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나이토 조안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나이토 조안은 1550년경 태어난 일본의 기독교 신자이자 무장으로, 아버지 마쓰나가 나가요리는 미요시 가문의 중신이었다. 1564년 가톨릭으로 개종한 후, 오다 노부나가와 아시카가 요시아키 사이의 분쟁에서 쇼군 측에 가담했다가 패배하여 영지를 잃었다. 이후 고니시 유키나가의 가신이 되어 임진왜란 당시 명나라와의 외교를 담당했으며, 세키가하라 전투 패배 후 필리핀 마닐라로 추방되어 그곳에서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단바국 사람 - 이시다 바이간
    이시다 바이간은 에도 시대 사상가이자 석문심학 창시자로, 사농공상의 평등을 주장하며 신분과 성별에 관계없이 무료 강좌를 통해 사상을 전파했고, 그의 사상은 기업 윤리와 사회적 책임에 영향을 미쳤다.
  • 단바국 사람 - 덴 겐지로
    일본의 정치인이자 관료였던 덴 겐지로는 체신대신, 대만 총독, 법무대신, 농상무대신, 추밀원 의원 등을 역임하며 일본 제국주의 시기 활발히 활동했고, 대만 총독 재임 시 사회적, 정치적 동화 정책을 추진했으며, 간토 대지진 이후 도쿄 재건 계획 수립에 참여했다.
  • 마쓰나가씨 - 에이로쿠의 변
    에이로쿠의 변은 1565년 마쓰나가 히사히데와 미요시 산닌슈가 아시카가 요시테루 쇼군을 암살하고 아시카가 요시히데를 옹립하려 한 사건으로, 무로마치 막부 쇠퇴의 결정적 계기가 되었다.
  • 마쓰나가씨 - 히로하시 야스코
    히로하시 야스코는 센고쿠 시대의 여성으로, 이치죠 가문 출신이자 마츠나가 히사히데의 아내이며, 고나라 천황의 후궁으로 잠시 출사했고, 히사히데로부터 깊은 사랑을 받아 쇼젠인 건립을 통해 추모받았다.
  • 필리핀에 거주한 일본인 - 오자와 마리아
    오자와 마리아는 일본의 AV 배우로 데뷔하여 배우, 모델, 사업가로 활동 영역을 넓혔으며, AV 배우 은퇴 후에는 필리핀에서 사업가로 활동하고 있다.
  • 필리핀에 거주한 일본인 - 이마이 도시아키
    이마이 도시아키는 일본의 축구 선수이자 감독으로, 선수 시절에는 와세다 대학 축구부와 가와사키 프론탈레에서 활동했으며 은퇴 후에는 여러 J리그 팀과 국가대표팀을 지도했다.
나이토 조안
기본 정보
성 빈센트 드 폴 파리슈 교회의 기념비(마닐라)
성 빈센트 드 폴 파리슈 교회의 기념비(마닐라)
시대전국 시대 - 에도 시대 전기
출생덴분 19년 (1550년 경)
사망간에이 3년 (1626년)
개명사다히로 → 다다토시
이명여안
여암
수암
통칭고로
도쿠안
시호해당 없음
신호해당 없음
계명해당 없음
영명조안
묘소해당 없음
관위비젠노카미, 히다노카미
막부해당 없음
주군아시카가 요시아키고니시 유키나가마에다 도시나가
해당 없음
씨족나이토 씨 (후지와라 북가히데사토 류)
부모아버지: 마쓰나가 나가요리
어머니: 나이토 구니사다의 딸
형제사다카쓰
겐바
여안

줄리아
배우자해당 없음
자녀규호
가쓰사다
특기 사항해당 없음
꽃 도장해당 없음
참고 자료

2. 생애

덴분 19년(1550년)경 마쓰나가 나가요리와 나이토 구니사다의 딸 사이에서 태어났다. 나가요리는 미요시 나가요시의 가신으로, 단바 슈고다이인 나이토 구니사다의 사위가 되어 나이토 가문을 이었다. 에이로쿠 7년(1564년) 루이스 프로이스 혹은 가스파르 빌렐라의 영향을 받아 가톨릭으로 개종하였다.

