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나데즈다 크룹스카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나데즈다 크룹스카야는 러시아 혁명가이자 교육자로, 블라디미르 레닌의 아내이다. 1869년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태어나 마르크스주의 연구 서클에서 레닌을 만나 1898년 결혼했다. 유럽 망명 생활 중 공산당 창립에 헌신했으며, 1917년 2월 혁명 이후 교육인민위원회 위원으로 임명되어 교육 개혁에 기여했다. 레닌 사후에는 스탈린과 대립했으며, 1939년 사망했다. 그녀는 교육 이론과 소련 도서관 시스템 발전에 기여했으며, 유네스코 문해력상, 초콜릿 브랜드, 소행성 이름 등에 그녀의 이름이 사용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소련의 미해결 살인 사건 - 세르게이 키로프
    세르게이 키로프는 1886년 러시아에서 태어나 볼셰비키 혁명에 참여하고 스탈린의 측근으로 활동하다가 1934년 암살당한 소련의 정치인이다.
  • 소련의 미해결 살인 사건 - 발레리 보로닌
    발레리 보로닌은 FC 토르페도 모스크바와 소련 축구 국가대표팀에서 활약하며 1960년대 소련 축구의 아이콘으로, 뛰어난 전술 이해도와 활동량, 민첩성을 바탕으로 팀의 중원을 지휘, 1964년과 1965년 소비에트 올해의 축구 선수로 선정되었으나, 선수 생활 후 교통사고 후유증과 알코올 의존증으로 힘든 시간을 보내다 44세의 나이에 의문사한 소련의 축구 선수이다.
  • 러시아의 제1차 세계 대전 관련자 - 알렉산드르 케렌스키
    알렉산드르 케렌스키는 러시아 혁명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 변호사이자 정치인으로, 임시 정부의 총리를 지냈으나 10월 혁명으로 실각하여 망명했다.
  • 러시아의 제1차 세계 대전 관련자 - 이오시프 스탈린
    이오시프 스탈린은 소비에트 연방의 독재자이자 소련 공산당 지도자로서, 소련의 산업화와 2차 세계 대전 승리를 이끌었지만 대숙청과 공포 정치로 수백만 명의 희생을 초래했으며, 그의 통치와 유산은 오늘날까지도 논쟁의 대상이다.
  • 소련의 저술가 - 옐레나 본네르
    옐레나 본네르는 소련과 러시아의 인권 운동가이자 반체제 인사로, 핵물리학자 안드레이 사하로프의 아내로서, 프라하의 봄을 계기로 인권 운동에 투신하여 모스크바 헬싱키 그룹 창립 멤버로 활동하고, 사하로프 사후에도 인권 운동을 지속하며 푸틴 정권 비판 등 적극적인 활동을 펼쳤다.
  • 소련의 저술가 - 안드레이 사하로프
    안드레이 사하로프는 소련의 물리학자이자 인권 운동가로서 수소폭탄 개발에 기여했으나 핵실험의 위험성을 경고하고 인권 문제를 비판하며 반체제 활동을 펼쳤으며, 핵무기 감축과 민주주의 확산을 주장하고 인권 운동에 기여한 공로로 노벨 평화상을 수상, 페레스트로이카 시대에는 소련 민주화에 기여했다.
나데즈다 크룹스카야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1890년대의 크룹스카야
1890년대의 크룹스카야
본명나데즈다 콘스탄티노브나 크룹스카야
출생'구력 1869년 2월 26일, 신력 1869년 2월 14일'
출생지러시아 제국 상트페테르부르크
사망1939년 2월 27일
사망지소련, 러시아 SFSR, 모스크바
배우자블라디미르 레닌 (1898년 결혼, 1924년 사별)
안장지붉은 광장 묘지, 모스크바
서명
정치 경력
정당러시아 사회민주노동당 (볼셰비키) (1903년–1918년)
러시아 공산당 (1918년–1939년)
직책교육부 부인민위원
임기 시작1929년
임기 종료1939년 2월 27일
기타 정보
로마자 표기Nadezhda Konstantinovna Krupskaya

2. 생애

1869년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러시아 제국폴란드의 그로에츠 군청 장관의 집에서 태어났다. 야간 학교에서 교편을 잡으면서 참여했던 마르크스주의 사상 연구 서클에서 1894년 레닌을 알게 되었다.[22] 1896년 선동죄로 체포되었으나, 우파 유형지에서 레닌과 재회하여 1898년 7월에 결혼했다.

1900년 남편과 함께 유럽으로 망명하여, 파리, 런던, 제네바, 핀란드 등지를 다녔다. 독일에서 잡지 『이스크라』(불꽃)를 발행했고, 공산당 창립에 헌신했다.

레닌과 함께 (1919년)


1917년 2월 혁명으로 러시아 황제 니콜라이 2세가 퇴위한 후, 남편과 함께 페테르부르크로 귀환했다. 10월 혁명 후, 교육인민위원회 부위원장에 임명되어 피오네르 운동 조직, 검열과 반종교 선전 등 교육 분야에서 활동했다. 특히 고의식파에 대해 엄격한 태도를 보였다.

