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노스월셤 전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노스월셤 전투는 1381년 농민 반란 당시 잉글랜드 노퍽에서 벌어진 전투이다. 흑사병으로 인한 노동력 부족과 인두세 부과에 대한 불만이 반란의 배경이 되었으며, 노퍽 지역 반란은 제프리 리스터의 주도 하에 노리치를 점령하고 약탈하는 등 격렬하게 전개되었다. 헨리 레 데스펜서 주교가 이끄는 정부군은 1381년 6월 25일 또는 26일 노스월셤 전투에서 반란군을 격파했고, 리스터는 체포되어 처형되었다. 이 전투는 반란 진압의 중요한 분수령이 되었으며, 현재 노스월셤에는 전투를 기념하는 여러 기념물이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381년 잉글랜드 - 와트 타일러의 난
    와트 타일러의 난은 1381년 잉글랜드에서 발생한 대규모 농민 반란으로, 장기화된 백년전쟁으로 인한 과중한 세금, 흑사병 이후 사회·경제적 혼란, 왕실과 귀족의 부패에 대한 불만이 원인이 되어 와트 타일러와 존 볼 등의 지도하에 런던까지 확산되었으나, 와트 타일러의 사망으로 진압되며 봉건 제도 쇠퇴와 사회 변화에 영향을 주었다.
  • 1381년 분쟁 - 와트 타일러의 난
    와트 타일러의 난은 1381년 잉글랜드에서 발생한 대규모 농민 반란으로, 장기화된 백년전쟁으로 인한 과중한 세금, 흑사병 이후 사회·경제적 혼란, 왕실과 귀족의 부패에 대한 불만이 원인이 되어 와트 타일러와 존 볼 등의 지도하에 런던까지 확산되었으나, 와트 타일러의 사망으로 진압되며 봉건 제도 쇠퇴와 사회 변화에 영향을 주었다.
  • 1381년 분쟁 - 명의 운남 정복
    14세기 후반 명나라가 운남 지역을 정복하는 과정에서 가뭄으로 인한 한족 이주, 원나라 잔당 저항, 둥족 반란 등이 배경이 되었고, 몽골족 잔당, 무슬림 세력, 지역 군벌, 단씨 세력 등을 진압하며 툰바오족 형성, 멍마오 군 반란 등의 영향으로 운남 지역 사회, 경제, 문화에 큰 변화를 가져왔다.
  • 와트 타일러의 난 - 존 볼 (사제)
    존 볼은 14세기 잉글랜드의 사제이자 급진적인 설교가로, 존 위클리프의 영향을 받아 사회적 평등을 주장하며 떠돌이 설교자로 활동했고, 와트 타일러의 난 당시 설교로 유명했으며, 반란 후 처형되어 문학 작품에서 다양한 모습으로 묘사되었다.
  • 와트 타일러의 난 - 리처드 2세
    리처드 2세는 1377년부터 1399년까지 잉글랜드를 통치한 왕으로, 친정 이후 전제적인 통치를 추구하다 헨리 4세의 반란으로 폐위되어 사망했으며, 예술과 문화를 후원한 그의 통치는 중세 후기 잉글랜드 정치적 격변의 중요한 사례로 평가받는다.
노스월셤 전투 - [전쟁]에 관한 문서
전투 개요
분쟁와트 타일러의 난
노스월셤 전투 장소
노스월셤 전투 장소
날짜1381년 6월 25일 또는 26일
장소잉글랜드 노퍽 주 노스월셤 근교
결과노리치 주교 군대의 승리
교전 세력
교전국 1노리치 주교 군대
교전국 2노퍽 주 지역 농민 반군
지휘관
지휘관 1헨리 르 디스펜서
지휘관 2펠밍햄의 제프리 릿스터
병력 규모
병력 1알 수 없음
병력 2알 수 없음
사상자 규모
사상자 1알 수 없음
사상자 2알 수 없음

2. 배경

1381년 잉글랜드 전역으로 확산된 농민 반란은 복합적인 사회경제적, 정치적 요인에 의해 촉발되었다. 14세기 중반 흑사병의 대유행은 심각한 인구 감소와 노동력 부족을 야기했고, 이는 임금 상승 압력으로 작용했다. 그러나 에드워드 3세 정부가 제정한 노동자 법령(1351년)은 임금을 통제하고 노동자의 권리를 제한하여 지주 계급에게 유리하게 작용하면서 농민들의 불만을 심화시켰다.

