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눙안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눙안현은 중화인민공화국 지린성 창춘시 서북부에 위치한 현이다. 부여의 수도가 있었던 유서 깊은 지역으로, 고구려, 발해의 지배를 받았으며, 거란의 침공으로 발해가 멸망한 후에는 금나라, 명나라, 청나라를 거쳐 1949년 현재의 눙안현으로 설치되었다. 현재 10개 진(鎮)과 11개 향(鄕)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창춘시와 63km 거리에 위치해 있다. 눙안현은 창바이 선 철도와 훈우 고속도로, G302 국도가 통과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창춘시의 행정 구역 - 난관구
    난관구는 중국 지린성 창춘시의 중심부에 위치한 구로, 12개의 가도, 3개의 진, 2개의 향을 관할하며 창춘 궤도교통의 요충지이자 다양한 관광 명소를 보유하고 있다.
  • 창춘시의 행정 구역 - 더후이시
    더후이시는 중국 지린성 중북부의 현급시로, 쑹랴오 평원에 위치하며 중온대 반습윤 몬순 기후를 나타내고, 농업과 공업이 발달했으며, 징하철로와 고속도로를 포함한 교통망과 다양한 관광 자원을 보유하고 있다.
  • 지린성의 현 - 후이난현
    후이난현은 지린성 퉁화시에 위치하며 과거 휘난 직례청으로 불렸던 지역으로, 10개의 진, 1개의 민족향으로 구성되고 창창, 휘린 고속도로와 국도, 철도를 통해 교통이 연결되며 류호존과 같은 인물을 배출한 현이다.
  • 지린성의 현 - 징위현
    중국 지린성 바이산시에 있는 징위현은 쑹화강 상류와 창바이산맥 서쪽 외곽에 위치하며 습윤 대륙성 기후를 띠고, 1946년 항일 투쟁 지도자 양정우를 기리기 위해 몽강현에서 개명되었으며, 6개의 진과 2개의 향을 관할하고 징위 공항 등을 통해 교통망이 연결된다.
  • 중화인민공화국의 행정 구역 - 창춘시
    창춘시는 중화인민공화국 지린성의 성도로, 부여의 수도였고 만주국의 수도 신징으로 불렸으며, 현재 자동차, 영화 산업 등의 중심지이다.
  • 중화인민공화국의 행정 구역 - 자딩구
    자딩구는 상하이시의 시할구로, 1218년에 처음 설치되었으며, 면적은 약 463.9km²이며, 자동차 산업과 F1 중국 그랑프리가 열리는 곳이다.
눙안현 - [지명]에 관한 문서
지도
위치지린성 내 위치
기본 정보
이름농안현
로마자 표기Nong'an Xian
다른 이름융안, 룽안
행정 구역 종류
국가중화인민공화국
지린성
지급시창춘시
지리
면적5236 제곱킬로미터
좌표44.435°N 125.175°E
인구
총 인구 (2010년)960759명
인구 밀도자동 계산
행정
우편 번호1302XX
지역 번호해당 없음
기타
시간대중국 표준시
UTC 오프셋+8
웹사이트http://nong-an.gov.cn
농안 요탑
농안 요탑

2. 역사

눙안현 지역은 오랜 역사를 거치며 다양한 국가와 왕조의 지배를 받았다. 고대 한나라 시대에는 부여의 수도가 위치했으며, 이후 고구려가 이 지역을 차지하고 '''부여성(夫餘城)'''을 설치하였다.

698년 발해 건국 후에는 부여부가 설치되었다. 발해 시기 눙안 지역은 거란과의 중요한 교역로 상에 위치했으나, 926년 거란의 침공으로 발해가 멸망하면서 거란의 지배하에 들어갔다.

요나라는 이 지역을 '''황룡부(黃龍府)'''로 개칭했고, 금나라는 '''융주(隆州)'''를 설치했다가 1189년 '''융안(龍安)'''으로 다시 이름을 바꾸었다. 명나라 시대에는 '''용안참(龍安站)'''이 설치되었다.

청나라 시대에는 초기 내몽골 관할 하에 있다가 1800년 장춘청 소속이 되었고, 1882년에는 길림성으로 이관되었다. 1889년 장춘부(長春府)가 설치되면서 처음으로 '''농안현'''이라는 명칭이 사용되었다. 중화민국 시기인 1947년 장안현으로 잠시 통합되었으나, 1949년 다시 '''농안현'''으로 분리되어 현재에 이르고 있다.

