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내해는 육지로 거의 또는 완전히 둘러싸인 수역으로, 특히 크거나 염수로 구성된 경우를 의미한다. 해양법은 내해에 적용되지 않으며, 주변 육지의 형태에 따라 만, 연해, 지중해 등으로 불린다. 현대에는 해수면이 낮아 내해가 드물지만, 과거 지질 시대에는 해수면 상승으로 인해 대륙 내부가 침수되어 광범위하게 존재했다. 대표적인 현대의 내해로는 마르마라해, 발트해, 허드슨만, 세토 내해, 카스피해가 있으며, 과거에는 서부 내륙 수로, 파타고니아 내해 등이 있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내해 | |
---|---|
정의 | |
정의 | 대륙 지역 내의 얕은 바다 |
영어 명칭 | Inland sea (인랜드 씨), Epeiric sea (이피어릭 씨) |
설명 | |
특징 | 대륙 지각 위에 형성된 얕은 바다를 의미하며, 지질학적 역사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
예시 | 과거의 북아메리카 서부 내해, 현재의 허드슨만, 발트해, 남중국해, 페르시아만 등이 있다. |
관련 연구 | |
연구 | 고생대와 중생대의 이피어릭 해양에서 조류 순환 패턴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었다. |
2. 정의
"내해"를 구성하는 요소는 복잡하며 다소 모호하다.[2] 미국 수로국은 내해를 "육지로 거의 또는 완전히 둘러싸인 수역, 특히 매우 크거나 염수로 구성된 경우"로 정의했다.[3]
현대에는 대륙이 높게 솟아 있고, 해수면이 낮아 내해는 거의 없다.
지질학적 관점에서 내해는 매우 큰 호수와 유사하며,[2] 바다와 "대략" 차단되거나,[4][10] 반폐쇄적이거나,[10] 해협 또는 "바다의 팔"로 바다와 연결될 수 있다.[4] 내해는 만이 바다와 직접 연결되어 있다는 점에서 만과 구별된다.[4]
"대륙붕해"라는 용어는 대륙붕 위에 있는 얕은 수역을 의미하며, 내해와 동의어로 사용되기도 한다.[8] 이는 지질학적 용어가 아닌 법적 용어이기도 하다.[9] 해양법은 내해에 적용되지 않는다.[11]
주변 육지 형태에 따라 내해는 다르게 불린다. 주머니 모양으로 육지 안으로 들어간 수역은 "만", 대륙과 섬 또는 반도에 둘러싸인 수역은 "연해", 대륙에 둘러싸인 수역은 "지중해"라고 부른다. 내해는 단층, 분지의 침강 등에 의해 형성된다.
일본의 세토 내해는 영어로 ''Inland Sea'' (보통 명사인 "내해"는 소문자로 ''inland sea'')라고 불린다.
인문학적인 관점에서 보면 내해는 사람들의 왕래를 방해하지 않으며, 양쪽 해안의 교류는 외해보다 활발하다.
세계에서 가장 큰 호수인 카스피 해는 염호이며 그 크기 때문에 이름에 "해"가 붙어 있지만, 해협으로 바다와 연결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해양법에 관한 국제 연합 조약에서의 바다로 인정되지 않는다. 그러나 동해 바닥에서 석유 자원이 발견된 후, 카자흐스탄과 아제르바이잔은 카스피 해를 내해라고 주장하고 있다.
3. 현대의 내해
오대호는 완전히 담수임에도 불구하고, 미국 지질조사국(USGS)의 관리적 관점에서 내해와 유사하거나 내해와 같은 특징을 가지고 있다고 언급되어 왔다.[15][16]
최근(1만 년 미만)에 다시 물에 잠긴 페르시아만과 현재 순다 선반을 덮고 있는 남중국해도 현대의 내해로 볼 수 있다.
