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나고르노카라바흐 자치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나고르노카라바흐 자치주는 아제르바이잔 SSR 내에 존재했던 자치주로, 아르메니아인과 아제르바이잔인의 영토 분쟁의 중심지였다. 1923년 설치되어 1991년 폐지될 때까지 아르메니아인과 아제르바이잔인 간의 민족 갈등이 지속되었으며, 1980년대 후반에는 나고르노카라바흐 전쟁으로 이어졌다. 자치주 해체 이후 아르메니아계 주민들은 아르차흐 공화국을 수립했으나 국제적으로 인정받지 못하고 있으며, 아제르바이잔과 아르메니아 간의 분쟁은 현재까지 진행 중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나고르노카라바흐의 역사 - 적쿠르디스탄
    적쿠르디스탄은 1923년 아제르바이잔에 설립된 쿠르드 자치구였으나 1929년 폐지되었고, 이후 쿠르드족은 문화적 동화 정책과 강제 이주로 고통을 겪었다.
  • 소련의 자치주 - 남오세티야 자치주
    남오세티야 자치주는 조지아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내 오세티아인 자치주였으나, 소련 붕괴 후 조지아로부터 독립을 선언하며 분쟁이 시작되어 자치권이 무효화되었고, 현재까지 조지아와 갈등 중이다.
  • 소련의 자치주 - 고르노바다흐샨 자치주
    고르노바다흐샨 자치주는 타지키스탄 동부 파미르 고원에 위치하여 '세계의 지붕'이라 불리며, 타지키스탄 내전 이후 자치권 확대 요구와 정부와의 갈등, 중국과의 국경 문제 등 복잡한 정치적 상황에 놓여 있다.
  • 아제르바이잔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 검은 1월
    1990년 1월 20일, 소련군이 아제르바이잔 바쿠를 침공하여 인민 전선당을 진압한 검은 1월은 아제르바이잔의 민주화 및 독립운동과 소련의 무력 진압 간의 대립을 보여주는 사건으로, 민간인 사상자를 발생시키고 아제르바이잔 독립의 계기가 되었다.
  • 아제르바이잔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 아제르바이잔 공산당
    아제르바이잔 공산당은 1920년 여러 정당의 연합으로 창당되어 아제르바이잔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의 여당으로서 통치하다가 소련 붕괴 후 활동이 금지되었지만, 이전 지도자들과 공산주의자들은 아제르바이잔 정치계에 지속적인 영향력을 행사했다.
나고르노카라바흐 자치주
개요
나고르노카라바흐 자치주의 위치
나고르노카라바흐 자치주의 위치
정식 명칭나고르노카라바흐 자치 오블라스트
일반 명칭나고르노카라바흐
관할 국가아제르바이잔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자치 구역 유형자치 오블라스트
수도스테파나케르트
역사
시작1923년 7월 7일
종료1991년 11월 26일, 폐지
이전 국가Transcaucasian SFSR
계승 국가나고르노카라바흐 공화국
아제르바이잔
설치1923년
공식 창설1924년 11월 26일
귀속 분쟁 표면화1988년 - 1989년
"나고르노카라바흐 공화국" 독립 선언1991년 9월 2일
통치
정부 형태자치 오블라스트
자치주 당위원회 제1서기세로 마누츠얀 (책임 서기, 1923년)
겐리흐 포고샨 (1988년 - 1989년)
자치주 소비에트 집행위원회 의장아르메나크 카라코조프 (임시 혁명 위원회 의장 등, 1923년 - 1928년)
세미욘 바바얀 (1988년 - 1991년)
입법부주 소비에트
인구
1926년125,300명
1989년189,085명
면적
1989년4,388km²
훈장
훈장 내역레닌 훈장 (1967년)
인민 우정 훈장(1972년)
현재 상황
설명법령상으로는 아제르바이잔 영토이지만, 나고르노카라바흐 공화국으로서 사실상 독립 상태임.
기타 정보
로마자 표기Nagorno-Karabakhskaya avtonomnaya oblast' (NKAO)
아제르바이잔어 표기Dağlıq Qarabağ Muxtar Vilayəti (DQMV)
아르메니아어 표기Լեռնային Ղարաբաղի Ինքնավար Մարզ (ԼՂԻՄ) (Lerrnayin Gharabaghi Ink’navar Marz (LGhIM))

2. 역사적 배경

자치주의 주요 도시


남캅카스 남부에 위치한 나고르노카라바흐는 역사적으로 아르메니아인과 아제르바이잔인 사이의 분쟁 지역이었다.[26][27] 1918년부터 1920년까지 아르메니아 제1 공화국과 아제르바이잔 민주 공화국이 이 지역을 두고 분쟁을 벌였다.[30]

