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그리스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그리스인은 그리스어를 사용하는 민족으로, 역사적으로 지중해 전역에 분포했으나, 고대부터 에게해 주변 지역에 집중되어 있었다. 그리스인들은 그리스 반도, 소아시아 서부 해안, 폰토스, 이집트, 키프로스, 콘스탄티노폴리스 등에서 단일 집단으로 모여 살았으며, 그리스-터키 전쟁 이후 현재의 그리스와 키프로스에 주로 거주하게 되었다. 그리스어는 헬레니즘어파에 속하며, 그리스인들은 고대 그리스 문명의 계승자로서, 민주주의, 철학, 예술 등 다양한 분야에서 서양 문화에 큰 영향을 미쳤다. 그리스 정교회를 주로 믿으며, 그리스 국기와 이중 머리 독수리, 그리스어, 그리고 고대 그리스의 유산을 상징으로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그리스 사람 - 오스만 그리스인
    오스만 그리스인은 오스만 제국 내에 거주하며 종교적, 문화적 정체성을 유지한 그리스인 공동체로, 탄지마트 개혁과 청년 투르크당 집권 이후에도 탄압을 받았으며,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청을 중심으로 제국 내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했다.
  • 그리스 사람 - 그리스와 덴마크의 왕자 안드레아스
    그리스와 덴마크의 왕자 안드레아스는 요르요스 1세의 아들로, 발칸 전쟁과 제1차 세계 대전에 참전했으며 그리스-터키 전쟁 패배 후 망명하여 프랑스에서 생을 마감했다.
  • 그리스의 민족 - 알바니아인
    알바니아인은 발칸반도 서부에 주로 거주하며 알바니아어를 사용하는 민족으로, 고대 일리리아인의 후예로 여겨지며 오스만 제국 지배를 거쳐 1912년 독립을 쟁취했으나 코소보 알바니아인들은 세르비아의 지배를 받았고, 다양한 종교를 믿으며 서구 국가에 디아스포라를 형성하고 있다.
  • 그리스의 민족 - 튀르키예인
    튀르키예인은 튀르키예 공화국을 중심으로 거주하며 튀르키예어를 사용하고 수니파 이슬람교를 믿는 민족으로, 중앙아시아 유목민족에서 기원하여 다양한 지역의 인구와 혼혈을 이루며 아나톨리아에 정착, 튀르키예 공화국 건국을 통해 정체성이 강화되었으나, 비튀르크계 민족과의 관계는 민족 문제로 남아있다.
그리스인
기본 정보
민족 이름그리스인
고유 명칭Ἕλληνες
고유 명칭 (언어)ell
세계의 그리스인 디아스포라 지도
인구
전체 인구1,400만–1,700만 명
그리스9,903,268명 (2011년 인구 조사)
키프로스659,115–721,000명 (2011년 인구 조사)
미국1,279,000–3,000,000명 (2016년 추정치)
독일449,000명 (2021년 추정치)
오스트레일리아424,744명 (2021년 인구 조사)
영국290,000–345,000명 (2011년 추정치)
캐나다271,405명 (2016년 인구 조사)
남아프리카 공화국138,000명 (2011년 추정치)
이탈리아110,000–200,000명 (2013년 추정치)
이집트110,000명
칠레100,000명
우크라이나91,000명 (2011년 추정치)
러시아85,640명 (2010년 인구 조사)
브라질50,000명
프랑스35,000명 (2013년 추정치)
벨기에35,000명 (2011년 추정치)
네덜란드28,856명 (2021년)
우루과이25,000–28,000명 (2011년 인구 조사)
터키4,000–49,143명
아르헨티나20,000–30,000명 (2013년 추정치)
스웨덴24,736명 (2012년 인구 조사)
알바니아23,485명 (2023년 인구 조사)
불가리아1,356명 (2011년 인구 조사) ~ 28,500명 (추정치)
조지아15,000명 (2011년 추정치)
체코12,000명
스위스11,000명 (2015년 추정치)
루마니아10,000명 (2013년 추정치)
우즈베키스탄9,500명 (2000년 추정치)
카자흐스탄8,846명 (2011년 추정치)
뉴질랜드2,478명 ~ 10,000명 (추정치), 최대 50,000명 가능
오스트리아5,261명
헝가리4,454명 (2016년 인구 조사)
언어
주요 언어그리스어
종교
주요 종교대부분 그리스 정교회
관련 민족
관련 민족(데이터 없음)
각주
a조상 혈통을 포함한다.
b"문화적 뿌리"를 가진 사람들을 포함한다.
c"그리스인"을 다른 민족 기원과 함께 명시한 사람들. "그리스인"만을 명시한 사람은 145,250명이다. 추가로 3,395명의 미신고 민족의 키프로스인이 캐나다에 거주한다.
d약 60,000명의 그리코족과 2차 세계 대전 이후 이민자 30,000명.
e"후손 포함".
f그리스 무슬림 포함.

2. 역사

역사상으로 그리스의 공동체는 지중해 전역에 널리 퍼져 있었으나, 그리스 사람들은 고대부터 그리스어를 쓰던 에게해 주변 지역에 집중되어 있었다.[325] 20세기 초까지 그리스 사람들은 그리스 반도와 소아시아 서부 해안, 폰토스, 이집트, 키프로스, 콘스탄티노폴리스에서 단일 집단으로 모여 살았는데, 이들 지역 상당수는 11세기 비잔티움 제국의 영토와 동부 지중해의 고대 그리스 영토와 일치한다.[326]

그리스-터키 전쟁 (1919년-1922년) 이후 그리스와 터키의 대규모 인구 교환으로 그리스 민족 대부분이 현대 그리스 국가와 키프로스 국경 안쪽으로 옮아와 모여 살게 되었다. 남부 이탈리아와 캅카스 지방에서도 그리스 민족 집단이 있으며, 여러 나라에 그리스 디아스포라 집단이 있다. 오늘날 그리스인의 대부분은 최소한 명목상으로나마 그리스 정교를 신봉하고 있다.[327]

카토나(2000), 사켈라리우(2016, 1980, 1975), 필락토풀로스(1975)가 제시한 원그리스어 정착 지역(기원전 2200/2100년–1900년)


|thumb|미케네 시대의 장례 가면으로 알려진 "아가멤논의 가면", 기원전 16세기

그리스인들은 그리스어를 사용하는데, 이 언어는 인도유럽어족 중에서도 독립적인 가지인 헬레니즘어파에 속한다.[48] 그들은 앤서니 D. 스미스가 "전형적인 디아스포라 민족"으로 묘사한 고전적인 민족 집단의 일부이다.[56][57]

시대주요 사건
기원전 3천년경남부 발칸반도/에게 해 주변의 원그리스어(Proto-Greek) 부족들이 그리스 본토에 도착했을 것으로 일반적으로 생각된다.
기원전 16세기아카이아인(Achaeans)의 등장과 미케네 문명(Mycenaean civilization)의 형성. 이는 그리스어의 가장 초기 문헌적 증거를 남겼다.
기원전 15세기크레타 섬에서 미케네 엘리트가 크노소스(Knossos)를 지배하며 미케네-미노아 혼합 문화를 형성했다.[277]
기원전 14세기미케네의 소아시아 개입이 시작되었다.[278]
기원전 11세기궁전 파괴와 내부 이동으로 미케네 문명이 멸망하고 그리스 암흑기(Greek Dark Ages)가 시작되었다. 도리아인(Dorians)이 그리스 반도로 이동했다.
기원전 9세기그리스 부족들의 소아시아와 키프로스 대규모 식민지화.
기원전 8세기시칠리아와 남부 이탈리아에 최초의 주요 식민지가 설립되었다. 최초의 범그리스 축제인 올림픽 경기가 기원전 776년에 개최되었다. 범그리스주의(Pan-Hellenism)의 등장은 그리스 민족의 민족 형성(ethnogenesis)을 나타낸다.
기원전 6세기지중해와 흑해 전역에 식민지가 설립되었다.
기원전 5세기페르시아의 패배와 이오니아(Ionia), 흑해, 에게 해 주변에서 델로스 동맹(Delian League)의 등장은 아테네 제국(Athenian Empire)과 그리스 고전 시대(Classical Age of Greece)로 이어졌고, 펠로폰네소스 전쟁(Peloponnesian War) 말기에 아테네가 스파르타에게 패배하면서 끝났다.
기원전 4세기테베(Thebes)의 힘의 부상과 스파르타의 패배; 마케도니아의 부상(Rise of Macedon); 알렉산더 대왕(Alexander the Great)의 원정; 새로 설립된 프톨레마이오스 이집트(Ptolemaic Egypt)와 아시아의 도시에 그리스 식민지가 설립되었다.
기원전 2세기로마 제국(Roman Empire)에 의한 그리스 정복. 그리스인들의 로마로의 이주.
서기 4세기비잔티움 제국(Byzantine Empire, 동로마 제국). 제국 전역, 주로 콘스탄티노폴리스로의 그리스인 이주.
7세기슬라브족(Slavs)의 그리스 여러 지역 정복, 남부 이탈리아로의 그리스인 이주, 로마 황제가 주요 슬라브 집단을 포획하여 카파도키아(Cappadocia)로 이주시킴. 보스포루스 해협(Bosporus)은 마케도니아인(Macedonians)과 키프로스 그리스인(Greek Cypriots)에 의해 다시 인구가 증가했다.
8세기로마는 그리스에 남아있는 슬라브 정착지를 해산시키고 그리스 반도를 완전히 회복했다.
9세기제국 전역(주로 남부 이탈리아와 시칠리아)에서 슬라브 침입으로 인구가 감소한 그리스 지역(주로 서부 펠로폰네소스와 테살리아)으로의 그리스인들의 역이주.
13세기로마 제국이 붕괴되고, 콘스탄티노폴리스가 4차 십자군(Fourth Crusade)에 의해 함락되어 라틴 제국(Latin Empire)의 수도가 된다. 니케아 제국(Empire of Nicaea)에 의해 오랜 투쟁 끝에 해방되었지만, 일부 지역은 분열된 채 남아있었다. 소아시아, 콘스탄티노폴리스, 그리스 본토 사이에 이주가 이루어졌다.
15세기 –
19세기
오스만 제국(Ottoman Empire)에 의한 콘스탄티노폴리스 정복. 유럽으로의 그리스 디아스포라 시작. 그리스 내 오스만 정착. 파나리오트(Phanariot) 그리스인들이 동유럽의 여러 민족 공동체(millets)에서 고위직을 차지했다.



시대주요 사건
1830년대현대 그리스 국가(modern Greek state)의 건설. 신세계(New World)로의 이민 시작. 콘스탄티노폴리스와 소아시아에서 그리스로의 대규모 이주가 발생했다.
1913년유럽의 오스만 영토 분할; 그리스인, 불가리아인, 터키인의 각자의 국가로의 무계획적인 이주.
1914–1923년그리스인 학살(Greek genocide); 이 기간 동안 수십만 명의 오스만 그리스인이 사망한 것으로 추정된다.[279]
1919년노이유 조약(Treaty of Neuilly); 그리스와 불가리아는 일부 예외를 제외하고 인구 교환을 실시했다.
1922년스미르나 대화재(Great Fire of Smyrna)/스미르나의 파괴(The Destruction of Smyrna)(현재 이즈미르); 4만 명 이상의 그리스인이 사망했고 소아시아에서 그리스인의 중요한 존재는 끝났다.
1923년로잔 조약(Treaty of Lausanne); 그리스와 터키는 콘스탄티노폴리스, 임브로스섬(Imbros), 테네도스섬(Tenedos)의 그리스인과 서트라키아(Western Thrace)의 무슬림 소수민족을 제외한 제한적인 예외를 두고 인구 교환에 동의했다. 150만 명의 소아시아와 폰토스 그리스인들이 그리스에 정착하고 약 45만 명의 무슬림들이 터키에 정착했다.
1940년대추축국 점령(Axis occupation)으로 인한 대기근(Great Famine)으로 수십만 명의 그리스인이 기아로 사망했다.
1947년공산주의 루마니아(Communist Romania)가 그리스 공동체(Greek community)의 퇴거를 시작했고, 약 7만 5천 명이 이주했다.
1948년그리스 내전(Greek Civil War): 수만 명의 그리스 공산당(Communist Party of Greece) 공산주의자들과 그들의 가족들이 동구권(Eastern Bloc) 국가들로 도피했다. 수천 명이 타슈켄트(Tashkent)에 정착했다.
1950년대그리스인들의 서독, 미국, 오스트레일리아, 캐나다 등 다른 국가들로의 대규모 이민.
1955년이스탄불(Istanbul)의 그리스인들을 대상으로 한 이스탄불 폭동(Istanbul pogrom). 이스탄불 그리스인들의 추방(Expulsion of Istanbul Greeks)/그리스인들의 탈출(Exodus of Greeks)이 가속화되었고, 오늘날 2,000명 미만이 남아 있다.
1958년알렉산드리아(Alexandria)의 대규모 그리스 공동체(Greek community)가 감마르 압델 나세르(Gamal Abdel Nasser)의 아랍 사회주의(Arab socialism) 정권을 피해 이집트(Egypt)를 탈출했다.
1960년대키프로스 공화국(Republic of Cyprus)이 그리스, 터키, 영국의 보호하에 주권 국가(sovereign state)로 건국되었다. 경제적 이민이 계속되었다.
1974년키프로스 침공(Turkish invasion of Cyprus). 북키프로스에 살던 거의 모든 그리스인들이 남쪽이나 영국으로 피신했다.
1980년대많은 내전 난민들이 그리스로 돌아갈 수 있었다. 독일에서 그리스로의 역이주가 시작되었다.
1990년대소련 붕괴(Dissolution of the Soviet Union). 약 34만 명의 그리스계 사람들이 조지아(Georgia), 아르메니아, 러시아 남부, 알바니아에서 그리스로 이주했다.
2000년대 초일부 통계는 미국과 오스트레일리아에서 그리스로의 역이주 추세의 시작을 보여준다.
2010년대20만 명 이상,[280] 특히 젊은 고숙련 인력[281]이 높은 실업률(그리스 국가 부채 위기(Greek government-debt crisis) 참조) 때문에 다른 EU 국가들로 이주했다.[282]


2. 1. 기원

그리스인은 역사적으로 지중해 전역에 널리 퍼져 있었으나, 고대부터 그리스어를 쓰던 에게해 주변 지역에 집중되어 있었다.[325] 20세기 초까지 그리스 반도와 소아시아 서부 해안, 폰토스, 이집트, 키프로스, 콘스탄티노폴리스에서 단일 집단으로 모여 살았는데, 이들 지역 상당수는 11세기 비잔티움 제국의 영토와 동부 지중해의 고대 그리스 영토와 일치한다.[326] 그리스-터키 전쟁 (1919년-1922년) 이후 그리스와 터키의 대규모 인구 교환으로 그리스 민족 대부분이 현대 그리스 국가와 키프로스 국경 안쪽으로 옮아와 모여 살게 되었다.

프로토 그리스인들은 기원전 3천년기 후반, 기원전 2200년에서 1900년 사이에 현재 그리스라고 불리는 지역, 즉 발칸 반도 남단에 도착했을 가능성이 높다.[58][59] 기원전 2천년기 동안 그리스 본토로의 이동 순서는 수세기 후에 나타난 고대 그리스 방언을 바탕으로 재구성해야 하므로 불확실성이 있다. 적어도 두 차례의 이동이 있었는데, 첫 번째는 이오니아인과 아카이아인으로, 기원전 16세기까지 미케네 그리스를 형성했고,[63][64] 두 번째는 기원전 11세기경의 도리스 침입으로, 미케네 시대에서 유래한 아르카도키프로스 방언을 대체했다. 두 차례의 이동 모두 중요한 시기에 발생했는데, 미케네 이동은 후기 청동기 시대로의 전환기에, 도리스 이동은 청동기 시대 붕괴 시기에 일어났다.

