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니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다니엘은 "하나님(엘)이 나의 재판관이시다"라는 뜻을 가진 이름으로, 성경과 유대교, 기독교, 이슬람교 등 다양한 종교에서 중요한 인물로 여겨진다. 성경에는 다니엘서의 주인공 외에도 여러 인물이 이 이름으로 언급되며, 특히 에스겔서는 지혜로운 다니엘을 언급하고, 다니엘서는 다니엘의 꿈 해석과 예언을 주요 내용으로 다룬다. 다니엘서는 바벨론과 페르시아 궁정을 배경으로 하며, 다니엘과 그의 동료들이 겪는 이야기, 다니엘의 환상과 예언 등을 담고 있다. 유대교에서는 예언자로 간주되지 않지만, 경건한 인물로 존경받으며, 기독교에서는 신약성경에서 언급되고, 이슬람교에서도 예언자적 삶이 기록되어 있다. 다니엘의 무덤은 여러 지역에 존재하며, 오늘날까지 순례지로 여겨진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고대 종말론자 - 마르티누스 투로넨시스
마르티누스 투로넨시스는 4세기 로마 제국 시대의 기독교 성직자이자 투르의 주교로, 군 복무 거부, 리구제 수도원 설립, 사후 유럽 전역에서 숭배받은 인물이다. - 고대 종말론자 - 즈가리야 (선지자)
즈가리야는 기원전 520년경 활동한 선지자로, 제2 성전 건축을 격려하고 예언을 통해 신약성서 기자들에게 영향을 미쳤으며, 동방 정교회 등에서 기념된다. - 기독교의 예언자 - 느헤미야
느헤미야는 아닥사스다 1세 시대에 예루살렘 성벽 재건을 주도하고, 에스라와 함께 종교 및 사회 개혁을 단행하여 유대 공동체의 회복과 정체성 강화에 기여한 페르시아 제국의 술 맡은 관원이다. - 기독교의 예언자 - 퍼블릭 유니버설 프렌드
1776년 티푸스 발병 후 스스로를 "퍼블릭 유니버설 프렌드"라 칭하며 성별을 초월한 종교 지도자가 된 제미마 윌킨슨은 퀘이커 교도회에서 제명된 후 만인의 친구회를 이끌며 최후의 심판과 회개를 전파하고 뉴욕 서부에 공동체를 건설했으나, 사후 그의 종교 운동은 쇠퇴했지만 여성 권리 운동과 트랜스젠더 역사의 선구자로 재평가되고 있다. - 이란 유대인 - 누리엘 루비니
누리엘 루비니는 2007~2008년 세계 금융 위기를 예측하여 "닥터 둠"이라는 별명을 얻은 경제학자이자 뉴욕대학교 스턴 경영대학원 명예교수이며, 국제통화기금(IMF) 등에서 활동했고 Roubini Global Economics를 설립하여 경제 컨설팅 사업을 펼쳤다. - 이란 유대인 - 숀 토브
이란 태생의 페르시아계 유대인 배우 숀 토브는 잉글랜드와 스위스에서 어린 시절을 보내고 미국에서 배우의 꿈을 이루어 다양한 영화와 드라마에서 폭넓은 연기 경력을 쌓았다.
| 다니엘 | |
|---|---|
| 구글 지도 | |
| 기본 정보 | |
| 이름 | 다니엘 |
| 다른 이름 | 벨테사살 |
| 출생 | 기원전 6세기경 |
| 사망 | 수사, 이란 |
| 주요 활동 | 예언자 |
| 숭배 | 유대교, 기독교, 이슬람교, 바하이교 |
| 축일 | 7월 21일: 로마 가톨릭교회 12월 17일: 그리스 정교회 오순절 후 넷째 주일 다음 화요일: 아르메니아 사도 교회 |
| 주요 성지 | 다니엘의 무덤, 수사, 이란 |
![]() | |
| 이름의 의미 | |
| 아람어 | (단 6:22에만 사용) |
| 성경 속 다니엘 | |
| 책 | 다니엘서 |
| 역할 | 예언자 지혜자 꿈 해석자 |
| 내용 | 바빌론에 포로로 잡혀간 유대인 신앙을 지키고 하나님을 숭배 꿈과 환상을 해석하고 예언을 함 사자굴에서 살아남음 메네 메네 데겔 우파르신에 대한 해석 |
| 중요 사건 | 네부카드네자르 2세의 꿈 해석 사자굴에 던져짐 벨사살 왕의 벽에 쓰여진 글 해석 |
| 기타 | |
| 관련 인물 | 벨테사살 (바빌론식 이름), 네부카드네자르 2세, 벨사살 |
2. 배경
기원전 6세기, 바빌론의 네부카드네자르 왕은 예루살렘을 함락시킨 후, 유다인들 중에서 “몸에 하자가 없고 용모가 아름다우며, 모든 일에 재능과 지혜가 있고, 지식과 이해력이 풍부하며, 궁정에 시중들 능력이 있는”( 다니엘 1:4) 소년들을 뽑아 칼데아어를 배우게 했다.
벨테사살이라 불리게 된 다니엘도 그중 한 명이었다. 다니엘을 중심으로 삿드락, 메삭, 아벳느고 네 사람은 이방 땅에서도 유일신에 대한 신앙을 굳게 지키며, “이방인의 고기와 포도주로 자신을 더럽히지 않겠다”(다니엘 1:8)고 맹세했다. 이들은 뛰어난 능력으로 왕에게 중용되었다.[13]
다니엘은 네부카드네자르 왕이 꾼, 사람 모습을 한 거대한 상(像)에 대한 꿈을 해몽했다. 그 상은 눈부시게 빛나고 끔찍할 정도로 무서운 모습이었는데, 머리는 순금, 가슴과 두 팔은 은, 배와 허벅지는 청동, 정강이는 철, 발은 일부가 철이고 일부가 진흙으로 되어 있었다. 다니엘은 꿈에서 한 바위가 초자연적인 방법으로 산비탈에서 떨어져 나와 상을 향해 돌진하여 철과 진흙으로 된 발을 산산이 부수고, 상 전체가 무너져 철, 진흙, 청동, 은, 금도 부서져 파편 더미가 되어 바람에 날아가는 것을 보았다.
