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단전은 다양한 사상 체계에서 신체 내의 에너지 중심을 지칭하는 용어이다. 일반적으로 하단전, 중단전, 상단전으로 분류되는 삼단전 설이 널리 알려져 있으며, 하단전은 생명 에너지의 근원으로, 중단전은 정신과 기를 저장하는 곳으로, 상단전은 정신이 변형되는 곳으로 여겨진다. 단전은 한국, 중국, 일본의 무술, 기공, 전통 의학 등에서 중요한 개념으로 다루어지며, 신체, 마음, 생명 에너지의 근본으로 여겨진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인체 - 심신 문제
심신 문제는 마음과 몸, 정신과 물질의 관계를 다루는 철학 및 과학 분야의 핵심 질문으로, 마음과 몸이 서로 다른 실체라는 이원론과 하나의 실체라는 일원론으로 나뉘며, 현대 신경과학과 인지과학은 뇌 활동과 의식 간의 관계를 밝히는 데 주력하고 있다. - 인체 - 비트루비우스적 인간
레오나르도 다 빈치가 그린 비트루비우스적 인간은 인체 비례 연구를 바탕으로 비트루비우스의 건축 이론에 나타난 인체 비례를 시각적으로 구현하여 인체와 우주의 조화를 나타내는 르네상스 시대 예술과 과학 융합의 상징이다. - 한의학 - 동의보감
동의보감은 허준이 편찬하여 1613년에 간행된 조선 시대의 의서로, 조선 의학과 명나라 의학을 통합하고 실용성을 중시하여 당대 의학 지식을 집대성했으며, 2009년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으로 등재되었다. - 한의학 - 지압
지압은 손가락 등으로 인체의 특정 부위를 눌러 건강을 증진하는 대체의학 요법으로, 기의 흐름을 조절하고 음양의 균형을 맞추는 것을 목표로 하지만, 효과에 대한 과학적 근거는 부족하다는 비판도 있다.
단전 | |
---|---|
위치 정보 | |
기본 정보 | |
한자 | 丹田 |
한국어 | 단전 |
로마자 표기 | danjeon |
영어 | dantian 또는 elixir field |
중국어 | |
중국어 간체 | 丹田 |
병음 | dāntián |
웨이드-자일스 | tan t'ian |
일본어 | |
한자 | 丹田 |
가나 | たんでん |
로마자 표기 | tanden |
헵번식 로마자 표기 | tanden |
기타 언어 | |
태국어 | ตันเถียน |
베트남어 | Đan điền |
설명 | |
정의 | 기(氣)가 집중되는 신체 부위 또는 에너지 중심점으로, 특히 동양 의학 및 명상에서 중요한 개념이다. |
관련 개념 | 내단, 기공 |
이미지 | |
![]() |
2. 역사
역사적으로 하단전에 대한 최초의 상세한 묘사는 3세기경 『노자중경(老子中經)』에 나온다. 여기서는 "정(精)"과 "신(神)"이 저장되는 생명의 영약(elixir-of-life)의 장(場)을 가리키며, 재생과 성적 에너지, 월경과 정액과 관련이 있다고 설명한다.[4] 전통적으로 단전은 기(氣) 또는 생명력 에너지의 중심으로 여겨진다.[1][2]
단전은 내단(內丹), 기공(氣功), 내공(內功), 도인(導引), 도교 성행위(Taoist sexual practices), 레이키[5] 및 기타 운동, 호흡, 명상의 자기 수련법뿐만 아니라 중국 무술과 전통 중국 의학에서 중요한 참고 지점이다. 특히 하단전은 호흡 기법의 초점이자 균형과 중심의 중심으로 중요하게 여겨진다. 단전은 삼보(三寶)인 정(精)(Jing (Chinese medicine)), 기(氣), 신(神)(Shen (Chinese religion))의 변환을 위한 초점이다. 기는 정의 형태로 저장될 때 물질로 볼 수 있으며, 더 희박한 상태인 기와, 더 나아가 서양의 마음(mind) 개념과 유사하지만 "정신(spirit)"으로 더 자주 번역되는 신으로 정제할 수 있다고 보았다.[6]
도교와 불교 스승들은 종종 제자들에게 배꼽이나 하단전에 마음을 집중하도록 가르치는데, 이는 생각과 감정을 조절하는 데 도움이 된다고 믿기 때문이다. 단전에서 행동하는 것은 삼매(Kumārajīva|sanmei) 또는 정(Xuanzang|ding)을 포함한 더 높은 의식 상태와 관련이 있다고 여겨진다.