2. 2. 미케네 문명

기원전 1600년경, 미케네 그리스인들은 미노아 문명으로부터 음절 문자 체계(선형 A)를 차용하여 선형 B로 알려진 자신들만의 음절 문자를 개발했으며, 이는 그리스어의 가장 오래된 최초의 기록적 증거를 제공한다.[65][66] 미케네인들은 빠르게 애게해로 진출하여 기원전 15세기까지 로도스, 크레타, 키프로스소아시아 해안에 도달했다.[48][67]

기원전 1200년경, 또 다른 그리스어를 사용하는 민족인 도리아인들이 에피루스에서 진출했다.[68] 도리아 침입 이후에는 제대로 기록되지 않은 이주 시대가 뒤따랐는데, 이 시대는 적절하게 그리스 암흑기로 불리지만, 기원전 800년까지 아르카이크와 고전 그리스의 모습이 나타나기 시작했다.[70]

고대 그리스인들은 미케네 시대를 영웅적인 시대, 신들과의 밀접한 관계, 그리고 풍부한 물질적 부의 시대를 이상화했다.[71] 호메로스 서사시 (즉, ''일리아드''와 ''오디세이'')는 특히 그리스의 과거의 일부로 일반적으로 받아들여졌으며, 우헤메리즘 시대가 되어서야 학자들이 호메로스의 역사적 사실성에 의문을 제기하기 시작했다.[70] 미케네 유산 중 생존한 것의 일부로, 미케네 그리스의 신들과 여신들의 이름 (예: 제우스, 포세이돈, 하데스)은 후대 고대의 올림포스 신전의 주요 인물이 되었다.[72]

2. 3. 고전 그리스

그리스인은 역사상으로 그리스의 공동체는 지중해 전역에 널리 퍼져 있었으나, 고대부터 그리스어를 쓰던 에게해 주변 지역에 집중되어 있었다.[325] 20세기 초까지 그리스 사람들은 그리스 반도와 소아시아 서부 해안, 폰토스, 이집트, 키프로스, 콘스탄티노폴리스에서 단일 집단으로 모여 살았는데, 이들 지역 상당수는 11세기 비잔티움 제국의 영토와 동부 지중해의 고대 그리스 영토와 일치한다.[326]

그리스-터키 전쟁 (1919년-1922년) 이후 그리스와 터키의 대규모 인구 교환으로 그리스 민족 대부분이 현대 그리스 국가와 키프로스 국경 안쪽으로 옮아와 모여 살게 되었다.

고전 시대의 3대 철학자: 소크라테스, 플라톤 그리고 아리스토텔레스

그리스 민족의 민족 형성은 기원전 8세기 판헬레니즘의 발전과 관련이 있다.[73] 일부 학자들에 따르면, 기원전 776년 올림픽 경기가 그 기초적인 사건이었는데, 그때 그리스 부족들 사이의 공통된 헬레니즘이라는 개념이 공유된 문화적 경험으로 처음 번역되었고, 헬레니즘은 주로 공통 문화의 문제였다.[46] 호메로스의 작품(즉, ''일리아스''와 ''오디세이아'')과 헤시오도스의 작품(즉, ''신통기'')은 기원전 8세기에 쓰여져서 국가 종교, 윤리, 역사 및 신화의 기초가 되었다.[74] 델포이 아폴론 신전의 신탁은 이 시기에 설립되었다.[75]

그리스 문명의 고전 시대는 기원전 5세기 초부터 기원전 323년 알렉산드로스 대왕의 죽음까지 이어지는 시대를 포함한다(일부 저자들은 이 시대를 그리스-페르시아 전쟁 종전부터 펠로폰네소스 전쟁 종전까지의 "고전 시대"와 알렉산드로스의 죽음까지의 "4세기"로 나누는 것을 선호한다). 그리스 문명이 후대에 평가받는 기준을 설정했기 때문에 이렇게 명명되었다.[76] 고전 시대는 그리스 문명의 "황금기"로도 묘사되며, 그 예술, 철학, 건축 및 문학은 서양 문화의 형성과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고전 시대의 그리스인들은 자신들이 공통된 헬레닉 genos에 속한다고 이해했지만,[77] 그들의 첫 번째 충성심은 도시 국가에 있었고, 다른 그리스 도시 국가와, 종종 잔혹하게, 전쟁을 하는 것에 대해 아무런 모순도 느끼지 않았다.[78] 가장 강력한 두 개의 그리스 도시 국가인 아테네와 스파르타 그리고 그들의 동맹국 간의 대규모 내전인 펠로폰네소스 전쟁은 두 국가 모두를 크게 약화시켰다.[79]

알렉산드로스 대왕, 그의 정복으로 헬레니즘 시대가 시작되었다


일부 학자들의 의견에 따르면, 대부분의 그리스 도시 국가들은 필리포스와 알렉산드로스 대왕의 판헬레니즘 이념 아래 힘으로 통합되었지만, 다른 학자들은 "마케도니아의 정복은 정복을 위한 것이었다" 또는 적어도 부, 영광, 권력을 위한 정복이었고, "이념"은 도시 국가를 향한 유용한 선전이었다고 설명하는 것을 선호할 수 있다.[80]

어쨌든, 알렉산드로스가 그라니쿠스 강, 이스소스, 가우가멜라 전투에서 승리한 후 아케메네스 제국을 무너뜨리고 오늘날 파키스탄과 타지키스탄까지 진격한 것은,[81] 식민지 건설과 그 과정에서 무역로를 통해 그리스 문화를 확산시키는 중요한 통로를 제공했다.[82] 알렉산드리아 제국은 창시자의 죽음 후 온전하게 남아 있지 않았지만, 헬레니즘이 중동과 아시아 대부분에 퍼진 문화적 의미는 그리스어가 공용어가 되었고, 로마 시대에도 그 지위를 유지했기 때문에 오랫동안 지속되었다.[83] 많은 그리스인들이 헬레니즘 도시인 알렉산드리아, 안티오크, 셀레우키아에 정착했다.[84]

고대 그리스 시대의 그리스인은 그리스어를 사용했으며, 특히 자유민을 가리킨다. 그리스 본토뿐만 아니라 소아시아와 유럽 각지에 그리스에서 이주한 사람들에 의해 건설된 식민 도시 주민들도 포함된다. 그들은 스스로를 '''헬레네스'''(헬렌족)라고 불렀고, 다른 사람들을 바르바로이(알 수 없는 말을 하는 사람들)라고 부르며 구분했다. 마케도니아 사람들도 그리스어를 사용했고, 헤라클레스의 혈통이라고 여겨졌기 때문에 일부 반마케도니아 세력을 제외하고는 헬레네스로 널리 인정받았다.

후에 마케도니아 왕국의 알렉산드로스 대왕의 제국 건설 등을 거치면서 중앙아시아에서 지중해 세계 각지에까지 널리 퍼진 그리스어를 사용하는 사람들을 가리키는 말로 변화했다. 그리스인을 의미하는 영어의 Greek, 프랑스어의 Grec 등 서유럽 여러 언어의 명칭과 한국어의 "그리스(인)"는 이탈리아 반도 남부에 이주한 사람들을 고대 로마 사람들이 그 지역의 이름인 그라에키아 (''Graecia'')에서 그라에키 (''Graeci'')라고 부른 데서 유래한다.

2. 4. 헬레니즘 시대

헬레니즘 문명은 그리스 문명의 다음 시대로, 일반적으로 알렉산드로스 대왕의 죽음을 시작점으로 본다.[85] 헬레니즘 시대는 인도와 박트리아까지 확장되어, 이 지역 모두 수세기 동안 그리스 문화와 정부를 유지했다.[86] 종종 기원전 30년 로마에 의한 이집트 정복을 끝으로 보지만,[85] 인도-그리스 왕국들은 몇십 년 더 지속되었다.

이 시대에는 그리스인들이 더 큰 도시로 이동하고 도시 국가의 중요성이 감소하는 것을 보았다. 이러한 더 큰 도시들은 디아도코이 왕국의 일부였다.[87][88] 그리스인들은 호메로스와 고전 작가들의 작품 연구를 통해 주로 과거를 인식하고 있었다.[89] 그리스 정체성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요소는 '바르바로이'(비그리스인) 사람들과의 접촉이었는데, 다민족 헬레니즘 왕국의 새로운 국제적인 환경에서 이 접촉은 더욱 깊어졌다.[89] 이것은 그리스인들 사이에서 헬레니즘 ''파이데이아''를 다음 세대로 전달하려는 강한 욕구로 이어졌다.[89] 그리스의 과학, 기술, 수학은 일반적으로 헬레니즘 시대에 정점에 달했다고 여겨진다.[90]

기원전 300년경, 디아도코이에 의해 분할된 헬레니즘 왕국들; 카산드로스의 마케도니아 왕국(녹색), 프톨레마이오스 왕조(진한 파란색), 셀레우코스 제국(노란색), 리시마코스(주황색)와 에피루스(빨간색)가 지배한 지역


클레오파트라 7세의 흉상(베를린 알테스 박물관), (인도-그리스 왕국을 제외하고) 헬레니즘 왕국의 마지막 통치자


인도-그리스 및 그리스-박트리아 왕국에서는 그리스 불교가 확산되었고 그리스 선교사들은 그것을 중국으로 전파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91] 더 동쪽으로는 알렉산드리아 에스카테의 그리스인들이 중국인들에게 대원으로 알려지게 되었다.[92]

2. 5. 로마 제국

기원전 168년부터 기원전 30년까지 그리스 세계 전체가 로마에 정복되었고, 세계의 거의 모든 그리스어 사용자들은 로마 제국의 시민이나 신민으로 살았다.[93] 로마인들은 군사적 우세에도 불구하고 그리스 문화의 업적에 감탄하고 큰 영향을 받았다.[93] 호라티우스는 ''"정복당한 그리스가 야만적인 정복자를 사로잡았다"(''Graecia capta ferum victorem cepit'')''고 말했다.[93] 그리스와 로마 문화는 융합되어 그리스-로마 문화가 형성되었다.

종교적으로 큰 변화가 있었는데, 기원전 3세기부터 시작된 낡은 그리스 종교의 쇠퇴는 동방에서 온 새로운 종교 운동의 도입으로 계속되었다.[46] 이시스미트라 숭배가 그리스 세계에 도입되었다.[88][94] 헬레니즘 동방의 그리스어를 사용하는 공동체는 초기 기독교 확산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95] 사도 바울을 비롯한 초기 기독교 지도자들과 저술가들은 일반적으로 그리스어를 사용했다.[96] 그러나 그리스는 이교에 집착하는 경향이 있었고, 일부 지역은 10세기 중엽까지 이교도로 남아 있었다.[97][98] 차코니아 지역은 9세기까지 이교도로 남아 "헬레네스"라고 불렸다.[99]

로마 제국에서 민족적 차이는 종교적 고려 사항에 비해 부차적이 되었고, 제국은 기독교를 결속력을 유지하고 로마 국가 정체성을 증진하는 도구로 사용했다.[100] 초기부터 그리스인들은 스스로를 로마인(그리스어: Ῥωμαῖοιgrc ''Rhōmaîoi'')으로 여겼다.[101] "헬레네스"라는 이름은 이교도를 나타냈지만 11세기에 민족명으로 부활했다.[102] 212년안토니누스 칙령으로 로마 시민권은 로마 제국 내 모든 자유민에게 주어졌다.[321] 고대 로마 시대는 “선조들의 시대”라 불렸고, 콘스탄티노스 7세는 헤라클레이오스 왕조 시대(610-711)에 제국 공용어가 라틴어에서 그리스어로 바뀐 것을 “선조들이 로마인의 언어를 버렸다”라고 표현했다.[322]

동로마 제국 지식인 계층은 호메로스 시 암송, 고대 그리스어 문법 교육 등 고전 문화를 존중했다.[323] 팔레올로고스 왕조 시대에는 그리스 고전 문화가 크게 재평가되어 부흥했지만, 이 시대 그리스 고전 문화를 익힌 동로마 제국의 그리스인 중 일부는 베네치아 공화국의 펠로폰네소스 반도, 키프로스 섬, 크레타 섬 등에 대한 지배와 1453년 콘스탄티노플 함락의 영향으로 이탈리아서유럽으로 건너가 르네상스 시대 고전 부흥에 기여했다. 엘 그레코가 대표적이다.

"1821년 그리스 독립으로 그리스인들은 약 2000년 만에 독립을 회복했다"는 표현은 부정확하다. 오스만 제국으로부터는 368년 만의 독립이다. [http://www.mfa.gr/missionsabroad/en/about-greece/history-and-culture/history.html 주일 그리스 대사관 사이트]에서도 동로마 시대를 그리스 역사의 일부로 다룬다.

일부 교과서에서 동로마 제국의 “황제교황주의” 설명으로 동로마 황제와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가 동일 인물인 것처럼 표현하는 경우가 있는데, 두 사람은 다른 사람이며, 총대주교가 황제의 섭정·고문이 되기도 했고, 두 사람 사이에 반목과 갈등이 생긴 적도 있었다.

2. 6. 중세 (비잔티움 제국)

중세 시대 그리스인은 주로 동로마 제국(비잔티움 제국·비잔틴 제국)이나 오스만 제국의 지배하에 그리스 지역이나 소아시아, 에게해의 섬들에 널리 거주하고 있었으며, 그리스어를 모어로 하고, 정교회의 기독교를 신봉한 사람들을 말한다.[325] 역사상으로 그리스의 공동체는 지중해 전역에 널리 퍼져 있었으나, 고대부터 그리스어를 쓰던 에게해 주변 지역에 집중되어 있었다.[325]

바실리오스 2세 황제 (11세기)는 비잔티움 제국의 부흥에 기여한 인물로 여겨진다.


콘스탄티노폴리스의 결혼식과 가정 생활 장면


대부분의 중세 시대 동안, 비잔티움 그리스인들은 스스로를 ''Rhōmaîoi'' (Ῥωμαῖοιgrc, "로마인", 즉 시민을 의미)라고 불렀는데, 이 단어는 그리스어에서 기독교 그리스인과 동의어가 되었다.[103][104] 212년안토니누스 칙령에 의해 로마 시민권은 로마 제국 내 모든 자유민에게 주어졌기 때문이다.[321] 고대 로마 시대의 일을 “선조들의 시대”라고 부르며, 고대 그리스인의 후손이라는 것보다 고대 로마 제국 시민의 후예라는 것을 자랑스러워했다. 예를 들어, 10세기 동로마 황제 콘스탄티노스 7세는 그의 저서 『테마의 기원에 관하여』에서 헤라클레이오스 왕조 시대(610-711)에 제국의 공용어가 라틴어에서 그리스어로 바뀐 것을 “선조들이 로마인의 언어를 버렸다”라고 표현하고 있다.[322] 라틴어식 표현인 ''Graikoí'' (Γραικοί, "그리스인")도 사용되었지만,[105] 그 사용은 덜 흔했고, 1204년 4차 십자군 이전의 공식적인 비잔티움 정치 서신에는 존재하지 않았다.[106]

동로마 제국은 7세기 이후 헤라클리우스 황제 ( 610–641년)가 그리스어를 제국의 공식 언어로 삼기로 결정한 이후 그리스 문화의 영향을 점점 더 받았다.[108][109] 가톨릭교회가 수 세기 동안 동로마 제국의 로마 유산에 대한 주장을 인정했지만, 레오 3세 교황이 800년 12월 25일 프랑크족의 왕인 샤를마뉴를 "로마 황제"로 즉위시킨 행위는 결국 신성 로마 제국의 형성으로 이어졌고, 라틴 서방은 프랑크족을 지지하기 시작하여 동로마 제국을 '그리스 제국'(''Imperium Graecorum'')으로 부르기 시작했다.[110][111]

게미스토스 플레톤은 후기 비잔티움 시대의 가장 저명한 철학자 중 한 명이며, 서유럽에서 그리스 학문 부흥의 주요 선구자이다.


