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문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문해는 읽고 쓰는 능력을 의미하며, 개인의 사회 참여와 경제 발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1998년 UN에 따르면 세계 인구의 약 20%가 문맹이었으나, 2007년 CIA는 세계 문해율을 약 82%로 보고했다. 산업 혁명 이후 의무 교육의 시행으로 문해율이 상승했으며, 유네스코는 세계 문해의 날을 지정하여 문해율 향상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문해력은 경제적 자립과 국가 경제 발전에 기여하며, 문해 교육은 학교를 통해 이루어진다. 문해는 인권으로 간주되며, 성별, 사회경제적 요인, 건강 등에 영향을 미친다. 아시아, 아프리카 등 지역별 문해율 격차가 존재하며, 개인의 평생 발달과 개발 지표로 활용된다. 문해 능력은 사회 변화에 필수적이며, 유럽 선언을 통해 문해 능력 습득의 권리를 강조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문해 - 과학 문해
    과학 문해는 개인의 의사 결정과 사회 활동 참여, 경제적 생산성에 필요한 과학적 이해 능력을 의미하며, 허위 정보 대응 및 지구 환경 문제, 사회 정의와 관련된 시민 과학 문해의 중요성이 강조된다.
  • 문해 - 건강 리터러시
    건강 리터러시는 건강 정보를 이해하고 활용하여 건강한 삶을 유지하는 능력으로, 개인의 건강 상태, 언어 장벽, 문화적 적절성 등 여러 요인들의 영향을 받으며 환자 안전 및 치료 결과에 영향을 미쳐 다양한 주체들의 개선 노력이 필요한 사회적 결정 요인이다.
  • 응용언어학 - 대조언어학
    대조 언어학은 두 언어의 차이점을 분석하여 외국어 학습, 번역, 사전 편찬 등에 활용되는 응용 언어학의 한 분야이다.
  • 응용언어학 - 문체론
    문체론은 언어의 스타일을 연구하는 학문으로, 문장의 길이, 운율, 어휘 등을 분석하고 수사법을 통해 문학 작품의 의미와 효과를 탐구하며 사회적 맥락에서 사용되는 언어 분석으로 연구 범위를 넓혀간다.
  • 읽기 - 난독증
    난독증은 신경학적 원인으로 지능, 교육, 문화적 기회에도 불구하고 읽기, 쓰기, 철자 능력의 습득과 사용에 어려움을 겪는 특정 학습 장애이며, 음운 인식 및 해독 능력 결핍으로 읽기 정확성 및 유창성 저하, 이해력 부족, 어휘력 발달 저하 등을 초래할 수 있다.
  • 읽기 - 독해
    독해는 문자에 담긴 정보를 해독하고 이해하는 과정이며, 독자의 지식과 경험, 문장 표현 규칙에 대한 이해가 중요하고, 독해력 향상을 위해 다양한 전략과 평가 방법이 활용된다.
문해
문해 정보
정의글을 읽고 쓸 수 있는 능력
관련 용어비문해
측정문해율
영향
개인교육 기회 증가, 소득 증대, 건강 개선, 사회 참여 확대
사회경제 성장, 민주주의 발전, 사회 통합 증진
문해 교육
목표모든 사람에게 문해 능력을 갖추도록 하는 것
방법학교 교육, 성인 문해 교육 프로그램, 지역 사회 기반 학습
현황
전 세계문해율은 꾸준히 증가하고 있지만, 여전히 많은 사람들이 글을 읽고 쓸 수 없음
국가별문해율은 국가별로 큰 차이를 보임
과제
해결해야 할 과제문해 교육에 대한 투자 확대
소외 계층에 대한 문해 교육 지원 강화
양질의 문해 교육 프로그램 개발
기타
국제기구유네스코
관련 행사세계 문해의 날 (9월 8일)

2. 세계의 문해 수준

UNHD가 발표한 2007~2008년 세계 문해 수준


1998년 국제 연합 발표에 따르면, 세계 인구의 약 20%가 어떠한 언어로도 읽거나 쓸 수 없었다.[306] 2007년 미국 중앙정보부의 세계 보고서는 전 세계 문해율이 약 82% 정도라고 보고했다.[307]

유네스코는 "일상생활에서 사용되는 간단하고 짧은 문장을 이해하고 읽고 쓸 수 있는" 상태를 문해로 정의한다.[255] 문해율은 인간 개발 지수 등 많은 개발 지표의 중요한 요소이며,[256] 개발 경제학 등에서도 중요한 지표로 사용된다.

"'''비문해'''" 또는 "'''문맹'''"은 문자를 읽고 쓸 수 없는 것을 의미하며, 문해율은 기초 교육 보급 상황을 측정하는 지표로 널리 사용된다.

18세기 이후 유럽과 북아메리카에서는 산업 혁명과 근대 국가 성립에 따라 국민 교육 수준 향상이 중요해지면서 문해율이 상승했다. 20세기에 들어 산업화가 늦어진 국가들이 국민 교육에 힘쓰면서 이러한 경향은 더욱 가속화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세계 문해율은 1970년 36.6%에서 2000년 20.3%까지 감소했다.[258] 그러나 지역별, 성별 격차는 여전히 존재한다. 2000년 남성 비문해자는 14.8%였던 반면, 여성 비문해자는 25.8%였다.[259] 동아시아오세아니아에서 문해율 향상이 두드러지지만, 아프리카, 중동, 남아시아의 비문해율은 여전히 높다.

1970년2000년
전 세계79%
선진국 및 신흥공업국99%
후진국73%
내륙 개발 도상국51%



2015년 기준 문해율이 가장 낮은 국가는 아프리카 대륙의 니제르 (19.1%)이다. 기니, 부르키나파소, 중앙아프리카 공화국, 아프가니스탄, 베냉, 말리, 차드, 코트디부아르, 라이베리아 등의 국가도 문해율이 50% 미만이다.[269]

2013년 문맹률 목록

3. 경제와 문해

1992년 미국 교육통계 국립 센터에 따르면 문해율이 높을수록 주급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2003년 통계에서도 문해율이 높을수록 연 소득이 높았다.[308] 이는 교육 수준이 높으면 좋은 직업[309]을 가질 수 있기 때문으로 보인다. 문해 능력은 개인의 경제적 자립뿐만 아니라 국가 경제 발전에도 기여한다. 대한민국은 높은 교육열과 문해율을 바탕으로 경제 성장을 이루어낸 대표적인 사례이다.

4. 문해 교육

읽고 쓰는 것을 가르치는 것은 오랫동안 교육의 가장 중요한 영역 중 하나였다.[310] 오늘날 대부분의 국가에서는 학교를 통해 말하기, 듣기, 읽기, 쓰기와 같은 문해 교육을 실시한다. 대한민국에서는 '문자해득교육'이라는 용어를 사용하여, 일상생활에 필요한 기초 능력이 부족한 사람들에게 문자 해득 능력을 갖추도록 하는 교육을 의미한다.[311]

5. 현대 한국의 문맹

1954년 5월 30일 문교부, 국방부, 내무부의 발표에 따르면, 한국어 해득자가 전 한국인의 90%로 집계되었다.[64] 이는 한국전쟁 이후 대한민국 정부가 교육 재건에 힘쓴 결과이다. 대한민국은 높은 문해율을 자랑하지만, 여전히 일부 노년층이나 사회적 취약 계층에서는 문맹 문제가 존재한다.

6. 문해의 정의

1990년대 이후 비정부 기구(NGO), 싱크탱크, 옹호 단체에서 사용하는 문해력의 정의는 '개별 기술'에서 '사회적 실천'으로 변화하는 추세를 보인다.[5] 2003년 미국 성인 문해력 전국 평가(NAAL)는 문해력에 "수량적 문해력"(수리력)을 포함시켰다.[5] 2015년 유엔 통계국은 청소년 문해율을 "15~24세 인구 중 일상생활에 대한 짧고 간단한 진술을 이해하고 읽고 쓸 수 있는 비율"로 정의했다.[8] 2018년 유네스코는 문해력을 "다양한 맥락과 관련된 인쇄 및 서면 자료를 사용하여 식별, 이해, 해석, 창작, 의사소통 및 계산하는 능력"으로 정의했다.[10]

'읽기 문해력'은 초등학교 4학년 수준의 읽기 능력을 의미하며, 국제 읽기 문해력 연구(PIRLS)에서 사용된다.[18] 다중 문해력은 특히 영어 예술 커리큘럼에서 널리 사용되는데, 이는 읽기가 기술 환경에서 점점 더 많이 발생한다는 점을 반영한다.[26] 기능적 문맹은 기본적인 수준을 넘어 읽기 능력이 필요한 일상생활 및 고용 업무를 수행할 만큼 충분히 읽을 수 없는 상태를 의미한다.[45]

7. 문해의 역사적 개관

글쓰기의 역사와 교육의 역사에서 볼 수 있듯이, 문해의 역사는 필기 매체의 변화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로마 제국 붕괴 이후 유럽에서는 파피루스 수입이 중단되면서 습한 기후에 약한 파피루스 대신 양피지가 사용되었으나, 이는 매우 비싸서 교회와 부유층만 사용할 수 있었다.[75] 11세기 종이가 스페인을 통해 유럽에 도입된 후 4세기 동안 북쪽으로 서서히 확산되면서 15세기에 이르러 널리 보급되었고, 이는 문해력 부활에 큰 영향을 미쳤다.[75]

종교 개혁은 문해력과 성경을 읽는 능력의 중요성을 강조하였고, 프로테스탄트 국가들이 완전한 문해력을 달성하는 데 기여했다.[76] 계몽주의 시대에는 스웨덴이 1723년에 국민 문해력 향상 프로그램을 시행했으며,[77] 덴마크(1739년), 폴란드(1783년), 프랑스(1794/5년) 등 다른 국가들도 유사한 조치를 취했다.[77]

18세기 이후 유럽북아메리카에서는 산업 혁명과 근대 국가 성립에 따라 국민 교육 수준 향상이 중요해졌고, 국가 차원에서 의무 교육이 시행되면서 문해율이 지속적으로 상승했다. 이러한 경향은 20세기에 들어 산업화가 늦었던 아시아, 아프리카, 남아메리카 국가들까지 확산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세계 문해율은 꾸준히 향상되었다.[258] 1970년에는 전 세계 인구의 36.6%가 비문해자였지만, 2000년에는 20.3%까지 감소했다.[258] 그러나 여전히 성별, 지역별 문해율 격차가 존재한다. 2000년 기준으로 남성 비문해율은 14.8%인 반면, 여성 비문해율은 25.8%로 나타났다.[259] 지역별로는 북아메리카유럽의 문해율이 가장 높고, 동아시아, 오세아니아, 라틴 아메리카가 그 뒤를 이었다. 반면, 아프리카, 중동, 남아시아는 여전히 높은 비문해율을 보였다.[260]

1970년2000년
전 세계63%79%
선진국신흥공업국95%99%
후진국47%73%
내륙 개발 도상국27%51%



일반적으로 문해율 조사는 방법 및 비용 문제로 인해 신뢰성이 낮게 평가된다. 개발도상국에서는 국세 조사나 초등 교육 취학률을 그대로 문해율로 사용하는 경우가 많고, 선진국에서는 대부분 문해 능력을 갖춘 것으로 추정하여 조사를 하지 않거나 99%로 응답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265] 일본에서도 1948년 이후 문해율 조사가 실시되지 않고 있다.[266]

7. 1. 문자의 기원

문자는 인류 역사상 적어도 다섯 번 독립적으로 발달한 것으로 여겨진다. 메소포타미아, 이집트, 인더스 문명, 저지대 메소아메리카, 중국에서 문자가 각각 발명되었다.[69][70]

  • 메소포타미아: 기원전 3500년에서 3000년 사이에 남부 메소포타미아에서 고대 수메르인들이 문자를 발명했다. 초기 문자 시스템은 무역과 농업 생산을 관리하기 위한 기록 시스템으로 처음 등장했다.
  • 이집트: 이집트 상형 문자는 기원전 3300년에서 3100년 사이에 등장했으며, 왕족과 엘리트 계층 사이의 권력을 강조하는 데 사용되었다.
  • 중국: 중국에서 가장 초기의 기록된 표기는 기원전 1200년의 상 왕조까지 거슬러 올라가며, 희생, 조공, 사냥한 동물을 기록하는 데 사용되었다.
  • 인더스 문명: 인더스 문자는 대부분 그림 문자이며 아직 해독되지 않았다.