단전의 의미는 기(氣)의 밭(田)이다. 기로 이루어진 단(丹)을 일구는 밭. 몸을 상하로 달리는 경락(經絡)인 충맥(衝脈)의 직선과 허리 주위를 한 바퀴 도는 대맥(帶脈)이 하단전이 있는 배꼽 부근에서 교차하여 밭처럼 보이므로 이를 단전이라고 부르기도 한다.[12]
내단술에서는 기(氣)를 재료로 하여, 하단전을 솥과 같이 여기고 의식(意識)과 호흡(呼吸)을 풀무로 하여 단을 연성한다. 여성의 경우에는 유방 사이의 단중혈(膻中穴)을 솥으로 삼는다.
2. 1. 초기 문헌 기록
단전이라는 용어는 옛날 『소문(素問)』 유편본병론편 제73[13]에 "신유상단전(神游上丹田)"이라 하고, 변소(邊韶)의 저서 『노자명(老子銘)』에 "존상단전(存想丹田)"이라 하고, 장중경(張仲景)의 『금궤요략(金匱要略)[14]』에도 "단전(丹田)"이라는 말이 보인다. 이들은 후한(後漢) (3세기 전반)의 저서로 전해지지만, 문헌학적으로는 당(唐)대 이후에 교정되었으며, 교정 전 자료에 이 단어가 존재했는지는 명확하지 않다.현재 확인 가능한 가장 오래된 자료에서는 4세기 동진(東晉)의 『포박자(抱朴子)』 "지진편(地眞篇)"[15]이나 동진의 『침구갑을경(鍼灸甲乙經)』 등에서 단전이라는 말을 볼 수 있다.
3. 삼단전(三丹田)
단전은 다양한 사상 체계에서 여러 가지로 분류되지만, 일반적으로 상단전, 중단전, 하단전의 세 가지 주요 단전이 강조된다.[1][2]
- 상단전(上丹田중국어, Shàng Dāntián): 눈썹 사이 이마(제3의 눈)에 위치하며, '탁한 알갱이'라고도 불린다. 송과선과 관련이 있으며, 신(神) 또는 정신이 무위 또는 공(空)으로 변형되는 곳이다.[6][9]
- 중단전(中丹田중국어, Zhōng Dāntián): 심장 부위에 위치하며, '주홍궁'이라고도 불린다. 신(神)을 저장하고 호흡과 내장, 특히 흉선의 건강과 관련이 있다.[8] 이곳에서 기(氣)가 신(神) 또는 정신으로 정련된다.[8]
- 하단전(下丹田중국어, Xià Dāntián): 관원(關元) 혈자리 뒤의 수평선과 회음 위의 수직선이 교차하는 지점에 위치하며, '금로(金爐)' 또는 '생명의 영약밭'이라고도 불린다. 이곳에서 정(精, 징)을 기(氣)로 정련하고 정화하여 영약을 개발하는 과정이 시작된다.[7]
전통적으로 상단전, 중단전, 하단전의 “삼단전(三丹田)”설이 있다.[16][17][12] 미간(眉間) 안쪽의 상단전, 가슴 중앙에 있는 중단전, 배꼽 아래 3치(寸)(골도법(骨度法))에 있는 하단전을 가리킨다. 상단전은 신(神)을 품고, 중단전은 기(氣)를 품고, 하단전은 정(精)을 품는다고 여겨진다.[16]
단전의 개념은 인도의 요가의 차크라와 유사하다고 보는 견해가 있지만, 단전은 중국 의학의 구조와 깊이 관련되어 있으며, 중국 의학 사상사 연구에서는 인도의 신체론과 상당한 차이가 있기 때문에 그 견해는 인정되지 않는다.