현대 비잔티움 학계에서는 이 비잔티움 로마 정체성에 대한 세 가지 견해가 있다. 첫 번째 견해는 "로마성"을 적어도 12세기까지 다민족 제국의 피지배자들의 자기 인식 방식으로 간주하는데, 평균적인 피지배자는 로마인으로 자기 인식했다는 것이다. 영속주의적 접근 방식은 로마성을 중세 시대에 지속적으로 존재하는 그리스 민족의 표현으로 본다. 세 번째 견해는 동로마 정체성을 근대 이전의 국가 정체성으로 본다.[116] 비잔티움 그리스인들의 본질적인 가치는 기독교와 고대 그리스의 호메로스 전통 모두에서 이끌어냈다.[117][118] 동로마 제국 시대의 그리스인들은 다른 기독교인 민족들로부터 주로 “그리스인”으로 불렸다. 하지만 그리스인 자신들은 로마 제국 시민으로서의 자의식을 가지고 로마이오이 (Ρωμαίοιel 로마인중세·현대 그리스어로는 로메이)라고 자칭했으며, “헬레네스(엘리네스)”는 고대 이교도 또는 지방 도시나 농촌 주민들을 가리키는 말이었다.

뚜렷한 그리스 정체성은 11세기에 교육받은 계층에서 다시 등장하여 1204년 4차 십자군의 콘스탄티노폴리스 함락 이후 더욱 강력해졌다.[122] 니케아 제국에서 엘리트 소수 집단은 "헬레네"라는 용어를 자기 인식 용어로 사용했다.[119] 예를 들어, 니케아 황제 요한 3세 두카스 바타체스 (재위 1221–1254년)는 그레고리우스 9세 교황에게 보낸 편지에서 콘스탄티누스 대제로부터 왕권의 선물을 받았다고 주장하고, 그의 "헬레닉" 혈통을 강조하며 그리스인의 지혜를 칭송했다.[120] 그러나 비잔티움인들이 1261년 콘스탄티노폴리스를 탈환한 후, ''Rhomaioi''는 자기 묘사 용어로 다시 지배적이 되었고, 게오르게 게미스토스 플레톤의 글과 같이 ''Hellene'' (Έλληνας)의 흔적은 거의 남아있지 않았다.[121] 그는 기독교를 버렸고 그의 글에는 고전 과거에 대한 관심의 세속적 경향이 절정에 달했다.[122] 그러나 비잔티움 제국의 황혼기에 그리스인들의 자기 인식을 형성한 것은 정교회와 특정한 그리스 정체성의 결합이었다.[122]

고전 그리스 유산에 대한 관심은 그리스 정교회 정체성에 대한 새로운 강조와 보완되었는데, 이는 후기 중세와 오스만 시대 그리스인들이 러시아 제국의 동방 정교회 신자들과의 유대감에서 강화되었다. 이것은 1461년 트라페존트 제국의 멸망 이후 그리고 두 번째 1828년-1829년 러시아-튀르크 전쟁까지 수십만 명의 폰토스 그리스인들이 폰토스 산맥과 아르메니아 고원에서 러시아 남부와 러시아 남 코카서스로 이주했기 때문에 더욱 강화되었다 (러시아의 그리스인, 아르메니아의 그리스인, 조지아의 그리스인, 코카서스 그리스인도 참조).[126]

이러한 비잔티움 그리스인들은 고전 시대 문학의 보존에 크게 기여했다.[118][127][128] 비잔티움 문법학자들은 15세기 서구에 고대 그리스 문법 및 문학 연구를 개인적으로 그리고 글로 전달하는 데 주로 책임이 있었으며, 이탈리아 르네상스에 큰 활력을 불어넣었다.[129][130] 아리스토텔레스 철학 전통은 1453년 콘스탄티노폴리스 함락까지 거의 2천 년 동안 그리스 세계에서 거의 끊이지 않았다.[131]

슬라브 세계에 비잔티움 그리스인들은 문자와 기독교의 전파에 기여했다. 후자의 가장 주목할 만한 예는 항구 도시 테살로니키(테살로니키 테마의 수도) 출신의 수도사인 두 비잔티움 그리스인 형제인 키릴과 메토디우스의 업적인데, 그들은 오늘날 최초의 슬라브 문자를 공식화한 것으로 여겨진다.[132]

동로마 제국 말기 팔레올로고스 왕조 시대에는 그리스 고전 문화가 크게 재평가되어 부흥을 이루었지만(팔레올로고스 왕조 르네상스), 이 시대의 그리스 고전 문화를 익힌 동로마 제국의 그리스인 중 일부는 베네치아 공화국의 펠로폰네소스 반도, 키프로스 섬, 크레타 섬 등에 대한 지배와 1453년의 콘스탄티노플 함락의 영향으로 점차 이탈리아서유럽으로 건너가는 경우가 많아졌고, 르네상스 시대의 고전 부흥에 크게 기여했다고 알려져 있다. 서유럽으로 건너간 그리스인 중에서는 화가 엘 그레코가 유명하다.

2. 7. 오스만 제국



아다만티오스 코라이스, 근대 그리스 계몽 운동의 주요 인물


비잔티움 학자이자 추기경인 바실리오스 베사리온 (1395/1403–1472)은 고전 지식을 서구에 전파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여 르네상스에 기여했다.


그리스인은 역사상 지중해 전역에 널리 퍼져 있었으나, 고대부터 그리스어를 쓰던 에게해 주변 지역에 집중되어 있었다.[325] 비잔티움 제국의 영토와 동부 지중해의 고대 그리스 영토와 일치하는 이 지역에는 20세기 초까지 그리스 반도와 소아시아 서부 해안, 폰토스, 이집트, 키프로스, 콘스탄티노폴리스에서 단일 집단으로 모여 살았다.[326] 그리스-터키 전쟁 (1919년-1922년) 이후 그리스와 터키의 대규모 인구 교환으로 그리스 민족 대부분이 현대 그리스 국가와 키프로스 국경 안쪽으로 옮아와 모여 살게 되었다.[326]

1453년 5월 29일 콘스탄티노폴리스 함락 이후 많은 그리스인들은 서구, 특히 이탈리아, 중앙유럽, 독일과 러시아로 떠났으며,[129] 유럽 문화 혁명에 크게 기여했다. 그리스인들은 오스만 제국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했는데, 제국의 중심지가 서트라키아와 마케도니아에 기반을 두었고, 콘스탄티노폴리스를 중심으로 했기 때문이다. 그리스어 사용자들은 오스만의 무역 및 외교 기관뿐만 아니라 교회에서도 매우 중요한 역할을 했다. 오스만 초기에는 데브시르메 제도를 통해 그리스 출신 남성들이 오스만 군대에 징집되어 군대, 해군, 국가 관료제의 상당 부분을 차지했다.

오스만 제국의 밀레트 제도 하에 있던 사람들에게 종교는 민족 집단의 특징이었으므로, 오스만인들은 언어나 민족적 기원에 관계없이 정교회 신자 모두에게 "그리스인"(''Rumlar'')이라는 외래어를 사용했다.[149] 그리스어 사용자들은 스스로를 ''Romioi''라고 불렀으며,[133] 교육받은 그리스인들은 자신의 민족을 헬레니즘으로 여겼다.[134] 그러나 오스만 밀레트 제도의 기독교인의 2등 시민 신분에서 벗어난 많은 그리스인들이 러시아 제국으로 이주하거나, 이슬람으로 개종하기도 했다.

중세·근세의 그리스인은 주로 동로마 제국이나 오스만 제국의 지배하에 그리스 지역이나 소아시아, 애게해의 섬들에 널리 거주하고 있었으며, 그리스어를 모어로 하고, 정교회의 기독교를 신봉한 사람들을 말한다. 혈통적으로는 고대부터의 연속성이 있었지만, 6세기 후반 슬라브인의 남하에 의해 혼혈이 진행되었다고 여겨져 왔다.

오스만 제국 내에는 아르메니아인, 이탈리아인, 쿠르드인 등도 거주하고 있었다. 이들 비그리스인 중에서 동방 정교회를 신앙하는 자는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의 관할하에 놓여 그리스 문화의 영향을 받아 그리스인이 된 자도 적지 않았다. 그리스인들은 본래 거주지에서 동로마 제국의 멸망 후에도 오스만 제국 영내에서 짐미로서 정교회 신앙을 유지하는 것을 허락받았고,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를 중심으로 하는 정교도 자치체(밀레트)를 형성했다.

오스만 제국에서 그리스인의 성공의 뿌리는 파나리오테스에서 보여지는 그리스의 교육과 상업 전통으로 거슬러 올라간다.[137]

2. 8. 근대

그리스인은 역사상 지중해 전역에 널리 퍼져 있었으나, 고대부터 그리스어를 쓰던 에게해 주변 지역에 집중되었다.[325] 20세기 초까지 그리스인들은 그리스 반도와 소아시아 서부 해안, 폰토스, 이집트, 키프로스, 콘스탄티노폴리스에서 단일 집단으로 모여 살았는데, 이들 지역 상당수는 11세기 비잔티움 제국의 영토와 동부 지중해의 고대 그리스 영토와 일치한다.[326]

그리스-터키 전쟁 (1919년-1922년) 이후 그리스와 터키의 대규모 인구 교환으로 그리스 민족 대부분이 현대 그리스 국가와 키프로스 국경 안쪽으로 옮아와 모여 살게 되었다. 남부 이탈리아와 캅카스 지방에서도 그리스 민족 집단이 있으며, 여러 나라에 그리스 디아스포라 집단이 있다. 오늘날 그리스인의 대부분은 최소한 명목상으로나마 그리스 정교를 신봉하고 있다.[327]

1822년, 그리스 왕국오스만 제국으로부터 독립하여 약 360년 만에 그리스인들은 자신들의 국가를 가지게 되었다. 제1차 세계 대전에서 오스만 제국이 패배하고 그 영토가 서구 열강의 손에 분할된 것은 그리스 왕국에게 소아시아에 펼쳐진 그리스인 거주 지역을 자국 영토에 편입할 최대의 호기(好機)를 가져다주었다. 1919년, 그리스군은 소아시아에 상륙하여 열강의 동의를 얻어 스미르나(이즈미르)를 중심으로 하는 소아시아 남서부 에게해 연안 일대를 점령하였다. 그러나 무스타파 케말 등에 의해 앙카라에 세워진 튀르키예 혁명 정권의 격렬한 저항을 받아 격전 끝에 1922년, 그리스군은 이즈미르에서 철수하여 앙카라 정부(후의 튀르키예 공화국 정부)와 휴전하였다. 이때, 튀르키예와 그리스 사이에는 인구 교환 협정이 체결되어 90만 명 이상의 그리스인이 튀르키예 영토에서 그리스로의 이주를 강요당했다.[139] 하지만 실제로는 튀르키예인과 그리스인의 구별이 상당히 어려워 종교만을 기준으로 할 수밖에 없었다. 그 때문에, 튀르키예어를 모어로 하는 정교회 신자(카라만리, 카라만루라고도 불렸다)도 그리스인으로 간주되었고, 반대로 슬라브계나 그리스계 등의 무슬림이나 테살로니키 지방에 살던 이슬람교로 개종한 유대인 대부분은 튀르키예인으로 묶여 인구 교환의 대상이 되었다. 이 때문에, 과거 소아시아 각지에 많이 살았던 그리스인들도 현재는 이스탄불에 소수만 남아있을 뿐이다.

1923년 그리스와 터키 간에 로잔 조약이 체결되었을 때, 두 국가는 인구 교환 목적으로 종교를 민족 정체성 결정 요소로 사용하기로 합의했다.[139] 특히 흑해 남쪽 해안 지역에서 폰토스 그리스인들을 강제로 이주시킨 그리스 대학살, 그리고 실패한 그리스 소아시아 원정과 동시에 그 이후에 일어난 사건은 오스만 제국의 튀르키예화 과정과 당시 주로 그리스인 손에 있던 경제와 무역을 터키계의 통제하에 두는 과정의 일부였다.[140]

참고로, 튀르키예 소아시아 흑해 연안에도 트라페존트 제국 등 그리스계 국가가 존재했던 경위에서 오스만 제국 지배 후에도 폰토스인 등 그리스계 주민들의 공동체가 맥을 이어 존재해왔다. 그 후, 제1차 세계 대전 후의 혼란과 튀르키예와 그리스 간의 인구 교환 협정에 의해 흑해 연안에 거주하는 그리스계 주민 대부분이 그리스 본국이나 조지아 등 구 소련 영토로 이주했다고 한다. 현재도 소수이지만, 조지아와의 국경 부근에는 다른 소수 민족과 섞여 소수의 그리스계 주민이 거주하고 있다고 한다.

이렇게 그리스의 영토는 축소되었지만 거의 그리스인 거주 지역과 일치하게 되었으나, 예외적으로 오스만 제국의 붕괴 이전에 영국의 식민지가 되었던 키프로스 섬이 남았다. 키프로스를 그리스에 합병하려는 요구는 이 섬에 많이 거주하는 튀르키예인들과의 마찰을 낳는 한편, 그리스 합병을 요구하는 극렬파의 영국 당국에 대한 테러를 빈발하게 했다. 이렇게 영국, 그리스, 튀르키예에 의해 타협안이 검토되어 1960년에 키프로스 섬은 키프로스 공화국으로 어느 나라에도 속하지 않는 독립국이 되었다.

그러나 독립 후에도 키프로스에서는 독립파 튀르키예계 키프로스인과 그리스 합병 찬성파 그리스계 키프로스인의 대립이 계속되었다. 1973년에 그리스계 대통령 마카리오스가 그리스 군정 정권의 지원을 받아 일어난 그리스 합병 찬성파 조직에 의한 쿠데타를 계기로 튀르키예군은 본격적으로 키프로스에 개입하여 키프로스 섬 북부를 점령, 튀르키예계 주민에 의한 북키프로스 튀르크 공화국을 건국시켰다. 이에 따라 기존의 키프로스 공화국 정부는 통치하는 영역이 전체 섬의 3분의 2로 축소되었고, 통치하는 사람들의 대부분이 그리스계 주민이 되었지만, 키프로스, 그리스와 국제 사회는 키프로스의 재통합을 요구하며 튀르키예의 대응을 비난하고 있다.

과거 동로마 제국 영토였던 현재 알바니아 남부에도 그리스계 주민이 많이 거주하고 있으며, 그리스어가 사용되고 있다.

분류:그리스의 역사

분류:유럽의 민족

분류:발칸반도의 민족

분류:튀르키예의 민족

분류:키프로스의 민족

3. 정체성

18세기 후반과 19세기 초 비엔나(Vienna)에서 발행된 그리스 문학 출판물인 『Hermes o Logios』 표지. 근대 그리스 계몽 운동(Modern Greek Enlightenment)에 크게 기여함


그리스인을 정의하는 용어는 역사를 통틀어 다양했지만, 그리스 국가의 구성원 자격으로만 한정되거나 완전히 동일시된 적은 없었다.[141] 헤로도토스는 당시 그리스(헬레니즘) 민족 정체성을 정의하는 것에 대한 유명한 설명을 남겼는데, 다음과 같은 요소들을 열거했다.

