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대구 서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구 서씨는 고려 시대 군기소윤 서한을 시조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다. 서거정, 서성 등 조선 시대 명현들을 배출했으며, 왕실과 혼인 관계를 맺기도 했다. 감찰공파, 만사공파 등 여러 분파로 나뉘어 발전해왔다. 달성 서씨와는 족보상 시조가 다르며, 1736년 족보를 분리하면서 각자 고유의 계보를 유지하고 있다. 서씨의 분파에 대한 논란도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구 서씨 - 서명원
    서명원은 독립운동가 서재필의 종손으로, 교육학자이자 대학교수, 교육행정 관료로서 서울대학교 교수, 문교부 차관, 여러 대학교 총장을 역임하고 국가보위입법회의 입법의원, 문교부 장관, 학술회 회원, 교육개혁심의위원회 위원장 등을 지낸 인물이다.
  • 대구 서씨 - 서주석
    서주석은 서울대학교 외교학과를 졸업하고 정치학 박사 학위를 받은 대한민국의 정치학자이자 외교안보 전문가로, 한국국방연구원에서 근무하며 민주당계 정권에서 외교안보 정책 수립에 관여했고, 노무현 정부와 문재인 정부에서 각각 청와대 통일외교안보정책 수석비서관, 국방부 차관, 국가안보실 제1차장을 역임하며 남북 합의 도출에 기여했으나, 5.18 민주화운동 왜곡 활동에 참여했다는 비판도 받는다.
대구 서씨 - [성씨/가문]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성씨대구 서씨
한자大丘徐氏
관향대구광역시
시조서한(徐閈)
중시조서익진(徐益進)
나라한국
비고서씨일가연합회
대구 서씨 종문
대구 서씨의 종문
인구 통계
2015년97,866명
주요 인물
인물서의
서미성
서거광
서거정
서팽소
서팽려
서후
서고
서엄
서해
서성
서경우
서경수
서경빈
서경주
서원리
서형리
서택리
서상리
서광리
서홍리
서정리
서정리
서문중
서문유
서종태
서종제
정성왕후
서덕수
서명균
서종옥
서종급
서명응
서명선
서직수
서매수
서호수
서유대
서유린
서유방
서용보
서영보
서유구
서준보
서영순
서희순
서염순
서헌순
서대순
서당보
서상정
서상우
서정순
서상륜
서상돈
서경조
서상렬
서광범
서재필
서재창
서기순
서병호
서명원
서기원
서갑원
서중석

2. 역사

대구 서씨는 시조 서한(徐閈)이 고려조 군기소윤(軍器少尹)을 지낸 것을 시작으로 한다. 이후 계대가 실전되어 7세손 서익진(徐益進)을 중시조로 한다.

서익진의 증손자인 서거정(徐居正)은 1444년 식년 문과에 을과로 급제하여 대제학을 역임하고, 달성군(達城君)에 봉해졌으며, 좌찬성으로서 세자이사(世子貳師)를 겸하는 등 가문을 크게 일으켰다.

서거정의 형인 서거광(徐居廣)의 현손 서성(徐渻)은 1586년(선조 19) 문과에 급제하고 인조반정 후 판서를 역임하며 가문의 중흥을 이끌었다.

2. 1. 주요 가문

3. 주요 인물

대구 서씨는 고려 시대부터 조선 시대, 그리고 현대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분야에서 뛰어난 인물들을 배출해왔다.