3. 1. 상단전(上丹田)
상단전은 눈썹 사이의 이마 또는 제3의 눈에 위치하며, "탁한 알갱이"라고도 불린다. 송과선과 관련이 있다. 이곳에서는 신(神, 신) 또는 정신이 무위 또는 공(空)으로 변형된다.[6][9]상단전은 미간(眉間) 안쪽에 위치하며, 신(神)을 품고 있다고 여겨진다.[16] 니단(泥丸)[18], 천곡(天谷), 내원(内院), 인당(印堂) 등의 다른 이름으로도 불린다.
3. 2. 중단전(中丹田)
중단전은 심장 부위에 있으며, "주홍궁"이라고도 불린다. 中丹田|Zhōng Dāntián중국어이라고도 불린다.[8] 신(神)을 저장하고 호흡과 내장, 특히 흉선의 건강과 관련이 있다.[8] 이곳에서 기(氣)가 신(神) 또는 정신으로 정련된다.[8]전통적으로 상단전, 중단전, 하단전의 “삼단전(三丹田)” 중 하나로,[16][17][12] 가슴 중앙에 있다.[16] 중단전은 기(氣)를 품는다고 여겨진다.[16] “중단전, 蔵気之府”[16]
강궁(絳宮), 황당(黄堂), 토부(土府), 단중(膻中)이라고도 불린다.[17]
3. 3. 하단전(下丹田)
역사적으로 하단전에 대한 최초의 상세한 묘사는 3세기경의 『노자중경(老子中經)』에 나오는데, 이곳은 "정(精)"과 "신(神)"이 저장되는 생명의 영약(elixir-of-life)의 장(場)을 가리키며, 재생과 성적 에너지, 월경과 정액과 관련이 있다.[4] 전통적으로 단전은 기(氣) 또는 생명력 에너지의 중심으로 여겨진다.[1][2]도교와 불교 스승들은 종종 제자들에게 배꼽이나 하단전에 마음을 집중하도록 가르치는데, 이는 생각과 감정을 조절하는 데 도움이 된다고 믿어진다. 단전에서 행동하는 것은 삼매(三昧) 또는 정(定)을 포함한 더 높은 의식 상태와 관련이 있다고 여겨진다.
다양한 사상 체계에서 단전을 여러 가지로 분류하는데, 일반적으로 세 가지 주요 단전이 강조된다.[1][2] 이 중 하단전(下丹田|xià dāntián중국어)은 임맥의 6번째 혈자리인 관원(關元) 혈자리 뒤의 수평선과 회음부 회음 위의 수직선이 교차하는 지점에 위치하며, "금로(金爐)" 또는 "생명의 영약밭"이라고도 불린다. 이곳에서 정(精, 징)을 기(氣, 기)로 정련하고 정화하여 영약을 개발하는 과정이 시작된다.[7]
단전(丹田)이라는 용어는 보통 하단전(下丹田)을 가리키며, 중국 및 기타 무술, 기공을 포함한 무술에서 뿌리내린 자세, 기반, 호흡 및 신체 인식의 기초로 여겨진다.[2] 세 가지 에너지 중심 중 가장 아래쪽에 있는 하단전을 말할 때, 단전이라는 용어는 종종 일본어 단어 ''하라'' (腹|하라일본어; 중국어: ''fù'')와 바꿔 사용되는데, 이는 단순히 "배"를 의미한다. 중국, 한국, 일본 전통에서 하단전은 인체의 물리적 무게중심으로 여겨지며 내부 에너지(기)의 자리이다. 일본침술[10], 서예, 검술, 다도, 무술 등 여러 예술의 대가는 일본 전통에서 "하라에서 행동하는" 사람으로 여겨진다.
전통 중국 의학에서 하단전은 원기(경(精))가 저장되는 곳이다. 경은 우리의 육체적 존재의 기초이며 DNA로 볼 수 있다. 동시에 하단전은 아직 음기 또는 양기로 나뉘지 않은 기인 원기(元氣)의 장소이다. 황제 내경(황제내경) 고대 문서에서 하단전은 경(精)의 자리이자 원기(元氣)의 근원으로 언급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하단전은 몸(경(精)), 마음(신,神), 생명의 에너지(기,氣), 자기 보존, 자기 치유 능력, 기본적인 공포/삶에 대한 공포를 기반으로 하는 감정 등 모든 생명의 기초가 된다. 기공 수련에서 기의 근원인 하단전은 기를 저장하고, 기를 변형하고, 기를 방출하고, 기를 되돌리고, 주변부의 기 흐름을 해소하는 데에도 사용된다.