아르메니아아제르바이잔이 소비에트화된 이후, 카브뷰로는 이 지역을 아제르바이잔 SSR 내에 유지하면서 광범위한 자치를 부여하기로 결정했다.[5] 1923년 7월 7일, 나고르노카라바흐 자치주가 창설되었고 수도는 스테파나케르트로 정해졌다.[7]

그러나 소비에트 아제르바이잔 당국의 아제르바이잔인 정착 정책, 일부 카라바흐 아르메니아인의 이주, 그리고 아르메니아인보다 아제르바이잔인의 높은 출생률 등의 이유로 아르메니아인의 비율은 점차 감소했다.[9]

나고르노카라바흐의 지위 문제는 1980년대 중반까지 주요 공론화되지 않았지만, 아르메니아 지식인, 소비에트 아르메니아 및 카라바흐 아르메니아 지도부는 이 지역을 소비에트 아르메니아로 이관해 줄 것을 주기적으로 모스크바에 호소했다.[9] 1945년, 그리고리 아루티노프는 스탈린에게 이 지역을 소비에트 아르메니아에 합병해 달라고 요청했지만 거부되었다.[9] 1977년, 세로 칸자댠은 레오니트 브레즈네프에게 나고르노카라바흐를 소비에트 아르메니아에 병합할 것을 요구하는 공개 서한을 썼다.[10]

2. 1. 아르메니아와 아제르바이잔의 영토 분쟁

러시아 제국 붕괴 이후, 아르메니아 제1 공화국과 아제르바이잔 민주 공화국은 나고르노카라바흐 지역을 두고 영토 분쟁을 벌였다.[30] 양측 모두 이 지역에 대한 역사적 권리를 주장하며 대립하였다.[26][27] 남캅카스 남부에 위치한 이 지역은 예로부터 아제르바이잔인과 아르메니아인의 영토 분쟁의 무대가 되어 왔다. 아르메니아인 측은 카라바흐가 고대 아르메니아 왕국 시대부터 수천 년에 걸친 아르메니아 문화의 중심지라고 주장한다. 한편 아제르바이잔인 측은, 자신들이 캅카스 알바니아인의 후손이며, 아르메니아인보다 먼저 캅카스 알바니아 왕국을 형성했던 카라바흐 일대의 선주민이라고 주장한다.

1916년 시점에서 나고르노카라바흐의 아르메니아인은 총 인구의 약 70%에 달했다. 그러나 아제르바이잔 측에 따르면, 그것은 19세기에 들어서 아르메니아인이 이주한 결과일 뿐이라고 한다.[28][29]

2. 2. 소비에트 연방의 개입과 자치주 설립

1920년대 초, 소비에트 연방은 아르메니아아제르바이잔 사이의 분쟁 지역이었던 나고르노카라바흐에 대한 통제권을 확립했다. 볼셰비키는 처음에는 나고르노카라바흐를 아르메니아에 귀속시키려 했으나, 아제르바이잔의 반발과 정치적 상황을 고려하여 1921년 7월 5일, 아제르바이잔 SSR 내에 광범위한 자치권을 가진 나고르노카라바흐 자치주(NKAO)를 설립하는 것으로 최종 결정하였다.[42] 이 결정에는 이오시프 스탈린의 의향이 크게 작용했다는 주장이 제기되기도 한다.[44]

1923년 7월 7일, 아제르바이잔 SSR 중앙 집행위원회는 나고르노카라바흐 자치주 창설을 공식 발표했다.[49] 당초 자치주의 주도는 슈샤로 예정되었으나, 한켄디로 변경되었고, 한켄디는 스테판 샤우미얀의 이름을 따 스테파나케르트로 개칭되었다.[48] 1924년 11월 26일에는 아르메니아어, 아제르바이잔어, 러시아어로 된 기본 법전이 발포되어, 나고르노카라바흐 자치주는 행정체로서 완성되었다.[50]

당초 슈샤는 아제르바이잔인이 다수 거주한다는 이유로 자치에서 제외될 예정이었다.[6] 그러나 슈샤 학살로 인해 아르메니아인 인구가 크게 감소한 후, 1923년 슈샤는 나고르노카라바흐 자치주에 포함되었다.[6]

2. 3. 자치주 내 아르메니아인과 아제르바이잔인의 갈등

아르메니아인들은 아제르바이잔 당국이 자치주 내에서 아르메니아인들을 차별하고 억압했다고 지속적으로 주장해 왔다. 이들은 아제르바이잔인의 이주 정책으로 인해 아르메니아인의 비율이 1923년 94.4%에서 1979년 75.9%로 감소했다고 주장한다.[83] 또한, 학교에서 아르메니아 역사 수업이 금지되고 아르메니아어 교재가 제한되었으며,[84] 자치주 내의 수많은 교회 건축물이 파괴되거나 훼손되었음에도 당국이 복구 작업을 하지 않았다고 주장한다.[83][85]

