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니콜라 조제프 퀴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니콜라 조제프 퀴뇨는 프랑스의 군 기술자로서, 대포 수송을 위해 증기 기관으로 구동되는 차량을 개발하여 현대 자동차의 선구자로 평가받는다. 1769년부터 1771년까지 프랑스 정부의 지원을 받아 증기차를 제작했으며, 1770년에는 루이 15세 앞에서 시운전을 하던 중 벽에 부딪히는 사고가 발생하여 '세계 최초의 자동차 사고'로 기록되었다. 퀴뇨의 기술은 프랑스군에서 활용되지 못했지만, 1827년 오네시포르 페쿠르가 퀴뇨의 자동차를 소형화하여 세계 최초의 차동 기어를 발명하는 데 영향을 미쳤다. 프랑스 혁명 이후 브뤼셀로 망명하여 가난하게 지냈지만, 나폴레옹의 지원으로 파리로 돌아와 1804년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뫼즈주 출신 - 페르낭 브로델
    페르낭 브로델은 아날 학파 2세대 중심 인물로, 장기 지속 개념을 통해 사회경제사적 관점에서 역사를 분석하고 《아날》지 편집장 및 고등연구원 제6부문 책임자를 역임하며 아날 학파 발전에 기여한 프랑스 역사학자이다.
  • 프랑스의 기계공학자 - 마크 이점바드 브루넬
    마크 이점바드 브루넬은 프랑스 태생의 영국 엔지니어로, 템스 터널 건설을 주도하고 터널 쉴드 공법을 개발했으며, 포츠머스 블록 제재소의 도르래 생산 자동화 기계를 설계하는 등 다양한 업적을 남겨 왕립 학회 회원으로 선출되고 기사 작위를 받았다.
  • 프랑스의 기계공학자 - 귀스타브 코리올리
    귀스타브 코리올리는 프랑스의 수학자이자 물리학자로, 회전 좌표계에서의 코리올리 힘을 처음 기술하고 역학 분야에서 일과 운동 에너지 개념을 정립하는 데 기여했으며, 그의 연구는 다양한 분야에 영향을 미쳐 에펠탑에 그의 이름이 새겨졌다.
  • 1804년 사망 - 이마누엘 칸트
    이마누엘 칸트는 1724년 쾨니히스베르크에서 태어나 평생 그곳에서 연구하며 《순수이성비판》, 《실천이성비판》 등을 통해 인식론, 윤리학, 미학에 혁신적인 사상을 제시하여 서양 철학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 1804년 사망 - 알렉산더 해밀턴
    알렉산더 해밀턴은 미국의 건국 아버지이자 초대 재무장관으로, 미국의 경제 시스템 구축에 기여했으며, 독립 전쟁에서 활약, 강력한 중앙 정부 수립을 옹호했고, 국가 부채 해결과 국립은행 설립 등 경제적 기반을 다졌으나, 에런 버와의 결투로 사망한 후 뮤지컬을 통해 재조명되고 있다.
니콜라 조제프 퀴뇨
기본 정보
니콜라-조제프 퀴뇨 기념비
니콜라-조제프 퀴뇨
본명니콜라-조제프 퀴뇨
국적프랑스
출생1725년 2월 26일
출생지부아-바콩, 로렌, 프랑스
사망1804년 10월 2일
사망지파리, 프랑스
배우자정보 없음
자녀2명
직업
분야공학
소속정보 없음
주요 프로젝트증기 자동차 ("파르디에 아 바푀르")
주요 설계정보 없음
주요 업적정보 없음
수상정보 없음

2. 생애

프랑스 혁명 이후 퀴뇨의 연금은 1789년에 철회되었고, 그는 브뤼셀에서 가난하게 살았다. 사망 직전 나폴레옹 보나파르트에 의해 연금이 복원되었고, 결국 파리로 돌아와 1804년 10월 2일에 사망했다.

2. 1. 초기 생애와 배경

니콜라 조제프 퀴뇨는 프랑스 로렌의 부아-바콩(현재는 뫼즈 데파르트망프랑스어)에서 태어났다. 그는 군 기술자로 훈련받았다. 로렌 공국에서 태어나 브뤼셀에서 배우고, 오스트리아 군대에 소속되어 브뤼셀에서 군사 기술자로 일했다.[1]

니콜라 조제프 퀴뇨는 로렌 공국뫼즈 지방 보아(Void-Vacon)에서 농부인 아버지 클로드 퀴뇨(Claude Cugnot)와 어머니 마리-빅투아르 르 부르제(Marie-Victoire Le Bourget) 사이에서 태어났다.[2] 보아는 현재 파리스트라스부르를 잇는 국도 4호선에 위치해 있으며, 리니앵바루아와 툴 사이에 있는 작은 농촌이었다.[2]