이 부위는 탄트라의 스바디스타나 차크라와 관련이 있다. 요가 철학에서는 온몸으로 방사되는 프라나(원기와 비교)의 자리로 여겨진다. 이 차크라는 죽음에 대한 두려움, 모든 감정의 기초에 의해 막힐 수 있다. 또한 이것은 하단전과 동일한 유사성을 갖는다.
하단전의 의미는 기(氣)의 밭(田)이다. 기로 이루어진 단(丹)을 일구는 밭. 몸을 상하로 달리는 경락(經絡)인 충맥(衝脈)의 직선과 허리 주위를 한 바퀴 도는 대맥(帶脈)이 하단전이 있는 배꼽 부근에서 교차하여 밭처럼 보이므로 이를 단전이라고 부르기도 한다.[12] 내단술에서는 기(氣)를 재료로 하여, 하단전을 솥과 같이 여기고 의식(意識)과 호흡(呼吸)을 풀무로 하여 단을 연성한다.
단전은 옛날에는 『소문(素問)』유편본병론편 제칠십삼[13]에 "신유상단전(神游上丹田)"이라 하고, 변소(邊韶)의 저서 『노자명(老子銘)』에 "존상단전(存想丹田)"이라 하고, 장중경(張仲景)의 『금궤요략(金匱要略)[14]』에도 "단전(丹田)"이라는 말이 보인다. 이들은 후한(後漢) (3세기 전반)의 저서로 전해지지만, 문헌학적으로는 당(唐)대 이후에 교정되었으며, 교정 전 자료에 이 단어가 존재했는지는 명확하지 않다. 현재 확인 가능한 가장 오래된 자료에서는 4세기 동진(東晉)의 『포박자(抱朴子)』"지진편(地眞篇)"[15]이나 동진의 『침구갑을경(鍼灸甲乙經)』 등에서 단전이라는 말을 볼 수 있다.
전통적으로 상중하의 “삼단전(三丹田)”설이 있다.[16][17][12] 배꼽 아래 3치(寸)(골도법(骨度法))에 있는 하단전(下丹田)을 가리킨다. 하단전은 정(精)을 품는다고 여겨진다.[16] “하단전, 蔵精之府”. 좁은 의미에서는 정(精)과 기(氣)와 신(神)은 구별되지만, 넓은 의미에서는 모두 같은 “기(氣)”이다. 정(精)·기(氣)·신(神)은 “삼보(三寶)”라고도 불리며 “성명지근본(性命之根本)”이며, 성(性)은 마음, 명(命)은 몸을 의미하여 “심신의 근본”을 의미한다. 해부학(解剖學)적으로 해당 장기 등은 없지만, 심신의학(心身醫學) 영역에서는 자율신경(自律神經)의 작용과 면역(免疫) 기구의 관계가 주목받아, 태양신경총(太陽神經叢)이 단전에 해당한다고 생각되고 있다.
단전의 개념을 인도의 요가(ヨーガ)의 차크라(チャクラ)와의 유사성에서 모방이라고 보는 견해가 있지만, 단전은 중국 의학의 구조와 깊이 관련되어 있으며, 중국 의학 사상사 연구에서는 인도의 신체론과 상당한 차이가 있기 때문에 그 견해는 인정되지 않는다. 근대까지 역사(歴史)라는 개념의 존재가 없었던 인도와 중국 사이에서의 문헌학적인 신체론 교류사는 향후 연구 과제로 여겨지고 있다.[16]
하단전은 정(鼎), 제하단전(臍下丹田), 기해단전(氣海丹田), 신로(神爐)라고도 부르는 경우가 있다.[17] 단순히 “단전”이라고 할 경우에는 “하단전”을 가리키는 경우가 많다. 단전 중에서도 특히 “하단전”은 오장(五臓)의 중심에 위치하며, 오장은 인체의 생명 활동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으므로, 실제로 가장 중요시[16]되어 정단전(正丹田)[12]이라고도 불린다. 일본의 선(禪)이나 무도(武道), 예도(芸道) 등에서도 단전, 특히 “하단전”을 중시하고 있다. 다른 이름으로, 복(腹), 두(肚)라고 쓰고, 하라(腹)라고 불러, 심신일여(身心一如)의 경지에 이르기 위한 중요한 포인트가 되고 있다.
