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포탑 전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다포탑 전차는 제1차 세계 대전 중 참호 돌파를 위해 개발된 육상 전함 개념의 전차이다. 영국, 소련, 일본 등 여러 국가에서 개발되었으며, 차체에 여러 개의 포탑을 장착하여 다양한 방향으로 공격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그러나 대형화와 중량 증가로 기동성이 저하되고, 장갑이 얇아지는 등 여러 문제점으로 인해 2차 세계 대전 이후에는 주류 전차 설계 방식에서 벗어났다. 현대에는 전차의 주포탑 위에 부무장으로 설치되는 RWS(원격 무기 시스템)를 다포탑의 일종으로 간주하기도 하며, 다양한 대중 매체에 등장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다포탑 전차 | |
|---|---|
| 개요 | |
| 명칭 | 다포탑 전차 |
| 영어 | Multi-turreted tank |
| 일본어 | 多砲塔戦車 (たほうとうせんしゃ) (타호토센샤) |
| 설명 | 여러 개의 포탑을 장착한 전차를 의미함. 1920년대부터 1930년대에 걸쳐 여러 나라에서 개발되었음. |
| 기술적 특징 | |
| 주무장 | 일반적으로 1개 또는 2개의 대구경 주포를 장착함. 일부는 부무장으로 소구경 포나 기관총을 추가로 장착함. |
| 부무장 | 소구경 포 또는 기관총을 장착하여 보병 공격에 대응함. |
| 장갑 | 방어력 확보를 위해 두꺼운 장갑을 사용함. 무게 증가의 원인이 되기도 함. |
| 기동성 | 무거운 무게와 복잡한 구조로 인해 기동성이 떨어지는 경우가 많음. 일부는 크루저 전차 수준의 기동성을 확보하기도 함. |
| 역사 | |
| 개발 배경 | 제1차 세계 대전의 참호전 교착 상태를 타개하기 위한 시도에서 비롯됨. 여러 개의 포탑을 장착하여 다양한 방향으로 화력을 투사하고자 함. |
| 발전 | 1920년대부터 1930년대에 걸쳐 영국, 프랑스, 소련, 독일 등 여러 나라에서 개발됨. 각국의 기술적 특징과 전략적 고려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다포탑 전차가 등장함. |
| 쇠퇴 | 전차 기술의 발전과 함께 다포탑 전차의 단점이 부각됨. 무거운 무게, 복잡한 구조, 낮은 기동성 등으로 인해 점차 도태됨. 제2차 세계 대전 이후에는 대부분 퇴역하거나 실험용으로 사용됨. |
| 실전 | |
| 실전 투입 | 일부 다포탑 전차는 실전에 투입되어 제한적인 활약을 펼침. 소련의 T-35 전차는 독소전쟁 초기에 일부 투입되었으나, 대부분 손실됨. |
| 한계 | 복잡한 구조와 낮은 기동성으로 인해 현대 전차전에 적합하지 않음. 유지 보수의 어려움과 높은 생산 비용 또한 문제점으로 지적됨. |
| 주요 다포탑 전차 | |
| 영국 | 비커스 A1E1 커세이더 (A11E1, 시제 전차) 커버넌터 (A13 Mk.III, 시제 전차) |
| 소련 | T-28 T-35 SMK T-100 |
| 독일 | 노이바우파르초이크 |
| 일본 | 91식 중전차 |
| 기타 | M3 리 (엄밀히 따지면 다포탑은 아님) |
2. 탄생과 발전
제1차 세계 대전 당시 참호를 돌파하기 위한 "육상 전함" 개념에서 다포탑 전차가 시작되었다. 세계 최초의 전차인 영국의 마크 I 전차는 포탑은 없었지만, 양 측면에 2개의 주포와 여러 개의 기관총을 갖춘 포곽(케이스메이트)을 가진 다(多)무장 전차였다.[8] 그러나 1917년 프랑스의 르노 FT-17 경전차가 단일 회전 포탑과 주포를 채택하면서 효율적인 전차 설계의 표준이 되었다.
다포탑 전차는 여러 방향으로 사각 없이 기관총을 배치하여 측면이나 후방으로부터의 공격을 방어하려는 의도로 개발되었다. 이동 토치카라기보다는 이동 요새에 가까웠다. 전차를 다수 투입하여 서로 방어하는 것이 아니라, 단독으로도 보병의 육박 공격에 견딜 수 있도록 고안되었다. 그러나 실제로는 여러 문제점이 발생했다.[8]
현대에는 일반적으로 다포탑 전차로 인식되지는 않지만, 전차의 포탑 위에 존재하는 부무장도 다포탑 전차라고 할 수 있다. 이들이 원격화되어 강화된 RWS(원격 무기 시스템)는 하나의 포탑(총탑)이라고 할 수 있다.[2][3] 현대의 다포탑 전차의 포탑은 예전처럼 수평 방향으로 나란히 있는 것이 아니라 수직 방향으로 겹쳐져 있다.
여러 국가에서 다포탑 전차를 개발하고 운용했다.
