영어, 2009)을 제작했다. 이 작품은 "언어 대 이미지, 전통 대 현대, 고유의 지식 대 이국적인 만남과 같은 상반된 개념들이 하나의 지배적인 관점 없이 서로 부딪히는 역동적인 공간으로서 한국의 수도를 드러내는" 것을 목표로 했다.[8] 서울대학교 민은경 교수는 이 작품을 "시간의 팔림프세스트"라고 평가하며, 김진아가 1995년 삼풍백화점 붕괴 사고 당시 직접 촬영한 영상을 포함하여 자체 제작 영상과 기록 영상을 결합한 점을 언급했다. 《서울의 얼굴》은 2009년 베니스 영화제에서 처음 상영되었으며, 김진아는 이 영화제에 심사위원으로 초청받았다. 이후 그녀는 이탈리아 남성 패션 잡지 L'Uomo Vogue에 "베니스의 재능" 중 한 명으로 소개되기도 했다.[9]

3. 3. 단편 영화 및 비디오 아트


  • 1995년 《당신들의 세상》
  • 1995년 《내가 그리는 그림》
  • 1995년 《지나가는 자리》
  • 1995년 《히로인》
  • 1996년 《걷기》
  • 1997년 《문》
  • 1998년 《날아다니는 식욕》
  • 1999년 《빈 집》
  • 2001년 《다채로와지는 아침》
  • 2002년 《김진아의 비디오 일기》
  • 2003년 《그 집 앞》
  • 2007년 《두번째 사랑》
  • 2009년 《서울의 얼굴》
  • 2013년 《파이널 레시피》
  • 2017년 《동두천》


1995년, 김진아는 미국에서 미술 석사 학위를 받기 위해 유학을 떠나면서 Gina Kim's Video Diary|김진아의 비디오 다이어리영어 촬영을 시작했다. 이 작품에서 김진아는 현대 여성 유목민의 모습을 담아냈는데, 아시아와 미국, 여러 언어, 영화 장르, 개인적·지역적·영화사적 역사를 넘나드는 유연한 시선을 보여준다. 베를린 국제 영화제에서 상영된 이 작품은 영화제 카탈로그에서 "한 여성의 두려움, 환상, 투영을 극도로 개인적으로 기록한 작품"이며, "관람객에게 깊이 불안하고 감동적이며 삶을 긍정하게 하는 특별한 자화상을 제공한다"고 평가받았다. 현재 개인 다큐멘터리 장르의 고전으로 자주 언급된다.

Gina Kim's Video Diary|김진아의 비디오 다이어리영어 이후, 김 감독은 다큐멘터리에서 다루었던 문제들을 더 깊이 탐구하기 위해 극영화 제작을 시작했다. 2003년작 Invisible Light|그 집 앞영어은 두 명의 한국 또는 한국계 미국인 여성의 육체적, 심리적 여정을 따라간다. 프랑스의 영화 잡지 카이에 뒤 시네마는 이 작품을 "여성적 강인함과 억눌린 분노의 작은 덩어리"라고 평했으며, 영화 비평 웹사이트 센스 오브 시네마는 "김 감독의 엄격한 미장센은 그녀의 흔들림 없는 독창적인 시각과 일치한다"고 분석했다. 이 영화는 2004년 서울 여성영화제에서 특별상을 수상했으며, 23개 이상의 영화제와 15개국 이상에서 상영되었다.

Bloodless|블러드리스영어는 1950년대 이후 대한민국에 주둔한 미군을 상대로 성매매를 해야 했던 기지촌 여성들의 현실을 다룬 12분 분량의 VR 영화이다. 이 영화는 1992년 대한민국 동두천 기지촌에서 미군 병사에 의해 잔혹하게 살해당한 한 여성의 마지막 순간을 추적한다. 기지촌에서의 마지막 시간을 따라가며 VR 기술을 통해 역사적, 정치적 문제를 개인적이고 구체적인 경험으로 전환시킨다. 영화는 실제 범죄가 일어난 현장에서 촬영되었으며, 미군 기지 인근의 96개 기지촌에서 여전히 벌어지고 있는 여성들의 경험을 조명한다. Bloodless|블러드리스영어는 제74회 베니스 국제 영화제에서 VR 영화 경쟁 부문 최고 VR 스토리상(Best VR Story)을 수상하며 국제적으로 주목받았다.