  • 서의(徐義) (? - ?) 호조전서
  • 서미성(徐彌性) (1383년 ~ 1431년) 안주목사
  • 서거광(徐居廣) (? ~ 1459년) 언양현감
  • 서거정(徐居正) (1420년 ~ 1488년) 좌찬성, 대제학
  • 서팽소(徐彭召) (? - ?) 사헌부 장령
  • 서팽려(徐彭呂) (? - ?) 풍저창봉사
  • 서후(徐厚) (? - ?) 대사간
  • 서고(徐固) (? ~ 1550년) 예조참의
  • 서엄(徐崦) (1529년 ~ 1573년)
  • 서해(徐嶰) (1537년 ~ 1559년)
  • 서성(徐渻) (1558년 ~ 1631년) 호조판서
  • 서경우(徐景雨) (1573년 ~ 1645년) 우의정
  • 서경수(徐景需) (1575년 ~ 1646년) 증 이조판서
  • 서경빈(徐景霦) (1576년 ~ 1664년) 첨지중추부사
  • 서경주(徐景霌) (1579년 ~ 1643년) 달성위, 선조의 부마
  • 서원리(徐元履) (1596년 ~ 1663년) 함경도관찰사
  • 서형리(徐亨履) (1596년 ~ 1667년) 사재감첨정
  • 서택리(徐擇履) (1598년 ~ 1654년) 진사
  • 서상리(徐祥履) (1602년 ~ 1659년) 예조참의
  • 서광리(徐匡履) (1604년 ~ 1656년) 사헌부감찰
  • 서홍리(徐弘履) (1607년 ~ 1687년) 동지중추부사
  • 서정리(徐貞履) (1599년 ~ 1664년) 부사
  • 서정리(徐正履) (1617년 ~ 1678년) 삼척부사
  • 서문중(徐文重) (1634년 ~ 1709년) 영의정, 문과 장원
  • 서문유(徐文裕) (1651년 ~ 1707년) 예조판서
  • 서종태(徐宗泰) (1652년 ~ 1719년) 영의정, 대제학
  • 서명균(徐命均) (1680년 ~ 1745년) 좌의정
  • 서종급(徐宗伋) (1688년 ~ 1762년) 이조판서
  • 서종옥(徐宗玉) (1688년 ~ 1745년) 이조판서
  • 서명빈(徐命彬) (1692년 ~ 1763년) 이조판서
  • 서덕수(徐德修) (1694년 ~ 1722년) 증 이조참판
  • 서명신(徐命臣) (1701년 ~ 1771년) 형조판서
  • 서회수(徐晦修) (1713년 ~ 1792년) 공조판서
  • 서지수(徐志修) (1714년 ~ 1768년) 영의정
  • 서명응(徐命膺) (1716년 ~ 1787년) 이조판서, 대제학
  • 서유경(徐有慶) (1727년 ~ 1788년) 예조판서
  • 서명선(徐命善) (1728년 ~ 1791년) 영의정
  • 서매수(徐邁修) (1731년 ~ 1818년) 영의정
  • 서유대(徐有大) (1732년 ~ 1802년) 훈련대장
  • 서유녕(徐有寧) (1733년 ~ 1789년) 예조판서
  • 서유신(徐有臣) (1735년 ~ ) 대제학, 문과 장원
  • 서직수(徐直修) (1735년 ~ 1822년)
  • 서호수(徐浩修) (1736년 ~ 1799년) 이조판서
  • 서유린(徐有隣) (1738년 ~ 1802년) 이조판서, 문과 장원
  • 서유방(徐有防) (1741년 ~ 1798년) 이조판서
  • 서정수(徐鼎修) (1749년 ~ 1804년) 이조판서
  • 서영보(徐英輔) (1757년 ~ 1821년) 훈련대장
  • 서용보(徐龍輔) (1757년 ~ 1824년) 영의정
  • 서영보(徐榮輔) (1759년 ~ 1816년) 이조판서, 대제학, 문과 장원
  • 서락순(徐洛淳) (1761년 ~ 1835년) 사간원 사간
  • 서유구(徐有榘) (1764년 ~ 1845년) 이조판서, 대제학, 문과 장원
  • 서능보(徐能輔) (1769년 ~ 1835년) 이조판서, 문과 장원
  • 서준보(徐俊輔) (1770년 ~ 1856년) 이조판서, 대제학
  • 서경보(徐耕輔) (1771년 ~ 1839년) 이조판서, 문과 장원
  • 서춘보(徐春輔) (1776년 ~ 1825년) 총융사
  • 서좌보(徐左輔) (1786년 ~ 1855년) 병조판서, 문과 장원
  • 서귀보(徐龜輔) 예조판서
  • 서기순(徐箕淳) (1791년 ~ 1854년) 이조판서, 대제학, 청백리
  • 서유여(徐有畬) (1792년 ~ 1879년) 공조판서
  • 서영순(徐英淳) (1793년 ~ 1854년) 형조판서
  • 서희순(徐熹淳) (1793년 ~ 1857년) 이조판서
  • 서유훈(徐有薰) (1795년 ~ 1862년) 이조판서
  • 서염순(徐念淳) (1800년 ~ 1859년) 판의금부사
  • 서헌순(徐憲淳) (1801년 ~ 1868년) 판의금부사
  • 서상오(徐相五) (1801년 ~ 1857년) 어영대장
  • 서유영(徐有英) (1801년 ~ 1874년) 금계필담 저자
  • 서원순(徐元淳) (1805년 ~ ) 예조판서
  • 서대순(徐戴淳) (1805년 ~ 1871년) 예조판서
  • 서당보(徐堂輔) (1806년 ~ 1883년) 영의정
  • 서경순(徐璟淳) (1808년 ~ ) 이조판서
  • 서형순(徐衡淳) (1813년 ~ 1893년) 이조판서
  • 서상정(徐相鼎) (1813년 ~ 1876년) 병조판서
  • 서승보(徐承輔) (1814년 ~ ) 형조판서
  • 서상우(徐相雨) (1831년 ~ 1903년) 예조판서, 문과 장원
  • 서정순(徐正淳) (1835년 ~ 1908년) 예조판서
  • 서봉순(徐鳳淳) 좌포도대장
  • 서경순(徐景純) 이조판서
  • 서진순(徐瑨淳) 이조판서
  • 서상륜(徐相崙) (1848년 ~ 1926년) 선교사
  • 서상돈(徐相敦) (1850년 ~ 1913년)
  • 서경조(徐景祚) (1852년 ~ 1938년) 목회자
  • 서상렬(徐相烈) (1854년 ~ 1896년) 항일의병장
  • 서광범(徐光範) (1859년 ~ 1897년) 법부대신
  • 서재필(徐載弼) (1864년 ~ 1951년)
  • 서재창(徐載昌) (1866년 ~ 1884년)

