니시야마 사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니시야마 사건은 1971년 오키나와 반환 협정 체결 당시, 미국이 부담해야 할 원상복구 비용 약 400만 달러를 일본이 대신 지불하기로 한 밀약과 관련된 사건이다. 마이니치 신문 기자 니시야마 다이키치는 이 밀약 정보를 얻기 위해 외무성 관리 하스미에게 접근하여 밀약 문서 사본을 입수했고, 이를 일본 사회당 의원 요코미치 다카히로에게 제공하여 국회에서 폭로되었다. 이후 니시야마는 국가공무원법 위반으로 체포되었고, 재판 과정에서 니시야마에게 유죄가 선고되었다. 이 사건은 언론의 자유, 정보 공개, 정부의 책임에 대한 논쟁을 불러일으켰으며, 마이니치 신문의 경영 악화와 정치적, 사회적 파장을 초래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일본의 사건 - 아게오 사건
아게오 사건은 1973년 일본 국철 다카사키선 아게오역에서 준법투쟁으로 인한 열차 지연과 혼잡으로 승객 폭동이 발생, 인근 역으로 확산되어 사회에 큰 충격을 주고 공공 서비스 개선 논의를 촉발한 사건이다. - 일본의 사건 - TBS 비디오 문제
TBS 비디오 문제는 1989년 TBS가 옴진리교 비판 인터뷰 비디오를 옴진리교 간부에게 보여주면서 사카모토 쓰쓰미 변호사 일가족 살해 사건의 진실 은폐 의혹을 낳았고, 보도 윤리 위반, 내부 조사 실패, 시청자와의 신뢰 훼손을 초래한 사건이다. - 마이니치 신문사 - 선발 고등학교 야구 대회
선발 고등학교 야구 대회는 일본 고등학교 야구 연맹과 마이니치 신문이 주최하는, 매년 3월에 한신 고시엔 구장에서 열리는 전국 고등학교 야구 토너먼트 대회로, 가을 토너먼트를 거친 32개교가 출전하며 지역별 배정, 21세기 팀, 메이지 진구 대회 우승팀 등의 선발 방식을 통해 출전 학교가 결정되고, 고교 야구 선수들의 꿈의 무대이자 학교와 지역의 명예를 건 경쟁의 장으로 여겨진다. - 마이니치 신문사 - 니시야마 다키치
니시야마 다키치는 마이니치 신문 기자 출신 재야 언론인으로, 오키나와 반환 협정 관련 미·일 간 밀약을 폭로한 '니시야마 사건'으로 유명하며, 이 사건은 일본 사회에서 언론의 자유와 국민의 알 권리에 대한 논쟁을 야기했다. - 1971년 일본 - 제9회 일본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
제9회 일본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는 1971년 6월 27일에 실시되었으며, 자유민주당이 가장 많은 의석을 확보했고, 투표율은 지역구와 전국구 모두 59%대를 기록했다. - 1971년 일본 - 검은 안개 사건 (야구)
검은 안개 사건은 1969년부터 1971년까지 일본 프로 야구계를 뒤흔든 승부 조작 사건으로, 칼 볼스의 제보로 시작되어 주요 선수들의 영구 제명과 폭력단 연루 등으로 확산되며 프로 야구계와 폭력단 간의 유착 관계를 드러내 사회적으로 큰 파장을 일으켰다.
니시야마 사건 | |
---|---|
사건 개요 | |
법적 쟁점 | |
재판 결과 | |
사건의 배경 | |
기타 정보 | |
참고 자료 | |
2. 사건의 배경 및 발생
1971년 미국과 일본 사이에 오키나와 반환 협정이 체결될 때, 공식적으로 발표된 내용 외에 미국이 지불해야 할 약 400만달러의 원상복구 비용을 일본 측이 대신 부담한다는 내용의 비밀 조약, 즉 밀약이 존재했다.[64]
마이니치 신문의 정치부 기자 니시야마는 이 밀약 정보를 입수하기 위해 외무성 여성 사무관 하스미 기쿠코(가명: A)에게 접근하여 1971년 5월 22일 술을 마시게 하고 육체 관계를 맺었다.[64] 하스미는 이 관계에 대한 대가로 밀약 문서의 복사본을 니시야마에게 제공했다.[64]
1972년 3월 27일 니시야마는 일본 사회당 소속 의원 '''요코미치 다카히로'''(横路孝弘일본어, 당시 민주당 소속)에게 이 정보를 제공했고, 요코미치는 이를 정부 비판에 사용했다.[64]
2. 1. 오키나와 반환 협정과 밀약
1971년 미국과 일본 사이에 오키나와 반환 협정이 체결될 때, 공식적으로 발표된 내용 외에 또 다른 비밀 조약, 즉 밀약이 존재했다.[64] 이 밀약은 본래 미국이 지불해야 할 약 400만달러의 원상복구 비용을 일본 측이 대신 부담한다는 내용을 담고 있었다.[64]마이니치 신문사의 정치부 기자 니시야마 다이키치는 이 밀약에 관한 정보를 외무성 여성 사무관에게서 입수했다. 그는 취재원 보호를 위해 신문에 밀약을 직접적으로 보도하지는 않았지만, 1972년 3월 27일 일본 사회당 소속 의원인 '''요코미치 다카히로'''(横路孝弘일본어, 당시 민주당 소속)에게 이 정보를 제공했고, 요코미치는 이를 정부를 비판하는 데 사용했다.[64]