# 공유된 혈통(kinship and descent)( )[142]

# 공유된 언어(language)( )[143]

# 공유된 신전(sanctuaries)과 제사(sacrifices)( )[144][145]

# 공유된 관습(Mores)( ).[146][147][148]

서구적 기준으로, "그리스인"이라는 용어는 전통적으로 미케네 그리스어, 비잔틴 그리스어, 현대 그리스어를 사용하는 모든 원어민을 가리켰다.[149][150] 비잔틴 그리스인들은 로마 제국의 정치적 후계자이자 고대 그리스 조상들의 후손이며 사도들을 따랐기 때문에 자신들을 "로마이오이"(Romaioi, 로마인), "그라이코이"(Graikoi, 그리스인), "크리스티아노이"(Christianoi, 기독교인)로 자칭했다.[151] 비잔틴 중후기(11세기~13세기)에는 점점 더 많은 비잔틴 그리스 지식인들이 자신을 "헬레네스"(Hellenes)라고 여겼지만, 대부분의 그리스어 사용자에게 "헬레네"는 여전히 이교도를 의미했다.[102][152] 콘스탄티노플 함락 직전, 콘스탄티누스 11세 황제는 자신의 병사들에게 그들이 그리스인과 로마인의 후손임을 기억하라고 촉구했다.[153]

현대 그리스 민족 국가가 수립되기 전, 고대 그리스와 현대 그리스 사이의 연관성은 특히 리가스 페라이오스와 같은 그리스 계몽주의 학자들에 의해 강조되었다. 그의 "정치 헌법"에서 그는 국민을 "그리스인의 후손"으로 언급한다.[154] 현대 그리스 국가는 1829년 그리스인들이 역사적인 고향인 펠로폰네소스반도의 일부를 오스만 제국으로부터 해방시키면서 건국되었다.[155] 광범위한 그리스 디아스포라와 상인 계급은 서구 낭만적 민족주의와 친헬레니즘의 사상을 전파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156] 이는 비잔티움 제국의 마지막 세기에 형성된 헬레니즘 개념과 함께 디아포티스모스와 현재의 헬레니즘 개념의 기초를 형성했다.[122][149][157]

오늘날 그리스인들은 민족(ethnic group)이라는 의미에서 하나의 민족이며, 시민권, 인종, 종교 또는 특정 국가의 신민이 아니라 그리스 문화를 소유하고 그리스어를 모국어로 사용하는 것으로 정의된다.[158] 고대와 중세 시대, 그리고 어느 정도 오늘날까지도 그리스어로는 공통 조상을 의미하는 "게노스"(genos)라는 용어가 사용되었다.[159][160]

3. 1. 명칭

그리스인과 그리스어 사용자들은 자신들을 통칭하는 데 여러 다른 이름을 사용했다. 호머의 ''일리아스''와 ''오디세이''에 나오는 그리스인을 위한 집합 명칭 중 하나는 아카이아인/Ἀχαιοίgrc이다.[161][162][163] 다른 일반적인 명칭으로는 다나아이인/Δαναοίgrc과 아르고스인/Ἀργεῖοιgrc이 있으며, 판헬레네스/Πανέλληνεςgrc와 헬레네스/Ἕλληνεςgrc는 모두 ''일리아스''에 단 한 번만 등장한다.[161] 역사적 시대에 헤로도토스는 북쪽 아카이아 지역의 아카이아인들을 초기 호머 시대의 아카이아인들의 후손으로 확인했다.[164]

호머는 "헬레네스"를 테살리아 프티아에 정착한 비교적 작은 부족으로 언급하며, 그들의 전사들은 아킬레우스의 지휘를 받았다.[165] 파리아스 연대기는 프티아가 헬레네스의 고향이었고 이 이름은 이전에 그라이코이/Γραικοίgrc라고 불렸던 사람들에게 주어졌다고 말한다.[166] 그리스 신화에서 프티아 주변을 통치했던 헬레네스의 족장인 헬렌은 대홍수 이후 살아남은 유일한 생존자인 피라와 데우칼리온의 아들이었다.[167] 그리스 철학자 아리스토텔레스는 고대 헬라스를 에피루스의 도도나와 아켈로오스 강 사이의 지역으로 언급하는데, 이곳은 데우칼리온의 대홍수가 일어났던 곳이며, 나중에 "헬레네스"로 알려지게 된 셀로이/Σελλοίgrc와 "그리스인"들이 거주했던 땅이다.[168] 호머 전통에서 셀로이는 도도나의 제우스의 사제들이었다.[169]

헤시오도스의 ''여인 목록''에서 그라이크스는 제우스와 헬레네스의 족장인 헬렌의 누이인 판도라 2세의 아들로 제시된다.[170] 파리아스 연대기에 따르면 데우칼리온이 프티아의 왕이 되었을 때 그라이코이/Γραικοίgrc는 헬레네스라고 불렸다.[166] 아리스토텔레스는 그의 ''기상학''에서 헬레네스는 그라이코이와 관련이 있다고 언급한다.[168]

영어 이름 "그리스(Greece)"와 "그리스의(Greek)"는 라틴어 "Graeciala"와 "Graecusla"를 거쳐 유래되었으며, 이는 그리스인( Γραικοίgrc, ; 단수 Γραικόςgrc, )의 이름에서 비롯되었다. 그리스인들은 고대 그리스 부족 중 남부 이탈리아(소위 "마그나 그라에키아")에 정착한 최초의 부족 중 하나였다. 이 용어는 아마도 원시 인도-유럽어 어근 "*ǵerh₂-"("늙다")[171][172]에서 유래되었으며, 더 구체적으로는 그라에아(고대 도시)에서 유래되었다. 아리스토텔레스는 그라에아를 그리스에서 가장 오래된 도시라고 말했으며, 나폴리 지역의 식민지 개척자들의 발상지라고 한다.[173]

고대 그리스 본토의 주요 지역과 인접한 “야만인” 지역을 보여주는 지도

3. 2. 연속성

현대 그리스인과 고대 그리스인을 잇는 가장 명확한 연결고리는 그리스어이다. 그리스어는 기원전 14세기부터 현재까지 기록으로 확인되는 전통을 가지고 있으며, 기록이 없는 그리스 암흑기(기원전 11세기~8세기, 비록 이 시기에 키프로스 음절 문자가 사용되기는 했지만)를 제외하면 연속성을 유지해왔다.[174] 학자들은 그리스어의 전통 연속성을 중국어와 비교한다.[174][175] 헬레니즘은 처음부터 공통 문화의 문제였으며, 그리스 세계의 국가적 연속성은 인구 통계적 연속성보다 훨씬 확실하다.[46][176] 그러나 헬레니즘은 아테네 문학의 여러 측면을 통해 토착성에 기반한 혈통에 대한 개념을 발전시키고 영향을 미치면서 조상의 차원을 구현하기도 했다.[177] 동로마 제국 후기에는 아이오니아와 콘스탄티노폴리스와 같은 지역에서 언어, 철학, 문학 및 고전적 사상과 학문의 모델에 대한 헬레니즘 부흥이 일어났으며, 고대 그리스와 그 고전 유산과의 문화적 친밀감에 대한 강력한 자극제가 되었다.[176]

알렉산드로스 대왕을 비잔틴 황제의 옷차림으로 묘사한, 그의 일생을 그린 사본(1204년~1453년 사이)


그리스인들은 역사 전반에 걸쳐 언어와 알파벳, 특정 가치와 문화 전통, 관습, 종교적 및 문화적 차이와 배타성에 대한 인식(''야만인''이라는 단어는 12세기 역사가 안나 코므네나가 그리스어를 사용하지 않는 사람들을 묘사하는 데 사용했다),[178] 지난 2천 년 동안의 부인할 수 없는 사회 정치적 변화에도 불구하고 그리스 정체성과 공통된 민족성에 대한 인식을 유지해왔다.[176] 최근 인류학 연구에서는 고대 그리스와 현대 그리스의 골격 표본을 분석하여 두 집단 간에 공유되는 생물 유전적 친화성과 연속성을 보여주었고,[179][180] 고대 그리스인과 현대 그리스인 사이에는 직접적인 유전적 연관성도 있다.[181][182]

4. 인구 통계

오늘날 그리스인은 그리스 공화국에서 인구의 93%를 차지하는 주요 민족 집단이며,[183] 키프로스 공화국에서는 섬 인구의 78%(점령 지역에 거주하는 터키 이주민 제외)를 차지한다.[185][184] 그리스 인구는 전통적으로 높은 성장률을 보이지 않았다. 1832년 그리스 건국 이후 그리스 인구 증가의 상당 부분은 새로운 영토 편입과 1923년 그리스-터키 간 인구 교환 이후 150만 명의 그리스 난민 유입에 기인한다.[186] 그리스 인구의 약 80%는 도시 지역에 거주하며, 그중 28%는 아테네에 집중되어 있다.[187]

키프로스계 그리스인은 영국 제국 식민지배의 영향으로 영어권 국가로 이주하는 경향을 보였다. 1974년 키프로스 터키 침공 이후 이민이 증가하였고, 특히 중동으로 이주하는 키프로스계 그리스인의 수가 늘어나면서 인구 감소를 경험하기도 했다.[188] 현재 키프로스의 그리스 인구 3분의 2 이상이 도시 지역에 거주한다.[188]

1990년대 대다수의 서구 추산에 따르면, 알바니아의 그리스계 인구는 약 20만 명이었지만, 1990년대에 대부분 그리스로 이주했다.[191][192] 터키의 그리스 소수 민족은 1955년 콘스탄티노플 폭동과 기타 국가 주도의 폭력과 차별 이후 수천 명으로 줄었다.[193] 이는 아시아 소아시아에서 3천 년간 지속된 헬레니즘의 존재가 사실상 종식되었음을 의미하지만, 완전히 사라진 것은 아니다.[194][195] 발칸 국가들, 레반트 지역 및 흑해 연안 국가들에는 옛 그리스 디아스포라(19세기 이전)의 잔재인 소규모 그리스 소수 민족이 있다.[196]

키프로스를 그리스에 합병하려는 요구는 섬에 많이 거주하는 튀르키예인들과의 마찰을 낳았고, 영국 당국에 대한 테러를 빈발하게 했다. 1960년 키프로스 섬은 키프로스 공화국으로 독립하였으나, 이후에도 그리스계와 튀르키예계 간의 대립이 계속되었다. 1973년 그리스계 대통령 마카리오스에 대한 쿠데타를 계기로 튀르키예군이 키프로스 북부를 점령, 북키프로스 튀르크 공화국을 건국시켰다. 키프로스, 그리스와 국제 사회는 키프로스의 재통합을 요구하며 튀르키예의 대응을 비난하고 있다.

과거 동로마 제국 영토였던 현재 알바니아 남부에도 그리스계 주민이 많이 거주하고 있으며, 그리스어가 사용되고 있다. 미국이나 오스트레일리아로 이민 간 그리스인들도 많으며, 마이클 두카키스(Michael Dukakis)처럼 미국 대통령 선거 후보가 된 사람도 있었다.

현대에는 그리스계 사람들이 그리스 공화국뿐만 아니라 이스탄불, 키프로스, 알바니아에 이르기까지 널리 퍼져 있으며, "그리스인"이라는 말은 그리스 국적을 가진 사람을 의미하는 경우와 넓게 그리스계 사람들을 가리키는 경우의 이중적인 의미를 갖고 있다.

5. 문화

그리스 문화미케네 문명에서 시작하여 고전 시대, 헬레니즘 시대, 로마 시대, 비잔티움 시대를 거치면서 수천 년 동안 발전해 왔으며, 그리스 문화에 큰 영향을 미친 기독교의 영향을 받았고, 동시에 기독교의 형성에도 영향을 주었다.[210] 20세기 대학살로 절정에 달한 수 세기 동안의 역경을 오스만 그리스인들이 견뎌야 했다.[211][212] Diafotismos (그리스 계몽 운동)는 그리스 문화를 되살리고 오늘날 그리스 문화를 특징짓는 고대와 중세 요소의 종합을 탄생시킨 것으로 여겨진다.[122][149]

== 언어 ==

기원전 8세기경 초기 그리스 알파벳


그리스어 화자


대부분의 그리스인들은 그리스어를 사용하는데, 이는 인도유럽어족에 속하며 독립적인 어족 분파이다.[174] 가장 가까운 친족어는 아르메니아어( 그리스-아르메니아어) 또는 인도이란어파(그리스-아리아어 관계)일 가능성이 있다.[174] 그리스어는 현존하는 언어 중 가장 오랜 기록된 역사를 가지고 있으며, 그리스 문학은 2,500년 이상의 끊임없는 역사를 가지고 있다.[213] 가장 오래된 그리스어 비문은 선형 B 문자로 되어 있으며 기원전 1450년까지 거슬러 올라간다.[214] 그리스 암흑기 이후, 그리스 알파벳은 기원전 9세기~8세기에 등장했다. 그리스 알파벳은 페니키아 알파벳에서 유래했으며, 라틴 알파벳, 키릴 알파벳 등 여러 다른 알파벳의 모체가 되었다. 초기 그리스 문학 작품은 호메로스 서사시이며, 기원전 8세기부터 6세기까지 다양하게 추정된다. 유클리드 원론, 프톨레마이오스의 알마게스트 등은 주목할 만한 과학 및 수학 작품이다. 신약 성서는 코이네 그리스어로 쓰여졌다.[215]

그리스어는 알바니아어, 불가리아어 및 동로망스어파( 발칸 언어 참조)와 같은 발칸 언어들과 여러 언어적 특징을 공유하며, 서유럽과 튀르키예어에서 유래한 많은 외래어를 받아들였다.[216] 19세기의 필헬레니즘과 디아포티스모스 운동으로 현대 그리스인들의 고대 유산이 강조되면서, 외래어의 영향은 모든 외래어와 단어를 제거한 다소 인위적인 형태의 그리스어인 카타레부사를 만들어 그리스 국가의 공식 언어로 사용하는 공식 사용에서 배제되었다. 그러나 1976년 헬라스 의회는 구어인 디모티키를 공식 언어로 채택하는 투표를 하여 카타레부사를 폐지했다.[217]

현대 그리스어는 표준 현대 그리스어 또는 디모티키 외에도, 다양한 방언을 가지고 있다.[218] 예바닉어는 로마니오트의 언어이며, 그리스, 뉴욕 및 이스라엘의 소규모 공동체에서 사용되고 있다. 그리스어 외에도 그리스와 디아스포라에 있는 많은 그리스 시민들은 영어, 아르바니티카/알바니아어, 아로마니아어, 메글레노-로마니아어, 마케도니아 슬라브어, 러시아어 및 튀르키예어와 같은 다른 언어를 사용하는 이중 언어 사용자이다.[174][219]

== 종교 ==

대부분의 그리스인들은 그리스 정교회에 속한 그리스도교 신자들이다.[220] 예수 그리스도 이후 초기 몇 세기 동안, 신약 성서는 원래 코이네 그리스어로 쓰였으며, 이는 그리스 정교회의 성어로 남아 있으며, 초기 그리스도인들과 교부 대부분이 그리스어를 사용했다.[210] 라틴 예식과 그리스 비잔틴 예식 가톨릭교회인 그리스 비잔틴 가톨릭 교회, 그리스 복음주의 교회, 오순절 자유 사도 교회, 몰몬교, 그리고 로마니오트와 세파르디 유대인, 그리스계 무슬림, 여호와의 증인 등 다른 종교를 믿는 소규모의 그리스 민족 그룹들이 있다. 약 2,000명의 그리스인들이 헬레니즘 다신교 재건주의 공동체의 회원이다.[221][222][223]

하기아 소피아(Istanbul)의 판토크라토르 그리스도 모자이크


그리스어를 사용하는 무슬림들은 현대에는 주로 그리스 외부에 거주한다. 레바논과 시리아에는 그리스어를 사용하는 기독교와 무슬림 공동체가 모두 있으며, 터키의 폰토스 지역에는 종교적 소속 때문에 인구 교환에서 제외된 규모가 불확실한 대규모 공동체가 있다.[224]

== 예술 ==

그리스 미술은 길고 다양한 역사를 가지고 있으며, 시각 예술, 문학, 공연 예술에 걸쳐 많은 기여를 해왔다.[225] 서구에서는 고전 그리스 미술로마 미술과 이후 현대 서양 미술 유산을 형성하는 데 큰 영향을 미쳤다.[225] 르네상스 이후 유럽에서는 인본주의적 미학과 그리스 미술의 높은 기술 수준이 수많은 유럽 예술가들에게 영감을 주었으며,[225] 19세기까지도 그리스에서 유래한 고전 전통은 서구 세계의 예술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226] 동쪽에서는 알렉산드로스 대왕의 정복으로 그리스, 중앙아시아 및 인도 문화 간 수 세기 동안의 교류가 시작되어 인도-그리스 및 그리스 불교 미술이 탄생했으며, 그 영향은 일본까지 미쳤다.[227]

비잔틴 그리스 미술은 헬레니즘 고전 미술에서 발전하여 기독교를 위해 이교도 모티프를 각색하여 많은 국가의 예술에 자극을 주었다.[228] 그 영향은 서쪽의 베네치아에서 동쪽의 카자흐스탄까지 추적할 수 있다.[228][229] 반대로 그리스 미술은 역사의 여러 시대에 동부 문명(즉, 이집트, 페르시아 등)의 영향을 받았다.[230]

명성 높은 그리스 소프라노 마리아 칼라스(Maria Callas)


현대 그리스의 주목할 만한 예술가들은 다음과 같다:

  • 화가: 도미니코스 테오토코풀로스(엘 그레코), 니콜라오스 기지스, 콘스탄티노스 볼라나키스, 페리클레스 판타지스, 콘스탄틴 안드레우
  • 조각가: 야눌리스 칼레파스
  • 작곡가: 미키스 테오도라키스, 스피리돈 사마라스, 이아니스 케낙시스, 야니, 반젤리스
  • 가수: 마리아 칼라스, 조르고스 달라라스, 나나 무스쿠리, 비키 레안드로스, 데미스 루소스
  • 시인: 디오니시오스 솔로모스, 안젤로스 시켈리아노스, 안드레아스 엠비리코스, 콘스탄티노스 카바피, 노벨상 수상자 조르고스 세페리스, 오디세이아 엘리티스
  • 소설가: 알렉산드로스 파파디아만티스, 에마누엘 로이데스, 이온 드라구미스, 니코스 카잔차키스, 페넬로페 델타, 스트라티스 미리빌리스, 바실리스 바실리코스, 페트로스 마르카리스
  • 극작가: 크레타 르네상스 시인 조르지오스 호르타츠이스, 빈첸조 코르나로스, 그레고리오스 크세노풀로스, 이아코보스 캄바넬리스


엘레프테리오스 베니젤로스는 20세기 그리스의 주요 정치 인물이었다.