로렌 공국은 원래 신성 로마 제국에 속하는 영방 국가였지만, 루이 14세 시대부터 여러 차례 프랑스의 지배를 받았다.[2] 이로 인해 로렌 공은 오스트리아로 망명하여 신하로 섬겼다.[2] 퀴뇨가 태어났을 당시에는 로렌 공 레오폴트가 합스부르크가의 산하에서 봉토로 되찾았지만, 그의 아들 프란츠 3세 슈테판(황제 프란츠 1세)이 마리아 테레지아와의 결혼을 계기로 루이 15세의 왕비의 아버지 스타니스와프 레슈친스키에게 공위를 양도하여 1736년 이후 실질적으로 프랑스령이 되었다(이후 정식으로 왕령이 됨).[2] 또한, 브뤼셀은 1794년까지 오스트리아령 네덜란드의 도시였다.[2] 이러한 이유로 퀴뇨의 출생지나 학업 장소는 오스트리아, 독일, 벨기에 등으로 다양하게 기술된다.[2]

2. 2. 군사 기술자로서의 활동

로렌의 부아-바콩에서 태어난 퀴뇨는 군 기술자로 훈련받았다. 1765년, 프랑스 육군을 위해 대포를 수송할 목적으로 증기 기관으로 구동되는 차량의 작동 모델을 실험하기 시작했다.[8]

오스트리아령 네덜란드 (현재 벨기에)에서 군사 기술자 교육을 받은[8] 퀴뇨는 마리아 테레지아와 결혼하여 신성 로마 황제 프란츠 1세가 된 로렌 공작 프란츠 3세 슈테판의 시대에 23세에 빈으로 가서 오스트리아군에 입대했다.[9] 퀴뇨가 속한 부대는 루이 15세의 프랑스군이 오스트리아에 대여한 군대로, 포병대 지휘관 장바티스트 바케 드 그리보발이 총지휘를 맡았으며, 그는 7년 전쟁 (1756년 – 1763년)을 위해 1757년에 중령으로 빈에 부임하여 군 지휘를 맡았다.[10]

독일 기술자 야코프 로이폴트(Jacob Leupold)의 저서 “''Theatrum machinarum generale''”(1724년)는 증기 기관에 관한 초기 기술을 담고 있었고, 퀴뇨는 이 저서에 영향을 받아 훗날 자신이 개발한 포차에서 밸브 구조를 이용하여 두 개의 실린더를 교대로 작동시켜 지속적인 운동을 실현했다.[11]

퀴뇨는 오스트리아령 네덜란드 시대 브뤼셀에서 오스트리아 군에서 일하며 요새 기술에 종사했다. 1763년, 7년 전쟁이 종결되자 군대를 떠나 네덜란드에 잠시 머문 후 파리로 가서 군사 교관 직을 맡아 군사 기술에 관한 저작을 했다. 1766년 『군용 병기의 모든 것, 옛날과 지금』, 1768년 『방어 (요새) 이론』, 1769년 『야전시의 방어 (요새), 이론과 실제』를 저술했다. 이들 저작은 군사 기술 분야에서 유용하게 여겨졌고, 1773년에는 독일어 번역도 나왔다. 및 관련 품목의 발명도 하여, 기병용 신형 소총에 관한 발명으로 연 600리브르의 은급을 받았다.[12]

퀴뇨는 병기와 수송, 요새 연구를 통해 발명 아이디어가 떠올랐으며, 브뤼셀 체류 중이던 1752년 및 1754년에 이미 증기 동력에 의한 차량 제작을 시도했다는 기록도 남아 있다.[12] 파리로 돌아온 퀴뇨는 프랑스 육군 포병대 제1총감이었던 그리보발에게 증기차 "불로 움직이는 군용 차량" ("un véhicule militaire actionné par le feu")의 계획에 대해 서신을 보냈다.

3. 퀴뇨의 포차 개발

퀴뇨는 세계 최초로 자체 동력으로 트랙션(마찰을 이용한 추진력)으로 움직이며, 사람을 태우고, 사람이 조종(운전)할 수 있는 차량을 실현했다. 이 때문에 퀴뇨는 세계 최초의 자동차(모터 비클)를 설계 개발한 인물로 여겨지며, 현대 자동차의 선구자로 인정받고 있다.[8]

퀴뇨가 만든 자동차는 1599년 시몬 스테빈범주, 1680년경 페르비스트의 증기차 등을 거쳐 탄생한 세계 최초의 "자동차"로 인정받았다. 또한, 중량물을 적재한 대형 트럭이자, 증기 기관을 싣고 주행했다는 점에서 1801년 리처드 트레비식의 로드 로코모티브(노상 증기차)나 증기 기관차보다 30년 앞섰다.

현존하는 차량은 보일러를 탑재하고, 보일러에서 발생한 증기를 동력원으로 사용했다. 2개의 실린더로 증기 유입을 제어하여 실린더 내의 피스톤을 교대로 움직이고, 피스톤의 왕복 운동을 래칫 기구로 바퀴에 직접 전달했다. 왕복 운동을 회전 운동으로 변환하는 시도는 제임스 와트/윌리엄 머독보다 10년이나 앞섰다.

