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단풍잎이여 영원하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단풍잎이여 영원하라'는 1867년 알렉산더 뮤어가 작사, 작곡한 캐나다의 노래이다. 이 곡은 캐나다의 비공식 국가로 오랫동안 불렸으며, 로열 웨스트민스터 연대와 포트 헨리 가드의 공식 행진곡으로 사용된다. 원래 가사는 영국 중심적인 시각을 담고 있었으나, 이후 다양한 버전으로 수정되었다. 1997년 블라디미르 라디안은 캐나다의 다양성을 포용하는 새로운 가사를 발표했으며, 마이클 부블레는 2010년 동계 올림픽 폐막식에서 이 곡을 불러 널리 알려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캐나다의 음악 - 캐나다의 국가
    《오 캐나다》는 1880년 프랑스계 캐나다인 애국가로 처음 만들어졌으며, 영어 가사 추가, 성차별적 표현 수정, 원주민 언어 번역을 거쳐 1980년 캐나다의 공식 국가로 제정되어 스포츠 행사 등에서 연주된다.
  • 캐나다의 음악 - 나라의 사람들이여
    퀘벡의 역사와 정체성을 담아 퀘벡인들의 단결을 상징하는 '''나라의 사람들이여'''는 질 비뇨가 작사하고 가스통 로숑과 함께 작곡한 노래로, 퀘벡의 국가로 여겨진다.
  • 1867년 노래 - Johnny I Hardly Knew Ye
    Johnny I Hardly Knew Ye는 전쟁에서 심하게 다쳐 돌아온 남편을 알아보지 못하는 아내의 슬픔을 그린 아일랜드의 반전 민요로, 여러 언어로 번역되어 다양한 매체와 예술 작품에 활용되었다.
  • 1867년 노래 - 하느님 아일랜드에 축복을
    "하느님 아일랜드를 축복하소서"는 19세기 아일랜드 민족주의 운동의 상징으로, 아일랜드 독립에 대한 열망과 민족 정체성을 나타내는 노래이며, 역사적 사건들과 연관되어 스포츠 응원가나 대중문화 작품에도 활용되었다.
단풍잎이여 영원하라
곡 정보
제목단풍잎이여 영원하라
원제The Maple Leaf Forever
국가캐나다
종류애국가
단풍잎이여 영원하라
작곡가알렉산더 뮤어
작사알렉산더 뮤어
작곡 연도알 수 없음
작사 연도알 수 없음

2. 역사

1868년, 연방 결성 당시의 캐나다 국기


"단풍잎이여 영원하라"(The Maple Leaf Forever영어)는 캐나다 군인이자 교사였던 알렉산더 뮤어(Alexander Muir영어)가 1866년 리지웨이 전투에서 영국을 위해 싸운 경험을 바탕으로 작사, 작곡한 노래이다. 뮤어는 토론토단풍나무 아래에서 이 곡의 영감을 얻었다고 전해진다.

이 노래는 영어 사용 캐나다 지역에서 상당한 인기를 누렸으며, 오랫동안 비공식적인 국가 역할을 수행했다.[2][3] 하지만 곡의 가사가 강하게 영국 중심적인 시각을 담고 있어, 프랑스계 캐나다인들 사이에서는 큰 호응을 얻지 못했다. 이러한 이유로 공식 국가로 지정되지는 못했는데, 비록 국가로 진지하게 고려되었고 여러 경우에 사실상의 국가로 사용되었음에도 불구하고 그러했다.[4] 가사에는 제임스 울프 장군의 1759년 퀘벡 점령, 7년 전쟁, 그리고 1812년 전쟁 중 퀸스턴 하이츠 전투런디스 레인 전투 등이 언급된다.

뮤어는 프랑스계 캐나다인과의 통합을 위해 가사를 수정하려는 시도를 하기도 했다. 예를 들어, 원래 가사에 있던 "엉겅퀴(스코틀랜드), 아일랜드의 방울꽃(아일랜드), 장미(잉글랜드)"에 프랑스를 상징하는 "lys|백합프랑스어"을 추가하는 식이었다.[2] 그러나 이러한 노력에도 영국 중심적이라는 비판은 계속되었다.

