니스 조약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니스 조약은 유럽 연합의 의사결정 구조와 기구 개편을 주요 내용으로 하는 조약이다. 유럽 연합 이사회의 투표 가중치 조정, 유럽 의회 의석 수 확대, 유럽 집행위원회 규모 축소, 유럽 사법 재판소의 하급 법원 설립 등을 규정했다. 니스 조약은 2001년과 2002년 아일랜드 국민투표를 거쳐 비준되었으며, 유럽 연합의 확대를 위한 제도적 기반을 마련했다는 평가를 받지만, 민주적이지 않다는 비판도 존재한다. 니스 조약은 이후 리스본 조약으로 이어져 유럽 연합의 개혁을 지속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01년 프랑스 - 2001년 칸 영화제
2001년 칸 영화제는 리브 울만을 심사위원장으로 2001년 5월에 개최되었으며, 난니 모레티 감독의 《아들의 방》이 황금종려상을, 미하엘 하네케 감독의 《피아니스트》가 심사위원 대상을 수상했고, 경쟁 부문 외 다양한 부문 상영 및 신인 감독 발굴을 위한 병행 섹션도 진행되었다. - 2003년 유럽 연합 - 유럽 연합 항공 안전청
유럽 연합 항공 안전청(EASA)은 독일 쾰른에 본부를 두고 유럽 내 항공 안전을 규제하고 관리하며, 항공기 형식 증명 발급, 안전 규칙 시행, EU 법률 자문, 드론 관련 규정 제정 등의 활동을 수행한다. - 2003년 유럽 연합 - 2003년 에스토니아 유럽 연합 가입 국민투표
2003년 에스토니아 유럽 연합 가입 국민투표는 EU 가입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실시되었으며, 찬성 66.8%로 가입이 결정되었고 총 투표율은 64.1%를 기록했다.
니스 조약 | |
---|---|
조약 정보 | |
이름 | 니스 조약 |
원어 이름 | Treaty of Nice |
정식 명칭 | 유럽 연합 조약, 유럽 공동체 설립 조약 및 특정 관련 법률 수정에 관한 니스 조약 |
종류 | 이전 조약 수정 조약 |
인용 | 이전 수정 조약: 암스테르담 조약 (1997) 이후 수정 조약: 리스본 조약 (2007) |
작성일 | 2000년 12월 11일 |
서명일 | 2001년 2월 26일 |
서명 장소 | 니스, 프랑스 |
발효일 | 2003년 2월 1일 |
서명국 | 오스트리아 벨기에 덴마크 핀란드 프랑스 독일 그리스 아일랜드 이탈리아 룩셈부르크 네덜란드 포르투갈 스페인 스웨덴 영국 |
기탁자 | 해당 사항 없음 |
사용 언어 | 덴마크어 네덜란드어 영어 핀란드어 프랑스어 독일어 그리스어 아일랜드어 이탈리아어 포르투갈어 스페인어 스웨덴어 |
위키소스 | 니스 조약 |
각주 | 니스 조약에 의한 수정 후: 유럽 원자력 공동체 설립 조약 통합본 (2001) TECSC 통합본 (2001) - 2002년 만료 TEC 및 TEU 통합본 (2001) |
2. 니스 조약의 주요 내용
니스 조약은 유럽 연합의 의사결정 구조와 기구를 개편하는 것을 주요 내용으로 한다. 특히, 유럽 연합 확대에 대비하여 유럽 연합 이사회, 유럽 의회, 유럽 집행위원회 등의 주요 기관들의 구성을 변경했다.
니스 조약은 유럽 연합 이사회의 표결 방식을 개정했다. 회원국 간 인구 규모 차이를 반영하여 각 국가별 투표 가중치를 조정했으며, 가중 다수결 제도를 개선하여 회원국 과반수와 인구 과반수를 동시에 충족해야 제안이 승인되는 이중 다수결 제도를 도입했다.[1] 또한, 회원국은 찬성 투표한 국가들이 EU 인구의 충분한 비율을 대표하는지 확인을 요청할 수 있는 권한을 갖게 되었다.