다니엘은 이 꿈을 다음과 같이 해석했다. “왕이여, 당신은 그 금 머리입니다. 그러나 왕국의 운명이 다하면 다른 강국(메디아-페르시아)이 일어날 것입니다. 그 나라는 왕의 나라에 비해 열등할 것입니다. 이 두 번째 나라가 무너지면, 거상의 청동 배가 나타내는 세 번째 강국(그리스)이 일어나 세계를 지배할 것입니다. 이어서, 철처럼 강한 네 번째 나라(로마)가 일어나, 철이 다른 것을 부수듯이 다른 나라들을 분쇄하고 정복할 것입니다. 일부가 철이고 일부가 진흙으로 되어 있는 발은, 나중에 네 번째 나라가 분열될 것을 보여줍니다. 분열된 나라의 일부는 철처럼 강하고, 일부는 진흙처럼 연약할 것입니다. 이 철과 진흙의 혼합은, 분열된 왕국들이 서로 통치자 간의 정략 결혼으로 동맹을 맺어 세력을 강화하려는 것을 보여줍니다. 그러나 그것은 성공하지 못할 것입니다. 철과 진흙은 섞이지 않기 때문입니다. 이 왕들의 시대에, 하늘의 하나님은 결코 멸망하지 않을 한 나라를 일으키실 것입니다. 아무도 이 나라를 정복할 수 없습니다. 그 나라는 모든 나라를 쳐서 멸망시킬 것입니다. 바로 영원불멸의 나라입니다. 이것이 사람의 손이 아닌 산비탈에서 떨어져 나온 바위, 철과 청동과 진흙과 은과 금을 모두 산산이 부순 바위가 의미하는 것입니다. 위대한 하나님이 이렇게 장래 일어날 일을 보여주신 것입니다.”
꿈의 수수께끼를 풀어낸 다니엘은 바빌론 전 지방의 총독으로 임명되었다.[14] 또한, 네부카드네자르의 아들 벨사살 왕이 연회 중에 벽에 글씨가 쓰이는 환상을 보았을 때, 그 글자 ‘메네 메네 테켈 파르신’을 읽고 다음과 같이 해석했다. ‘메네’는 ‘수가 셈이 되었다’는 뜻으로, 하나님이 왕의 통치 기간을 세어 그 기간이 끝났다는 의미이고, ‘테켈’은 ‘달았다’는 뜻으로, 왕이 하나님의 저울로 달아 보니 부족했음을 의미하며, ‘파르신’은 ‘나뉘었다’는 뜻으로, 왕의 나라가 나뉘어 메디아와 페르시아에게 돌아갈 것임을 해석했다.[15]
페르시아가 바빌론을 정복한 후, 메디아 사람 다리우스도 다니엘을 중용했지만, 다른 신하들의 음모로 다니엘은 사자굴에 던져졌다.[16] 그러나 다니엘은 하나님의 힘으로 사자에게 해를 입지 않았고, 오히려 다니엘을 해치려 했던 자들이 사자의 먹이가 되었다.[17]
다니엘이 주께 기도하자 천사 가브리엘이 나타나 메시아에 관한 정해진 때에 대한 계시를 받았다.[18] “지극히 사랑받는 자”[19]라고 불린 것으로 보아 주의 총애를 받았음을 알 수 있다.
구약 외경인 다니엘서 부록에는 다니엘이 키루스 2세 왕 통치하에 바알 신의 제사장과 다투는 이야기와, 두 남자에게 허위 고발을 당한 여인 수산나를 교묘한 재판으로 구하는 이야기가 실려 있다. 후자 때문에 다니엘은 재판의 수호 성인으로 여겨졌다. 셰익스피어의 『베니스의 상인』에서 포샤가 살을 베어내도 좋다는 판결을 내리자, 샤일록이 명재판관의 예로 다니엘을 언급하는데, 이는 이 구약 외경의 이야기를 따른 것이다.
히브리어로 '수산'이라 불리는 수사에는 다니엘의 무덤으로 여겨지는 것이 있다(사진).
2. 1. 이름의 의미와 성경 속 다른 인물들
다니엘의 이름은 '하느님(엘)이 나의 심판자'라는 뜻이다. 가장 잘 알려진 다니엘은 다니엘서의 영웅으로, 꿈을 해석하고 묵시적인 환상을 받는 인물이다. 그러나 성경에는 이 이름을 가진 다른 세 사람도 간략하게 언급된다.- 에스겔서(14:14, 14:20, 28:3)는 지혜와 의로 유명한 전설적인 다니엘을 가리킨다. 에스겔은 14장 14절에서 범죄한 이스라엘 땅에 대해 “비록 노아, 다니엘, 욥 이 세 사람이 거기 있을지라도 그들은 자기의 의로 자기의 생명만 건지리라”고 말한다. 28장에서 에스겔은 두로 왕을 조롱하며 "네가 다니엘보다 지혜롭느냐"고 수사적으로 묻는다. 다니엘서의 저자는 지혜로 유명한 이 전설적인 인물을 자신의 중심 인물로 삼은 것으로 보인다.[1]
- 에스라서(8:2)에는 에스라와 함께 바벨론에서 예루살렘으로 갔던 다니엘이라는 제사장이 언급되어 있다.[1]
- 역대상(3:1)에는 다윗의 아들 중 하나로 다니엘이 언급되어 있다.[1]
다니엘(Dn'il 또는 다넬)은 우가리트의 아크하트 전설에 나오는 인물의 이름이기도 하다. 이 전설적인 다니엘은 의로움과 지혜로 유명하며, 엘(하느님) 신의 추종자로 알려져 있다. 그는 꿈과 환상을 통해 하느님의 뜻을 알게 된다. 에스겔이 훨씬 오래된 가나안 전설을 알고 있었을 것 같지는 않지만, 둘 사이에 어떤 연관성이 있다고 가정하는 것이 합리적으로 보인다. 다니엘서 전반부 이야기의 저자들도 우가릿 다니엘에 대해 알지 못했을 것이며, 그들의 영웅의 이름을 에스겔에게서 따왔을 것으로 추정한다. 후반부 환상의 저자는 차례로 이야기에서 영웅의 이름을 따왔을 것이다.[1]

2. 2. 우가리트 신화와의 연관성
다니엘(Dn'il 또는 다넬)은 우가리트의 아갓 전설에 나오는 인물의 이름이다.[1] 우가릿은 기원전 1200년경에 파괴된 가나안 도시였으며, 이 이야기가 담긴 서판은 기원전 1360년경의 것이다. 이 전설적인 다니엘은 의로움과 지혜로 유명하며, 엘 신의 추종자로 알려져 있다. 그는 꿈과 환상을 통해 하느님의 뜻을 알게 된다.[1]에스겔이 훨씬 오래된 가나안 전설을 알았을 가능성은 낮지만, 둘 사이에 어떤 연관성이 있다고 추측하는 것은 타당해 보인다.[1] 다니엘서 전반부 이야기의 저자들 또한 우가릿 다니엘을 몰랐을 가능성이 높고, 아마도 에스겔로부터 영웅의 이름을 따왔을 것이다. 다니엘서 후반부 환상의 저자는 다시 이야기에서 영웅의 이름을 따왔을 것이다.[1]
3. 다니엘서의 주요 내용

다니엘서는 다니엘과 그의 동료들이 바벨론에 이르게 된 과정을 서술하는 서론으로 시작하여, 기원전 7세기 후반과 6세기 초 바벨론과 페르시아 궁정을 배경으로 한 일련의 이야기가 이어진다. 그 후에는 다니엘이 세상과 이스라엘의 먼 미래를 보는 환상들이 나온다.[2] 이야기들은 기원전 3세기 또는 2세기 초에 쓰여진 것으로 추정되며, 환상들은 기원전 167년에서 164년 사이에 추가된 것으로 일반적으로 받아들여진다.