아르메니아인들은 아제르바이잔인에 의한 아르메니아인 살해가 제대로 수사나 재판되지 않았고, 아르메니아인이 범인인 것처럼 보도되었다고 주장한다.[86] 또한, 자치주의 공업 생산이 인구당 아제르바이잔 전체에서 최저 수준이었으며,[88] 이는 나고르노카라바흐 경제를 파괴하고 아르메니아인을 국외로 이주시키기 위한 목적이었다고 주장한다.[89] 1980년부터 1986년 사이 아제르바이잔 전체 주요 생산 예산은 43% 증가했지만, 같은 기간 자치주의 예산은 17% 감소했으며,[90] 농산물 징발 할당량은 나히체반 자치 공화국보다 많았다고 한다.[91]

아르메니아인들은 자치주의 주택 상황이 열악했고,[92] 자치주와 아르메니아 본국을 잇는 포장도로가 없었으며,[94] 철도 노선도 매우 짧았다고 주장한다.[96]

반면, 아제르바이잔 측은 아르메니아인이 차별받았다는 주장을 부인하며, 오히려 아제르바이잔인이 차별받았다고 주장한다. 이들은 아제르바이잔 자체가 소련 내 최빈국이었음에도 자치주의 아르메니아인들이 본국보다 더 나은 생활을 했다고 주장하며,[97] 1989년 자치주 예산 중 아제르바이잔인 지역에 할당된 예산이 매우 적었다고 지적한다.[98] 또한, 자치주에서 몰래 마리화나가 재배되었다고 주장한다.[97]

아제르바이잔 측은 1988년부터 이듬해까지 자치주 내 다수의 중등학교에서 아르메니아어로 수업이 진행되었고,[99] 작은 아르메니아인 집락에도 문화 시설이 설치된 반면, 큰 아제르바이잔인 마을에는 설치되지 않았다고 주장한다.[100] 또한, 인구당 기계화 차량 수가 아제르바이잔 전체보다 자치주에서 더 많았다고 주장한다.[99] 1988년 3월의 사회 조사에서도 자치주의 의료 체제와 교육 시설 상황이 양호했다는 결과가 나왔다.

2. 4. 나고르노카라바흐 전쟁과 자치주 해체

1980년대 후반, 미하일 고르바초프소련 공산당 서기장에 취임하고 페레스트로이카 등 자유화 정책이 시작되면서, 안드레이 사하로프와 같은 저명인사들이 나고르노카라바흐의 아르메니아 편입을 지지하게 되었다.[53][54] 미국프랑스를 비롯한 각국의 아르메니아인 디아스포라도 나고르노카라바흐 편입 지지 시위를 벌였다.[55]

1988년 2월 20일, 자치주 소비에트는 나고르노카라바흐의 아르메니아 편입을 공개적으로 요구했다.[56] 같은 날 스테파나케르트에서 주민 시위가 발생, 10만 명이 넘는 참가자들이 아르메니아와의 합병을 요구했다.[53] 예레반에서도 30만 명이 호응하는 시위를 벌였으나, 소련 언론은 이를 보도하지 않았다.[53] 이후 아제르바이잔과 아르메니아 양국 각지에서 민족 충돌이 발생했고, 이는 소련 붕괴 이후에도 나고르노카라바흐 전쟁으로 이어졌다.

1991년 11월 26일, 아제르바이잔 최고 소비에트는 자치주의 지위를 폐지하는 법률을 통과시켰다. 자치주의 내부 행정 구역 또한 폐지되었으며, 그 영토는 분할되어 호자벤드, 타르타르, 고란보이, 슈샤, 칼바자르 인접 행정 구역에 재분배되었다.[20] 이에 대응하여 자치주의 다수 아르메니아인들은 독립을 선언하고 나고르노카라바흐 공화국을 수립했으며, 이는 아르메니아의 지지를 받았다.[21][22][23]

3. 행정 구역

나고르노카라바흐 자치주(NKAO)는 5개의 구와 1개의 도시(스테파나케르트)로 구성되었다. 1989년 기준으로 자치주의 면적은 4388km2이며, 이는 아제르바이잔 전체 면적의 5%였다.[107] 주민의 86%가 해발 500m 이상에 거주했으며, 그 중 4%는 해발 1000m 이상의 산지에 거주했다.[102] 인구 밀도는 1제곱미터당 30명에서 10명 사이였으며, 북쪽에서 남쪽으로 갈수록 낮아졌다.[102] 1987년 조사에 따르면, 48개의 콜호스와 27개의 소프호스가 편성되었고, 도시 인구는 전체의 42%였다.[102]

3. 1. 구 목록

나고르노카라바흐 자치주(NKAO)에는 5개의 구가 있었다.

