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김창봉 (군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김창봉은 일제강점기 동북항일연군에서 활동했으며, 소련 정찰대원으로도 복무했다. 광복 후 북한으로 귀국하여 38선 경비대대 대대장을 역임했다. 한국 전쟁에 참전하여 제3사단 제7연대장, 제19사단장, 제12사단장, 제8군단장을 거쳤으며, 휴전 후 소장으로 진급하여 제7군단장을 지냈다. 소련 군사 아카데미에서 유학했으며, 조선로동당 정치국 후보위원, 총참모장, 정치국 위원, 민족보위상을 역임했다. 그러나 1969년, 국고 낭비 및 노농적위대 무시를 이유로 비판받아 실각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소련에 거주한 한국인 - 박헌영
    박헌영은 일제강점기 사회주의 운동가이자 독립운동가, 정치인으로, 조선공산당 창당에 참여하고 해방 후 조선공산당 재건에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했으나, 한국 전쟁 이후 김일성 정권에 의해 처형되어 그의 생애와 활동은 논란과 재평가의 대상이 되고 있다.
  • 소련에 거주한 한국인 - 김정일
    김정일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제2대 최고지도자로, 김일성 사망 후 권력을 승계하여 조선로동당 총비서 및 국방위원회 위원장으로 통치하며 3대 세습, 핵무기 개발, 남북 정상회담 등의 사건과 경제난, 인권 탄압 등의 문제를 겪은 인물이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한국 전쟁 참전 군인 - 남일
    남일은 소련군 장교 출신으로, 북한으로 파견되어 조선인민군 창설에 기여하고 한국 전쟁 당시 참모총장, 외무상, 부총리 등을 역임한 북한 군인이자 정치인이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한국 전쟁 참전 군인 - 김책
    일제강점기 항일 무장 투쟁가이자 북한의 군인, 정치인인 김책은 만주에서 항일 투쟁 후 소련에서 김일성과 함께 활동했으며, 해방 후 북한 건국에 참여하여 부수상 겸 산업상, 한국 전쟁 전선사령관을 역임했고 사후 공화국영웅 칭호를 받았다.
김창봉 (군인)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김창봉
한글김창봉
로마자 표기Gim Changbong
출생1919년
출생지함경북도 경원군
경력
소속 정당조선로동당
군 복무조선인민군
복무 기간1945년–1950년
주요 보직
총참모장1953년 8월 – 1957년 9월
인민무력부 부장1962년 10월 – 1968년 12월
군사 경력
소속조선인민군
지휘조선인민군 총참모장
참전한국 독립 운동

중국 내전
제2차 세계 대전

한국 전쟁


학력러시아군 총참모부 군사 아카데미
최종 계급차수
이전 보직
총참모장리권무
총참모장최광
인민무력부 부장김광협
인민무력부 부장최현

2. 생애

1919년 함경북도 경원군에서 태어났다.[1] 동북항일연군 제1군 5명의 일원으로 활동했다.[2] 안기의 지휘를 받아 유격대 활동을 펼쳤다. 일본군을 피해 소련으로 탈출했다. 소련 정찰대 일원으로 활동했다. 제2차 세계 대전이 끝난 후 강건의 인솔 하에 박락권과 최광 등 30여 명과 함께 옌지에 도착했다.

1946년 강건 등과 함께 귀국했다. 그 해 38선 경비대대 대대장을 맡았다.

한국 전쟁 중 제3사단의 제7연대장(대령)을 지냈다. 1950년 10월 제19사단 사단장으로 임명되었다. 1950년 12월 제12사단 사단장을 역임했다. 1951년 4월 제8군단 군단장을 맡았다. 한국 전쟁이 끝나고 한국 휴전 협정이 체결된 후인 1953년 7월 소장으로 진급하여 제7군단 군단장이 되었다.

1956년 중반부터 1958년 9월까지 소련 군사 아카데미에서 공부했다. 1956년 4월 조선로동당 제3차 대회에서 정치국 후보위원으로 선출되었다. 1959년 7월부터 총참모장을 역임했다. 1961년 9월에 열린 조선로동당 제4차 대회에서 정치국 위원으로 선출되었다.

1962년 10월 민족보위상이 되었다. 1966년 10월 12일 중앙위원회 위원으로 조선로동당 제2차 당대표자회에서 선출되었다.[3] 그러나 1969년, "국고를 낭비하고 최첨단 무기만 구매했다" 및 "노농적위대를 무시했다"는 이유로 비판을 받았다.