여호야김 왕 3년에 다니엘과 그의 친구들인 하나냐, 미사엘, 아사랴는 바벨론 왕 느부갓네살에 의해 바벨론으로 끌려간다. 네 사람은 바벨론 궁정에서 교육을 받고 새로운 이름을 받는다. 다니엘은 벨드사살(벨테사살), 그의 친구들은 사드락, 메삭, 아벳느고라는 바벨론식 이름을 받는다. 다니엘과 그의 친구들은 바벨론 왕이 제공한 음식과 포도주를 거부하고, 하나님으로부터 지혜를 얻어 "왕국에 있는 모든 점쟁이와 박수보다 뛰어났다."
느부갓네살은 꿈에서 네 가지 금속으로 만들어진 거대한 신상이 하늘에서 떨어진 돌에 의해 부서지는 것을 보았고, 다니엘은 이 꿈이 바벨론을 첫 번째로 하는 네 왕국을 의미하며, 하나님께서 그들을 멸망시키고 자신의 왕국으로 대체할 것임을 나타낸다고 해석한다. 또 다른 꿈에서 느부갓네살은 온 세상을 보호하는 큰 나무와 그 나무를 벨 것이라는 천사의 계시를 보았고, 다니엘은 이 꿈이 지상의 왕들에 대한 하나님의 주권에 관한 것이라고 해석한다.
느부갓네살의 아들 벨사살이 유대인 성전의 성물을 사치스러운 잔치의 식기로 사용하자, 손이 나타나 벽에 신비한 메시지를 썼는데, 다니엘은 벨사살이 하나님의 주권을 인정하지 않았기 때문에 그의 왕국이 메대와 페르시아에게 주어질 것이라고 해석한다. 메대와 페르시아가 느부갓네살을 몰아내고, 다리오 왕이 다니엘을 높은 지위에 임명한다. 질투심 많은 경쟁자들의 모함으로 다니엘은 사자굴에 던져지지만, 천사가 그를 구하고 그의 고발자들은 멸망하며 다니엘은 지위를 회복한다.
다리오 3년에 다니엘은 일련의 환상을 본다.[2]
| 순서 | 내용 |
|---|---|
| 첫 번째 환상 | 네 짐승이 바다에서 나오고, 마지막 짐승은 열 뿔을 가지고 있으며, 열한 번째 뿔이 자라나 땅을 지배한다. "옛적부터 계신 자"(하나님)가 "인자 같은 자"에게 권세를 주신다. |
| 두 번째 환상 | 두 뿔을 가진 숫양이 한 뿔을 가진 염소에게 공격받고, 한 뿔이 부러지고 네 뿔로 바뀐다. 작은 뿔이 일어나 하나님의 백성과 성전을 공격한다. |
| 세 번째 환상 | 다니엘은 예레미야서에서 예루살렘이 70년 동안 황폐해질 것이라는 내용을 읽고 괴로워하며 회개하고 회복을 요청한다. 천사는 70개의 이레(주)를 언급한다. |
| 마지막 환상 | "북방 왕"과 "남방 왕" 사이의 투쟁으로 절정에 이르고, 하나님의 백성이 끔찍한 고난을 겪는다. 천사는 마지막에 의인들이 칭찬받고 하나님의 왕국이 세상에 세워질 것이라고 설명한다. |
3. 1. 바벨론과 페르시아 궁정에서의 이야기 (1-6장)
다니엘서는 다니엘과 그의 동료들이 바벨론에 이르게 된 과정을 서술하는 서론으로 시작하며, 기원전 7세기 후반과 6세기 초 바벨론과 페르시아 궁정을 배경으로 한 일련의 이야기가 이어진다.[2] 1장부터 6장까지의 이야기들은 기원전 3세기 또는 2세기 초에 쓰여진 것으로 추정된다.
여호야김 왕 3년에 다니엘과 그의 친구들인 하나냐, 미사엘, 아사랴는 바벨론 왕 느부갓네살에 의해 바벨론으로 끌려간다.[4] 네 사람은 지성과 아름다움으로 뽑혀 바벨론 궁정에서 교육을 받고 새로운 이름을 받는다. 다니엘은 바벨론식 이름인 벨드사살(𒊩𒆪𒈗𒋀|Beltu-šar-uṣurakk)을 받았고, 그의 친구들은 사드락, 메삭, 아벳느고라는 바벨론식 이름을 받는다. 다니엘과 그의 친구들은 더럽혀지는 것을 피하기 위해 바벨론 왕이 제공한 음식과 포도주를 거부한다. 그들은 하나님으로부터 지혜를 얻어 "왕국에 있는 모든 점쟁이와 박수보다 뛰어났다."
