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르틀링겐 전투 (1634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뇌르틀링겐 전투 (1634년)는 30년 전쟁 중 벌어진 전투로, 1634년 9월 6일에 일어났다. 뤼첸 전투에서의 스웨덴의 승리 이후, 황제군이 주도권을 되찾아 뇌르틀링겐을 포위 공격하면서 전투가 시작되었다. 전투는 황제군과 스페인군의 승리로 끝났으며, 이로 인해 남부 독일에서 스웨덴의 세력이 약화되었다. 이 전투는 프랑스의 직접적인 개입을 초래하고, 30년 전쟁의 양상을 변화시키는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페르디난트 3세 - 베스트팔렌 조약
베스트팔렌 조약은 1648년 30년 전쟁과 80년 전쟁을 종식하기 위해 체결된 일련의 조약으로, 프랑스는 알자스 지역을 확보하고 스웨덴은 발트해 지역의 영향력을 강화했으며, 각 제후의 종교 선택의 자유를 보장하고 신성 로마 제국 내 영방의 주권을 인정하여 유럽의 정치 지형을 변화시켰다.
뇌르틀링겐 전투 (1634년) - [전쟁]에 관한 문서 | |
---|---|
위치 정보 | |
전투 정보 | |
전투 이름 | 뇌르틀링겐 전투 |
일부 | 30년 전쟁 |
![]() | |
날짜 | 1634년 9월 5일–6일 (그레고리력) |
장소 | 뇌르틀링겐, 바이에른, 독일 |
결과 | 황제-스페인 연합군의 승리 |
교전 세력 | |
교전국 1 | 스페인 카톨릭 연맹 |
교전국 2 | 스웨덴 하일브론 연맹 |
지휘관 | |
지휘관 1 | 페르디난트 추기경 레가네스 백작 헝가리의 페르디난트 마티아스 갈라스 오타비오 피콜로미니 |
지휘관 2 | 구스타프 호른 베른하르트 폰 작센-바이마르 요한 폰 샤르펜슈타인 |
병력 규모 | |
병력 1 | 33,000명 대포 50문 |
병력 2 | 25,700명 대포 68문 |
사상자 | |
사상자 1 | 약 3,500명 사상 |
사상자 2 | 12,000–14,000명 대포 68문 포획 |
2. 역사적 배경
뤼첸 전투에서 프로테스탄트군이 승리했지만, 구스타프 아돌프의 사망으로 스웨덴 군은 그 승리를 제대로 활용하지 못했다. 그 결과, 황제군은 주도권을 되찾았다. 1634년 황제군은 레겐스부르크를 점령하고 작센을 위협하기 위해 진군하여 뇌르틀링겐을 포위 공격하기 시작했다. 프로테스탄트군은 뇌르틀링겐을 구하기 위해 어떤 방법이든 취해야 한다고 생각했다.
30년 전쟁에 대한 스웨덴의 개입은 1630년 6월, 구스타프 2세 아돌프 휘하의 약 1만 8천 명의 병력이 포메라니아 공국에 상륙하면서 시작되었다. 프랑스의 지원을 받은 구스타프 2세는 브라이텐펠트 전투 (1631년 9월)와 라인 전투 (1632년 4월)를 포함하여 신성 로마 제국군에 대해 일련의 승리를 거두었다.[1]
1632년 11월 뤼첸 전투에서 구스타프 2세가 사망했음에도 불구하고, 스웨덴과 그 동맹인 독일 프로테스탄트 세력은 1633년 4월 프랑스 왕국의 자금 지원을 받아 하일브론 동맹을 결성했다.[2] 7월에는 연합군이 올덴도르프 전투에서 제국군을 격파했다.[3]
발렌슈타인의 제거로 페르디난트 황제는 스페인에 더욱 의존하게 되었고, 스페인의 주요 목표는 네덜란드 독립 전쟁에 대한 그들의 작전을 지원하기 위해 스페인 길을 재개방하는 것이었다. 새로 임명된 스페인 네덜란드 총독인 카르디널-인판테 페르디난트는 이탈리아에서 군대를 모집하여, 5월에 슈텔비오 고개를 통해 알프스를 넘었다. 그는 라인펠덴에서 페리아 공작(1634년 1월 사망)이 지휘하던 부대와 합류하여 보병 1만 8천 명과 기병 4천 명으로 병력이 늘어났다.