4. 하단전의 중요성
역사적으로 하단전에 대한 최초의 상세한 묘사는 3세기경의 『노자중경(老子中經)』에 나오는데, 여기서는 "정(精)"과 "신(神)"이 저장되는 생명의 영약(elixir-of-life)의 장(場)을 가리키며, 재생과 성적 에너지, 월경과 정액과 관련이 있다고 설명한다.[4] 전통적으로 단전은 기(氣) 또는 생명력 에너지의 중심으로 여겨진다.[1][2]
도교와 불교 스승들은 제자들에게 배꼽이나 하단전에 마음을 집중하도록 가르치는데, 이는 생각과 감정을 조절하는 데 도움이 된다고 믿기 때문이다. 단전에서 행동하는 것은 삼매(三昧)(산메이) 또는 정(定)(딩)을 포함한 더 높은 의식 상태와 관련이 있다고 여겨진다.
단전(丹田)이라는 용어는 보통 하단전(下丹田)을 가리키며, 중국 및 기타 무술, 기공을 포함한 무술에서 뿌리내린 자세, 기반, 호흡 및 신체 인식의 기초로 여겨진다.[2] 중국, 한국, 일본 전통에서 하단전은 인체의 물리적 무게중심으로 여겨지며 내부 에너지(기)의 자리이다.
전통 중국 의학에서 하단전은 원기(경(精))가 저장되는 곳이다. 경은 육체적 존재의 기초이며 DNA로 볼 수 있다. 동시에 하단전은 아직 음기 또는 양기로 나뉘지 않은 기인 원기(元氣)의 장소이다. 황제내경 고대 문서에서 하단전은 경(精)의 자리이자 원기(元氣)의 근원으로 언급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하단전은 몸(경(精)), 마음(신,神), 생명의 에너지(기,氣), 자기 보존, 자기 치유 능력, 기본적인 공포/삶에 대한 공포를 기반으로 하는 감정 등 모든 생명의 기초가 된다.
기공 수련에서 기의 근원인 하단전은 기를 저장하고, 기를 변형하고, 기를 방출하고, 기를 되돌리고, 주변부의 기 흐름을 해소하는 데에도 사용된다.
이 부위는 탄트라의 스바디스타나 차크라와 관련이 있다. 요가 철학에서는 온몸으로 방사되는 프라나(원기와 비교)의 자리로 여겨지며, 죽음에 대한 두려움에 의해 막힐 수 있다.
단전 중에서도 특히 “하단전”은 오장(五臓)의 중심에 위치하며, 오장은 인체의 생명 활동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으므로, 실제로 가장 중요시[16]되어 정단전(正丹田)[12]이라고도 불린다. 일본의 선(禪)이나 무도(武道), 예도(芸道) 등에서도 단전, 특히 “하단전”을 중시하고 있다.
5. 기타 단전설
정중선 위에 있는 머리꼭대기의 한 점을 "정상단전(頂上丹田)"이라 부르고, 정중선 위에 있는 회음의 한 점을 "저상단전(底上丹田)"이라고 부르는 단전설도 있다.
6. 현대적 관점
도교와 불교의 스승들은 종종 제자들에게 배꼽이나 하단전에 마음을 집중하도록 가르쳤다. 이는 생각과 감정을 조절하는 데 도움이 된다고 믿어진다.[4] 단전에서 행동하는 것은 삼매(산메이) 또는 정(딩)을 포함한 더 높은 의식 상태와 관련이 있다고 여겨진다.[6]
단전 개념은 인도의 요가 차크라와 유사하다는 점에서 모방으로 보는 견해가 있지만, 전통 중국 의학의 구조와 깊이 관련되어 있어, 중국 의학 사상사 연구에서는 인도의 신체론과 상당한 차이가 있어 그 견해는 인정되지 않는다. 근대까지 역사라는 개념이 존재하지 않았던 인도와 중국 사이의 문헌학적인 신체론 교류사는 향후 연구 과제로 여겨지고 있다.[16]
해부학적으로 해당 장기 등은 없지만, 심신의학 영역에서는 자율 신경의 작용과 면역 기구의 관계가 주목받아, 태양신경총이 단전에 해당한다고 생각되고 있다.