또한, 어린 국왕 리처드 2세를 대신해 통치하던 귀족들의 행정과, 토지를 소유한 주교수도원장 등 부유한 교회 세력에 대한 반감도 커져 갔다. 존 볼과 같은 일부 사제들은 이러한 사회 부조리와 교회의 타락을 비판하며 민중의 지지를 얻었다.

이러한 불만들이 쌓여가던 중, 백년 전쟁의 비용을 충당하기 위해 정부가 1377년부터 수차례에 걸쳐 부과한 무리한 인두세는 반란의 직접적인 도화선이 되었다. 특히 1380년에 세금이 세 배로 인상되고 1381년에 세 번째 인두세가 부과되자, 에섹스와 켄트를 시작으로 광범위한 저항이 일어났다. 당시 기록인 《익명의 연대기》는 반란의 원인을 "가난한 사람들에게 착취적으로 부과된 극도로 심각한 세금"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이러한 복합적인 배경 속에서 농민 반란은 잉글랜드 사회를 뒤흔드는 대규모 봉기로 발전하게 되었다.

2. 1. 흑사병과 노동력 부족

흑사병은 농민 반란의 조건을 만들어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질 리 뮈지 연대기》의 소형 조각 (벨기에 왕립 도서관).


1381년 농민 반란은 여러 복합적인 원인으로 발생했는데, 그 중요한 배경 중 하나는 흑사병의 유행이었다. 1348년 잉글랜드에 흑사병이 처음 도래하면서 인구가 크게 줄어들었고, 이는 심각한 노동력 부족 현상으로 이어졌다. 노동력이 부족해지자 자연스럽게 노동자들의 임금이 상승하기 시작했다.

이러한 임금 상승을 억제하기 위해 에드워드 3세 정부는 1351년 노동자 법령을 제정했다. 이 법령은 노동 관련 법규를 더 명확히 하고 정부가 임금을 통제하려는 의도였다. 하지만 결과적으로 이 법령은 농민들에게는 더 가혹하게, 부유한 지주들에게는 더 유리하게 작용하여 농민들의 불만을 키우는 결과를 낳았다.

2. 2. 인두세 도입과 불만

백년 전쟁의 막대한 비용을 충당하기 위해 잉글랜드 정부는 1377년에 처음으로 인두세를 도입했다. 당시 모든 성인에게 4페니가 부과되었다. 그러나 전쟁 비용이 계속 증가하자 1380년에는 인두세액이 세 배로 인상되었다. 많은 사람들이 과도한 세금 부담에 반발하여 납부를 거부했고, 이로 인해 정부의 세금 수입은 오히려 감소하는 결과를 낳았다.

결정적으로 1381년에 세 번째 인두세가 부과되면서 민중의 불만은 폭발했다. 특히 에섹스와 켄트 지역에서 심각한 불안이 조성되었고, 이는 곧 영국 전역으로 번져나간 농민 반란의 직접적인 도화선이 되었다. 당시 기록인 《익명의 연대기》는 이러한 반란의 원인이 "의회에서 가볍게 결정되고 가난한 사람들에게 착취적으로 부과된 극도로 심각한 세금 때문"이었다고 지적한다. 이처럼 과중한 세금 부담은 결국 대규모 민중 봉기로 이어졌다.