주목할 만한 영화 또는 연극 배우로는 마리카 코토풀리, 멜리나 메르쿠리, 엘리 람베티, 아카데미상 수상자 카티나 팍시누, 알렉시스 미노티스, 디미트리스 혼, 타나시스 베고스, 마노스 카트라키스, 이레네 파파스 등이 있다. 알레코스 사켈라리오스, 카롤로스 쿤, 바실리스 게오르기아디스, 코스타스 가브라스, 마이클 카코야니스, 야니스 달리아니디스, 니코스 쿤두루스, 테오 안젤로풀로스 등이 가장 중요한 감독들이다.

가장 중요한 현대 건축가로는 스타마티오스 클레안티스, 리산드로스 카프탄조글루, 아나스타시오스 메탁사스, 파나기스 칼코스, 아나스타시오스 올란도스, 귀화 그리스인 에른스트 질러, 디미트리스 피키오니스, 도시 계획가 스타마티스 훌가리스, 조르주 칸딜리스 등이 있다.

== 과학 ==

고전 시대와 헬레니즘 시대의 그리스인들은 천문학, 지리학, 역사 저술, 수학, 의학, 철학 및 정치학과 같은 여러 서구 과학 전통의 기초를 마련하는 중요한 공헌을 했다.[231] 그리스 학술원의 학문적 전통은 로마 시대에도 콘스탄티노플, 안티오크, 알렉산드리아 및 기타 그리스 학문의 중심지에 있는 여러 학술 기관을 통해 유지되었으며, 비잔틴 과학은 본질적으로 고전 과학의 연속이었다.[231] 사모스의 아리스타르코스는 기원전 3세기에 태양 중심 체계를 최초로 제안한 것으로 알려진 인물이다.

사모스의 아리스타르코스


그리스인들은 오랫동안 '파이데이아'(교육)를 중시하고 투자해 왔다.[89] '파이데이아'는 그리스와 헬레니즘 세계에서 가장 높은 사회적 가치 중 하나였으며, 대학교로 묘사되는 최초의 유럽 기관은 5세기 콘스탄티노플에 설립되어 1453년 오스만 제국에 함락될 때까지 여러 형태로 운영되었다.[232] 콘스탄티노플 대학교는 신학 과목이 가르쳐지지 않았기 때문에 기독교 유럽 최초의 세속적 고등 교육 기관이었으며,[233] 학생들의 단체라는 단어의 원래 의미를 고려할 때 세계 최초의 대학교이기도 하다.[232]

2007년 현재 그리스는 세계에서 고등 교육 등록률이 여덟 번째로 높았으며(여학생의 비율이 남학생보다 높음), 디아스포라의 그리스인들도 교육 분야에서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다.[187] 매년 수십만 명의 그리스 학생들이 서구 대학에 다니고 있으며, 서구 주요 대학의 교수진 명단에는 많은 그리스인의 이름이 있다.[234]

현대 그리스의 주목할 만한 과학자로는 의사 게오르기오스 파파니콜라우(파프 검사 발명가), 수학자 콘스탄틴 카라테오도리, 고고학자 마놀리스 안드로니코스(필리포스 2세의 무덤 발굴), 발레리오스 스타이스(안티키테라 기계 발견), 화학자 레오니다스 제르바스, K. C. 니콜라우(탁솔의 최초 전합성), 파나요티스 카초야니스(인슐린의 최초 화학 합성), 컴퓨터 과학자 마이클 데르투조스와 니콜라스 네그로폰테(월드 와이드 웹 초기 연구), 존 아르기리스(FEM 공동 창시자), 조셉 시파키스(2007년 튜링상), 크리스토스 파파디미트리우(2002년 크누스상), 미할리스 야나카키스(2005년 크누스상), 물리학자-수학자 데메트리오스 크리스토돌루, 물리학자 아킬레스 파파페트로, 디미트리 나노풀로스, 존 일리오풀로스(매력 쿼크 연구로 2007년 디랙 상 수상), 천문학자 유제니오스 안토니아디스, 생물학자 포티스 카파토스, 식물학자 테오도로스 오르파니데스, 경제학자 크세노폰 졸로타스(IMF와 같은 국제 기구에서 여러 고위직 역임), 인도학자 디미트리오스 갈라노스, 언어학자 이아니스 프시카리스(데모틱 그리스어의 홍보자), 역사가 콘스탄티노스 파파리리고풀로스 및 헬레네 글리카치 아르빌레르(비잔틴 연구에서 탁월한 업적), 정치학자 니코스 풀란자스 및 코르넬리우스 카스토리아디스 등이 있다.

주목할 만한 엔지니어와 자동차 디자이너로는 니콜라스 톰바지스, 알렉 이시고니스 및 안드레아스 자파티나스가 있다.

== 상징 ==

가장 널리 사용되는 상징은 그리스 국기이며, 그리스 독립 전쟁의 모토였던 그리스어 국가 모토 ''Eleftheria i Thanatos''(자유 아니면 죽음)의 아홉 음절을 나타내는 파란색과 흰색의 아홉 개의 동일한 가로 줄무늬가 특징이다.[235] 깃발 왼쪽 상단의 파란색 사각형에는 그리스 정교회를 나타내는 흰색 십자가가 있다. 그리스 국기는 그리스 키프로스인들에 의해 널리 사용되지만, 키프로스는 터키 키프로스인 소수 민족과의 민족적 긴장을 완화하기 위해 공식적으로 중립적인 깃발을 채택했다(키프로스 국기 참조).[236]

1978년 이전(그리고 최초)의 그리스 국기는 파란색 배경에 그리스 십자가(''crux immissa quadrata'')가 특징이며, 공식 깃발의 대안으로 널리 사용되며 종종 함께 게양된다. 그리스 국장에는 흰색 십자가가 두 개의 월계수 가지로 둘러싸인 파란색 방패가 있다. 일반적인 디자인에는 현재의 그리스 국기와 1978년 이전의 그리스 국기가 깃대를 교차하고 국장이 앞에 배치되어 있다.[237]

또 다른 매우 인지도가 높고 인기 있는 그리스 상징은 동로마 제국의 마지막 왕조의 제국 문장이자 소아시아와 그 후 동유럽의 일반적인 상징인 이중 머리 독수리이다.[238] 현대 그리스 국기나 국장에는 포함되어 있지 않지만, 공식적으로 그리스 육군의 휘장이자 그리스 교회의 깃발이다. 1925년에서 1926년 사이에 그리스 국장에 통합된 적이 있다.[239]

5. 1. 언어



대부분의 그리스인들은 그리스어를 사용하는데, 이는 인도유럽어족에 속하며 독립적인 어족 분파이다.[174] 가장 가까운 친족어는 아르메니아어( 그리스-아르메니아어) 또는 인도이란어파(그리스-아리아어 관계)일 가능성이 있다.[174] 그리스어는 현존하는 언어 중 가장 오랜 기록된 역사를 가지고 있으며, 그리스 문학은 2,500년 이상의 끊임없는 역사를 가지고 있다.[213] 가장 오래된 그리스어 비문은 선형 B 문자로 되어 있으며 기원전 1450년까지 거슬러 올라간다.[214] 그리스 암흑기 이후, 그리스 알파벳은 기원전 9세기~8세기에 등장했다. 그리스 알파벳은 페니키아 알파벳에서 유래했으며, 라틴 알파벳, 키릴 알파벳 등 여러 다른 알파벳의 모체가 되었다. 초기 그리스 문학 작품은 호메로스 서사시이며, 기원전 8세기부터 6세기까지 다양하게 추정된다. 유클리드 원론, 프톨레마이오스의 알마게스트 등은 주목할 만한 과학 및 수학 작품이다. 신약 성서는 코이네 그리스어로 쓰여졌다.[215]

그리스어는 알바니아어, 불가리아어 및 동로망스어파( 발칸 언어 참조)와 같은 발칸 언어들과 여러 언어적 특징을 공유하며, 서유럽과 튀르키예어에서 유래한 많은 외래어를 받아들였다.[216] 19세기의 필헬레니즘과 디아포티스모스 운동으로 현대 그리스인들의 고대 유산이 강조되면서, 외래어의 영향은 모든 외래어와 단어를 제거한 다소 인위적인 형태의 그리스어인 카타레부사를 만들어 그리스 국가의 공식 언어로 사용하는 공식 사용에서 배제되었다. 그러나 1976년 헬라스 의회는 구어인 디모티키를 공식 언어로 채택하는 투표를 하여 카타레부사를 폐지했다.[217]

현대 그리스어는 표준 현대 그리스어 또는 디모티키 외에도, 다양한 방언을 가지고 있다.[218] 예바닉어는 로마니오트의 언어이며, 그리스, 뉴욕 및 이스라엘의 소규모 공동체에서 사용되고 있다. 그리스어 외에도 그리스와 디아스포라에 있는 많은 그리스 시민들은 영어, 아르바니티카/알바니아어, 아로마니아어, 메글레노-로마니아어, 마케도니아 슬라브어, 러시아어 및 튀르키예어와 같은 다른 언어를 사용하는 이중 언어 사용자이다.[174][219]

5. 2. 종교

대부분의 그리스인들은 그리스 정교회에 속한 그리스도교 신자들이다.[220] 예수 그리스도 이후 초기 몇 세기 동안, 신약 성서는 원래 코이네 그리스어로 쓰였으며, 이는 그리스 정교회의 성어로 남아 있으며, 초기 그리스도인들과 교부 대부분이 그리스어를 사용했다.[210] 라틴 예식과 그리스 비잔틴 예식 가톨릭교회인 그리스 비잔틴 가톨릭 교회, 그리스 복음주의 교회, 오순절 자유 사도 교회, 몰몬교, 그리고 로마니오트와 세파르디 유대인, 그리스계 무슬림, 여호와의 증인 등 다른 종교를 믿는 소규모의 그리스 민족 그룹들이 있다. 약 2,000명의 그리스인들이 헬레니즘 다신교 재건주의 공동체의 회원이다.[221][222][223]

그리스어를 사용하는 무슬림들은 현대에는 주로 그리스 외부에 거주한다. 레바논과 시리아에는 그리스어를 사용하는 기독교와 무슬림 공동체가 모두 있으며, 터키의 폰토스 지역에는 종교적 소속 때문에 인구 교환에서 제외된 규모가 불확실한 대규모 공동체가 있다.[224]

5. 3. 예술

그리스 미술은 길고 다양한 역사를 가지고 있으며, 시각 예술, 문학, 공연 예술에 걸쳐 많은 기여를 해왔다.[225] 서구에서는 고전 그리스 미술로마 미술과 이후 현대 서양 미술 유산을 형성하는 데 큰 영향을 미쳤다.[225] 르네상스 이후 유럽에서는 인본주의적 미학과 그리스 미술의 높은 기술 수준이 수많은 유럽 예술가들에게 영감을 주었으며,[225] 19세기까지도 그리스에서 유래한 고전 전통은 서구 세계의 예술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226] 동쪽에서는 알렉산드로스 대왕의 정복으로 그리스, 중앙아시아 및 인도 문화 간 수 세기 동안의 교류가 시작되어 인도-그리스 및 그리스 불교 미술이 탄생했으며, 그 영향은 일본까지 미쳤다.[227]

비잔틴 그리스 미술은 헬레니즘 고전 미술에서 발전하여 기독교를 위해 이교도 모티프를 각색하여 많은 국가의 예술에 자극을 주었다.[228] 그 영향은 서쪽의 베네치아에서 동쪽의 카자흐스탄까지 추적할 수 있다.[228][229] 반대로 그리스 미술은 역사의 여러 시대에 동부 문명(즉, 이집트, 페르시아 등)의 영향을 받았다.[230]

현대 그리스의 주목할 만한 예술가들은 다음과 같다:

  • 화가: 도미니코스 테오토코풀로스(엘 그레코), 니콜라오스 기지스, 콘스탄티노스 볼라나키스, 페리클레스 판타지스, 콘스탄틴 안드레우
  • 조각가: 야눌리스 칼레파스
  • 작곡가: 미키스 테오도라키스, 스피리돈 사마라스, 이아니스 케낙시스, 야니, 반젤리스
  • 가수: 마리아 칼라스, 조르고스 달라라스, 나나 무스쿠리, 비키 레안드로스, 데미스 루소스
  • 시인: 디오니시오스 솔로모스, 안젤로스 시켈리아노스, 안드레아스 엠비리코스, 콘스탄티노스 카바피, 노벨상 수상자 조르고스 세페리스, 오디세이아 엘리티스
  • 소설가: 알렉산드로스 파파디아만티스, 에마누엘 로이데스, 이온 드라구미스, 니코스 카잔차키스, 페넬로페 델타, 스트라티스 미리빌리스, 바실리스 바실리코스, 페트로스 마르카리스
  • 극작가: 크레타 르네상스 시인 조르지오스 호르타츠이스, 빈첸조 코르나로스, 그레고리오스 크세노풀로스, 이아코보스 캄바넬리스


주목할 만한 영화 또는 연극 배우로는 마리카 코토풀리, 멜리나 메르쿠리, 엘리 람베티, 아카데미상 수상자 카티나 팍시누, 알렉시스 미노티스, 디미트리스 혼, 타나시스 베고스, 마노스 카트라키스, 이레네 파파스 등이 있다. 알레코스 사켈라리오스, 카롤로스 쿤, 바실리스 게오르기아디스, 코스타스 가브라스, 마이클 카코야니스, 야니스 달리아니디스, 니코스 쿤두루스, 테오 안젤로풀로스 등이 가장 중요한 감독들이다.

가장 중요한 현대 건축가로는 스타마티오스 클레안티스, 리산드로스 카프탄조글루, 아나스타시오스 메탁사스, 파나기스 칼코스, 아나스타시오스 올란도스, 귀화 그리스인 에른스트 질러, 디미트리스 피키오니스, 도시 계획가 스타마티스 훌가리스, 조르주 칸딜리스 등이 있다.