1769년부터 1771년까지 약 3년 동안 퀴뇨는 대포를 운반하기 위한 자율 주행식 운반차를 제작했다. 프랑스 육군의 의뢰를 받아 2대의 차량을 제작했는데, 1대는 1/2 크기의 시제품(1769년), 2대는 5톤 중량물 운반용(1770년)이었다.

1769년 10월 하순, 1호차(1/2 크기 시제품)의 첫 공식 시운전이 파리 시내에서 이루어졌다. 마찰 추진력으로 자율 주행하며 사람이 탑승하여 조종하는 차량이었다.

파르디에 (현대 복제품) 시동


구동 메커니즘의 세부 사항 (파르디에가 후진으로 움직임)


원래 1769년 모델


퀴뇨의 1770년 ''파르디에 아 바페르'', 파리 국립 공예 기술 박물관에 보존되어 있음


1770년에는 ''파르디에 아 바페르''의 실물 크기 버전(2호차)이 제작되었다. 4톤을 싣고 1시간에 7.8km를 이동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지만, 실제로는 이 속도를 달성하지 못했다. 차량의 자체 중량은 약 2.5톤이었고, 뒤쪽에 두 개의 바퀴, 앞쪽에 하나의 바퀴가 있었으며, 앞바퀴는 증기 보일러와 구동 메커니즘을 지지했다. 동력 장치는 "트레일러"에 연결되었으며, 이중 손잡이 배열을 사용하여 조종했다.

퀴뇨의 1770년 ''파르디에 아 바페르''의 엔진 부분, 파리 국립 공예 기술 박물관에 보존되어 있음


1770년 11월, 2호차 시운전에서 조작 미숙으로 벽돌 벽에 충돌하는 사고가 발생했다. 이는 '사상 최초의 자동차 사고'로 여겨진다.[14]

3. 1. 개발 배경

니콜라 조제프 퀴뇨는 프랑스 로렌의 부아-바콩(현재는 뫼즈 데파르트망프랑스어)에서 태어나 군 기술자로 훈련받았다. 1765년, 프랑스 육군을 위해 대포를 수송할 목적으로 증기 기관으로 구동되는 차량의 작동 모델을 실험하기 시작했다.[8]

퀴뇨는 오스트리아령 네덜란드(현재 벨기에)의 브뤼셀에서 군사 기술자로서 교육을 받았다.[8] 마리아 테레지아와 결혼하여 신성 로마 황제 프란츠 1세가 된 로렌 공작 프란츠 3세 슈테판의 시대에, 퀴뇨는 23세에 빈으로 가서 오스트리아군에 입대했다.[9] 퀴뇨가 속해 있던 부대는 루이 15세의 프랑스군이 오스트리아에 대여한 군대였으며, 포병대 지휘관은 장바티스트 바케 드 그리보발이었다. 그리보발은 훗날 포차 프로젝트의 리더가 되어 퀴뇨를 개발자로 추천했고, 그의 이름을 후세에 남기게 된다.[10]

독일 기술자 야코프 로이폴트(Jacob Leupold)는 1724년에 9권으로 된 저서 “''Theatrum machinarum generale''”을 간행했다. 이 책은 기계공학의 기초를 기록한 세계 최초의 저서이며, 증기 기관에 관한 초기 기술도 담겨 있었다. '로이폴트의 엔진'이라고 불리게 된 기술에서는 "특수한 밸브를 사용하여 '2개의 실린더를 교대로 작동시키는 원리'"를 기술하고 있는데, 퀴뇨는 이 저서에 영향을 받아 훗날 포차에서 이 밸브 구조를 이용하여 두 개의 실린더를 교대로 작동시켜 지속적인 운동을 실현했다.[11]

퀴뇨는 오스트리아령 네덜란드 시대의 브뤼셀에서도 오스트리아 군에서 일하며 요새 기술에 종사했다. 1763년, 7년 전쟁이 종결되자 군대를 떠나 네덜란드에 잠시 머문 후 파리로 갔다. 파리에서는 군사 교관 직을 맡아 군사 기술에 관한 저작을 하고, 포술과 요새에 관한 기술서를 출판했다. 1766년 『군용 병기의 모든 것, 옛날과 지금』, 1768년 『방어 (요새) 이론』, 1769년 『야전시의 방어 (요새), 이론과 실제』를 저술했다. 신형 측량 기구에 대해서도 기술하고 있으며, 이들 저작은 군사 기술 분야에서 유용하게 여겨졌다. 및 관련 품목의 발명도 하여, 기병용 신형 소총에 관한 발명으로 연 600리브르의 은급을 받았다.