7. 2. 알파벳 문자

(빈 문자열)

7. 3. 고대

최근 연구에 따르면, 고대 세계에서 대다수의 사람들이 글을 읽고 쓸 줄 몰랐다는 인식은 뒤집히고 있다. 로마 사회는 "책과 기록을 기반으로 한 문명"이었으며, 자유인이든 노예든 글을 모르는 채로 지낼 여유가 없었다. 4세기 말, 사막 교부 파코미우스는 수도원에 들어오려는 후보자에게 글을 읽고 쓸 수 있는 능력을 요구했다. 4세기와 5세기 동안, 교회는 더 나은 성직자, 특히 고등 사회에서 사회적으로 용인되는 사람의 특징인 고전 교육을 받기를 기대했던 주교를 확보하기 위해 노력했다.

7. 4. 중세 및 근대 초기

서로마 제국이 붕괴되면서 유럽으로의 파피루스 수입이 중단되어, 서양 고대 이후의 문맹은 더욱 악화되었다.[75] 습한 유럽 기후에 잘 견디지 못하는 파피루스 대신 양피지가 사용되었는데, 이는 비쌌고 교회와 부유층만이 접근할 수 있었다.[75] 11세기에 종이가 스페인을 통해 유럽에 도입되었고, 그 후 4세기 동안 북쪽으로 천천히 확산되면서 15세기에는 종이가 널리 보급되어 문해력이 부활했다.[75]

종교 개혁은 문해력과 성경을 읽는 능력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프로테스탄트 국가들이 완전한 문해력을 처음으로 달성했다.[76] 계몽주의 시대의 영감을 받아 스웨덴은 1723년에 국민들의 완전한 문해력 향상을 목표로 하는 프로그램을 시행했다.[77] 다른 국가들도 이 시기에 유사한 조치를 시행했는데, 여기에는 1739년의 덴마크, 1783년의 폴란드, 1794/5년의 프랑스가 포함된다.[77]

7. 5. 산업화

19세기 영국에서는 문해력이 더욱 보편화되었다. 신문이 보편화되기 전에는 공고문, 전단, 광고지, 싸구려 책자, 인쇄된 노래 등이 흔한 거리 문학이었다.[78] 19세기 중반부터 제2차 산업 혁명으로 종이 생산의 기술적 발전이 이루어졌고, 사회적, 교육적 변화는 읽을거리에 대한 수요를 증가시켰다. 서유럽에서는 숙련되지 않은 노동력이 흔했고, 영국 산업이 발전하면서 기술 지침과 복잡한 상황을 처리할 수 있는 더 많은 엔지니어와 숙련된 노동자가 필요했다. 문해력은 고용에 필수적이었다.[96]

7. 6. 현대의 확산 (1950년 ~ 현재)

유네스코 통계연구소의 2015년 자료에 따르면, 1950년 이후 전 세계 성인 문해율은 매 10년마다 평균 5%p씩 증가하여, 1950년 55.7%에서 2015년 86.2%로 상승했다.[99] 그러나 인구 증가로 인해 문맹 성인의 비율은 감소했지만, 실제 문맹 성인의 수는 1990년까지 증가했다가 감소하기 시작했다.[260]

2015년 성인 남성 문해율 (%)


2015년 성인 여성 문해율 (%)


18세기 이후 유럽과 북아메리카에서는 문해율 상승이 계속되었다. 이는 산업 혁명의 진전과 근대 국가의 성립에 따라 국민의 교육 수준 향상이 필수 과제가 되었고, 국가에 의해 의무 교육이 이루어지게 되었기 때문이다. 이러한 경향은 20세기에 들어 산업화가 늦어진 아시아, 아프리카, 남아메리카 등의 국가들이 국민 교육에 힘쓰게 되면서 더욱 가속화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세계의 문해율은 순조롭게 향상되었다.[258]

1990년 태국 좀티엔에서 열린 만인을 위한 교육 세계 회의는 문해력 성별 격차에 대한 관심을 불러일으켰으며, 많은 개발도상국들이 여성의 문해력을 우선시하도록 촉구했다.[101]

세계 은행과 국제 여성 연구 센터가 학술 문헌을 검토한 결과, 주로 소녀에게 영향을 미치는 아동 결혼이 문해력 수준을 낮추는 경향이 있다고 결론 내렸다.[105]

2015년 시점에서 가장 문해율이 낮은 국가는 아프리카 대륙의 니제르이며, 문해율은 19.1%에 그치고 있다. 그 외 문해율이 낮은 순으로 기니, 부르키나파소, 중앙아프리카 공화국, 아프가니스탄, 베냉, 말리, 차드, 코트디부아르, 라이베리아 순이며, 이들 국가의 문해율은 모두 50%를 밑돌고 있다.[269]

7. 7. 지역적 불균형

전 세계적으로 이용 가능한 자료에 따르면, 세계 지역 간 문해율에는 상당한 차이가 존재한다. 북아메리카, 유럽, 서아시아, 중앙아시아는 거의 완전한 문해율을 달성했다. 반면, 남아시아, 북아프리카, 사하라 사막 이남 아프리카에서는 문맹률이 더 높게 나타난다. 그러나 세계의 많은 지역에서 청소년 문해율이 높게 나타나는 것은, 더 교육받은 젊은 세대가 덜 교육받은 이전 세대를 대체함에 따라 문맹이 점차 줄어들 것임을 시사한다.[258]

1970년2000년
전 세계63%79%
선진국신흥공업국95%99%
후진국47%73%
내륙 개발 도상국27%51%



18세기 이후 유럽북아메리카에서는 문해율 상승이 계속되었다. 이는 산업 혁명의 진전과 근대 국가 성립에 따라 국민 교육 수준 향상이 중요해졌고, 국가 차원에서 의무 교육이 시행되었기 때문이다. 이러한 경향은 20세기에 들어 산업화가 늦어진 아시아, 아프리카, 남아메리카 등의 국가들이 국민 교육에 힘쓰면서 더욱 가속화되었다.[258]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세계 문해율은 꾸준히 향상되어 1970년에는 전 세계 인구의 36.6%가 비문해자였지만, 2000년에는 20.3%까지 감소했다.[258] 그러나 여전히 세계 모든 사람이 문해 능력을 얻을 교육 기회를 가진 것은 아니다. 또한, 남성보다 여성의 비문해율이 훨씬 높으며, 2000년에는 남성 비문해자가 14.8%였던 반면, 여성 비문해자는 25.8%에 달했다.[259] 하지만 이 성별 간 격차는 1970년에 비해 2000년에는 5% 정도 줄어들며 축소되는 경향을 보인다.[259]

지역적으로 보면, 문해자의 급증은 전 세계적으로 나타나며, 어느 지역에서나 비문해율이 급감하는 경향이 있다. 특히 동아시아오세아니아에서 문해율 향상이 두드러진다. 북아메리카유럽의 문해율이 가장 높지만, 동아시아, 오세아니아, 라틴 아메리카의 문해율도 그에 뒤이어 높으며, 이 세 지역의 비문해자는 10% 남짓에 불과하다. 반면, 아프리카, 중동, 남아시아의 비문해율은 여전히 높아, 40% 정도가 문자를 이용할 수 없다. 세계에서 비문해율이 가장 높은 곳은 남아시아로, 2000년 자료에 따르면 약 45%가 비문해자이다.[260] 아프리카에서는 2001년 자료에서 비문해율이 37%로 나타났다.[261] 비록 비문해율은 급감하고 있지만, 비문해자 수는 감소하지 않고 오히려 약간 증가하는 지역도 존재한다.[260]

8. 사회적 영향 및 인구 통계

전통적으로 문해는 읽고 쓰는 능력을 의미했지만, 현대에는 읽기와 쓰기가 특정 사회적, 문화적 맥락과 분리될 수 없다는 연구 결과에 따라 그 개념이 확대되었다. 제임스 폴 지는 특정 맥락을 벗어난 읽기나 쓰기는 의미가 없다고 지적하며, 이를 "그저 모순"이라고 표현했다.[89] 데이비드 바튼과 로잘린드 이바니치 등은 문해력 습득의 인지적, 사회적 영향은 예측하기 어렵다고 주장한다. 왜냐하면 브라이언 스트리트가 말했듯이 "사람들이 읽기와 쓰기에 접근하는 방식은 지식, 정체성 및 존재에 대한 개념에 뿌리를 두고 있기" 때문이다.[94] 잭 구디는 역사적으로 문해가 사회 시스템의 변화와 함께 진화해 왔다고 기록했다.[96]

문해율은 한 지역의 인적 자본 가치를 측정하는 중요한 척도로 간주된다. 문해력이 있는 사람들은 문해력이 없는 사람들보다 더 쉽게 훈련받을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더 높은 사회경제적 지위를 갖고,[112] 더 나은 건강과 고용 전망을 누린다. 국제 사회는 문해력을 개발의 핵심 동력이자 목표로 간주한다.[113] 유네스코 평생 학습 연구소는 지속가능 발전 목표와 관련하여 건강, 사회적 평등, 경제적 권한 부여 및 환경 지속 가능성과 같은 지속 가능한 개발 과제에 대응하는 데 있어 문해력의 중심 역할을 강조했다.[114]

수감자들의 문해력 부족은 사회적 문제로 인식된다. 2010년 도서관이 삶을 변화시키는 상을 수상한 에든버러 교도소는 "도서관이 교도소의 문해력 전략의 초석이 되어" 재범과 재발을 줄이고 수감자들이 석방된 후 더 높은 사회경제적 지위를 얻기 위해 노력할 수 있도록 했다.[115]

1954년 5월 30일 문교부, 국방부, 내무부는 한국어 해득자가 전 한국인의 90%라고 발표했다. 현대 한국에서 문맹자는 대부분 노년층이다.

8. 1. 성별

유네스코 통계연구소가 수집한 2015년 자료에 따르면, 전 세계 문맹 성인의 약 63%가 여성이다. 1970년부터 2000년까지 세계적인 문해력의 성별 격차가 상당히 감소했지만, 2013년경부터 이러한 진전은 정체되어 20여 년 동안 성별 격차는 거의 변동이 없었다.[99][84]

문해력의 성별 격차는 지역 격차만큼 두드러지지는 않았지만, 사하라 사막 이남 아프리카와 남아시아 등에서는 성별 불균형이 크게 나타났다. 사하라 사막 이남 아프리카는 성인 여성의 52%, 성인 남성의 68%가 문해력을 가지고 있었고, 남아시아에서는 성인 여성의 58%, 성인 남성의 77%가 문해력을 가지고 있었다.[84]

1990년 태국 좀티엔에서 열린 만인을 위한 교육 세계 회의는 문해력 성별 격차에 대한 관심을 불러일으켰다.[101] 마사 누스바움은 문맹 여성이 학대적인 결혼에 갇힐 위험이 더 크다고 말하며, 문해력이 여성들이 서로 효과적으로 소통하고 협력하여 더 큰 정치적 변화 운동에 참여할 수 있는 능력과 연관된다고 주장한다.[102]

8. 1. 1. 여성 문해력 향상의 어려움

사회적 장벽은 여성과 소녀의 문해력 향상 기회를 제한할 수 있다. 문해력 수업을 제공하는 것이 여성과 소녀의 제한된 시간 사용과 충돌하는 경우 비효과적일 수 있다.[103] 학교에 다니는 소녀들은 남성보다 집안일과 어린 동생을 돌보는 데 더 많은 기대를 받을 수 있다.[126] 세대 간의 역학 관계 또한 이러한 불균형을 영속시킬 수 있다. 문맹 부모는 딸의 문해력의 가치를 쉽게 인식하지 못할 수 있으며, 특히 소녀가 집에 머물기를 기대하는 전통적인 농촌 사회에서 더욱 그러하다.[104]

8. 1. 2. 선진국의 남성 성별 격차

여성과 소녀가 전 세계 문맹 인구의 대다수를 차지하지만, 많은 선진국에서는 그 반대 방향으로 문해력 성 격차가 존재한다. 경제 협력 개발 기구(OECD) 회원국 내에서 남자아이들의 문해력 부진을 지속적으로 보여주고 있다.[109] 이러한 연구 결과에 비추어, 많은 교육 전문가들은 남자아이들의 학습 방식을 더 잘 수용하고, 읽기와 쓰기가 여성적인 활동이라는 인식을 만들어낼 수 있는 모든 성 고정관념을 제거하기 위해 교실 관행을 변경할 것을 권고했다.[110][111]

8. 2. 사회경제적 영향

많은 정책 분석가들은 문해율을 한 지역의 인적 자본 가치를 측정하는 중요한 척도로 간주한다. 문해력이 있는 사람들은 문해력이 없는 사람들보다 더 쉽게 훈련받을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더 높은 사회경제적 지위를 갖기 때문에[112] 더 나은 건강과 고용 전망을 누린다. 1992년 미국 교육통계 국립 센터에 따르면 문해율이 높을수록 주급이 높은 것으로 집계됐으며, 2003년 통계에서는 문해율이 높을수록 연 소득도 높았다.[308] 교육수준이 높으면 좋은 직업[309]을 가질 수 있기 때문일 것이다. 국제 사회는 문해력을 개발의 핵심 촉진자이자 목표로 간주하게 되었다.[113] 2015년 UN에서 채택한 지속가능 발전 목표와 관련하여, 유네스코 평생 학습 연구소는 "건강, 사회적 평등, 경제적 권한 부여 및 환경 지속 가능성과 같은 지속 가능한 개발 과제에 대응하는 데 있어 문해력의 중심 역할"을 선언했다.[114]

대다수의 수감자들이 문해력이 없는 것으로 밝혀졌으며, 2010년 도서관이 삶을 변화시키는 상을 수상한 에든버러 교도소에서는 "도서관이 교도소의 문해력 전략의 초석이 되어", 재범과 재발을 줄이고 수감자들이 석방된 후 더 높은 사회경제적 지위를 얻기 위해 노력할 수 있도록 했다.[115]

1954년 5월 30일 문교부·국방부·내무부에서 한국어 해득자가 전 한국인의 90%로 집계되었다고 발표했다. 현대 한국에서 문맹인 사람들은 거의 노년층이다.

