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아울로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울로스는 고대 그리스에서 사용된 이중 리드 악기로, 오보에와 유사하나 더 큰 마우스피스를 가졌다. 다양한 종류가 있었으며, 군악, 제사, 연극 등 여러 행사에서 사용되었다. 아울로스 연주자들은 전문적인 기술을 요구받았으며, 때로는 노예 신분이었다. 신화에서는 아폴론과의 음악 경연에서 패배한 사티로스 마르시아스가 아울로스를 발명한 것으로 묘사된다. 아울로스는 예술 작품에도 자주 등장하며, 현대에는 디지털 방식으로 재현되기도 한다.

2. 역사적 배경

아울로스는 고대 그리스 사회에서 널리 사용된 악기였다. 초기에는 단순한 형태였으나 점차 발전하여 다양한 종류가 나타났다. 흔히 플루트로 오역되지만, 클라리넷과 같은 단일 리드 악기나 오보에와 같은 이중 리드 악기로 추정된다.


2. 1. 종류

아울로스는 단관 악기 또는 이중관 악기 등 여러 종류가 있었다.[7] 가장 일반적인 종류는 리드 악기였다.[7] 고고학적 발견, 남아 있는 이미지 자료 및 기타 증거에 따르면, 현대의 오보에와 같이 이중 리드 악기였지만, 남아 있는 아르메니아의 두둑과 같이 더 큰 마우스피스를 가지고 있었다.[6] 리드가 없는 단일 관 악기는 모나울로스(μόναυλος, μόνος "단일"에서 유래)라고 불렸다.[7] 현대의 플루트처럼 수평으로 잡는 단일 관 악기는 플라기아울로스(πλάγιος "옆으로"에서 유래한 πλάγίαυλος)였다.[7]
플라기아울로스 그림.
지속적인 소리를 내기 위해 주머니가 있는 관 악기(백파이프)는 아스카울로스(ἀσκός "와인주머니"에서 유래한 ἀσκαυλός)였다.[8]

2. 2. 사회적 역할

아울로스는 그레이트 하이랜드 백파이프처럼 군악에 사용되었지만, 다른 사회적 환경에서 더 자주 묘사된다.[9] 일반적인 플루트는 군사적 용도로 사용하기에는 소리가 부족했을 것이며, 이중 리드 악기인 아울로스는 더 먼 거리에서, 그리고 갑옷을 입고 행군하는 소음 속에서도 들을 수 있었다. 아울로스는 열정적인 애가의 표준 반주 악기였다. 또한 레슬링 경기, 멀리뛰기, 원반던지기와 같은 신체 활동과 트리레메의 노젓기 리듬을 표시하는 데, 그리고 제사와 극에도 사용되었다.[6] 플라톤은 아울로스를 디오니소스와 코뤼반테스의 열광적인 종교 의식과 관련짓고, 그의 저서 ''국가''[10]에서는 금지했지만, ''법률''에서는 허용했다.

아울로스 연주자들은 포르베이아(Phorbeia) 또는 카피스트룸(Capistrum)이라고 알려진 도구를 사용했다. 이것은 두 개의 끈으로 구성된 장치로, 하나는 머리 위에, 다른 하나는 머리 뒤에 놓여 귀에서 귀까지 뻗어 볼을 받쳐주었다.[11][12] 고대 음악가들은 이를 사용하여 순환 호흡을 통해 소리를 내고 악기를 고정시켰다.[13][14] 또한 악기의 리드가 연주자의 목구멍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데에도 사용되었을 수 있다.[15] 포르베이아의 또 다른 가능한 용도는 입술을 제자리에 고정하여 입술 근육의 부담을 줄이는 것이었다.[16]

충분한 여가 시간을 가진 귀족들이 가끔씩 리라 연주처럼 아울로스 연주를 연습하기도 했지만, 5세기 후반 이후로 아울로스는 주로 전문 음악가, 특히 노예들과 관련되게 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러한 음악가들은 명성을 얻을 수 있었다. 로마-그리스 작가 루키아누스는 그의 대화편 ''하르모니데스''에서 아울로스 연주에 대해 논하는데, 여기서 알렉산드로스 대왕의 아울레테 티모테우스가 제자 하르모니데스와 명성에 대해 논한다. 티모테우스는 대중적인 인기를 얻는 것보다 자신의 직업 내 전문가들에게 감명을 주라고 조언한다. 주요 음악가들이 그를 존경하면 대중적인 인기도 따를 것이다. 그러나 루키아누스는 하르모니데스가 연습 중 과도한 연주로 사망했다고 전한다.