1922년 남편 레닌이 병으로 요양에 들어가자, 정치국과 레닌 사이의 중개 역할을 했다. 그러나 그루지야 문제로 스탈린과 대립했고, 1923년 3월 5일 레닌은 스탈린에게 사과를 요구하는 편지를 보냈다. 레닌이 발작으로 의사 소통 능력을 상실한 후에도 헌신적으로 간호했다.

1924년 레닌 사후, 스탈린의 대두를 막지 못하고 지노비예프카메네프를 지지했지만, 그들의 실각 후 정치적으로 고립되었다. 1926년, 『레닌의 추억』을 발표했다.

1936년, 소련 정부의 임신 중절 재불법화에 대해 옹호했다.[55]

1939년 사망했다. 향년 70세. 공식적인 사인은 식중독이지만, 스탈린 연루설도 제기되고 있다. 유해는 붉은 광장레닌 묘 근처에 매장되었다.

2. 1. 초기 생애

나데즈다 크룹스카야는 러시아 상류 계급 출신이었지만 가난한 가정에서 태어났다. 그녀의 아버지 콘스탄틴 이그나티예비치 크룹스키(1838–1883)는 러시아 제국군 장교이자 귀족 출신으로, 어린 나이에 고아가 되었다. 그는 교육을 받고 장교로 임명되었다.[11] 그는 폴란드 임무를 수행하기 직전에 크룹스카야의 어머니와 결혼했으나, 6년간의 복무 후 상관들의 신임을 잃고 "비러시아적 활동" 혐의로 기소되어, 이후 공장 등에서 일했다. 그는 죽기 직전에 다시 장교로 임명되었다.[12]

크룹스카야의 어머니 옐리자베타 바실리예브나 티스트로바(1843–1915)는 토지가 없는 러시아 귀족의 딸이었다. 옐리자베타는 어릴 때 부모를 여의고 베스투제프 강좌에 등록했는데, 이는 당시 러시아에서 여성에게 제공되는 최고 수준의 정규 교육 과정이었다. 학위를 취득한 후, 옐리자베타는 크룹스키와 결혼하기 전까지 귀족 가문의 가정교사로 일했다.[13]

1879년 크룹스카야


교육을 잘 받은 귀족 출신 부모님을 둔 것과 하층 계급의 노동 환경에 대한 직접적인 경험은 크룹스카야의 이념적 신념 형성에 영향을 주었다.[14] 크룹스카야는 어린 시절부터 주변의 "추악한 삶"에 대한 저항 정신을 가졌다고 한다.[14]

크룹스카야의 체육관 친구인 아리아드네 티르코바는 그녀를 "키가 크고 조용한 소녀로, 신중하게 움직이고 생각하며, 이미 강한 신념을 가지고 있었다"고 묘사했다.[15] 그녀는 프린스 A. A. 오볼렌스키의 여성 체육관에 들어가기 전 잠시 두 개의 다른 중등학교에 다녔다. 오볼렌스키 체육관은 교직원 중 일부가 전 혁명가였기 때문에 다른 체육관보다 더 진보적인 교육을 제공했을 것으로 보인다.[16]

아버지의 사망 후, 크룹스카야와 그녀의 어머니는 수입을 위해 과외 수업을 했다. 크룹스카야는 어릴 때부터 교육 분야에 관심을 보였으며,[17] 특히 레프 톨스토이의 교육 이론에 매료되었다. 톨스토이의 교육 이론은 구조화되지 않고 유동적이며, 각 학생의 개인적인 발달과 교사와 학생의 관계를 중요시했다.[18] 크룹스카야는 톨스토이의 개혁 이론을 포함한 그의 많은 저작들을 연구했으며, 톨스토이는 그녀에게 지속적인 인상을 남겼다. 그녀는 "세련된 옷과 편안함에 특별한 혐오감을 가지고 있었다"고 하며,[19] 옷차림과 집, 사무실의 가구에서 항상 검소했다.

크룹스카야는 헌신적인 평생 학습자로서 여러 토론 모임에 참여했다. 이러한 모임에서 그녀는 처음으로 마르크스의 이론을 접하게 되었고, 이는 그녀의 관심을 끌어 마르크스주의 철학에 대한 심도 있는 연구를 시작하게 했다. 당시 마르크스의 저작들은 러시아 정부에 의해 금지되었기 때문에, 혁명가들이 수집하여 지하 도서관에 보관한 책들을 통해 연구해야 했다. 1890년, 그녀는 엔지니어 로버트 클라손이 조직한 마르크스주의 서클에 참여했다.[21] 이듬해, 그녀는 성인 노동자를 위한 주일학교에서 일자리를 얻었다.

2. 2. 레닌과의 결혼과 망명 생활

1894년 블라디미르 일리치 울리야노프(후에 블라디미르 레닌으로 알려짐)를 처음 만났다.[22] 마르크스주의 사상 연구 서클에서 레닌을 알게 되었는데, 그녀는 그의 연설에 감명을 받았지만, 처음에는 그의 인격에는 그렇지 않았다.[23] 레닌과 크룹스카야는 개인적인 문제에 대해 자주 이야기하지 않았기 때문에, 두 사람의 구애에 대해 알려진 것은 거의 없다.[23]

1896년 선동죄로 체포되어 페트로파블롭스크 요새에 잠시 수감되었다가, 다른 여성 수감자의 자살로 석방되었다.[24] 우파로 3년 유형을 선고받았으나, 추방되기 전 레닌으로부터 "비밀 쪽지"를 받았다.[22] 이 쪽지에는 그녀가 약혼녀라고 말하면 시베리아의 미누신스크 지역에 있는 그의 유형지에 합류할 수 있다는 내용이 담겨 있었다.[22] 크룹스카야는 레닌과 동행하도록 허락받았지만, 도착하자마자 결혼해야 했다.[25] 1898년 7월, 유형지에서 레닌과 결혼했다. 그녀의 어머니는 그녀와 함께 시베리아로 가서 1898년 5월에 레닌과 합류했다.