3. 1. 마르마라 해
마르마라해는 오늘날 터키에 위치하며, 터키 해협인 보스포러스 해협과 다르다넬스 해협이 연결되는 곳을 제외하고는 사방이 육지로 둘러싸여 있다.[12]
3. 2. 발트 해
발트해는 기수(염분 농도가 낮은 물)로 이루어진 내해로, 세계에서 가장 큰 기수 수역 중 하나이다. 백해와 흑해 북부도 기수로 이루어진 내해의 예시이다.[12] 발트해 분지의 지질학의 기원은 침식과 구조론의 역할에 대한 다양한 견해가 있어 명확하지 않다.[13]
3. 3. 허드슨 만
허드슨만은 북아메리카 대륙에 있는 만으로, 남쪽 끝에 있는 제임스만을 포함하여 북쪽의 배핀섬 누나부트에서 남쪽의 퀘벡, 온타리오 및 매니토바까지 뻗어 있다. 이 만은 펜노스칸디아의 보트니아만과 몇 가지 유사점을 공유하는데, 방패 한가운데에 위치하고 있으며 제4기 빙하기 동안 빙상의 중심이었다는 점이다. 그러나 두 만의 기원은 빙하 침식과는 관련이 없다.[14]
3. 4. 세토 내해
일본의 세토 내해는 진정한 내해가 아니지만, 일본의 4대 주요 섬 중 3개인 혼슈, 시코쿠, 큐슈를 분리하는 수역이다.[14] 일본에서는 내해가 인적 교류를 활발하게 하는 공간으로 인식된다.
3. 5. 카스피 해
카스피 해는 세계에서 가장 큰 호수이자 염호이며, 그 크기 때문에 '바다'라는 명칭이 붙었다.[12] 하지만, 해협으로 바다와 연결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해양법에 관한 국제 연합 조약에서는 바다로 인정되지 않는다. 그러나 카스피 해 해저에서 석유 자원이 발견된 후, 연안 국가 간의 영유권 분쟁이 발생하고 있다. 카스피 해가 호수라고 하면 연안 국가의 이권이 평등해지기 때문에, 연안에 넓은 영토를 가진 카자흐스탄과 아제르바이잔은 카스피 해를 내해라고 주장하며 자국 영토의 이권을 주장하고 있다.
4. 과거의 내해
지질학적 과거에는 해수면이 높아 현재보다 내해가 더 광범위하게 존재했다.
- 과거세와 마이오세 초기에 파타고니아 지역은 해침을 겪었다.
- 백악기에는 서부 내륙 수로가 멕시코만에서 현재의 캐나다까지 뻗어 있었고, 프랑스 북부와 독일 북부 저지대 평원 대부분이 내륙해에 잠겨 있었다.
- 아마존강 유역에는 안데스 산맥 융기로 인해 거대한 내륙해가 형성되었다가 점차 담수호와 습지로 변화했다.
- 백악기 동안 호주에는 에로망가 해가 존재했다.
4. 1. 파타고니아 내해
과거세와 마이오세 초기에 파타고니아의 넓은 지역이 해침을 겪었다. 라 카스카다 지층에서 대서양과 태평양 기원의 해양 무척추동물 화석이 발견된 것으로 미루어 볼 때, 이 해침은 일시적으로 태평양과 대서양을 연결했을 수 있다.[17][18] 이 연결은 하천 침식으로 형성된 좁은 대륙해수로를 통해 발생했을 것이다.[17][19]4. 2. 서부 내륙 수로
서부 내륙 수로는 백악기 동안 멕시코만에서 현재의 캐나다까지 뻗어 있던 광대한 내륙해였다.4. 3. 프랑스-독일 북부 내해
백악기 시대에 오늘날 프랑스 북부와 독일 북부의 저지대 평원 대부분은 내륙해에 잠겨 있었으며, 이곳에 백악기 시대의 이름을 부여한 백악(석회암)이 퇴적되었다.[20]4. 4. 아마존 내해
아마존강은 원래 태평양으로 흘러갔으나, 남아메리카가 아프리카에서 갈라진 후 약 1,500만 년 전 안데스 산맥이 융기하면서 출구가 막혔다. 그 결과 거대한 내륙해가 형성되었으며, 이 내륙해는 때때로 현재의 베네수엘라를 통해 북쪽으로 물이 빠져나가다가, 현재와 같이 동쪽의 남대서양으로 흐르게 되었다. 시간이 지나면서 이 내륙해는 거대한 담수호와 습지로 변했고, 퇴적물이 쌓여 호수 바닥이 평평해지면서 해양 생물들은 담수 환경에 적응하게 되었다. 현재 아마존의 담수에는 태평양에서 발견되는 종들과 유전적으로 가까운 20종 이상의 가오리가 서식하고 있으며, 아마존강 돌고래의 서식지이기도 하다. 2005년에는 페루 북부 아마존 열대 우림에서 몸길이 약 14.02m로 추정되는 거대한 악어 화석이 발견되기도 했다.[20]4. 5. 에로망가 해
백악기 동안 호주 동쪽 절반의 넓은 지역을 덮었던 내해였다.[21] 1820년대와 1830년대에 호주 내륙 탐험의 주요 동기 중 하나는 내해의 존재 가능성이었으나, 이는 찰스 스터트 등 일부 탐험가들만 지지했다.[22]참조
[1]
논문
Tidal circulation patterns in Precambrian, Paleozoic, and Cretaceous epeiric and mioclinal shelf seas
https://pubs.geoscie[...]
1978-07-01
[2]
서적
Elements of Engineering Geology
https://books.google[...]
J. Wiley & Sons
1947