귀족이라면 누구나 취미로 즐겼던 리라와는 달리, 아울로스는 주로 전문 연주자들의 악기였으며, 그들은 흔히 노예였다. 그리스의 연회에는 여성 아울로스 연주자가 빠지지 않았고, 아울로스 연주자는 남녀를 불문하고 매춘을 겸업하는 경우가 흔했다.

3. 신화적 기원



아울로스는 사티로스마르시아스가 발명했거나, 아테나가 만들었으나 연주할 때 볼이 부풀어 아름다움이 망가진다고 버린 것을 주웠다는 신화가 전해진다. 마르시아스는 아폴론과의 음악 경연에서 패배하여 끔찍한 죽음을 맞이했다. 이 신화는 신에게 이길 수 있다고 생각한 마르시아스의 지나친 자만심(히브리스)을 경고한다.[17]

3. 1. 마르시아스와 아폴론의 경연

아테나가 볼이 부풀어 오르고 미모가 망가진다고 버린 아울로스를 사티로스마르시아스가 주워 사용했다고 한다. 그는 아폴론에게 음악 경연을 신청했는데, 승자는 패자에게 "원하는 대로 할 수 있는" 권리를 얻게 된다는 조건이었다. 마르시아스는 이것이 성적인 의미를 가질 것이라고 생각했지만, 리라를 든 아폴론이 아울로스를 든 마르시아스를 이겼다. 델포이의 신 아폴론은 마르시아스와 생각이 달랐기에, 승리 후 그를 나무에 매달아 산 채로 가죽을 벗겨 죽였다.[17]

로마의 석관(290~300년)에 묘사된 마르시아스와 아폴론의 경연


아울로스와 포르베이아를 연주하는 연주자를 보여주는 폼페이모자이크의 연극 장면


마르시아스의 피와 뮤즈들의 눈물은 소아시아에 마르시아스 강을 형성했다.[17]

이 신화는 신에게 이길 수 있다고 생각한 마르시아스의 히브리스(지나친 자만심)에 대한 경고이다. 이 신화는 그리스인들이 리라와 아울로스의 대립에서 표현한 자유 대 굴종, 전문가 대 아마추어, 절제(소프로슈네) 대 과잉 등의 문화적 긴장을 반영한다.

3. 2. 신화의 해석

마르시아스 신화는 지나친 자만심(히브리스)에 대한 경고로 해석된다.[17] 이 신화는 리라와 아울로스의 대립을 통해 그리스 문화의 다양한 긴장, 즉 자유 대 굴종, 아마추어 대 전문가, 절제(소프로슈네) 대 과잉 등을 반영한다.[18] 이러한 해석은 아폴론적과 디오니소스적, 다시 말해 "이성"(키타라) 대 "광기"(아울로스)의 대립으로도 볼 수 있다. 그러나 델포이의 아폴론 신전에는 디오니소스 신전도 있었고, 디오니소스가 키타라나 리라를 든 모습으로 묘사되기도 하는 등, 이는 단순한 이분법을 넘어선 복잡한 의미를 지닌다.

이러한 대립은 주로 아테네 중심적인 해석이다. 아울로스 연주가 중심지였던 테베나, 아울로스가 아폴론과 연관되어 전투에 사용되었던 스파르타에서는 다른 양상을 보였을 수 있다.[18]

4. 예술에서의 묘사

키지 화병에 묘사된 전투 장면에는 아울로스 연주자가 호플리테 파랑크스의 진격에 맞춰 서정적인 리듬을 연주하는 모습이 보인다.[19] 기원전 540년경~530년경의 아티스타스(amphora)에는 헤라클레스가 그의 열 번째 과업을 완료하는 과정이 묘사되어 있는데, 아울로스 연주자는 아티스타스 목 부분을 따라 행진하는 모습으로 보인다.[20]

4. 1. 키지 화병 (Chigi vase)