2. 1. 부여와 고구려

부여의 수도가 있었던 곳이다. 한나라 시대부터 이 지역은 부여에 속했으며, 부여의 도성이 위치했다. 이후 남북조 시대부터 수나라 시대에 걸쳐 고구려의 영토가 되었다. 부여가 고구려에 의해 멸망한 뒤, 고구려는 이곳에 '''부여성(夫餘城)'''을 설치하여 북쪽 변방으로 삼았다. 삼국사기 지리지에 기록된 '북부여성주'가 이곳으로 추정되며, 기록에 따르면 '''조리비서'''라고도 불렸다고 한다.

2. 2. 발해

698년 발해가 건국된 후, 이 지역에는 부여부가 설치되었다. 이곳은 거란과의 무역로인 거란도의 중간 지점에 위치했으며, 이 길은 발해의 수도인 상경용천부로 바로 이어지는 중요한 길목이었다. 따라서 발해는 요동 방어선만큼이나 이 지역의 방어에 큰 중요성을 두었다.

하지만 926년 거란이 침공했을 당시, 부여성의 성주는 왕위 다툼에 연루되어 성을 버리고 상경으로 향했다. 이로 인해 부여성은 거란군에게 매우 쉽게 함락되었고, 거란군은 거란도를 통해 상경용천부까지 진격하여 함락시킴으로써 발해는 멸망하게 되었다.

발해가 멸망한 후에도 이 지역의 발해 유민들은 상당한 세력을 유지하며 저항을 이어갔다. 일부는 정안국에 합류했으며, 성주였던 연파는 거란에 반기를 들기도 했다. 연파의 난이 진압된 후, 부여성의 주민들은 현재의 쓰핑 시 이퉁 만족 자치현 지역으로 강제 이주되었고, 그 자리에 중국인들이 이주해 왔다. 이후 요나라는 이 지역을 '''황룡부(黃龍府)'''로 개칭하였다.

2. 3. 요, 금, 원, 명, 청

발해926년 거란에 의해 멸망한 후, 이 지역에서는 발해 유민들의 저항이 계속되었다. 성주 연파(涓巴)가 거란에 반기를 드는 등 저항이 있었으나, 결국 진압되었다.[1] 연파의 난이 진압된 뒤, 부여성의 주민들은 현재의 쓰핑 시 이퉁 만족 자치현 지역으로 강제로 이주당했으며, 그 자리에 중국인들이 이주해 살게 되었다. 요나라는 이 지역을 황룡부(黃龍府)라고 불렀다.[2][3]

금나라는 이곳에 융주(隆州)를 설치했다.[2][3] 이후 1189년 (대정 29년), 산둥성에 있는 동명의 지명과의 혼동을 피하기 위해 융안(龍安)으로 이름을 바꾸었다.[3] 정우 연간(1214년-1216년)에는 융안주(龍安州)가 융안부(龍安府)로 승격되었다.[3]

명나라 시대인 1403년 (영락 원년)에는 노아간도사(奴兒干都司) 관할 하에 용안참(龍安站)이 설치되었다.[3]

청나라 초기에는 내몽골 곽이뤄스전기(郭爾羅斯前旗)의 관할 지역이었다.[2][3] 1800년 (가경 5년)에는 새로 설치된 장춘청(長春廳)의 관할이 되었고,[3] 1882년 (광서 8년)에는 길림성으로 이관되었다.[2] 1889년 (광서 15년), 장춘청이 장춘부(長春府)로 승격되면서 처음으로 농안현(農安縣)이라는 이름이 사용되었고, 장춘부에 소속되었다.[2][3]

2. 4. 근현대

청나라 시대에 들어서 처음에는 곽이뤄스전기의 관할 지역이었으나, 1800년 (가경 5년)에 새로 설치된 장춘청의 관할이 되었다. 이후 1889년 (광서 15년)에 장춘청이 장춘부로 승격되면서 처음으로 '''농안현'''이 설치되었다.

중화민국 시기인 1947년 (민국 36년)에는 장춘현과 합병되어 장안현으로 개편되었다. 그러나 1949년에 다시 분리되어 '''농안현'''이라는 이름으로 재설치되어 현재에 이른다.

3. 지리

창춘시 서북부에 위치하며, 창춘 시내와는 63km 떨어져 있다. 북쪽으로는 쑹위안시, 서쪽으로는 네이멍구 자치구와 접한다.