구스타프 혼과 베른하르트는 보핑겐으로 행군했지만 공격을 지연시켰다. 양측 모두 보급이 부족하고 역병으로 고통받고 있었기 때문에, 수적으로 열세인 제국군이 철수해야 할 것이라고 확신했다. 그러나 9월 2일 제국군과 스페인군이 합류했고, 이틀 후 뇌르틀링겐은 거의 함락될 뻔했다.
2. 1. 30년 전쟁 초기: 스웨덴의 개입
30년 전쟁에서 스웨덴의 개입은 1630년 6월, 구스타프 2세 아돌프 휘하의 약 1만 8천 명의 병력이 포메라니아 공국에 상륙하면서 시작되었다. 프랑스의 지원을 받은 구스타프 2세는 브라이텐펠트 전투(1631년 9월)와 라인 전투 (1632년 4월)에서 신성 로마 제국군을 상대로 연승을 거두었다.[1]1632년 11월 뤼첸 전투에서 구스타프 2세가 사망했지만, 스웨덴과 독일 프로테스탄트 동맹 세력은 1633년 4월 프랑스의 자금 지원을 받아 하일브론 동맹을 결성했다.[2] 이 연합군은 7월 올덴도르프 전투에서 제국군을 격파했다.[3]
2. 2. 프로테스탄트 동맹의 형성
구스타프 아돌프 스웨덴 국왕의 죽음으로 프로테스탄트 세력은 사기가 저하되었다. 발렌슈타인 암살 후, 스웨덴에서는 재상 옥센셰르나의 주도로 프로테스탄트 제후들과 하일브론 동맹을 맺었지만, 이 동맹 관계는 처음부터 불안정했다. 작센 선제후요한 게오르크 1세는 스웨덴 군의 강대화를 원치 않아 스웨덴이 동맹의 맹주가 되는 것을 거부했고, 프랑스 왕국 재상 리슐리외 또한 같은 이유로 조약 위반을 구실로 동맹에 훼방을 놓았다. 결국 지휘는 바이마르의 베른하르트와 스웨덴군 장군 구스타프 호른이 맡게 되었지만, 동맹은 프랑스의 영향 아래 놓이게 되었다. 베른하르트와 호른 사이에는 마찰까지 발생했고, 이는 동맹군에게 큰 약점이 되었다.2. 3. 가톨릭 세력의 반격
뤼첸 전투에서 프로테스탄트군이 승리했지만, 구스타프 아돌프 왕의 사망으로 스웨덴 군은 승기를 이어가지 못했다. 그 결과, 황제군이 주도권을 되찾았다. 1634년 황제군은 레겐스부르크를 점령하고 작센을 위협하며 뇌르틀링겐을 포위했다.1634년 2월 25일, 알브레히트 폰 발렌슈타인이 황제에 의해 암살되면서 황제군 총사령관 자리가 비었다. 페르디난트 2세는 자신의 아들인 헝가리 왕 페르디난트를 총사령관으로 임명했다. 이는 황제의 강압적인 인사였지만, 페르디난트가 황위 계승자임을 제국 내에 선포하는 것이기도 했다. 페르디난트 3세는 뇌르틀링겐 전투에서의 승리로 자신의 존재감을 알리는 데 성공한다.
발렌슈타인의 제거로 페르디난트 황제는 스페인에 더욱 의존하게 되었고, 스페인의 주요 목표는 네덜란드 독립 전쟁을 지원하기 위해 스페인 네덜란드로 통하는 스페인 길을 다시 여는 것이었다. 새로 임명된 스페인 네덜란드 총독인 카르디날-인판테 페르디난트는 이탈리아에서 1만 1,700명의 군대를 모집했고, 5월에 슈텔비오 고개를 통해 알프스를 넘었다. 그는 라인펠덴에서 페리아 공작(1634년 1월 사망)이 지휘하던 부대와 합류하여 보병 1만 8천 명과 기병 4천 명으로 병력이 늘어났다.
7월 26일, 페르디난트 3세는 란트슈트에서 요한 폰 알드링겐 휘하의 제국군 저지 부대를 격파하고 레겐스부르크를 함락시켰다. 페르디난트는 1만 5천 명의 병력을 이끌고 도나우 강을 따라 남하하여 8월 26일 도나우뵈르트에 도착했고, 스웨덴이 점령한 뇌르틀링겐을 포위했다. 9월 2일, 합스부르크의 제국군과 스페인군이 합류했다.