유럽 의회의 의석 수는 732석으로 늘렸다. 이는 암스테르담 조약에서 정한 상한선을 초과하는 것이었다.
유럽 집행위원회의 규모는 회원국 수가 27개국에 도달하면 위원 수를 27명 미만으로 줄이도록 규정했다. 다만, 실제 감축 목표는 명시하지 않았다. 과도 조치로 2005년 1월 1일 이후 독일, 프랑스, 영국, 이탈리아, 스페인은 각각 두 번째 집행위원을 사임했다.
유럽 사법 재판소와 관련해서는 특허 등 특정 법률 분야를 담당하는 하급 법원을 설치할 수 있도록 규정했다.
그 외에도 니스 조약은 암스테르담 조약에서 도입되었으나 실효성이 없었던 강화된 협력에 관한 새로운 규칙을 규정하고, 회원국에 대한 제재의 예방 메커니즘을 추가했다.[6] 또한, 유럽 석탄 철강 공동체(ECSC) 조약(파리 조약 (1951)) 만료에 따른 재정적 결과에 대한 조항도 포함되었다.
하지만 니스 조약은 유럽 연합 제도 전반에 대한 근본적인 개혁을 다루지 못했다는 비판을 받았다. 특히 독일은 유럽 연합 이사회에서의 투표 가중치 조정을, 프랑스는 독일과의 동등성을 주장하며 이견을 보였다.
2. 1. 유럽 연합 이사회
니스 조약에 따라 회원국 간 인구 규모 차이를 반영하여 유럽 연합 이사회의 투표 가중치가 조정되었다.[1] 독일은 인구 규모를 반영하여 더 큰 가중치를 요구했지만, 프랑스는 독일과의 동등성을 유지해야 한다고 주장했다.[1]국가 | 투표 가중치 | 인구 (백만 명) | 상대적[5] 가중치 |
---|---|---|---|
독일 | 29 | 82.0 | 1.00 |
영국 | 29 | 59.4 | 1.38 |
프랑스 | 29 | 59.1 | 1.39 |
이탈리아 | 29 | 57.7 | 1.42 |
스페인 | 27 | 39.4 | 1.94 |
폴란드 | 27 | 38.6 | 1.98 |
루마니아 | 14 | 22.3 | 1.78 |
네덜란드 | 13 | 15.8 | 2.33 |
그리스 | 12 | 10.6 | 3.20 |
체코 | 12 | 10.3 | 3.29 |
벨기에 | 12 | 10.2 | 3.33 |
헝가리 | 12 | 10.0 | 3.39 |
포르투갈 | 12 | 9.9 | 3.42 |
스웨덴 | 10 | 8.9 | 3.18 |
오스트리아 | 10 | 8.1 | 3.49 |
불가리아 | 10 | 7.7 | 3.67 |
슬로바키아 | 7 | 5.4 | 3.67 |
덴마크 | 7 | 5.3 | 3.73 |
핀란드 | 7 | 5.2 | 3.81 |
리투아니아 | 7 | 3.7 | 5.35 |
아일랜드 | 7 | 3.7 | 5.35 |
라트비아 | 4 | 2.4 | 4.71 |
슬로베니아 | 4 | 2.0 | 5.67 |
에스토니아 | 4 | 1.4 | 8.08 |
키프로스 | 4 | 0.8 | 14.14 |
룩셈부르크 | 4 | 0.4 | 28.28 |
몰타 | 3 | 0.4 | 21.26 |
합계 | 345 | 490 |
가중 다수결 제도를 개선하여, 회원국 과반수와 인구 과반수를 동시에 충족해야 제안이 승인되는 이중 다수결 제도를 도입했다.[1] 회원국들은 찬성 투표한 국가들이 EU 인구의 충분한 비율을 대표하는지 확인을 요청할 수 있는 선택권을 가졌다.[1]
2. 2. 유럽 의회
유럽 의회( European Parliament영어)는 유럽 연합의 의회 역할을 하는 기관이다. 니스 조약은 유럽 연합 확대 이후 유럽 의회의 의석 수를 732석으로 늘리도록 규정했다.[2] 이는 암스테르담 조약에서 정한 상한선을 초과하는 것이었다.2. 3. 유럽 집행위원회