5. 4. 과학

고전 시대와 헬레니즘 시대의 그리스인들은 천문학, 지리학, 역사 저술, 수학, 의학, 철학 및 정치학과 같은 여러 서구 과학 전통의 기초를 마련하는 중요한 공헌을 했다.[231] 그리스 학술원의 학문적 전통은 로마 시대에도 콘스탄티노플, 안티오크, 알렉산드리아 및 기타 그리스 학문의 중심지에 있는 여러 학술 기관을 통해 유지되었으며, 비잔틴 과학은 본질적으로 고전 과학의 연속이었다.[231] 사모스의 아리스타르코스는 기원전 3세기에 태양 중심 체계를 최초로 제안한 것으로 알려진 인물이다.

그리스인들은 오랫동안 '파이데이아'(교육)를 중시하고 투자해 왔다.[89] '파이데이아'는 그리스와 헬레니즘 세계에서 가장 높은 사회적 가치 중 하나였으며, 대학교로 묘사되는 최초의 유럽 기관은 5세기 콘스탄티노플에 설립되어 1453년 오스만 제국에 함락될 때까지 여러 형태로 운영되었다.[232] 콘스탄티노플 대학교는 신학 과목이 가르쳐지지 않았기 때문에 기독교 유럽 최초의 세속적 고등 교육 기관이었으며,[233] 학생들의 단체라는 단어의 원래 의미를 고려할 때 세계 최초의 대학교이기도 하다.[232]

2007년 현재 그리스는 세계에서 고등 교육 등록률이 여덟 번째로 높았으며(여학생의 비율이 남학생보다 높음), 디아스포라의 그리스인들도 교육 분야에서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다.[187] 매년 수십만 명의 그리스 학생들이 서구 대학에 다니고 있으며, 서구 주요 대학의 교수진 명단에는 많은 그리스인의 이름이 있다.[234]

현대 그리스의 주목할 만한 과학자로는 의사 게오르기오스 파파니콜라우(파프 검사 발명가), 수학자 콘스탄틴 카라테오도리, 고고학자 마놀리스 안드로니코스(필리포스 2세의 무덤 발굴), 발레리오스 스타이스(안티키테라 기계 발견), 화학자 레오니다스 제르바스, K. C. 니콜라우(탁솔의 최초 전합성), 파나요티스 카초야니스(인슐린의 최초 화학 합성), 컴퓨터 과학자 마이클 데르투조스와 니콜라스 네그로폰테(월드 와이드 웹 초기 연구), 존 아르기리스(FEM 공동 창시자), 조셉 시파키스(2007년 튜링상), 크리스토스 파파디미트리우(2002년 크누스상), 미할리스 야나카키스(2005년 크누스상), 물리학자-수학자 데메트리오스 크리스토돌루, 물리학자 아킬레스 파파페트로, 디미트리 나노풀로스, 존 일리오풀로스(매력 쿼크 연구로 2007년 디랙 상 수상), 천문학자 유제니오스 안토니아디스, 생물학자 포티스 카파토스, 식물학자 테오도로스 오르파니데스, 경제학자 크세노폰 졸로타스(IMF와 같은 국제 기구에서 여러 고위직 역임), 인도학자 디미트리오스 갈라노스, 언어학자 이아니스 프시카리스(데모틱 그리스어의 홍보자), 역사가 콘스탄티노스 파파리리고풀로스 및 헬레네 글리카치 아르빌레르(비잔틴 연구에서 탁월한 업적), 정치학자 니코스 풀란자스 및 코르넬리우스 카스토리아디스 등이 있다.

주목할 만한 엔지니어와 자동차 디자이너로는 니콜라스 톰바지스, 알렉 이시고니스 및 안드레아스 자파티나스가 있다.

5. 5. 상징



가장 널리 사용되는 상징은 그리스 국기이며, 그리스 독립 전쟁의 모토였던 그리스어 국가 모토 ''Eleftheria i Thanatos''(자유 아니면 죽음)의 아홉 음절을 나타내는 파란색과 흰색의 아홉 개의 동일한 가로 줄무늬가 특징이다.[235] 깃발 왼쪽 상단의 파란색 사각형에는 그리스 정교회를 나타내는 흰색 십자가가 있다. 그리스 국기는 그리스 키프로스인들에 의해 널리 사용되지만, 키프로스는 터키 키프로스인 소수 민족과의 민족적 긴장을 완화하기 위해 공식적으로 중립적인 깃발을 채택했다(키프로스 국기 참조).[236]

1978년 이전(그리고 최초)의 그리스 국기는 파란색 배경에 그리스 십자가(''crux immissa quadrata'')가 특징이며, 공식 깃발의 대안으로 널리 사용되며 종종 함께 게양된다. 그리스 국장에는 흰색 십자가가 두 개의 월계수 가지로 둘러싸인 파란색 방패가 있다. 일반적인 디자인에는 현재의 그리스 국기와 1978년 이전의 그리스 국기가 깃대를 교차하고 국장이 앞에 배치되어 있다.[237]

또 다른 매우 인지도가 높고 인기 있는 그리스 상징은 동로마 제국의 마지막 왕조의 제국 문장이자 소아시아와 그 후 동유럽의 일반적인 상징인 이중 머리 독수리이다.[238] 현대 그리스 국기나 국장에는 포함되어 있지 않지만, 공식적으로 그리스 육군의 휘장이자 그리스 교회의 깃발이다. 1925년에서 1926년 사이에 그리스 국장에 통합된 적이 있다.[239]

6. 정치

고대 아테네는 민주주의의 발상지로 여겨진다. "민주주의"라는 용어는 기원전 5세기에 등장하여 당시 그리스 도시 국가들, 특히 아테네에 존재하던 정치 체제를 가리키는 말로, "국민의 통치"를 의미하며, "뛰어난 엘리트의 통치"를 의미하는 귀족 정치(아리스토크라티아/ἀριστοκρατίαgrc) 및 과두 정치와 대조된다. 이론적으로는 이러한 정의들이 상반되지만, 실제로는 역사적으로 그 구분이 모호해졌다.[240] 클레이스테네스의 지도 아래 아테네인들은 기원전 508-507년에 일반적으로 최초의 민주주의로 여겨지는 것을 수립했으며,[241] 점차 직접 민주주의의 형태를 취하게 되었다. 민주주의 정부 형태는 헬레니즘 시대와 로마 시대 동안 쇠퇴했지만, 근세 동안 서유럽에서 관심이 부활했다.

유럽 계몽주의와 프랑스 혁명의 민주적, 자유주의적, 민족주의적 사상은 그리스 독립 전쟁의 발발과 현대 그리스 국가의 수립에 중요한 요인이었다.[242][243]

주목할 만한 현대 그리스 정치인으로는 제1 헬레닉 공화국의 창립자 요안니스 카포디스트리아스, 개혁가 하릴라오스 트리쿠피스, 현대 그리스의 모습을 만들어낸 엘레프테리오스 베니젤로스, 사회민주주의자 게오르기오스 파판드레우와 알렉산드로스 파파나스타시우, 제3 헬레닉 공화국의 창립자 콘스탄티노스 카라만리스, 사회주의자 안드레아스 파판드레우 등이 있다.

7. 성씨와 이름

그리스 성씨는 9세기와 10세기에 처음 등장하기 시작했는데, 처음에는 지배 가문들 사이에서 나타났으며, 결국 아버지의 이름을 구별자로 사용하는 고대 전통을 대체했다.[244][247]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리스 성씨는 대부분 부계 성씨이다.[244] 예를 들어 '-opoulos' 또는 '-ides'로 끝나는 성씨들이 있으며, 다른 성씨들은 직업, 신체적 특징 또는 마을, 촌락, 수도원과 같은 지역에서 유래한다.[247]

일반적으로 그리스 남성 성씨는 '-s'로 끝나는데, 이는 그리스어 남성 고유 명사의 주격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어미이다. 때때로 (특히 키프로스에서는) 일부 성씨는 '-ou'로 끝나는데, 이는 부계 성씨의 소유격을 나타낸다.[245] 많은 성씨는 특정 지역과 관련된 접미사로 끝나는데, 예를 들어 '-akis'(크레타 섬), '-eas' 또는 '-akos'(마니 반도), '-atos'(케팔로니아 섬), '-ellis'(레즈보스 섬) 등이 있다.[247] 그리스어 기원 외에도, 특히 소아시아와 이오니아 제도 출신 그리스인들에게는 터키어 또는 라틴어/이탈리아어 기원의 성씨도 있다.[246] 여성 성씨는 모음으로 끝나고 일반적으로 해당 남성 성씨의 소유격 형태이지만, 이러한 사용법은 해외 거주 그리스인들에게는 적용되지 않으며, 일반적으로 남성 성씨가 사용된다.

개인 이름과 관련하여, 두 가지 주요 영향은 기독교와 고전 헬레니즘이다. 고대 그리스 명명법은 결코 잊혀지지 않았지만 18세기부터 더 널리 사용되기 시작했다.[247] 고대와 마찬가지로, 아이들은 보통 조부모의 이름을 따서 짓는다. 개인 이름은 종종 '-akis'와 같은 축소형 접미사(남성 이름의 경우) 또는 '-itsa' 또는 '-oula'(여성 이름의 경우)를 사용하여 친근하게 부른다.[247] 그리스인들은 일반적으로 중간 이름을 사용하지 않고, 아버지의 이름의 소유격을 중간 이름으로 사용한다. 이러한 사용법은 러시아인과 다른 동슬라브족의 아버지 이름에 전해졌다.

8. 해양: 탐험과 상업

그리스는 에게해, 남부 이탈리아(마그나 그라이키아) , 흑해, 아이오니아 해안의 소아시아, 키프로스시칠리아 섬을 포함하는 지역에 걸쳐 있었다. 플라톤의 『파이돈』에서 소크라테스는 그리스인들을 "연못 주변의 개구리"에 비유하며 바다 주변에 사는 것으로 묘사했다.[249][250] 그리스 반도는 대부분 암석으로 이루어져 농업에 적합하지 않아, 바다와 무역은 그리스인들의 자연스러운 진출구가 되었다.[46]

마르세유의 피테아스는 그레이트브리튼을 항해했고, 에우튀메네스는 아프리카를, 카리아의 스킬락스는 인도를 항해했다.[251] 알렉산드로스 대왕의 나바르크였던 네아르코스, 인도 탐험가 메가스테네스, 6세기 상인이자 승려인 코스마스 인디코플루스테스, 북서 항로 탐험가 후안 데 후카로 알려진 요안니스 포카스도 주목할 만한 그리스 선원이다.[251] 파나요티스 포타고스는 북쪽에서 봄부와 우엘레 강에 처음 도달한 현대 탐험가였다.

세계적으로 가장 잘 알려진 그리스 해운 재벌 아리스토텔레스 오나시스


후대에 비잔틴 그리스인들은 지중해 해로를 장악하고 무역을 지배했으나, 비잔틴 황제가 칼리파와의 무역을 금지하면서 이탈리아의 무역 우위가 강화되었다.[252] 오스만 통치 시대, 특히 퀴추크 카이너르자 조약 이후와 나폴레옹 전쟁 기간에 부유한 상인 중산층이 발전하면서 그리스 해운 전통이 회복되었고, 이는 그리스 독립 전쟁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122] 오늘날 그리스 해운은 세계적인 수준으로, 그리스는 세계 최대 상선대 중 하나를 보유하고 있다.[187] 20세기 가장 주목할 만한 해운 재벌은 아리스토텔레스 오나시스였으며, 얀니스 라치스, 스타브로스 G. 리바노스, 스타브로스 니아르코스 등이 있다.[253][254]

9. 유전학

유럽계 조상 그룹의 서로 다른 개인을 비교하는 요인 대응 분석


전 세계적 맥락에서 발칸 지역의 상염색체 단일염기다형성(SNP)의 혼합 분석. 7개의 가정된 조상 집단(아프리카계(갈색), 남/서유럽계(연한 파랑), 아시아계(노랑), 중동계(주황), 남아시아계(녹색), 북/동유럽계(진한 파랑), 코카서스/아나톨리아계(베이지색))의 해상도 수준


고고유전학 연구에 따르면, 미노아인과 미케네 그리스인은 유전적으로 매우 유사하지만 동일하지는 않았다.[181][182] 현대 그리스인은 미케네인과 유사하지만 초기 신석기 시대 조상의 희석이 다소 추가되었다.[181][182] 이 연구 결과는 이러한 문명과 현대 그리스인 사이의 유전적 연속성을 뒷받침하지만, 초기 문명 이전과 이후 에게 해 지역 인구의 역사에서 고립은 나타나지 않는다. 이집트 또는 페니키아 식민지 개척자들에 의한 이주는 그들의 데이터에서 식별할 수 없었다.[181][182] 표본으로 채취한 청동기 시대 인구와 현재 서유럽인 사이의 F가 추정되었으며, 미케네 그리스인과 미노아인은 현대 그리스, 키프로스, 알바니아 및 이탈리아 인구와 가장 차이가 적었다.[181][182]

Lazaridis 외(2022)는 미케네인 조상의 약 58.4~65.8%가 아나톨리아 신석기 농부(ANF)에서 유래한 반면, 나머지는 주로 코카서스 사냥꾼-채집인(CHG) (~20.1~22.7%) 및 레반트의 선토기 신석기(PPN) 문화 (~7~14%)와 관련된 고대 인구에서 유래했음을 결론지었다.[255][256] 미케네인들은 또한 동유럽 사냥꾼-채집인(EHG)과 관련된 출처에서 약 3.3~5.5%의 조상을 상속받았는데, 이는 원인도유럽어로 가정되는 유라시아 대초원 주민과 관련된 근접한 출처를 통해 도입되었고, 발칸의 철문 사냥꾼-채집인에서 약 0.9~2.3%를 상속받았다.[255][256] 미케네 엘리트는 대초원 조상 측면에서 미케네 일반인과 유전적으로 동일했지만, 일부 미케네인은 전혀 대초원 조상이 없었다.[255][256]

Clemente 외(2021)의 유전 연구에 따르면, 초기 청동기 시대 에게 해의 미노아, 헬라딕, 키클라데스 문명의 인구는 유전적으로 균질했다.[257] 반면, 중기 청동기 시대의 에게 해 인구는 더욱 다양해졌는데, 아마도 폰토-카스피아 대초원의 야므나 관련 인구로부터의 유전자 흐름 때문일 것이다.[257] 이는 북부 그리스 출신의 중기 청동기 시대 개인의 시퀀싱된 게놈에 의해 확인되었으며, 이들은 훨씬 더 높은 비율의 대초원 관련 조상을 가지고 있었다.[257] 이 유전자 흐름의 시기는 기원전 약 2300년으로 추정되며, 원시 그리스어의 출현을 설명하는 주요 언어 이론과 일치한다.[257] 현대 그리스인들은 그들과 약 90%의 조상을 공유하여 두 시대 사이의 연속성을 시사한다.[257] 그러나 미케네 그리스인의 경우 대초원 관련 조상이 희석되었다.[257] 미케네인의 조상은 북부 그리스의 이러한 MBA 개인과 EBA 에게 해 또는 MBA 미노아 인구 중 하나의 2방향 혼합 모델을 통해 설명할 수 있다.[257] 두 시대의 차이는 미케네 문명의 일반적인 쇠퇴로 설명할 수 있다.[257]