  • 마르다케르트 구 (NKAO)
  • 마르투니 구 (NKAO)
  • 슈샤 구 (NKAO)
  • 아스케란 구 (NKAO)
  • 하드루트 구 (NKAO)


나고르노카라바흐 자치주의 행정 구역


1977년에는 독립 도시인 스테파나케르트 외에 5개 구역으로 나뉘었으며, 하위 행정 구역으로 1개의 시, 7개의 읍, 215개의 촌락이 있었다.[108]

행정 구역 상세[109]
구역
(1930년 8월부터 설치)
[110]촌락 수[108]비고[109]
스테파나케르트colspan="3" |
아스케란 구Аскеран|아스케란ru521978년 5월에 "스테파나케르트 구"에서 개칭[111]
하드루트 구하드루트381937년 9월에 "디자크 구"에서 개칭
슈샤 구Шуша|슈샤ru301963년 1월부터 1965년 6월까지 스테파나케르트 구에 병합
마르다케르트 구rowspan="3" |마타기스571937년 9월에 "젤라베르트 구"에서 개칭
Мардакерт|마르다케르트ru
Şıxarx|레니나반az
마르투니 구rowspan="2" |Красный Базар|크라스니 바자르ru38rowspan="2" |
Мартуни (Нагорный Карабах)|마르투니ru


3. 2. 수도

자치주의 수도는 스테파나케르트였다.[108]

4. 인구 구성

나고르노카라바흐 자치주는 1923년 7월 7일에 창설되었으며, 아르메니아인이 다수를 차지했다. 1926년 인구 조사에서 아르메니아인은 89.2%였으나, 1989년에는 76.9%로 감소했다.[8] 반면 아제르바이잔인의 비율은 점차 증가했는데, 이는 아제르바이잔 당국의 이주 정책, 카라바흐 아르메니아인의 이주, 그리고 아르메니아인보다 높은 아제르바이잔인의 출산율 등이 원인이었다.[9]

나고르노카라바흐가 아제르바이잔에 귀속된 후에도 아르메니아인들은 소련의 정세 변화에 따라 나고르노카라바흐를 아르메니아로 편입할 것을 모스크바에 계속 요청했다.[51]

아르메니아 측은 아제르바이잔 정부가 자치주에 아제르바이잔인을 이주시켜 아르메니아 세력을 축소하려 했으며, 아르메니아사 수업 금지, 아르메니아어 교재 제한 등 아르메니아인의 권리가 침해되었다고 주장한다.[83][84]

반면 아제르바이잔 측은 자치주에서 차별받은 것은 오히려 아제르바이잔인이었으며, 아르메니아인이 본국보다 더 나은 생활을 했다고 반박한다. 1988년 티그란 하차투로프 등의 사회 조사에서도 자치주의 의료 및 교육 시설이 소련 전체적으로 양호한 수준이었다는 결과가 나왔다.[82]

4. 1. 인구 통계 (1921년-1989년)



1923년 7월 7일, 나고르노카라바흐 자치주가 창설되었고 수도는 스테파나케르트로 이전되었다.[7] 창설 당시 면적은 4161km2였다.[7] 1926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이 지역의 인구는 125,200명이었으며, 그 중 아르메니아인이 89.2%를 차지했다. 그러나 1989년까지 아르메니아인의 비율은 자치 지역 인구의 76.9%로 감소했다.[8] 이는 소비에트 아제르바이잔 당국의 아제르바이잔인 정착 정책, 일부 카라바흐 아르메니아인의 이주, 그리고 아르메니아인보다 아제르바이잔인의 출생률이 일반적으로 더 높았던 점 등이 원인이었다.[9]

1921년부터 1989년까지 나고르노카라바흐 자치주의 역사적 민족 구성
민족1921[11][12]1923[11][13]1925[13]1926[13][14]1939[13][15]1959[13][16]1970[13][17]1979[13][18]1989[19]
%%%%%%%%%
아르메니아인122,71588.62149,60094.8142,47090.28111,69489.24132,80088.04110,05384.39121,06880.54123,07675.89145,45076.92
아제르바이잔인15,44411.157,7004.915,2619.6712,59210.0614,0539.3217,99513.8027,17918.0837,26422.9840,68821.52
러시아인3070.225000.3460.035960.483,1742.101,7901.371,3100.871,2650.781,9221.02
우크라이나인300.02350.034360.292380.181930.131400.094160.22
벨라루스인120.01110.01320.02350.02370.02790.04
그리스인680.05740.05670.05680.05330.02560.03720.04
타타르인60.00290.02360.03250.02410.03640.03
조지아인50.00250.02160.01220.01170.01570.03
기타1510.122350.161790.144480.302850.183370.18
총계138,466100.00157,800100.0157,807100.00125,159100.00150,837100.00130,406100.00150,313100.00162,181100.00189,085100.00