2. 3. 종교적 요인

당시 교회의 지위와 역할에 대한 불만도 반란의 중요한 원인이었다. 많은 사제들이 제대로 된 교육을 받지 못했을 뿐만 아니라, 주교수도원장과 같은 고위 성직자들은 동시에 대지주로서 토지를 소유하고 있었기 때문에 일반 평민들의 원성을 샀다. 이들은 종교 지도자이면서 동시에 농민들을 경제적으로 억압하는 지배 계층의 일부로 여겨졌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존 볼과 같이 기존 교회의 권위와 부패를 비판하는 사제들이 등장하여 민중의 감정을 자극하고 지지를 얻었다. 존 볼은 사람들이 모이는 곳마다 설교를 통해 교회의 문제점을 지적하며 평등 사상을 전파했다.

3. 노퍽 지역 반란의 전개

1381년 여름, 잉글랜드 남동부에서 시작된 농민 반란노퍽 지역으로 빠르게 확산되었다.[1] 제프리 리스터를 중심으로 한 반란군은 노리치를 비롯한 주요 도시들을 점령하고, 세금 기록과 장원 기록 등을 파괴하며 세력을 넓혀갔다.[1] 반란 과정에서 관리들의 재산이 파괴되고 약탈이 발생하는 등 지역 사회는 큰 혼란에 빠졌다.[1] 이러한 상황에 대응하여 노리치 주교 헨리 르 디스펜서가 직접 반란 진압에 나섰으며, 이는 곧이어 벌어질 노스월셤 전투의 배경이 되었다.

3. 1. 반란의 확산

1381년 여름, 반란잉글랜드 남동부에서 노리치 교구를 포함한 다른 지역으로 확산되었고, 2주도 채 안 되어 진압되었다.[1]

6월 14일, 반란군 무리가 세트퍼드에 도착하면서 노퍽 남서부의 펜스 지역으로 반란이 퍼져나갔다. 같은 시기, 제프리 리스터가 이끄는 반란군은 노퍽 북동부를 가로지르며 지역 주민들의 지지를 얻으려 했다. 며칠 동안 반란군은 노리치, 킹스린(당시 '린'), 스와팸 등 주요 거점으로 모여들었다.[1]

당시 잉글랜드에서 가장 크고 중요한 도시 중 하나였던 노리치는 리스터와 그의 추종자들에게 점령되었다. 반란군은 세금 징수원이나 주요 관리 등 자신들이 적으로 여기는 사람들의 재산을 파괴했다.[1] 노리치의 반란군은 이후 그레이트 야머스로 이동하여 법 관련 기록과 토지 소유 문서들을 불태웠다. 노퍽 북동부의 다른 반란군들도 법정 기록과 세금 관련 문서들을 파괴했으며, 카운티 전역에서 수많은 약탈과 강탈이 벌어졌다.[1]

반란 소식을 들은 노리치 주교 헨리 르 디스펜서(스펜서)는 러틀랜드의 버클리에 있는 자택에서 캠브리지셔, 서퍽, 노퍽을 거쳐 신속하게 이동하며 대응에 나섰다. 그의 무장 병력은 처음에는 개인 경호원들로 시작했지만, 곧 기사들과 반란군에 맞서기를 주저했던 이들이 합류하면서 규모가 커졌다. 역사가 에드거 파월에 따르면, 스펜서는 자신의 교구 내에서 반란을 처리하고 반란 가담자들을 처벌하는 임무를 맡았다. 그는 피터버러와 캠브리지 등지에서 반란을 진압하는 데 관여했다.