3. 전투의 전개
뤼첸 전투에서 프로테스탄트군이 승리했지만, 구스타프 아돌프 왕이 사망하면서 그 승리를 제대로 활용하지 못했다. 그 결과, 황제군이 다시 주도권을 잡았다. 1634년 황제군은 레겐스부르크를 점령하고 작센을 위협하기 위해 진군하여 뇌르틀링겐을 포위했다. 프로테스탄트군은 뇌르틀링겐을 구원하기 위해 야습을 계획했다.[1]
헝가리의 페르디난트와 그의 사촌 카디날 인판테 페르디난트는 군대를 합류시키기 위해 노력했다. 스페인군은 북이탈리아에서 새로운 '스페인의 진군로'를 통해 진군했다. 작센-바이마르의 베른하르트와 구스타프 호른의 군대는 이들의 합류를 막으려 했으나 실패했다. 카디날 인판테는 1634년 8월 30일 도나우베르트에서 다뉴브강을 건넜다.[1]
9월, 헝가리의 페르디난트와 카디날 인판테의 군대는 슈바벤의 뇌르틀링겐 남쪽에 집결했다. 뇌르틀링겐은 소수의 스웨덴 수비병이 지키고 있었고, 얼마 후 베른하르트와 호른의 군대가 도착하여 전투를 준비했다.
전투 중, 프로테스탄트 군에게 불리한 상황이 이어졌다. 푸엔클라라, 이디아퀘즈, 토랄토가 지휘하는 스페인 보병대 "테르시오 비에조스"의 강력한 방어 때문이었다. 알부크 언덕에서 벌어진 호른 연대의 15번의 돌격은 오타비오 피콜로미니와 스페인 왕실에 충성스러운 게라르도 디 잠바코르타 디 리나타의 기병대 지원을 받은 스페인군에게 격퇴되었다. 작센과 오스트리아군은 황제군이 스웨덴군을 돕기 위해 보낸 작센군의 약점을 파악하기 전까지 교전을 피했다. 황제군은 전진하여 작센군을 빠르게 격파하고 궤주시켰다. 작센군에 대한 추격은 스웨덴군의 퇴로를 위협했고, 스웨덴군은 즉시 격파당해 패닉 상태에 빠져 도망쳤다.[1]
호른은 체포되었고 그의 군대는 격파되었다. 하일브론에 남은 잔여 군대는 거의 전멸 상태였다. 두 페르디난트는 큰 군사적 승리를 거두었다.[1]
3. 1. 양측 군대의 지휘관과 전략
헝가리의 페르디난트와 그의 사촌인 카디날 인판테 페르디난트는 1634년 8월 30일 도나우베르트에서 다뉴브강을 건너 슈바벤에 있는 뇌르틀링겐 남쪽에 진을 쳤다. 작센-바이마르의 베른하르트와 구스타프 호른의 군대는 이들의 합류를 막으려 했으나 실패했다. 뇌르틀링겐은 소수의 스웨덴 수비병들이 지키고 있었으나, 얼마 후 베른하르트와 호른의 군대가 도착하여 전투를 준비했다.[1]
ㅡ페테르 파울 루벤스 (1635년)
가톨릭 측 지휘관인 카디날 인판테 페르디난트와 헝가리의 페르디난트는 마티아스 갈라스와 같은 경험 많은 황제군 장군의 조언을 무시하고, 스페인의 대리 사령관인 레가네스 백작의 조언을 따랐다. 프로테스탄트 측 지휘관인 베른하르트와 호른 역시 전투를 준비했으나, 그들은 서로 경쟁 관계였고 의견이 일치하지 않았다. 그들은 스페인령 밀라노의 사령관 페리아 공작의 후발대가 합류한 것을 모르고, 전령이 보고한 잘못된 정보만을 믿고 적군의 수적 우위를 과소평가했다.[1]
프로테스탄트 세력은 구스타프 아돌프 왕의 죽음으로 사기가 저하된 상태였다. 스웨덴 재상 옥센셰르나 주도로 프로테스탄트 제후들과 하일브론 동맹을 맺었지만, 불안정한 관계였다. 바이마르의 베른하르트와 스웨덴군 장군 구스타프 호른이 지휘를 맡았지만, 둘 사이에는 마찰이 있었다.[2]
1634년 9월 6일, 양측은 뇌르틀링겐 교외에서 전투를 시작했다. 황제군과 스페인군은 3만 3천 명, 하일브론 동맹군은 2만 5천 명이었다. 동맹군은 베른하르트와 홀른의 불화로 통제력이 부족했다.[2]
3. 2. 전투의 경과
1634년 9월 6일, 뇌르틀링겐 교외에서 황제군과 스페인군 33,000명과 하일브론 동맹군 25,000명이 격돌했다. 동맹군은 베른하르트와 호른 간의 불화로 지휘 체계에 문제가 있었다.전투 초반, 동맹군이 우세했다. 독일군은 스웨덴군을 두려워하여 공세에 소극적이었고, 스웨덴군은 황제군이 점령한 언덕을 향해 공격을 계속했다. 스웨덴군은 일시적으로 언덕을 점령하는 데 성공했다. 그러나 통제력을 잃은 병사들이 화약 처리에 실패하면서 아군에게 피해를 입혔고, 이 혼란을 틈타 황제군의 예비 병력이었던 스페인군이 투입되어 언덕을 탈환했다. 이후에도 격전이 계속되었지만, 스페인군의 견고한 방어에 막혀 결국 동맹군은 패배했다.
