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니속세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니속세틴은 1970년대에 개발된 노르에피네프린 재흡수 억제제(NRI)이다. 삼환계 항우울제의 부작용을 줄이기 위해 개발되었으며, 항히스타민제 디펜히드라민의 유사체를 기반으로 한다. 니속세틴은 노르에피네프린 재흡수를 강력하게 억제하지만, 세로토닌이나 도파민에는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플루옥세틴 개발로 인해 상업화되지는 않았지만, 3H-니속세틴 형태는 노르에피네프린 수송체 연구에 사용된다. 니속세틴은 비만 및 통증 완화 연구에 사용되었으며, 국소 마취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노르에피네프린 재흡수 억제제 - 프로프라놀롤
    프로프라놀롤은 고혈압, 협심증 등 심혈관 질환, 편두통,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치료 등에 사용되는 비선택적 베타 차단제이며, 천식 환자에게는 투여가 금지될 수 있고 부작용으로 당뇨병 악화 등이 나타날 수 있다.
  • 노르에피네프린 재흡수 억제제 - 플루아시진
  • 카테콜 에터 - 파파베린
    파파베린은 게오르크 메르크가 발견한 아편 유래 알칼로이드로, 위장관, 담관, 요관 경련 치료, 뇌 및 관상 동맥 혈관 확장, 발기 부전 치료에 사용되는 포스포디에스터라아제 억제제이다.
  • 카테콜 에터 - 베라파밀
    베라파밀은 상심실성 빈맥, 편두통, 협심증 등의 치료에 사용되는 IV급 항부정맥제로, 전압 의존성 칼슘 통로를 차단하며, 과다 복용 시 다양한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다.
  • 항우울제 - 모노아민 산화효소 억제제
    모노아민 산화효소 억제제(MAOI)는 모노아민 신경전달물질 분해를 억제하여 뇌 내 농도를 증가시키는 약물로, MAO-A, MAO-B 이성질체 선택성에 따라 작용이 다르며, 우울증, 불안, 파킨슨병 등에 사용되지만 티라민 함유 식품 및 다른 약물과의 상호작용에 주의해야 한다.
  • 항우울제 - 에스시탈로프람
    에스시탈로프람은 주요 우울 장애, 불안 장애 등 정신 질환 치료에 사용되는 항우울제이며, 세로토닌 재흡수 억제 기전을 통해 효과를 나타내고, 렉사프로라는 상품명으로 판매된다.
니속세틴
기본 정보
니속세틴 구조
니속세틴 구조
IUPAC 이름(RS)-3-(2-메톡시페녹시)-N-메틸-3-페닐프로판-1-아민
키랄성라세미 혼합물
식별 정보
CAS 등록번호53179-07-0
ATC 코드없음
PubChem CID4500
DrugBank해당 없음
UNII17NV064B2D
KEGGD05173
ChEBI73410
ChEMBL295467
ChemSpider ID4344
Synonyms (동의어)LY-94939
(±)-γ-(2-메톡시페녹시)-N-메틸-벤젠프로판아민 염산염
물리화학적 정보
분자식C17H21NO2
SMILESCNCCC(C1=CC=CC=C1)OC2=CC=CC=C2OC
표준 InChI1S/C17H21NO2/c1-18-13-12-15(14-8-4-3-5-9-14)20-17-11-7-6-10-16(17)19-2/h3-11,15,18H,12-13H2,1-2H3
표준 InChIKeyITJNARMNRKSWTA-UHFFFAOYSA-N
약리학 정보
투여 경로해당 없음
생체 이용률해당 없음
대사해당 없음
배설해당 없음
기타 정보
상품명해당 없음
임신 범주해당 없음
법적 지위출시된 적 없음

2. 역사

1970년대 일라이 릴리 사에서 항우울제 개발 과정 중 삼환계 항우울제(TCA)의 부작용을 줄이면서 효과는 유지하는 약물을 찾기 위한 연구를 진행하던 도중 니속세틴이 발견되었다. 이 연구는 노르에피네프린 전달을 강화하여 우울증 증상을 감소시킬 수 있다는 이론에 기반했다.[7]

2. 1. 개발 배경

삼환계 항우울제(TCA)는 우울증 치료에 효과가 있었지만, 심장 독성 및 항콜린성 부작용이 있었다. 1970년대, 브라이언 B. 몰로이와 로버트 래스번은 이러한 부작용 없이 TCA의 치료 효과를 유지하는 항우울제를 개발하기 위한 공동 연구를 시작했다.[8][9] 이들은 항히스타민제인 디펜히드라민모노아민 신경전달물질 섭취를 억제한다는 사실을 발견하고, 이를 바탕으로 페녹시페닐프로필아민(PPA) 그룹의 화합물을 합성했다.[8][9]