1988년 하차투로프 등이 비교한 생활 수준[82]
내용자치주아제르바이잔 전체아르메니아소련 전체
인구
1만 명
비율
병원 침대 수101.797.786.2130.1
의사 수29.138.438.642.7
중등 의료 종사자 수122.793.593.5114.7
공공 도서관 수1364.14.8
클럽 수1553.84.8
영화관 수11.232.95.4
취학 전 교육을 받는 아동의 비율 (%)35203957
주민 1인당 거주 면적 (m²)14.610.913.714.3


5. 역대 제1서기

아제르바이잔 공산당 나고르노카라바흐 자치주 위원회 제1서기는 자치주 내 최고 행정 권력이었다. 이 직책은 1923년 7월에 창설되었으며, 1990년 8월 27일에 폐지되었다. 제1서기 직책은 사실상 소련 공산당 정치국 또는 소련 공산당 서기장에 의해 임명되었다.[9] 역대 제1서기 목록은 다음과 같다.

이름재임 시작재임 종료생애
세로 마누찬1923년 7월1923년 12월
아코프 벤자냔1923년 12월1924년 4월
니콜라이 사르키소프1924년 4월1924년 10월
하이크 실라냔1924년 10월1925년?–1938
아르트바즈 사아키얀츠1925년1929년1895–1939
M.K. 다닐랸1929년1929년 12월
아쇼트 카라먄1929년1930년 5월1898–?
?1930년 5월1937년
미하일 마누키얀츠1937년1940년1909–1968
?1940년1942년
예기셰 그리고랸1942년 10월1946년1902–?
티그란 그리고랸1946년?
예기셰 그리고랸1952년1958년 12월1902–?
니콜라이 샤흐나자로프1958년 12월1962년 10월1908–
구르겐 멜쿠먄1962년 10월1973년 6월1915–
보리스 케보르코프1973년 6월1988년 2월 24일1932–1998
겐리흐 포고샨1988년 2월 24일1989년 1월 20일1931–2000
바간 가브리엘랸1989년 1월 20일1990년 8월 27일1936–


6. 사회 및 경제

나고르노카라바흐 자치주의 사회 및 경제에 대해서는 아르메니아인과 아제르바이잔인 간의 상반된 주장이 존재한다.

아르메니아인들은 아제르바이잔 당국이 아제르바이잔인을 자치주로 이주시켜 아르메니아 세력을 축소하려 했으며, 경제적으로도 차별했다고 주장한다. 이들은 학교에서 아르메니아 역사 수업이 금지되고 아르메니아어 교재도 제한되었으며,[84] 자치주 공업 생산이 아제르바이잔 전역에서 항상 최저였다고 주장한다.[88]

반면 아제르바이잔 측은 자치주에서 아르메니아인이 압박받았다는 사실은 없으며, 오히려 차별받은 것은 아제르바이잔인이었다고 주장한다. 이들은 소련 내 최빈국 중 하나였지만, 자치주 아르메니아인들은 본국보다 더 나은 생활을 했다는 데이터가 공식 통계에 나타나 있다고 반박한다.[97] 1988년 아르메니아 사회 경제학자 티그란 하차투로프 등의 사회 조사에서도 자치주의 의료 체제와 교육 시설 상황은 양호한 부분이 있었다는 결과가 나왔다.[82]

1989년 시점에서 자치주의 인구는 아제르바이잔 전체의 2.6%를 차지했지만, 농업 생산액은 3%, 공업 생산액은 1.8%에 불과했다.[107] 1975년 산업별 노동 인구를 살펴보면, 42.5%가 농업, 21.3%가 제조 및 건축, 20.2%가 학술 및 의료 분야에 종사하여, 2차 산업이 부족하고 자치주 밖 아제르바이잔에 크게 의존하는 경제 구조를 가지고 있었다.[103]

자치주의 공업 생산은 1986년 기준 1인당 1,370 루블로, 소련 전체 평균의 4분의 1에도 미치지 못했다.[104] 공업 기업은 스테파나케르트에 집중되어 있었으며, 1987년도 생산액은 1억 7,330만 루블로 주 전체 공업 생산의 70%를 차지했다.[105]

반면 축산업은 활발하여 1인당 식육 생산량이 67kg(아제르바이잔 전체 27kg), 축유 생산량이 320kg(아제르바이잔 전체 155kg)였다.[106] 양잠 또한 중요한 산업 중 하나였다.[106]

농업은 자치주의 주요 산업으로, 곡물과 사료 작물 재배가 활발했다.[106] 특히 포도 재배가 중요하여, 1986년에는 178km2의 경작 면적에서 93100ton의 포도가 생산되었다.[106]

1986년 자치주의 주요 생산품은 다음과 같다.[101]