한편, 당국은 노퍽에서 리스터가 반란에 참여할 사람들을 모으고 있다는 정보를 입수했다. 6월 17일, 노퍽 북부와 동부의 반란군은 노리치 외곽의 마우스홀드 히스에 집결했다. 얼마 지나지 않아, 도시에서 평민들과 대화하러 나온 로버트 살 경이 살해당했다. 역사가 토머스 월싱햄에 따르면, 살 경은 "자신의 농노 중 한 명인 시골뜨기에게 머리를 맞고" 곧 사망했다. 이후 반란군은 노리치 시내로 들어가 재산을 파괴하고 저명한 시민들을 살해하는 등 큰 혼란을 일으켰다. 야머스를 비롯한 카운티 내 다른 지역의 가옥과 교회 재산 역시 이 시기에 반란군의 공격을 받았다.

리스터는 6월 21일 소프 마켓에 있었고, 다음 날인 6월 22일 스펜서 주교는 근처 펠밍햄에 도착했다. 스펜서는 반란군이 가까이 있다는 소식을 듣고 펠밍햄에서 노스월셤 히스까지 짧은 거리를 이동하여 리스터와 그의 부하들과 대치하게 되었다.

3. 2. 노리치 점령과 약탈

1381년 6월 14일, 반란군 무리가 세트퍼드에 도달하면서 반란은 노퍽 남서부의 펜스 지역으로 확산되었다.[1] 동시에 제프리 리스터가 이끄는 무리는 노퍽 북동부를 가로질러 이동하며 지역 전체에서 지지를 얻으려 했고, 며칠 동안 반란군은 노리치, , 스와팸 등지로 모여들었다.[1]

당시 왕국에서 가장 크고 중요한 도시 중 하나였던 노리치는 리스터와 그의 추종자들에게 점령되었다.[1] 반란군은 세금 징수원 및 주요 관리와 같이 자신들이 적으로 간주한 사람들의 재산을 파괴했다.[1] 노리치의 반란군은 그레이트 야머스로 이동하여 법적 기록과 토지 소유주의 소유물을 파괴했으며, 노퍽 북동부를 가로질러 이동하는 다른 반란군들은 법정 기록 및 과세 문서를 파괴했다.[1] 노퍽 카운티 전역에서 수많은 약탈 및 강탈 사건이 발생했다.[1]

6월 17일, 카운티 북부와 동부의 반란군은 노리치 외곽의 마우스홀드 히스에 집결했다. 얼마 지나지 않아, 시에서 평민들과 대화하기 위해 나온 로버트 살 경이 살해당했다. 연대기 작가 토머스 월싱햄에 따르면, 기사는 "자신의 농노 중 한 명인 시골뜨기에게 머리를 맞고" 곧 사망했다. 반란군은 노리치로 진입하여 재산을 파괴하고 저명한 시민들을 살해하는 등 혼란을 일으켰다. 야머스와 같은 카운티 내 다른 지역의 집과 교회 재산도 이 시기에 반란군에게 공격을 받았다.

3. 3. 헨리 레 데스펜서의 대응

헨리 레 데스펜서, "싸우는 주교"로, 킹스 린 민스터의 미제레코드에 묘사됨


''아노니말레 연대기''에 따르면, 헨리 레 데스펜서 주교는 동앵글리아 지역의 반란 소식을 듣고 버클리에 있는 자신의 거처에서 신속하게 출발하여 캠브리지셔, 서퍽, 노퍽을 거쳐 이동했다. 처음에는 개인 호위대만 있었으나, 이동하는 과정에서 기사들과 반란군에 맞서기를 주저했던 이들이 합류하면서 병력 규모가 늘어났다. 역사가 에드거 파월은 데스펜서가 자신의 교구 내 반란을 진압하고 가담자를 처벌할 임무를 맡았다고 기록했다.

