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네멘치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네멘치네는 리투아니아 네멘차 강에서 유래된 지명을 가진 마을로, 역사적으로 다양한 이름으로 불렸다. 10~14세기에 리투아니아 목조 성과 언덕이 있었고, 1387년 기독교 교구가 설립되었다. 1941년에는 유대인 집단 학살이 있었으며, 1971년 기념비가 세워졌다. 현재 폴란드인을 중심으로 다양한 민족이 거주하며, 바이애슬론 경기장이 운영되고 있다. 벤고제보, 에우크, 수바우키 등 폴란드의 도시들과 자매 결연을 맺고 있으며, 작곡가 아나톨리유스 쉔데로바스 등이 네멘치네 출신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스트루베 측지 아크 - 타르투
    타르투는 에스토니아 남동부에 위치한 도시로, 교육과 문화의 중심지로 발전하여 러시아 제국과 소련의 지배를 거쳐 에스토니아 독립 후 현대적인 도시로 변화하고 있으며, 국제적인 행사도 개최되는 에스토니아의 중요한 문화적, 경제적 중심지이다.
  • 스트루베 측지 아크 - 하파란다
    하파란다는 스웨덴 북부에 위치하며 핀란드 토르니오와 국경을 접하고, 유로시티를 형성하여 경제적, 사회적으로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스웨덴과 핀란드의 철도 시스템을 연결하는 통로이다.
  • 리투아니아의 도시 - 빌뉴스
    빌뉴스는 리투아니아의 수도이자 최대 도시로, 빌니아 강과 네리스 강 합류 지점에 위치하며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된 구시가지와 다양한 문화, 활발한 경제 활동을 특징으로 하는 현대 유럽 도시이다.
  • 리투아니아의 도시 - 비사기나스
    비사기나스는 리투아니아에 위치한 도시로, 과거 이그나리나 원자력발전소에 경제적으로 의존했으나 현재는 산업 다변화를 추구하며 다양한 민족과 종교가 공존하고 여러 도시와 자매결연을 맺고 있다.
네멘치네 - [지명]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도시 중심부의 마리아 조각상과 교회
도시 중심부의 마리아 조각상과 교회
기본 정보
공식 명칭네멘치네
다른 이름Niemenczyn (폴란드어)
발음(발음 듣기: [[파일:Nemencine.ogg|Nemencine.ogg]])
위치리투아니아
민족지학적 지역주키야
빌뉴스 군
지방 자치체빌뉴스 지구 지방 자치체
읍면네멘치네 읍면
수도네멘치네 읍면
역사
최초 언급14세기
도시 권한 부여1955년
지리
면적5km²
인구 통계
총 인구 (2022년)4,582명
인구 밀도916명/km²
시간대
시간대EET (UTC+2)
하계 시간EEST (UTC+3)
기타

2. 명칭

''네멘치네''는 역사적 문서에 반영된 이 마을의 원래 이름이며, 오늘날까지 사용되고 있다.[1] 이 이름은 리투아니아어로 네멘차 강을 가리키는 단어에서 유래되었다.[1] 이 외에도 이름의 다른 변형으로는 폴란드어의 Niemenczyn|니엠엔친pol, 벨라루스어의 Неменчын|네멘친bel, 러시아어의 Неменчине|네멘치네rus(또는 Нямянчине|냐먄치네rus), 독일어의 Nementschine|네멘츠신deu, 이디시어의 Nementchin|네멘친yid이 있다.

3. 역사

네멘치네는 중세 시대 리투아니아의 목조 성과 언덕 요새를 중심으로 형성된 오랜 역사를 가진 지역이다.[1] 1387년 리투아니아의 기독교화 이후 요가일라 대공은 이곳에 첫 기독교 교구를 설립하고 교회를 세웠다.[1][2] 이후 리투아니아 대공국의 주요 귀족 영지를 거쳐 1554년 읍(town)의 지위를 얻었으며,[1] 1613년 제작된 리투아니아 대공국 지도에도 기록되었다.[1][3] 제2차 세계 대전 시기인 1941년에는 나치 독일의 아인자츠그루펜과 현지 협력자들에 의해 400명이 넘는 유대인 주민이 집단 학살되는 비극을 겪었으며,[1][4] 1971년 학살 현장에 추모 기념비가 세워졌다.[1]

3. 1. 초기 역사

1613년 리투아니아 대공국 지도 조각. 수도 빌뉴스(Vilna) 북쪽에 네멘치네(Niemenizijina)가 표시되어 있다.


10세기부터 14세기 사이에 네멘치네에는 리투아니아의 목조 성과 언덕 요새가 있었다. 이 성을 중심으로 취락이 형성되기 시작했다. 1387년 리투아니아의 기독교화 이후, 요가일라 대공은 네멘치네에 첫 기독교 교구를 설립하고 교회를 세웠다.

1434년 문서에는 카지미에르 4세 야기에우워가 리투아니아 대공국을 통치하던 시기, 당시 가장 영향력 있는 리투아니아 귀족 가문 중 하나였던 안드리어스 사카이티스가 네멘치네를 자신의 영지로 기록했다는 내용이 나온다. 1554년에는 볼로크 개혁 이후 읍(town)의 권리를 얻었다.

1613년에는 암스테르담에서 인쇄된 리투아니아 대공국 지도인 ''Magni Ducatus Lithuaniae, et Regionum Adiacentium exacta Descriptio|마그니 두카투스 리투아니아이, 에트 레기오눔 아디아첸티움 엑삭타 데스크립티오la''에 네멘치네가 표시되었다. 이 지도는 리투아니아 귀족이자 유력자인 미칼로유스 크리스투파스 라드빌라 나스라잇엘리스의 후원으로 제작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인 1941년 9월 20일, 이 지역에 거주하던 유대인 403명이 홀로코스트의 일환으로 집단 학살당하는 비극이 발생했다. 희생자는 남성 128명, 여성 186명, 어린이 99명이었으며, 이들은 나치 독일의 특수부대인 아인자츠그루펜과 리투아니아인 협력자들에 의해 총살되었다. 1971년, 이 학살 현장에는 희생자들을 기리는 기념비가 세워졌다.