에이로쿠 8년(1565년) 아버지 나가요리가 아카이 나오마사와의 전투에서 전사하자 어린 나이에 가독을 이었다. 당시 미요시 가문은 기나이에서 세력을 잃었고, 단바에서는 아카이 가문과 하타노 가문이 세력을 확장하여 나이토 가문의 영지를 위협했다.

오다 노부나가아시카가 요시아키의 대립에서 조안은 요시아키를 지지했으나, 요시아키가 몰락한 후에도 오다 가문에 적대적이었다. 덴쇼 6년(1578년) 아케치 미쓰히데에게 공격받아 영지를 잃고, 요시아키를 따라 모리 가문의 빈고 도모노우라로 피신했다.

덴쇼 13년(1585년)경 고니시 유키나가의 가신이 되어 중신으로 대우받으며 고니시 성을 받았다. 임진왜란과의 교섭을 담당하며 명의 수도 북경을 방문했고, 명과 조선의 사료에는 '소서비(小西飛)'로 기록되었다.

게이초 5년(1600년) 세키가하라 전투에서 패배 후, 주군 유키나가는 처형되었고, 조안은 아리마 하루노부의 도움으로 히라도로 도주했다. 이후 가토 기요마사, 마에다 도시나가의 객장을 거쳐 마에다 가문의 가가번에서 생활했다.

게이초 18년(1613년) 도쿠가와 이에야스의 기독교도 추방령으로 1614년 동생 주리아, 다카야마 우콘과 함께 필리핀 마닐라로 추방되었다. 마닐라에서 총독과 주민들의 환대를 받았으며, 안트라무로스 인근에 일본인 마을을 건설하고 정착했다. 간에이 3년(1626년) 77세로 병사했다.

2. 1. 출신 배경

덴분 19년(1550년)경 마쓰나가 나가요리와 나이토 구니사다의 딸 사이에서 태어났다. 나가요리는 미요시 나가요시 휘하에서 활약했으며, 단바 슈고다이인 나이토 구니사다의 사위가 되었다. 나가요리는 나이토 가문의 야기 성을 거점으로 단바 지역을 통치하며 나이토 무네카쓰(内藤宗勝)로 개명하였다.[3] 에이로쿠 8년(1565년) 아버지 나가요리가 아카이 나오마사와의 전투 중 전사하자, 어린 나이에 가독을 이었다.

2. 2. 개종 및 초기 활동

에이로쿠 7년(1564년), 나이토 조안은 루이스 프로이스 혹은 가스파르 빌렐라의 영향을 받아 가톨릭으로 개종하였다.[6]

에이로쿠 8년(1565년), 아카이 나오마사와의 전투 중 아버지 나가요리가 전사하자, 어린 나이에 가독을 이었다. 이 무렵 기나이에서 미요시씨의 세력이 약해지면서 단바에서 아카이씨와 하타노씨의 세력이 커져 나이토 가문의 영지를 위협하기 시작했다.

2. 3. 오다 노부나가, 아시카가 요시아키와의 관계

에이로쿠 11년(1568년) 9월, 오다 노부나가아시카가 요시아키를 옹립하고 상락하자, 조안은 노부나가의 후원을 받아 사에키장의 다이칸 직을 인정받았다.[4] 같은 달, 우츠 씨에게 빼앗겼던 야기 성 주변의 10개 마을이 노부나가의 명령으로 조안의 관할이 되었다.[5] 이 무렵 조안은 단바 슈고다이의 관직인 '비젠노카미'가 아닌 '고로'를 자칭하고 있어, 슈고다이가의 당주였는지는 불분명하지만, 오다 권력의 후원 아래 서서히 세력을 확대해 갔다.