니스 조약은 유럽 연합 (EU) 회원국 수가 27개국에 도달하면, 이후 유럽 집행위원회 위원 수를 27명 미만으로 줄이는 조항을 두었다.[6] 실제 감축 목표는 명시되지 않았지만, 이사회가 위원 수를 결정하도록 규정했다. 과도 조치로 2005년 1월 1일 이후 독일, 프랑스, 영국, 이탈리아, 스페인은 각각 두 번째 집행위원을 사임하도록 규정했다.[6]2. 4. 유럽 사법 재판소
이 조약은 특허와 같은 특정 법률 분야를 다루기 위해 유럽 사법 재판소와 일반 법원 아래에 하급 법원을 설립할 수 있도록 규정했다.[6]2. 5. 기타 내용
니스 조약은 암스테르담 조약에서 도입되었으나 실효성이 없었던 강화된 협력에 관한 새로운 규칙을 규정했다.[6] 회원국에 대한 제재의 예방 메커니즘을 추가했는데, 이는 외르크 하이더의 정당이 참여한 연정이 집권한 후 오스트리아에 대한 제재 실패 및 확대 이후 신규 회원국의 안정에 대한 우려에 따른 것이었다.[6] 또한 유럽 석탄 철강 공동체(ECSC) 조약(파리 조약 (1951)) 만료의 재정적 결과를 다루는 조항을 포함했다.니스 조약은 많은 사람들로부터 불완전한 타협으로 비판받았다. 독일은 인구 규모를 반영하여 유럽 연합 이사회에서의 투표 가중치를 높여야 한다고 주장했지만, 프랑스는 프랑스와 독일의 상징적 동등성을 유지해야 한다며 반대했다. 집행위원회는 기존의 가중치 투표 제도를 찬성표가 회원국의 과반수와 인구의 과반수를 대표해야만 제안이 승인되는 이중 과반수 제도로 대체할 것을 제안했다.[1] 이 또한 프랑스가 유사한 이유로 거부했다. 회원국과 득표수의 이중 과반수를 확보하고, 회원국은 선택적으로 찬성 투표한 국가들이 EU 인구의 충분한 비율을 대표하는지 확인을 요청할 수 있는 타협이 이루어졌다.
국가 | 투표 가중치 | 인구 (백만 명) | 상대적[5] 가중치 |
---|---|---|---|
독일 | 29 | 82.0 | 1.00 |
영국 | 29 | 59.4 | 1.38 |
프랑스 | 29 | 59.1 | 1.39 |
이탈리아 | 29 | 57.7 | 1.42 |
스페인 | 27 | 39.4 | 1.94 |
폴란드 | 27 | 38.6 | 1.98 |
루마니아 | 14 | 22.3 | 1.78 |
네덜란드 | 13 | 15.8 | 2.33 |
그리스 | 12 | 10.6 | 3.20 |
체코 | 12 | 10.3 | 3.29 |
벨기에 | 12 | 10.2 | 3.33 |
헝가리 | 12 | 10.0 | 3.39 |
포르투갈 | 12 | 9.9 | 3.42 |
스웨덴 | 10 | 8.9 | 3.18 |
오스트리아 | 10 | 8.1 | 3.49 |
불가리아 | 10 | 7.7 | 3.67 |
슬로바키아 | 7 | 5.4 | 3.67 |
덴마크 | 7 | 5.3 | 3.73 |
핀란드 | 7 | 5.2 | 3.81 |
리투아니아 | 7 | 3.7 | 5.35 |
아일랜드 | 7 | 3.7 | 5.35 |
라트비아 | 4 | 2.4 | 4.71 |
슬로베니아 | 4 | 2.0 | 5.67 |
에스토니아 | 4 | 1.4 | 8.08 |
키프로스 | 4 | 0.8 | 14.14 |
룩셈부르크 | 4 | 0.4 | 28.28 |
몰타 | 3 | 0.4 | 21.26 |
합계 | 345 | 490 |
니스 조약은 모든 유럽 연합 회원국의 비준을 필요로 했다.[1]
이 조약은 확대 이후 유럽 의회 의석 수를 암스테르담 조약에서 정한 상한선을 초과하는 732석으로 늘리도록 규정했다.