2. 1. 항일 무장 투쟁과 광복

1919년 함경북도 경원군에서 태어났다.[1] 1930년대 후반부터 동북항일연군 제1로군 제5사에서 활동하며 항일 무장 투쟁에 참여했다.[2] 안길의 지휘 아래 유격대 활동을 전개했다.[5] 일본군의 추격을 피해 소련으로 이동하여 소련군 정찰 부대원으로 활동했다.[6] 제2차 세계 대전이 끝난 1945년 광복 이후, 강건의 인솔하에 박락권, 최광 등 30여 명과 함께 옌지에 도착했다.[5]

2. 2. 북한 정권 수립과 군 창설 기여

김창봉은 1919년 함경북도 경원군에서 태어났다.[1] 동북항일연군 제1군 5명의 일원으로 안기의 지휘를 받아 유격대 활동을 펼쳤다.[2][5] 일본군을 피해 소련으로 탈출하여 소련 정찰대 일원으로 활동했다.[6] 제2차 세계 대전이 끝난 후, 강건의 인솔 하에 박락권과 최광 등 30여 명과 함께 옌지에 도착했다.

1946년, 김창봉은 강건 등과 함께 귀국했다. 귀국 후 철도 경비대 창설에 참여하고, 38선 경비 보안대 대대장을 역임했다. 같은 해 12월, 보안 간부 훈련소 제3소 제3분소장(제3대대장)을 거쳐 보병 독립 여단 제3대대장으로 1947년 8월 14일까지 근무했다.

2. 3. 한국전쟁 참전

김창봉은 한국 전쟁 발발 당시 조선인민군 제3사단 제7연대장(대령)이었다.[7] 1950년 10월, 제19사단장으로 임명되었으며,[8] 같은 해 12월에는 제12사단장이 되었다.[5] 1951년 4월에는 제8군단장을 역임했다.[5] 1953년 7월 한국 휴전 협정 체결 이후 소장으로 진급하여 제7군단장이 되었다.[5]

2. 4. 전후 복구와 군사력 강화

김창봉은 1956년 중반부터 1958년 9월까지 소련 군사 아카데미에서 유학했다.[9] 1956년 4월 조선로동당 제3차 대회에서 당 정치위원회 후보위원으로 선출되었다. 귀국후 1959년 7월, 강건김웅, 남일, 김광협, 리권무의 뒤를 이어서 조선인민군 총참모장에 임명되었다.

1961년 9월, 조선로동당 제4차 대회에서 당 정치위원회 위원으로 선출되었다. 1962년 10월에는 최용건, 김광협의 뒤를 이어서 민족보위상(국방부 장관)에 취임했다.[10] 1966년 10월 12일, 조선로동당 제2차 당대표자회에서 당 정치위원회 위원으로 다시 선출되었다.[3]

2. 5. 숙청

1969년, 김창봉은 "국고를 낭비하여 최첨단 무기만 구입하려 했다", "노농적위대를 무시했다"는 비판을 받고 실각했다.[3]

3. 평가

3. 1. 긍정적 평가

3. 2. 부정적 평가

참조

[1] 뉴스 [인민무력부장傳(3)] 청와대 습격 '1·21사태' 배후 김창봉 https://news.joins.c[...] 2016-11-23
[2] 뉴스 직계만 빼놓곤 숙청 https://news.joins.c[...] 1982-03-27
[3] 간행물 1970年の北朝鮮 http://d-arch.ide.go[...] アジア動向年報 1970
[4] 뉴스 대동강(대동강)의 證言(증언) (12) 暴動(폭동)연루자 處置(처치) http://newslibrary.n[...] 1974-05-11
[5] 뉴스 [인민무력부장傳(3)] 청와대 습격 '1·21사태' 배후 김창봉 https://news.joins.c[...] 2016-11-23
[6] 뉴스 직계만 빼놓곤 숙청 https://news.joins.c[...] 1982-03-27
[7] 간행물 6.25戰爭史 第2巻-北韓의 全面南侵과 初期防禦戰鬪 http://www.imhc.mil.[...] 한국国防部軍史編纂研究所 2015-09-14 # 추정 날짜. 정확한 출판일자가 없으므로 임의로 설정.
[8] 서적 戦争と平和:朝鮮半島1950 社会評論社
[9] 뉴스 6ㆍ25때 북한군 작전국장/유성철 “나의 증언”:15 http://www.hankookil[...] 1990-11-20
[10] 간행물 1970年の北朝鮮 http://d-arch.ide.go[...] アジア動向年報 197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