느부갓네살은 네 가지 금속으로 만들어진 거대한 신상이 하늘에서 떨어진 돌에 의해 부서지는 꿈을 꾼다. 다니엘만이 이 꿈을 해석할 수 있었는데, 이 꿈은 바벨론을 첫 번째로 하는 네 왕국을 의미하며, 하나님께서 그들을 멸망시키고 자신의 왕국으로 대체할 것임을 나타낸다.
느부갓네살은 온 세상을 보호하는 큰 나무와 그 나무를 벨 것이라는 천사의 계시에 대한 꿈을 꾼다. 다시 다니엘만이 이 꿈을 해석할 수 있었는데, 이 꿈은 지상의 왕들에 대한 하나님의 주권에 관한 것이었다.
느부갓네살의 아들 벨사살이 유대인 성전의 성물을 사치스러운 잔치의 식기로 사용하자, 손이 나타나 벽에 신비한 메시지를 쓰는데, 다니엘만이 이것을 해석할 수 있었다. 그것은 벨사살이 느부갓네살과 달리 다니엘의 하나님의 주권을 인정하지 않았기 때문에 그의 왕국이 메대와 페르시아에게 주어질 것임을 알려준다.
메대와 페르시아가 느부갓네살을 몰아내고 새로운 왕인 다리오 왕이 다니엘을 높은 지위에 임명한다. 질투심 많은 경쟁자들이 다니엘을 왕이 아닌 하나님을 숭배한다는 죄목으로 고발하려고 하자 다니엘은 사자굴에 던져지지만, 천사가 그를 구하고 그의 고발자들은 멸망하며 다니엘은 그의 지위를 회복한다.
기원전 6세기, 바빌론의 네부카드네자르 왕은 예루살렘을 함락시킨 후, 자신의 점령 행정 관료를 양성하기 위해 유다인들 중에서 “몸에 하자가 없고 용모가 아름다우며, 모든 일에 재능과 지혜가 있고, 지식과 이해력이 풍부하며, 궁정에 시중들 능력이 있는”( 다니엘 1:4) 소년들을 뽑아 데려와 칼데아어를 배우게 했다.
벨테사살이라 불리게 된 다니엘도 그중 한 명이었다. 다니엘을 중심으로 삿드락, 메삭, 아벳느고 네 사람은 이방 땅에서도 유일신에 대한 신앙을 굳게 지키며, “이방인의 고기와 포도주로 자신을 더럽히지 않겠다”(다니엘 1:8)고 맹세했다. 다니엘 등은 뛰어난 능력으로 왕에게 중용되었다.[13]
다니엘은 네부카드네자르 왕이 본 사람 모습을 한 거대한 힘 있는 상(像)에 대한 꿈을 해몽했다. 그 상은 눈부시게 빛나고 끔찍할 정도로 무서운 모습이었는데, 머리는 순금, 가슴과 두 팔은 은, 배와 허벅지는 청동, 정강이는 철, 발은 일부가 철이고 일부가 진흙으로 되어 있었다. 다니엘은 꿈에서 한 바위가 초자연적인 방법으로 산비탈에서 떨어져 나와 상을 향해 돌진하여 철과 진흙으로 된 발을 산산이 부수고, 상 전체가 무너져 철, 진흙, 청동, 은, 금도 부서져 파편 더미가 되어 바람에 날아가는 것을 보았다.
다니엘은 이 꿈을 다음과 같이 해석했다. “왕이여, 당신은 그 금 머리입니다. 그러나 왕국의 운명이 다하면 다른 강국(메디아-페르시아)이 일어날 것입니다. 그 나라는 왕의 나라에 비해 열등할 것입니다. 이 두 번째 나라가 무너지면, 거상의 청동 배가 나타내는 세 번째 강국(그리스)이 일어나 세계를 지배할 것입니다. 이어서, 철처럼 강한 네 번째 나라(로마)가 일어나, 철이 다른 것을 부수듯이 다른 나라들을 분쇄하고 정복할 것입니다. 일부가 철이고 일부가 진흙으로 되어 있는 발은, 나중에 네 번째 나라가 분열될 것을 보여줍니다. 분열된 나라의 일부는 철처럼 강하고, 일부는 진흙처럼 연약할 것입니다. 이 철과 진흙의 혼합은, 분열된 왕국들이 서로 통치자 간의 정략 결혼으로 동맹을 맺어 세력을 강화하려는 것을 보여줍니다. 그러나 그것은 성공하지 못할 것입니다. 철과 진흙은 섞이지 않기 때문입니다. 이 왕들의 시대에, 하늘의 하나님은 결코 멸망하지 않을 한 나라를 일으키실 것입니다. 아무도 이 나라를 정복할 수 없습니다. 그 나라는 모든 나라를 쳐서 멸망시킬 것입니다. 바로 영원불멸의 나라입니다. 이것이 사람의 손이 아닌 산비탈에서 떨어져 나온 바위, 철과 청동과 진흙과 은과 금을 모두 산산이 부순 바위가 의미하는 것입니다. 위대한 하나님이 이렇게 장래 일어날 일을 보여주신 것입니다.”