여러 상염색체, Y-DNA, 및 mtDNA 마커를 사용한 유전 연구는 그리스인이 다른 유럽인들, 특히 남유럽인들(이탈리아인 및 알바니아인, 슬라브 마케도니아인 및 루마니아인과 같은 발칸 인구)과 유사한 배경을 공유함을 보여준다. 그리스인은 이탈리아인과 루마니아인과 유전적으로 가장 가깝고,[258] 이탈리아인, 알바니아인, 루마니아인 및 남부 발칸 슬라브인과 같이 슬라브 마케도니아인 및 불가리아인과 가깝다.[259] 다른 연구에서는 그리스인이 다른 남유럽(주로 이탈리아인) 및 북유럽 인구와 함께 그룹화되고 바스크인과 가깝다는 것을 보여주었고,[260] F 거리는 그들이 다른 유럽 및 지중해 인구,[261][262] 특히 이탈리아인(−0.0001) 및 투스카니아인(0.0005)과 함께 그룹화된다는 것을 보여주었다.[263] 그리스 본토의 지역 표본이 발칸 지역, 주로 알바니아인과 함께 그룹화되는 반면 크레타 그리스인은 중앙 지중해 및 동부 지중해 표본과 함께 그룹화된다.[264] 미토콘드리아 DNA 유전자 마커(mtDNA)를 사용한 연구는 그리스인이 다른 지중해 유럽 인구와 그룹화된다는 것을 보여주었고[265][266][267] 주성분 분석(PCA)은 그리스인과 이탈리아인 사이의 유전적 거리가 짧다는 것을 확인했다.[268] 또한 발칸 반도와 남부 이탈리아에서 빈도가 가장 높고 영국과 바스크 지방에서 가장 낮은 유전자의 경사를 카발리-스포르자(1993)는 "그리스의 팽창으로, 역사적 시대에 기원전 1000년과 500년경에 정점에 달했지만 분명히 더 일찍 시작되었다"고 연결했다.[269]

그리스인들은 또한 모든 발칸 민족에서 관찰되는 동유럽 관련 조상의 정도를 가지고 있으며, 이는 서기 700년 이후에 발칸 반도에 슬라브어를 사용하는 사람들이 도착한 것과 일치하지만, 이 조상의 비율은 다른 연구와 하위 지역에 따라 크게 다릅니다.[270][271] 크레타인은 서유럽(CEU), 중앙 유럽(독일인 및 폴란드인), 북유럽(CEU, 스칸디나비아인) 및 동유럽(우크라이나인, 러시아인)과 높은 IBD를 공유하는데, 이는 동유럽과 높은 IBD를 공유하는 그리스 본토와 유사하다. 이것은 미케네인과 도리아인, 고트족 및 슬라브족에 의해 주도된 크레타의 정착 패턴을 반영한다. 안달루시아인, 근동 아랍인 및 베네치아인과 같은 민족은 크레타인에게 최소한의 유전적 영향을 미쳤다. 하지만 PCA 분석은 크레타인이 펠로폰네소스인, 시칠리아인 및 아슈케나지 유대인과 겹친다.[272] 현재 남동부 펠로폰네소스 인구와 아풀리아인, 칼라브리아인 및 남동부 시칠리아인 사이의 높은 유전적 유사성이 발견되었는데, 이는 슬라브 관련 사람들 및/또는 차코네스 및 마니오트의 유전적 표류와 같은 내륙 인구의 영향이 적기 때문에 "다른 그리스 그룹이 보여주는 군집 구성과 다른 군집 구성을 특징으로 한다". 서시칠리아 사람들은 또한 펠로폰네소스 서부 사람들과 유사성을 보인다.[273] 초기 크레타 농부들은 다른 신석기 에게 해인들과 같은 조상을 공유했지만, 신석기 시대 말에 아나톨리아 기원의 '동부' 유전자 흐름을 받았다. 기원전 17세기부터 12세기까지 크레타에서 중앙 및 동유럽 조상의 유전적 특징이 점진적으로 증가하여 그리스 본토의 영향을 나타낸다.[274]

10. 외모



그리스 전사들, 이탈리아에서 발견된 채색된 석관의 세부 사항, 기원전 350~325년

2013년 그리스인의 DNA를 이용한 모발과 눈 색깔 예측 연구에 따르면, 자가 보고된 표현형 빈도는 모발 색깔의 경우 금발 11명(9.2%), 밝은 금발/연갈색 45명(37.8%), 진한 갈색 49명(41.2%), 갈색 적갈색/적갈색 3명(2.5%), 검은색 머리 11명(9.2%)으로 총 119명이었고, 눈 색깔의 경우 파란색 13명(10.9%), 중간색(녹색, 이색증) 15명(12.6%), 갈색 눈 91명(76.5%)이었다.[275]

2012년 아테네 대학교 치과대학 학생 150명을 대상으로 진행된 또 다른 연구에서는 밝은색 모발(금발/연회색 갈색)은 10.7%, 중간색 모발(연갈색/진한 갈색)은 36%, 가장 진한 갈색은 32%, 검은색은 21%(거의 검은색 15.3%, 밤색 검정 6%)이었다. 결론적으로 젊은 그리스인의 모발 색깔은 대부분 밝은 갈색에서 진한 갈색이며, 상당수의 소수가 검은색과 금발 머리를 가지고 있다. 같은 연구에서 학생들의 눈 색깔은 파란색/녹색 14.6%, 중간색(연갈색) 28%, 진한 갈색 57.4%로 나타났다.[276]

2017년 연구에 따르면 청동기 시대 에게 해 지역 주민들은 대부분 진한 갈색에서 검은색 머리와 눈을 가지고 있었다. 유전적 표현형 예측은 그리스인들이 자신을 묘사한 시각적 표현과 일치하여, 이 시대의 예술이 표현형을 사실적으로 재현했음을 시사한다.[182]