겐키 4년(1573년) 3월, 오다 노부나가와 아시카가 요시아키가 대립하게 되자 조안은 세쓰·단바의 이케다 씨, 시오카와 씨, 우츠 씨, 시모다 씨와 함께 요시아키를 경호하기 위해 상락했다. 이때 조안은 2,000명의 병사를 이끌었다고 한다.[4] 상락한 조안은 '비젠노카미'를 칭하고 있었으며, 이때는 나이토 씨의 소료(惣領) 지위에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노부나가와의 대결이 가까워진 요시아키는 조쿄(上京)에 있는 자신의 성관을 포기할 것을 시사하고, 조안에게 단바의 성을 제공할 것을 요구했지만, 조안은 요시아키의 경솔함을 나무라고 노부나가의 적이 되지 않도록 조언했다. 그러나 노부나가와의 싸움을 선택한 요시아키는 마키시마 성으로 옮겨 노부나가 군에게 패하여 추방되었다(마키시마 성 전투). 이 무렵, 조안은 호소카와 후지타카를 통해 노부나가와도 연락을 취하고 있어, 요시아키와 행동을 함께 하지 않았다.[5]

덴쇼 2년(1574년), 조안은 루이스 프로이스와 로렌소 수도사를 단바에 초청했으며, 이때 야기성에 있었음이 확인된다.

덴쇼 3년(1575년) 6월, 오다 노부나가는 겐키 4년(1573년) 이래 출두하지 않는다고 하여 나이토 씨와 우츠 씨의 토벌을 명분으로 아케치 미쓰히데를 단바에 파견했다. 이 무렵 조안의 동향은 불분명하지만, 미쓰히데에 의한 공격, 혹은 퇴성 권고 등에 의해 야기 성은 미쓰히데의 손에 넘어갔다고 추정된다.

2. 4. 고니시 유키나가의 가신 시절

덴쇼 13년(1585년)경 고니시 유키나가를 알게 되어 그의 가신이 되었다. 조안은 고니시 가문에서 중신으로 대우받았으며, 고니시라는 성을 하사받았다.

임진왜란과의 교섭을 담당하여 명의 수도 북경에 갔다. 이 무렵 기록된 명과 조선의 사료에는 '''소서비'''(小西飛)라고 표기되어 있는데, 이는 고니시 히다노카미(小西飛弾守)를 간략히 적은 것이다. 조선 기록에 따르면 나이토 조안의 눈에 계월향이 들었고, 계월향은 평안도 병마절도사 김응서가 평양성 탈환할 묘안을 제안하자 선뜻 받아들였다고 한다. 계월향은 일부러 적장의 애첩이 되어 김응서를 오라버니로 위장해 성 안으로 끌어들였고, 덕분에 김응서는 나이토 조안을 죽일 수 있었다고 하나, 이 부분은 출처가 불명확하다.

2. 5. 세키가하라 전투 이후

게이초 5년(1600년), 세키가하라 전투에서 주군 고니시 유키나가가 패배하고 로쿠조가와라에서 참수되자, 조안은 같은 기독교도인 히젠다이묘 아리마 하루노부의 도움으로 히라도로 도주하였다. 그 후, 가토 기요마사마에다 도시나가의 객장을 거쳐 마에다 가문의 가가번에서 생활하였다. 가가 번에는 기독교도인 다카야마 우콘도 있어서, 함께 포교 활동과 성당 건설에 힘썼다.

2. 6. 마닐라 추방과 죽음

게이초 18년(1613년) 도쿠가와 이에야스의 기독교도 추방령에 따라 다음 해인 1614년 음력 9월 24일, 동생 주리아와 다카야마 우콘과 함께 필리핀 마닐라로 추방되었다. 마닐라에서 총독과 주민들의 따뜻한 환대를 받았다.

마닐라 안트라무로스 인근에 일본인 마을을 건설해 정착했으며, 간에이 3년(1626년) 77세로 병사했다. 현재 성 빈센트 홀 성당에 그의 죽음을 알리는 십자가가 세워져 있다.