꿈의 수수께끼를 풀어낸 다니엘은 바빌론 전 지방의 총독으로 임명되었다.[14] 또한, 네부카드네자르의 아들 벨사살 왕이 연회 중에 벽에 글씨가 쓰이는 환상을 보았을 때, 그 글자 ‘메네 메네 테켈 파르신’을 읽고 다음과 같이 해석했다. ‘메네’는 ‘수가 셈이 되었다’는 뜻으로, 하나님이 왕의 통치 기간을 세어 그 기간이 끝났다는 의미이고, ‘테켈’은 ‘달았다’는 뜻으로, 왕이 하나님의 저울로 달아 보니 부족했음을 의미하며, ‘파르신’은 ‘나뉘었다’는 뜻으로, 왕의 나라가 나뉘어 메디아와 페르시아에게 돌아갈 것임을 해석했다.[15]
페르시아가 바빌론을 정복한 후, 메디아 사람 다리우스도 다니엘을 중용했지만, 다른 신하들의 음모로 다니엘은 사자굴에 던져졌다.[16] 그러나 다니엘은 하나님의 힘으로 사자에게 해를 입지 않았고, 오히려 다니엘을 해치려 했던 자들이 사자의 먹이가 되었다.[17]
느부갓네살 2세는 꿈에서 머리는 순금, 가슴과 팔은 은, 배와 허벅지는 청동, 정강이는 철, 발은 일부가 철이고 일부가 진흙으로 된 신상의 꿈을 꾸었다. 거기에 한 돌이 던져져 진흙으로 된 발을 부수고, 신상은 산산조각이 되어 아무것도 남지 않지만, 돌은 산이 되어 온 세상에 퍼진다는 꿈이었다. 다니엘은 금 머리는 느부갓네살 2세를 대표하는 신바빌로니아 제국이며, 은, 청동, 철과 진흙은 그 후에 일어나는 더 열등한 제국들(즉 메디아-페르시아 연합 제국, 알렉산드로스 대왕의 그리스 제국, 로마 제국)을 나타내며, 궁극적으로 이들은 영원히 지속되는 하나님의 왕국에 의해 멸망할 것이라고 해석했다.[14][20]
다음으로 느부갓네살 2세는 또 다른 불길한 꿈을 꾸었다. 그것은 하늘에 닿는 높은 나무에 풍성한 열매가 열리고, 새가 둥지를 틀고, 동물들이 그늘에서 쉬고 있었지만, 거룩한 천사가 내려와 그 나무를 베어 버리고, 그루터기만 땅에 남겨 두었다는 것이었다. 다니엘은 그 나무는 영광과 권력을 잡은 왕 자신을 나타내며, 주가 모든 것을 다스린다는 것을 알리기 위해 왕은 동물의 신세로 전락할 것이라고 해석하고, 느부갓네살 2세에게 때가 되기 전에 방식을 바꾸라고 설득했다.[21] 1년 후, 왕이 동물이 될 것이라는 예언은 실현되었다.
다음 이야기는 벨사살이 왕궁에서 큰 연회를 베풀고 있을 때, 한 손이 나타나 연회장 벽에 "메네, 메네, 테켈, 파르신"이라고 썼다. 다니엘은 메네는 셈하는 것이며, 하나님이 당신의 통치를 세어 그것을 끝냈다고 해석했다. 테켈은 무게를 다는 것이며, 당신은 저울에 달려 부족하다고 판정되었다고 해석했다. 파르신은 나누는 것이며, 당신의 왕국은 메디아와 페르시아에 주어질 것이라고 해석했다.[12][15]
3. 2. 다니엘의 환상과 예언 (7-12장)
다니엘 7-12장은 다니엘이 본 환상과 예언을 담고 있다. 다리오 3년에 다니엘은 일련의 환상을 보았다.[2]| 순서 | 내용 |
|---|---|
| 첫 번째 환상 | 네 짐승이 바다에서 나오는데, 마지막 짐승은 열 뿔을 가지고 있고, 열한 번째 뿔이 자라나 땅을 지배한다. "옛적부터 계신 자"(하나님)가 "인자 같은 자"에게 권세를 주신다. 천사가 이 환상을 해석해 준다. |
| 두 번째 환상 | 두 뿔을 가진 숫양이 한 뿔을 가진 염소에게 공격받고, 한 뿔이 부러지고 네 뿔로 바뀐다. 작은 뿔이 일어나 하나님의 백성과 성전을 공격하고, 다니엘은 작은 뿔의 지배 기간을 알게 된다. |
| 세 번째 환상 | 다니엘은 성경(예레미야서로 추정)에서 예루살렘이 70년 동안 황폐해질 것이라는 내용을 읽고 괴로워한다. 그는 유대인들을 위해 회개하고 예루살렘과 그 백성의 회복을 요청한다. 천사는 70개의 이레(주), 즉 70년에 대한 기간을 언급한다. |
| 마지막 환상 | 다니엘은 역사의 한 시대를 보는데, "북방 왕"과 "남방 왕" 사이의 투쟁으로 절정에 이르고, 하나님의 백성이 끔찍한 고난을 겪는다. 천사는 마지막에 의인들이 칭찬받고 하나님의 왕국이 세상에 세워질 것이라고 설명한다. |
느부갓네살 2세는 꿈에서 여러 재질로 만들어진 신상을 보았다. 머리는 순금, 가슴과 팔은 은, 배와 허벅지는 청동, 정강이는 철, 발은 일부가 철이고 일부는 진흙이었다. 돌이 던져져 진흙 발을 부수고 신상은 산산조각이 나지만, 돌은 산이 되어 온 세상에 퍼진다. 다니엘은 금 머리가 느부갓네살 2세를 대표하는 신바빌로니아 제국이며, 은, 청동, 철과 진흙은 그 후에 일어나는 메디아-페르시아 연합 제국, 알렉산드로스 대왕의 그리스 제국, 로마 제국을 나타내며, 이들은 영원히 지속되는 하나님의 왕국에 의해 멸망할 것이라고 해석했다.[14][20]
느부갓네살 2세는 하늘에 닿는 높은 나무가 베어지는 꿈을 꾸었다. 다니엘은 그 나무가 왕 자신을 나타내며, 주가 모든 것을 다스린다는 것을 알리기 위해 왕은 동물의 신세로 전락할 것이라고 해석하고, 느부갓네살 2세에게 방식을 바꾸라고 설득했다.[21] 1년 후, 왕이 동물이 될 것이라는 예언은 실현되었다.
벨사살이 연회를 베풀 때, 한 손이 나타나 벽에 "메네, 메네, 테켈, 파르신"이라고 썼다. 다니엘은 메네는 하나님이 당신의 통치를 세어 끝냈다는 뜻, 테켈은 당신이 저울에 달려 부족하다고 판정되었다는 뜻, 파르신은 당신의 왕국이 메디아와 페르시아에 주어질 것이라고 해석했다.[12][15]
4. 추가 이야기 (헬라어 본문)

다니엘서의 헬라어 본문에는 세 가지 추가 이야기가 있는데, 그중 두 가지는 다니엘을 중심으로 하고 있다(세 번째 이야기는 풀무불 이야기의 확장판임).