크룹스카야는 자서전에서 "그와 함께라면 번역과 같은 일도 사랑의 노동이었다"고 적었다.[26]

크룹스카야는 그레이브스병을 앓았던 것으로 여겨지는데,[27] 이는 생리 주기를 방해하여 레닌과 크룹스카야가 아이를 갖지 못한 이유를 설명해 줄 수 있다.[11]

1900년 레닌과 함께 유럽으로 망명하여, 파리, 런던, 제네바, 핀란드를 전전했다. 독일에서 잡지 『이스크라』(불꽃)를 발행했고, 남편과 함께 공산당 창립에 헌신했다.

2. 3. 러시아 혁명과 소련에서의 활동

1917년 2월 혁명으로 러시아 황제 니콜라이 2세가 퇴위하자, 남편 레닌과 함께 페테르부르크로 귀환했다.[30] 10월 혁명 이후, 아나톨리 루나차르스키가 이끄는 국민 교육 위원의 부국장으로 임명되어 성인 교육부인 'Vneshkol'nyi Otdel'을 담당했다. 1920년에는 교육 위원회 의장이 되었고, 1929년부터 1939년까지 부교육 위원을 역임했다.[30]

크룹스카야는 소련 교육 시스템 창설에 기여했다. 그녀는 "청소년 조직과 교육의 문제"를 강조했으며,[33] 청소년들이 교육을 받기 위해서는 책과 자료에 대한 접근성이 더 좋아야 한다고 주장했다.[34] 10월 혁명 이전에는 5년 동안 공장 노동자들을 위한 야간 수업을 제공하는 공장주를 위해 강사로 일하면서 읽기, 쓰기, 셈법, 그리고 혁명 사상을 가르쳤다.[32]

크룹스카야는 소련 도서관학 발전에도 중요한 역할을 했다. 혁명 이전 러시아 도서관은 특정 계층만 이용 가능하거나, 편향된 장서만 소장하는 등 여러 문제점을 안고 있었다. 크룹스카야는 도서관 실태 조사를 지시하고,[35] 도서관들이 협력하여 일반 대중에게 개방하도록 권장했다. 또한 사서들이 평이한 언어를 사용하고, 노동자의 요구를 파악하며, 카드 목록을 개선하도록 독려했다.[35] 그녀는 도서관 수가 적고, 장서의 질이 낮으며, 대다수 국민이 도서관 이용 방법을 모른다고 지적했다.[36]

1931년의 크룹스카야


크룹스카야는 사서 전문 학교의 필요성을 강조하며, 서구와 유사한 도서관 "세미나리" 창설을 주장했다. 그녀는 사서들이 자료 선택 이유를 이용자들에게 명확하게 설명하고, 사회주의적 가치관 교육을 제공해야 한다고 믿었다.[37]

1922년 남편 레닌이 병으로 요양에 들어가자, 크룹스카야는 레닌의 요청에 따라 정치국과 레닌 사이의 연락을 담당했다. 그러나 그루지야 문제로 스탈린과 갈등을 빚었고, 1923년 3월 5일 레닌은 스탈린에게 발언을 취소하거나 사과하라는 편지를 보냈다. 레닌 사후, 크룹스카야는 지노비예프카메네프를 지지했지만, 그들이 실각하면서 정치적으로 고립되었다.

크룹스카야는 피오네르 운동을 조직하고, 검열과 반종교 선전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등 교육자로서 큰 업적을 남겼다. 특히 고의식파에 대해 "부농 계급과의 투쟁은 곧 고의식파와의 투쟁이다(борьба с кулачеством есть одновременно борьба со старообрядчествомru)"라는 테제를 내세울 정도로 강경한 입장을 취했다.

2. 4. 말년과 사망

1924년 남편 레닌의 사망 후, 스탈린이 권력을 장악하는 것을 막지 못했다. 지노비예프카메네프에게 동정적이었으나, 그들이 실각한 후 정치적으로 고립되었다.[48][6][5] 1926년, 『레닌의 추억』을 발표했다.

1936년, 소련 정부가 임신 중절을 다시 불법화한 것에 대해, 1920년 이래 중절을 줄이기 위해 일관되게 추구해 온 정책의 일부라고 주장하며 옹호했다.[55]

1929년 1월 25일부터 1939년 2월 27일 사망할 때까지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연방 교육인민위원회 부위원장 겸 중앙위원을 지냈다.