그는 피터버러 등지에서 반란 진압에 나섰고, 이후 캠브리지로 이동하여 그곳의 반란도 진압했다. 한편, 당국은 노퍽에서 제프리 리스터가 반란 가담자를 모집하고 있다는 정보를 입수했다. 6월 17일, 노퍽 북부와 동부의 반란군은 노리치 외곽 마우스홀드 히스에 집결했다. 이때 노리치 시에서 반란군과 대화하려던 로버트 살 경이 살해되는 사건이 발생했다. 연대기 작가 월싱햄은 이 기사가 "자신의 농노 중 한 명에게 머리를 가격당해" 사망했다고 기록했다. 이후 반란군은 노리치 시내로 진입하여 재산을 파괴하고 주요 인사들을 살해하는 등 혼란을 야기했다. 야머스를 비롯한 노퍽 내 다른 지역의 가옥과 교회 재산 역시 반란군의 공격 대상이 되었다.

제프리 리스터가 6월 21일 소프 마켓에 주둔하고 있을 때, 데스펜서는 다음 날 인근 펠밍엄에 도착했다. 리스터의 반란군이 가까이 있다는 정보를 입수한 데스펜서는 즉시 펠밍엄에서 노스 월셤 히스(Heath)로 이동하여 리스터 군대와 대치하게 되었다.

3. 4. 로버트 살 경의 죽음

1381년 여름, 농민 반란은 잉글랜드 남동부를 넘어 노퍽 지역으로 확산되었다.[1] 제프리 리스터가 이끄는 반란군은 노퍽 북동부를 이동하며 지지 세력을 모았고, 6월 17일에는 노퍽 북부와 동부의 반란군이 노리치 외곽의 마우스홀드 히스에 집결했다.

이때 노리치 시에서 로버트 살 경(Sir Robert Salle)이 평민들과 대화하기 위해 마우스홀드 히스로 나왔다. 그러나 살 경은 반란군과의 충돌 과정에서 살해되었다. 당시 기록에 따르면, 살 경은 "자신의 농노 중 한 명에게 머리를 맞아" 사망했다고 한다.

로버트 살 경의 죽음 이후, 반란군은 노리치 시내로 진입하여 재산을 파괴하고 저명한 시민들을 살해하는 등 혼란을 일으켰다.[1] 그레이트 야머스와 같은 노퍽 내 다른 지역의 가옥과 교회 재산 역시 이 시기에 반란군의 공격을 받았다.

4. 노스월셤 전투와 진압

1381년 6월 25일 또는 26일, 노스월셤에서 "전투적인 주교"로 알려진 헨리 르 데스펜서가 이끄는 군대와 제프리 리스터가 지휘하는 농민 반란군 사이에 전투가 벌어졌다. 이 충돌은 당시 잉글랜드 전역으로 번지던 와트 타일러의 난의 일부였다.

전투의 구체적인 양상에 대해서는 동시대 기록 간에 차이가 존재한다. 토마스 윌싱엄은 격렬한 교전 끝에 주교 군대가 승리했다고 기록한 반면, 존 캡그레이브는 큰 전투 없이 반군이 항복했다고 다르게 서술했다.

기록의 차이에도 불구하고, 전투 결과 반란은 진압되었으며 지도자 제프리 리스터는 체포되어 처형되었다. 전투의 상세한 경과와 리스터의 최후 등 진압 과정은 하위 문단에서 더 자세히 다루어진다.

4. 1. 전투 경과

1381년 6월 25일 또는 26일에 노스월셤에서 벌어진 전투에 대한 직접적인 목격담은 남아있지 않다. 동시대 연대기 작가 토마스 윌싱엄은 노스월셤 마을 남쪽의 노스월셤 히스에서 격렬한 교전이 벌어졌다고 기록했다. 그의 기록에 따르면, "전투적인 주교"로 알려진 데스펜서 주교가 반군의 참호 위치를 성공적으로 공격하여 승리했다. 당시 몰수관 재판 기록에는 반란군 지도자 제프리 리스터와 함께 노스월셤 출신 반란군의 이름이 포함되어 있어, 반군이 심각한 패배를 겪었음을 시사한다.