# 수산나 이야기는 두 명의 음탕한 유대인 원로들이 한 젊은 유대인 기혼 여성을 부정행위를 했다는 이유로 사형을 선고하지만, 실제로는 그녀의 구애를 거절했기 때문에 그런 것인데, 다니엘이 이 여성의 명예를 구하는 이야기이다. 다니엘의 영리한 반대 신문은 그들의 악행을 폭로하고 그들의 죽음으로 이어진다. 이 이야기는 악당이 이방인이 아닌 유대인이라는 점에서 독특하며, 파리사이파가 상대방에 따르면 법정을 악용하고 있던 사두개파에 대한 논쟁으로 쓰여졌을 가능성이 있다.
# 벨과 용은 두 개의 에피소드로 구성되어 있다. 첫 번째 에피소드에서 다니엘은 우상이 먹고 마신다고 속이는 이교도 사제들의 속임수를 폭로한다(사실은 사제들이 거짓 신들을 위해 마련된 음식을 먹고 있었던 것임). 두 번째 에피소드에서 다니엘은 키루스가 신이라고 믿는 거대한 뱀을 죽인다. 바빌로니아인들이 반란을 일으키고, 키루스는 다니엘을 음식 없이 감옥에 가두지만, 예언자 하박국이 기적으로 그에게 음식을 제공하고, 키루스는 회개한다.
5. 다니엘의 죽음과 무덤
דָּנִיֵּאל|다니엘he서에서 다니엘에 대한 마지막 언급은 고레스 3년에 기록되었다. 랍비 자료에 따르면 그는 페르시아 왕 아하수에로의 통치 기간에 살아 있었지만, 사악한 총리 하만에게 살해당했다.
1세기 유대인 작가 요세푸스는 다니엘의 시신이 파르티아의 엑바타나에 있는 한 탑에 메디아와 페르시아 왕들의 시신과 나란히 안치되어 있다고 보고했다. 후대 유대인 당국은 그가 수사에 묻혔으며 그의 집 근처에는 솔로몬 성전의 그릇들이 숨겨져 있었다고 말했다. 무슬림 자료에 따르면, 무슬림들이 그의 시신을 발견했거나 추정상 그의 신경과 혈관이 들어 있는 상자와 책, 지방 한 병, 두 마리의 사자가 핥는 남자의 이미지가 새겨진 인장 반지를 발견했다고 한다. 시신은 다시 매장되었고, 시신을 매장한 사람은 그 자리가 드러나지 않도록 목이 잘렸다.
오늘날 다니엘의 무덤이 있는 도시는 바빌론, 이라크의 키르쿠크와 무크다디야, 이란의 수사와 말라미르, 우즈베키스탄의 사마르칸트 등 6개 도시이다. 가장 유명한 곳은 쉿 다니엘(Shush-e Daniyal)로 알려진 유적지인 수사에 있는 것이다. 유대 전통에 따르면 그 도시의 부자와 가난한 사람들은 시체를 소유하기 위해 다투었고, 따라서 관은 강 중앙의 사슬에 매달려 있었다. 근처에는 하느님을 믿는 모든 사람에게 열려 있는 기도의 집이 세워졌고, 강 상류와 하류 일정 거리에서는 고기잡이가 금지되었다. 그 강의 부분에서 헤엄치는 물고기는 머리가 금처럼 빛났고, 신성한 구역에 들어간 불경건한 사람들은 기적적으로 강에 빠져 죽었다. 오늘날까지 이 무덤은 인기 있는 순례지이다.
6. 후대 전통
다니엘서에서 다니엘에 대한 마지막 언급은 고레스 3년에 기록되었다(다니엘 10:1). 랍비 자료에 따르면 그는 페르시아 왕 아하수에로의 통치 기간에 살아 있었지만 사악한 총리 하만에게 살해당했다고 전해진다.
1세기 유대인 작가 요세푸스는 다니엘의 시신이 파르티아의 에크바타나에 있는 한 탑에 메디아와 페르시아 왕들의 시신과 나란히 안치되었다고 기록했다. 이후 유대인 당국은 그가 수사에 묻혔으며 그의 집 근처에는 솔로몬 성전의 그릇들이 숨겨져 있었다고 주장했다. 무슬림 자료에서는 무슬림들이 그의 시신을 발견했거나, 그의 신경과 혈관이 들어 있는 상자와 책, 지방 한 병, 두 마리의 사자가 핥는 남자의 이미지가 새겨진 인장 반지를 발견했다고 전해진다. 시신은 다시 매장되었고, 시신을 묻은 사람은 그 자리가 드러나지 않도록 처형되었다.
오늘날 다니엘의 무덤이 있다고 주장하는 도시는 바빌론, 이라크의 키르쿠크와 무크다디야, 이란의 수사와 말라미르, 우즈베키스탄의 사마르칸트 등 6개 도시이다. 가장 유명한 곳은 쉿 다니엘(Shush-e Daniyal)로 알려진 유적지인 수사에 있는 무덤이다. 유대 전통에 따르면 그 도시의 부자와 가난한 사람들은 시체를 소유하기 위해 다투었고, 관은 강 중앙의 사슬에 매달려 있었다고 한다. 근처에는 하느님을 믿는 모든 사람에게 열려 있는 기도의 집이 세워졌고, 강 상류와 하류 일정 거리에서는 고기잡이가 금지되었다. 그 강의 부분에서 헤엄치는 물고기는 머리가 금처럼 빛나고, 신성한 구역에 들어간 불경건한 사람들은 기적적으로 강에 빠져 죽었다고 한다. 오늘날까지 이 무덤은 인기 있는 순례지이다.