3. 2. 중세



10세기부터 14세기 사이에 리투아니아의 목조 성과 언덕 요새가 네멘치네 지역에 존재했다. 이 성을 중심으로 점차 취락이 형성되기 시작했다. 1387년, 리투아니아의 기독교화가 이루어진 후, 요가일라(요가일라)는 네멘치네에 최초의 기독교 교구를 설립하고 교회를 세웠다. 이는 리투아니아 대공국기독교를 국교로 받아들인 중요한 사건 중 하나였다.

1434년 문서에는 카지미에르 4세 야기에우워가 리투아니아 대공국을 통치하던 시기, 당시 가장 영향력 있는 리투아니아 귀족 가문 중 하나였던 안드리어스 사카이티스가 네멘치네를 자신의 영지로 삼았다는 기록이 남아있다. 이후 1554년, 볼로크 개혁을 거치면서 네멘치네는 읍(邑)으로서의 권리를 얻게 되었다.

1613년에는 암스테르담에서 인쇄된 리투아니아 대공국 지도인 ''Magni Ducatus Lithuaniae, et Regionum Adiacentium exacta Descriptio''에 네멘치네가 표시되었다. 이 지도는 리투아니아의 거물이었던 미칼로유스 크리스투파스 라드빌라 나스라잇엘리스의 후원으로 제작되었다.

3. 3. 근세



리투아니아의 기독교화 이후, 1387년 요가일라는 네멘치네에 최초의 기독교 교구를 설립하고 교회를 세웠다. 1434년 문서에는 카지미에르 4세 야기에우워 리투아니아 대공국 통치 시기, 리투아니아의 유력 귀족 가문 중 하나인 안드리어스 사카이티스가 네멘치네를 자신의 영지로 기록했다. 1554년 볼로크 개혁 이후 네멘치네는 읍(邑)의 권리를 얻었다.

1613년, 이 읍은 암스테르담에서 인쇄된 리투아니아 대공국 지도인 ''Magni Ducatus Lithuaniae, et Regionum Adiacentium exacta Descriptio''에 표시되었다. 이 지도는 리투아니아의 대귀족 미칼로유스 크리스투파스 라드빌라 나스라잇엘리스가 자금을 지원하여 제작되었다.

3. 4. 현대

제2차 세계 대전 중인 1941년 9월 20일, 네멘치네에 거주하던 유대인 403명이 나치 독일의 아인자츠그루펜과 리투아니아 협력자들에 의해 집단 학살되는 사건이 발생했다. 희생자는 남자 128명, 여자 186명, 어린이 99명이었다. 이들은 총살당했으며, 이는 홀로코스트의 일부였다. 1971년, 이들의 처형 장소에는 희생자들을 기리는 기념비가 세워졌다.

4. 인구

네멘치네는 리투아니아 내에서 다양한 민족이 함께 거주하는 도시 중 하나로, 특히 폴란드계 주민의 비율이 높다.[3] 그 외에도 리투아니아인, 러시아계, 벨라루스계, 우크라이나계 등 여러 민족이 공동체를 이루고 있다.

4. 1. 인구 변천

연도인구
1970년3,139명
1979년4,075명
1989년5,612명
2001년5,892명


4. 2. 민족 구성

(내용 없음)

4. 2. 1. 2001년

2001년 네멘치네의 민족 구성은 다음과 같다.

민족비율
폴란드인56.3%
리투아니아인24.2%
러시아인12.1%
벨라루스인7.2%


4. 2. 2. 2011년

2011년 네멘치네의 민족 구성은 다음과 같다:[3]

민족비율 (%)인구 (명)
폴란드인56.5%2858
리투아니아인27.1%1368
러시아인9.2%463
벨라루스인3.6%183
우크라이나인0.9%43
기타2.4%120
총 인구100%5054


4. 2. 3. 2021년

2021년 네멘치네의 총 인구는 4,831명이었으며, 민족 구성은 다음과 같다.[3]

민족비율 (%)인구수 (명)
폴란드인55.72,690
리투아니아인29.11,407
러시아인8.1391
벨라루스인2.9138
우크라이나인0.838
기타3.3160


5. 스포츠

2017년 9월 14일, 네멘치네 바이애슬론 경기장이 개장하여 리투아니아에서 두 번째로 운영되는 바이애슬론 코스가 되었다(첫 번째는 이그나리나 겨울 스포츠 센터이다).[5]

6. 국제 관계

네멘치네는 폴란드의 세 도시와 자매 도시 관계를 맺고 있다.


  • 벤고제보 (Węgorzewopol)
  • 우크 (Ełkpol)
  • 수와우키 (Suwałkipol)


또한 2009년 6월 19일 빌뉴스에서 폴란드 서포메라니아주와의 파트너십 협약을 체결했다.[4]

7. 인물

참조

[1] 서적 Lietuvos miestų vardai
[2] 웹사이트 Holocaust Atlas of Lithuania http://www.holocaust[...]
[3] 웹사이트 Results of the 2011 Population and Housing Census of Republic of Lithuania http://osp.stat.gov.[...]
[4] 웹사이트 Urząd Marszałkowski Województwa Zachodniopomorskiego - Współpraca Międzynarodowa http://www.wzp.pl/ww[...]
[5] 뉴스 Atidaryta biatlono šaudykla ir rekonstruotas Nemenčinės stadionas http://l24.lt/lt/spo[...]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