확대 이후 유럽 집행위원회 규모 축소 문제는 어느 정도 해결되었다. 즉, 회원국 수가 27개국에 달하면, 이후 집행위원회에 임명될 위원 수를 이사회가 27명 미만으로 줄이되, 실제 감축 목표는 명시하지 않는다는 조항을 두었다. 과도 조치로 2005년 1월 1일 이후 독일, 프랑스, 영국, 이탈리아 및 스페인은 각각 두 번째 집행위원을 사임하도록 규정했다.
이 조약은 특허와 같은 특정 법률 분야를 다루기 위해 유럽 사법 재판소와 제1심 법원(현 일반 법원) 아래에 하급 법원을 설립하도록 규정했다.
유럽 의회 위원회에서는 제도 개혁과 유럽 검찰청 임명 등 유럽 공동체의 새로운 권한 신설에 관한 자신들이 제안한 많은 부분이 채택되지 않은 것에 불만을 느꼈다. 유럽 의회는 자신에게 거부권이 주어지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니스 조약의 대안을 채택할 태세를 보였고, 이탈리아 의회에서도 유럽 의회의 동의를 얻지 못한다면 비준을 거부한다는 분위기가 있었지만, 최종적으로는 양측 모두 니스 조약을 받아들였다.
니스 조약에서는 유럽 연합의 3개 기둥 구조를 유지했지만, 많은 회원국이 복잡하다고 했다. 이에 대해 개별 기본 조약을 하나로 통합하고, 또 다른 법인격을 가진 3개의 공동체(유럽 공동체, 유럽 원자력 공동체, 유럽 석탄 철강 공동체)를 하나로 만들고, 그 위에 유럽 공동체와 유럽 연합의 틀을 통합하여 유럽 연합에 법인격을 부여해야 한다는 논의가 있었다. 이에 대해서도 독일은 회원국과 유럽 연합의 권한 차이를 명확히 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그 외 니스 조약에서는 유럽 연합 기본권 헌장에 관한 협력에도 언급하고 있지만, 이것은 2004년 IGC 이후에도 영국이 반대했기 때문에 논의가 연기되었다.