일본 정부는 밀약의 존재를 계속 부인해왔으나,[65] 2009년 12월 1일 당시 외무성 미국 국장이었던 '''요시노 분로쿠'''(吉野文六일본어)가 밀약 문서에 자신이 서명했음을 증언하면서 밀약의 존재는 일본에서도 확실시되었다.[66]
이른바 "밀약"에 대해서는 2009년부터 2010년에 걸쳐 민주당의 하토야마 유키오 총리와 오카다 가쓰야 외무대신의 지시로 조사가 이루어져 그 결과가 공표되었다.[11]
2. 2. 니시야마 다이키치의 정보 입수
1971년 5월 22일, 마이니치 신문 기자 니시야마는 외무성 관리인 하스미 기쿠코(가명: A)에게 접근하여 술을 마시게 하고 육체 관계를 맺었다.[64] 하스미는 이 관계에 대한 대가로 미국과 일본 사이에 체결된 밀약 문서의 복사본을 니시야마에게 제공했다. 이 문서는 본래 미국이 지불하기로 되어 있던 약 400만 달러의 원상복구 비용을 일본 측이 대신 지불하기로 한 내용을 담고 있었다.[64]니시야마가 입수한 전문은 3통으로, 아이치 규이치 외상과 마이어 주일 미국 대사와의 최종 반환 협상 개요, 외무성 이가와 조약국장과 스나이더 주일 미국 공사와의 회담에서 400만 달러 지불에 관한 미국 측 제안 등의 내용이었다. 이는 후에 후쿠다 다케오 장관과 데이비드 M. 케네디 미 재무장관과의 회담 내용이었음이 후쿠다의 자서를 통해 밝혀졌다.[12]
대법원 판결문에 따르면, 니시야마는 1971년 5월 18일경 "이전부터 그다지 친분이 있었던 것도 아니고, 애정을 가지고 있었던 것도 아닌" 하스미를 처음으로 유혹하여 음식을 함께 한 후, "상당히 강압적"으로 성관계를 가졌다.[34] 1971년 5월 22일 이후에는 "다시 성관계를 가진 직후, 비밀문서의 반출을 요청하여 간청하고, (하스미의) 승낙을 얻고, 전화로 그 결단을 재촉하고, 그 후에도 (하스미와의) 관계를 계속하여, (니시야마와의) 관계 때문에 그 요청을 거절하기 어려운 심리 상태가 된 것을 타고, 이후 십수 회에 걸쳐 비밀문서의 반출을 시켰다"고 한다.[34]
하스미는 단순한 정보 제공자가 아니라 사건에 깊이 연루된 인물이었다. 1972년 3월 30일 외무성 내부 조사에서 "나는 속았다"며 오열하며 니시야마에게 기밀 전문을 건넨 것을 자백했다.[30]
2. 3. 정보 유출과 국회 폭로
1971년 미국과 일본 사이에 1971 Okinawa Reversion Agreement|오키나와 반환 협정영어이 체결되었는데, 뒤로 또 하나의 조약이 체결되었다. 그 내용은 본디 미국이 지불하기로 되어 있던 약 400만엔의 원상복구 비용을 일본 측이 대신 지불하기로 한 것이었다.[64]니시야마는 이에 관련된 내용을 얻어내기 위해 외무성의 관리인 하스미에게 접근, 1971년 5월 22일에 술을 먹이고 육체 관계를 맺었다.[64] 하스미는 이 관계에 대한 대가로 해당 밀약 문서의 복사본을 공개하지 않는다는 조건하에 제공했다.
그러나 니시야마는 이 사본을 1972년 3월 27일에 사회당 소속 의원인 '''요코미치 다카히로'''(横路孝弘일본어, 2009년 기준으로 민주당 소속)에게 제공했고, 요코미치는 해당 밀약의 존재를 부인하고 있던 정부에 대한 반박용 자료로 사용했다.
3. 사건의 전개와 재판 과정
1972년 4월 4일, 마이니치 신문의 기자 니시야마 다키치와 외무성 사무관 하스미 기쿠코는 국가공무원법 위반 혐의로 체포되었다.[15] 니시야마는 하스미를 부추겨 비밀문서를 복사하고 누설하게 한 혐의(국가공무원법 제100조 위반 교사)를, 하스미는 비밀문서를 니시야마에게 건넨 혐의(국가공무원법 제100조 위반)를 받았다.
검찰은 기소장에서 두 사람의 불륜 관계를 이례적으로 명시하며, 하스미가 니시야마에게 심리적으로 종속되어 범행에 이르렀다고 주장했다. 이는 니시야마의 도덕성을 문제 삼아 사건을 부각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었다.
하스미는 검찰 조사에서 혐의를 인정하고 니시야마의 유죄를 주장했지만, 니시야마는 언론의 자유와 비밀 유지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하스미와의 관계에 대한 언급을 피했다. 검찰 측 증인은 비밀 유지 의무를 이유로 증언을 거부했다.
1심 도쿄 지방법원 판결에서 니시야마는 무죄, 하스미는 징역 6개월에 집행유예 1년을 선고받았다.[16] 하스미가 1심에서 유죄를 인정하면서 니시야마에 대한 비판 여론이 높아졌다. 언론은 "밀약의 유무"를 다루지 않고[17] 정부 책임 추궁을 멈췄다.