뮤어에게 영감을 준 것으로 알려진 단풍나무는 2013년 7월 강풍으로 쓰러졌다.[5] 이 나무의 목재는 토론토 시의회 연설대, 단풍잎 영원 기타 등 캐나다 문화에서 이 나무가 갖는 중요성을 기리기 위한 여러 물품 제작에 사용되었다.[6]

"단풍잎이여 영원하라"는 현재 로열 웨스트민스터 연대의 공식 연대 행진곡이며,[4] 포트 헨리 가드의 연대 슬로우 행진곡으로도 사용된다.[7] 가사의 내용에 대한 논란 때문에 현대에 와서는 여러 차례 새로운 가사가 제안되기도 했다.

2. 1. 곡의 탄생 배경

알렉산더 뮤어


메이플 리프 포에버 초판


이 곡의 가사는 작곡가 알렉산더 뮤어가 몬트리올 칼레도니안 협회가 주최한 애국시 공모전에 응모하여 2등에 입상한 작품이다. 전해지는 이야기에 따르면, 뮤어는 친구 조지 레슬리와 함께 레슬리즈 가든스(퀸 스트리트 근처 돈 강 동쪽에 위치했으며 레슬리 가문이 살던 곳에서 유래)를 걷던 중, 레슬리의 코트 소매에 떨어진 단풍잎을 보고 영감을 얻었다고 한다. 레슬리는 뮤어에게 "단풍잎은 캐나다의 상징(emblem)이다! 이 주제로 시를 써보라"고 제안했다.

뮤어는 시를 완성하여 몬트리올로 보낸 후, 이 시에 어울리는 곡을 찾으려 했으나 마땅한 것을 찾지 못했다. 결국 그는 직접 곡을 쓰기로 결심했다.

1000부가 유통되었다고 전해지는 초판 악보는 발행 날짜나 저작권 표시가 없다. 작곡가인 뮤어가 "자신을 위해" 출판했다고도 하며, 악보 판매 수익은 뮤어가 자비로 지불한 인쇄 비용의 절반에도 미치지 못했다고 전해진다. 1871년, 피아노 제조 회사인 Heintzman & Co.영어가 저작권을 취득했지만, 뮤어는 저작권료를 받지 못했다.

곡의 초연에 대해서는 두 가지 이야기가 전해진다. 하나는 J.F. 하디라는 인물이 불러 박수갈채를 받았다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1874년 7월 24일, 토론토 북부 교회의 정초식에서 듀퍼린 백작이 참석한 가운데 뮤어의 지휘로 초등학생 합창단이 처음 선보였다는 것이다.

2. 2. 가사 수정과 논란



가사는 작곡가 알렉산더 뮤어가 여러 차례 수정했다. 캐나다 국립 도서관 소장본에는 오리지널 후렴구 첫 줄 'The Maple Leaf, the Maple Leaf, the Maple Leaf for ever!'가 'The Maple Leaf, our emblem dear, the Maple Leaf for ever!'로 수정되어 있다.

1894년에도 가사가 대폭 수정되었다. 그해 9월 8일, 토론토의 "디 임파이어" 지에 "잘못된 가사로 불리고 있다"는 뮤어 자신의 투고가 실렸는데, 이는 뮤어가 의도적으로 꾸민 일이라는 주장도 있다.[2] 1894년 이전의 가사가 오리지널과 동일하다는 보장은 없으며, 이때 발표된 "올바른" 가사는 사실상 새로운 가사였다. 이 새로운 가사는 이전의 4행 이 아닌 5행으로 구성되었고, 이전 가사와의 공통점은 적었다. 1894년 버전의 시작은 'In days of yore, the hero Wolfe Britain's glory did maintain,'이었으며, 이후 한동안 이 가사로 출판되기도 했다. 그러나 초판 가사인 'In days of yore, from Britain's shore, Wolfe the dauntless hero came.'이 더 널리 알려져 있다.

