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눈강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눈강은 다싱안링 산맥 북부에서 발원하여 헤이룽장성과 내몽골 자치구의 경계를 이루며 흐르는 강으로, 쑹화강과 합류한다. 주요 지류로는 간허, 너머얼허 등이 있으며, 하류의 쑹눈 평원은 중국의 중요한 곡창 지대이다. 눈강 유역은 산림과 습지가 풍부하며, 자룽 국가급 자연보호구와 모모거 습지가 람사르 조약에 등록되어 있다. 역사적으로는 1931년 만주 사변 당시 눈강 철교 전투가 벌어진 곳이며, 청나라 시대에는 중요한 통신로였다. 근대 이후에는 러시아의 영향력 아래에 있었으며, 환경 문제로 인해 토양 유실, 사막화, 홍수 등의 피해가 발생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헤이룽장성의 강 - 아무르강
    아무르강은 몽골 고원에서 발원하여 러시아와 중국의 국경을 따라 흐르며 오호츠크해로 유입되는 강으로, 역사적으로 흑룡강으로 불렸고, 다양한 민족의 거주지이자 중·러 관계에서 중요한 지정학적 요인으로 작용하며, 풍부한 수산자원을 가지나 수질 오염 문제도 겪고 있다.
  • 헤이룽장성의 강 - 우수리강
    우수리강은 만주 지방을 흐르며 아무르강의 주요 지류이고 중국과 러시아의 국경을 이루는 강으로, 역사적으로 퉁구스계 민족의 활동 무대이자 여러 국가의 흥망성쇠와 관련되었으며, 현재는 동북아시아의 중요한 수자원이지만 환경 오염과 자원 개발로 위협받고 있다.
  • 아무르강의 지류 - 아르군강
    아르군강은 중국 내몽골 자치구에서 발원하여 아무르강을 이루는 강 중 하나로, 러시아 측 실카강과의 합류 지점에서 아무르강을 형성하며, 총 길이는 하이라르강을 포함하여 1,620km이고, 역사적으로 중국과 러시아의 국경 역할을 했다.
  • 아무르강의 지류 - 우수리강
    우수리강은 만주 지방을 흐르며 아무르강의 주요 지류이고 중국과 러시아의 국경을 이루는 강으로, 역사적으로 퉁구스계 민족의 활동 무대이자 여러 국가의 흥망성쇠와 관련되었으며, 현재는 동북아시아의 중요한 수자원이지만 환경 오염과 자원 개발로 위협받고 있다.
  • 내몽골의 강 - 하이허
    하이허는 톈진 시를 관통하며 5개의 하천이 합류하여 형성되었고, 과거 홍수 피해를 겪었으나 치수 사업을 통해 피해를 줄였으며, 현재는 산업화와 도시화로 인한 문제에 직면해 있다.
  • 내몽골의 강 - 아르군강
    아르군강은 중국 내몽골 자치구에서 발원하여 아무르강을 이루는 강 중 하나로, 러시아 측 실카강과의 합류 지점에서 아무르강을 형성하며, 총 길이는 하이라르강을 포함하여 1,620km이고, 역사적으로 중국과 러시아의 국경 역할을 했다.
눈강
지도 정보
기본 정보
이름눈강
원어 이름만주어: (Non Ula)
중국어: (Nèn Jiāng)
몽골어: ᠨᠣᠨ ᡠᠯᠠ (Non Ula), Ноон мөрөн (Noon mörön)
지리
위치중국 지린성, 헤이룽장성, 내몽골 자치구
발원지내몽골 자치구 후룬베이얼 시
발원지 좌표51.335° N, 124.492° E
발원지 고도657m
하구쑹화강
하구 위치지린성 다안 인근, 지린성/헤이룽장성 경계
하구 좌표45.436° N, 124.657° E
하구 고도121m
진행 경로쑹화강아무르강 → 오호츠크해
유역 면적270,000km²
주요 지류왼쪽 지류: 네모르강, 우위에르강
오른쪽 지류: 간강, 누오민강, 얄루강 (눈강 지류), 추오얼강, 타오얼강, 훠린강
길이1370km
유역 면적283,000km²

2. 지리

다싱안링 산맥 북부에 있는 이르후리 산계에서 발원하여 다싱안링과 샤오싱안링 사이를 흐르며 헤이룽장성내몽골 자치구의 경계를 이룬다. 중류역 이후는 헤이룽장성 서부를 흘러 치치하얼 등의 도시를 경유하여 지린성 바이청 시의 다안에서 쑹화강합류한다. 하류역의 쑹눈 평원은 흑토 지대로, 중국의 중요한 곡창 지대이자 목초 지대이다.