1939년 2월 27일, 소비에트 연방 모스크바에서 70세로 사망했다. 크룹스카야는 70세 생일 다음 날 사망했으며, 유해는 크레믈린 벽 묘지에 안장되었다. 공식적인 사인은 식중독이었는데, 70세 생일 파티에 보내진 케이크를 먹은 후 몸이 안 좋아져 병원으로 이송되었지만, 의식을 회복하지 못한 채 사망했다. 생일 파티 참석자 중 크룹스카야 외에 "식중독"에 걸린 사람이 없었기 때문에 스탈린의 연루를 의심하는 설도 제기되고 있다.[7]

스탈린의 비서 알렉산드르 포스크레비셰프는 스탈린이 크룹스카야의 생일 축하 행사에서 그녀를 독살하라고 명령했다고 주장했다.[48][6] 라자르 카가노비치 전 정치국 위원이자 스탈린의 측근 역시 라브렌티 베리야가 크룹스카야의 독살에 관여했을 가능성을 제기하며, 1991년 "그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그랬을지도 모른다."라고 말했다고 전해진다.[5]

반면, 작가 루이지 조야는 스탈린이 이전에 크룹스카야에게 생일 케이크를 보냈었고, 케이크를 먹었던 다른 손님들은 아무런 영향을 받지 않았다는 점을 들어 독살 주장을 반박했다.[49] 슈테판 토마스 포소니는 그녀가 독이 든 커피를 마셨을 수도 있다고 주장했다.[50] 아르카디 바크스베르크는 독이 든 케이크 소문보다는, 몇 시간 동안 늦어진 의료 처치가 의혹을 불러일으켰다고 주장했다. 그는 또한 그녀의 신체적 증상이 독살 의혹이 있는 또 다른 희생자인 파벨 알릴루예프의 증상과 유사했다고 주장했다.[51]

3. 정치 활동

크룹스카야는 볼셰비키에서 단순한 관료 이상의 역할을 수행했다.[29] 레프 트로츠키는 자신의 자서전에서 크룹스카야가 러시아 사회 민주 노동당과 그 신문인 이스크라의 일상 업무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했다고 기록했다. 그는 크룹스카야가 조직 업무 전반을 담당하며, 동지들을 맞이하고 지시를 내리며, 비밀 연락을 담당했다고 묘사했다.[29]

크룹스카야, 블라디미르 레닌, 레닌의 고양이, 그리고 미국의 저널리스트 링컨 유레, 크렘린, 1920년

3. 1. 초기 정치 활동

나데즈다 크룹스카야는 정치 활동에 매우 적극적이었다. 1903년부터 볼셰비키 분파에서 단순한 관료 이상의 역할을 수행했다.

레프 트로츠키는 1902년부터 1903년까지 블라디미르 레닌과 크룹스카야와 긴밀히 협력했으며, 자신의 자서전 《나의 생애》(1930년)에서 크룹스카야가 러시아 사회 민주 노동당(RSDLP)과 그 신문인 《이스크라》의 일상 업무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했다고 기록했다. 트로츠키는 "편집 위원회의 비서는 [레닌의] 아내였다 [...] 그녀는 모든 조직 업무의 중심에 있었고, 동지들이 도착하면 그들을 맞이하고, 떠날 때 지시를 내리고, 연결을 구축하고, 비밀 주소를 제공하고, 편지를 쓰고, 서신을 암호화하고 해독했다. 그녀의 방에는 비밀 편지를 읽기 위해 불에 데운 종이 타는 냄새가 항상 났다..."라고 썼다.[29]

크룹스카야는 1905년 중앙위원회 비서가 되었고, 같은 해 러시아로 돌아왔지만, 1905년 혁명이 실패한 후 다시 프랑스로 떠나 몇 년 동안 교사로 일했다.

3. 2. 볼셰비키 혁명 참여

크룹스카야는 1903년부터 볼셰비키 당원으로 활발하게 활동했다. 단순한 당원을 넘어, 레프 트로츠키는 자신의 자서전 《나의 생애》(1930년)에서 크룹스카야가 러시아 사회 민주 노동당(RSDLP)과 당 기관지 《이스크라》의 일상 업무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했다고 기록했다. 트로츠키는 "편집 위원회의 비서는 [레닌의] 아내였다 [...] 그녀는 모든 조직 업무의 중심에 있었고, 동지들이 도착하면 그들을 맞이하고, 떠날 때 지시를 내리고, 연결을 구축하고, 비밀 주소를 제공하고, 편지를 쓰고, 서신을 암호화하고 해독했다. 그녀의 방에는 비밀 편지를 읽기 위해 불에 데운 종이 타는 냄새가 항상 났다..."라고 묘사했다.[29]

1905년, 크룹스카야는 중앙 위원회 비서가 되었다. 같은 해 러시아로 귀국했지만, 1905년 혁명이 실패로 돌아가자 다시 프랑스로 떠나 그곳에서 교사로 일했다.

3. 3. 소련 정부 내 역할

러시아 혁명 이후, 나데즈다 크룹스카야는 아나톨리 루나차르스키가 이끌던 국민 교육 위원의 부국장으로 임명되어 성인 교육을 담당했다.[30] 1920년에는 교육 위원회 의장이 되었으며, 1929년부터 1939년 그녀가 사망할 때까지 부 교육 위원(정부 장관)을 역임했다.

크룹스카야는 소련 교육 시스템의 창설에 기여했으며, 소련 도서관학의 발전에도 중요한 역할을 했다.