9월 5일 초, 프로테스탄트 군대는 뇌르틀링겐 남쪽 2km 지점의 구릉선을 장악하기 위해 이동했다. 이 구릉선에는 알부흐(Albuch)가 가장 중요한 곳으로 여겨졌다. 그들의 목표는 알부흐를 장악하여 스페인군 좌익에 대한 유리한 위치를 확보하는 것이었다. 추기경-인판테는 스페인군에게 헤젤베르크의 숲이 우거진 언덕에 배치하도록 명령했다.
오후 4시경, 사크센-바이마르의 베른하르트(Bernhard of Saxe-Weimar)가 이끄는 부대가 스페인군과 제국군을 신속하게 점령했다. 구스타프 혼은 스웨덴 보병이 대포를 사용하여 스페인군을 포격하면서 헤젤베르크에 완전히 투입되도록 명령했다. 헤젤베르크에서의 전투는 자정까지 계속되었다.
스웨덴군이 헤젤베르크를 점령하지 못한 것은 추기경-인판테에게 시간을 벌어 주었고, 그는 구스타프 혼의 부대를 언덕에 고정시키면 알부흐를 확보 할 수 있음을 알고 있었다. 추기경-인판테는 토랄도 테르시오(Tercio of Toraldo)에게 알부흐에 경량 요새와 토치를 건설하도록 지시했다. 스페인군은 결국 다음날 새벽 2시(9월 6일)에 헤젤베르크에서 후퇴하여 알부흐의 위치에 도착했다.

이곳에는 스페인군 6,600명과 오타비오 피콜로미니(Ottavio Piccolomini) 휘하 바이에른 보병 1,500명이 주둔했으며, 밤새도록 14문의 포대를 위한 참호와 진지를 구축했고, 2,800명의 부르고뉴와 이탈리아 기병대가 근처 측면에 배치되었다. 스페인-제국군은 알부흐에 10,000~10,900명의 병력을 배치했고, 나머지 군대는 뇌르틀링겐으로 북쪽으로 이어지는 방어선을 유지했다. 반대편에서는 혼이 보병 8,800명과 기병 4,000명, 용기병 800명을 배치했는데, 그들의 목표는 알부흐 언덕을 장악하는 것이었다.
9월 6일 오전 5시, 스웨덴 포병이 알부흐에 포격을 개시했고, 총공격이 이어졌다. 알부흐 중앙부에서 돌파구가 마련되자, 혼은 큰 승리를 거머쥐었다고 생각했지만, 더 많은 실패가 있을 줄은 몰랐다. 베테랑 스페인군으로 구성된 이디아케스 테르시오(Tercio of Idiáquez)만이 위기를 극복할 수 있었다. 베테랑 스페인 병사들은 패주하는 독일 동맹군 앞에서 창을 버리고 전장을 떠나려는 자들을 죽이기로 했다. 이 대담한 행동으로 독일 동맹군은 다시 전투에 참여했다. 화약 수레 폭발을 이용하여 돌파구에서 스웨덴군을 역습하여 1시간도 안 되는 시간에 스웨덴군을 격파했다.