2. 1. 지류

눈강의 주요 지류는 다음과 같다.

이름구분
간강(甘河)우안
너머얼강 (讷谟尔河)좌안
노민강 (诺敏河)우안
우위얼강(乌裕尔河)/누위얼강좌안
야루강(雅鲁河)우안
초얼강우안
타오얼강/차오얼강 (洮儿河)우안
훠린강 (霍林河)우안


2. 2. 주변 도시

2. 3. 자연 환경

다싱안링 산맥 북부에 있는 이르후리 산계에서 발원하여 다싱안링과 샤오싱안링 사이를 흐르며 헤이룽장성내몽골 자치구의 경계를 이룬다. 중류역 이후는 헤이룽장성 서부를 흘러 치치하얼 등의 도시를 경유하여 지린성 바이청 시의 다안에서 쑹화강합류한다. 하류역의 쑹눈 평원은 흑토 지대로, 중국의 중요한 곡창 지대이자 목초 지대이다.

주요 지류로는 간허, 너머얼허, 눠민허, 야루허, 춰얼허, 타오얼허, 훠린허 등이 있다.

눈강 유역은 청나라 말기 이후 개척민과 러시아, 일본 등의 외부 세력에 의한 삼림 벌채, 과도한 농경과 목축이 지속되었다. 중화인민공화국 수립 당시에는 이미 삼림 면적 감소와 토양 유실 문제가 심각한 상태였다. 이후에도 목재, 농축산물 증산을 목표로 한 무분별한 개발이 이어지면서 중하류 지역에서는 유출된 토사의 퇴적으로 인한 홍수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초원과 경작지의 황폐화 및 사막화, 토양의 염성화 등 심각한 환경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1970년대 이후 홍수와 사막화를 막기 위해 조림 및 방사림 조성 등 대규모 사업이 계속되고 있지만, 1998년에도 치치하얼 하류 일대에서 대규모 홍수가 발생하기도 했다.

치치하얼 부근의 자룽 국가급 자연보호구


유역에는 산림과 습지가 풍부하며, 두루미 외에도 상류 지역에서는 사향노루 등이 서식하고 있다. 상류부의 다싱안링 지구 쑹링 구에 위치한 한온대 침엽수림과 습지로 이루어진 난웽허 자연보호구[3]와 하류부 지린성 북서부의 사막초원의 이행 지대에 위치한 습지군인 모모거[4]는 람사르 조약 등록 습지이다.

또한, 치치하얼 부근에서는 눈강의 지류인 우위얼허의 하류가 끊기면서 그 상류 일대가 자룽 습지라고 불리는 넓은 습지대를 형성하고 있다. 이 중 2175km2에 달하는 면적이 자룽 국가급 자연보호구로 지정되어 있으며, 특히 두루미가 다수 서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5].

3. 역사

눈강은 고대 기록에서 '약수(弱水)'라는 이름으로 언급되기도 하지만, 이것이 현재의 눈강을 가리키는지는 명확하지 않다.[10][11][12][13][14][15] 청나라 시대에는 만주 지역의 중요한 교통로로 활용되었으며, 특히 남부 만주와 당시 헤이룽장성의 중심지였던 치치하얼, 머르겐 등을 연결하는 역할을 수행했다.[1] 근대에 들어서는 러시아 제국의 남하 정책에 따라 그 영향력이 커졌고, 1931년 만주 사변 발발 이후에는 관동군의 침략에 맞서 마잔산이 이끄는 중국군이 눈강교 전투를 벌인 역사적 무대가 되기도 했다.[6][7][8][9]

3. 1. 고대 기록

상서[10]와 《통전》(通典)[11]에는 약수(弱水)라는 이름이 기록되어 있다. '약(弱)'의 옛 발음이 nziak 또는 niak이었기 때문에, 이 약수가 눈강을 가리킨다는 설(說)이 있다.[12] 그러나 《진서》(晋書)의 사료(史料)[13]를 고려하면 아무르강을 가리킨다는 설[14]이 더 타당한 것으로 받아들여진다.[15] 청나라 시대에 눈강은 동북평원을 잇는 중요한 통신로였으며, 눈강 상류와 아무르강의 아이군을 연결하는 운송로 역할도 하였다.