또한, 후에 프랑스계 캐나다인을 고려하여 출판된 버전에서는 "엉겅퀴(스코틀랜드), 토끼풀(아일랜드), 그리고 장미(잉글랜드)가 얽혀"라는 가사가 "lys|백합프랑스어(프랑스), 엉겅퀴, 토끼풀, 장미"로 변경되었다.[2] 이는 연합기 아래 영국계와 프랑스계 캐나다인이 하나로 연합했음을 표현하려는 의도였다고 전해진다.[2]

그러나 이 노래는 강하게 영국 중심적 시각을 담고 있어 프랑스계 캐나다인들 사이에서는 큰 호응을 얻지 못했고, 이 점이 공식적인 국가로 지정되는 데 걸림돌이 되었다.[4] 비록 국가로 진지하게 고려되었고, 많은 경우에서 ''사실상''의 국가로 사용되었음에도 불구하고 공식 국가가 되지는 못했다.[4]

2. 3. 현대의 재해석

1964년 톰슨은 빅터 카울리(Victor Cowley)가 쓴 "우리의 집, 우리의 나라, 우리의 캐나다(Our Home, Our Land, Our Canada)"라는 시를 "단풍잎이여 영원하라"의 멜로디에 붙여 출판했다. 카울리의 시는 캐나다 작가 협회가 주최한 메이플 리프 송 콘테스트에서 우승한 작품이다.[11]

1997년 캐나다 방송 공사(CBC) 라디오의 토론토 지역 프로그램인 ''메트로 모닝''(Metro Morning)은 곡의 기존 가사가 일부 캐나다인만을 대변한다는 문제의식 하에 새로운 가사를 공모하는 대회를 열었다.[12] 이 대회에서는 1980년대 캐나다로 이주한 루마니아 출신 이민자이자 수학자에서 작곡가, 배우, 시인으로 활동하게 된 블라디미르 라디안(Vladimir Radian)이 우승했다. 라디안 버전은 영국-캐나다 유산에 대한 언급을 삭제하고, 퀘벡주의 상징인 플뢰르 드 리(Fleur-de-lis)를 명시적으로 포함하여 캐나다의 다양성을 포용하고자 했다. 이 버전은 1997년 6월 27일 토론토 심포니 오케스트라의 연주로 처음 공식 석상에서 선보였다.[8]

전 캐나다 육군 군목이었던 파드레 G. E. 벤튼(Padre G. E. Benton) 역시 개정된 가사를 쓴 바 있다.[9]

캐나다의 보컬 하모니 트리오 파이네스트 카인드(Finest Kind, 이안 롭, 앤 다우니, 셸리 포센 구성)는 2003년 발매한 CD "실크 & 스파이스(Silk & Spice)"에 "단풍잎이여 영원하라"를 수록했다. 이 버전은 포센과 롭이 공동으로 가사를 쓰고 트리오가 화음 편곡을 맡았다. 가사는 캐나다 건설에 기여한 캐나다 원주민, 프랑스계, 영국계, 그리고 "새로운 캐나다인들"의 공헌을 인정하며, "증오와 전쟁이 갈라놓는 곳"에서 평화 유지 활동을 하는 캐나다 군의 역할을 강조한다. 또한, 2절에서는 존 매크래의 제1차 세계 대전 시 "플랑드르 들판에서"를 인용하기도 한다. 이 버전은 2014년 11월 2일, 오타와에서 알렉산더 뮤어에게 영감을 준 원조 나무의 후손인 은단풍나무 두 그루를 심는 기념식에서 불렸다.