후속작인 Tearless|눈물 없는영어(2021) 역시 VR 작품으로, 제27회 제네바 국제 영화제에서 최고의 몰입형 작품에게 주어지는 Reflet d'Or프랑스어 상을 수상했다.[14]

4. 수상


  • 2003 서울여성영화제 특별상
  • 2007 도빌 아메리칸 영화제 심사위원대상
  • 2014 하버드 대학교 최고 교육자상 (Certificate of Teaching Excellence)
  • 2017 필름메이커 매거진 2017년 베스트 VR 스토리텔링상
  • 2017 베니스영화제 베스트 VR 스토리상
  • 2017 테살로니키 영화제 베스트 VR 영화상
  • 2017 보고타 단편 영화제 베스트 VR 영화상
  • 2018 컬럼비아 대학교 디지털 스토리텔링랩 획기적 스토리텔링상

5. 심사 및 기타 활동

연도활동 내용
2004토리노 국제영화제 단편경쟁부문 심사위원
2005뉴 잉글랜드 무빙 이미지 펠로우쉽 심사위원
2005하버드 대학교/하버드 필름 아카이브, 한국영화회고전 큐레이터
2009아시아 태평양 영화상 심사위원
2009베니스 영화제 경쟁부문(오리종티) 심사위원
2015로스앤젤레스 국제 문화 영화제 심사위원


참조

[1] 웹사이트 BAM/PFA - Film Programs http://www.bampfa.be[...] 2013-12-29
[2] 웹사이트 Gina Kim http://www.tft.ucla.[...] 2015-02-22
[3] 웹사이트 Invisible Light (2003) https://www.imdb.com[...] 2018-06-29
[4] 웹사이트 VES Faculty - Gina Kim http://www.ves.fas.h[...] 2013-12-23
[5] 웹사이트 Never Forever https://variety.com/[...] 2007-01-25
[6] 웹사이트 Movie Review of Never Forever https://www.timeout.[...] 2008
[7] 뉴스 If You Embrace the Body, the Heart Might Follow https://www.nytimes.[...] 2008-04-11
[8] 웹사이트 Faces of Seoul (2009) https://www.imdb.com[...] 2023-05-29
[9] 웹사이트 L'uomo Vogue Editorial the Cast: Gina Kim, September 2009 Shot #1 - MyFDB https://www.myfdb.co[...] 2014-04-02
[10] 웹사이트 San Sebastian Film Review: 'Final Recipe' https://variety.com/[...] 2013-10-01
[11] 웹사이트 FINAL RECIPE - 2013 HIFF Fall Festival http://program.hiff.[...]
[12] 웹사이트 Final Recipe: San Sebastian Review https://www.hollywoo[...] 2013-09-26
[13] 웹사이트 Final Recipe - Culinary Cinema 2014 https://www.berlinal[...]
[14] 웹사이트 Awards https://2021.giff.ch[...] 2021-12-08
[15] 웹사이트 Biography http://www.ginakimfi[...] 2021-12-07
[16] 웹사이트 Visions from the South: Korean Cinema 1960-2005 http://hcl.harvard.e[...]
[17] 웹사이트 Séoul, visages d'une ville http://seoulvisagesd[...]
[18] 웹사이트 Entertainment Education: Top Teachers in Film, TV and More https://variety.com/[...] 2021-12-07
[19]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www.ginakimfi[...] 2015-03-18
[20]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www.ginakimfi[...] 2015-03-18
[21]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www.ginakimfi[...] 2015-03-18
[22] 뉴스 Gina Kim - UCLA School of TFT http://www.tft.ucla.[...] UCLA School of TFT 2018-07-1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