6. 1. 유대교
דָּנִיֵּאל|다니엘he은 유대교에서 예언자로 간주되지 않는다. 유대교에서는 예언의 시대가 학개, 즈가랴, 말라기를 끝으로 종결되었다고 여기기 때문이다.[12] 히브리 성경에서 그의 책은 예언서(히브리 성경은 토라, 예언서, 성문서의 세 부분으로 구성됨)에 포함되지 않지만, 사해 사본에서 발견된 8개의 사본과 그리스어 본문에 추가된 이야기들은 고대 시대 다니엘의 인기를 보여주는 증거이다.[13]1세기 이후 유대 랍비들은 다니엘을 바빌로니아 디아스포라에서 가장 뛰어난 인물로 여겼다. 그는 경건함과 선행으로 탁월했고, 멸망을 꾀하는 적들에 둘러싸여 있음에도 율법을 굳게 지켰다. 그리고 기원후 초기 몇 세기 동안 그들은 다니엘의 이름 주위에 전해 내려오는 전설들을 기록했다. 그의 포로 생활은 예언자 이사야가 히즈키야 왕에게 "그들(히즈키야의 후손들)은 바빌론 왕의 궁정에서 환관이 될 것이다."라고 예언한 것이었다. 이 불행은 다니엘과 그의 세 친구들이 네부카드네자르 2세에게 불결한 삶을 영위했다는 혐의를 입증하기 위해 훼손된 자신의 몸을 보여줌으로써 축복으로 바뀌었다.[14]
다니엘은 끊임없이 네부카드네자르 2세의 안녕을 염려했다. 왕이 하나님으로부터 일정 기간 짐승으로 살도록 정죄받았을 때, 다니엘은 그 형벌의 기간이 단축되도록 기도했고, 그의 기도는 응답되었다.[15] 네부카드네자르 2세가 죽어갈 때, 그는 다니엘을 그의 상속자들에 포함시키기를 원했지만, 다니엘은 그 영광을 거절하며, 자신은 조상들의 유산을 할례받지 않은 자들의 유산으로 바꿀 수 없다고 말했다.[16] 다니엘은 또한 다리우스 왕의 시력을 회복시켰다. 다리우스 왕은 거짓 혐의로 경건한 다니엘을 감옥에 가두었으나, 이 사건 이후 많은 사람들이 유대교로 개종했다.[17]
기원전 6세기, 바빌론의 네부카드네자르 왕은 예루살렘을 함락시킨 후, 자신의 점령 행정 관료를 양성하기 위해 유다인들 중에서 “몸에 하자가 없고 용모가 아름다우며, 모든 일에 재능과 지혜가 있고, 지식과 이해력이 풍부하며, 궁정에 시중들 능력이 있는”( 다니엘 1:4) 소년들을 뽑아 데려와 칼데아어를 배우게 했다.
벨테사살이라 불리게 된 다니엘도 그중 한 명이었다. 다니엘을 중심으로 삿드락, 메삭, 아벳느고 네 사람은 이방 땅에서도 유일신에 대한 신앙을 굳게 지키며, “이방인의 고기와 포도주로 자신을 더럽히지 않겠다”(다니엘 1:8)고 맹세했다. 다니엘 등은 뛰어난 능력으로 왕에게 중용되었다.[18]
다니엘은 네부카드네자르 왕이 본 사람 모습을 한 거대한 힘 있는 상(像)에 대한 꿈을 해몽했다. 그 상은 눈부시게 빛나고 끔찍할 정도로 무서운 모습이었는데, 머리는 순금, 가슴과 두 팔은 은, 배와 허벅지는 청동, 정강이는 철, 발은 일부가 철이고 일부가 진흙으로 되어 있었다. 다니엘은 꿈에서 한 바위가 초자연적인 방법으로 산비탈에서 떨어져 나와 상을 향해 돌진하여 철과 진흙으로 된 발을 산산이 부수고, 상 전체가 무너져 철, 진흙, 청동, 은, 금도 부서져 파편 더미가 되어 바람에 날아가는 것을 보았다. 다니엘은 이 꿈을 다음과 같이 해석했다. “왕이여, 당신은 그 금 머리입니다. 그러나 왕국의 운명이 다하면 다른 강국(메디아-페르시아)이 일어날 것입니다. 그 나라는 왕의 나라에 비해 열등할 것입니다. 이 두 번째 나라가 무너지면, 거상의 청동 배가 나타내는 세 번째 강국(그리스)이 일어나 세계를 지배할 것입니다. 이어서, 철처럼 강한 네 번째 나라(로마)가 일어나, 철이 다른 것을 부수듯이 다른 나라들을 분쇄하고 정복할 것입니다. 일부가 철이고 일부가 진흙으로 되어 있는 발은, 나중에 네 번째 나라가 분열될 것을 보여줍니다. 분열된 나라의 일부는 철처럼 강하고, 일부는 진흙처럼 연약할 것입니다. 이 철과 진흙의 혼합은, 분열된 왕국들이 서로 통치자 간의 정략 결혼으로 동맹을 맺어 세력을 강화하려는 것을 보여줍니다. 그러나 그것은 성공하지 못할 것입니다. 철과 진흙은 섞이지 않기 때문입니다. 이 왕들의 시대에, 하늘의 하나님은 결코 멸망하지 않을 한 나라를 일으키실 것입니다. 아무도 이 나라를 정복할 수 없습니다. 그 나라는 모든 나라를 쳐서 멸망시킬 것입니다. 바로 영원불멸의 나라입니다. 이것이 사람의 손이 아닌 산비탈에서 떨어져 나온 바위, 철과 청동과 진흙과 은과 금을 모두 산산이 부순 바위가 의미하는 것입니다. 위대한 하나님이 이렇게 장래 일어날 일을 보여주신 것입니다.” 꿈의 수수께끼를 풀어낸 다니엘은 바빌론 전 지방의 총독으로 임명되었다.[19] 또한, 네부카드네자르의 아들 벨사살 왕이 연회 중에 벽에 글씨가 쓰이는 환상을 보았을 때, 그 글자 ‘메네 메네 테켈 파르신’을 읽고 다음과 같이 해석했다. ‘메네’는 ‘수가 셈이 되었다’는 뜻으로, 하나님이 왕의 통치 기간을 세어 그 기간이 끝났다는 의미이고, ‘테켈’은 ‘달았다’는 뜻으로, 왕이 하나님의 저울로 달아 보니 부족했음을 의미하며, ‘파르신’은 ‘나뉘었다’는 뜻으로, 왕의 나라가 나뉘어 메디아와 페르시아에게 돌아갈 것임을 해석했다.[20] 페르시아가 바빌론을 정복한 후, 메디아 사람 다리우스도 다니엘을 중용했지만, 다른 신하들의 음모로 다니엘은 사자굴에 던져졌다.[21] 그러나 다니엘은 하나님의 힘으로 사자에게 해를 입지 않았고, 오히려 다니엘을 해치려 했던 자들이 사자의 먹이가 되었다.[22]
다니엘이 주께 기도하자 천사 가브리엘이 나타나 메시아에 관한 정해진 때에 대한 계시를 받았다.[23] “지극히 사랑받는 자”라고 불린 것으로 보아 주의 총애를 받았음을 알 수 있다.