3. 1. 고려

3. 2. 조선

서의(徐義)는 호조전서를 지냈다. 그의 아들 서미성(徐彌性)은 안주목사를 역임했다. 서미성의 아들 서거광(徐居廣)은 언양현감을 지냈고, 서거정(徐居正)은 좌찬성과 대제학을 역임했으며 권근의 외손이다. 서거광(徐居廣)의 아들로는 사헌부장령을 지낸 서팽소(徐彭召)와 풍저창봉사를 지낸 서팽려(徐彭呂)가 있었다.

서팽소(徐彭召)의 아들 서후(徐厚)는 대사간을 지냈고, 서고(徐固)는 예조참의를 지냈다. 서고(徐固)의 아들 서엄(徐崦)은 1529년에 태어나 1573년에 사망했고, 서해(徐嶰)는 1537년에 태어나 1559년에 사망했다.

서해(徐嶰)의 아들 서성(徐渻)은 1558년에 태어나 1631년에 사망했으며, 호조판서를 지냈고 서거정의 형인 서거광(徐居廣)의 현손이다. 서성(徐渻)의 아들 서경우(徐景雨)는 1573년에 태어나 1645년에 사망했고 우의정을 지냈으며, 서경수(徐景需)는 1575년에 태어나 1646년에 사망했고 증 이조판서를 지냈다. 서경빈(徐景霦)은 1576년에 태어나 1664년에 사망했고 첨지중추부사를 지냈다. 서경주(徐景霌)는 1579년에 태어나 1643년에 사망했고 달성위로 선조의 부마였다.