래스번 연구소의 리처드 카타우는 새로 합성된 PPA 계열 약물이 아포모르핀 유도 저체온증(PIHM)을 억제하는 능력을 테스트했고, 이 과정에서 PPA 계열 중 하나인 LY94939 (니속세틴)가 TCA만큼 강력하고 효과적임을 발견했다.[8][9] 니속세틴은 뇌 시냅토솜에서 노르에피네프린 섭취를 억제하는 데 데시프라민만큼 강력했지만, 세로토닌(5-HT)이나 도파민 섭취는 억제하지 않았다.[8][9]

1976년, 인간 대상 전임상 연구에서 니속세틴은 신경 말단에서 노르에피네프린과 티라민 섭취를 차단하는 용량에서도 실질적인 부작용을 일으키지 않았고, 이상 심전도 효과도 관찰되지 않아 안전한 화합물로 평가되었다.[10]

이후 연구자들은 PPA 계열의 화학적 구조 차이가 세로토닌(5-HT) 섭취 억제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했고, 이는 니속세틴의 4-트리플루오르메틸 유사체인 플루옥세틴 합성을 이끌었다.[11] 그러나 선택적 세로토닌 재흡수 억제제(SSRI)인 플루옥세틴 개발에 더 큰 관심이 집중되면서, 니속세틴은 약물로 시판되지 않았다.[11]

2. 2. 플루옥세틴과의 관계

플루옥세틴 (프로작) 개발 과정에서 니속세틴이 중요한 역할을 했다. 1970년대 일라이 릴리의 과학자 브라이언 몰로이와 로버트 래스번은 삼환계 항우울제 (TCA)의 치료 효과는 유지하면서 부작용은 줄인 새로운 항우울제를 찾고 있었다.[8][9] 이들은 항히스타민제디펜히드라민모노아민 신경전달물질 섭취를 억제한다는 점에 주목했고, 이를 바탕으로 페녹시페닐프로필아민 (PPA) 계열 화합물을 합성했다.[8][9]

PPA 계열 화합물 중 하나인 LY94939 (니속세틴)는 아포모르핀 유도 저체온증(PIHM) 실험에서 TCA만큼 강력한 효과를 보였다.[8][9] 니속세틴은 뇌 시냅토솜에서 노르에피네프린 섭취를 억제하는 데 데시프라민과 비슷한 효능을 보였지만, 세로토닌이나 도파민 섭취에는 큰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8][9]

이후 연구자들은 PPA 계열 화합물의 구조를 변형하여 세로토닌 섭취를 선택적으로 억제하는 물질을 찾기 시작했고, 그 결과 플루옥세틴이 합성되었다.[11] 선택적 세로토닌 재흡수 억제제 (SSRI)인 플루옥세틴이 더 큰 주목을 받으면서, 니속세틴은 상업화되지 않았다.[11]

3. 약리 작용

니속세틴(Nisoxetine영어)은 노르에피네프린 재흡수를 강력하고 선택적으로 억제하는 약물이다. 세로토닌 재흡수 억제 효과보다 노르에피네프린 재흡수 억제 효과가 약 1000배 더 강력하며,[18] 도파민 재흡수 억제 효과보다는 400배 더 강력하다. 니속세틴의 R-이성질체는 NET에 대해 S-이성질체보다 20배 더 높은 친화도를 가진다. 니속세틴은 신경전달물질 수용체에는 거의 또는 전혀 친화성이 없다.[18] 니속세틴의 NET Ki 값은 일반적으로 0.8 nM이다.[11]

전임상 연구에서 니속세틴을 자원자에게 단일 투여했을 때 평균 혈장 농도는 0.028 마이크로그램/ml였고, 15회 투여 후에는 0.049 마이크로그램/ml였다.[10] 인간 태반 NET에서 니속세틴 결합은 포화 가능하며, Kd 값은 13.8 + 0.4 nM, Bmax 값은 단백질 1mg당 5.1 + 0.1 pmol이다.[19] 나트륨과 염화물은 리간드 결합 부위의 친화도를 증가시켜 니속세틴 결합을 향상시키며, 염화물 농도가 감소하면 Kd 값은 증가한다.[19] Bmax 값은 영향을 받지 않는다.[19]