3. 니스 조약 비준 과정
아일랜드를 제외한 모든 회원국은 각 의회에서 비준 절차를 완료했다.[1] 아일랜드는 아일랜드 대법원의 판결에 따라 니스 조약 비준에 앞서 헌법 개정 절차를 국민투표를 통해 실시해야 했다.[1]
2001년 6월 아일랜드에서 실시된 첫 번째 국민투표에서는 니스 조약 비준안이 부결되었다. 이는 유럽 통합을 추진해 온 유럽 정계에 큰 충격을 주었다.[1] 낮은 투표율과 더불어, 조약 내용에 대한 불만, 소국에 대한 불평등, 아일랜드의 중립성 훼손 우려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였다.[1]
이후 아일랜드 정부는 유럽 이사회로부터 세비야 선언을 얻어내어 아일랜드의 군사 정책에 대한 우려를 해소하고, 2002년 10월 다시 국민투표를 실시했다.[1] 두 번째 국민투표에서는 주요 정당과 팻 콕스 등 저명인사들의 적극적인 찬성 운동에 힘입어 60%가 넘는 찬성률로 조약이 비준되었다.[1]
이로써 모든 회원국이 니스 조약을 비준했으며, 조약은 2002년 말까지 비준을 완료해야 했고, 비준이 완료되지 않으면 폐기될 예정이었다.[1]
3. 1. 아일랜드의 국민투표
아일랜드는 헌법에 따라 니스 조약 비준을 위해 국민투표를 실시해야 했다.[1] 2001년 6월 첫 번째 국민투표에서는 낮은 투표율(34%) 속에 조약이 부결되었다.[1] 이는 조약 내용에 대한 비판, 아일랜드의 중립성 훼손 우려, EU 지도부에 대한 불신 등 여러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였다.[1]
찬성/반대 | 투표 수 | % |
---|---|---|
반대 | 529,478 | 53.87 |
찬성 | 453,461 | 46.13 |
유효 투표 수 | 982,939 | 98.48 |
무효/기권 | 15,187 | 1.52 |
총 투표 수 | 998,126 | 34.79 |
등록 유권자 수 | 2,868,947 | 100.00 |
아일랜드 정부는 유럽 이사회로부터 아일랜드의 군사적 중립 정책에 대한 세비야 선언을 얻어낸 후, 2002년 10월 두 번째 국민투표를 실시했다.[1] 두 번째 수정안 제안에는 두 가지 중요한 조항이 포함되었는데, 하나는 조약에 따른 강화된 협력에 대해 다일의 동의를 필요로 하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아일랜드가 EU 공동 방위 정책에 가입하는 것을 막는 것이었다.[1]
두 번째 국민투표에서는 주요 정당과 시민 사회의 대대적인 찬성 운동 속에 투표율이 약 50%로 상승했고, 60% 이상의 찬성으로 조약이 비준되었다.[1]
찬성/반대 | 투표 수 | % |
---|---|---|
찬성 | 909,767 | 62.89 |
반대 | 534,887 | 37.11 |
유효 투표 수 | 1,444,654 | 98.95 |
무효/기권 | 15,330 | 1.05 |
총 투표 수 | 1,459,984 | 49.47 |
등록 유권자 수 | 2,951,828 | 100.00 |
4. 니스 조약에 대한 평가 및 비판
니스 조약은 유럽 연합(EU) 확장을 위한 제도적 개혁을 목표로 했지만, 여러 측면에서 비판을 받았다.
독일은 인구가 많다는 점을 들어 유럽 연합 이사회에서 더 많은 투표권을 가져야 한다고 주장했지만, 프랑스는 독일과 프랑스 간의 상징적 동등성을 유지해야 한다며 반대했다.[1] 유럽 집행위원회는 기존의 가중 다수결제를 회원국 과반수와 인구 과반수를 모두 충족해야 하는 이중 다수결제로 바꿀 것을 제안했지만, 프랑스는 이 역시 반대했다. 결국 회원국 수와 득표수의 이중 과반수를 확보하고, 회원국이 요청할 경우 찬성 투표한 국가들이 EU 인구의 충분한 비율을 대표하는지 확인하는 방식의 타협안이 채택되었다.[1]