품목생산량품목생산량품목생산량
밀 (44900ton)면직 (794km)양모 (612ton)
감자 (9900ton)생사 (109ton)목재 (3400m3)
야채 (11000ton)견사 (128ton)대리석판 (93000m2)
과일 (5400ton)견직물 (14.9km)건재 석회 (9000ton)
포도 (93100ton)동물 유지 (935ton)조명 기구 단자 (1,074,000개)
담배 잎 (300ton)치즈 (909ton)가죽 신발 (4,502,000켤레)
식육 (11200ton)와인 (12110kL, 1985년)가구 (5386000RUB)
축유 (56000ton)코냑 (577kL)시간당 발전량 (57.8GWh)
계란 (3,180,000개)


6. 1. 아르메니아인과 아제르바이잔인의 상반된 주장

자치주 내 아르메니아인들은 아제르바이잔 당국이 아제르바이잔인을 자치주로 이주시켜 아르메니아 세력을 축소하려 했다고 주장한다. 실제로 자치주 내 아제르바이잔인 인구는 1980년대까지 3배 증가했고, 아르메니아인 비율은 1923년 94.4%에서 1979년 75.9%로 감소했다.[83] 이들은 학교에서 아르메니아 역사 수업이 금지되고 아르메니아어 교재도 제한되었으며,[84] 아제르바이잔인들이 아르메니아인들을 살해하여도 수사나 재판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오히려 아르메니아인이 범인인 것처럼 보도되었다고 주장한다.[86]

경제적으로도 차별이 있었다고 주장한다. 자치주 공업 생산은 인구당 아제르바이잔 전역에서 항상 최저였으며,[88] 1980년부터 1986년 사이 아제르바이잔 전체 주요 생산 예산은 43% 증가했지만, 같은 기간 자치주는 17% 감소했다.[90] 농산물 징발 할당량도 나히체반 자치 공화국보다 많아, 1986년 기준 인구 1인당 가축 징발 할당은 나히체반의 4.6배였다.[91]

반면 아제르바이잔 측은 자치주에서 아르메니아인이 압박받았다는 사실은 없으며, 오히려 차별받은 것은 아제르바이잔인이었다고 주장한다. 아제르바이잔은 소련 내 최빈국 중 하나였지만, 자치주 아르메니아인들은 본국보다 더 나은 생활을 했다는 데이터가 공식 통계에 나타나 있다고 반박한다.[97] 아르카디 볼스키는 1989년 자치주에 할당된 9600만 루블 예산 중 아제르바이잔인 지역에 할당된 것은 400만 루블에 불과했다고 말했다.[98]

1988년부터 이듬해까지 자치주 내 136개 중등학교가 아르메니아어로 수업을 진행했고, 민족 간 학교는 13개였다.[99] 작은 아르메니아인 마을에도 문화 시설 "문화의 집"이 설치된 반면, 더 큰 아제르바이잔인 마을에는 설치되지 않았다고 한다.[100] 1988년 3월 아르메니아 사회 경제학자 티그란 하차투로프 등의 사회 조사에서도 자치주의 의료 체제와 교육 시설 상황은 아제르바이잔 전체, 아르메니아 본국, 소련 전체와 비교해도 양호한 부분이 있었다는 결과가 나왔다.[82]

하차투로프 등이 1988년에 비교한 생활 수준[82]
내용자치주아제르바이잔 전체아르메니아소련 전체
인구 1만 명당병원 침대 수101.797.786.2130.1
의사 수29.138.438.642.7
중등 의료 종사자 수122.793.593.5114.7
공공 도서관 수1364.14.8
클럽 수1553.84.8
영화관 수11.232.95.4
취학 전 교육을 받는 아동의 비율 (%)35203957
주민 1인당 거주 면적 (m²)14.610.913.714.3


6. 2. 경제 구조 및 산업

1989년 시점에서 나고르노카라바흐 자치주의 인구는 아제르바이잔 전체의 2.6%를 차지했지만, 농업 생산액은 3%, 공업 생산액은 1.8%에 불과했다.[107] 1975년 산업별 노동 인구를 살펴보면, 42.5%가 농업, 21.3%가 제조 및 건축, 20.2%가 학술 및 의료 분야에 종사했다.[102] 이처럼 자치주는 2차 산업이 부족하여 자치주 밖 아제르바이잔에 크게 의존하는 경제 구조를 가지고 있었다.[103]

자치주의 공업 생산은 1986년 기준 1인당 1,370 루블로, 소련 전체 평균의 4분의 1에도 미치지 못했다.[104] 공업 기업은 스테파나케르트에 집중되어 있었으며, 1987년도 생산액은 1억 7,330만 루블로 주 전체 공업 생산의 70%를 차지했다.[105]

반면 축산업은 활발하여 1인당 식육 생산량이 67kg(아제르바이잔 전체 27kg), 축유 생산량이 320kg(아제르바이잔 전체 155kg)였다.[106] 그러나 식육의 67%, 축유의 57%가 자치주 밖으로 수출되어 주 내 소비량은 많지 않았다.[106] 특히 양, 염소, 가금류 사육이 널리 이루어졌으며, 1987년에는 27만 5,000마리의 양과 염소, 26만 4,000마리의 새가 사육되었다.[104] 양잠 또한 중요한 산업 중 하나였다.[106]