2심 도쿄 고등법원은 니시야마에게 징역 4개월, 집행유예 1년의 유죄를 선고했다.[18] 검찰은 국가 기밀 유지의 중요성과 언론의 자유에는 제약이 있음을 강조하며, 국가공무원법의 비밀 유지 의무가 비공무원에게도 적용된다고 주장했다.[18]
도쿄 고등법원은 '지정 비밀'을 '진정한 비밀', '유사 비밀', '불법 비밀'의 세 가지 유형으로 구분했다.[18] 법원은 '유사 비밀'이라 판단했더라도, 확실한 근거를 바탕으로 상당한 이유가 있다고 객관적으로 인정되는 경우 등에는 위법성이 배제될 수 있다고 보았다.[18] 그러나 니시야마가 5월 22일부터 26일까지 요구한 정보에 대해서는 '유사 비밀'이라고 믿을 만한 상당한 이유가 없다고 판단하여 유죄를 선고했다.[18]
대법원은 오키나와 반환 협상 관련 재원 문제는 비밀로 보호할 가치가 있다고 판단했다.[18] 또한 니시야마가 여성 공무원과 성관계를 맺고, 그 여성이 관계 때문에 부탁을 거절하기 어려운 심리 상태를 이용하여 비밀 문서를 빼돌린 것은 정당한 취재 활동의 범위를 벗어난다고 판시했다.[18] 대법원은 언론 기관이라도 취재 과정에서 타인의 권리와 자유를 침해할 수 있는 특권은 없다고 강조하며, 보도의 자유가 무제한적인 것은 아니라고 판결했다.[18]
3. 1. 체포와 기소
1972년 4월 4일, 니시야마 다키치와 외무성 사무관 하스미 기쿠코는 국가공무원법 위반 혐의로 체포되었다.[15] 니시야마는 하스미를 교사하여 비밀문서를 복사하고 누설하게 한 혐의(국가공무원법 제100조 위반 교사), 하스미는 비밀문서를 니시야마에게 건넨 혐의(국가공무원법 제100조 위반)였다.검찰은 기소장에서 두 사람의 불륜 관계를 명시했는데, 이는 이례적인 일이었다. 검찰은 하스미가 니시야마에게 심리적으로 종속되어 범행에 이르렀다고 주장하며, 니시야마의 도덕성을 문제 삼았다. 이는 국가공무원법의 보호법익이 성적 자유나 인격의 존엄이 아님에도 불구하고, 검찰이 두 사람의 사적인 관계를 부각한 것이었다.
하스미는 검찰 조사에서 혐의를 인정하고 니시야마의 유죄를 주장했다. 반면 니시야마는 언론의 자유와 비밀 유지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하스미와의 관계에 대한 언급을 피했다. 검찰 측 증인은 비밀 유지 의무를 이유로 증언을 거부했다. 하스미는 니시야마가 자신을 이용하고 버렸다고 증언했지만, 니시야마 측 변호인은 두 사람이 대등한 관계였다고 반박했다.
이 사건은 당시 자유민주당 정권하에서 발생했으며, 정부와 검찰은 정보를 통제하고 언론의 자유를 억압하려는 경향을 보였다. 니시야마 사건은 이러한 시대적 배경 속에서, 국가 기밀과 언론의 자유, 개인의 사생활과 공익 간의 충돌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로 평가받는다.
3. 2. 1심 재판
여성 사무관은 구형된 죄명을 전면적으로 인정하고 개전의 정을 호소하며, 니시야마의 유죄를 목표로 했다. 사회당과 이치카와 후사에 등에 의한 무죄를 주장하는 지원을 거절하자, 검찰은 론고 구형에서 이것을 여성 측의 개전의 표현이라고 주장했다.니시야마는 은밀한 약속의 중대성과 보도의 자유를 주장하고, 남녀 관계에 깊이 들어가는 것을 기본적으로 피했다. 국가공무원법은 원래 성적 자유나 인격의 존엄을 보호법익으로 하고 있지 않다. 검찰은 직접적인 죄명인 서류 반출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고, 여성 사무관이 니시야마에게 부추겨졌다는 주장에 전념했다.
검찰 측 증인은, 은밀한 약속에 대해 “기억에 없습니다”라고 말하며 “보안 의무”를 이유로 일절 대답하지 않았다. 니시야마가 여성 사무관에게 “당신이나 외무성에는 절대로 폐를 끼치지 않겠다”고 말하고는 이를 저버렸고, 취재 대상으로서 이용 가치가 없어지자 태도를 급변시켜 관계를 소멸시켰다고 여성 사무관이 증언했다.[15] 1973년 10월 12일 최종 변론에서 다카기 이치 변호사는 "여성 사무관과는 대등한 남녀 관계이며, 니시야마가 일방적으로 이용한 것이 아니다"라고 반론했다. 그러나 이후 여성 사무관은 이에 대해 반론했다.[15]
이 사이에 여성 사무관은 마이니치 신문사에 위자료 3000만엔을 요구했고, 마이니치 신문사는 12월에 1000만엔을 지불했다. 1심 도쿄 지방법원 판결에서 니시야마는 무죄 판결을 받았고, 여성 사무관은 징역 6개월에 집행유예 1년을 선고받았다.[16] 여성 사무관이 무죄를 주장하지 않고 1심에서 유죄가 확정되자 니시야마에 대한 반감이 높아졌다. 매스미디어는 "밀약의 유무"를 다루지 않고[17] 정부 책임 추궁을 멈췄다. 여성 사무관은 1심 판결 후 직장을 잃었고, 이혼을 강요당한 부부는 니시야마를 비판하는 글을 주간지 등에서 반복적으로 게재했다. 니시야마 또한 1심 판결 후 마이니치 신문을 퇴사하고 고향에서 가업을 이었다.