마우스 뇌 피질 균질액에서 3H-NIS 활성은 Kd 값이 0.80 + 0.11 nM, Bmax 값이 단백질 1mg당 + 12 fmol임을 보여준다.[6] 결합 밀도는 노르에피네프린 수치를 나타내는 뇌 영역과 관련이 있으며, 가장 높은 특정 3H-NIS 결합은 뇌간(LC)과 시상에서 나타난다.[15][17] 특정 3H-NIS 결합은 나트륨 양이온에 의존하며, 나트륨 농도가 증가하면 특정 결합과 전체 결합이 증가한다(Tejani-Butt 외, 1990). 이러한 결합은 노르에피네프린 재흡수 부위와 유사한 약리학적 특성을 가진 단일 클래스 부위에서 높은 친화력으로 발생한다.[6]

니속세틴 및 다른 노르에피네프린 재흡수 억제제는 3H-NIS 결합을 억제할 수 있다. 쥐에게 니속세틴을 정맥 주사하고 3H-NIS 결합을 측정했을 때, 니속세틴의 Ki 값은 최대 1 μM 농도에서 0.8 + 0.1 nM이었다.[15]

4. 연구

니속세틴은 다양한 연구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 비만 연구: 니속세틴은 노르에피네프린 재흡수를 억제하여 시상하부의 에너지 균형 조절 시스템에 영향을 미쳐 식욕을 감소시킬 수 있다.[3] 뉴로펩티드 Y(NPY)와 노르에피네프린을 발현하는 세포 활성을 감소시켜 식욕 부진을 유발할 수 있다.[3] 쥐 실험에서 니소세틴 단독으로는 섭취량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고, GBR-12783과 함께 투여했을 때 섭취가 억제되었다.[3] 이는 세로토닌-노르에피네프린 재흡수 억제제(SNRI)와 유사하게 도파민과 노르에피네프린 간의 시너지 작용을 통해 섭식 행동을 제어함을 보여준다.[3]

  • 통증 완화 연구: 니속세틴은 나트륨 채널 차단 효과를 통해 국소 마취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4] 니코틴성 아세틸콜린 수용체에 작용하여 테트로도톡신에 민감한 내향성 나트륨 전류를 억제한다.[4] 니속세틴은 전신 진통이 아닌 국소(피부) 진통을 유발하며, 리도카인보다 4배 더 강력하고 효과가 오래 지속된다.[4]

  • '''3H-니속세틴''' 연구: 3H-Nisoxetine|ko|3H-니속세틴영어은 노르에피네프린 수송체의 선택적 마커로 사용된다.[14] 쥐 뇌에서 노르에피네프린 재흡수와 관련된 부위에 높은 친화도와 선택적으로 결합한다.[6] 3H-니속세틴 결합은 나트륨 농도에 의존적이며, 열에 민감하다.[6] 정량적 자동 방사선 촬영(QAR) 기술을 통해 노르에피네프린 재흡수와 관련된 해부학적 부위를 매핑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15]

  • PET 영상 연구: 양전자 방출 단층 촬영술(PET)을 사용하여 노르에피네프린 수송체(NET) 시스템을 영상화하려는 연구가 진행 중이다.[17] 11C 표지된 니속세틴이 잠재적인 PET 추적자로 연구되었으나, 생체 내에서 비특이적 결합을 보여 한계가 있다.[5][6]

4. 1. 비만 연구

카테콜아민성 신호 전달(세포 신경전달을 노르에피네프린도파민을 통해)을 변화시킴으로써 섭취량과 체중이 에너지 균형 조절에 관여하는 시상하부 시스템을 통해 영향을 받는다는 증거가 다수 존재한다.[3] 부프로피온과 같은 항우울제는 재흡수를 억제하여 세포외 도파민과 노르에피네프린을 증가시키는 능력으로 인해 체중 감소를 유발할 수 있다.[3]

에너지 가용성 및 저장에 대한 정보를 중계하는 주변 단서의 주요 전뇌 센서는 시상하부의 궁상핵(ARH)이며, 에너지 균형에 반대 효과를 갖는 두 가지 유형의 세포를 포함한다.[3] 이 두 가지 유형의 세포는 과식증과 에너지 보존을 유발하는 뉴로펩티드 Y(NPY) 발현 세포와 저식증 및 에너지 소비 증가와 관련된 프로-오피오멜라노코르틴(POMC) 세포이다.[3] NPY와 노르에피네프린은 모두 뇌와 말초의 특정 뉴런에 국한되어 있다.[3] 니소세틴과 같은 노르에피네프린 재흡수 억제제는 NPY와 노르에피네프린을 발현하는 세포의 활성을 감소시켜 식욕 부진을 유발할 수 있다.[3]