8. 2. 1. 문해 학습에 미치는 영향

사회 경제적 요인은 두뇌 발달에 영향을 미치고, 두뇌 기능은 입력과 출력을 처리하는 데 크게 관여하기 때문에, 학습자의 환경은 읽고 쓰는 인지 과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116] 어린이가 학교에 들어가기 전, 가정 환경은 실행 기능에 영향을 준다.[117] 연구에 따르면, 빈곤 속에서 성장하는 어린이의 경우, 사회 경제적 환경이 "신경 내분비 및 뇌 기능"에 심각한 부담을 준다.[117] 이는 환경 자극을 조절하고, 정보를 처리하고 구조화하며, 작업 기억[116]을 포함하는 과제를 계획하고 효과적으로 실행하는 어린이의 능력에 영향을 미친다. 이 모든 것은 읽고 쓰는 방법을 성공적으로 배우는 데 필요한 인지적 능력이다. 빈곤 속에서 사는 것은 관련된 모든 사람에게 스트레스지만, 어린 아이들에게는 인지적으로 해롭다.[118]

NICHD가 실시한 연구에 따르면 사회 경제적 요인이 가족이 빈곤을 경험할 때 어린 아이들에게 역할을 하지만, 빈곤에 진입하는 청소년의 읽기 성취도나 행동에 대한 부정적인 영향은 나타나지 않았다.[119] 데이터는 특히 읽기에서 낮은 사회 경제적 배경의 어린이가 더 낮은 문해력을 보인다는 것을 광범위하게 보여준다. 유럽의 25개국 이상을 포함한 OECD의 연구에 따르면, 연구된 모든 국가에서 저소득 가구에 사는 학생들이 고소득 가구에 사는 학생들보다 읽기 점수가 낮았다.[120]

양육 방식 또한 아동의 문해력에 영향을 미친다. 상류층, 중산층, 하류층 또는 복지 혜택을 받는 가족으로부터 데이터를 수집하여 현장 조사가 이루어졌다. 그 결과, 주당 100시간 동안 상류층 가구의 어린이는 평균 20만 단어 이상을 접하고, 중산층 및 하류층 가구의 어린이는 약 12만 5천 단어를 접했으며, 복지 혜택을 받는 가구의 어린이는 가장 적은 단어인 6만 2천 단어를 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상류층 가족의 어린이가 복지 혜택을 받는 가족의 어린이보다 800만 단어를 더 접하게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121] 단어 습득에 필수적인 단어 노출 외에도, 미국 국립 교육 통계 센터는 저소득층 가족의 어린이 중 41.9%가 2013년 4, 8, 12학년에서 대부분의 읽기 성취도에서 현저히 낮은 점수를 받았다는 것을 발견했다.[122]

ANOVA가 수행한 연구에 따르면, 부모의 교육 수준, 부모의 직업, 건강 이력, 심지어 가정 내 기술 사용과 같은 여러 사회 경제적 변수가 어린이에게 영향을 미친다. 이러한 요인을 염두에 두고, 그들의 연구는 어린 아이들이 특히 환경적 요인에 취약하다는 것을 보여주었으며, 이는 사회 경제적 요인이 인지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뇌가 계속 발달함에 따라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의미한다. 그러나 2012년경 미국 청소년 종단 조사 (NLSY)에서 수행된 또 다른 연구는 약간 다른 결론을 제시했다.[123] 이 연구는 빈곤이 아동 문해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데 동의하지만, 몇 가지 미묘한 차이점이 추가된다. 두 연구 모두에서 빈곤을 경험한 어린이들이 읽기 평가에서 더 낮은 점수를 받았지만, NLSY의 연구는 빈곤의 지속 기간이 문해력 결과에 영향을 미친다는 점에 주목했다.[124] 이 연구는 "지속적인 빈곤"을 경험한 5~11세 어린이가 빈곤을 경험하지 않은 그들의 또래보다 더 부정적인 영향을 받는다는 것을 발견했다. 이 연구는 다른 요인, 특히 모성의 영향이 이 어린이들의 읽기 점수에 영향을 미쳤음을 인정했다. 이러한 가구의 어머니는 정서적, 언어적 반응성, 수용, 어린이와의 참여 및 조직을 측정한 "가정 환경" 점수를 기준으로 평가되었다. 빈곤을 경험하는 가구는 더 낮은 점수를 받는 경향이 있었고, 낮은 점수는 더 낮은 읽기 수준과 상관 관계가 있었다. 또한 이 연구는 빈곤이 아동 문해력에 미치는 영향이 민족, 문화, 성별에 따라 다르다는 것을 보여주었다.[124]

8. 3. 건강에 미치는 영향

문해력 부족은 현대적인 건강, 위생, 영양 관행에 대한 지식 부족과 관련이 있으며, 이는 다양한 건강 문제를 악화시킬 수 있다.[125] 특히 개발도상국에서는 문해율이 영아 사망률에도 영향을 미치는데, 문해력이 있는 어머니의 자녀는 문해력이 없는 어머니의 자녀보다 5세 이후까지 생존할 확률이 50% 더 높다.[126]

이러한 이유로 공중 보건 연구는 문해력 기술이 여성이 의료 서비스에 더 성공적으로 접근하고, 이를 통해 아동 건강 개선을 촉진할 수 있는 가능성에 주목하고 있다.[127] 2014년의 한 연구는 나이지리아 오요주 여성의 문해력 수준과 사회 경제적 지위를 연관시켰는데, 이 지역에서 문해력을 발전시키는 것이 "경제적 권한 부여를 가져오고 농촌 여성들이 위생을 실천하도록 장려하여 출생률과 사망률 감소로 이어질 것"임을 보여준다.[128]

8. 4. 경제적 영향

문해력은 직업 기회와 고등 교육 접근성을 높일 수 있다. 1992년 미국 교육통계 국립 센터에 따르면 문해율이 높을수록 주급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2003년 통계에서는 문해율이 높을수록 연 소득도 높았다.[308] 이는 교육수준이 높으면 좋은 직업[309]을 가질 수 있기 때문으로 보인다.

많은 정책 분석가들은 문해율을 한 지역의 인적 자본 가치를 측정하는 중요한 척도로 간주한다. 문해력이 있는 사람들은 문해력이 없는 사람들보다 더 쉽게 훈련받을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더 높은 사회경제적 지위를 갖는다.[112] 따라서 더 나은 건강과 고용 전망을 누릴 수 있다.

코로타예프와 공동 저자들은 19세기 초 문해력 수준과 20세기 말 성공적인 현대화 및 경제적 돌파구 사이에 상당히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음을 발견했으며, "문해력이 있는 사람들은 더 높은 혁신 활동 수준을 보일 수 있으며, 이는 현대화, 개발 및 경제 성장의 기회를 제공한다"고 보았다.[130]

2009년, 아일랜드의 국립 성인 문해력 기관은 성인 문해력 훈련에 대한 비용-편익 분석을 의뢰했는데, 이는 개인, 그들이 근무하는 회사, 그리고 재무부 뿐만 아니라 경제와 국가 전체(예: 증가된 GDP)에 경제적 이득이 있다는 결론을 내렸다.[129]

8. 5. 수명 발달 및 촉진 노력

가정 내에서의 비공식적 학습은 문해력 발달에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지만, 아동 문해력 향상은 주로 초등학교 환경에서 이루어진다.[86] 청소년 및 성인 문해력 프로그램의 재정 지원은 대규모 국제 개발 기구에서 나오는 경우가 많다.[132] 성인 문해력 증진 노력은 다른 개발 우선순위와 함께 이루어지기도 한다. 예를 들어 에티오피아, 모로코, 인도 등에서는 직업 기술 훈련과 성인 문해력 프로그램을 결합하여 참여를 장려하고, 경제적 기회가 부족한 여성 및 기타 소외 계층의 복합적인 요구를 해결하기도 한다.[134] 대부분의 사람들은 아동기에 문해력을 습득하지만, 문해력은 평생에 걸쳐 계속 발달한다.[136] 문해력은 학교 졸업 후 고정되는 것이 아니라, 평생 동안 변동하는 상태로 유지되며, 성인의 경우 향상과 저하가 거의 같은 비율로 발생한다.[136]

8. 6. 개발 지표로서의 문해

국제 연합 개발 계획(UNDP)에서 발표하는 인간 개발 지수교육을 세 가지 지표 중 하나로 사용한다. 원래 성인 문해력은 이 교육 지수 가중치의 2/3를 차지했으나, 2010년 UNDP는 성인 문해력 지표를 평균 학교 교육 연수로 대체했다.[141] 2011년 UNDP 연구 논문은 이러한 변화에 대해 1970년에서 2010년 사이에 이미 달성된 세계 문해력의 증가로 인해 문해력이 "미래에 대해 정보를 제공할 가능성이 낮아질 것"이라고 설명했다.[141]

세계 은행은 유네스코 통계연구소와 함께, 10세가 될 때까지 간단한 이야기를 읽고 이해할 수 없는 학생의 비율을 측정하는 학습 빈곤 개념 및 관련 지표를 개발했다. 저소득 및 중소득 국가에서는 어린이의 53%가 "학습 빈곤"에 시달리고 있으며, 빈곤 국가에서는 최대 80%의 어린이가 이와 같다.[143]

국제 학업 성취도 평가(PISA)는 15세 학생들의 읽기 및 수학 능력을 평가한다. 2019년 PISA-D 결과에 따르면, 테스트를 받은 학생 중 23%만이 읽기 능력의 최소 수준을 달성했으며, 이는 OECD의 80%와 비교된다.[145]

성인 역량 국제 평가 프로그램(PIAAC)은 16세에서 65세 사이의 근로 연령 인구의 문해력, 수리력 및 문제 해결 능력을 평가한다.[11]

8. 7. 문해 측정

유네스코 통계 연구소는 2020년 세계 문해율을 86.68%로 추산했다.[146] 1975년부터 가구주들은 가구 구성원이 읽고 쓸 수 있는지 묻는 간단한 '예' 또는 '아니오' 질문에 답했다. 1988년에는 일부 국가에서 자기 보고도 사용하기 시작했다.[147] 그러나 자기 보고 데이터는 주관적이며 몇 가지 제한점이 있다. 첫째, 간단한 질문은 문해력의 연속성을 포착하지 못한다. 둘째, 자기 보고는 각 개인이 '읽기'와 '쓰기'의 의미를 어떻게 해석하는지에 따라 달라진다. 일부 문화권에서는 그림을 그리는 것을 자신의 이름을 쓰는 것으로 이해하기도 한다. 마지막으로, 많은 설문 조사에서 한 개인이 다른 사람을 대신하여 문해력을 보고하도록 요청하는데, 이는 특히 여성과 아동의 문해력을 추정할 때 더 많은 문제를 야기한다. 이들은 '가구주'로 간주되는 경우가 적기 때문이다.[147]

2007년, 라이베리아, 대한민국, 가이아나, 케냐, 방글라데시 등 여러 국가에서 문해율을 보다 정확하게 측정하기 위해 문해력 시험을 도입하기 시작했다.[147] 그러나 2016년에도 대부분의 국가에서는 여전히 자기 보고 측정 또는 기타 간접 추정을 통해 문해력을 보고했다.[147]

이러한 간접 측정은 잠재적으로 문제가 될 수 있다. 많은 국가에서 문해력을 학업 연수를 기준으로 측정하기 때문이다. 그리스에서는 초등학교 6년을 마친 사람을 문해자로 간주하는 반면, 파라과이에서는 초등학교 2년을 마친 사람을 문해자로 간주한다.[147]