윌싱엄에 따르면, 패배한 반군들은 숲으로 도망쳤으나 발견되는 대로 살해당했다. 19세기 역사가 월터 라이는 지역 주민의 말을 인용하여 "그들은 'mazin'(많은) 사람들이 그 작은 밭(pightle)에 묻혀 있다고 말한다"고 기록했다. 노스월셤의 교구 교회가 전투 후 피바다가 되었다는 지역의 믿음도 전해지나, 이는 역사적 문서로 입증되지는 않았다. 일부 자료에서는 데스펜서 주교가 혼란 속에 마을로 도망친 반군들을 추격하여 교회로 피신한 이들까지 모두 살해했다고 전하기도 한다.

반면, 15세기 역사가 존 캡그레이브는 그의 저서 ''유명한 헨리의 책''에서 전투가 거의 벌어지지 않았다고 다르게 기록했다. 캡그레이브는 "주교와 그곳에 모인 다른 사람들의 훌륭한 관리 덕분에, 모든 이들이 평화롭게 물러갈 수 있음에 기뻐하며 항복했다. 제프리 리스터 자신은 벽을 뛰어넘어 옥수수밭에 숨었다"고 썼다.

두 기록 모두 반란군의 지도자였던 제프리 리스터가 결국 발견되어 체포되었다는 점에서는 일치한다. 윌싱엄과 캡그레이브 모두 리스터가 체포된 후 노스월셤으로 끌려가 거열형에 처해졌다고 기록했다. 캡그레이브는 "배신자를 찾아내 체포하여 참수했으며, 그의 시신은 네 부분으로 나뉘어 노리치, 야머스, 린, 그리고 그가 살던 저택으로 보내졌다. 이는 평화를 어지럽힌 반군과 폭도들에게 그들의 말로가 어떠할지 보여주기 위함이었다"고 상세히 기술했다. 윌싱엄은 리스터가 처형될 당시 데스펜서 주교가 보인 자비에 대해 기록하기도 했다. 그는 "주교가 리스터의 고해를 듣고 사면한 후, 교수대까지 따라갔다. 비록 그를 이겼지만, 친절과 경건함을 보여주며 그가 교수대에서 떨어져 땅에 부딪혀 다치지 않도록 머리를 받쳐주었다"고 전했다.

리스터의 미망인 아그네스는 나중에 당국에 의해 추적당했고, 그의 미결제 부채(33실링 9펜스)를 정산해야 했다.[4]

4. 2. 제프리 리스터의 처형

반란군의 지도자였던 제프리 리스터는 결국 발각되어 체포되었다. 15세기 역사가 존 캡그레이브는 리스터가 벽을 넘어 도망쳐 옥수수밭에 숨었다가 발견되었다고 기록했다.

체포된 리스터는 노스월셤으로 끌려가 거열형을 당했는데, 이는 동시대 역사가 토마스 윌싱엄과 존 캡그레이브의 기록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난다. 캡그레이브는 "배신자를 찾아내 체포하여 참수했으며, 네 부분으로 나누어 노리치, 야머스, 린, 그리고 그의 저택이 있던 곳으로 보냈다. 이는 평화를 어지럽힌 반군과 폭도들이 자신들의 말로가 어떠할지 알게 하기 위함이었다"고 상세히 기술했다.

윌싱엄은 처형 과정에서 헨리 드 스펜서 주교가 리스터에게 보인 행동에 대해 특별히 기록을 남겼다. 그는 주교가 리스터의 고해를 듣고 사면했으며, 교수대로 따라가 리스터가 교수형을 당할 때 땅에 떨어져 다치지 않도록 머리를 받쳐주는 자비를 베풀었다고 전했다.