3. 2. 근현대사

청나라 시대에 눈강은 남부 만주와 당시 헤이룽장성의 수도 역할을 했던 치치하얼 및 머르겐 사이를 잇는 중요한 교통로였다. 또한 눈강 상류와 아무르강 유역의 아이훈을 연결하는 육로도 존재했다.[1]

근대에 들어서는 북쪽으로부터 러시아 제국의 세력이 확장되었다. 1900년 북청사변 이후 눈강 유역은 실질적으로 러시아의 점령 하에 놓이게 되었다. 이후 발발한 러일 전쟁이 끝난 뒤에도, 러시아와 일본 제국 사이에 맺어진 러일 협약에 따라 눈강 유역은 여전히 러시아의 세력권으로 남았다.

눈강 철교 전투 (1931년)


1931년 9월 만주 사변이 발발하자, 장쉐량마잔산을 헤이룽장성 정부 주석 대리로 임명했다. 같은 해 10월 중순, 마잔산은 치치하얼 방어를 위해 눈강에 놓인 철교를 파괴하여 관동군과 이에 협력한 장하이펑 군대의 침공을 저지하려 했다. 이는 중일 전쟁 초기 전투 중 하나인 눈강교 전투로 이어졌다.[6][7] 11월 초, 관동군과 마잔산 군대는 눈강 철교 북쪽의 다싱 역 부근에서 충돌했다. 11월 중순, 관동군은 마잔산 군에게 치치하얼 이북으로 철수할 것을 요구했으나 마잔산은 이를 거부했고, 양측 간 소규모 교전이 계속되었다.[8] 당시 일본의 제2차 와카쓰키 내각은 관동군의 치치하얼 침공이 국제 여론을 악화시킬 것을 우려하여 내각 총사퇴까지 시사하며 반대했지만, 관동군은 결국 치치하얼 침공을 강행했다. 격렬한 전투 끝에 마잔산은 치치하얼을 포기하고 후퇴할 수밖에 없었다. 관동군은 일부 병력만 남기고 주력 부대는 철수했지만, 이는 11월 말 헤이룽장 성에 친일 괴뢰 정권이 수립되는 결과로 이어졌다.[8][9]

4. 환경 문제

대흥안령을 포함한 눈강 유역은 청나라 말기부터 개척민과 러시아, 일본 등 외부 세력에 의해 삼림 벌채, 과도한 농경과 목축이 진행되었다. 이로 인해 중화인민공화국이 수립될 무렵에는 이미 삼림 면적이 크게 줄고 토양 유실 문제가 심각한 상태였다.

정부 수립 이후에도 목재 생산과 농축산물 증산을 위한 무분별한 개발이 계속되었다. 그 결과, 강 중하류 지역에서는 흘러내린 흙과 모래가 쌓여 홍수가 자주 발생하게 되었다. 또한, 초원과 농경지가 황폐해지면서 사막화가 진행되고 토양의 염성화 문제도 심각해졌다.

1970년대부터는 홍수와 사막화를 방지하기 위해 나무를 심고 방풍림을 조성하는 등 대규모 노력이 이어지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1998년에는 치치하얼 하류 지역에서 큰 홍수가 발생하는 등 환경 문제는 여전히 해결되지 않고 있다.

참조

[1] 서적 Northern Frontiers of Qing China and Tokugawa Japan: A Comparative Study of Frontier Policy University of Chicago, Department of Geography; Research Paper No. 213
[2] 웹사이트 我见过的最美湿地——南瓮河国家级自然保护区 {{!}} 黑龙江新闻网 {{!}} 黑龙江日报客户端 http://www.hljnews.c[...] 2020-06-17
[3] 웹사이트 Heilongjiang Nanweng River National Nature Reserve {{!}} Ramsar Sites Information Service https://rsis.ramsar.[...] 2011-09-01
[4] 웹사이트 Jilin Momoge National Nature Reserve {{!}} Ramsar Sites Information Service https://rsis.ramsar.[...] 2013-10-16
[5] 웹사이트 Zhalong {{!}} Ramsar Sites Information Service https://rsis.ramsar.[...] 1997-01-01
[6] 문서 川田(2010)p.170
[7] 문서 川田(2010)p.170
[8] 문서 川田(2010)pp.172-174
[9] 문서 『1億人の昭和史1』(1975)pp.147-153
[10] 문서 공자
[11] 문서 두우
[12] 간행물 시라토리 구라키치
[13] 문서 방현령 등
[14] 서적 이노우에 히데오(井上秀雄)
[15] 웹인용 중국정사조선전 주석보기 > 三國志 卷 030 魏書 30 東夷傳 第 030 [註005] 北有弱水 http://db.history.go[...] 국사편찬위원회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