서경우(徐景雨)의 아들 서원리(徐元履)는 1596년에 태어나 1663년에 사망했고 함경도관찰사를 지냈다. 서경수(徐景需)의 아들 서형리(徐亨履)는 1596년에 태어나 1667년에 사망했고 사재감첨정을 지냈으며, 서택리(徐擇履)는 1598년에 태어나 1654년에 사망했고 진사를 지냈다. 서상리(徐祥履)는 1602년에 태어나 1659년에 사망했고 예조참의를 지냈으며, 서광리(徐匡履)는 1604년에 태어나 1656년에 사망했고 사헌부감찰을 지냈다. 서홍리(徐弘履)는 1607년에 태어나 1687년에 사망했고 동지중추부사를 지냈다.

서경빈(徐景霦)의 아들 서정리(徐貞履)는 1599년에 태어나 1664년에 사망했고 부사를 지냈으며, 서정리(徐正履)는 1617년에 태어나 1678년에 사망했고 삼척부사를 지냈다. 서정리(徐貞履)의 아들 서문중(徐文重)은 1634년에 태어나 1709년에 사망했고 영의정을 지냈으며 문과에 장원 급제했다. 서원리(徐元履)의 양자로 들어갔다. 서문유(徐文裕)는 1651년에 태어나 1707년에 사망했고 예조판서를 지냈으며, 선조의 부마 서경주(徐景霌)의 손자이다.

서문중(徐文重)의 아들 서종태(徐宗泰)는 1652년에 태어나 1719년에 사망했고 영의정과 대제학을 지냈으며, 선조의 부마 서경주(徐景霌)의 증손이다. 서명균(徐命均)은 1680년에 태어나 1745년에 사망했고 서종태(徐宗泰)의 아들이며 좌의정을 지냈다. 서종급(徐宗伋)은 1688년에 태어나 1762년에 사망했고 이조판서를 지냈으며, 선조의 부마 서경주(徐景霌)의 현손이다. 서종옥(徐宗玉)은 1688년에 태어나 1745년에 사망했고 이조판서를 지냈다. 서명빈(徐命彬)은 1692년에 태어나 1763년에 사망했고 서종태(徐宗泰)의 아들이며 이조판서를 지냈다. 서덕수(徐德修)는 1694년에 태어나 1722년에 사망했고 증 이조참판을 지냈으며, 서명백(徐命伯)의 아들이다.

서명신(徐命臣)은 1701년에 태어나 1771년에 사망했고 형조판서를 지냈으며, 서종수(徐宗秀)의 아들이고 선조의 부마 서경주(徐景霌)의 현손이다. 서회수(徐晦修)는 1713년에 태어나 1792년에 사망했고 공조판서를 지냈으며, 서명순(徐命純)의 아들이고 서종태(徐宗泰)의 손자이다. 서지수(徐志修)는 1714년에 태어나 1768년에 사망했고 영의정을 지냈으며, 서명균(徐命均)의 아들이다. 서명응(徐命膺)은 1716년에 태어나 1787년에 사망했고 이조판서와 대제학을 지냈으며, 서종옥(徐宗玉)의 아들이다. 서유경(徐有慶)은 1727년에 태어나 1788년에 사망했고 예조판서를 지냈으며, 서인수(徐仁修)의 아들이고 서종제(徐宗悌)의 증손이다. 서명선(徐命善)은 1728년에 태어나 1791년에 사망했고 영의정을 지냈으며, 서종옥(徐宗玉)의 아들이다.

서매수(徐邁修)는 1731년에 태어나 1818년에 사망했고 영의정을 지냈으며, 서명원(徐命元)의 아들이고 선조의 부마 서경주(徐景霌)의 5대손이다. 서유대(徐有大)는 1732년에 태어나 1802년에 사망했고 훈련대장을 지냈으며, 서일수(徐逸修)의 아들이다. 서유녕(徐有寧)은 1733년에 태어나 1789년에 사망했고 예조판서를 지냈으며, 서신수(徐信修)의 양자이자 서인수(徐仁修)의 아들이고 서종제(徐宗悌)의 증손이다. 서유신(徐有臣)은 1735년에 태어나 대제학을 지냈고 문과에 장원 급제했으며, 서지수(徐志修)의 아들이다. 서직수(徐直修)는 1735년에 태어나 1822년에 사망했고 서명인(徐命仁)의 아들이며, 서명균(徐命均)의 조카이다. 서호수(徐浩修)는 1736년에 태어나 1799년에 사망했고 이조판서를 지냈으며, 서명익(徐命翼)의 양자이자 서명응(徐命膺)의 아들이고 서종옥(徐宗玉)의 손자이다.