3. 1. 기후

연평균 기온은 4.7°C, 연평균 강수량은 508.2mm이다.

눙안의 기후 (1991년~2020년 평균, 극한값 1981년~2010년)
1월2월3월4월5월6월7월8월9월10월11월12월
역대 최고 기온 °C4.5°C14.9°C21.8°C31°C35.2°C37.8°C34.9°C34.3°C31.3°C27.8°C20°C10.5°C
평균 최고 기온 °C-9.9°C-4.1°C4.5°C14.9°C22.3°C26.9°C28.1°C26.9°C22.3°C13.6°C1.6°C-7.9°C
일평균 기온 °C-16.8°C-11.2°C-1.9°C8.3°C16°C21.3°C23.5°C21.8°C15.5°C6.9°C-4.2°C-14°C
평균 최저 기온 °C-22.7°C-17.6°C-8.2°C1.4°C9.5°C15.7°C19°C17.1°C9.1°C0.7°C-9.4°C-19.4°C
역대 최저 기온 °C-37.2°C-35.7°C-27.7°C-11°C-2.8°C3.5°C8°C4.9°C-2.8°C-13.9°C-27.3°C-36.7°C
강수량 mm3.2mm4.2mm9.8mm18.1mm53.8mm82.1mm122.9mm107.1mm44.7mm23.1mm12.5mm6.5mm
평균 강수일수 (≥ 0.1 mm)4.33.45.15.710.012.913.111.97.66.05.35.5
평균 강설일수5.94.76.11.9000001.35.77.2
평균 상대 습도 (%)675951455163787971636469
월평균 일조시간176.9200.7235.7233.5256.2247.0236.1235.2238.1208.9168.5157.1
가능 일조율626764585653515564625957
출처: 중국 기상청[5][6]


4. 행정 구역

눙안 현( () NUNG-AN (Lung-wan)) 지도 (AMS, 1956)


눙안현의 행정 구역 구성에 대해서는 자료에 따라 차이가 있다. 일부 자료에서는 10개의 진과 11개의 향을 관할한다고 설명한다.[4] 다른 자료에서는 4개의 가도, 11개의 진, 10개의 향을 관할한다고 한다.

4. 1. 진 (鎭)


  • 농안진 农安镇중국어
  • 복룡천진 伏龙泉镇중국어
  • 하랍해진 哈拉海镇중국어
  • 깟산진 靠山镇중국어
  • 개안진 开安镇중국어
  • 소과진 烧锅镇중국어
  • 고가점진 高家店镇중국어
  • 화가진 华家镇중국어
  • 삼성옥진 三盛玉镇중국어
  • 파길루이진 巴吉垒镇중국어
  • 삼강진 三岗镇중국어

4. 2. 향 (鄕)


  • 첸강 향 前岗乡중국어
  • 룽왕 향 龙王乡중국어
  • 싼강 향 三岗乡중국어
  • 완순 향 万顺乡중국어
  • 양수린 향 杨树林乡중국어
  • 융안 향 永安乡중국어
  • 칭산커우 향 青山口乡중국어
  • 황위취안 향 黄鱼圈乡중국어
  • 신농 향 新农乡중국어
  • 완진타 향 万金塔乡중국어
  • 샤오청쯔 향 小城子乡중국어

5. 교통

(내용 없음)

5. 1. 철도


  • -- 중국철로총공사
  • *창바이 선

::(창춘 방면) ← 카이안 역 ↔ 화자 역 ↔ 눙안 역 ↔ 하라하이 역 → (바이청 방면)

5. 2. 도로


  • 고속도로
  • * 훈우 고속도로
  • 국도
  • * G302 국도

참조

[1] 간행물 Changchun Statistical Yearbook 2011 2014-07-08
[2] 간행물 2010 Census county-by-county statistics 2014-07-08
[3] Google maps Nong'an https://www.google.c[...] 2014-07-02
[4] 웹사이트 http://www.stats.gov[...] National Bureau of Statistics of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2012-07-16
[5] 웹사이트 http://data.cma.cn/d[...] Chin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23-10-05
[6] 웹사이트 https://experience.a[...] Chin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23-10-05
[7] 서적 『コンサイス地名辞典 外国編』 삼성당 1977-07
[8] 웹인용 http://data.cma.cn/d[...] China Meteorological Data Service Center 2022-08-2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