변호 측 증인으로 1심에서는 아사히 신문 편집위원 토모모리 에이지, 요미우리 신문 해설부장 와타나베 쓰네오 등이 증인으로 출석했다.[19]
3. 3. 2심 및 상고심 재판
2심 재판에서 도쿄 고등법원은 니시야마에게 징역 4개월, 집행유예 1년의 유죄를 선고했다.[18] 검찰은 국가 기밀 유지의 중요성과 언론의 자유에는 제약이 있음을 강조하며, 국가공무원법의 비밀 유지 의무가 비공무원에게도 적용된다고 주장했다.[18]도쿄 고등법원은 '지정 비밀'을 세 가지 유형으로 구분했다. 첫째, 국가 이익에 반하여 비밀로 지정된 '진정한 비밀', 둘째, 정부의 정치적 이익을 위해 비밀로 지정된 '유사 비밀', 셋째, 정부가 헌법상 권한 없이 비밀로 지정한 '불법 비밀'이다.[18] 법원은 '유사 비밀'이라 판단했더라도, 확실한 근거를 바탕으로 상당한 이유가 있다고 객관적으로 인정되는 경우, 또는 긴급한 취재와 보도가 헌법 체제 유지에 필수적이라고 믿을 만한 상당한 이유가 있는 경우에는 위법성이 배제될 수 있다고 보았다.[18]
그러나 법원은 니시야마가 5월 22일부터 26일까지 요구한 정보에 대해서는 '유사 비밀'이라고 믿을 만한 상당한 이유가 없다고 판단하여 유죄를 선고했다. 6월 7일경의 요구에 대해서는 '유사 비밀'이라고 믿을 만한 상당한 이유가 있다고 보아 무죄로 판결했다.[18]
상고심에서 대법원은, 문제가 된 오키나와 반환 협상 관련 재원 문제는 양국 협상 담당자들이 원활한 협상 타결을 위해 비밀로 할 필요가 있었지만, 헌법 질서에 어긋날 정도의 불법적인 비밀은 아니며, 실질적으로 비밀로 보호할 가치가 있다고 판단했다.[18] 또한 대법원은 니시야마가 여성 공무원과 성관계를 맺고, 그 여성이 관계 때문에 부탁을 거절하기 어려운 심리 상태를 이용하여 비밀 문서를 빼돌린 것은 취재 대상자의 인격을 심각하게 훼손한 행위로, 정당한 취재 활동의 범위를 벗어난다고 판시했다.[18]
대법원은 언론 기관이라도 취재 과정에서 타인의 권리와 자유를 침해할 수 있는 특권은 없다고 강조하며, 비밀의 정당성과 니시야마의 취재 활동의 위법성을 인정하고, 보도의 자유가 무제한적인 것은 아니라고 판결했다.[18]
4. 사건의 영향 및 평가
니시야마 사건은 언론, 정치, 사회 전반에 걸쳐 큰 영향을 미쳤으며, 특히 언론의 역할과 정부의 정보 공개 문제에 대한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사건 초기에는 언론 탄압으로 비춰졌으나, 니시야마 기자와 외무성 여직원 간의 불륜 관계가 폭로되면서 여론은 급변했다. 마이니치 신문은 사과문을 발표하고 불매 운동으로 인해 1977년 도산하는 등 큰 타격을 입었다.[67] 이 사건으로 인해 마이니치 신문은 독자층 이탈이 가속화되며 경영 악화의 한 원인이 되었다.[20]
이 사건을 계기로 언론에서는 일본 정부의 부정부패를 정치부가 아닌 사회부가 담당하게 되었고, 리쿠르트 사건이 대표적인 예이다.[67] 주간 신초(週刊新潮)는 이 사건을 통해 언론에 의한 테러리즘의 효과와 상업적 골격을 터득했다고 평가받았다.[21]
2009년 중의원 의원 총선거에서 민주당 중심의 정권이 수립되면서, 오키나와 반환 협정과 관련된 밀약 조사가 이루어졌다.[40][41] 2010년에는 "밀약" 문제에 관한 유식자 위원회가 원상회복비 부담 등 4가지 밀약에 대해 "광의의 밀약"에 해당한다고 보고했다. 그러나 외무성은 항소했고, 2014년 상고심에서 상고가 기각되어 밀약 문서를 불공개로 한 일본 정부의 결정이 타당하다고 판단되었다.
제2차 아베 내각이 발족한 후, 2013년에는 특정 비밀의 보호에 관한 법률(특정 비밀 보호법)이 제정되었다.
4. 1. 언론에 미친 영향
사건 초기, 대부분의 언론은 이 사건을 언론 탄압으로 보도했다. 그러나 검사 사토 미치오가 니시야마와 하스미의 불륜 관계를 명시한 기소장을 공개하면서 상황이 급변했다.[67] 마이니치 신문은 사과문을 발표했고, 다른 언론 매체들은 니시야마를 비난하며 밀약의 존재 자체에 대한 보도는 흐지부지되었다.이 사건으로 인해 마이니치 신문은 불매 운동에 직면하여 1977년 도산하게 된다.[67] 마이니치 신문은 1966년 신사옥 이전 시 무리한 부수 확대로 500만 부를 발행했지만, 차입금이 급증하여 경영난을 겪고 있었다. 니시야마 사건으로 인해 아사히 신문, 요미우리 신문 등에 독자를 빼앗기면서 30~40만 명의 독자를 잃은 것이 경영 악화의 주요 원인 중 하나로 꼽힌다.[20] 당시 신문사들은 독점 금지법 위반을 피하기 위해 구독료 인상 시 주요 신문사가 순번으로 먼저 인상하는 불문율이 있었는데, 마이니치 신문은 오일 쇼크 다음 해인 1974년 50%가 넘는 대폭적인 인상을 강행하여 부수가 급감하고 경영이 더욱 악화되었다.[20]
당시 주간 신초 편집부원이었던 카메이 준은 신초사의 캠페인이 호평을 받았고, 마이니치 신문사 내부 정보가 잇달아 제공되었다고 회고했다. 그는 "이 경험을 통해 주간 신초는 언론에 의한 테러리즘의 효과와 그 상업적인 골격을 터득했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21]
이 사건 이후, 언론에서는 일본 정부의 부정부패를 정치부가 아닌 사회부가 담당하게 되었다. 리쿠르트 사건이 대표적인 예이다. 또한, 신문의 정치부에서 특종을 잡는 일이 현저히 줄어들었다.[67]
저널리스트 에가와 쇼코에 따르면, 2023년 7월 현재 인터넷 상에서는 니시야마가 강간범이라는 주장이 유포되고 있지만, 이는 모두 허위이며 명예 훼손에 해당한다고 한다.[22]
4. 2. 정치·사회적 영향
이 사건 초기에는 대부분의 언론 매체가 언론 탄압 사건으로 보도했다. 그러나 사토 미치오 검사가 니시야마와 하스미의 불륜 관계를 명시한 기소장을 공개하면서 여론이 반전되었다. 마이니치 신문은 사과문을 발표했고, 다른 언론 매체들은 니시야마를 비난하며 밀약의 존재 자체에 대한 보도는 흐지부지되었다.[67] 이 사건으로 불매 운동이 일어나 마이니치 신문은 1977년 도산했다. 이후 신문의 정치부에서 특종을 잡는 일이 현저히 줄어들었다.[67] 마이니치 신문은 경영난을 겪던 중 이 사건으로 독자층 이탈이 가속화되며 경영 악화의 한 원인이 되었다.[20]주간 신초(週刊新潮)는 이 사건을 통해 언론에 의한 테러리즘의 효과와 상업적 골격을 터득했다고 평가받았다.[21] 이 사건 이후, 미디어에서는 일본 정부의 부정부패를 정치부가 아닌 사회부가 담당하게 되었는데, 리쿠르트 사건이 대표적인 예이다.