서유린(徐有隣)은 1738년에 태어나 1802년에 사망했고 이조판서를 지냈으며 문과에 장원 급제했고, 서효수(徐孝修)의 아들이다. 서유방(徐有防)은 1741년에 태어나 1798년에 사망했고 이조판서를 지냈으며, 서효수(徐孝修)의 아들이다. 서정수(徐鼎修)는 1749년에 태어나 1804년에 사망했고 이조판서를 지냈으며, 서명전(徐命全)의 아들이고 선조의 부마 서경주(徐景霌)의 5대손이다. 서영보(徐英輔)는 1757년에 태어나 1821년에 사망했고 훈련대장을 지냈으며, 서유대(徐有大)의 양자이자 서유상(徐有常)의 아들이다. 서용보(徐龍輔)는 1757년에 태어나 1824년에 사망했고 영의정을 지냈으며, 서유녕(徐有寧)의 아들이다. 서영보(徐榮輔)는 1759년에 태어나 1816년에 사망했고 이조판서와 대제학을 지냈으며 문과에 장원 급제했고, 서유신(徐有臣)의 아들이다.

서락순(徐洛淳)은 1761년에 태어나 1835년에 사망했고 사간원 사간을 지냈으며, 서성제(徐聖躋)의 아들이고 서팽려(徐彭呂)의 후손이다. 서유구(徐有榘)는 1764년에 태어나 1845년에 사망했고 이조판서와 대제학을 지냈으며 문과에 장원 급제했고, 서호수(徐浩修)의 아들이다. 서능보(徐能輔)는 1769년에 태어나 1835년에 사망했고 이조판서를 지냈으며 문과에 장원 급제했고, 서유경(徐有慶)의 아들이다. 서준보(徐俊輔)는 1770년에 태어나 1856년에 사망했고 이조판서와 대제학을 지냈으며, 서유린(徐有隣)의 양자이자 서유방(徐有防)의 아들이다. 서경보(徐耕輔)는 1771년에 태어나 1839년에 사망했고 이조판서를 지냈으며 문과에 장원 급제했고, 서유로(徐有老)의 양자이자 서유신(徐有臣)의 아들이다. 서춘보(徐春輔)는 1776년에 태어나 1825년에 사망했고 총융사를 지냈으며, 서유후(徐有後)의 아들이고 서지수(徐志修)의 손자이다.

서좌보(徐左輔)는 1786년에 태어나 1855년에 사망했고 병조판서를 지냈으며 문과에 장원 급제했고, 서유문(徐有聞)의 아들이다. 서귀보(徐龜輔)는 예조판서를 지냈고, 서유녕(徐有寧)의 아들이며 서종제(徐宗悌)의 증손이다. 서기순(徐箕淳)은 1791년에 태어나 1854년에 사망했고 이조판서와 대제학을 지냈으며 청백리에 선정되었고, 서영보(徐榮輔)의 아들이다. 서유여(徐有畬)는 1792년에 태어나 1879년에 사망했고 공조판서를 지냈다. 서영순(徐英淳)은 1793년에 태어나 1854년에 사망했고 형조판서를 지냈으며, 서경보(徐耕輔)의 아들이고 서종제(徐宗悌)의 5대손이다. 서희순(徐熹淳)은 1793년에 태어나 1857년에 사망했고 이조판서를 지냈으며, 서응보(徐應輔)의 아들이고 서유녕(徐有寧)의 손자이다. 서유훈(徐有薰)은 1795년에 태어나 1862년에 사망했고 이조판서를 지냈으며, 서기수(徐淇修)의 아들이고 서문유(徐文裕)의 현손이다.