키지 화병에 묘사된 전투 장면에는 아울로스(aulos) 연주자가 호플리테(hoplite) 파랑크스(phalanx)의 진격에 맞춰 서정적인 리듬을 연주하는 모습이 보인다. 이러한 반주는 전열의 틈새가 생길 가능성을 줄였으며, 아울레테(aulete, 아울로스 연주자)는 파랑크스의 결속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19] 특히 이 장면에서 왼쪽에서 접근하는 파랑크스는 준비가 되어 있지 않고 일시적으로 4대 5로 수적으로 불리한데, 뒤에서 더 많은 병사들이 달려와 지원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앞의 네 명의 병사가 다섯 번째 병사가 부족하지만, 아울레테가 전열을 재정비하기 위해 있기 때문에 유리한 고지를 점하고 있다.[19]

4. 2. 헤라클레스의 열 번째 과업

기원전 540년경~530년경의 아티스타스(amphora)에는 헤라클레스가 그의 열 번째 과업을 완료하는 과정이 묘사되어 있다. 아울로스 연주자는 아티스타스 목 부분을 따라 행진하는 모습으로 보인다.[20]

5. 현대적 사용 및 대중문화

ASTRA 프로젝트는 물리적 모델링 합성을 사용하여 아울로스의 소리를 디지털로 재현하고 있다. 이 과정이 복잡하여 ASTRA 프로젝트는 유럽 전역의 수백 대의 컴퓨터에서 동시에 소리를 모델링하기 위해 그리드 컴퓨팅을 사용한다.[21][22] 아울로스는 ASTRA가 소리를 재현한 에피고니온, 살핑크스, 바르비톤, 시린크스와 함께 로스트 사운드 오케스트라의 일부이다.[23]

아울로스는 2009년 영화 '''아고라'''에 등장하여 원형극장에서 한 인물이 독주를 하는 장면이 나오며, 2007년 영화 '''300'''에도 등장하여 고대 그리스 분위기를 연출하는 데 사용되었다.

동남유럽, 특히 알바니아 남부에서는 아울로스와 유사한 이중 관악기인 쿨라 디아레 또는 롱가리가 라베리아 지역에서 알바니아 이소폴리포니 연주에 사용되고 있다.[24] 이 악기들은 목관악기이지만 고대의 아울로스처럼 이중 설대는 아니다.

6. 갤러리

참조

[1] Merriam-Webster aulos 2024-07-02
[2] 웹사이트 A Greek-English Lexicon https://www.perseus.[...]
[3] 서적 The History of Musical Instruments 1940
[4] 간행물 The aulos and tibia: Variation across the Ancient Mediterranean’s principal woodwind https://spiral.lynn.[...] 2019
[5] 문서 Based on archaeological remains found at Pompeii
[6] 서적 Ancient Greek Music https://books.google[...] Clarendon Press 1992-01
[7] 학술지 The Αὐλός or Tibia Department of the Classics, Harvard University 1893
[8] 서적 The story of the bagpipe https://books.google[...] Рипол Классик 2021-04-21
[9] 웹사이트 The Histories https://www.perseus.[...]
[10] 문서 Rep 399d
[11] 서적 Music in Roman Comedy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2-04-19
[12] 서적 Music and Image in Classical Athens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5-10-17
[13] 서적 Hoplites: The Classical Greek Battle Experience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02-11-01
[14] 서적 Music and the Muses: The Culture of 'mousikē' in the Classical Athenian City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04
[15] 서적 Origins and Development of Musical Instruments https://books.google[...] Scarecrow Press 2007-10-29
[16] 서적 Music in Ancient Greece and Rome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02-01-31
[17] 서적 Performance Culture and Athenian Democracy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4
[18] 뉴스 Hoplite https://www.worldhis[...] 2018-01-30
[19] 학술지 Reading the Chigi Vase 2002
[20] 학술지 Herakles Takes Aim: A Rare Attic Black-Figured Neck-Amphora Attributed to the Princeton Painter 2013
[21] 웹사이트 The ASTRA Project website http://www.astraproj[...] 2015-06-27
[22] 웹사이트 iSGTW {{pipe}} iSGTW http://www.isgtw.org[...] 2015-09-05
[23] 웹사이트 Feature - The Lost Sounds Orchestra http://www.isgtw.org[...] 2009-09-02
[24] 서적 Vocal Iso(n) https://books.google[...] Art and Humanities Research Council (British Research Council) 2012-0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