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남평 서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남평 서씨는 전라남도 나주시 남평읍을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다. 시조는 서호의 손자 서지이며, 조선 시대에 문과 급제자 4명을 배출했다. 서지는 1498년 문과에 급제하여 대사헌, 대사간, 한성부판윤, 공조판서를 역임했다. 남평 서씨는 이천 서씨에서 분파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천 서씨 족보를 통해 그 관계를 확인할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남평 서씨 - [성씨/가문]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2. 역사

서지(徐祉, 1468년 ∼ 1537년)는 남평 서씨 시조 서호(徐顥)의 손자로, 1498년(연산군 4년) 식년 문과에 급제하여 대사헌, 대사간, 한성부판윤, 공조판서 등을 역임했다.[1] 현대에 들어와 일부는 이천 서씨로 합본하여 병부상서공파라 한다.

2. 1. 시조 및 초기 역사

서지(徐祉, 1468년 ∼ 1537년)는 남평 서씨 시조 서호(徐顥)의 손자로, 1498년(연산군 4년) 식년 문과에 급제하여 대사헌, 대사간, 한성부판윤, 공조판서 등을 역임했다.[1] 현대에 들어와 일부는 이천 서씨로 합본하여 병부상서공파라 한다.

2. 2. 조선시대

서지(徐祉, 1468년 ∼ 1537년)가 1498년(연산군 4년) 식년 문과에 급제하여 대사헌, 대사간, 한성부판윤, 공조판서 등을 역임했다.[1]

남평 서씨는 조선시대 문과 급제자 4명을 배출하였다.[2]

; 문과

서지(徐祉) 서국재(徐國材) 서국정(徐國楨) 서희신(徐希信)

; 무과

서명신(徐明信) 서언길(徐彦吉) 서인길(徐仁吉) 서주(徐註)

; 생원시

서간(徐諫) 서극홍(徐克弘) 서보(徐補) 서상(徐尙) 서윤충(徐允忠)

서희서(徐希恕) 서희신(徐希信)

; 진사시

서간(徐諫) 서걸(徐傑) 서국정(徐國楨) 서귀종(徐貴宗) 서눌(徐訥)

서열(徐說) 서영(徐泳) 서진(徐鎭) 서진명(徐晉明) 서척(徐滌)

서국정(1580년 ~ 1623년): 1615년(광해군 7) 알성문과에 을과로 급제하여 1616년 예문관검열에 제수되었다. 이듬해 예문관부수찬이 되고 1618년 사간원정언·이조좌랑을 거쳐 1620년 이조정랑에 이르렀다. 이듬해 종사관이 되었다가 1623년(인조 1) 이이첨·이정원 등과의 역모사건에 연루되어 처벌을 받았다.

2. 2. 1. 주요 인물


  • 서국정(1580년 ~ 1623년): 1615년(광해군 7) 알성문과에 을과로 급제하여 1616년 예문관검열에 제수되었다. 이듬해 예문관부수찬이 되고 1618년 사간원정언·이조좌랑을 거쳐 1620년 이조정랑에 이르렀다. 이듬해 종사관이 되었다가 1623년(인조 1) 이이첨·이정원 등과의 역모사건에 연루되어 처벌을 받았다.

2. 2. 2. 과거 급제자

남평 서씨는 조선시대 문과 급제자 4명을 배출하였다.[2]

; 문과

서국재(徐國材) 서국정(徐國楨) 서지(徐祉) 서희신(徐希信)

; 무과

서명신(徐明信) 서언길(徐彦吉) 서인길(徐仁吉) 서주(徐註)

; 생원시

서간(徐諫) 서극홍(徐克弘) 서보(徐補) 서상(徐尙) 서윤충(徐允忠)

서희서(徐希恕) 서희신(徐希信)

; 진사시

서간(徐諫) 서걸(徐傑) 서국정(徐國楨) 서귀종(徐貴宗) 서눌(徐訥)

서열(徐說) 서영(徐泳) 서진(徐鎭) 서진명(徐晉明) 서척(徐滌)

2. 3. 현대

3. 분파

서문중(徐文重)은 대구 서씨 족보(大丘 徐氏 譜 – 1702년간) 서문에서 서씨(徐氏)는 애당초 두 관적(貫籍)이 없었고 뒤에 8파로 나뉘었는데, 이천(利川), 달성(達城), 대구(大丘), 장성(長城), 연산(連山), 남평(南平), 부여(扶餘), 평당(平當), 남양 서씨(南陽 徐氏), 당성 서씨(唐城 徐氏)가 그것이라고 하였다. 그는 이천의 선조는 아간공(阿干公) 서신일(徐神逸)이고, 남평의 선조는 서린(徐鱗) 대광내의령(大匡內議令, 종1품)이며, 계파를 따져 보면 모든 서씨(徐氏)가 다 이천(利川)에서 나왔고 나머지 7관(七貫)은 곧 이천(利川)의 별파라고 하였다. 또 의성(義城) 김씨(金氏)의 족보에는 서씨(徐氏)의 선조(先祖)는 기자(箕子)로부터 나왔고 신라 말년(新羅末年)의 서신일(徐神逸)이 있었고 고려 초에 서목(徐穆)이 있었으니 이천 서씨(利川徐氏)는 그 후손이요, 대구(大丘)·봉성(峯城)·남양(南陽)·당성(唐城)이 이천에서 다 같이 나뉘었으니 서신일(徐神逸)의 후손이라 한다고 기록되어 있다.