퀴뇨는 병기와 수송, 요새 연구를 통해 발명 아이디어가 떠올랐다. 브뤼셀 체류 중이던 1752년 및 1754년에 이미 증기 동력에 의한 차량 제작을 시도했다는 기록도 남아 있다.[12] 파리로 돌아온 퀴뇨는 프랑스 육군 포병대 제1총감이었던 그리보발에게 증기차 "불로 움직이는 군용 차량" ("un véhicule militaire actionné par le feu")의 계획에 대해 서신을 보냈다.

3. 2. 파르디에 아 바페르 (증기 수레)



프랑스 육군 대위 퀴뇨는 증기 피스톤의 왕복 운동을 래칫 장치를 통해 회전 운동으로 변환하는 장치를 성공적으로 사용한 최초의 인물 중 한 명이었다. 그의 세 바퀴 "파르디에 아 바페르"("증기 마차")의 소형 버전이 제작되어 1769년에 사용되었다. (''파르디에''는 대포 통과 같은 매우 무거운 장비를 운송하기 위한 대규모로 제작된 두 바퀴의 말 마차였다.)

1770년에는 ''파르디에 아 바페르''의 실물 크기 버전이 제작되었으며, 4톤을 싣고 1시간에 2 ''리외''(7.8 km)를 이동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지만, 실제로는 결코 달성하지 못했다. 차량의 자체 중량은 약 2.5톤이었고, 뒤쪽에 두 개의 바퀴, 말의 위치에 해당하는 앞쪽에 하나의 바퀴가 있었다. 앞바퀴는 증기 보일러와 구동 메커니즘을 지지했다. 동력 장치는 "트레일러"에 연결되었으며, 이중 손잡이 배열을 사용하여 조종했다. 한 자료에 따르면 4명의 승객을 태울 수 있으며 2.25mph의 속도로 움직였다고 한다.[3]

차량은 무게 분배가 좋지 않아 매우 불안정하다고 보고되었는데, 이는 험한 지형을 통과하고 가파른 언덕을 올라갈 수 있도록 설계된 차량에게는 심각한 단점이었다. 또한, 보일러 성능도 당시 기준으로도 특히 좋지 않았다. 차량의 화재는 15분 정도마다 다시 점화하고 증기를 다시 발생시켜야 했으며, 이는 전체 속도와 거리를 상당히 감소시켰다.

파리뱅센 사이, 그리고 뫼동에서 수행된 것으로 다양하게 묘사되는 소수의 시험을 거친 후, 이 프로젝트는 포기되었다. 이것으로 프랑스 육군의 기계 차량에 대한 첫 번째 실험은 종료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1772년 루이 15세는 퀴뇨에게 혁신적인 작업에 대해 연간 600 ''리브르''의 연금을 수여했으며, 이 실험은 "파르디에"를 무기고에 보관할 만큼 충분히 흥미로운 것으로 평가되었다. 1800년에는 국립 공예 기술 박물관으로 이전되었으며, 오늘날까지 그곳에서 볼 수 있다.

241년 후인 2010년, 파리텍 학생들은 퀴뇨의 고향인 코뮌 브와바콩과 함께 "퀴뇨의 파르디에"의 복제품을 제작했다. 이 복제품은 완벽하게 작동하여, 개념의 타당성과 1769년에 수행된 실험의 진실성을 입증했다.[4] 이 복제품은 2010년 파리 모터쇼에서 전시된 후 브와바콩에서 다시 전시되었다.[5]

1769년부터 1771년까지 약 3년 동안 40대 중반이었던 퀴뇨는 대포를 운반하기 위한 자율 주행식 운반차를 제작하게 된다. 퀴뇨는 증기 기관을 사용한 차량에 대해 개인적으로도 시도를 거듭했지만, 프랑스의 국가 프로젝트로 의뢰받아 차량 2대를 제작했다. 1대는 1/2 크기의 시제품으로 1769년에, 2대는 5톤의 중량물을 운반하는 사양으로 1770년에 제작되었다.

계획의 1/2 크기의 시제품은 후에 1호차로 불린다. 1769년 10월 하순에 첫 공식 시운전이 이루어졌다. 마찰 추진력(트랙션)으로 자율 주행하며, 사람이 타서 조종하는 차량으로서 파리 시내를 천천히 주행했다. 이것이 현대 자동차의 조상으로 여겨진다.

2호차는 스폰서인 루이 15세를 초청하여 1770년 11월에 시운전이 진행되었다. 여기서 회전 시 조작원의 조작이 따라가지 못해 벽돌 벽에 부딪혔다고 한다. 이것이 '사상 최초의 자동차 사고'로 여겨진다.[14] 이 '세계 최초의 자동차 사고' 에피소드는 퀴뇨의 증기 자동차에 대해 언급할 때 반드시 거론된다.

2호차는 이듬해 1771년 6월에 수리를 완료하고 재평가를 기다렸지만, 이미 프로젝트 중간인 1770년 말에 프로젝트를 지시했던 쇼아절이 실각했다. 그리보발은 후임 전쟁 장관에게 호소했지만 무시당했고, 프로젝트는 방치된 채로 남았다. 추가적인 개선도 이루어지지 않았고, 실용화로 나아갈지에 대한 최종 결론도 나오지 않았다.