1924년 소련 공산당 중앙위원회 위원이 되었고, 1927년에는 통제 위원회 위원, 1931년에는 최고 소비에트 위원이 되는 등 정치적으로도 활발하게 활동했다.

3. 4. 스탈린과의 갈등

블라디미르 레닌이 1924년 1월 사망한 후, 크룹스카야는 당내 권력 투쟁에서 그리고리 지노비예프레프 카메네프의 정치적 입장에 동조했다. 이들은 레온 트로츠키가 이끄는 좌익 반대파, 스탈린이 이끄는 "중심파", 니콜라이 부하린이 이끄는 우익 반대파 중 스탈린에 대항하는 입장이었다.[40] 1922년부터 1925년까지 지노비예프와 카메네프는 트로츠키의 좌익 반대파에 대항하여 스탈린과 일시적 동맹을 맺었으나, 이후 결별했다. 크룹스카야는 1925년 트로츠키의 논문 ''10월의 교훈''에 대한 논쟁적인 답변에서 "맑스주의적 분석은 결코 트로츠키 동지의 강점이 아니었다"고 비판하며, 일국 사회주의 대 영구 혁명에 대한 논쟁에서 트로츠키가 "농민의 역할을 과소평가한다"고 주장했다.[41]

1925년 말, 스탈린과 지노비예프, 카메네프 간의 동맹이 깨지자, 크룹스카야는 공개적으로 스탈린에 반대하며 지노비예프와 카메네프를 지지했다. 1926년 초에는 트로츠키의 좌익 반대파와 동맹을 맺어 연합 반대파를 형성했다.[42] 그러나 스탈린의 권력이 강화되면서, 1927년 12월 제15차 당대회에서 스탈린은 크룹스카야가 반대파를 포기했다고 발표했다.

1930년, 크룹스카야는 다시 스탈린에 반대하며 니콜라이 부하린알렉세이 리코프 등 우익 반대파 지도자들을 옹호하는 연설을 했다. 니키타 흐루쇼프는 당시 상황을 회고하며 "어떠한 홍보도 없이, 그녀를 곤경에 빠뜨리라는 말이 당내에 퍼졌다... 모두가 그녀에게 반대하기 시작했을 때 이러한 회의에서 그녀를 지켜보는 것은 씁쓸한 일이었다. 나는 그녀를 망가진 늙은 여성으로 기억한다."라고 말했다.[43] 흐루쇼프는 또한 스탈린이 크룹스카야의 지위를 박탈하고 다른 여성을 "레닌의 미망인"으로 임명하겠다고 위협했다고 주장했다. 알렉산드르 오를로프는 새로운 '미망인'이 옐레나 스타소바가 될 것이라고 주장했고,[44] 또 다른 소문은 로잘리아 젬리야치카가 될 것이라는 것이었다.[43]

크룹스카야는 1937년 2월 중앙위원회에서 니콜라이 부하린알렉세이 리코프의 제명에 찬성표를 던졌지만,[46] 다른 경우에는 숙청 대상자들을 옹호하려 노력했다. 1937년 6월 중앙위원회에서 오시프 피아트니츠키의 체포에 반대했지만 실패했다.[47]

4. 교육 이론과 업적

크룹스카야는 어릴 때부터 교육에 관심이 많았으며, 레프 톨스토이의 교육 이론에 영향을 받았다.[17] 톨스토이는 학생 개개인의 발달과 교사와 학생 간의 관계를 중요하게 생각했다.[18] 크룹스카야는 톨스토이의 검소한 생활 방식을 본받아 평생 검소하게 살았다.[19] 이후 마르크스주의를 접하고, 이를 교육 이론에 접목하려 노력했다.

러시아 혁명 이후, 크룹스카야는 국민 교육 위원에서 아나톨리 루나차르스키를 도와 성인 교육을 담당했다.[30] 1920년에는 교육 위원회 의장이 되었고, 1929년부터 1939년까지 부교육 위원을 역임하며 소련 교육 시스템의 기초를 다지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크룹스카야는 혁명 이전 5년간 공장 노동자들을 위한 야간 학교에서 읽기, 쓰기, 셈법 등을 가르치기도 했다.[32] 혁명 이후에는 청소년 교육과 도서 자료 접근성 향상을 강조했다.[33][34] 크룹스카야는 도서관 실태 조사를 지시하고, 도서관 간 협력과 대중 개방을 장려했다.[35] 또한, 사서 전문성 향상을 위해 서구식 도서관 "세미나리" 설립을 주장했다.[37] 크룹스카야는 교육과 도서관을 통해 모든 개인이 더 나은 삶을 살 수 있도록 돕는 것을 목표로 했다.[38]

4. 1. 교육 이론

크룹스카야는 어릴 때부터 교육 분야에 관심을 보였으며, 특히 레프 톨스토이의 교육 이론에 매료되었다.[17] 톨스토이의 교육 이론은 구조화되지 않고 유동적이며, 각 학생의 개인적인 발달에 초점을 맞추고 교사와 학생의 관계를 중요시했다.[18] 크룹스카야는 톨스토이의 개혁 이론을 포함한 그의 저작들을 연구했다. 톨스토이는 검소한 생활을 강조했는데, 이는 크룹스카야에게 지속적인 영향을 주어 평생 옷차림, 집, 사무실 가구 등에서 검소함을 유지하게 했다.[19]

이후 크룹스카야는 여러 토론 모임에 참여하면서 카를 마르크스의 이론을 접하고, 마르크스주의 철학을 심도 있게 연구했다.