참조

[1] 논문
[2] 논문
[3] 웹사이트 2011 Population and Housing Census http://www.statistic[...] 2014-09-12
[4] 웹사이트 Statistical Data on Immigrants in Greece: An Analytic Study of Available Data and Recommendations for Conformity with European Union Standards http://aei.pitt.edu/[...] University of Pittsburgh 2004-11-15
[5] 웹사이트 Population - Country of Birth, Citizenship Category, Country of Citizenship, Language, Religion, Ethnic/Religious Group, 2011 http://www.cystat.go[...]
[6] 논문
[7] 웹사이트 Where are the Greek communities of the world? http://en.protothema[...] Protothemanews.com
[8] 웹사이트 Statistical Service – Population and Social Conditions – Population Census – Announcements – Preliminary Results of the Census of Population, 2011 http://www.cystat.go[...]
[9] 웹사이트 Total ancestry categories tallied for people with one or more ancestry categories reported 2011–2013 American Community Survey 3-Year Estimates http://factfinder.ce[...] U.S. Department of Commerce: United States Census Bureau
[10] 웹사이트 U.S. Relations with Greece https://2009-2017.st[...] United States Department of State 2016-03-10
[11] 웹사이트 Population in private households 2021 by migration background https://www.destatis[...]
[12] 웹사이트 2021 Census of Population and Housing General Community Profile https://www.abs.gov.[...]
[13] 웹사이트 United Kingdom: Cultural Relations and Greek Community http://www.mfa.gr/en[...] 2011-02-04
[14] 웹사이트 Immigration and Ethnocultural Diversity Highlight Tables
[15] 웹사이트 South Africa: Cultural Relations and Greek Community http://www.ausgreekn[...] 2011-02-04
[16] 웹사이트 Italy: Cultural Relations and Greek Community http://www.mfa.gr/en[...] 2013-07-09
[17] 웹사이트 Grecia Salentina http://www.greciasal[...] Unione dei Comuni della Grecìa Salentina
[18] 논문
[19] 웹사이트 English version of Greek Ministry of Foreign Affairs reports ''a few thousand'' and Greek version 3.800 http://www.mfa.gr/mi[...] MFA.gr
[20] 서적 World Islam: Critical Concepts in Islamic Studies Routledge
[21] 간행물 Le Chili et les mouvements migratoires https://journals.ope[...]
[22] 웹사이트 Ukraine: Cultural Relations and Greek Community http://www.mfa.gr/en[...] 2011-02-04
[23] 웹사이트 Итоги Всероссийской переписи населения 2010 года в отношении демографических и социально-экономических характеристик отдельных национальностей http://www.gks.ru/fr[...]
[24] 웹사이트 The Greek Community http://www.memoriald[...]
[25] 웹사이트 France: Cultural Relations and Greek Community http://www.mfa.gr/en[...] 2013-07-09
[26] 웹사이트 Belgium: Cultural Relations and Greek Community http://www.mfa.gr/en[...] 2011-01-28
[27] 웹사이트 CBS Statline https://opendata.cbs[...]
[28] 웹사이트 Bevolking; geslacht, leeftijd, generatie en migratieachtergrond, 1 januari https://opendata.cbs[...] Central Bureau of Statistics (CBS) 2021-07-22
[29] 웹사이트 Immigration to Uruguay http://www.ine.gub.u[...] INE
[30] 웹사이트 World Directory of Minorities and Indigenous Peoples – Turkey: Rum Orthodox Christians http://www.minorityr[...] Minority Rights Group (MRG)
[31] 웹사이트 Pontic http://www.ethnologu[...] SIL International
[32] 웹사이트 Argentina: Cultural Relations and Greek Community http://www.mfa.gr/en[...] 2013-07-09
[33] 웹사이트 Sweden: Cultural Relations and Greek Community https://www.scb.se/S[...] 2011-02-04
[34] 웹사이트 Population and Housing Census 2023 https://shqiptarja.c[...] Institute of Statistics (Albania) (INSTAT)
[35] 웹사이트 Население по местоживеене, възраст и етническа група https://censusresult[...]
[36] 웹사이트 Bulgaria: Cultural Relations and Greek Community http://www.mfa.gr/en[...] 2016-04-19
[37] 웹사이트 Georgia: Cultural Relations and Greek Community http://www.mfa.gr/en[...] 2016-04-15
[38] 웹사이트 Migranti z Řecka v Česku http://cizinci.cz/re[...] 2019-04-25
[39] 웹사이트 Switzerland: Cultural Relations and Greek Community http://www.mfa.gr/en[...] 2016-04-19
[40] 웹사이트 Romania: Cultural Relations and Greek Community http://www.mfa.gr/en[...] 2016-04-19
[41] 웹사이트 Greeks in Uzbekistan http://www.cacianaly[...] The Central Asia-Caucasus Institute 2008-12-24
[42] 웹사이트 Kazakhstan: Cultural Relations and Greek Community http://www.mfa.gr/en[...] 2016-04-15
[43] 웹사이트 Greeks Around the Globe http://www.ausgreekn[...]
[44] 웹사이트 Bevölkerung nach Staatsangehörigkeit und Geburtsland http://www.statistik[...] 2015-07-31
[45] 서적 Mikrocenzus 2016 – 12. Nemzetiségi adatok http://www.ksh.hu/do[...] 2019-01-09
[46] 논문
[47] 논문
[48] 논문
[49] 논문
[50] 웹사이트 CIA World Factbook on Greece
[51] 서적 A History of Greek Mathematics https://books.google[...] Courier Dover Publications 2013-08-19
[52] 서적 Understanding English Homonyms: Their Origins and Usage https://books.google[...] Hong Kong University Press 2023-11-30
[53] 서적 The text of the New Testament: an introduction to the critical
[54] 서적 Introducing the New Testament
[55] 서적 A History of Ancient Greek: From the Beginnings to Late Antiquity University Press
[56] 논문
[57] 논문
[58] 논문
[59] 논문
[60] 논문
[61] 논문
[62] 논문
[63] 백과사전 The Greeks Encyclopædia Britannica Inc.
[64] 논문
[65] 백과사전 Linear A and Linear B https://www.britanni[...] Encyclopædia Britannica Inc. 2016-03-03
[66] 논문
[67] 논문
[68] 논문
[69] 논문
[70] 논문
[71] 논문
[72] 논문
[73] 논문
[74] 논문
[75] 논문
[76] 백과사전 Ancient Greek Civilization https://www.britanni[...] Encyclopædia Britannica Inc. 2022-06-21
[77] 논문
[78] 논문
[79] 논문
[80] 웹사이트 Riding with Alexander http://www.archaeolo[...] The Archaeological Institute of America 2008-12-27
[81] 논문
[82] 백과사전 Alexander the Great Columbia University Press
[83] 논문
[84] 웹사이트 Growth of the Greek Colonies in the First Millennium BC http://www.princeton[...] Princeton/Stanford University 2005-12
[85] 논문
[86] 뉴스 Alexander's Gulf outpost uncovered http://news.bbc.co.u[...] 2009-06-15
[87] 논문
[88] 백과사전 Hellenistic age https://www.britanni[...] Encyclopædia Britannica Inc. 2022-06-21
[89] 논문
[90] 논문
[91] 논문
[92] 논문
[93] 논문
[94] 백과사전 Hellenistic religion https://www.britanni[...] Encyclopædia Britannica Inc. 2022-06-21
[95] 논문
[96] 논문
[97] 논문
[98] 논문
[99] 학술지 A critical lexicostatistical examination of Ancient and Modern Greek and Tsakonian.
[100] 논문
[101] 논문
[102] 논문
[103] 논문
[104] 논문
[105] 간행물 Epistulae
[106] 논문 Christian Monotheism, Orthodox Christianity, Greek Orthodoxy; Hellenism and Nationalism in Byzantium 2007-2009-1991
[107] 백과사전 Byzantine Empire https://www.britanni[...] Encyclopædia Britannica Inc 2022-06-21
[108] 논문 1997
[109] 논문 1972
[110] 논문 Annales Fuldenses 2004
[111] 논문 1996
[112] 논문 2008
[113] 논문 2014
[114] 학술지 The Varangian legend: testimony from the Old Norse sources https://www.academia[...] 2016-01-01
[115] 서적 Identities and Allegiances in the Eastern Mediterranean After 1204 https://books.google[...] Ashgate Publishing, Ltd. 2011
[116] 논문 2014
[117] 논문 2012
[118] 논문 1988
[119] 논문 1975, 2008
[120] 웹사이트 Byzantium 1220 To 1330 - PDF - Byzantine Empire - Constantinople https://www.scribd.c[...] 2021-08-05
[121] 논문 2014
[122] 백과사전 Greece during the Byzantine period (c. AD 300–c. 1453), Population and languages, Emerging Greek identity Encyclopædia Britannica Inc. 2008
[123] 서적 History of the Byzantine Empire, 324–1453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Wisconsin Press 1964
[124] 서적 The Web of Modern Greek Politics https://books.google[...] Columbia University Press 1968
[125] 논문 1965
[126] 서적 The Empire of Trebizond and the Pontus; Migration and Settlement in the Caucasus and Anatolia Variourum 1980, 1988
[127] 논문 1998
[128] 논문 Byzantine and Moslem Libraries 1999
[129] 백과사전 Renaissance https://www.britanni[...] Encyclopædia Britannica Inc. 2016-03-30
[130] 논문 1993
[131] 백과사전 Aristotelianism https://www.britanni[...] Encyclopædia Britannica Inc. 2016
[132] 백과사전 Cyril and Methodius, Saints http://www.encyclope[...] Columbia University Press 2016
[133] 백과사전 History of Europe, The Romans Encyclopædia Britannica Inc. 2008
[134] 서적 Philotheou Parerga Grēgorios Kōnstantas 1800
[135] 웹사이트 Manastırlar http://www.macka.gov[...]
[136] 서적 Resimli Osmanlı tarihi https://www.worldcat[...] Nesil yayınları 2007
[137] 백과사전 Phanariote https://www.britanni[...] Encyclopædia Britannica Inc. 2016
[138] 웹사이트 Greek Constitution of 1822 (Epidaurus) http://www.hellenicp[...] 1822
[139] 논문 2003, 2006, 1980, 2008
[140] 논문 2008
[141] 논문 Greek Identity 1996
[142] 웹사이트 A Greek-English Lexicon https://www.perseus.[...]
[143] 웹사이트 A Greek-English Lexicon https://www.perseus.[...]
[144] 논문 Shared sanctuaries and the gods of others: On the meaning Of 'common' in Herodotus 8.144 Brill 2010
[145] 서적 Herodotus, The Seventh, Eighth, & Ninth Books with Introduction and Commentary https://www.perseus.[...] Macmillan & Co. Ltd. 2023-10-07
[146] 웹사이트 A Greek-English Lexicon https://www.perseus.[...]
[147] 서적 Histories
[148] 서적 Nationalism and Ethnosymbolism: History, Culture and Ethnicity in the Formation of Nations Edinburgh University Press 2006
[149] 논문 2000
[150] 논문 2005
[151] 논문 2012; 2002; 1982; 1970
[152] 논문 2002
[153] 서적 The Chronicle of the Fall 1477
[154] 서적 New Political Constitution of the Inhabitants of Rumeli, Asia Minor, the Islands of the Aegean, and the Principalities of Moldavia and Wallachia
[155] 논문 2002
[156] 백과사전 History of Greece, Ottoman Empire, The merchant middle class Encyclopædia Britannica Inc. 2008
[157] 논문 2003
[158] 논문 1989
[159] 논문 1998
[160] 서적 Michaelis Pselli Orationes Panegyricae Walter de Gruyter 1994
[161] 서적 Iliad
[162] 논문 Argos 2011
[163] 논문 Texts and Commentaries – Introduction #2 2014
[164] 서적 Histories
[165] 서적 Iliad
[166] 웹사이트 The Parian Marble, Entry #6 http://www.ashmolean[...]
[167] 서적 Bibliotheca
[168] 웹사이트 Meteorologica http://classics.mit.[...]
[169] 서적 Iliad
[170] 서적 Catalogue of Women
[171] 서적 The Tower of Babel: An Etymological Database Project http://starling.rine[...] 1998
[172] 서적 The American Heritage Dictionary of Indo-European Roots Houghton Mifflin Company 2000
[173] 서적 Meteorologica
[174] 논문 2005
[175] 논문 1983
[176] 논문
[177] 논문
[178] 서적 Alexiad
[179] 논문
[180] 논문
[181] 학술지 The Greeks really do have near-mythical origins, ancient DNA reveals 2017-08-02
[182] 논문
[183] 웹사이트 Πίνακας 9. Πληθυσμός κατά υπηκοότητα και φύλο http://www.statistic[...] Hellenic Statistical Authority 2009-01-07
[184] 웹사이트 CIA Factbook https://www.cia.gov/[...] United States Government 2008-12-19
[185] 웹사이트 Census of Population 2001 http://www.pio.gov.c[...] Γραφείο Τύπου και Πληροφοριών, Υπουργείο Εσωτερικών, Κυπριακή Δημοκρατία 2016-06-11
[186] 백과사전 Greece: Demographic trends https://www.britanni[...] Encyclopædia Britannica Inc. 2022-06-21
[187] 서적 Pocket World in Figures (Economist) Economist Books
[188] 백과사전 Cyprus: Demographic trends https://www.britanni[...] Encyclopædia Britannica Inc. 2022-06-21
[189] 논문
[189] 논문
[189] 논문
[189] 논문
[190] 논문
[191] 서적 The Balkans : a post-communist history https://www.worldcat[...] Routledge 2022-12-17
[192] 서적 Mapping Minorities and their Media: The National Context – Greece https://www.lse.ac.u[...] London School of Economics 2022-12-17
[193] 뉴스 Destroying a minority: Turkey's attack on the Greeks http://www.athensnew[...] 2008-12-19
[194] 논문
[195] 뉴스 The shame of Sept. 6–7 is always with us http://arama.hurriye[...] 2008-12-19
[196] 웹사이트 Finis Greciae or the Return of the Greeks? State and Diaspora in the Context of Globalisation http://www.transcomm[...] Transnational Communities Programme (Working Paper Series) 2016-05-16
[197] 웹사이트 Speech by Vasilis Magdalinos http://www.sae.gr/?i[...] SAE 2008-12-19
[198] 웹사이트 Meeting on the exercise of voting rights by foreigners of Greek origin http://www.mfa.gr/ww[...] Greek Ministry of Foreign Affairs 2008-12-19
[199] 웹사이트 Non-Greeks and diaspora lose out on voting rights http://www.ekathimer[...] Ekathimerini.com 2015-01-13
[200] 논문
[201] 논문
[202] 논문
[203] 논문
[204] 논문
[205] 논문
[206] 논문
[207] 웹사이트 As Crisis Deepens, Astoria Finds Its Greek Essence Again http://usa.greekrepo[...] GreekReporter.com 2016-05-21
[208] 웹사이트 Greece Already Close to Breaking Point http://www.thefiscal[...] 2012-05-22
[209] 웹사이트 OECD Says Euro-Zone Crisis Has Led to Some Emigration https://www.wsj.com/[...] 2016-05-21
[210] 논문
[210] 논문
[211] 보도자료 Genocide Scholars Association Officially Recognizes Assyrian, Greek Genocides http://genocideschol[...] International Association of Genocide Scholars 2007-12-16
[212] 논문 (Bjørnlund 2008, pp. 41–58); (Schaller & Zimmerer 2008, pp. 7–14); (Levene 1998, p. 393); (Tatz 2003, pp. xiii, 178) (추출 불가)
[213] 백과사전 Greek literature https://www.britanni[...] Encyclopædia Britannica Inc. 2014-08-27
[214] 웹사이트 New Linear B tablet found at Iklaina http://www.aegeanscr[...] Comité International Permanent des Études Mycéniennes, UNESCO
[215] 서적 The Text of the New Testament Wm. B. Eerdmans Publishing 1995
[216] 논문 (Winford 2003, p. 71) (추출 불가)
[217] 논문 (Mackridge 1990, p. 25) (추출 불가)
[218] 논문 (Tomić 2006, p. 703) (추출 불가)
[219] 논문 (Fasold 1984, p. 160) (추출 불가)
[220] 웹사이트 Greece http://www.pewforum.[...] PewForum 2014-04-04
[221] 뉴스 The ancient gods of Greece are not extinct http://www.newstates[...] 2007-03-20
[222] 뉴스 Modern Athenians fight for the right to worship the ancient Greek gods https://www.telegrap[...] 2004-05-08
[223] 웹사이트 Freedom of Religion in Greece https://2001-2009.st[...] United States Department of State
[224] 웹사이트 Greek-Speaking Enclaves of Lebanon and Syria http://webs.uvigo.es[...] Roula Tsokalidou (Primary School Education Department, University of Thessaly, Greece)
[225] 논문 (Osborne 1998, pp. 1–3) (추출 불가)
[226] 논문 (Pollitt 1972, pp. xii–xv) (추출 불가)
[227] 논문 (Puri 1987, pp. 28–29) (추출 불가)
[228] 논문 (Mango 1986, pp. ix–xiv, 183) (추출 불가)
[229] 뉴스 The Byzantine empire, The lasting glory of its art http://www.economist[...] 2007-10-04
[230] 논문 (Stansbury-O'Donnell 2015); (Tarbell 1907) (추출 불가)
[231] 웹사이트 Byzantine Medicine — Vienna Dioscurides http://exhibits.hsl.[...] University of Virginia
[232] 웹사이트 The Origin of Universities (University of Magnaura in Constantinople) http://www.cwrl.utex[...] University of Texas at Austin
[233] 논문 (Tatakes & Moutafakis 2003, p. 189) (추출 불가)
[234] 뉴스 University reforms in Greece face student protests http://www.economist[...] 2006-07-06
[235] 논문 (Papadakis 1995, p. 55) (추출 불가)
[236] 웹사이트 The Flag http://www.presidenc[...] Presidency of the Hellenic Republic
[237] 웹사이트 Older Flags: 19 December 2008 http://users.att.sch[...] Skafidas Zacharias
[238] 논문 (Grierson & Bellinger 1999, loc="Eagles", pp. 85–86) (추출 불가)
[239] 웹사이트 Byzantine Flags http://www.heraldica[...] François Velde
[240] 서적 Encyclopedia of ancient Greece Routledge 2006
[241] 서적 The Making of the West, Peoples and Cultures, A Concise History, Volume I: To 1740 Bedford/St. Martin's 2007
[242] 서적 A Concise History of Greece (추출 불가)
[243] 서적 Wars and Peace Treaties (추출 불가)
[244] 논문 (Wickham 2005, p. 237) (추출 불가)
[245] 논문 (Fong 2004, p. 39) (추출 불가)
[246] harvard
[247] 웹사이트 The Transition of Modern Greek Names https://web.archive.[...] Oxford University 2016-05-10
[248] 웹사이트 Naming practices https://web.archive.[...] Oxford University 2016-10-16
[249] 서적 Phaidon
[250] harvard
[251] harvard
[252] harvard
[253] 뉴스 Greek Tragedy: The life of Aristotle Onassis https://web.archive.[...] 2004-08-12
[254] 뉴스 Callas takes centre stage again as exhibition recalls Onassis's life https://www.theguard[...] 2006-10-06
[255] harvard https://www.science.[...]
[256] 웹사이트 Lecture by Prof. David Reich - "The Genetic History of the Southern Arc: A Bridge between West Asia & Europe" https://iias.huji.ac[...] 2022-06-21
[257] harvard
[258] 논문 Correlation between genetic and geographic structure in Europe
[259] 논문 Genes mirror geography within Europe
[260] 논문 Reconstruction of human evolutionary tree using polymorphic autosomal microsatellites
[261] 서적 The History and Geography of Human Genes https://archive.org/[...]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96
[262] 논문 Measuring European population stratification with microarray genotype data
[263] 논문 European Population Genetic Substructure: Further Definition of Ancestry Informative Markers for Distinguishing Among Diverse European Ethnic Groups
[264] 논문 Differential Y-chromosome Anatolian influences on the Greek and Cretan Neolithic
[265] 논문 In search of geographical patterns in European mitochondrial DNA
[266] 논문 Tracing European founder Lineages in the Near Eastern mtDNA pool
[267] 논문 Mitochondrial DNA variation of modern Tuscans supports the Near Eastern origin of Etruscans
[268] 논문 Analysis and Application of European Genetic Substructure Using 300 K SNP Information
[269] 논문 Human genomic diversity in Europe: a summary of recent research and prospects for the future
[270] 논문 A genetic history of the Balkans from Roman frontier to Slavic migrations https://reich.hms.ha[...] 2023-12-07
[271] 논문 Genetics of the peloponnesean populations and the theory of extinction of the medieval peloponnesean Greeks 2017
[272] 논문 Genetic history of the population of Crete 2019
[273] 논문 Assessing temporal and geographic contacts across the Adriatic Sea through the analysis of genome-wide data from Southern Italy https://www.biorxiv.[...] 2022-03-01
[274] 논문 Ancient DNA reveals admixture history and endogamy in the prehistoric Aegean 2023
[275] harvard
[276] harvard
[277] 서적 Architecture of Minoan Crete: Constructing Identity in the Aegean Bronze Age University of Texas Press
[278] 서적 The Ahhiyawa Texts Brill
[279] 웹사이트 Statistics of Democide http://www.hawaii.ed[...] 2006-10-04
[280] 뉴스 Young, gifted and Greek: Generation G – the world's biggest brain drain https://www.theguard[...] 2015-01-19
[281] 뉴스 Greece's young: Dreams on hold as fight for jobs looms https://www.bbc.co.u[...] 2013-05-29
[282] 뉴스 Greeks seek to escape debt crisis abroad https://www.reuters.[...] 2011-10-28
[283] 서적 Immigration and Asylum: From 1900 to the Present https://books.google[...] Books.google.co.uk
[284] 웹사이트 www.eurfedling.org http://www.eurfedlin[...]
[285] 웹사이트 Information from the 2001 Census: The Census recorded 762.191 persons normally resident in Greece and without Greek citizenship, constituting around 7% of total population. Of these, 48.560 are EU or EFTA nationals; there are also 17.426 Cypriots with privileged status http://aei.pitt.edu/[...] Aei.pitt.edu
[286] 웹사이트 American FactFinder http://factfinder.ce[...] Factfinder.census.gov
[287] 웹사이트 Greece (08/09) http://www.state.gov[...] United States Department of State 2009-08-01
[288] 서적 Ethnic Groups of Europe: An Encyclopedia Abc-Clio Incorporated
[289] 웹사이트 Population, families and living arrangements in Germany https://www.destatis[...] 2013-03-14
[290] 뉴스 2071.0 - Reflecting a Nation: Stories from the 2011 Census, 2012–2013 http://www.abs.gov.a[...] 2012-06-21
[291] 웹사이트 Minority Rights Group International : Turkey : Rum Orthodox Christians http://www.minorityr[...] Minorityrights.org
[292] 웹사이트 Pontic Greek http://www.ethnologu[...] http://www.ethnologue.com/
[293] 웹사이트 Romeika - Pontic Greek (tr) http://www.karalahan[...] Karalahana.com
[294] 웹사이트 Pontic Greek (Trabzon Of dialect) - Turkish Dictionary (tr) http://www.karalahan[...] Karalahana.com
[295] 웹사이트 Ethnic Origin (264), Single and Multiple Ethnic Origin Responses (3), Generation Status (4), Age Groups (10) and Sex (3) for the Population in Private Households of Canada, Provinces, Territories, Census Metropolitan Areas and Census Agglomerations, 2011 National Household Survey http://www12.statcan[...] 2014-01-13
[296] 서적 'Eastern Europe at the end of the 20th century', Ian Jeffries, p. 69 https://books.google[...] 2002
[297] 웹사이트 Демоскоп Weekly - Приложение. Справочник статистических показателей http://demoscope.ru/[...] Demoscope.ru
[298] 웹사이트 http://perepis2002.r[...]
[299] 웹사이트 2001 census http://2001.ukrcensu[...]
[300] 웹사이트 Grecia Salentina official site (in Italian). http://www.greciasal[...] www.greciasalentina.org.org
[301] 서적 Minoranze etniche e linguistiche https://books.google[...] Bios
[302] 웹사이트 Hellenic Republic Ministry of Foreign Affairs, Greece and sub-Saharan African Countries Bilateral Relations? http://old.mfa.gr/en[...] Old.mfa.gr
[303] 웹사이트 The Greek Community
[304] 웹사이트 http://www.mfa.gr/ww[...]
[305] 웹사이트 Hellenic Republic Ministry of Foreign Affairs, Argentina, The Greek Community http://www.mfa.gr/ww[...]
[306] 웹사이트 Migraciones europeas minoritarias http://www.espejodel[...] Espejodelperu.com.pe
[307] 웹사이트 http://ecodata.minec[...]
[308] 웹사이트 Greeks in Georgia http://www.eurominor[...] Eurominority
[309] 웹사이트 Greek community of Sweden http://www.mfa.gr/ww[...]
[310] 웹사이트 Ethnodemographic situation in Kazakhstan http://www.ide.go.jp[...]
[311] 웹사이트 Switzerland http://www.mfa.gr/ww[...] www.mfa.gr
[312] 웹사이트 GREEKS IN UZBEKISTAN - Central Asia-Caucasus Institute Analyst http://www.cacianaly[...] www.cacianalyst.org
[313] 웹사이트 Recensamant Romania 2002 : Articole InfoAfaceri : ClubAfaceri.ro http://www.clubaface[...] www.clubafaceri.ro
[314] 서적 The Ethnic Minorities of Armenia
[315] 웹사이트 Austria: The Greek Community http://www.mfa.gr/ww[...] Hellenic Republic: Ministry of Foreign Affairs
[316] 웹사이트 Kozponti Statisztikai Hivatal http://www.ksh.hu/do[...] Ksh.hu 2014-03-01
[317] 웹사이트 (제목 없음) http://www.nsi.bg/Ce[...] 2014-03
[318] 웹사이트 GUS - Główny Urząd Statystyczny - Demographic Yearbook of Poland 2012 http://www.stat.gov.[...] 2012-12-04
[319] 웹사이트 Ministry of Foreign Affairs http://www.mfa.gr/ww[...] 2014-03
[320] 웹사이트 Štatistický úrad SR :: Home http://portal.statis[...] Portal.statistics.sk 2014-03-01
[321] 서적 ビザンツ 幻影の世界帝国 新潮社選書メチエ
[322] 서적 ビザンツ帝国 岩波書店
[323] 서적 生き残った帝国ビザンティン 講談社学術文庫
[324] 서적 The New Penguin History of the World https://archive.org/[...] Penguin
[325] 백과사전 The Greeks Encyclopedia Britannica Inc.
[326] 서적 The Medieval Greek Romance https://archive.org/[...] Routledge
[327] 웹사이트 CIA 세계 팩트북 on Greec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