3. 3. 시험 운행 및 한계

프랑스 육군 대위 퀴뇨는 증기 피스톤의 왕복 운동을 래칫 장치를 통해 회전 운동으로 변환하는 장치를 성공적으로 사용한 최초의 인물 중 한 명이었다. 1769년에는 그의 세 바퀴 "마차" (프랑스어로 ''파르디에 아 바페르'')의 소형 버전이 제작되어 사용되었다. ''파르디에''는 대포 통과 같은 매우 무거운 장비를 운송하기 위한 대규모로 제작된 두 바퀴의 말 마차였다.

1770년에는 ''파르디에 아 바페르''의 실물 크기 버전이 제작되었는데, 4톤을 싣고 1시간에 7.8km를 이동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지만, 실제로는 이 속도를 달성하지 못했다. 차량의 자체 중량은 약 2.5톤이었고, 뒤쪽에 두 개의 바퀴, 앞쪽에 하나의 바퀴가 있었으며, 앞바퀴는 증기 보일러와 구동 메커니즘을 지지했다. 동력 장치는 "트레일러"에 연결되었으며, 이중 손잡이 배열을 사용하여 조종했다. 한 자료에 따르면 4명의 승객을 태울 수 있으며 2.25mph의 속도로 움직였다고 한다.[3]

하지만, 차량은 무게 분배가 좋지 않아 매우 불안정하다고 보고되었는데, 이는 험한 지형을 통과하고 가파른 언덕을 올라갈 수 있도록 설계된 차량에게는 심각한 단점이었다. 또한, 보일러 성능도 당시 기준으로도 특히 좋지 않았다. 차량의 화재는 15분 정도마다 다시 점화하고 증기를 다시 발생시켜야 했으며, 이는 전체 속도와 거리를 상당히 감소시켰다.

파리뱅센 사이, 그리고 뫼동에서 수행된 것으로 다양하게 묘사되는 소수의 시험을 거친 후, 이 프로젝트는 포기되었다. 이것으로 프랑스 육군의 기계 차량에 대한 첫 번째 실험은 종료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1772년 루이 15세는 퀴뇨에게 혁신적인 작업에 대해 연간 600 리브르의 연금을 수여했으며, 이 실험은 "파르디에"를 무기고에 보관할 만큼 충분히 흥미로운 것으로 평가되었다. 1800년에는 국립 공예 기술 박물관으로 이전되었으며, 오늘날까지 그곳에서 볼 수 있다.

1770년 11월에는 2호차의 시운전이 스폰서인 루이 15세를 초청하여 진행되었다. 여기서 회전 시 조작원의 조작이 따라가지 못해 벽돌 벽에 부딪혔다고 하는데, 이것이 '사상 최초의 자동차 사고'로 여겨진다.[14] 이 '세계 최초의 자동차 사고' 에피소드는 퀴뇨의 증기 자동차에 대해 언급할 때 반드시 거론된다.

2호차는 이듬해 1771년 6월에 수리를 완료하고 재평가를 기다렸지만, 이미 프로젝트 중간인 1770년 말에 프로젝트를 지시했던 쇼아절이 실각했다. 그리보발은 후임 전쟁 장관에게 호소했지만 무시당했고, 프로젝트는 방치된 채로 남았다.

4. 퀴뇨의 업적과 평가

니콜라 조제프 퀴뇨는 세계 최초로 "자체 동력으로 트랙션(마찰을 이용한 추진력)으로 움직이며, 사람을 태우고, 사람이 조종(운전)할 수 있는 차량"을 실현했다.[3] 이 때문에 퀴뇨는 세계 최초의 자동차(모터 비클)를 설계 개발한 인물로 여겨지며, 현대 자동차의 선구자로 인정받고 있다.

퀴뇨가 만든 자동차는 1599년 시몬 스테빈범주, 1680년경 페르비스트의 증기차 등을 거쳐 세계 최초의 "자동차"로 인정받았다. 또한, 중량물을 적재한 대형 트럭이자, 증기 기관을 싣고 주행했다는 점에서 1801년 트레비식의 로드 로코모티브(노상 증기차)나 증기 기관차보다 30년 앞섰다.

차량 자체가 현존한다는 것은 세계 최초의 자동차라는 평가를 뒷받침한다. 차량은 보일러에서 발생한 증기를 동력원으로 하여, 2개의 실린더피스톤의 왕복 운동을 래칫 기구로 바퀴에 전달했다. 왕복 운동을 회전 운동으로 변환하는 시도는 와트/머독보다 10년이나 앞섰다.