농업은 자치주의 주요 산업으로, 곡물과 사료 작물 재배가 활발했다.[106] 1985년에는 663제곱킬로미터의 경작 면적을 거의 양분했다.[106] 나고르노카라바흐의 저지대와 산기슭에서는 수 세기에 걸쳐 과일 재배, 특히 포도 재배가 이루어졌으며, 이는 자치주 경제에서도 중요한 위치를 차지했다.[106] 1986년에는 178제곱킬로미터의 경작 면적에서 93,100톤의 포도가 생산되었다.[106]

1986년 자치주의 주요 생산품은 다음과 같다.[101]

품목생산량품목생산량품목생산량
밀 (44900ton)면직 (794km)양모 (612ton)
감자 (9900ton)생사 (109ton)목재 (3400m3)
야채 (11000ton)견사 (128ton)대리석판 (93000m2)
과일 (5400ton)견직물 (14.9km)건재 석회 (9000ton)
포도 (93100ton)동물 유지 (935ton)조명 기구 단자 (1,074,000개)
담배 잎 (300ton)치즈 (909ton)가죽 신발 (4,502,000켤레)
식육 (11200ton)와인 (12110kL, 1985년)가구 (5386000RUB)
축유 (56000ton)코냑 (577kL)시간당 발전량 (57.8GWh)
계란 (3,180,000개)