구약 외경인 다니엘서 부록에는 다니엘이 키루스 2세 왕 통치하에 바알 신의 제사장과 다투는 이야기와, 두 남자에게 허위 고발을 당한 여인 수산나를 교묘한 재판(수산나가 정원의 나무 그늘에서 만남을 가졌다면 그 나무의 종류를 하나하나 물어보니 두 사람은 서로 다른 나무 이름을 대어 거짓임이 밝혀지는)으로 구하는 이야기가 실려 있다. 후자 때문에 다니엘은 재판의 수호 성인으로 여겨졌다. 셰익스피어의 『베니스의 상인』에서 포샤가 살을 베어내도 좋다는 판결을 내리자, 샤일록이 명재판관의 예로 다니엘을 언급하는데, 이는 이 구약 외경의 이야기를 따른 것이다.
6. 2. 기독교
신약 성경의 마태복음 24장 15절에서 황폐의 가증한 것과 관련하여 다니엘을 언급한다. 콥트 정교회에서는 콥트력 바람하트달 23일에 다니엘을 기념한다.[3] 동방 정교회 전례력에서는 예언자 다니엘 성인과 세 젊은이를 기념하는 축일이 12월 17일( 성탄 대강절 중), 성조들의 주일[4](12월 11일과 17일 사이에 있는 주일) 그리고 성탄 전 주일에 해당한다.[5] 우상을 부순 돌에 관한 다니엘의 예언은 정교회 찬송가에서 강생의 은유로 자주 사용된다. "잘린 돌"은 로고스(그리스도)를 상징하고, "손으로 잘리지 않은" 것은 동정녀 탄생을 상징한다. 따라서 찬송가는 테오토코스(성모 마리아)를 "잘리지 않은 산"으로 언급한다.
로마 가톨릭 교회는 로마 순교자 명단에서 7월 21일에 다니엘 성인을 기념한다.[6] 일부 교구의 지역 전례력에는 그의 축일이 7월 21일 또는 다른 날짜에 기재되어 있기도 하다. 예를 들어 고리치아 대교구는 9월 11일에 예언자이자 고백자 다니엘 성인의 축일을 기념한다. 미사 독서는 다니엘서 14장에서, 그레고리안 성가는 시편 91편에서, 알렐루야 구절은 야고보서 1장에서, 복음서는 마태복음 24장에서 가져온다. 성인력 루터교회-미주리 시노드는 12월 17일에 다니엘과 세 젊은이(사드락, 메삭, 아벳느고)를 함께 기념한다.[7]
6. 3. 이슬람교
다니엘(아랍어: دانيال, ''Dānyāl'')은 코란에는 이름이 언급되지 않지만, 후대 이슬람 문헌에는 예언자로서의 그의 삶에 대한 기록이 있다. 이 기록에 따르면, 그는 예언자 예레미야(벨과 용에서는 예언자 하박국이 이 역할을 한다)의 도움으로 사자굴에서 구출되었고, 하늘에서 떨어진 돌에 의해 파괴되는 네 가지 금속으로 만든 상에 대한 왕의 꿈을 해석했으며, 벽에 쓰인 글을 해석하는 등의 일화가 전해진다.[8] 고전 시대와 근대의 모든 자료는 그를 경건하고 의로운 인물로 묘사한다. 압둘라 유수프 알리(1872~1953)는 자신의 코란 주석에서 다음과 같이 말했다.키타브 알 카피에서 이맘 알리 이븐 후세인 자인 알 아비딘은 알라가 다니엘에게 "나의 피조물 중 가장 미움받는 자들은 무지하고 학자들을 존중하지 않고 따르지 않는 자들이다. 나의 종들 중 나에게 가장 사랑받는 자들은 경건하고 더 큰 상을 받을 자격을 얻기 위해 열심히 일하며, 항상 학자들과 가까이 지내고, 선조들을 따르며, 지혜로운 사람들의 (조언을) 받아들이는 자들이다."라고 계시했다고 주장한다. 시아파 하디스는 다니엘을 하나님의 예언자로 확증하고, 성경적 다니엘 이야기에 부합하는 사건들을 확증한다.[9]
참조
[1]
논문
Identifying the Daniel character in Ezekiel
https://ub01.uni-tue[...]
[2]
서적
Holman Concise Bible Dictionary
B&H Publishing Group
[3]
웹사이트
The Departure of the great prophet Daniel
https://web.archive.[...]
Copticchurch.net
2012-06-30
[4]
서적
Manual for Church Servers
[5]
서적
Manual for Church Servers
[6]
웹사이트
Catholic Encyclopedia on CD-ROM
http://www.newadvent[...]
New Advent
[7]
웹사이트
Today in History – December 17
https://web.archive.[...]
Chi.lcms.org
2012-06-30
[8]
서적
The Holy Qur'an: Text, Translation and Commentary
[9]
서적
Kitab al-Kafi
The Islamic Seminary Inc.
[10]
논문
The Baháʼí Principle of Religious Unity and the Challenge of Radical Pluralism
University of North Texas
[11]
서적
From Iran East and West
[12]
서적
旧約聖書人名事典
東洋書林
[13]
성경
다니엘서(구어역) 1:19
s:다니엘서(구어역)#1:19
[14]
성경
다니엘서(구어역) 2:1-48
s:다니엘서(구어역)#2:1
[15]
성경
다니엘서(구어역) 5:5-28
s:다니엘서(구어역)#5:5
[16]
성경
다니엘서(구어역) 6:5-16
s:다니엘서(구어역)#6:5
[17]
성경
다니엘서(구어역) 6:24
s:다니엘서(구어역)#6:24
[18]
성경
다니엘서(구어역) 9:1-27
s:다니엘서(구어역)#9:1
[19]
성경
다니엘서(구어역) 9:23
s:다니엘서(구어역)#9:23
[20]
서적
新聖書注解 旧約4
いのちのことば社
[21]
성경
다니엘서(구어역) 4:5-27
s:다니엘서(구어역)#4:5
[22]
성경
다니엘 1장 4절
[23]
성경
다니엘 1장 8절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