4. 1. 세계 최초의 자동차 발명

프랑스 육군 대위였던 퀴뇨는 증기 피스톤의 왕복 운동을 래칫 장치를 통해 회전 운동으로 변환하는 장치를 성공적으로 사용한 최초의 인물 중 한 명이었다. 1769년에는 그의 세 바퀴 "파르디에 아 바페르"("증기 마차", ''파르디에''는 대포 통과 같은 매우 무거운 장비를 운송하기 위한 대규모로 제작된 두 바퀴의 말 마차였다.)의 소형 버전이 제작되어 사용되었다.

1770년에는 ''파르디에 아 바페르''의 실물 크기 버전이 제작되었는데, 4톤을 싣고 1시간에 7.8km를 이동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지만, 실제로는 이 성능을 달성하지 못했다. 차량의 자체 중량은 약 2.5톤이었고, 뒤쪽에 두 개의 바퀴, 앞쪽에 하나의 바퀴가 있었으며, 앞바퀴는 증기 보일러와 구동 메커니즘을 지지했다. 동력 장치는 "트레일러"에 연결되었으며, 이중 손잡이 배열을 사용하여 조종했다. 한 자료에 따르면 4명의 승객을 태울 수 있으며 2.25mph의 속도로 움직였다고 한다.[3]

하지만, 차량은 무게 분배가 좋지 않아 매우 불안정하다고 보고되었는데, 이는 험한 지형을 통과하고 가파른 언덕을 올라갈 수 있도록 설계된 차량에게는 심각한 단점이었다. 또한 보일러 성능도 당시 기준으로도 좋지 않았다. 차량의 화재는 15분 정도마다 다시 점화하고 증기를 다시 발생시켜야 했으며, 이는 전체 속도와 거리를 상당히 감소시켰다.

파리뱅센 사이, 그리고 뫼동에서 수행된 것으로 다양하게 묘사되는 소수의 시험을 거친 후, 이 프로젝트는 포기되었다. 이것으로 프랑스 육군의 기계 차량에 대한 첫 번째 실험은 종료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1772년 루이 15세는 퀴뇨에게 혁신적인 작업에 대해 연간 600 ''리브르''의 연금을 수여했으며, 이 실험은 "파르디에"를 무기고에 보관할 만큼 충분히 흥미로운 것으로 평가되었다. 1800년에는 국립 공예 기술 박물관으로 이전되었으며, 오늘날까지 그곳에서 볼 수 있다.

241년 후인 2010년, 파리텍 학생들은 퀴뇨의 고향인 코뮌 브와-바콩과 함께 "퀴뇨의 파르디에"의 복제품을 제작했다. 이 복제품은 완벽하게 작동하여, 개념의 타당성과 1769년에 수행된 실험의 진실성을 입증했다.[4] 이 복제품은 2010년 파리 모터쇼에서 전시된 후 브와-바콩에서 다시 전시되었다.[5]

최초의 자동차 사고


1771년에 두 번째 프로토타입 차량이 파리의 정원이나 파리 아르세날 벽의 일부인 벽돌이나 돌담을 실수로 무너뜨린 사건이 있었는데, 이는 아마도 최초의 자동차 사고로 알려져 있다. 이 사건은 당시 기록에는 없으며, 사고가 있었다고 주장된 지 33년 후인 1804년에 처음 등장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퀴뇨가 위험한 운전으로 체포되어 유죄 판결을 받았다는 이야기가 있는데, 만약 사실이라면 그에게는 또 다른 최초의 사건이다.[6]

퀴뇨가 개발한 대형 운반차는 세계 최초로 "자체 동력으로 트랙션 (마찰을 이용한 추진력)으로 움직이며, 사람을 태우고, 사람이 조종(운전)할 수 있는 차량"을 실현했다. 이 때문에 퀴뇨는 세계 최초의 자동차(모터 비클)를 설계 개발한 인물로 여겨지며, 현대 자동차의 선구자로 인정받고 있다.

퀴뇨가 만든 세계 최초의 자동차는 1599년 시몬 스테빈범주 , 1680년경 페르비스트의 증기차, 그 외 스프링 장치의 마차 등 자동차 역사상 중요한 통과점으로 여겨지는 자가용차 시도를 거쳐 세계 최초의 "자동차"로 인정받았다. 그것은 또한, 중량물을 적재한 대형 트럭이기도 하며, 증기 기관을 싣고 주행했다는 점에서도 1801년 트레비식의 로드 로코모티브(노상 증기차)나 증기 기관차보다 30년 앞섰다.

그 차량 자체가 현존한다는 것이 세계 최초의 자동차라는 평가의 가장 강력한 뒷받침이 되고 있다. 차량은 보일러를 탑재하고, 보일러에서 발생한 증기를 동력원으로 하여, 2개의 실린더로의 증기 유입을 제어함으로써 실린더 내의 피스톤을 교대로 움직이고, 피스톤의 왕복 운동을 래칫 기구로 바퀴에 직접 전달했다. 왕복 운동을 회전 운동으로 변환하는 시도 또한 와트/머독보다 10년이나 앞섰다.