그러나 새로운 연구에 따르면 학업 성취도(예: 학업 연수)가 문해력과 완벽하게 상관관계가 있는 것은 아니다. 문해력 시험 결과, 많은 저소득 국가에서 초등학교 2년을 다닌 학생 중 상당수가 단어를 하나도 읽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말라위 2학년 학생의 90%, 인도 농촌 지역의 85.4%, 가나의 83%, 우간다의 64%가 이에 해당한다.[148] 인도에서는 5학년 학생의 50% 이상이 2학년 수준의 문해력을 갖추지 못했다. 나이지리아에서는 6학년을 마친 여성 10명 중 약 1명만이 모국어로 된 문장을 읽을 수 있다.[149] 이 데이터는 학업 연수를 대용으로 측정한 문해율이 잠재적으로 신뢰할 수 없으며, 인구의 실제 문해율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9. 문해 교육 방법

학교에서는 읽기와 쓰기가 종종 별개의 기술로 가르쳐진다. 그러나 아이들은 문자에 대한 호기심을 보이며 발생적 문해력 과정에서 둘 다 실험하고, 주변에서 사용되는 쓰기 체계를 이해하고 사용하며 실험하기 시작한다.[156] 읽기 발달에는 음성 인식(음운론), 철자 패턴(철자법), 단어 의미(의미론), 구문론, 단어 형성 패턴(형태론)을 포함한 다양한 복잡한 언어 기반이 관련되어 있으며, 이 모든 것이 읽기 유창성과 이해를 위한 필수적인 기반을 제공한다.[162]

읽기 지도에는 여러 가지 접근 방식이 있다.[164] 각각은 문해력이 무엇이며 학생들이 어떻게 가장 잘 학습하는지에 대한 가정에 의해 형성된다. 인지 신경 과학자 스타니슬라스 드앤은 2009년 저서 ''뇌 속의 읽기''에서 "인지 심리학은 '전체론적' 또는 '전체 언어' 방식을 통한 교육이라는 개념을 직접적으로 반박한다"라고 말했다.[172]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두 가지 읽기 지도 접근 방식은 구조적 문해력 지도와 균형 문해력 지도이다. 구조적 문해력 접근 방식은 문장 및 단락 수준에서 음운 인식, 단어 인식, 파닉스, 해독, 철자 및 구문에 명시적이고 체계적으로 초점을 맞춘다.[168] 균형 문해력 접근 방식은 파닉스와 해독, 공유, 안내, 독립적인 읽기, 그리고 문자소 표현과 맥락 및 이미지를 강조하는 균형을 맞춘다.[168] 구조적 문해력에 반대하는 사람들은 학생들이 음소에만 제한되면 유창성 발달이 제한된다고 주장한다. 균형 문해력 비판자들은 파닉스와 해독 지도가 무시되면 학생들이 익숙하지 않은 텍스트에 직면했을 때 보상 전략에 의존해야 한다고 주장한다.[168]

분쟁이 진행 중이거나 분쟁 후 단계에 있는 지역에서 문해력 교육 프로그램이 시행되어 왔다. 노르웨이 난민 위원회 팩 프로그램은 2003년부터 13개의 분쟁 후 국가에서 사용되어 왔다. 프로그램 주최측은 일상적인 활동과 예측 가능한 활동이 전쟁에서 평화로의 전환을 돕는다고 믿는다. 학습자는 1년 동안의 직업 훈련 분야를 선택할 수 있으며, 농업, 생활 기술, 문해력 및 수리력에 대한 필수 과정도 이수한다. 프로그램 구성원의 적극적인 참여와 관리가 프로그램의 성공에 중요하다. 이러한 프로그램들은 통합된 기초 교육(예: 문해력, 수리력, 과학 지식, 지역 역사 및 문화, 모국어 및 주류 언어 기술, 견습 제도)을 공유한다.[198]

10. 대륙별 문해

오늘날 문맹 인구는 남아시아 또는 사하라 사막 이남 아프리카에 가장 많다.


오늘날 문맹 인구는 남아시아 또는 사하라 사막 이남 아프리카에 가장 많다. 자세한 내용은 글쓰기의 역사 및 교육의 역사에서 확인할 수 있다.

10. 1. 유럽

글쓰기의 역사 및 교육의 역사 참조

읽기와 쓰기 능력은 서로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1686년 스웨덴 교회법( ''kyrkolagen'')은 스웨덴 왕국(오늘날의 스웨덴, 핀란드, 라트비아, 에스토니아)에서 문맹 퇴치를 의무화했으며, 1800년까지 읽기 가능한 사람의 비율은 거의 100%에 육박했다.[189] 역사학자 어니스트 겔너는 유럽 대륙 국가들이 교육 개혁에 성공한 것은 정부가 전체 인구에 대한 투자를 적극적으로 했기 때문이라고 주장한다.[191] 15세기 활판 인쇄술의 발명은 현대 문해력 개념과 밀접한 관련이 있지만, 종이와 책이 산업화된 사회의 모든 계층에게 보급된 것은 19세기 중반 산업 혁명 이후였다.

10. 1. 1. 영국

평균적으로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영어 실력이 뛰어나지만, 21세기 영국에서는 젊은 성인 여성 10명 중 거의 1명이 읽고 쓰는 능력이 부족하여 취업 전망에 심각한 지장을 받고 있다. 많은 여성이 빈곤에 갇혀 있지만 사회적 낙인 때문에 읽기 능력 부족을 숨기고 있다.[185]

10. 1. 2. 유럽 대륙

읽기 능력은 쓰기 능력을 반드시 의미하는 것은 아니었다. 1686년 스웨덴 교회법(''kyrkolagen'')은 스웨덴 왕국(오늘날의 스웨덴, 핀란드, 라트비아, 에스토니아)에서 문맹 퇴치를 의무화했으며, 1800년까지 읽기 가능한 사람의 비율은 거의 100%에 육박했다.[189] 역사학자 어니스트 겔너는 유럽 대륙 국가들이 교육 개혁을 훨씬 더 성공적으로 시행한 것은 정부가 전체 인구에 대한 투자를 더 적극적으로 하려 했기 때문이라고 주장한다.[191] 오늘날의 문해력 개념은 15세기 활판 인쇄술의 발명과 밀접한 관련이 있지만, 종이와 책이 산업화된 사회의 모든 계층이 구매할 수 있게 된 것은 19세기 중반의 산업 혁명에 이르러서였다.

10. 2. 북아메리카

북아메리카의 문해에 대한 더 자세한 내용은 글쓰기의 역사 및 교육의 역사에서 확인할 수 있다.

10. 2. 1. 멕시코

지난 40년 동안 멕시코의 문맹률은 꾸준히 감소해 왔다.[1] 1960년대에는 수도인 멕시코시티 멕시코시티 지하철의 설계자들이 대부분의 거주자가 문맹이었기 때문에 각 역을 공식 명칭 외에 식별할 수 있도록 일련의 독특한 아이콘을 설계했다.[1] 멕시코는 여전히 성별 교육 편향이 있는데, 여성의 문맹률은 8.1%인 반면 남성은 5.6%였다.[1]

10. 2. 2. 미국

미국의 교육은 주와 학군별로 교육 방침이 다르며, 자치단체의 독립성이 높아 예산도 다르므로, 재정난을 겪는 지역에서는 공교육도 불충분하다. 가정 환경의 영향도 크다.

10. 3. 남아메리카

남아메리카에서 오늘날 문맹 인구는 남아시아 또는 사하라 사막 이남 아프리카에 가장 많다.

브라질파울루 프레이리는 1964년에 농민들에게 글을 가르쳤다는 이유로 체포되어 추방되었다.[196]

10. 3. 1. 브라질

파울루 프레이리는 1964년에 농민들에게 글을 가르쳤다는 이유로 체포되어 브라질에서 추방되었다.[196] 그러나 브라질에 민주주의가 다시 들어선 이후 문해율(글을 읽고 쓸 수 있는 능력)은 꾸준히 높아졌다.[197]

10. 4. 아프리카



아프리카의 문해율은 국가별로 큰 차이를 보인다. 유네스코리비아의 문해율은 2004년에 86.1%[199], 적도 기니는 약 95%[200][201][202], 남수단은 약 27%[200][201][202]로 추산된다고 밝히고 있다.

사하라 사막 이남 아프리카에서는 부유한 가정의 청소년들이 가난한 청소년들보다 문해력을 갖출 수 있는 교육 기회가 더 많다.[198] 가난한 청소년들은 집에서 농사를 짓거나 형제자매를 돌봐야 하기 때문에 학교를 그만둬야 하는 경우가 많다.[198] 문해율은 인구 증가의 영향을 상쇄할 만큼 충분히 개선되지 않아, 2010년에는 전 세계 문맹 성인 7억 7500만 명 중 5분의 1 이상(20%)이 이 지역에 있었다.[203] 세계에서 문해율이 가장 낮은 국가들도 이 지역에 집중되어 있으며, 성인 문해율이 50% 미만인 경우도 있다.[204]

아프리카 국가별 문해율은 다음과 같다.

국가문해율
보츠와나85%
차드35.4%[204]
지부티70% (추정)[205]
에리트레아80% (추정)[207]
시에라리온43.3%[210]
우간다72.2%[211]
짐바브웨86.5% (2016년 추정)[211]


10. 4. 1. 알제리

알제리의 문해율은 약 70%이며, 이는 17세까지 의무 교육 및 무상 교육을 실시하고 있기 때문이다.

10. 4. 2. 부르키나파소

부르키나파소는 문해율이 28.7%로 매우 낮은 편인데, 이는 읽고 쓸 수 있는 15세 이상 인구를 기준으로 한다.[211] 문해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정부는 최소 80명의 자원 교사를 지원받고 있으나, 초등학교 교사의 심각한 부족은 문해율 향상과 학교 등록 시도에 문제를 야기하고 있다.[212]

10. 4. 3. 이집트

이집트는 비교적 높은 문해율을 보인다. 2010년 성인 문해율은 72%로 추정되었다.[206]

10. 4. 4. 에티오피아

에티오피아인들은 기원후 2세기부터 고대 게에즈어(암하라어)로 쓰고, 읽고, 필사본을 만들었던 세계 최초의 문해 능력이 있는 사람들 중 하나이다.[208] 모든 소년들은 7세 즈음에 시편을 읽는 법을 배웠다. 1978년에 시작된 국가 문해 운동은 1984년까지 문해율을 37%(비공식)에서 63%(공식) 사이로 증가시켰다.[213]

10. 4. 5. 기니

기니의 문해율은 41%이며, 이는 15세 이상 인구 중 읽고 쓸 수 있는 사람의 비율을 의미한다.[211] 기니는 문해, 갈등 해결 및 평화 구축(LCRP) 프로젝트를 처음으로 시행한 국가이기도 하다. 이 프로젝트는 농업 생산량 증대, 핵심 기술 개발, 갈등 해결, 그리고 문해력 및 산술 능력 향상을 목표로 하였다. LCRP는 시에라리온 국경 근처 난민 캠프에서 1999년부터 2001년까지 진행되었다. 이와 유사한 목표를 가진 다른 여러 국제 프로젝트들이 기니에서 진행되고 있다.[214]

10. 4. 6. 케냐

케냐의 20세 미만 인구 문해율은 70% 이상이며, 초등학교 8년 과정은 정부에서 학비를 지원한다. 2008년 1월, 정부는 제한적인 무상 중등 교육 프로그램을 시작했다. 국가 전체 문해율은 약 81.54%로, 고령층보다 젊은 층에서 문해율이 훨씬 높다. 그러나 이러한 문해력의 대부분은 초등학교 수준이며, 중등 교육이나 고등 교육 수준은 아니다.