2009년, 민주당 오카다 가쓰야 부대표는 정권 교체 시 정보 공개를 통해 일본 정부의 거짓말을 밝히겠다고 발언했다.[35] 같은 해, 니시야마 등은 "오키나와 밀약 정보공개 소송"을 제기했다.[36] 이후 일본 행정기관에서 대량의 서류 처분이 이루어졌고, 외무성이 압도적으로 많았으며, 밀약 관련 문서가 포함되었을 가능성이 제기되었다.[37]
제45회 중의원 의원 총선거에서 민주당 중심의 정권이 수립되면서, 오카다 가쓰야 외무대신은 미일 핵반입 문제, 조선반도 유사시 작전 행동, 오키나와 반환 협정의 밀약 조사 및 공표를 지시했다.[40][41] 2009년 12월, 밀약 소송 증인으로 출두한 요시노는 밀약 존재를 인정했다.[42][43][44] 같은 달, 사토 에이사쿠 전 총리 사저에서 핵 밀약과 섬유 문제에 관한 각서 문서가 발견되었다.[45]
2010년, "밀약" 문제에 관한 유식자 위원회는 원상회복비 부담 등 4가지 밀약에 대해 "광의의 밀약"에 해당한다고 보고했다. 밀약 소송 판결에서 도쿄 지방법원은 외무성의 비공개 처분을 취소하고 문서 공개와 손해배상을 명령했다.[49][50] 니시야마는 이 판결을 "역사에 남을 판결"이라고 평가했다.[51] 그러나 외무성은 항소했고, 2011년 항소심에서 원고 패소, 2014년 상고심에서 상고가 기각되어 밀약 문서를 불공개로 한 일본 정부의 결정이 타당하다고 판단되었다.
제46회 중의원 의원 총선거 이후 제2차 아베 내각이 발족, 2013년 특정 비밀의 보호에 관한 법률(특정 비밀 보호법)이 제정되었다.
5. 진상 규명 노력과 이후의 경과
미국의 국립문서기록관리청에서 공개된 공문서에 따르면, 1971년 미국과 일본 사이에 체결된 오키나와 반환 협정에는 공식 발표된 내용 외에 밀약이 존재했다.[65] 이 밀약은 미국이 지불하기로 한 약 400만달러의 원상복구 비용을 일본 측이 대신 지불한다는 내용을 담고 있었다.[64]
2000년대에 미국에서 밀약의 존재를 입증하는 공문서들이 잇따라 발견되었고,[10] 2009년 12월 1일 요시노 분로쿠 전 외무성 미국 국장이 밀약에 서명했음을 증언하면서 일본에서도 밀약 문서의 존재가 확실해졌다.[66]
2009년 9월 16일, 자민·공명 연립 정권에서 민주·사민·국민 연립 정권으로 정권이 교체되면서 하토야마 유키오 내각이 성립되었다.[11] 오카다 가쓰야 외무대신은 외무성에 비밀 협약 관련 문서를 조사하여 공개하도록 지시했고, 조사 위원회는 2010년 3월 비밀 협약이 존재했음을 인정했다.[11]
그러나 간 나오토 내각에서 사건 재검토가 시도되었으나, 센카쿠 열도 중국 어선 충돌 영상 유출 사건으로 흐지부지되었다. 2012년 12월 16일 제46회 중의원 의원 총선거에서 자민당과 공명당이 다시 정권을 잡았다. 2013년 제2차 아베 내각은 특정 비밀 보호법안을 제출했는데, 모리 마사코 국무대신은 10월 22일 기자회견에서 이 법안으로 처벌 대상이 되는 '극히 부당한 취재'에 대해 "니시야마 사건 판례에 필적하는 행위"라고 답변했다.[29][30]
5. 1. 미국의 공문서 공개
미국 국립문서기록관리청에서 공개된 공문서에 따르면, 1971년 미국과 일본 사이에 체결된 오키나와 반환 협정에는 공식적으로 발표된 내용 외에 또 다른 조약, 즉 밀약이 존재했다.[65] 이 밀약은 본래 미국이 지불하기로 되어 있던 약 400만달러의 원상복구 비용을 일본 측이 대신 지불한다는 내용을 담고 있었다.[64]2000년대에 미국에서 이러한 밀약의 존재를 입증하는 공문서들이 잇따라 발견되었다.[10] 2000년 5월에는 와타나베 마사아키(我部政明) 류큐대학교 교수와 아사히 신문이 미국 국립문서기록관리청에서 25년간의 기밀 지정이 해제된 미국 공문서에서 비밀 협약을 뒷받침하는 문서를 발견했다. 이 문서에는 니시야마가 특종 보도한 400만달러 외에 일본이 미국에 1.87억달러를 제공하는 비밀 협약이 기록되어 있었다.[28]