참조

[1] 웹사이트 "НАГОРНО-КАРАБАХСКАЯ АО (1989 г.)" http://www.ethno-kav[...] 2011-09-16
[2] 간행물 Sud-Caucase: conflit du Karabagh et nettoyage ethnique https://www.persee.f[...] 2023-01-13
[3] 뉴스 Conflicts in the Caucasus https://www.unhcr.or[...] United Nations High Commissioner for Refugees 1996
[4] 간행물 Ethnic Conflict in the Transcausasus: The Case of Nagorno-Karabakh 1991
[5] 웹사이트 Q&A with Arsène Saparov: No Evidence that Stalin 'Gave' Karabakh to Aхerbaijan https://armenian.usc[...] 2023-01-13
[6] 웹사이트 Dağlıq Qarabağın sərhədləri necə cızılırdı? https://azlogos.eu/d[...] 2022-08-23
[7] 서적 Атлас Союза Советских Социалистических Республик Moscow: Central Executive Committee of the USSR 1928
[8] 웹사이트 All-Union Population Census of 1926. Ethnic composition of the population by regions of the republics of the USSR http://www.demoscope[...] 2023-01-13
[9] 서적 Black Garden: Armenia and Azerbaijan through Peace and War New York University Press
[10] 웹사이트 The Armenian Diasporan Press on Mountainous Karabagh, 1923-1985 http://entriessas.co[...] Entries of the Society for Armenian Studies 2021-01-21
[11] 서적 Explaining ethnic conflict in the South Caucasus: Mountainous Karabagh, Abkhazia, and South Ossetia https://home.gwu.edu[...]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12] 웹사이트 Перепись населения АзССР в 1921 г. http://www.karabagh.[...] 2022-06-26
[13] 웹사이트 The population of Nagorno-Karabakh for a year. Union of Armenians of Russia - Nagorno-Karabakh Republic. Excursion into history https://losevskaya.r[...] 2022-10-31
[14] 웹사이트 Всесоюзная перепись населения 1926 года. Национальный состав населения по регионам республик СССР http://demoscope.ru/[...] 2016-06-05
[15] 웹사이트 Всесоюзная перепись населения 1939 года. Распределение городского и сельского населения областей союзных республик по национальности и полу http://demoscope.ru/[...] 2016-06-05
[16] 웹사이트 Всесоюзная перепись населения 1959 года. Городское и сельское население областей республик СССР (кроме РСФСР) по полу и национальности http://demoscope.ru/[...] 2016-06-05
[17] 웹사이트 Всесоюзная перепись населения 1970 года. Городское и сельское население областей республик СССР (кроме РСФСР) по полу и национальности http://demoscope.ru/[...] 2016-06-05
[18] 웹사이트 Всесоюзная перепись населения 1979 года. Городское и сельское население областей республик СССР (кроме РСФСР) по полу и национальности http://demoscope.ru/[...] 2016-06-05
[19] 웹사이트 Всесоюзная перепись населения 1989 года.Распределение городского и сельского населения областей республик СССР по полу и национальности http://demoscope.ru/[...] 2016-06-05
[20] 간행물 Turkey and the Conflict in Nagorno Karabakh: A Delicate Balance http://www.pcr.uu.se[...] Frank Cass Publications 1998-01
[21] 웹사이트 Nagorno-Karabakh: are Armenia and Azerbaijan sliding towards all-out war? http://theconversati[...] 2020-10-19
[22] 웹사이트 Why Nagorno-Karabakh? The history (both ancient and modern) that fuels the deadly conflict between Armenia and Azerbaijan https://meduza.io/en[...] 2020-10-19
[23] 웹사이트 1993 UN Security Council Resolutions on Nagorno-Karabakh https://2001-2009.st[...] 2020-10-19
[24] 웹사이트 Автономная область Нагорного Карабаха - Нагорно-Карабахская автономная область - Нагорно-Карабахская Республика http://www.knowbysig[...] knowbysight.info 2018-03-20
[25] 문서 Нагорно-Карабахская автономная область
[26] 문서 佐藤 (1989)
[27] 문서 de Wall (2003)
[28] 문서 Baguirov (2008)
[29] 문서 de Wall (2003)
[30] 문서 北川 (1989)
[31] 문서 佐藤 (1989)
[32] 문서 北川 (1989)
[33] 문서 Гасанлы (2013)
[34] 문서 吉村 (2008)
[35] 문서 北川 (1989)
[36] 서적 de Wall (2003) pp.80, 128
[37] 서적 北川 (1989) 71頁
[38] 서적 佐藤 (1989) 86頁
[39] 서적 北川 (1989) 72頁
[40] 서적 Гасанлы (2013) С. 209—210
[41] 서적 Altstadt (1992) p.117
[42] 서적 北川 (1989) 73頁
[43] 서적 Гасанлы (2013) С. 228
[44] 서적 高橋 (1990) 218頁
[45] 서적 de Wall (2003) p.130
[46] 서적 北川 (1989) 75頁
[47] 서적 北川 (1989) 74頁
[48] 서적 de Wall (2003) pp.129-130
[49] 서적 北川 (1989) 76頁
[50] 서적 北川 (1989) 77頁
[51] 서적 de Wall (2003) p.16
[52] 서적 北川 (1988) 61頁
[53] 서적 de Wall (2003) pp.22-23
[54] 서적 佐藤 (1989) 110-111頁
[55] 서적 佐藤 (1989) 184-202頁
[56] 서적 佐藤 (1989) 148-149頁
[57] 서적 de Wall (2003) p.15
[58] 서적 de Wall (2003) pp.12-13, 289
[59] 서적 佐藤 (1989) 14頁
[60] 서적 塩川 (2017) 246頁
[61] 서적 de Wall (2003) p.60
[62] 서적 de Wall (2003) p.61
[63] 서적 高橋 (1990) 237頁
[64] 서적 de Wall (2003) p.67
[65] 서적 de Wall (2003) p.69
[66] 서적 佐藤 (1989) 205-207頁
[67] 서적 塩川 (2017) 250-251頁
[68] 서적 塩川 (2017) 252頁
[69] 서적 de Wall (2003) pp.70-71
[70] 서적 佐藤 (1989) 216頁
[71] 서적 高橋 (1990)
[72] 서적 塩川 (2017)
[73] 서적 高橋 (1990)
[74] 서적 塩川 (2017)
[75] 서적 Altstadt (1992)
[76] 서적 de Wall (2003)
[77] 서적 de Wall (2003)
[78] 서적 de Wall (2003)
[79] 서적 中島 (2014)
[80] 서적 de Wall (2003)
[81] 서적 Ходжабекян (1991)
[82] 서적 Baguirov (2008)
[83] 서적 中島 (1990)
[84] 서적 中島 (1990)
[85] 서적 佐藤 (1989)
[86] 서적 佐藤 (1989)
[87] 서적 佐藤 (1989)
[88] 서적 Ходжабекян (1991)
[89] 서적 佐藤 (1989)
[90] 서적 Валесян, Мурадян (1989)
[91] 서적 Ходжабекян (1991)
[92] 서적 Ходжабекян (1991)
[93] 서적 de Wall (2003)
[94] 서적 Ходжабекян (1991)
[95] 서적 Altstadt (1992)
[96] 서적 Валесян, Мурадян (1989)
[97] 서적 de Wall (2003)
[98] 서적 Altstadt (1992)
[99] 서적 Baguirov (2008)
[100] 서적 de Wall (2003)
[101] 서적 Валесян, Мурадян (1989)
[102] 서적 北川 (1988)
[103] 서적 Валесян, Мурадян (1989)
[104] 서적 Валесян, Мурадян (1989)
[105] 서적 Валесян, Мурадян (1989)
[106] 간행물 Валесян, Мурадян (1989)
[107] 간행물 Валесян, Мурадян (1989)
[108] 간행물 Мельников, Ибрагимов (1979)
[109] 간행물 Мельников, Ибрагимов (1979)
[110] 간행물 Мельников, Ибрагимов (1979)
[111] 간행물 Управление Делами Президента Азербайджанской Республики Президентская Библиотека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