토론토 메이플 리프스가 과거 홈구장이었던 메이플 리프 가든스에서 마지막 경기를 치렀을 때, 가수 앤 머레이는 라디안의 버전을 일부 수정한 가사로 "단풍잎이여 영원하라"를 불렀다. 이 수정된 버전은 이후 마이클 부블레2010년 동계 올림픽 폐막식에서 부르기도 했다.[10][13]

3. 가사

'단풍잎이여 영원하라'의 가사는 시대의 변화와 함께 여러 버전이 만들어졌다. 가장 기본이 되는 것은 작곡가 알렉산더 뮤어가 처음 쓴 오리지널 가사이다. 하지만 이 가사가 특정 시대의 관점을 반영한다는 지적이 있어, 이후 캐나다의 다문화적 현실을 반영하려는 노력이 이어졌다. 대표적인 예로 블라디미르 라디안이 1997년에 새로 쓴 가사가 있다. 각 가사의 구체적인 내용은 아래 하위 섹션에서 다룬다.

3. 1. 오리지널 가사 (한국어 번역)

wikitext



옛날 옛적, 영국의 해안에서

울프, 용감무쌍한 영웅이 와

그리고 굳건히 영국 국기를 꽂았네

캐나다의 아름다운 영토에.

여기서 펄럭이게 하리, 우리의 자랑, 우리의 긍지

그리고 사랑으로 함께 뭉쳐,

엉겅퀴, 셔클록, 장미 얽히네 (또한 불림: 백합, 엉겅퀴, 셔클록, 장미)

단풍잎은 영원하리라!
후렴단풍잎, 우리의 사랑스러운 상징,

단풍잎은 영원하리라!

우리 국왕을 보호하시고 천국의 축복을 내려주시네

단풍잎은 영원하리라!


3. 2. 블라디미르 라디안의 가사 (한국어 번역)

1997년 CBC 라디오의 토론토 쇼 프로그램인 메트로 모닝에서 이 곡의 새로운 가사를 찾는 대회를 열었다. 이 대회는 1980년대에 캐나다로 이민 온 루마니아 출신 이민자이자 수학자, 작곡가, 배우, 시인으로 활동하는 블라디미르 라디안이 우승했다. 이 버전은 1997년 6월 27일 토론토 심포니 오케스트라의 콘서트에서 처음으로 풀 오케스트라 연주를 선보였다.[8]

새로운 버전은 영국-캐나다 유산을 언급하는 부분을 모두 삭제하고, 퀘벡주의 상징인 플뢰르 드 리를 특별히 언급하여 캐나다의 다문화적 정체성을 반영하고자 했다.

푸르른 영원한 하늘의 땅이여,

강하고 반짝이는 눈 덮인 산,

자유의 향기가 바람에 실려,

에메랄드 들판 위에 드리우네.

우리의 희망과 꿈을 그대에게 가져왔네,

그대를 위해 우리는 함께 서 있네,

평화의 땅에 긍지 높이 휘날리는,

단풍잎이여 영원하라.
후렴오래도록 펄럭이며 우리를 빛내주소서,

푸른 하늘과 폭풍우 치는 날에도,

내 마음속에, 내 집 위에,

단풍잎이여 영원하라!

동쪽과 서쪽에서, 우리의 영웅들이 왔네,

얼음 벌판과 얼어붙은 만을 지나,

두려움, 추위, 증오를 정복한 이들,

그리고 그들의 오래된 지혜가 말하네:

약자를 보호하고, 당신의 권리를 옹호하며,

함께 이 땅을 건설하라,

그 위로 북극광이 빛나고,

단풍잎이여 영원하라!
후렴거친 바다나 혹독한 빙하 위에서,

수많은 영웅들이 뒤따랐네,

두려움과 추위,

그리고 그들의 삶의 폭풍을 정복하며.

그리고 수많은 용감한 이들이, 붉거나 하얗거나,

여기 함께 잠들고 있네,

고귀한 피와 많은 눈으로부터,

단풍잎이 탄생했네.
후렴그들의 업적, 그들의 노력,

그리고 그들의 숭고한 용기에서,

그들의 낡은 꿈이 하나가 되어,

새로운 뿌리를 얻자.
후렴 반복우리의 산에서, 우리의 초원에서,

시간과 모래를 넘어,

항상 백합을 사랑하자,

항상 단풍잎을 사랑하자.