2002년에는 1976년 6월 미국 국가안전보장회의 문서가 공개되었는데, 이 문서에는 "일본 정부가 400만달러라는 숫자와 일미 간의 비밀 협약이 공개되지 않도록 신경을 곤두세우고 있으며, 미디어의 추적에 대해 미국 측과 같은 발걸음을 맞추도록 요구하고 있다"라고 기록되어 있었다.[28]
2007년 5월에는 오키나와 타임스(沖縄タイムス)가 미국 공문서에서 일본 정부가 미국에 지불한 400만달러 중 300만달러 이상이 권리자에게 지불되지 않고 미국 육군 경비에 유용되었던 사실을 발견했다.[28]
이처럼 미국의 공문서 공개를 통해 밀약의 구체적인 내용이 밝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일본 정부는 2009년까지 해당 밀약의 존재를 부인해 왔다.[65]
5. 2. 관련자들의 증언
2009년 12월 1일, '''요시노 분로쿠'''(吉野文六일본어) 전 외무성 미국 국장이 해당 밀약에 자신이 서명했음을 증언하여 밀약 문서의 존재는 일본에서도 확실해졌다.[66] 요시노는 2006년 2월 8일 홋카이도 신문과의 인터뷰에서 일본 측 당사자로서 비밀 협약의 존재를 처음으로 인정하기도 했다.2002년 6월, 가와구치 준코(川口順子일본어) 외무대신은 "사실 관계로서 비밀 협약은 없다"고 기자 회견에서 밝혔고, 고노 요헤이(河野洋平일본어) 외무대신은 2000년에 요시노 분로쿠 전 미국 국장에게 비밀 협약 유무를 확인했을 때 비밀 협약은 없다고 답했다고 국회에서 답변했다. 후쿠다 야스오(福田康夫일본어) 당시 관방장관 역시 "비밀 협약은 전혀 없다"고 기자 회견에서 말했다.
2005년 4월, 니시야마 다이키치는 "국가에 의한 정보 은폐·조작이 용이하게 가능하다는 것을 재판을 통해 국민 앞에 명확히 한다"며 국가 배상 청구를 도쿄 지방 법원에 제기했다. 그러나 2007년 3월 27일, 도쿄 지방 법원은 "손해 배상 청구의 20년 시효가 지나 청구권이 없다"며 니시야마의 소송을 기각했고, 비밀 협약의 존재에는 전혀 언급하지 않았다.
2008년 2월 20일, 2심 도쿄 고등법원 역시 "20년 시효로 청구권은 소멸했다"며 원고 패소 판결을 내렸고, 비밀 협약의 유무에 대한 언급은 없었다. 2008년 9월 2일, 최고재판소는 원고의 상고를 기각하여 1심·2심 판결이 확정되었다.
같은 해 9월 7일, 작가, 연구자, 저널리스트 등 63명이 연명으로 행정기관이 보유하는 정보의 공개에 관한 법률에 근거하여 오키나와 반환 협정을 둘러싸고 일미 양 정부 간에 체결된 비밀 협약 문서 3통의 공개를 외무성과 재무성에 요청했으나, 외무성과 재무성은 10월 2일, 대상 문서의 "부존재"를 이유로 비공개를 결정했다.
5. 3. 일본 정부의 조사와 대응
2009년 9월 16일, 자민·공명 연립 정권에서 민주·사민·국민 연립 정권으로 정권이 교체되면서 하토야마 유키오 내각이 성립되었다.[11] 오카다 가쓰야 외무대신은 외무성에 오랫동안 계획해 왔던 정보 공개의 일환으로 비밀 협약 관련 문서를 모두 조사하여 공개하도록 지시했다. 이에 따라 설치된 조사 위원회는 2010년 3월, 비밀 협약 및 그와 유사한 협약이 존재했음을 인정했다.[11] 오카다 외무대신은 같은 해 5월, 작성 후 30년이 경과한 외교 문서는 모두 공개해야 한다는 원칙을 정했다.그러나 이후 간 나오토 내각에서 사건 재검토가 시도되었으나, 11월에 발생한 센카쿠 열도 중국 어선 충돌 영상 유출 사건으로 인해 흐지부지되었다.
2012년 12월 16일에 치러진 제46회 총선거에서 자민당과 공명당이 대승을 거두며 다시 자민·공명 연립 정권으로 복귀했다. 2013년, 자민·공명 연립의 제2차 아베 내각은 특정 비밀 보호법안을 제출했다. 모리 마사코 국무대신(소비자 및 식품안전, 저출산 대책, 남녀 공동참여 담당상)은 10월 22일 기자회견에서 이 법안으로 처벌 대상이 되는 '극히 부당한 취재'에 대한 질문에 "니시야마 사건 판례에 필적하는 행위라고 생각한다"고 답변했다.[29][30] 이 법은 12월 6일에 성립되었다.