7. 한국 문화와 단전
중국, 한국, 일본 전통에서 하단전은 인체의 물리적 무게중심이자 내부 에너지(기)의 자리로 여겨진다.[2] 서예, 검술, 다도, 무술 등 여러 예술의 대가들은 일본 전통에서 "하라에서 행동하는" 사람으로 여겨진다.
전통적으로 상중하 “삼단전(三丹田)”설이 있다.[16][17][12] 미간 안쪽의 상단전(上丹田), 가슴 중앙에 있는 중단전(中丹田), 배꼽 아래 3치(골도법(骨度法))에 있는 하단전(下丹田)을 가리킨다. 상단전은 신(神)을 품고, 중단전은 기(氣)를 품고, 하단전은 정(精)을 품는다고 여겨진다.[16] “상단전, 蔵神之府, 중단전, 蔵気之府. 하단전, 蔵精之府”. 좁은 의미에서는 정(精)과 기(氣)와 신(神)은 구별되지만, 넓은 의미에서는 모두 같은 “기(氣)”이다. 정(精)·기(氣)·신(神)은 “삼보(三寶)”라고도 불리며 “성명지근본(性命之根本)”이며, 성(性)은 마음, 명(命)은 몸을 의미하여 “심신의 근본”을 의미한다. 해부학(解剖學)적으로 해당 장기 등은 없지만, 심신의학(心身醫學) 영역에서는 자율신경(自律神經)의 작용과 면역(免疫) 기구의 관계가 주목받아, 태양신경총(太陽神經叢)이 단전에 해당한다고 생각되고 있다.
일본의 선(禪)이나 무도(武道), 예도(芸道) 등에서도 단전, 특히 “하단전”을 중시하고 있다. 다른 이름으로 복(腹), 두(肚)라고 쓰고, 하라(腹)라고 불러, 심신일여(身心一如)의 경지에 이르기 위한 중요한 포인트가 되고 있다.
참조
[1]
서적
The root of Chinese Chi kung: the secrets of Chi kung training
Yang's Martial Arts Association
[2]
서적
The Way of Qigong: The Art and Science of Chinese Energy Healing
Random House of Canada
[3]
비디오 미디어
실력파 唱將翁立友教你找丹田【康熙來了 #shorts】 #小s #蔡康永 #推薦
https://www.youtube.[...]
2024-10-09
[4]
서적
Early Daoist Meditation and the Origins of Inner Alchemy
http://www.goldeneli[...]
Routledge
[5]
웹사이트
Reiki: (In)frequently asked questions...
http://www.aetw.org/[...]
[6]
서적
T'ai Chi Ch'uan and Meditation
Routledge and Keegan Paul
[7]
서적
Taoist Yoga
Rider
1970
[8]
웹사이트
Cinnabar Fields (Dantian)
http://www.goldeneli[...]
[9]
서적
Doctrine of the Elixir
https://web.archive.[...]
Coombe Springs Press
1982
[10]
서적
Hara diagnosis: reflections on the sea
Paradigm Publications
1988
[11]
웹사이트
아카이브된 복사본
http://mro.org/zmm/t[...]
2013-05-04
[12]
서적
道教と気功
人文書院
[13]
위키소스
黃帝內經/素問第二十一卷
[14]
위키소스
金匱要略
[15]
위키소스
抱朴子/卷18
[16]
서적
気・流れる身体
平河出版社
[17]
서적
道教と不老長寿の医学
平河出版社
[18]
서적
道教事典
平河出版社
[19]
서적
동의보감, 내경편-신형
https://ko.wikisourc[...]
[20]
서적
동의보감,내경편- 기
https://ko.wikisourc[...]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