10. 4. 7. 말리

2015년 말리의 성인 문해율은 33%로 세계에서 가장 낮은 수준이었다.[204] 말리 정부는 문해를 읽거나 쓸 수 있는 15세 이상의 모든 사람으로 정의한다.[211] 남성은 43.1%, 여성은 24.6%의 문해율을 보였다.[215]

최근 몇 년 동안 말리 정부와 국제기구들은 문해율을 향상시키기 위한 조치를 취해왔다. 정부는 느린 진전을 인식하고 2007년에 자국어로 기초 교육 및 문해 관련 부처를 신설했으며, 2007년 35%였던 교육 예산을 3% 증액했다. 문해력이 있는 성인의 부족은 프로그램의 속도를 늦추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자격을 갖춘 여성 강사가 필요한데, 많은 남성이 여성 가족 구성원이 남성 교사에게 훈련받는 것을 거부하기 때문에 이 문제가 발생한다.[216]

10. 4. 8. 모리셔스

2011년 기준 모리셔스의 성인 문해율은 89.8%로 추정되었다.[217] 남성의 문해율은 92.3%, 여성의 문해율은 87.3%였다.[217]

10. 4. 9. 니제르

니제르의 문맹률은 28.7%로 매우 낮은데,[204] 이는 성별 격차에 부분적으로 기인한다. 남성의 문맹률은 42.9%인 반면 여성은 15.1%에 불과하다. 니제르 정부는 15세 이상으로 읽거나 쓸 수 있는 사람을 문해자로 정의한다.[211] 니아스 티자니야(수피즘) 교단은 빈곤 퇴치, 역량 강화, 문해력 향상 캠페인을 시작했다. 키오타의 여성들은 니아스 티자니야 지도자와 결혼한 '마만'으로 알려진 사이다 오물 카드리 니아스가 지역 사회의 남성과 여성에게 이야기하며 여성의 적절한 행동에 대한 지역 사회의 믿음을 바꾸기 전까지 교육이나 경제적 지위를 향상시키려는 시도를 하지 않았다. 마만의 노력으로 키오타의 여성들은 소규모 사업체를 소유하고, 시장에서 판매하며, 문해 수업에 참석하고, 소액 대출을 제공할 수 있는 소규모 협회를 조직할 수 있게 되었다. 마만은 키오타 안팎의 아이들, 특히 여아들에게 특별한 주의를 기울여 직접 가르친다. 마만은 학생들에게 여아의 부모가 딸을 조기에 결혼시키는 것을 허용하기 위해 강사의 허가를 받도록 요구하여, 이러한 소녀들이 받는 교육의 양을 늘리고 결혼, 임신, 출산을 늦추고 있다.[218]

10. 4. 10. 세네갈

세네갈의 문해율은 49.7%로, 15세 이상 인구 중 읽고 쓸 수 있는 사람의 비율로 정의된다.[211] 그러나 많은 학생들이 문해자로 간주될 만큼 충분히 학교에 다니지 못하고 있다. 세네갈 정부는 1971년 청소년 및 스포츠 사무국 직업 훈련부에 문해율 개선 책임을 부여하면서 적극적인 노력을 시작했다. 이 부서와 그 후신 부서들은 1986년 문해 및 기초 교육부가 설립될 때까지 명확한 문해 정책을 갖추지 못했다. 세네갈 정부는 학교 시스템 자금 지원을 위해 세계 은행의 지원에 크게 의존하고 있다.[219]

10. 4. 11. 소말리아

소말리아의 전국적인 문해율에 대한 신뢰할 만한 자료는 없다.[209] 2013년 FSNAU 설문조사에 따르면 지역별로 상당한 차이가 있으며, 북동부 자치 지역인 푼틀란드가 72%로 가장 높은 등록 문해율을 보였다.[209]

10. 4. 12. 시에라리온

시에라리온 정부는 15세 이상 인구 중 영어, 멘데어, 템네어, 또는 아랍어를 읽고 쓸 수 있는 사람을 문해력을 갖춘 것으로 정의한다. 공식 통계에 따르면 시에라리온의 문해율은 43.3%이다.[210] 시에라리온은 문해력, 갈등 해결 및 평화 구축 프로젝트를 사용한 두 번째 국가였으나, 프로젝트 중심 도시 근처에서 전투가 벌어져 무기 사면이 시행될 때까지 지연되었다.[214]

10. 5. 아시아



아시아 지역은 메소포타미아 문명처럼 오랜 역사 속에서 문자를 사용해 왔지만, 근대 이전까지 문해(글을 읽고 쓰는 능력)는 특정 계층에 한정되어 있었다. 로마 제국시민권을 가진 구성원으로 이루어진 로마 군단의 입대 시험에 라틴어 시험을 보게 하고, 라틴어 교사에게 시민권을 부여하는 등, 국가 정책으로 공용어인 라틴어 보급에 힘썼다. 중세 시대에는 라틴어가 지식인들의 언어였지만 일반 대중에게는 낯설었다.

18세기 이후 산업 혁명과 근대 국가 성립으로 국민 교육의 중요성이 커지면서 아시아 국가들도 문해율 향상에 힘쓰기 시작했다. 20세기에는 의무 교육 도입과 국민군의 탄생으로 문해 능력이 더욱 중요해졌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세계 문해율은 1970년 36.6%에서 2000년 20.3%로 크게 향상되었다.[258] 그러나 여전히 교육 기회는 불평등하며, 여성의 비문해율이 남성보다 높다(2000년 기준 여성 25.8%, 남성 14.8%).[259] 다만, 성별 격차는 1970년에 비해 2000년에는 5% 정도 줄어들며 축소되는 경향을 보인다.[259]

동아시아오세아니아 지역의 문해율 향상이 두드러지지만, 남아시아는 여전히 세계에서 가장 높은 비문해율을 보인다. 2000년 기준 남아시아의 비문해율은 약 45%에 달한다.[260]

다음은 아시아 주요 국가별 성인 및 청소년 문해율(2000년대 이후)을 정리한 표이다.

국가성인 문해율청소년 문해율
(15–24세)
아프가니스탄43% (2020)[220]65% (2020)[220]
방글라데시72.76 (2016)[221]92.24% (2016)[221]
중국96.7% (2015)[222]
인도74.04% (2011)[223]89.6% (2015)[224]
이란불분명
라오스불분명
네팔67.5% (2007)89.9% (2015)[225]
파키스탄58% (2017)[226]75.6% (2015)[227]
필리핀91.6% (2019)[228]
스리랑카92.63% (2015)[229]98% (2015)[230]


10. 5. 1. 아프가니스탄

유네스코에 따르면, 아프가니스탄은 세계에서 문맹률이 가장 낮은 국가 중 하나이다. 2020년 기준으로 1,000만 명이 넘는 청소년과 성인이 문맹이다.[220] 2016~2017년 문맹률은 34.8%였지만, 유네스코 통계 연구소는 최근 43%로 증가했음을 확인했다. 15~24세 청소년의 문해율은 65%이다.[220]

하지만 여전히 많은 수의 사람들이 문해력과 지속적인 교육을 받을 기회를 갖지 못하고 있다. 성별 격차도 상당하다. 남성의 문해율은 55%인 반면 여성은 29.8%에 불과하다. 유네스코 평생 학습 연구소는 2012년부터 아프가니스탄 정부에 기술 지원을 제공하여 약 120만 명의 문해력 향상을 목표로 하고 있다.[231]

문맹률을 높이기 위해 미군은 아프간 군 신병에게 무기 사용법을 가르치기 전에 읽는 법을 가르쳤다. 2009년, 미군 지휘관들은 신병의 65%가 문맹일 수 있다고 추정했다.[232]

10. 5. 2. 중국

중국 정부는 표준 중국어인 ''푸퉁화''의 숙련도를 평가하기 위해 표준화된 시험을 실시하지만, 이는 주로 외국인이나 베이징 방언에 대한 전문적인 숙련도를 입증해야 하는 사람들을 위한 것이다. 다른 언어와 마찬가지로, 중국어 문해력은 독해력 테스트로 평가할 수 있지만, 역사적으로 문해력은 화자가 학교에서 습득한 한자 수로 판단되는 경우가 많았으며, 수천 자가 실용적인 문해력의 최소 기준으로 간주되었다.

CIA 월드 팩트북에 따르면 중국인의 96.7%가 문해 능력이 있지만,[222] 중국의 사회 과학 조사에 따르면 중국 인구의 절반이 조금 넘는 사람만이 구어체 ''푸퉁화''에 능숙한 것으로 나타났다.[233][234] 고대 중국 문명에서 모든 계층이 문해력을 갖게 된 것은 유교에서 비롯되었으며, 이전에는 문해력이 귀족, 상인 및 사제에게만 일반적으로 제한되었다.

10. 5. 3. 인도

인도 인구 등록 및 인구 조사 위원회는 문해력을 "7세 이상인 사람이 어떤 언어로든 이해하며 쓰고 읽을 수 있는 능력"으로 정의한다. 2011년 인도 인구 조사에 따르면 인도의 문해율은 74%였다.[235]

10. 5. 4. 이란

2023년, 이란 정부는 1930년에 시작된 문해 교육 캠페인을 중단했지만, 여전히 900만 명의 문맹자가 보고되었다.[236] 정부는 초등학교 교육 비용이 아동 1인당 연간 500만이란 리알~4000만이란 리알(약 12USD~95USD)이라고 보고했으며,[237] 아동의 27%가 비용 때문에 초등학교 1학년에 등록하지 않았다.[238]

10. 5. 5. 라오스

라오스는 동티모르를 제외하고 동남아시아에서 성인 문해율이 가장 낮다.[239]

문해력에 대한 장애물은 국가와 문화에 따라 다르다. 문자 체계, 교육의 질, 인쇄물의 가용성, 텔레비전, 비디오 게임, 휴대폰 및 가족의 의무와 같은 다른 출처와의 경쟁, 문화 등이 모두 문해 수준에 영향을 미친다. 음성 문자를 사용하는 라오스에서는 읽기가 비교적 배우기 쉽다. 특히 철자와 발음 규칙에 예외가 많은 영어나 수천 개의 기호를 암기해야 하는 중국어에 비해 그렇다. 그러나 라오스에서는 책과 기타 인쇄물의 부족으로 인해 실용적인 문해력이 저해되었다.[240] 많은 어린이와 성인이 너무 느리게 읽어서 그 기술이 거의 도움이 되지 않는다.

라오스의 한 문해력 프로젝트인 빅 브라더 마우스(Big Brother Mouse)는 "문해력을 재미있게 만드는 책"을 사용하여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 있다. 이 프로젝트는 다채롭고 읽기 쉬운 책을 출판한 다음 시골 학교에서 책 파티를 열어 배포한다. 일부 책은 닥터 수스(Dr. Seuss)와 같은 작가의 성공적인 서양 책을 모델로 했지만, 가장 인기 있는 책은 라오스 전통 동화이다. 5명의 어린이만 초등학교를 졸업한 마을 출신인 시폰 부티삭디(Siphone Vouthisakdee)가 쓴 두 개의 인기 있는 민담집이 있다.[241]

빅 브라더 마우스는 또한 마을 독서실을 만들고 불교, 건강, 아기 돌보기 등과 같은 주제에 대한 성인 독자를 위한 책을 출판했다.[242]

세 명의 라오스 소녀들이 학교 밖에서 책을 읽고 있다.

10. 5. 6. 파키스탄

국가인적개발위원회(National Commission for Human Development)는 파키스탄 성인, 특히 여성의 문맹 퇴치를 목표로 하고 있다.[226] 2017년 파키스탄의 성인 문해율은 58%였다.[226] 2015년 청소년 문해율은 75.6%였다.[227]

국제 문해의 날 기념행사에서 이슬라마바드 이사 코즈 나가타는 파키스탄의 문맹률이 밀레니엄 개발 목표 달성을 위해 노력한 덕분에 20년 동안 감소했으며, 기본적인 읽고 쓰기를 할 수 없는 인구 비율이 너무 높아 개인의 성취, 사회 발전 등에 심각한 장애가 된다고 강조했다.

유네스코(UNESCO), 유니세프(UNICEF) 등의 지원을 받은 최근 교육부 전국 조사에 따르면, 파키스탄 어린이의 70%가 초등학교를 졸업하지만 성별 격차가 존재한다.

2003년에 설립된 비영리 단체인 리터레이트 파키스탄 재단은 파키스탄의 문해율 개선을 위한 해결책을 제시하고 있다.

10. 5. 7. 필리핀

필리핀 기능적 문해력, 교육 및 대중 매체 조사 2019년 결과에 따르면, 10세에서 64세 사이의 필리핀인 중 약 91.6%가 2019년에 기능적 문해력을 갖추고 있었으며, 이는 7,970만 명의 인구 중 약 7,300만 명에 해당한다.[228] 기원전 300년부터 초기 필리핀인들은 고대 인도의 브라흐미 문자에서 파생된 자신들만의 문자를 고안하여 사용했으며, 바이바인은 11세기까지 이러한 파생된 문자들 중에서 가장 널리 퍼졌다. 최초의 스페인 원정대가 섬에 도착했을 때의 초기 연대기 작가들은 일부 원주민, 특히 족장과 지역 왕들이 산스크리트어, 고대 자바어, 고대 말레이어 및 여러 다른 언어에 능숙하다고 기록했다.[243][244]

스페인 식민지화 기간 동안, 읽을거리는 아메리카 대륙에 대한 스페인 식민지화 때보다 훨씬 덜 파괴되었다. 교육과 문해력은 반도인에게만 도입되었고, 미국인들이 이 나라에 공립 학교 제도를 도입하고 영어가 필리핀의 ''공용어''가 될 때까지 특권으로 남아 있었다. 짧은 일본 점령기 동안, 일본인들은 자국의 언어를 가르치고 아이들에게 그들의 문자를 가르칠 수 있었다.