오전 6시까지 제국군은 알부흐를 완전히 장악했다. 혼은 자신의 ''혼 여단''과 란츠 여단과 기병 일부를 파견하여 알부흐 중앙을 다시 공격하여 압박을 유지했다. 마지막 공격과 달리 프로테스탄트는 독일 징집병이 아닌 베테랑 스페인 부대를 만났고, 적진에 가까이 접근할 수 없었다.
혼은 네 번째 공격을 위해 그의 부대를 결집시켰다. 오전 7시 30분에 부대를 재편성하는 동안 혼은 베른하르트에게 증원을 요청하는 사자를 보냈다. 그러자 베른하르트는 툰 여단을 알부흐로 보냈다. 다음 시간 동안 혼은 스페인군 진영에 여러 차례 공격을 가했지만, 모든 공격은 격퇴되었다. 오전 8시에는 툰 여단도 공격도 실패했다.
오전 9시 30분, 혼과 그의 부대는 지쳐 있었고, 프로테스탄트 측이 더 큰 피해를 입었다. 오전 10시 이전의 마지막 공격 이후, 혼의 부대는 이제 많이 흩어졌고 알부흐는 손이 닿지 않는 곳이라고 판단되어 프로테스탄트 사령관들 간의 간단한 회의에서 공세를 중단하기로 결정했다.

카톨릭군이 적들이 후퇴하고 있음을 알아차리자, 총공격 명령이 내려졌다.
이러한 압박 하에 프로테스탄트 군대는 와해되었고, 추격 과정에서 큰 피해를 입었다. 혼도 체포되어 1642년까지 구금되었다. 포로를 포함하여 프로테스탄트는 총 12,000~14,000명의 사상자를 냈고, 반대로 적은 3,500명의 사상자를 냈다.
피해의 대부분은 스웨덴군에게 집중되었다. 스웨덴군은 17,000명의 전사자를 냈고, 4,000명의 포로 중에는 호른 장군도 포함되어 있었다.
4. 전투의 결과
뇌르틀링겐 전투는 신성 로마 제국군과 스페인 연합군이 구스타프 호른이 이끄는 스웨덴군에게 결정적인 승리를 거둔 전투이다. 이 전투에서 스웨덴군은 거의 모든 병력을 잃고 궤멸적인 타격을 입었다. 호른은 포로로 잡혔고, 그의 군대는 완전히 무너졌으며, 하일브론에 남은 잔여 병력은 사실상 유명무실한 상태였다.[1] 반면, 헝가리의 페르디난트와 카디날 인판테 페르디난트는 이 전투를 통해 위대한 군사적 승리를 거두었다.[2]
스웨덴군은 전투 중 거의 모든 면에서 불리한 상황에 놓였다. 특히, '테르시오 비에조스(Tercios Viejos; 오래된 테르시오)'라는 정예 부대를 투입한 스페인 보병대의 강력한 방어가 스웨덴군의 패배에 큰 영향을 미쳤다. 구스타프 호른 휘하의 스웨덴군 블루, 블랙, 옐로 연대가 알부크(Albuch) 언덕에서 15번이나 돌격을 감행했지만, 오타비오 피콜로미니 등의 지원을 받은 스페인군에 의해 모두 격퇴되었다.
4. 1. 정치적 영향
뇌르틀링겐 전투는 남부 독일에서 스웨덴의 세력을 효과적으로 무너뜨린 사건으로, 일부 해설가들은 이 전투를 "전쟁에서 가장 중요한 전투일 가능성이 높다"고 평가한다. 이 전투는 스페인의 승리로 평가되며, 스페인군과 그들의 장군의 공로가 컸다.[1] 페르디난트 추기경-왕자는 그의 첫 번째 주요 야전 전투였음에도 불구하고, 독일 동맹국들과 함께 수세기 동안 기억될 승리를 거두었다.[2]황제군은 뷔르템베르크 대부분을 탈환하고 라인란트로 진군했으며, 스웨덴의 악셀 옥센셰르나 총리는 국내 반대파로부터 전쟁 종식 압력을 받았다. 옥센셰르나 자신도 "불행은 너무나도 끔찍해서 더 나빠질 수 없었다"고 말했다.[3] 1634년 12월, 작센과 헤세-다름슈타트는 페르디난트 황제와 평화 협정을 체결했고, 이는 1635년 5월 프라하 조약으로 공식화되었다. 이 조약으로 하일브론 동맹과 가톨릭 동맹은 해산되었으며, 30년 전쟁은 종교 갈등으로서의 성격이 약화되었다.