미국의 내셔널 퍼블릭 라디오는 특정 비밀 보호법에 대한 논평에서 이 사건을 언급하며, "일본의 법원은 보도의 자유에 관한 재판에서 언론 기관에 유리한 판결을 내린 적이 없다. 유일한 판례인 1978년 대법원 판결은 국가 안보를 이유로 저널리스트(니시야마 다이키치)의 유죄 판결을 확정했다. 그(니시야마)가 공개한 정보는 미국에서는 기밀 지정이 해제된 상태였다"고 지적했다.[31]
6. 관련 작품
- NHK
- * NHK 스페셜 「전후 50년 그때 일본은 제7회 1995년 10월 7일 방송 [http://archives.nhk.or.jp/chronicle/B10001200999510070130137/ 오키나와 반환]」
- * 추적! AtoZ 「2010년 4월 10일 방송 [http://www.nhk.or.jp/tsuiseki/file/list/100410.html 밀약 문제의 진상을 쫓다 〜묻는 정보 공개〜]」
- * ETV 특집 「오명 오키나와 밀약 사건 어떤 가족의 50년」2024년 5월 11일 방송[59]
- 텔레비 아사히
- * 더 스쿠프 스페셜 「오키나와 반환 35년째의 진실 〜정부가 지금도 숨기는 "밀약"의 정체〜」2006년 12월 10일 방송
- * 선데이 프로젝트 「국의 거짓말을 회피하는 사법〜외무성 기밀 유출 사건〜〈시리즈 언론은 괜찮은가〉」2008년 8월 24일 방송
- 아사히 뉴스스타 「소문의 진상」
- 말 격 토크 온 디맨드 제256회 「[http://www.videonews.com/on-demand/251260/000381.php 미일 위장 동맹은 여기서 시작되었다]」 게스트: 니시야마 다키치, 2006년 2월 23일
- 『밀약―외무성 기밀 유출 사건』사와지 히사에(1974년, 주오코론샤→주코 분코→이와나미 현대 문고)
- *밀약 외무성 기밀유출 사건* - 1978년 TV 아사히 개국 20주년 기념 TV 드라마[60][61], 기타무라 가즈오·요시유키 가즈코 주연 영화. 원작은 사와지 히사에의 동명 르포. 1988년 극장 공개. 2010년 4월 10일부터 재상영.
- 운명의 사람 - 야마자키 도요코가 니시야마 사건을 소재로 한 소설. 2012년 1월기에 TBS 텔레비전에서 연속 드라마화[62].
- 가시 류스케의 의 - 히로카네 겐시의 만화. 작중에 니시야마 사건을 모델로 한 사건이 등장한다.
- 가정부는 보았다! - 이치하라 에쓰코 주연의 2시간 서스펜스 드라마 시리즈. 제26작에 니시야마 사건을 모델로 한 사건이 등장한다[63].
참조
[1]
웹사이트
西山事件の用語解説・ニュース:時事ドットコム
https://www.jiji.com[...]
時事通信社
2024-03-29
[2]
웹사이트
外務省幹部が証言を拒んだワケ 「西山事件」の書簡を本人と読んだ:朝日新聞デジタル
https://www.asahi.co[...]
2022-10-12
[3]
웹사이트
沖縄返還密約事件を追って――封印を解く歴史ドキュメンタリー
https://www.iwanami.[...]
[4]
웹사이트
沖縄密約暴露事件(おきなわみつやくばくろじけん)とは? 意味や使い方
https://kotobank.jp/[...]
DIGITALIO
[5]
웹사이트
「民主主義よりコンチクショウ」の覚悟 密約事件、半世紀の宿題:朝日新聞デジタル
https://www.asahi.co[...]
朝日新聞社
2022-05-13
[6]
이미지
週刊新潮広告
https://stat.ameba.j[...]
[7]
서적
職業としてのジャーナリスト
岩波書店
[8]
서적
日本新聞通史 1861年−2000年
新泉社
[9]
웹사이트
西山事件:時事ドットコム
https://www.jiji.com[...]
時事通信社
[10]
웹사이트
沖縄密約認め、「捨て得」不問にした司法 みせかけの民主主義の下で:朝日新聞デジタル
https://www.asahi.co[...]
2022-05-13
[11]
웹사이트
いわゆる「密約」問題に関する調査結果
https://www.mofa.go.[...]
2010-03-05
[12]
서적
回顧九十年
岩波書店
[13]
웹사이트
サンデー毎日2023年3月19日号 {{!}} 毎日新聞出版
https://mainichibook[...]
[14]
웹사이트
第2部 社会部記者の現場から 第98回 外務省公電漏洩事件
https://www.econfn.c[...]
E'con FutureNetworks
2006-11-15
[15]
간행물
女性事務官「私の告白」。
週刊新潮
1974-02-07
[16]
웹사이트
元新聞記者・西山太吉さんと2つの裁判―外務省秘密電文漏洩事件・沖縄密約情報公開訴訟 {{!}} 憲法研究所 発信記事一覧
https://www.jicl.jp/[...]
[17]
방송
沖縄返還35年目の真実 〜政府が今もひた隠す"密約"の正体〜
テレビ朝日
2006-12-10
[18]
판례
国家公務員法違反被告事件
https://www.courts.g[...]
[19]
웹사이트
外務省機密漏洩事件・記者たちの証言(江川紹子) - エキスパート
https://news.yahoo.c[...]
LY Corporation
[20]
서적
新聞社 破綻したビジネスモデル
新潮社
[21]
웹사이트
週刊新潮「50年」と沖縄密約報道
http://www.kameijun.[...]
[22]
트윗
西山氏がレイプ犯であるかのようなデマが垂れ流されているのに唖然としている。
https://twitter.com/[...]
2023-07
[23]
블로그
沖縄返還秘密合意を裏付ける文書を9月早々、公開請求!
https://blog.goo.ne.[...]
2008-08-23
[24]
뉴스
元毎日記者の敗訴確定=「西山事件」賠償訴訟-最高裁
http://www.jiji.com/[...]