4. 2. 후대에 미친 영향

퀴뇨의 증기 자동차 발명은 다음과 같은 여러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였다.

  • 계몽 시대의 다양한 발명으로부터 영향을 받았으며, 당시 많은 사람들이 이에 도전했다. 퀴뇨는 군대 기술자로서 당시 최첨단 기술을 흡수할 수 있었다.
  • 프랑스가 포병력 증강에 매진하던 시대의 국가 프로젝트로서 개인 수준에서는 얻을 수 없는 인적, 금전적 지원을 받을 수 있었다.


프랑스 왕국의 모든 이벤트와 마찬가지로, 이 프로젝트도 군의 사적 기록 담당자(군사관)가 상세하게 기록했지만, 퀴뇨의 기술은 그 후의 프랑스군에는 활용되지 못했다. 쇼와즐의 실각, 프랑스 혁명의 격동과 더불어, 이후의 프랑스군에서는 퀴뇨의 기술이 기묘한 것으로 여겨졌고, 후계자를 양성하지 않았다. 당시 군사 기술자 대다수가 시기상조의 기술이라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한편, 1784년경 스코틀랜드에서는 제임스 와트의 지휘 아래 일하던 윌리엄 머독이 퀴뇨의 디자인을 참고하여 삼륜 증기 자동차를 제작했다. 그러나 이 또한 정지식 이외의 증기 기관을 위험시하고 증기 기관 라이선스에 신경을 곤두세우고 있던 와트로부터 개발 금지를 당했으며, 증기 기관에 의한 자가 추진 차량의 역사는 1801년 리처드 트레비식까지 기다려야 했다.

1827년 프랑스인 오네시포르 페쿠르가 퀴뇨의 자동차 소형판으로 사륜차를 제작했고, 이 때 세계 최초의 디퍼렌셜 기어를 발명했다. 이는 현대 자동차에서 사용되는 디퍼렌셜 기어와 거의 동일한 것이다.

4. 3. 현대적 평가

퀴뇨가 개발한 대형 운반차는 세계 최초로 "자체 동력으로 트랙션 (마찰을 이용한 추진력)으로 움직이며, 사람을 태우고, 사람이 조종(운전)할 수 있는 차량"을 실현했다.[3] 이 때문에 퀴뇨는 세계 최초의 자동차(모터 비클)를 설계 개발한 인물로 여겨지며, 현대 자동차의 선구자로 인정받고 있다.

퀴뇨가 만든 세계 최초의 자동차는 1599년 시몬 스테빈범주 , 1680년경 페르비스트의 증기차 등 자동차 역사상 중요한 통과점으로 여겨지는 자가용차 시도를 거쳐 세계 최초의 "자동차"로 인정받았다. 또한, 중량물을 적재한 대형 트럭이기도 하며, 증기 기관을 싣고 주행했다는 점에서도 1801년 트레비식의 로드 로코모티브(노상 증기차)나 증기 기관차보다 30년 앞섰다.

차량 자체가 현존한다는 것은 세계 최초의 자동차라는 평가를 뒷받침한다. 차량은 보일러를 탑재하고, 보일러에서 발생한 증기를 동력원으로 하여, 2개의 실린더로의 증기 유입을 제어함으로써 실린더 내의 피스톤을 교대로 움직이고, 피스톤의 왕복 운동을 래칫 기구로 바퀴에 직접 전달했다. 왕복 운동을 회전 운동으로 변환하는 시도 또한 와트/머독보다 10년이나 앞섰다.

퀴뇨가 증기 동력 차량을 가능하게 한 배경에는 다음과 같은 요인이 있다.

# 계몽 시대의 다양한 발명으로부터 영향을 받았으며, 당시 많은 사람들이 이에 도전했고, 그중 퀴뇨는 군대의 기술자로서 당시 최첨단 기술을 흡수할 수 있었다는 점.

# 프랑스라는 국가가 포병력 증강에 매진하던 시대의 국가 프로젝트로서 개인 수준에서는 얻을 수 없는 인적, 금전적 지원을 얻을 수 있었던 점.

프랑스 왕국의 모든 이벤트와 마찬가지로, 이 프로젝트도 군의 사적 기록 담당(군사관)이 상세하게 기록했지만, 퀴뇨의 기술은 그 후의 프랑스군에는 활용되지 못했다. 쇼와즐의 실각, 프랑스 혁명의 격동과 더불어, 이후의 프랑스군에서는 퀴뇨의 기술이 기묘한 것으로 여겨졌고, 후계자를 양성하지 않았다. 당시 군사 기술자 대다수가 시기상조의 기술이라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한편, 1784년경 스코틀랜드에서는 제임스 와트의 지휘 아래 일하던 윌리엄 머독이, 퀴뇨의 디자인을 참고하여 삼륜 증기 자동차를 제작했다. 이 또한 정지식 이외의 증기 기관을 위험시하고 증기 기관 라이선스에 신경을 곤두세우고 있던 와트로부터 개발 금지를 당했으며, 증기 기관에 의한 자가 추진 차량의 역사는 1801년 트레비식까지 기다려야 했다.