제지방량이 적은 마우스와 비만 마우스에서 선택적 및 결합된 노르에피네프린 및 도파민 재흡수 억제는 섭취량과 체중을 감소시킨다. 그러나 노르에피네프린 및 도파민의 선택적 재흡수 억제제(각각 니소세틴 및 GBR-12783로 암호화된 물질)는 마우스의 섭취량에 독립적으로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3] 그러나 함께 투여하면 섭취가 현저하게 억제된다.[3] 이것은 세로토닌-노르에피네프린 재흡수 억제제(SNRI)의 작용과 유사하게 섭취 행동을 제어하는 도파민과 노르에피네프린 간의 시너지 작용을 보여준다.[3] 니소세틴 단독으로는 섭취량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사실은 노르에피네프린 단독으로는 섭식에 영향을 미치기에 불충분하거나, 니소세틴에 의한 노르에피네프린의 차단된 재흡수가 잘못된 장소에서 작용하고 있음을 시사한다.[12]

4. 2. 통증 완화 연구

국소 마취제는 나트륨 채널을 차단하여 작용한다.[4] 이를 통해 국소 마취제는 침윤성 피부 진통, 말초 신경 차단, 척추/경막외 마취를 유발할 수 있다.[4] 니속세틴은 나트륨 채널 차단 효과를 통해 국소 마취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4] 또한, 니속세틴은 니코틴성 아세틸콜린 수용체에 작용하여 해마 노르에피네프린의 니코틴 유발 증가를 억제하고, 쥐 상경신경절에서 테트로도톡신에 민감한 내향성 나트륨 전류를 억제한다.[4]

니속세틴은 전신 진통이 아닌 국소(피부) 진통을 유발한다.[4] 일반적인 마취제인 리도카인보다 4배 더 강력하고, 피부 마취 효과가 더 오래 지속된다.[4] NMDA 수용체는 이러한 국소 마취 효과에 관여하지 않는다.[4] 그러나 니속세틴의 신경 또는 피하 조직 독성 여부는 불분명하여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4]

4. 3. 3H-니속세틴

3H-Nisoxetine|ko|3H-니속세틴영어은 노르에피네프린 재흡수에 대한 강력하고 선택적인 억제제이며,[13] 현재 노르에피네프린 수송체의 선택적 마커로 사용된다.[14] 3H-니속세틴은 쥐 뇌에서 노르에피네프린 재흡수와 관련된 균일한 부위 집단에 높은 친화도(Kd = 0.7 nM)와 선택적으로 결합한다.[6] 특정 3H-니속세틴 결합은 나트륨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며, 나트륨이 없을 때는 3H-니속세틴 결합이 거의 감지되지 않는다. 3H-니속세틴의 결합은 나트륨 의존적인데, 그 이유는 나트륨 이온이 노르에피네프린의 신경 세포 흡수에 필요하기 때문이다.[6] 이 결합은 또한 열에 민감하며, 쥐 대뇌 피질 막을 가열하면 특정 결합량이 감소한다.[6]3H-니속세틴을 사용한 대부분의 연구는 쥐 모델에서 수행되었으며, 인간을 대상으로 수행된 연구는 많지 않다.[19] 3H-니속세틴은 정량적 자동 방사선 촬영(QAR) 기술을 통해 노르에피네프린 재흡수와 관련된 해부학적 부위를 매핑하는 데 사용될 수 있으며, 여기서 3H-니속세틴 결합 패턴은 노르에피네프린 활성화 패턴과 일치한다.[15]

인간에서 3H-니속세틴은 청반(locus coeruleus, LC)의 재흡수 부위를 측정하는 데 사용된다. 노르에피네프린 축삭의 원천인 청반은 인간의 노화와 함께 발생하는 해당 부위의 세포 손실 보고로 인해 연구의 초점이 되었다.[16] 3H-니속세틴의 감소된 결합은 청반 세포의 손실을 반영한다.[16]

4. 4. PET 영상 연구

연구자들은 양전자 방출 단층 촬영술(PET)을 사용하여 노르에피네프린 수송체(NET) 시스템을 영상화하려는 시도를 하고 있다. 이 방법론에 사용될 가능성이 있는 리간드는 높은 친화력과 선택성, 높은 뇌 투과성, 적절한 친유성, 합리적인 혈장 내 안정성, 높은 혈장 유리 분획을 가져야 한다.[17] Haka와 Kilbourn에 의해 합성된 11C 표지된 니속세틴은 잠재적인 PET 추적자로 사용하기 위해 조사된 한 가지 후보였다.[5][6] 그러나 생체 내에서 11C 표지된 니속세틴은 비특이적 결합을 나타내므로 PET에 대한 가능한 리간드로서의 효과를 제한한다.[6]