서염순(徐念淳)은 1800년에 태어나 1859년에 사망했고 판의금부사를 지냈으며, 서공보(徐恭輔)의 양자이자 서춘보(徐春輔)의 아들이다. 서헌순(徐憲淳)은 1801년에 태어나 1868년에 사망했고 판의금부사를 지냈으며, 서기보(徐基輔)의 아들이고 서지수(徐志修)의 증손이다. 서상오(徐相五)는 1801년에 태어나 1857년에 사망했고 어영대장을 지냈으며, 서봉순(徐鳳淳)의 아들이다. 서유영(徐有英)은 1801년에 태어나 1874년에 사망했고 금계필담을 저술했으며, 서경주(徐景霌)의 6대손이다. 서원순(徐元淳)은 1805년에 태어나 예조판서를 지냈고, 서좌보(徐左輔)의 아들이다. 서대순(徐戴淳)은 1805년에 태어나 1871년에 사망했고 예조판서를 지냈으며, 서용보(徐龍輔)의 양자이자 서응보(徐應輔)의 아들이다. 서당보(徐堂輔)는 1806년에 태어나 1883년에 사망했고 영의정을 지냈으며, 서유돈(徐有敦)의 아들이고 서명균(徐命均)의 증손이다.

서경순(徐璟淳)은 1808년에 태어나 이조판서를 지냈고, 서선보(徐善輔)의 아들이며 서유증(徐有曾)의 손자이다. 서형순(徐衡淳)은 1813년에 태어나 1893년에 사망했고 이조판서를 지냈으며, 서장보(徐長輔)의 양자이자 서홍보(徐鴻輔)의 아들이다. 서상정(徐相鼎)은 1813년에 태어나 1876년에 사망했고 병조판서를 지냈으며, 서호순(徐灝淳)의 아들이고 서귀보(徐龜輔)의 손자이다. 서승보(徐承輔)는 1814년에 태어나 형조판서를 지냈고, 서유여(徐有畬)의 아들이다. 서상우(徐相雨)는 1831년에 태어나 1903년에 사망했고 예조판서를 지냈으며 문과에 장원 급제했고, 서경순(徐慶淳)의 아들이며 서유풍(徐有豊)의 증손이다. 서정순(徐正淳)은 1835년에 태어나 1908년에 사망했고 예조판서를 지냈으며, 서긍보(徐兢輔)의 아들이고 서명균(徐命均)의 현손이다. 서봉순(徐鳳淳)은 좌포도대장을 지냈고, 서영보(徐英輔)의 아들이다. 서경순(徐景純)은 이조판서를 지냈다. 서진순(徐瑨淳)은 이조판서를 지냈다.

서상륜(徐相崙)은 1848년에 태어나 1926년에 사망했고 선교사였으며, 서석순(徐奭淳)의 아들이다. 서상돈(徐相敦)은 1850년에 태어나 1913년에 사망했고, 서철순(徐哲淳)의 아들이다. 서경조(徐景祚)는 1852년에 태어나 1938년에 사망했고 목회자였으며, 서석순(徐奭淳)의 아들이다. 서상렬(徐相烈)은 1854년에 태어나 1896년에 사망했고 항일의병장이었으며, 서진순(徐進淳)의 아들이다. 서광범(徐光範)은 1859년에 태어나 1897년에 사망했고 법부대신을 지냈으며, 서상익(徐相翊)의 아들이고 서대순(徐戴淳)의 손자이자 서용보(徐龍輔)의 증손이다. 서재필(徐載弼)은 1864년에 태어나 1951년에 사망했고, 서광효(徐光孝)의 아들이다. 서재창(徐載昌)은 1866년에 태어나 1884년에 사망했고, 서광효(徐光孝)의 아들이다.

3. 3. 근현대

4. 왕실과의 인척 관계

대구 서씨는 조선 왕실과 여러 차례 혼인 관계를 맺었다. 선조의 옹주인 정신옹주는 서경주(徐景霌)와 혼인하였다. 영조정성왕후도 대구 서씨이다.