리스터가 처형된 후, 그의 미망인 아그네스는 당국의 추적을 받았으며, 남편이 남긴 미결제 부채(33실링 9펜스)를 갚아야만 했다.[4]

4. 3. 전투 이후

노스월셤 전투에 대한 직접적인 목격담은 남아있지 않다. 동시대 연대기 작가 토마스 윌싱엄에 따르면, 헨리 르 디스펜서 주교가 이끄는 군대는 노스월셤 마을 남쪽의 히스(heath)에서 반군의 참호를 성공적으로 공격했으며, 격렬한 교전 끝에 반군은 큰 피해를 입었다. 당시 몰수관 재판 기록에는 반란 지도자 제프리 리스터와 함께 노스월셤 출신 반란군들의 이름이 다수 포함되어 있는데, 이는 전투에서 반군이 심각한 패배를 겪었음을 시사한다. 윌싱엄은 반군들이 숲으로 도망쳤으나 발견되는 대로 살해당했다고 기록했다. 지역에는 전투 후 많은 수의 반군("mazin' many")이 근처 작은 밭('pightle')에 묻혔다는 이야기가 전해진다. 노스월셤의 교구 교회가 전투 후 피로 물들었다는 지역의 믿음도 있으나, 이를 뒷받침하는 역사적 문서는 없다.

반면, 15세기 역사가 존 캡그레이브는 그의 저서 ''유명한 헨리의 책''에서 전투가 거의 없었으며, 주교와 군대의 위세에 눌린 반군 대부분이 평화롭게 항복했고 리스터는 담을 넘어 도망쳤다고 다르게 기록했다.

기록의 차이에도 불구하고, 반란 지도자 제프리 리스터가 결국 체포되어 노스월셤으로 끌려와 거열형이라는 잔혹한 방식으로 처형되었다는 점은 윌싱엄과 캡그레이브 모두 동의한다. 캡그레이브에 따르면, 리스터의 시신은 참수된 후 네 부분으로 나뉘어 노리치, 야머스, , 그리고 그가 살던 저택이 있는 곳으로 보내져 전시되었다. 이는 다른 반란 가담자들에게 본보기로 삼으려는 의도였다. 윌싱엄은 리스터가 처형될 때, 그를 패배시킨 주교가 리스터의 고해를 듣고 사면했으며, 교수형이 집행될 때 땅에 머리를 부딪혀 다치지 않도록 받쳐주는 자비를 베풀었다고 기록했다.

전투 이후, 리스터의 미망인 아그네스는 당국에 의해 추적당했고, 남편이 남긴 빚(33실링 9펜스)을 갚아야만 했다.[4]

5. 전투의 기념

전투 현장은 노퍽주 의회(Norfolk County Council)가 인정한 노퍽주 내 5곳의 전장 중 하나이다.[5] 과장된 전투 재연 장면이 ''This Time with Alan Partridge''의 두 번째 에피소드에 등장한다.

5. 1. 기념물

전투 현장 근처에 있는 중세 시대의 십자가 중 하나.


농민 반란을 기념하는 노스월셤의 현대 조각상


이 전투는 세 개의 중세 석조 십자가로 기념되었다.[5] 하나는 사유지에 있으며, 다른 하나(현재는 그루터기)는 1932년 노스월셤 자치구 의회에서 이전하여 마을의 급수탑 옆 길가에서 찾을 수 있다. 세 번째 십자가(그림 참조)는 이전을 거쳐 교구 경계 표지로 사용되었으며, 노리치 로드에서 벗어난 히스 로드에 위치해 있다.

1999년에는 120년 된 참나무 줄기로 마크 골드워시(Mark Goldsworthy)가 조각한 기념 공원 조각상이 노스월셤에 세워져 1381년 전투를 기념하고 있다.

노스월셤의 마을 표지판에는 농민 반란을 묘사한 모자이크가 있다.

참조

[1] 서적 An Historical Atlas of Norfolk
[2] EB1911 Despenser, Hugh le (1262-1326)
[3] EB1911 North Walsham
[4] 웹사이트 Transcript from the OU/BBC programme Breaking The Seal http://www.open2.net[...] 2010-03-24
[5] 웹사이트 Norfolk Heritage Explorer website https://www.heritag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