時事通信社
2008-09-02
[25]
뉴스
「密約」文書の公開請求/県内外記者ら63人/沖縄返還3通指定
http://www.okinawati[...]
2008-09-03
[26]
뉴스
沖縄密約文書「不存在」外務・財務省
http://ryukyushimpo.[...]
2008-10-04
[27]
뉴스
沖縄密約文書の開示請求を棄却
https://www.videonew[...]
2014-07-14
[28]
방송
シリーズ「言論は大丈夫か」第13弾“国のウソ、回避する司法”
http://www.tv-asahi.[...]
テレビ朝日
2008-08-24
[29]
웹사이트
森内閣府特命担当大臣記者会見要旨 平成25年10月22日
https://www.cao.go.j[...]
内閣府
[30]
뉴스
秘密保護法案:森担当相「処罰対象は西山事件に匹敵」 2013年10月22日 23時20分(最終更新 10月23日 12時21分)
https://archive.is/2[...]
2013-10-22
[31]
뉴스
Japan's State Secrets Law: Hailed By U.S., Denounced By Japanese
http://www.npr.org/b[...]
2013-12-31
[32]
웹사이트
FRIDAY(フライデー) 12/13号 (発売日2013年11月29日)
https://www.fujisan.[...]
富士山マガジンサービス
[33]
뉴스
元記者の西山太吉さんが死去 91歳 沖縄返還めぐる「密約」報じる
https://www.asahi.co[...]
2023-02-25
[34]
기타
最高裁・高裁判決理由文による。
[35]
뉴스
岡田・民主副代表:沖縄返還時密約、政権取れば公開
2009-03-15
[36]
뉴스
沖縄密約開示訴訟:吉野文六氏出廷へ、12月に証人尋問
http://mainichi.jp/a[...]
2009-08-26
[37]
뉴스
機密文書、溶かして固めてトイレットペーパーに 外務省
http://www.asahi.com[...]
2009-07-11
[38]
뉴스
機密文書、溶かして固めてトイレットペーパーに 外務省
http://www.asahi.com[...]
2009-07-11
[39]
뉴스
沖縄返還密約の文書焼却か 痕跡示すメモ発見
http://www.asahi.com[...]
2023-06-13
[40]
뉴스
岡田外相、「核密約」調査を命令 日米会談でも説明へ
http://www.asahi.com[...]
2010-01-24
[41]
뉴스
日米核密約 新局面へ
https://www.jcp.or.j[...]
日本共産党
2010-01-24
[42]
뉴스
日米密約:「歴史歪曲は国民の損失」吉野さん声詰まらせ
http://mainichi.jp/s[...]
2009-12-02
[43]
뉴스
沖縄密約「文書に署名した」 元外務省局長、法廷で証言
http://www.asahi.com[...]
2009-12-01
[44]
웹사이트
大詰めの「沖縄返還密約文書開示訴訟」
http://masrescue9.se[...]
2010-01-24
[45]
뉴스
核密約文書、佐藤元首相邸に……
https://web.archive.[...]
2009-12-22
[46]
웹사이트
沖縄密約訴訟:東京地裁で結審…判決は4月9日
https://archive.is/2[...]
[47]
웹사이트
核密約調査:岡田外相「3月に結果」
https://web.archive.[...]
[48]
뉴스
沖縄返還、最大密約は施設工事費 講演で西山太吉氏
https://web.archive.[...]
共同通信
2010-02-27
[49]
뉴스
沖縄返還「密約」文書、東京地裁が開示命じる
https://web.archive.[...]
2010-04-09
[50]
뉴스
沖縄返還文書 日米密約の存在認め開示命令 東京地裁
http://www.asahi.com[...]
2010-04-09
[51]
뉴스
密約開示判決 「歴史に残る」 西山さん改めて講演で強調
http://mainichi.jp/s[...]
2010-04-10
[52]
웹사이트
沖縄密約訴訟、判決不服として国が控訴
http://www.yomiuri.c[...]
2010-04-23
[53]
뉴스
沖縄返還・安保改定などの外交文書公開へ 外務省22日
http://www.asahi.com[...]
2010-12-07
[54]
뉴스
密約暴いた西山元記者「やっと出たか…」 外交文書公開
http://www.asahi.com[...]
2010-12-22
[55]
뉴스
西山事件「手際よく処理」 米が日本の対応評価
http://www.tokyo-np.[...]
2011-02-18
[56]
웹사이트
貴省に対する公開質問書の提出及び回答要請に関する件―密約情報公開訴訟原告共同代表より玄葉光一郎外務大臣宛
http://www.news-pj.n[...]
[57]
뉴스
Listening:時流・底流 秘密保護法、有識者会議 評価の一方、懸念の声も
http://mainichi.jp/j[...]
[58]
서적
機密を開示せよ―裁かれる沖縄密約
岩波書店
[59]
웹사이트
ETV特集「汚名 沖縄密約事件 ある家族の50年」
https://www.nhk-onde[...]
2024-05-12
[60]
영화
密約 外務省機密漏洩事件
[61]
영화
Mitsuyaku: Gaimushô kimitsu rôei jiken
[62]
웹사이트
『運命の人』モデル西山元記者 ドラマ内土下座シーンに怒る
https://www.news-pos[...]
2024-11-05
[63]
웹사이트
家政婦は見た!ファイナル - ドラマ詳細データ
http://www.tvdrama-d[...]
2024-11-05
[64]
기타
[65]
웹사이트
沖縄返還秘密合意を裏付ける文書を9月早々、公開請求!
http://blog.goo.ne.j[...]
[66]
웹사이트
37년 만에 인정받은 노기자의 특종
http://www.mediatoda[...]
미디어오늘
2009-12-11
[67]
기타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