전간기에도 전차의 연구 개발은 계속되었지만, 여전히 전차는 참호 돌파에 초점이 맞춰져 있었다. 영국군은 1925년 A1E1 인디펜던트 중(重)전차를 개발하였는데, 이 전차는 보병과 협동하지 않고 단독으로 참호선을 돌파하는 것을 목적으로 만들어졌으며, 5개의 포탑을 가진 다포탑 전차였다.
소련은 인디펜던트 중(重)전차를 참고하여 T-28 중(中)전차나 T-35 중(重)전차 등을 양산했다. T-28의 생산 대수는 500대를 넘었다. 그러나 겨울전쟁 등을 거치며 단일 포탑 전차가 더욱 우수하다는 것이 밝혀져 소련도 다포탑 전차 생산을 중단했다.[9]
일본 육군에서는 초기에 중(重)전차와 다포탑 전차를 거의 동일하게 취급했다.[1]
3. 문제점
# 대형화와 중량 증가로 기동력이 떨어져 기동전에 대응하기 어려웠다.
# 중량을 줄이기 위해 전체적으로 장갑이 얇아져 대전차전이나 대전차포에 취약했다. (예: T-35 중전차의 최대 장갑 두께는 정면 30mm로 초기 3호 전차와 동일)[8]
# 여러 개의 포탑 때문에 차체 크기에 비해 작은 주포밖에 장착할 수 없어 화력이 부족했다.[8]
# 조작 인원이 늘어나 전차 내 지휘에 혼란이 발생하기 쉬웠다.[8]
# 고밀도 설계로 정비성이 떨어졌다.[8]
# 가격이 비쌌다.[8]
# 설계 개념이 실전에 맞지 않았다. (참호 돌파용으로 설계되었지만, 제2차 세계 대전에서는 참호전이 많지 않았다.)[8]
특히 전차를 육상 군함에 비유했던 초기 전차 개념은 오류였다. 마쓰시마급 방호순양함의 예처럼, 군함은 대형 주포 1문을 탑재하면 불안정해지고 명중률도 낮아진다. 그러나 전차는 육상에서 발판이 안정적이고, 적과 목표가 가까워 공산 사격이 불필요하며, 차체에 최대한 대형 주포 1문을 탑재하는 것이 합리적이었다.[8]
측면·후방 공격에 대한 방어는 전주 회전 포탑의 주포에 동축 기관포를 장착하고 여러 전차가 협동하는 방식으로 더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었다.[8]
다포탑 전차는 지휘 계통에도 문제를 일으켰다. 각 포탑마다 포탑장이 필요하고, 포탑 간 충돌을 막기 위해 전차 본부에 전차장 외에 포탑 관리 장교를 추가해야 했다. 이로 인해 전차장의 계급이 소령까지 올라가고, 전차 1대에 2명 이상의 장교가 탑승하게 되었다.[8]직책 계급 전차장 소령 포탑 관리 장교 대위 (부전차장 겸직, 포탑 충돌 방지) 탄약 담당관 준위 (각 포탑 간 탄약 분배) 조종수 중사 포탑장 상사 포수 하사
하지만 그 크고 위압적인 외관은 군사력을 과시하기에 좋아 군사 퍼레이드 등에서 자주 전시되었다. 설계 개념은 보병전차 등에 남아있지만, 소련 외의 국가에서 다포탑 전차가 대량 생산된 적은 없었다.[8]
4. 현대의 다포탑 전차
5. 각국의 다포탑 전차
국가 전차 램 순항전차 Mk.I/II (전기형) 안살도 P.60~P.71 프로젝트 (구상만)
5. 1. 소련
5. 2. 영국
5. 3. 프랑스
5. 4. 독일
그로스 트랙터[1]
NbFz (노이바우파르초이크)[1]
5. 5. 폴란드
7TP는 폴란드의 다포탑 전차이다.
5. 6. 미국
5. 7. 일본
95식 중전차[1]
오이 전차[1]
시제 1호 전차[1]
91식 중전차[1]
5. 8. 이탈리아
안살도 P.60~P.71 프로젝트는 피아트-안살도사가 1930년대 전반에 구상한 60~70톤급 다포탑 중전차 프로젝트이다. 해군 함포를 장착할 예정이었으나, 구상 단계에서만 머물렀다.[1]
5. 9. 캐나다
램 순항전차 Mk.I/II (전기형)
6. 대중 매체에서
다포탑 전차는 그 독특한 외형으로 인해 여러 대중 매체에 등장한다.[11]
6. 1. 비디오 게임
6. 2. 애니메이션
참조
[1]
서적
日の丸の轍
ワンパブリッシング
[2]
이미지
https://upload.wikim[...]
[3]
이미지
https://upload.wikim[...]
[4]
이미지
https://pbs.twimg.co[...]
[5]
이미지
https://pbs.twimg.co[...]
[6]
이미지
https://pbs.twimg.co[...]
[7]
이미지
https://pbs.twimg.co[...]
[8]
문서
피아트 2000
[9]
서적
Armored Champion: The Top Tanks of World War II
2015
[10]
문서
기관총 포탑
[11]
문서
다포탑 전차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