4. 2. 교육 개혁

러시아 혁명 이후, 크룹스카야는 아나톨리 루나차르스키가 이끌던 국민 교육 위원의 부국장으로 임명되어 성인 교육부를 담당했다.[30] 1920년에는 교육 위원회 의장이 되었고, 1929년부터 1939년까지 부교육 위원을 역임하며 소련 교육 시스템의 기초를 다졌다.

크룹스카야는 10월 혁명 이전, 공장 노동자들을 위한 야간 학교에서 5년간 읽기, 쓰기, 셈법 등을 가르쳤다.[32] 혁명적인 사상을 가진 학생들을 가르치기도 했으나, 노동자들의 파업 이후 해임되었다.[32] 혁명 이후에도 청소년 교육과 도서 자료 접근성 향상을 강조했다.[33][34]

혁명 이전 러시아 도서관들은 특정 계층만 이용할 수 있거나, 소장 자료가 편향적인 경우가 많았다. 대중의 낮은 문맹률도 문제였다. 혁명 이후에도 도서관 문제는 한동안 계속되었는데, 자료 부족, 낮은 사서 급여, 도서관 재조직 필요성 등이 있었다.

크룹스카야는 도서관 실태 조사를 지시하고, 도서관 간 협력과 대중 개방을 장려했다.[35] 사서들에게는 평이한 언어 사용과 노동자들의 요구 파악을 권장했다. 카드 목록 개선 위원회도 구성했다. 그녀는 도서관 수가 턱없이 부족하고, 장서의 질도 열악하며, 대다수 인구가 도서관 이용법조차 모른다고 지적했다.[36]

크룹스카야는 사서 전문성 향상을 위해 서구식 도서관 "세미나리" 설립을 주장했다. 사서들은 자료의 적합성과 이용자의 이해 능력을 판단하도록 교육받았다.[37] 또한, 이용자들에게 자료 선택 이유를 명확히 설명하고, 사회주의적 가치를 교육하는 기회로 삼아야 한다고 강조했다.[37]

크룹스카야는 교육과 도서관을 통해 모든 개인이 더 나은 삶을 살 수 있도록 돕는 것을 목표로 했다.[38]

4. 3. 도서관 발전 기여

10월 혁명 이후, 크룹스카야는 청소년 조직과 교육 문제에 집중했다.[33] 교육을 위해서는 책과 자료에 대한 접근성이 더 좋아야 했다.[34] 혁명 이전 러시아 도서관은 특정 계층만 이용할 수 있었고, 소장 도서도 한정적이었다. 대중의 낮은 문맹률도 문제였다.

혁명 직후 도서관 상황은 나아지지 않았다. 노동 조합은 여전히 일반 대중의 도서관 이용을 제한했고, 도서 구매 자금도 부족했으며, 기존 도서는 낡아 있었다. 낮은 수입 때문에 도서관 사서 직업에 대한 관심도 낮았고, 도서관 재조직이 시급했다.

크룹스카야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도서관 실태 조사를 지시했다.[35] 그녀는 도서관들이 서로 협력하고 일반 대중에게 개방하도록 장려했다. 사서들이 이용자와 소통할 때 쉬운 언어를 사용하고, 노동자의 요구를 파악하여 어떤 책을 비치하고 어떤 주제에 관심을 갖는지 알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한 카드 목록을 개선하기 위한 위원회도 구성했다.

크룹스카야는 도서관 회의에서 "도서관 수가 턱없이 부족하고, 책은 그보다 더 형편없습니다. 질도 끔찍하며, 대다수 인구는 도서관을 이용하는 방법은커녕 도서관이 무엇인지조차 모릅니다."라고 말했다.[36]

크룹스카야는 더 나은 사서 전문 학교가 필요하다고 생각했다. 혁명 이전 러시아에는 사서 교육이 부족했고, 20세기에 들어서야 시작되었다. 크룹스카야는 현직 사서가 예비 사서에게 직업 기술을 가르치는 도서관 "세미나"를 만들자고 제안했다. 사서는 자료가 이용자에게 적합한지, 그 내용을 이해할 능력이 있는지 판단하도록 교육받았다.[37]

또한 크룹스카야는 사서들이 더 나은 언어 및 글쓰기 능력을 갖추어 특정 자료가 왜 더 나은지 이용자에게 명확하게 설명해야 한다고 생각했다. 그녀는 자료 선택에 대한 설명은 사서의 의무가 아니라 사회주의적 가치를 교육할 기회라고 믿었다. 사서는 혁명을 촉진하고 사회주의 국가의 가치를 보존하는 역할을 해야 했다.[37]

크룹스카야는 모든 개인이 더 나은 삶을 살 수 있도록 교육과 도서관을 활용해야 한다고 믿는 헌신적인 마르크스주의자였다. 그녀에게 교육은 삶의 만족을 위한 것이었고, 교육과 도서관 시스템은 그 도구였다.[38]

5. 유산

크룹스카야는 소련의 교육 체계를 발전시키고 문맹 퇴치에 크게 기여했다. 그녀의 노력은 소련 사회 전반에 걸쳐 지식 수준을 향상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특히, 성인 교육과 여성 교육에 대한 그녀의 헌신은 당시 사회적 약자들의 교육 기회를 확대하는 데 이바지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레닌의 배우자이자 정치적 동지로서, 크룹스카야는 볼셰비키 혁명과 소련 건국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그녀의 정치적 영향력은 소련 초기 정치와 사회 정책 형성에 큰 영향을 미쳤다.