5. 분파

대구 서씨는 여러 분파로 나뉘어 발전해왔다. 주요 분파로는 감찰공파(監察公派), 만사공파(晩沙公派), 전첨공파(典籤公派), 첨추공파(僉樞公派), 도위공파(都尉公派), 봉사공파(奉事公派), 서흥파(瑞興派), 사가공파(四佳公派), 춘헌공파(春軒公派), 승사랑공파(承仕郞公派), 장원공파(掌苑公派), 훈련봉사공파(訓鍊奉事公派), 배산파, 충렬공파 등이 있다.

6. 달성 서씨와의 관계

달성 서씨와 대구 서씨는 족보상 시조가 다르다. 달성 서씨는 고려 판도판서(版圖判書) 서진(徐晋)을 시조로 하고, 대구 서씨는 고려 군기소윤(軍器少尹) 서한(徐閈)을 시조로 한다. 달성 서씨와 대구 서씨는 근원이 같다고 추측되지만 분파된 시기와 계대를 확실히 고증할 수 없다. 진위 이씨(振威李氏) 대동보(大同譜)에는 달성서씨(達城徐氏) 시조 서진(徐晋)의 부친인 서무질(徐無疾)이 고려(高麗) 고종조(高宗朝) 정순대부(正順大夫) 예의판서(禮儀判書)와 검교장군(檢校將軍)을 지낸 진위군(振威君) 진위 이씨(振威李氏) 이자영(李自英)의 사위이며, 밀직사(密直司) 종2품을 지낸 대구인(大邱人)이고 그의 부친(父)은 판군기감(判軍器監)이라고 기록하고 있다.

달성 서씨는 판도공파 또는 향파(鄕派)라 하고, 대구 서씨는 소윤공파 또는 경파(京派)라 한다. 두 파는 1702년(숙종 28년)에 처음으로 족보를 함께 하여 임오보(壬午譜)를 만들었으나, 1736년(영조 12년) 경파(京派)만이 단독 족보를 만들어 대구 서씨로 갈라섬으로써 양측은 족보를 달리하게 되었다. 임오보에서 판도공파 계보 서두에 "版圖公派亦系達城必是同貫而世代已遠譜牒無徵未能明知故不敢渾錄於本譜姑爲別譜以附篇末(같은 관향인데 세대가 멀고 보첩으로 증명할 수 없어 능히 알지 못하므로 본보에 섞어서 기록하지 못하고 별보로 하여 책 끝에 붙인다)"라고 기록하였다. 과거 본관 혼용으로 인해 호적상 혼란이 있기도 했지만, 현재는 양측 모두 각자의 본관을 명확히 구분하고 있다.

7. 서씨 분파 논란

서문중대구 서씨 보(大丘 徐氏 譜 – 1702년간) 서문에서 서씨는 애당초 두 관적(貫籍)이 없었고 뒤에 이천, 달성, 대구, 장성, 연산, 남평, 부여, 평당, 남양, 당성 등 8파로 나뉘었다고 주장했다. 그는 분파된 이유는 문헌에 증거가 없어 알 수 없으나, 모든 서씨가 이천 서씨에서 나왔고 나머지 7관은 이천의 별파라고 주장했다. 또한, 의성 김씨 족보를 인용하며 서씨의 선조는 기자로부터 나왔고, 이천 서씨서신일의 후손이며, 대구, 봉성, 남양, 당성이 모두 이천에서 나뉘었다고 설명했다.

1742년 이천 서씨 문중에서 간행된 족보인 《임술보》(壬戌譜) 서문에는 "우리나라의 달성, 대구, 부여, 평당, 장성, 연안, 전주, 남평, 남양, 당성 서씨는 모두 아간공을 조상으로 해서 나뉜 자들이며, 아간공의 줄거리는 이천이다"라는 기록이 있다.

이천 서씨의 족보 「계미보癸未譜(1763년)」 서문에는 서명응이천 서씨, 달성 서씨, 부여 서씨가 모두 서신일의 후손이라고 쓴 내용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주장은 각 서씨 분파 간의 관계를 명확히 설명하지 못한다는 비판도 존재한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