[3]
서적
Navigation Dictionary
https://books.google[...]
Supintendent of Documents
1956
[4]
서적
Protecting the Gulf of Aqaba: A Regional Environmental Challenge
https://books.google[...]
Environmental Law Institute
1994
[5]
서적
Dynamics of Epeiric Seas
Geological Association of Canada
2007
[6]
서적
Academic Press Dictionary of Science and Technology
https://books.google[...]
Academic Press
1992
[7]
서적
Dictionary of Geophysics, Astrophysics, and Astronomy
https://books.google[...]
CRC Press
2020
[8]
서적
A Dictionary of Geography
https://books.google[...]
Aldine Transaction
2008
[9]
서적
The Changing Law of the Sea: Western Hemisphere Perspectives
https://books.google[...]
Sijthoff
1974
[10]
서적
Environmental Science: Understanding, Protecting, and Managing the Environment in the Baltic Sea Region
https://books.google[...]
Baltic University Press
2003
[11]
서적
Governance of Seas and Oceans
https://books.google[...]
Wiley
2015
[12]
웹사이트
Baltic Sea Portal
http://www.fimr.fi/e[...]
[13]
서적
The Baltic Sea Basin
Springer
2011
[14]
논문
A long-term perspective on glacial erosion
1997
[15]
논문
Transport and Mixing Between the Coastal and Offshore Waters in the Great Lakes: a Review
https://www.scienced[...]
2007-01-01
[16]
웹사이트
Great Lakes and Inland Seas {{!}} U.S. Geological Survey
https://www.usgs.gov[...]
2023-02-06
[17]
논문
Geochronologic and paleontologic evidence for a Pacific–Atlantic connection during the late Oligocene–early Miocene in the Patagonian Andes (43–44°S)
2014
[18]
논문
Cenozoic Strombidae, Aporrhaidae, and Struthiolariidae (Gastropoda, Stromboidea) from Chile: their significance to biogeography of faunas and climate of the south-east Pacific
2005
[19]
논문
Neogene uplift of central eastern Patagonia: Dynamic response to active spreading ridge subduction?
2009
[20]
뉴스
Peru finds giant crocodile fossil in Amazon
http://www.dailytime[...]
2005-09-12
[21]
서적
Prehistoric marine life in Australia's inland sea
http://worldcat.org/[...]
Museum Victoria
2015-08
[22]
서적
The Water Dreamers: How Water and Silence Shaped Australia
Text Publishing
[23]
논문
Tidal circulation patterns in Precambrian, Paleozoic, and Cretaceous epeiric and mioclinal shelf seas
https://pubs.geoscie[...]
1978-07-01
[24]
서적
Dynamics of Epeiric Seas
Geological Association of Canada
200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