3. 가족 및 가문

나이토 조안은 덴분 19년(1550년)경 마쓰나가 나가요리를 아버지로, 나이토 구니사다의 딸을 어머니로 하여 태어났다. 아버지 나가요리는 미요시 가문의 중신 마쓰나가 히사히데의 동생으로, 단바 공략에 큰 공을 세워 야기 성을 거점으로 이 지역을 다스렸다. 나가요리는 지역의 안정적인 지배를 위해 나이토 구니사다의 딸과 결혼하여 나이토 가문의 명맥을 이었으며, 이때 나이토 무네카쓰(内藤宗勝)로 개명했다.[4]

조안의 어머니는 선종 신자였으나, 겐키 3년(1572년) 이전에 승려에게 살해당했다. 형 겐바(세례명 율리안)는 오다 노부나가의 가신 시바타 가쓰이에를 섬기다 전사했다. 조안을 지지한 일족으로는 나이토 사다노부(세례명 토마스)가 있었고, 조안과 대립한 일족으로는 나이토 사다토라가 있었다.[5]

에이로쿠 8년(1565년), 아버지 나가요리가 아카이 나오마사와의 전투 중 전사하자 어린 조안이 가독을 이었다.

4. 평가 및 영향

나이토 조안은 복잡한 정세 속에서 다양한 세력과 관계를 맺으며 자신의 신념을 지키려 노력한 인물로 평가된다. 그의 가톨릭 신앙은 단순한 종교적 귀의를 넘어, 정치적 판단과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였다. 특히 조선, 일본, , 필리핀 등 여러 국가를 오가며 펼친 외교적 활동은 주목할 만하다.

임진왜란와의 교섭을 담당하여 명의 수도 북경에도 갔다. 이 무렵 기록된 명과 조선의 사료에는 '''소서비'''(小西飛)라고 표기되어 있는데, 이는 고니시 히다노카미(小西飛弾守)를 간략히 적은 것이다. 조선 기록에 따르면 나이토 조안의 눈에 계월향이 든 후, 계월향은 평안도 병마절도사 김응서가 평양성 탈환할 묘안을 제안하자 선뜻 받아들였다고 한다. 하지만 이 부분은 출처가 불명확하다.

게이초 5년(1600년) 세키가하라 전투에서 패배한 후, 조안은 히젠다이묘 아리마 하루노부의 도움으로 히라도로 피신했다. 이후 가토 기요마사마에다 도시나가의 객장이 되어 가가번에서 생활하며, 다카야마 우콘과 함께 포교 활동과 성당 건설에 힘썼다. 그러나 1613년 도쿠가와 이에야스의 기독교도 추방령에 따라 1614년 동생 주리아, 다카야마 우콘과 함께 필리핀 마닐라로 추방되었다. 마닐라에서는 총독과 주민들의 따뜻한 환대를 받았으며, 안트라무로스 인근에 일본인 마을을 건설해 정착했다. 간에이 3년(1626년) 77세로 병사하였고, 현재 성 빈센트 홀 성당에 그의 죽음을 알리는 십자가가 세워져 있다.

5. 추가 정보

조안과 인연이 깊은 구 야기 정(현 난탄시)과 마닐라는 자매 도시 관계를 맺고 있다.

참조

[1] 문서 also misread as Yukiyasu
[2] 서적 The Imjin War: Japan's sixteenth-century invasion of Korea and attempt to conquer China https://books.google[...] Royal Asiatic Society, Korea Branch
[3] 서적 戦国武将列伝7 畿内編 下 戎光祥出版
[4] 문서 耶蘇会士日本通信
[5] 서적 明智光秀 중앙공론신사
[6] 서적 殉教―戦国キリシタン武将・内藤如安の生涯― 朝日ソノラマ
[7] 웹사이트 マニラにユスト高山右近の墓(遺骸)を求めて! https://ebible.jp/uk[...] 2023-07-30
[8] 웹사이트 姉妹提携データ http://www.clair.or.[...] 一般財団法人自治体国際化協会 2021-10-28
[9] 서적 近世初期日本関係南蛮史料の研究 風間書房
[10] 문서 João은 현재 '주앙'으로 표기하는데, '앙'의 실제 발음은 더욱 비음이 섞여 들어간다. 한편 현재 국어에서 일본어 표기법에 따라 如安(じょあん)은 '조안'이라 표기하지만, 실제 현지 발음은 '죠앙'에 가깝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