1827년 프랑스인 오네시포르 페쿠르가 퀴뇨의 자동차 소형판으로 사륜차를 제작했고, 이 때 세계 최초의 디퍼렌셜 기어를 발명했다. 이는 현대 자동차에서 사용되는 디퍼렌셜 기어와 거의 동일한 것이다.

5. 말년

프랑스 혁명 이후 퀴뇨의 연금은 1789년에 철회되었고, 그는 가난하게 살았던 브뤼셀로 망명했다.[1] 사망 직전 퀴뇨의 연금은 나폴레옹 보나파르트에 의해 복원되었고, 결국 파리로 돌아와 1804년 10월 2일에 사망했다.[1]

1798년, 이집트 시리아 원정 직전 아카데미 강의에서 나폴레옹 보나파르트가 퀴뇨에 대해 알게 되었다.[3] 그리보발, 퀴뇨 등과 함께 프로젝트에 참여하여, 프랑스 혁명 전후에 포차를 지켜냈으며, 그 시점에서 포병대 경비장이 된 L. N. 롤랑이 나폴레옹에게 포차 프로젝트 재검토를 상신했지만, 이집트 원정을 이유로 실현되지 않았다.[3]

퀴뇨는 1800년 파리로 돌아와 상사 심판관으로 수입을 얻게 되어 생활비 걱정을 하지 않아도 되었다.[4] 또한 나폴레옹은 퀴뇨에게 1000FRF의 연금을 지급했다고 1800년에 롤랑이 퀴뇨에 대한 귀중한 기술을 남겼다.[4] 연금으로 나폴레옹은 퀴뇨에게 더욱 개선을 시켰지만 그 효과는 없었다는 다른 기술도 있다.[4] 포차는 1801년 파리 아카데미 박물관(현재 국립 공예 기술 박물관)에서 공개되었다.[4]

퀴뇨는 1804년 10월 파리에서 사망했다.[5] 향년 79세였다.[5] 후계자는 없었지만, 단두대에서 처형된 앙투안 라부아지에에 비하면 행복한 최후였다.[5] 퀴뇨의 죽음은 1804년 10월의 『르 모니퇴르』(''Le Moniteur'')지(1789년부터 1901년까지 발간된 저널지)에 보도되었으며, 이때 시운전 모습도 동시에 게재되었다.[5]

참조

[1] 웹사이트 Nicolas-Joseph Cugnot {{!}} Facts, Invention, & Steam Car {{!}} Britannica https://www.britanni[...] 2022-09-09
[2] 웹사이트 1679–1681 – R P Verbiest's Steam Chariot https://translate.go[...] Hergé 2009-05-08
[3] 서적 The Observer's Book of Automobiles Library of Congress 1966
[4] 웹사이트 Fardier de Cugnot – 1770 – France https://web.archive.[...] Tampa Bay Automobil Museum 2017-12-07
[5] 웹사이트 Notre fardier devant le monument Cugnot à Void-Vacon (Meuse) http://www.lefardier[...]
[6] 웹사이트 Nicolas-Joseph Cugnot http://www.themotorm[...] The Motor Museum in Miniature 2017-12-07
[7] 웹사이트 Nicolas-Joseph Cugnot|French engineer https://www.britanni[...] Britannica 2024-10-02
[8] 웹사이트 Le Ministère de la culture et de la communication http://www.culture.g[...]
[9] 서적 自動車「進化」の軌跡 山海堂 1999
[10] 웹사이트 ナポレオンとフランス革命前の軍事思想家達 http://maya.phys.kyu[...]
[11] 웹사이트 A HISTORY OF THE GROWTH OF THE STEAM-ENGINE BY ROBERT H. THURSTON, A. M., C. E., - Rochester History Resources http://www.history.r[...]
[12] 웹사이트 Die Genie-Truppen zur Zeit Maria Theresias http://www.kuk-wehrm[...]
[13] 웹사이트 A HISTORY OF THE GROWTH OF THE STEAM-ENGINE BY ROBERT H. THURSTON, A. M., C. E., - Rochester History Resources http://www.history.r[...]
[14] 서적 Les merveilles du Génie de l'homme NHK 1851
[15] 문서 1779年の恩給記述はフランス語版Wikipediaより。英語版Wikipediaでは「1772年に砲車の貢献によりルイ15世から年600フランの恩給が与えられた。」と記されている。ルイ15世は1774年に亡くなっている。
[16] 웹사이트 The 'Institut d'Égypte' and the Description de l'Égypte - NAPOLEON.ORG http://www.napoleon.[...]
[17] 서적 自動車事典 日本自動車工業会 1939
[18] 웹사이트 Mairie de Void Vacon http://void-vacon.f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