5. 1. 교육 분야

유네스코는 나데즈다 크룹스카야의 이름을 따서 유네스코 나데즈다 K. 크룹스카야 문해력상을 제정했다.[54]

5. 2. 문화 분야


  • 레닌그라드의 한 초콜릿 공장이 그녀의 이름을 따서 '''크룹스카야'''로 개명되었다. '크룹스카야 초콜릿' 브랜드는 오늘날까지 존재한다.[52]
  • 1971년 소련 천문학자 타마라 미하일로브나 스미르노바가 발견한 소행성 2071 나데즈다는 그녀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53]
  • 영화 감독 마르크 돈스코이는 1974년에 그녀의 전기 영화 《나데즈다》를 제작했다.
  • 1974년 BBC 제작의 《이글스의 몰락》에서 크룹스카야는 린 파를리가 연기했다.
  • 1974년, 제인 반스 케이시는 그녀의 삶에 대한 허구적 회고록 《나, 크룹스카야: 레닌과의 나의 삶》을 썼다.
  • 유네스코는 그녀의 이름을 따서 유네스코 나데즈다 K. 크룹스카야 문해력상을 제정했다.[54]
  • 1997년, 헬레네 반나리가 하르디 볼머 감독의 에스토니아 역사 코미디 《나의 모든 레닌》에서 크룹스카야를 연기했다.

6. 저서

크룹스카야는 교육과 레닌에 대한 회고록 등 다양한 저서를 남겼다. 대표적인 영어 저서는 다음과 같다.


  • ''레닌에 대한 회상.'' (뉴욕: 국제 출판사, 1930) – ''레닌 회고록''으로 재발행.
  • ''교육에 관하여: 선별된 논문과 연설.'' (모스크바: 외국어 출판사, 1957)


이 외에도 일본어로 번역된 크룹스카야의 저서가 다수 있으며, 한국어 번역본 목록에서 확인할 수 있다.

6. 1. 한국어 번역본

다음은 한국어로 번역된 나데즈다 크룹스카야의 저서 및 관련 서적 목록이다.

제목번역자출판사출판 연도
레닌의 추억 1-3오카바야시 타츠오총문각1930-1932
옛날의 레닌 (크룹스카야의 "추억")오카바야시 타츠오 편나우카사1950
국민 교육과 민주주의카츠타 쇼지이와나미 문고1954
레닌의 추억우츠미 슈헤이아오키 문고1954
국민 교육론카츠타 쇼지메이지 도서 출판1960
사랑과 혁명의 영상, 레닌의 추억카토 큐이치로아오키 서점1964
가정 교육론사카키 토시오, 사카키 후지코 편역아오키 문고1964
크룹스카야 선집 제1권: 학생의 자치와 집단주의야가와 토쿠미츠메이지 도서 출판1969
크룹스카야 선집 제2권: 교외 활동과 집단주의사사지마 유지로, 무라야마 시로메이지 도서 출판1969
크룹스카야 선집 제3권: 유아 교육과 집단주의이가라시 아키라, 나오이 히사코, 오가와 후지에메이지 도서 출판1969
크룹스카야 선집 제4권: 교사 집단과 집단주의타케다 마사나오, 이시이 이쿠코, 나가에 요시미치메이지 도서 출판1969
크룹스카야 선집 제5권: 사회주의와 교육학야가와 토쿠미츠메이지 도서 출판1972
크룹스카야 선집 제6권: 국민 교육과 주민의 참가무라야마 시로메이지 도서 출판1974
크룹스카야 선집 제7권: 국민 교육과 민주주의이가라시 아키라, 에비하라 하루카, 이이노 세츠오메이지 도서 출판1976
크룹스카야 선집 제8권: 부인의 해방과 교육이시이 이쿠코, 세키 케이코메이지 도서 출판1976
크룹스카야 선집 제9권: 교육 내용과 교과서사사지마 유지로, 무라야마 시로메이지 도서 출판1978
크룹스카야 선집 제10권: 폴리테크니즘과 교육이치키 츠토무 외메이지 도서 출판1978
유아 교육에 관하여소노베 시로신독서사1969
레닌에 관하여타카하시 카츠유키신일본출판사1970
레닌의 추억마츠모토 시게루, 후지카와 사토루오츠키 서점1970
아동 교육론사카키 토시오 편역아오키 문고1978
러시아 혁명의 교육 사상 (공저)에비하라 하루카 역저메이지 도서 출판1984
청소년의 교육이쥬인 토시타카 외신독서사1991
인간 레닌 (스탈린 공저)우류 노부오 역희망각1928
레닌 (세계인 전기총서 제3권)오타케 히로키치 역춘양당1931
레닌에 관하여일본 공산당 중앙위원회 선전 교육부 역일본 공산당 중앙위원회 기관지 경영국1961