국가 | 투표 가중치 | 인구 (백만 명) | 상대적 가중치[5] |
---|---|---|---|
독일 | 29 | 82.0 | 1.00 |
영국 | 29 | 59.4 | 1.38 |
프랑스 | 29 | 59.1 | 1.39 |
이탈리아 | 29 | 57.7 | 1.42 |
스페인 | 27 | 39.4 | 1.94 |
폴란드 | 27 | 38.6 | 1.98 |
루마니아 | 14 | 22.3 | 1.78 |
네덜란드 | 13 | 15.8 | 2.33 |
그리스 | 12 | 10.6 | 3.20 |
체코 | 12 | 10.3 | 3.29 |
벨기에 | 12 | 10.2 | 3.33 |
헝가리 | 12 | 10.0 | 3.39 |
포르투갈 | 12 | 9.9 | 3.42 |
스웨덴 | 10 | 8.9 | 3.18 |
오스트리아 | 10 | 8.1 | 3.49 |
불가리아 | 10 | 7.7 | 3.67 |
슬로바키아 | 7 | 5.4 | 3.67 |
덴마크 | 7 | 5.3 | 3.73 |
핀란드 | 7 | 5.2 | 3.81 |
리투아니아 | 7 | 3.7 | 5.35 |
아일랜드 | 7 | 3.7 | 5.35 |
라트비아 | 4 | 2.4 | 4.71 |
슬로베니아 | 4 | 2.0 | 5.67 |
에스토니아 | 4 | 1.4 | 8.08 |
키프로스 | 4 | 0.8 | 14.14 |
룩셈부르크 | 4 | 0.4 | 28.28 |
몰타 | 3 | 0.4 | 21.26 |
합계 | 345 | 490 |
유럽 집행위원회와 유럽 의회는 기관 구조 개혁이나 새로운 공동체 권한 도입에 대한 제안들이 많이 채택되지 않은 것에 대해 실망했다. 유럽 의회는 조약에 반대하는 결의안을 통과시키겠다고 위협했고, 이탈리아 의회는 유럽 의회의 지지 없이는 비준하지 않겠다고 위협했지만, 결국 유럽 의회는 조약을 승인했다.
많은 사람들은 EU의 기둥 구조가 지나치게 복잡하다고 주장했다. 별도의 조약들을 하나의 조약으로 통합하고, 공동체의 세 법적 인격(유럽 공동체, 유럽 원자력 공동체, 유럽 석탄 철강 공동체)을 하나로 통합하며, 유럽 연합에 법인격을 부여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 독일 지역 정부들 또한 연합과 회원국 간의 권한 분리를 명확하게 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니스 조약은 유럽 연합 기본권 헌장을 조약에 통합하는 문제를 다루지 않았으며, 이 문제는 영국의 반대 이후 2004년 정부간회의(IGC)로 넘겨졌다.
4. 1. 지지 측의 평가
니스 조약 지지자들은 이 조약이 유럽 연합(EU)의 복잡한 통치 구조를 실용적으로 개선하고, 중부 및 동유럽으로 EU를 확장하기 위해 필요한 의사결정 과정을 간소화한다고 주장했다.[6] 이들은 니스 조약이 구 동구권 국가들의 통합과 미래 발전에 매우 중요하다고 보았다. 그러나 EU의 권한 확대를 지지했던 많은 사람들은 니스 조약이 충분하지 않으며, 미래에 새로운 조약으로 대체될 것이라고 예상했다. 조약 없이 EU 확장이 가능했을지에 대해서는 지지자들 사이에서도 의견이 달랐다. 일부는 EU의 성장, 심지어 존립 자체가 위태로웠다고 주장한 반면, 다른 일부는 조약 없이도 더 느리지만 합법적인 확대가 가능했을 것이라고 말했다.4. 2. 반대 측의 비판