10. 5. 8. 스리랑카

문해율이 92.5%인[229] 스리랑카는 개발도상국 가운데 가장 높은 문해율을 가진 인구를 보유하고 있다.[245] 청소년 문해율은 98%이고,[230] 컴퓨터 문해율은 35%이며,[246] 초등학교 등록률은 99% 이상이다.[247] 스리랑카는 모든 어린이에게 9년간의 의무 교육을 규정하는 교육 시스템을 갖추고 있다. 1945년에 설립된 무상 교육 시스템은[248] C. W. W. 칸낭가라와 A. 라트나야케의 주도로 이루어졌다.[249][250] 스리랑카는 초등 교육부터 고등 교육까지 보편적인 무상 교육을 제공하는 몇 안 되는 국가 중 하나이다.[251]

10. 6. 오세아니아

오세아니아 지역의 문해에 대한 내용은 글쓰기의 역사 및 교육의 역사에서 더 자세히 살펴볼 수 있다. 오늘날 문맹 인구는 남아시아 또는 사하라 사막 이남 아프리카에 가장 많다.[252]

10. 6. 1. 호주

2016~2017년 호주 통계청이 OECD를 대신하여 실시한 성인 기술 조사에 따르면, 노동 연령 인구의 5명 중 1명이 낮은 문해력, 수리력 또는 둘 다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252] 2021년 호주 조기 발달 인구 조사 전국 보고서에 따르면 5세 아동의 82.6%가 훌륭한 언어 및 인지 능력을 개발할 준비가 되어 있었다.[253] 2012~2013년 호주는 1,515개의 공공 도서관 서비스 지점을 운영하여 거의 1억 7,400만 권의 도서를 1,000만 명의 회원에게 대출했으며, 1인당 평균 비용은 45AUD 미만이었다.[254] 2020~2021년까지 이 수치는 총 1,690개의 도서관 지점으로 증가했으며, 등록 또는 활동 회원은 900만 명을 조금 넘었다.[254]

11. 일본의 문해

일본에서 문자가 본격적으로 사용되기 시작한 것은 6세기경부터이다.[282] 근세 이전에는 주로 귀족이나 승려와 같은 지식 계층이 한자한문을 읽고 쓰는 능력을 갖추고 있었다.

무로마치 시대에 들어서면서 읽고 쓰기 능력이 더 넓은 계층으로 확산되었고, 이에 따라 『하학집』이나 "절용집" 같은 실용적인 사전들이 편찬되었다. 이 사전들에는 한자의 독음이 표기되어 있었으며, 가나 문자도 이미 널리 사용되고 있었다고 여겨진다.[284]

1443년 조선 통신사의 일원으로 일본을 방문한 신숙주는 일본인들이 신분에 관계없이 모두 글을 읽고 쓸 줄 안다고 기록했다.[285]

11. 1. 근세 이전

일본에서 문자의 보급은 비교적 늦어, 6세기경부터 대규모로 사용되기 시작했다.[282] 근세 이전에는 공가(公家, 귀족)나 승려 등 지식 계급이 중국에서 전해진 한적(漢籍)이나 불전을 통해 한자한문을 읽고 쓰는 법을 익혔다.

무로마치 시대에는 읽고 쓰기가 넓은 계층으로 보급되기 시작하면서, 『하학집』이나 "절용집" 같은 실용적인 사전이 편찬되었다. 이 사전들에는 한자에 독음이 붙어 있었고, 가나는 이미 보급되어 있었다고 여겨진다.[284]

1443년 조선 통신사 일행으로 일본에 온 신숙주는 "일본인은 남녀 신분에 관계없이 전원이 글을 읽고 쓴다"고 기록했다.[285]