참조

[1] 문서 Scientific transliteration of Cyrillic
[2] 문서 McNeal
[3] 서적 Encyclopedia of Russian Women's Movements https://books.google[...] Greenwood Publishing Group 2001
[4] 서적 Education and Social Mobility in the Soviet Union 1921–1934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2
[5] 서적 Toxic Politics: The Secret History of the Kremlin's Poison Laboratory – from the Special Cabinet to the Death of Litvinenko https://books.google[...] ABC-CLIO 2011
[6] 서적 The Corporation. Russia and the KGB in the Age of President Putin Encounter Books 2009
[7] 서적 Writings of Leon Trotsky https://archive.org/[...] Pathfinder Press 1975–1979
[8] 서적 The Perversion of Knowledge: The True Story of Soviet Science https://books.google[...] Basic Books 2009
[9] 서적 The Time of Stalin: Portrait of a Tyranny https://books.google[...] Harper & Row 1983
[10] 서적 Reinterpreting Revolutionary Russia: Essays in Honour of James D. White https://books.google[...] Springer 2006
[11] 논문 Nadezhda Konstantinovna Krupskaya: A flower in the dark ProQuest Dissertations Publishing 1996
[12] 문서 McNeal
[13] 문서 McNeal
[14] 서적 Lenin and Krupskaja Workers Library Publishers, Inc. 1940
[15] 문서 McNeal
[16] 문서 McNeal
[17] 간행물 Nadezhda Konstantinovna Krupskaya 1994-01-01
[18] 웹사이트 Tolstoy, Leo http://search.eb.com[...] 2008-03-21
[19] 문서 McNeal
[20] 간행물 Memories of Nadezhda Krupskaya 1989-01-01
[21] 웹사이트 Robert Eduardovich Klasson https://encyclopedia[...] 2021-04-27
[22] 웹사이트 Nadezhda Konstantinovna Krupskaya https://www.britanni[...] Encyclopædia Britannica 2016-07-26
[23] 서적 Bolshevik Women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7
[24] 서적 Memories of Krupskaya Panther 1970
[25] 논문 Nadezhda Konstantinovna Krupskaya: A flower in the dark ProQuest Dissertations Publishing 1996
[26] 서적 Reminiscences of Lenin https://archive.org/[...] Foreign Language Publishing House 1959
[27] 서적 Conspirator Hutchinson 2009
[28] 서적 Reminiscences of Lenin https://archive.org/[...] Foreign Language Publishing House 1959
[29] 웹사이트 'My Life', Chapter XII: The Party Congress and the Split https://www.marxists[...] Pathfinder Press 2016-02-26
[30] 서적 The Commissariat of Enlightenment: Soviet Organization of Education and the Arts under Lunacharsky, October 1917–1921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2
[31] 웹사이트 Sylvia Ageloff and the assassination of Leon Trotsky https://www.wsws.org[...] 2021-02-06
[32] 문서 Raymond
[33] 문서 McNeal
[34] 문서 Raymond
[35] 서적 Part two : Krupskaia on libraries Archon Books 1968
[36] 문서 Raymond
[37] 논문 The Origin of Soviet Education for Librarianship: The Role of Nadezhda Konstantinovna Krupskaya (1869–1939), Lyubov' Borisovna Khavkina-Hamburger (1871–1949) and Genrietta K. Abele-Derman (1882–1954) http://polaris.gseis[...]
[38] 문서 Raymond
[39] 서적 The Conscience of the Revolution, Communist Opposition in Soviet Russia Simon & Schusterf 1969
[40] 서적 The Conscience
[41] 웹사이트 Nadezhda K. Krupskaya. The Lessons of October http://www.marxists.[...] 1925-05-00
[42] 웹사이트 Red Book (Chap. 11) http://www.marxists.[...] 1936-10-00
[43] 서적 Khrushchev Remembers Sphere 1971
[44] 서적 A Secret History of Stalin's Crimes Jarrolds 1954
[45] 웹사이트 Preface to the pamphlet "The New Law on Mother and Child" http://www.marxists.[...] 1936-00-00
[46] 서적 The Road to Terror: Stalin and the Self-Destruction of the Bolsheviks, 1932–1939 Yale U.P. 1999
[47] 서적 Let History Judge, The Origins and Consequences of Stalinism Spokesman 1976
[48] 서적 Toxic Politics: The Secret History of the Kremlin's Poison Laboratory from the Special Cabinet to the Death of Litvinenko ABC-Clio
[49] 서적 Paranoia: The madness that makes history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2017
[50] 서적 Lenin: The Compulsive Revolutionary https://books.google[...] 1964
[51] 서적 Toxic Politics: The Secret History of the Kremlin's Poison Laboratory – from the Special Cabinet to the Death of Litvinenko https://books.google[...] ABC-CLIO 2011
[52] 뉴스 The Soviet chocolate named after Lenin's widow https://www.theguard[...] 2010-01-27
[53] 서적 Dictionary of Minor Planet Names Springer Verlag
[54] 웹사이트 Winners of the Mohammad Reza Pahlavi Priza and the Nadezhda K. Krupskaya Prize http://unesdoc.unesc[...]
[55] 웹사이트 パンフレット「母子に関する新法」序文 http://www.marxists.[...] 1936-00-0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