반합스부르크 동맹의 붕괴는 프랑스의 직접적인 개입을 초래했다. 1635년 2월, 리슐리외 추기경은 스페인 네덜란드에 대한 프랑스-네덜란드 연합 공세에 동의하는 조약에 서명했으며, 앙리 드 로앙 공작이 이끄는 프랑스군은 3월 발텔리나를 침공하여 스페인 도로를 차단했다. 4월에는 스웨덴과의 새로운 동맹이 체결되었고, 라인란트에서 작센-바이마르의 베르나르가 이끄는 1만 2천 명의 군대에 자금을 지원했다. 5월, 프랑스는 스페인에 공식적으로 선전포고하여 1635년부터 1659년까지의 프랑스-스페인 전쟁을 시작했다.
신성 로마 제국의 황제 페르디난트 2세는 승리 소식에 기쁨의 눈물을 흘렸다고 한다. 스웨덴과 하일브론 동맹은 이후 극도의 상호 불신에 빠져 유명무실해졌다. 독일 중부와 남부의 제국 도시들은 잇따라 황제군의 손에 넘어갔다. 작센 선제후는 황제와의 단독 강화를 모색했고, 스웨덴군은 전투에서 막대한 피해를 입고 본국과 고립되어 전비 조달이 어려워지면서 세력이 감소했다.
1635년 5월, 작센 선제후는 황제와 프라하 조약을 체결하여 화해했다. 하일브론 동맹은 뇌르틀링겐 전투의 패배와 프라하 조약 체결로 사실상 붕괴되었지만, 패전 직후 동맹군은 프랑스 왕국에 지원을 요청했다. 그 결과, 프랑스는 제국에 대한 군사 행동의 권원을 얻게 되었다. 프라하 조약은 황제에게 승리를 안겨주었지만, 30년 전쟁은 아직 끝나지 않았다.
5. 전투의 의의와 평가
뇌르틀링겐 전투는 남부 독일에서 스웨덴의 세력을 효과적으로 무너뜨렸으며, 일부 해설가들은 이 전투를 "전쟁에서 가장 중요한 전투일 가능성이 높다"고 평가한다.[1] 이 전투는 "무엇보다도 스페인의 승리"였으며, 스페인군과 그들의 장군의 공로가 컸다고 평가된다.[2] 페르디난트 추기경-왕자는 그의 첫 번째 주요 야전 전투였음에도 불구하고, 독일 동맹국들과 함께 수세기 동안 기억될 승리를 거두었다. 그는 군대를 이끌고 스페인 네덜란드로 진군하여 영웅적인 총독으로 도착했고, 백성들은 그의 성공에 대한 감사를 표시했다.
황제군은 뷔르템베르크 대부분을 탈환하고 라인란트로 진군했으며, 스웨덴의 악셀 옥센셰르나 총리는 국내 반대파로부터 전쟁 종식 압력을 받았다. 작센과 헤세-다름슈타트는 페르디난트 황제와 평화 협정을 체결했고, 이는 1635년 5월 프라하 조약으로 공식화되었다. 이 조약은 하일브론 동맹과 가톨릭 동맹의 해산을 포함하였으며, 30년 전쟁이 주로 독일의 종교 갈등으로서의 성격을 멈춘 시점으로 여겨진다.[3]
독일에서 반합스부르크 동맹의 붕괴는 프랑스의 직접적인 개입을 초래했다. 1635년 2월, 리슐리외 추기경은 스페인 네덜란드에 대한 프랑스-네덜란드 연합 공세에 동의하는 조약에 서명했으며, 앙리 드 로앙 공작이 이끄는 프랑스군은 3월 발텔리나를 침공하여 스페인 도로를 차단했다. 4월에는 스웨덴과의 새로운 동맹이 체결되었고, 5월, 프랑스는 스페인에 공식적으로 선전포고하여 1635년부터 1659년까지의 프랑스-스페인 전쟁을 시작했다.
참조
[1]
웹사이트
ブリタニカ国際大百科事典 小項目事典の解説
https://kotobank.jp/[...]
コトバンク
2018-02-12
[2]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www.smb.nu/sv[...]
2008-04-07
[3]
웹인용
Det Trettioåriga Kriget
http://www.stormakts[...]
2008-02-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