참조

[1] 논문 Socio-Cultural Approaches to Literacy (Literacies)
[2] 논문 Prilozi definiranju pojma funkcionalne pismenosti http://www.andragosk[...]
[3] 논문 Understanding functional illiteracy from a policy, adult education, and cognition point of view: Towards a joint referent framework 2019-05
[4] 웹사이트 Adult literacy rates, 2015 or most recent observation https://ourworldinda[...] 2020-02-15
[5] 웹사이트 National Assessment of Adult Literacy (NAAL) https://nces.ed.gov/[...]
[6] 웹사이트 Measuring Literacy: Performance Levels for Adults (2005),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https://www.nap.edu/[...]
[7] 웹사이트 A Brief History of the Quantitative Literacy Movement, The Carnegie Foundation for the Advancement of Teaching https://www.carnegie[...]
[8] 웹사이트 Millennium Goals Indicator 2015 https://unstats.un.o[...] 2021-03-02
[9] 웹사이트 EUROPEAN DECLARATION OF THE RIGHT TO LITERACY, European Literacy Policy Network http://www.eli-net.e[...] 2021-02-19
[10] 웹사이트 Defining literacy, UNESCO http://gaml.uis.unes[...] 2018-10-18
[11] 웹사이트 Skills matter, PIAAC, OECD http://www.oecd.org/[...]
[12] 서적 Skills Matter: Additional Results from the Survey of Adult Skills, OECD Skills Studies, OECD OECD
[13] 웹사이트 About The Programme for the International Assessment of Adult Competencies https://www.oecd.org[...]
[14] 웹사이트 Literacy and English https://education.go[...] Scottish Government
[15] 웹사이트 What is literacy https://literacytrus[...] National literacy trust
[16] 웹사이트 Why literacy, International literacy association https://www.literacy[...] 2021-02-19
[17] 웹사이트 International literacy association https://www.literacy[...] 2021-02-19
[18] 웹사이트 TIMSS and PIRLS International Study Center https://timssandpirl[...]
[19] 웹사이트 Literacy and numeracy https://education.al[...] Alberta Education
[20] 서적 Literacy in the new media age Routledge
[21] 서적 Literacy and Development: Ethnographic Perspectives Routledge
[22] 서적 The Routledge Handbook of Literacy Studies Routledge
[23] 서적 Towards an Ecology of World Languages Polity
[24] 서적 A New Literacies Sampler Peter Lang
[25] 서적 Keywords in Writing Studies Utah State UP
[26] 서적 Multiple Literacies Theory: A Deleuzian Perspective Sense
[27] 논문 Multiliteracies in the Classroom: Emerging Conceptions of First-Year Teachers
[28] 서적 Language at the speed of sight Basic
[29] 서적 Right to Read inquiry report https://www.ohrc.on.[...] Ontario Human Rights Commission
[30] 웹사이트 Definition of computer literacy https://www.pcmag.co[...]
[31] 웹사이트 COMPUTER-LITERACY https://dictionary.c[...]
[32] 웹사이트 ISLP http://www.stat.auck[...] 2008-12-19
[33] 서적 Multiliteracies for a Digital Age Southern Illinois University Press
[34] 웹사이트 National Association for Media Literacy Education https://namle.net/
[35] 서적 Ecological Literacy: Education and the Transition to a Postmodern World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36] 논문 A Proposed Disaster Literacy Model 2014
[37] 논문 A proposed disaster literacy model https://pubmed.ncbi.[...] 2014-06-08
[38] 웹사이트 What Is Health Literacy,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https://www.cdc.gov/[...] 2021-01-28
[39] 서적 Advancing health literacy: A framework for understanding and action Jossey-Bass
[40] 서적 Addressing Difficulties in Literacy Development: Responses at Family School Pupil and Teacher Levels Routledge
[41] 논문 Developing Linguistic Literacy: a Comprehensive Model
[42] 웹사이트 9 Ways to Teach Social Skills in Your Classroom, Reading Rockets https://www.readingr[...] 2019-12
[43] 간행물 "Connections between music literacy and music-related background variables: An empirical investigation." Visions of Research in Music Education
[44] 논문 A Review about Functional Illiteracy: Definition, Cognitive, Linguistic, and Numerical Aspects 2016-11-10
[45] 서적 Shaking Up the Schoolhouse: How to Support and Sustain Educational Innovation http://catdir.loc.go[...] Catdir.loc.gov 2021-05-19
[46] 논문 Understanding functional illiteracy from a policy, adult education, and cognition point of view: Towards a joint referent framework 2019-05
[47] 논문 Understanding functional illiteracy from a policy, adult education, and cognition point of view: Towards a joint referent framework 2019-05
[48] 서적 Writing Permitted in Designated Areas Only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49] 서적 The Cambridge Handbook of Literacy Cambridge University Press
[50] 웹사이트 Writing Systems http://hkotek.com/te[...] 2018-08-05
[51] 서적 Sapiens Penguin Random House
[52] 서적 Sustaining Literacy in Africa: Developing a Literate Environment UNESCO Press
[53] 논문 The earliest precursor of writing
[54] 서적 Writing, Law, and Kingship in Old Babylonian Mesopotamia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010-11-15
[55] 서적 The Oxford Handbook of Cuneiform Culture https://melc.berkele[...] Oxford University Press 2021-12-17
[56] 서적 The Oxford Handbook of Cuneiform Culture Oxford University Press
[57] 웹사이트 The Evolution of Writing https://sites.utexas[...] 2023-12-21
[58] 논문 Olmec Origins of Mesoamerican Writing https://www.science.[...] 2002-12-06
[59] 서적 Law, state, and society in early Imperial China: Study and translation of the legal texts from Zhangjiashan Tomb no. 247. Brill
[60] 논문 The Collapse of the Indus-Script Thesis: The Myth of a Literate Harappan Civilization https://hasp.ub.uni-[...]
[61] 서적 Reading and Writing in Mesopotamia https://doi.org/10.7[...]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023-12-21
[62] 논문 Literacy in the Old Babylonian City of Nippur https://cordis.europ[...] European Commission 2023-12-21
[63] 논문 Review of: Writing, Law, and Kingship in Old Babylonian Mesopotamia (translated by Jane Marie Todd) https://bmcr.brynmaw[...]
[64] 서적 The interface between the written and the oral Cambridge University Press
[65] 웹사이트 Ras Shamra Tablet Inventory https://voices.uchic[...] 2023-12-22
[66] 논문 Newly Found Inscriptions in Old Canaanite and Early Phoenician Scripts
[67] 논문 The Early Diffusion of the Alphabet 1974-09
[68] 뉴스 The growth and decline of the Aramaic language https://apnews.com/a[...] 2023-12-22
[69] 논문 Ancient Literacy in New Testament Research: Incorporating a Few More Lines of Enquiry https://www.academia[...]
[70] 서적 Literacy in Ancient Everyday Life De Gruyter
[71] 논문 His master's voice: Tiro and the rise of the roman secretarial class http://faculty.ithac[...]
[72] 서적 Daily life in ancient Rome Blackwell
[73] 서적 Imperial Rome and Christian triumph: the art of the Roman Empire AD 100-450 Oxford University Press
[74] 논문 Ancient Arabia and the written word 2010
[75] 간행물 History of publishing → Medieval, Manuscripts, Scriptoria https://www.britanni[...] 2023-12-22
[76] 웹사이트 How religion may affect educational attainment: scholarly theories and historical background https://www.pewforum[...] 2020-01-28
[77] 서적 The Oxford Handbook of the History of Education 2023-12-21
[78] 웹사이트 The origins of children's literature https://www.bl.uk/ro[...] 2022-04-22
[79] 웹사이트 Street literature https://www.bl.uk/ro[...] 2022-04-22
[80] 웹사이트 Victorian readers https://www.bl.uk/ro[...] 2022-04-22
[81] 웹사이트 Print culture https://www.bl.uk/ro[...] 2022-04-22
[82] 서적 The birth of a new Europe: state and society in the 19. century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Pr
[83] 서적 Reading the past, writing the future: Fifty years of promoting literacy http://unesdoc.unesc[...] UNESCO
[84] 논문 Adult and Youth Literacy http://www.uis.unesc[...] 2016-05-02
[85] 웹사이트 Education: Literacy rate http://data.uis.unes[...] 2016-05-22
[86] 서적 Childhood and adolescence: cross-cultural perspectives and applications Praeger
[87] 웹사이트 Global education monitoring report 2019: Migration, displacement and education: building bridges, not walls https://unesdoc.unes[...] 2023-12-22
[88] 웹사이트 THE 17 GOALS https://sdgs.un.org/[...] Department of Economic and Social Affairs 2020-09-22
[89] 논문 Literacy, Discourse, and Linguistics: Introduction
[90] 서적 Multidisciplinary perspectives on literacy research Hampton
[91] 논문 Literacy versus Language: Exploring their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92] 간행물 Literacy http://www.upcolorad[...] Utah State University Press 2023-09-19
[93] 서적 Everyday Literacies: Students, Discourse, and Social Practice Peter Lang
[94] 서적 Literacy and development: ethnographic perspectives Routledge
[95] 서적 Literacy in theory and practice Cambridge University Press
[96] 서적 The Logic of Writing and the Organization of Society https://www.cambridg[...] Cambridge University Press
[97] 웹사이트 Adult literacy rate, population 15+ years, male (%) https://ourworldinda[...] 2020-02-15
[98] 웹사이트 Adult literacy rate, population 15+ years, female (%) https://ourworldinda[...] 2020-02-15
[99] 논문 Trends in Global Gender Inequality 2010-07-01
[100] 보고서 Gender Equality and Development: World Development Report http://siteresources[...] The World Bank 2012
[101] 서적 Gender, Literacy, and Empowerment in Morocco https://books.google[...] Routledge
[102] 논문 Women's Education: A Global Challenge 2004-01-01
[103] 논문 Women's education and economic well-being 1995-07-01
[104] 서적 Girls' Education in the 21st Century: Gender Equality, Empowerment, and Economic Growth http://siteresources[...] The World Bank
[105] 웹사이트 Child Marriage and the 2030 Agenda: Selected Findings from Early Research http://www.costsofch[...] 2015-09
[106] 논문 Early Marriage, Age of Menarche, and Female Schooling Attainment in Bangladesh 2008-10-01
[107] 간행물 Child Marriage and Education in Sub-Saharan Africa http://allinschool.o[...] World Bank 2014-09
[108] 논문 Economic Impacts of Child Marriage: A Review of the Literature 2015-07-03
[109] 논문 The Problem of Boys' Literacy Underachievement: Raising Some Questions 2010-02-01
[110] 논문 Effective Approaches to Motivate and Engage Reluctant Boys in Literacy 2012-11-01
[111] 서적 Me Read? No Way!: A Practical Guide to Improving Boys' Literacy Skills https://books.google[...] Government of Manitoba 2006-01
[112] 웹사이트 Phonics. It's Profitable http://www.thephonic[...] 2007-12-11
[113] 논문 Low Female Literacy: Factors and Strategies http://eric.ed.gov/?[...] 2006-03-31
[114] 서적 Transforming Our World: Literacy for Sustainable Development http://eric.ed.gov/?[...] UNESCO Institute for Lifelong Learning 2014-11-30
[115] 뉴스 Prison library helps to transform lives https://www.theguard[...] 2010-07-07
[116] 논문 Socioeconomics status and executive function: Developmental trajectories and mediation
[117] 논문 Poverty's impact on children's executive function: Global considerations
[118] Newsletter Stress as a mechanism of poverty's ill effects on children https://www.apa.org/[...] 2012-07-01
[119] 논문 Exposure to Neighborhood Affluence and Poverty in Childhood and Adolescence and Academic Achievement and Behavior
[120] 논문 Adolescent Literacy in Europe-An Urgent Call for Action 2013
[121] 논문 The Family Catastrophe: The 30 Million Word Gap by Age 3 https://www.d11.org/[...]
[122] 서적 The Psychology of Reading: Theory and Applications Guildford
[123] 논문 Linking childhood poverty and cognition: environmental mediators of non-verbal executive control in an Argentine sample
[124] 논문 The Bidirectional Effects of Early Poverty on Children's Reading and Home Environment Scores: Associations and Ethnic Differences
[125] 논문 Literacy links: Issu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arly childhood development, health, women, families, and literacy 1995-07-01
[126] 웹사이트 The Economic and Social Cost of Illiteracy: A Snapshot of Illiteracy in a Global Context https://worldliterac[...] World Literacy Foundation 2016-05-02
[127] 논문 Maternal Literacy and Child Health in Less-Developed Countries: Evidence, Processes, and Limitations http://nrs.harvard.e[...]
[128] 논문 Influence of Adult Literacy Education on Socio-Economic Empowerment of Rural Women in Oyo State, Nigeria
[129] 웹사이트 Policy Brief on Adult Literacy Strategy http://www.nala.ie/s[...] 2011-11-23
[130] 논문 Global Unconditional Convergence among Larger Economies after 1998? http://www.sociostud[...]
[131] 논문 Rural Education in a Global Context http://ger.mercy.edu[...] 2016-05-23
[132] 서적 Routledge handbook of international education and development Routledge
[133] 논문 Women's right to learning and literacy: Women learning literacy and empowerment http://www.tandfonli[...] 2014-07-04
[134] 서적 Literacy programmes with a focus on women to reduce gender disparities: case studies from UNESCO Effective Literacy and Numeracy Practices Database http://unesdoc.unesc[...] UNESCO Institute for Lifelong Learning 2023-09-21
[135] 서적 Education for All Global Monitoring Report http://www.unesco.or[...]
[136] 논문 Stability and change in adults' literacy and numeracy skills: Evidence from two large-scale panel studies https://www.scienced[...] 2021-10-01
[137] 논문 Low Literacy is not Set in Stone https://www.beltz.de[...] 2021-03-12
[138] 서적 Literacy in American Lives https://www.cambridg[...] Cambridge University Press
[139] 논문 Predictors of Literacy Development in Adulthood: Insights from a Large-scale, Two-wave Study 2021-01-02
[140] 논문 Practice makes perfect: Practice engagement theory and the development of adult literacy and numeracy proficiency 2020-06-01
[141] 웹사이트 The HDI 2010: New Controversies, Old Critiques http://hdr.undp.org/[...] 2011-04
[142] 논문 Adult Literacy and Women: A Present Account http://journals.uncc[...] 2016-03-17
[143] 웹사이트 Learning Poverty is a combined measure of schooling and learning. https://www.worldban[...] 2021-07-01
[144] 웹사이트 PISA for Development https://www.oecd.org[...] 2021-07-01
[145] 웹사이트 PISA-D Reveals Exceptionally Low Learning https://riseprogramm[...] 2021-07-01
[146] 웹사이트 Literacy rate, adult total (% of people ages 15 and above) https://ourworldinda[...] 2023-02-05
[147] 웹사이트 How is literacy measured? https://ourworldinda[...] 2021-07-01
[148] 웹사이트 Students in grade 2 who can't read a single word, ca 2015 https://ourworldinda[...] 2021-07-01
[149] 논문 Girls' schooling and women's literacy: schooling targets alone won't reach learning goals
[150] 논문 Literacy versus Language: Exploring their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151] 간행물 Adult education: the Hamburg Declaration; the Agenda for the Future https://unesdoc.unes[...] UNESCO Institute for Education 2023-09-21