5. 화학적 특성

니속세틴은 이성질체를 가진 라세미 화합물이다.[11] 페녹시 고리에 2-치환된 구조는 노르에피네프린 재흡수를 차단하는 데 매우 강력하고 선택적인 SNRI를 생성한다.[11]

6. 부작용

니속세틴(nisoxetine)을 사용한 인간 대상 전임상 연구는 1970년대에 수행되었으며, 약물의 부작용이 조사되었다.[10] 1mg에서 50mg에 이르는 용량은 혈액 검사, 일반 혈액 화학 검사 또는 응고 매개변수의 기준선 값에 어떠한 변화도 초래하지 않았다.[10] 더 큰 용량은 일부 부작용을 일으키지만, 어떤 용량에서도 심전도 변화는 관찰되지 않았다.[10] 니속세틴을 투여받는 동안 인간에게 티라민을 주사하면 투여된 니속세틴의 지속 시간이 증가하면서 티라민에 대한 반응성이 감소했다.[10] 니속세틴 투여의 또 다른 효과는 피험자가 위약을 투여받은 사람과 동일한 혈압 반응을 생성하기 위해 훨씬 적은 양의 노르에피네프린이 필요하다는 것이다.[10] 즉, 피험자는 니속세틴 투여 후 노르에피네프린에 대한 민감도가 증가했다.[10] 전임상 시험 결과, 시험된 용량에서 이 약물은 인간에게 사용하기에 안전한 것으로 나타났다.[10]

참조

[1] 논문 History of antidepressants: successes and failures 1983-05
[2] 논문 Advances in sodium-ion coupled biogenic amine transporters
[3] 논문 Inhibition of dopamine and norepinephrine reuptake produces additive effects on energy balance in lean and obese mice 2007-04
[4] 논문 Nisoxetine produces local but not systemic analgesia against cutaneous nociceptive stimuli in the rat 2012-01
[5] 논문 (R)-N-Methyl-3-(3'-[F]fluoropropyl)phenoxy)-3-phenylpropanamine (F-MFP3) as a potential PET imaging agent for norepinephrine transporter 2010-02
[6] 논문 '[3H]nisoxetine: a new radioligand for norepinephrine uptake sites in brain' 1990-11
[7] 논문 Effects of repeated administration of desipramine or electroconvulsive shock on norepinephrine uptake sites measured by [3H]nisoxetine autoradiography 1992-06
[8] 논문 Prozac (fluoxetine, Lilly 110140), the first selective serotonin uptake inhibitor and an antidepressant drug: twenty years since its first publication 1995-06
[9] 논문 Case history: the discovery of fluoxetine hydrochloride (Prozac) 2005-09
[10] 논문 The effect of nisoxetine (Lilly compound 94939), a potential antidepressant, on biogenic amine uptake in man 1976-04
[11] 서적 Foye's Principles of Medicinal Chemistry https://books.google[...]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12] 논문 Current and potential drugs for treatment of obesity http://edrv.endojour[...] 1999-12
[13] 논문 A new inhibitor of norepinephrine uptake devoid of affinity for receptors in rat brain http://jpet.aspetjou[...] 1982-07
[14] 논문 Characterization of [3H]nisoxetine binding in rat vas deferens membranes: modulation by sigma and PCP ligands 1998-01
[15] 논문 Effect of age on [3H]nisoxetine binding to uptake sites for norepinephrine in the locus coeruleus of humans 1992-06
[16] 논문 Functional neuroanatomy of the noradrenergic locus coeruleus: its roles in the regulation of arousal and autonomic function part II: physiological and pharmacological manipulations and pathological alterations of locus coeruleus activity in humans 2008-09
[17] 논문 Comparative evaluation of positron emission tomography radiotracers for imaging the norepinephrine transporter: (S,S) and (R,R) enantiomers of reboxetine analogs ([11C]methylreboxetine, 3-Cl-[11C]methylreboxetine and [18F]fluororeboxetine), (R)-[11C]nisoxetine, [11C]oxaprotiline and [11C]lortalamine 2005-07
[18] 논문 Expression and distribution of dopamine transporter in cardiac tissues of the guinea pig 2011-03
[19] 논문 Sodium- and chloride-dependent, cocaine-sensitive, high-affinity binding of nisoxetine to the human placental norepinephrine transporter 1993-11
[20] 논문 History of antidepressants: successes and failures 1983-05
[21] 논문 Advances in sodium-ion coupled biogenic amine transporter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