1742년 이천 서씨(利川徐氏) 문중에서 간행된 족보인 《임술보》(壬戌譜) 서문에는 “우리나라에 달성(達城), 대구(大丘), 부여(扶餘), 평당(平當), 장성(長城), 연안(延安), 전주(全州), 남평(南平), 남양 서씨(南陽 徐氏), 당성 서씨(唐城 徐氏)의 서씨(徐氏)중에 누가 아간공(阿干公)을 조상으로 해서 나뉜 자가 아니랴. 아간(阿干)공의 줄거리는 이천(利川)이다”라고 쓰여 있어, 남평 서씨(南平徐氏)가 이천 서씨(利川徐氏)의 한 갈래임을 밝히고 있다.

이천 서씨(利川徐氏)의 족보 「계미보癸未譜(1763년)」 서문에 보면, 우리나라 서씨(徐氏)는 3관(貫)이 저명한데, 이천(利川)의 시조(始祖)는 아간(阿干) 서신일(徐神逸)이고 부여(扶餘)의 시조(始祖)는 백제의 온조왕(溫祚)이며, 달성(達成)의 시조(始祖)는 소윤(少尹) 서한(徐閈)이라고 했다. 이천 서씨(利川徐氏), 달성 서씨(達城徐氏), 부여 서씨(扶餘徐氏)는 아간대부 서신일(阿干大夫 徐神逸)의 후손이라고 참찬(參贊)을 지낸 달성인(達城人) 서명응(徐命膺)이 썼다.

3. 1. 이천 서씨와의 관계

서문중(徐文重)은 대구 서씨 보(大丘 徐氏 譜 – 1702년간) 서문에서 서씨(徐氏)는 애당초 두 관적(貫籍)이 없었고 뒤에 8파로 나뉘었는데, 이천(利川), 달성(達城), 대구(大丘), 장성(長城), 연산(連山), 남평(南平), 부여(扶餘), 평당(平當), 남양 서씨(南陽 徐氏), 당성 서씨(唐城 徐氏)가 그것이라고 하였다. 그는 이천의 선조는 아간공(阿干公) 서신일(徐神逸)이고, 남평의 선조는 서린(徐鱗 대광내의령.종1품)이며, 계파를 따져 보면 모든 서씨(徐氏)가 다 이천(利川)에서 나왔고 나머지 7관(七貫)은 곧 이천(利川)의 별파라고 하였다. 또 의성(義城) 김씨(金氏)의 족보에는 서씨(徐氏)의 선조(先祖)는 기자(箕子)로부터 나왔고 신라말년(新羅末年)의 서신일(徐神逸)이 있었고 고려초에 서목(徐穆)이 있었으니 이천 서씨(利川徐氏)는 그 후손이요 대구(大丘)·봉성(峯城)·남양(南陽)·당성(唐城)이 이천에서 다 같이 나뉘었으니 서신일(徐神逸)의 후손이라 한다고 기록되어 있다.

1742년 이천 서씨(利川徐氏) 문중에서 간행된 족보인 《임술보》(壬戌譜) 서문에는 “우리나라에 달성(達城), 대구(大丘), 부여(扶餘), 평당(平當), 장성(長城), 연안(延安), 전주(全州), 남평(南平), 남양 서씨(南陽 徐氏), 당성 서씨(唐城 徐氏)의 서씨(徐氏)중에 누가 아간공(阿干公)을 조상으로 해서 나뉜 자가 아니랴. 아간(阿干)공의 줄거리는 이천(利川)이다”라고 쓰여 있어, 남평 서씨(南平徐氏)가 이천 서씨(利川徐氏)의 한 갈래임을 밝히고 있다.

이천 서씨(利川徐氏)의 족보 「계미보癸未譜(1763년)」 서문에 보면, 우리나라 서씨(徐氏)는 3관(貫)이 저명한데, 이천조(利川祖)는 아간(阿干) 서신일(徐神逸)이고 부여조(扶餘祖)는 백제의 온조왕(溫祚)이며, 달성조(達成祖)는 소윤(少尹) 서한(徐閈)이라고 했다. 이천 서씨(利川徐氏), 달성 서씨(達城徐氏), 부여 서씨(扶餘徐氏)는 아간대부 서신일(阿干大夫 徐神逸)의 후손이라고 참찬(參贊)을 지낸 달성인 서명응(達城人 徐命膺)이 썼다.

4. 본관

남평(南平)은 전라남도 나주시 남평읍 일대의 지명이다. 본래 백제의 미동부리현(未冬夫里縣)이었는데, 신라가 이 지역을 차지한 뒤에 미다부리정(未多夫里停)을 두었다. 757년(신라 경덕왕 16)에 현웅현(玄雄縣)으로 고쳐 무주(武州)에 속하게 되었다. 940년(고려 태조 23년)에 남평군(南平郡)으로 바꾸었고, 1018년(현종 9)에 나주목의 관할이 되었다. 1172년(명종 2)에 감무를 두어 독립했으나, 1390년(공양왕 2) 화순감무가 겸하여 통치하였다가 1399년에는 다시 감무를 두었다.

1413년(조선 태종 13년) 남평현이 되었다. 1896년 전라남도 남평군이 되었다가 1914년 나주군에 통합되고 1995년 나주시 남평읍으로 승격되었다.

참조

[1] 간행물 서지 한국학중앙연구원 인물
[2] 간행물 한국학중앙연구원 인물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