[152] 웹사이트 Fif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Adult Education http://uil.unesco.or[...] 2019-05-29
[153] 서적 Mobile phones and literacy: Empowerment in Women's Hands; A Cross-Case Analysis of Nine Experiences http://unesdoc.unesc[...] UNESCO
[154] 웹사이트 European literacy policy network (ELINET) http://www.eli-net.e[...] 2021-03-22
[155] 웹사이트 European Declaration of the Right to Literacy https://elinet.pro/p[...]
[156] 서적 Theoretical models and processes of reading International Reading Association
[157] 논문 The Sciences of Reading and Writing Must Become More Fully Integrated 2020-09
[158] 논문 Effectiveness of Literacy Programs Balancing Reading and Writing Instruction: A Meta-Analysis
[159] 논문 Research-based writing practices and the common core
[160] 서적 Writing Next: Effective strategies to improve writing of adolescent middle and high school Alliance for Excellence in Education
[161] 서적 Report of the National Reading Panel: Teaching Children to Read: An Evidence-Based Assessment of the Scientific Research Literature on Reading and Its Implications for Reading Instruction: Reports of the Subgroups National Institute of Child Health and Human Development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162] 웹사이트 Glossary of Reading Terms - The Cognitive Foundations of Learning to Read: A Framework http://www.sedl.org/[...] Sedl.org 2011-11-23
[163] 웹사이트 Chinese Cultural Studies: Chinese Logographic Writing http://acc6.its.broo[...] Acc6.its.brooklyn.cuny.edu 2011-11-23
[164] 보고서 New approaches to literacy learning: A guide for teacher educators http://unesdoc.unesc[...] UNESCO 2000-11
[165] 논문 Sublexical: the parts of a word (i.e. letters, phonemes & graphemes), Cues to Stress Assignment in Reading Aloud, Journal of Experimental Psychology, 2018
[166] 웹사이트 Glossary http://www.ldonline.[...] LD OnLine 2011-11-23
[167] 서적 Writing to read: Evidence for how writing can improve reading. A Carnegie Corporation Time to Act Report Alliance for Excellent Education
[168] 웹사이트 An Explanation of Structured Literacy, and a Comparison to Balanced Literacy https://iowareadingr[...] Iowa Reading Research Center 2021-05-09
[169] 웹사이트 Is It a Good Idea to Teach the Three Cueing Systems in Reading https://www.readingr[...] 2019-04-01
[170] 서적 Language at the speed of light Basic
[171] 웹사이트 The three-cueing system in reading: Will it ever go away https://www.nifdi.or[...] National Institute for Direct Instruction 2023-02-05
[172] 서적 Reading in the Brain Penguin 2010-10-26
[173] 논문 Acquiring Literacy Naturally: Behavioral science and technology could empower preschool children to learn to read naturally without instruction https://www.american[...]
[174] 문서 Center for National Policy, Washington DC, What States Can Do Center for National Policy, Washington DC 2012-05-02
[175] 논문 Learning to Read in an L2 2001-Winter
[176] 웹사이트 Teaching for Understanding in Higher Education: A Framework for Developing Literacy within a TESOL Context http://marifa.hct.ac[...]
[177] 웹사이트 How an educator from Nova Scotia uses cameras to teach English in Ethiopia http://www.cbc.ca/ne[...] 2016-06-15
[178] 웹사이트 Alternative Literacy http://stephenpeller[...]
[179] 웹사이트 Why every picture tells a story http://www.elgazette[...] 2017-05-07
[180] 논문 A Planning Cycle for Integrating Digital Technology Into Literacy Instruction 2014-03
[181] 간행물 Immigrant Integration: A Cross National Study Scholarly Publishing
[182] 문서 Visual Art and the Teaching of English as a Second Language. https://search.proqu[...] ProQuest 2024-01-25
[183] 웹사이트 Using Visual Arts as a Tool to Foster the Four Language Skills https://www.hltmag.c[...] 2024-01-25
[184] 논문 New Technology and Digital Worlds: Analyzing Evidence of Equity in Access, Use, and Outcomes http://journals.sage[...] 2010-03
[185] 웹사이트 Kate Winslet warns of 'shame' of illiteracy https://www.bbc.co.u[...] 2018-09-07
[186] 서적 Artefacts in Roman Britain: their purpose and us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87] 서적 An Introduction to English Legal History Butterworths
[188] 서적 Books: A Living History Getty
[189] 서적 The SAGE Encyclopedia of Lifespan Human Development National Institute of Child Health & Human Development
[190] 서적 Books: A Living History Getty
[191] 서적 Nations and Nationalism Cornell University Press
[192] 서적 Literacy in early modern Europe: culture and education, 1500-1800 Routledge
[193] 웹사이트 Economic Issues No. 33 - Educating Children in Poor Countries https://www.imf.org/[...] 2024-04-10
[194] 서적 The literacy myth: cultural integration and social structure in the nineteenth century https://books.google[...] Transaction Publishers
[195] 웹사이트 Analfabetismo. Cuéntame de México http://cuentame.ineg[...] 2014-09-08
[196] 웹사이트 Freire's Life and Work http://www.paulofrei[...]
[197] 서적 The Brazilian economy: growth and development L. Rienner
[198] 논문 Literacy and life skills education for vulnerable youth: What policy makers can do
[199] 웹사이트 Libya Adult literacy rate, 1960-2019 https://knoema.com//[...] 2020-06-01
[200] 웹사이트 Equatorial Guinea http://uis.unesco.or[...] 2020-06-01
[201] 웹사이트 Equatorial Guinea Adult literacy rate, 1960-2019 https://knoema.com/a[...] 2020-06-01
[202] 웹사이트 South Sudan http://uis.unesco.or[...] 2020-06-01
[203] 웹사이트 Information bulletin: School and teaching resources in sub-Saharan Africa http://www.uis.unesc[...]
[204] 웹사이트 Digital Services for Education in Africa http://unesdoc.unesc[...]
[205] 서적 Compact Atlas of the World https://books.google[...] Penguin
[206] 웹사이트 National adult literacy rates (15+), youth literacy rates (15-24) and elderly literacy rates (65+) http://stats.uis.une[...] UNESCO Institute for Statistics 2013-07-06
[207] 웹사이트 Adult Education Program gaining momentum: Ministry http://www.shabait.c[...] Shabait 2013-10-09
[208] 서적 Semitic Languages: An International Handbook De Gruyter Mouton
[209] 웹사이트 Family Ties: Remittances and Livelihoods Support in Puntland and Somaliland http://www.fsnau.org[...] FSNAU 2014-09-08
[210] 웹사이트 The World Factbook https://www.cia.gov/[...] 2014-10-03
[211] 웹사이트 National Population and Housing Census 2014 https://www.ubos.org[...] 2023-09-18
[212] 웹사이트 Volunteer teachers combat illiteracy in Burkina Faso http://www.africa.un[...] 2014-10-03
[213] 서적 Ethiopia: A Country Study https://archive.org/[...] Library of Congress
[214] 논문 Using transformative models of adult literacy in conflict resolution and peacebuilding processes at community level: examples from Guinea, Sierra Leone and Sudan. 2005-12
[215] 웹사이트 Education Statistics http://datatopics.wo[...] 2019-11-19
[216] 뉴스 Mali: Still a long way to go to meet adult literacy targets http://www.irinnews.[...] 2014-10-03
[217] 논문 2011 POPULATION CENSUS MAIN RESULTS http://www.govmu.org[...] Statistics Mauritius 2015-01-22
[218] 논문 RELIGION SOCIAL CAPITAL AND DEVELOPMENT IN THE SAHEL: THE NIASS TIJANIYYA IN NIGER http://connection.eb[...] 2014-11-08
[219] 논문 Producing Literacy and Civil Society: The Case of Senegal http://scholarworks.[...] 2008-05
[220] 웹사이트 Interview: "Literacy rate in Afghanistan increased to 43 per cent", UNESCO https://uil.unesco.o[...] 2021-03-11
[221] 웹사이트 Unesco: Bangladesh literacy rate reaches all-time high of 72.76% in 2016 https://www.dhakatri[...] 2018-03-21
[222] 웹사이트 The World Factbook https://www.cia.gov/[...] 2009-09-28
[223] 웹사이트 Census of India http://www.censusind[...]
[224] 웹사이트 UNESCO Institute for Statistics http://www.uis.unesc[...] Stats.uis.unesco.org 2015-09-17
[225] 웹사이트 UNESCO Institute for Statistics http://www.uis.unesc[...] Stats.uis.unesco.org 2015-09-17
[226] 웹사이트 No improvement in literacy rate https://www.dawn.com[...] 2018-04-27
[227] 웹사이트 UNESCO Institute for Statistics http://www.uis.unesc[...] Stats.uis.unesco.org 2015-09-17
[228] 웹사이트 Functional Literacy Rate is Estimated at 91.6 Percent in 2019 https://psa.gov.ph/c[...] Philippine Statistics Authority
[229] 웹사이트 Annual Report 2010 http://www.treasury.[...] Ministry of Finance – Sri Lanka 2014-07-15
[230] 웹사이트 Sri Lanka literacy rate http://www.indexmund[...] indexmundi.com
[231] 웹사이트 Interview: "Literacy rate in Afghanistan increased to 43 per cent" https://uil.unesco.o[...] 2023-10-24
[232] 뉴스 United States Training Plan for Afghanistan: Read First, Shoot Later https://www.stripes.[...] 2009-12-10
[233] 뉴스 More than half of Chinese can speak mandarin http://news.xinhuane[...] 2007-03-07
[234] 뉴스 Beijing says 400 million Chinese cannot speak Mandarin https://www.bbc.com/[...] 2013-09-06
[235] 서적 2011 Census of India Government of India
[236] 웹사이트 The literacy movement is facing a shortage of human resources https://www.irna.ir/[...]
[237] 웹사이트 The condition of receiving more than the approved tuition fees in non-government schools was announced https://www.eghtesad[...] 2023-09-19
[238] 웹사이트 27% of first graders have not registered https://ettelaat.com[...] 2023-09-19
[239] 웹사이트 Adult literacy rate (both sexes) (% aged 15 and above) http://hdrstats.undp[...] 2023-09-24
[240] 웹사이트 Contextual factors affecting learning in Laos and the implications for information literacy education https://informationr[...] 2024-06-07
[241] 뉴스 Publishing Children's Books and Delivering Them by Elephant http://www.csmonitor[...] 2013-12-25
[242] 문서 Picturing Laos Amherst Bulletin 2010-08-27
[243] 웹사이트 Viasat vs HughesNet Satellite Internet http://bibingka.com/[...]
[244] 웹사이트 Over the edge of the world: Magellan's terrifying circumnavigation of the globe https://archive.org/[...]
[245] 논문 Problems of Illiteracy in a Literate Developing Society: Sri Lanka
[246] 웹사이트 Govt targets 75% computer literacy rate by 2016 http://archives.dail[...]
[247] 웹사이트 Sri Lanka – Statistics http://www.unicef.or[...] UNICEF 2017-08-02
[248] 서적 A Short History of Sri Lanka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49] 웹사이트 Honouring the Father of Free Education http://archives.dail[...]
[250] 웹사이트 Who was "Father" of free education in Sri Lanka?: C.W.W. Kannangara or A. Ratnayake? http://transcurrents[...] Trans Currents 2012-11-21
[251] 웹사이트 Education: Traditional and Colonial Systems http://countrystudie[...] Library of Congress Country Studies
[252] 서적 Building skills for all in Australia: policy insights from the Survey of Adult Skills OECD
[253] 웹사이트 2021 AEDC National Report https://www.aedc.gov[...] 2023-04-04
[254] 웹사이트 Annual Australian public libraries statistics https://www.nsla.org[...] 2023-04-04
[255] 웹사이트 公益財団法人ユネスコ・アジア文化センター (ACCU) https://www.accu.or.[...] 2017-12-16
[256] 서적 生きるための読み書き 発展途上国のリテラシー問題 みすず書房 2009-09-10
[257] 웹사이트 公職選挙法48条 https://web.archive.[...]
[258] 서적 国際教育協力を志す人のために 平和・共生の構築へ 学文社 2004-10-10
[259] 서적 国際教育協力を志す人のために 平和・共生の構築へ 学文社 2004-10-10
[260] 서적 国際教育協力を志す人のために 平和・共生の構築へ 学文社 2004-10-10
[261] 서적 アフリカ経済論 ミネルヴァ書房 2004-11-25
[262] 뉴스 '「国連識字デー」インドの寺子屋で学ぶ子どもたち' https://www.afpbb.co[...] AFPBB 2017-12-27
[263] 간행물 '「国連識字の10年(2003-2012年)」国連本部で開始 「すべての人に識字を」をスローガンに、国連副事務総長が提唱' http://www.unic.or.j[...] 国際連合広報センター 2017-12-27
[264] 웹사이트 【世界選挙紀行】インド④ 超簡単!投票は“電子投票マシン”で {{!}} 選挙を知ろう {{!}} NHK選挙WEB https://www.nhk.or.j[...] 2024-04-19
[265] 서적 生きるための読み書き 発展途上国のリテラシー問題 みすず書房 2009-09-10
[266] 웹사이트 各国の識字率 https://www.stat.go.[...] 総務省統計局 2017-12-28
[267] 간행물 '統計別表 - 国連開発計画(UNDP)」p190' http://www.jp.undp.o[...] 2017-12-28
[268] 문서 駐在員だより ミシガンの識字と経済 https://www.pref.shi[...] 滋賀県
[269] 웹사이트 9月8日 国際識字デー http://www.stat.go.j[...] 総務省 統計局 なるほど統計学園 2017-12-27
[270] 간행물 '世界の統計2017」p266' http://www.stat.go.j[...] 総務省統計局 2017-12-27
[271] 간행물 '統計別表 - 国連開発計画(UNDP)」p191' http://www.jp.undp.o[...] 2017-12-28
[272] 간행물 '統計別表 - 国連開発計画(UNDP)」p192' http://www.jp.undp.o[...] 2017-12-28
[273] 서적 印刷・スペース・閉ざされたテキスト 新曜社 1995-04-20
[274] 서적 図説 アジア文字入門 河出書房新社 2005-04-30
[275] 서적 シュメル 人類最古の文明 中央公論新社 2005
[276] 서적 古代オリエント集 筑摩書房 1978-04-30
[277] 서적 日本の歴史11 太平記の時代 講談社 2001
[278] 웹사이트 特別展「Novelists and Newspapers: The Golden Age 1900-1939―新聞の中の文学:黄金時代1900-1939」 https://www.u-tokyo.[...] 東京大学 2020-01-13
[279] 웹사이트 About Us https://planetwordmu[...] 2024-01-26
[280] 웹사이트 Boxer Floyd Mayweather Jr. says he’s literate, ‘I would be perfect at reading if it was how I made my living’ http://www.nydailyne[...] N YDaily News.com 2014-09-03
[281] 웹사이트 Chinese Writing https://asiasociety.[...] Asia Society 2024-10-12
[282] 웹사이트 漢字はいつから日本にあるのですか。それまで文字はなかったのでしょうか | ことばの疑問 | ことば研究館 https://kotobaken.jp[...]
[283] 웹사이트 企画展示 {{!}} スケジュール {{!}} こどもれきはく(国立歴史民俗博物館) https://www.rekihaku[...] 2023-09-18
[284] 웹사이트 中世の古文書 -機能と形- 担当者インタビュー 第4回|これまでの企画展示|企画展示|展示のご案内|国立歴史民俗博物館 https://www.rekihaku[...] 2023-09-18
[285] 서적 日本幽囚記 岩波文庫
[286] 웹사이트 瓦版について https://www.wul.wase[...] 2023-01-08
[287] 논문 「近世社会と識字 (<特集> 公教育とリテラシー) https://cir.nii.ac.j[...] 2003
[288] 논문 明治14年の識字調 ―当時の北安曇郡常盤村の場合― 1973
[289] 문서
[290] 문서
[291] 웹사이트 安宅一夫「日本酪農の父・宇都宮仙太郎のまぼろし」 https://www.rakuno.a[...] 2022-02-25
[292] 웹사이트 諸証書ノ姓名ハ自書シ実印ヲ押サシム https://ja.wikisourc[...] 太政官布告 1877
[293] 웹사이트 館報「開港のひろば」 横浜開港資料館 http://www.kaikou.ci[...] 2023-01-08
[294] 웹사이트 「識字能力・識字率の歴史的推移――日本の経験」斉藤泰雄 http://home.hiroshim[...] 広島大学教育開発国際協力研究センター 2012
[295] 웹사이트 阿久津 智「日本語表記に関する歴史的考察」 https://cir.nii.ac.j[...]
[296] 뉴스 ひらがなも書けない若者たち ~見過ごされてきた“学びの貧困”~ https://www.nhk.or.j[...] クローズアップ現代
[297] 웹사이트 【詳しく】最終学歴“小卒”80万人 50代以下も2万人 なぜ? {{!}} NHK https://web.archive.[...] 日本放送協会 2022-06-24
[298] 웹사이트 60代から文字を学んで…娘の出生届も書けず、結婚35年で妻に初のラブレター : エンタメ・文化 : ニュース https://www.yomiuri.[...] 2021-10-09
[299] 웹사이트 「漢字が読めない」日本の識字率ほぼ100%は幻想か 見過ごされてきた「形式卒業者」の存在、注目集める夜間中学 | 47NEWS https://nordot.app/1[...] 47NEWS 2023-06-15
[300] 웹사이트 樺太残留邦人に言葉の壁 日本語「読めない」4割:東京新聞 TOKYO Web https://www.tokyo-np[...]
[301] 웹사이트 日本人の識字率は高いのか 揺らぐ根拠、戦後教育にも影響? https://www.sankei.c[...] 2024-01-31
[302] 뉴스 「識字率高い日本人」根拠曖昧 読売新聞 2023-09-19
[303] 웹사이트 日本の識字の課題は本当に「終わった」のだろうか?―あらためて考えたい機能的非識字のこと(田中宝紀) - エキスパート https://news.yahoo.c[...]
[304] 웹사이트 미국영어교사협회 http://www.ncte.org
[305] 간행물 The Plurality of Literacy and its implications for Policies and Programs: Position Paper http://unesdoc.unesc[...] United National Educational, Scientific and Cultural Organization 2004
[306] 웹사이트 Glossary http://www.economist[...] 이코노미스트 2007-11-14
[307] 웹사이트 The World Factbook https://www.cia.gov/[...] Central Intelligence Agency 2007-11-01
[308] 웹사이트 문해수준과 주급 http://www.thephonic[...] The Phonics Page
[309] 서적 고진로사회권 후마니타스
[310] 서적 교육의 역사와 철학의 이해 백산출판사 2006
[311] 법률 평생교육법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