니스 조약 반대자들은 이 조약이 민주적이지 않고 "기술관료적" 조약이라고 주장하며, 이는 국가 및 지역 의회의 주권을 더욱 약화시키고 권력을 중앙집중되고 책임지지 않는 관료제에 더욱 집중시킬 것이라고 비판했다.[1] 이들은 5개의 가입 후보국이 EU 규칙을 변경하지 않고도 EU에 가입할 수 있었고, 다른 국가들은 개별적으로 협상할 수 있었는데, 이것이 가입국들에게 유리했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또한 니스 조약이 2단계 EU를 만들어 아일랜드를 소외시킬 수 있다고 주장했다. 조약 반대자들은 조약 지지 정치인들이 아일랜드 이외의 국가에서 국민투표가 실시되었다면 아마도 거기서도 부결되었을 것이라고 인정했다는 점을 지적했다.4. 3. 기타 비판
니스 조약은 많은 사람들에게 불완전한 타협으로 여겨져 비판을 받았다. 독일은 인구 규모를 반영하여 유럽 연합 이사회에서의 투표 가중치를 높여야 한다고 주장했지만, 프랑스는 프랑스와 독일의 동등성을 유지해야 한다며 반대했다.[1] 유럽 집행위원회는 기존의 가중치 투표 제도를 회원국 과반수와 인구 과반수를 대표해야 제안이 승인되는 이중 과반수 제도로 대체할 것을 제안했으나, 프랑스가 반대하여 회원국과 득표수의 이중 과반수를 확보하고, 회원국이 요청 시 찬성 투표 국가들이 EU 인구의 충분한 비율을 대표하는지 확인하는 타협안이 채택되었다.[1]국가 | 투표 가중치 | 인구 (백만 명) | 상대적 가중치[5] |
---|---|---|---|
독일 | 29 | 82.0 | 1.00 |
영국 | 29 | 59.4 | 1.38 |
프랑스 | 29 | 59.1 | 1.39 |
이탈리아 | 29 | 57.7 | 1.42 |
스페인 | 27 | 39.4 | 1.94 |
폴란드 | 27 | 38.6 | 1.98 |
루마니아 | 14 | 22.3 | 1.78 |
네덜란드 | 13 | 15.8 | 2.33 |
그리스 | 12 | 10.6 | 3.20 |
체코 | 12 | 10.3 | 3.29 |
벨기에 | 12 | 10.2 | 3.33 |
헝가리 | 12 | 10.0 | 3.39 |
포르투갈 | 12 | 9.9 | 3.42 |
스웨덴 | 10 | 8.9 | 3.18 |
오스트리아 | 10 | 8.1 | 3.49 |
불가리아 | 10 | 7.7 | 3.67 |
슬로바키아 | 7 | 5.4 | 3.67 |
덴마크 | 7 | 5.3 | 3.73 |
핀란드 | 7 | 5.2 | 3.81 |
리투아니아 | 7 | 3.7 | 5.35 |
아일랜드 | 7 | 3.7 | 5.35 |
라트비아 | 4 | 2.4 | 4.71 |
슬로베니아 | 4 | 2.0 | 5.67 |
에스토니아 | 4 | 1.4 | 8.08 |
키프로스 | 4 | 0.8 | 14.14 |
룩셈부르크 | 4 | 0.4 | 28.28 |
몰타 | 3 | 0.4 | 21.26 |
합계 | 345 | 490 |
유럽 집행위원회와 유럽 의회는 니스 조약에서 제기된 기관 구조 개혁이나 새로운 공동체 권한 도입에 대한 제안들이 많이 채택되지 않은 것에 실망했다. 유럽 의회는 조약에 반대하는 결의안을 통과시키겠다고 위협했고, 이탈리아 의회는 유럽 의회의 지지 없이는 비준하지 않겠다고 위협했지만, 결국 유럽 의회는 조약을 승인했다.
많은 사람들은 조약에 의해 유지된 EU의 기둥 구조가 지나치게 복잡하다고 주장했다. 즉, 별도의 조약들을 하나의 조약으로 통합하고, 공동체의 세 법적 인격(유럽 공동체, 유럽 원자력 공동체, 유럽 석탄 철강 공동체)을 하나로 통합하며, 유럽 연합에 법인격을 부여해야 한다는 것이다. 독일 지역 정부들 또한 연합과 회원국 간의 권한 분리를 명확하게 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니스 조약은 유럽 연합 기본권 헌장을 조약에 통합하는 문제를 다루지 않았다. 이 문제는 영국의 반대 이후 2004년 정부간회의(IGC)로 남겨졌다.
5. 니스 조약 이후의 발전
니스 조약은 여러 한계와 문제점을 드러냈으며, 이는 더 포괄적인 개혁을 위한 논의로 이어졌다. 독일은 유럽 연합 이사회 의결 절차에서 자국 인구수를 더 반영해야 한다고 주장했지만, 프랑스는 양국의 영향력 유지를 위해 동등한 표 배분을 주장하며 반대했다.[7] 특별 다수결 방식 대신 회원국 투표와 인구에 따른 이중 다수결 도입 제안 역시 프랑스의 반대로 무산되었다. 결국 회원국 투표와 더불어 찬성표를 던진 회원국의 전체 인구 비율을 고려하는 타협안이 채택되었다.
니스 조약은 유럽 의회 의원 정수를 732명으로 정했지만, 유럽 집행위원회 규모 축소에 대해서는 임시방편으로 대응했다. 회원국 수가 27개국에 도달하면 위원 정수를 회원국 수와 동일하게 한 후, 27명 미만으로 줄이기로 규정했지만, 이는 실질적인 축소 목표에 부합하지 않았다. 2005년 1월 1일 이후 독일, 프랑스, 영국, 이탈리아, 스페인은 두 번째 위원을 내는 것을 중단했다.
니스 조약은 유럽 사법 재판소와 일반법원에 특정 분야를 관할하는 부속 법정 설치를 규정하고, 긴밀한 협력에 관한 새로운 규정을 도입했다. 또한, 회원국에 대한 제재 조치 적용 규정을 처음으로 도입하고, 유럽 석탄 철강 공동체 소멸에 따른 재정적 영향에 관한 규정을 담았다.
그러나 니스 조약은 유럽 연합 제도의 근본적인 개혁에는 미치지 못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유럽 연합 제도는 복잡하다는 인식이 있었고, 2004년 IGC에 앞서 협의회(Convention)를 설립하는 데 합의했다. 유럽 의회는 제도 개혁과 유럽 검찰청 임명 등 자신들의 제안이 채택되지 않은 것에 불만을 표출했지만, 최종적으로 니스 조약을 수용했다.
많은 회원국은 유럽 연합의 3개 기둥 구조가 복잡하다고 지적하며, 개별 기본 조약을 하나로 통합하고, 3개 공동체(유럽 공동체, 유럽 원자력 공동체, 유럽 석탄 철강 공동체)를 하나로 만들어 유럽 연합에 법인격을 부여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독일은 회원국과 유럽 연합의 권한 차이를 명확히 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유럽 연합 기본권 헌장에 관한 협력은 영국이 반대하여 논의가 연기되었다.
5. 1. 리스본 조약
니스 조약의 개혁 목표를 이어받아, 2007년 리스본 조약이 체결되었다. 리스본 조약은 유럽 연합의 의사 결정 과정을 간소화하고, 유럽 의회의 권한을 강화하며, 외교 및 안보 정책 분야에서 EU의 역할을 확대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7]참조
[1]
서적
The Treaty of Nice: Actor Preferences, Bargaining And Institutional Choice
Martinus Nijhoff Publishers
[2]
웹사이트
Article 12 of the 2003 Act of Accession
http://eur-lex.europ[...]
2003-09-23
[3]
뉴스
EU voting row explained
http://news.bbc.co.u[...]
2004-03-24
[4]
학술지
The Impact of Turkey's Membership on EU Voting
http://www.ceps.eu/f[...]
Centre for European Policy Studies
2005-02
[5]
문서
The relative weight is a measure of how many Council votes a country has related to its population. In this instance, the German weight is taken to be 1.00 and as a reference to all others.
[6]
웹사이트
Adding a Bite to a Bark? A Story of Article 7, the EU Enlargement, and Jörg Haider
http://ecgi.ssrn.com[...]
Sydney Law School, University of Sydney
2015-10-28
[7]
문서
인구에 대한 각국의 투표 수 비중. 독일을 1로 했을 때의 배율.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