오, 단풍잎이여, 온 세상에,

높이 솟아오르며 말하네,

용기, 평화, 그리고 조용한 힘,

내가 사랑하는 캐나다에 대해.

우리 모두, 끊을 수 없는 끈으로,

묶여 있음을 기억하게 해주소서,

모든 곳에서 존경받는 밝은 깃발,

단풍잎이여 영원하라!
후렴

4. 상징과 영향

'단풍잎이여 영원하라'는 캐나다 군인 알렉산더 뮤어(Alexander Muir영어)가 1866년 리지웨이 전투 이후 작사/작곡한 노래이다. 이 곡은 오랫동안 영어 사용 캐나다에서 비공식적인 국가처럼 여겨졌으나,[2][3] 강한 영국 중심적 시각 때문에 프랑스계 캐나다인 사이에서는 큰 호응을 얻지 못했고, 이로 인해 공식 국가로 지정되지는 못했다.[4]

노래 가사는 제임스 울프의 퀘벡 점령, 7년 전쟁, 1812년 전쟁 중 퀸스턴 하이츠 전투런디스 레인 전투 등 영국과 관련된 역사적 사건들을 주로 다루고 있다. 작곡가 뮤어는 이러한 영국 중심적인 내용을 완화하고 프랑스계 캐나다인을 포용하기 위해, 가사 중 "엉겅퀴(스코틀랜드), 토끼풀(아일랜드), 장미(잉글랜드)"를 언급하는 부분에 프랑스를 상징하는 백합을 추가하는 등 여러 차례 수정을 시도하기도 했다.[2]

2010년 동계 올림픽 폐막식에서 노래하는 마이클 부블레


이 노래는 로열 웨스트민스터 연대의 공식 연대 행진곡이며,[4] 킹스턴에 위치한 포트 헨리의 포트 헨리 가드에서도 연대 슬로우 행진곡으로 사용하고 있다.[7] 현대에 와서는 원곡 가사 대신 수정된 가사로 불리는 경우가 많다. 대표적으로 루마니아 출신 이민자 블라디미르 라디안이 캐나다의 다문화성을 반영하여 새롭게 쓴 가사가 있으며, 가수 마이클 부블레는 이 수정된 버전의 노래를 2010년 동계 올림픽 폐막식에서 불러 전 세계에 알렸다.[10][13]

뮤어가 이 곡의 영감을 얻었다고 전해지는 토론토단풍나무는 2013년 강풍으로 쓰러졌으나,[5] 그 나무의 목재는 토론토 시의회 연설대 제작 등 캐나다 문화에서 이 노래가 갖는 상징성을 기리는 다양한 방식으로 활용되었다.[6]

4. 1. 한국과의 관계

대한민국에서는 '단풍잎이여 영원하라'가 캐나다국가로 잘못 알려진 경우가 많다. 이는 이 곡이 과거 캐나다에서 국가처럼 불렸던 역사적 배경 때문으로 보인다. 그러나 실제 캐나다의 국가는 '오 캐나다'이며, '단풍잎이여 영원하라'는 공식적인 지위를 가지고 있지 않다.

참조

[1] 백과사전 Muir, Alexander http://www.thecanadi[...]
[2] 웹사이트 Maple Cottage, Leslieville, Toronto https://www.utoronto[...]
[3] 간행물 Canadian Confederation http://www.collectio[...] Library and Archives Canada 2006-01-09
[4] 서적 Canadian Musical works 1800–1980 a bibliography of general and analytical sources Canadian Association of Music Libraries 1983
[5] 웹사이트 Tree said to have inspired song 'The Maple Leaf Forever' falls victim to Toronto storm http://news.national[...] 2017-06-26
[6] 뉴스 Guitar made from "Maple Leaf Forever" tree displayed at Toronto city hall https://www.thestar.[...]
[7] 웹사이트 Volume 3, Part 2: Infantry Regiments - THE ROYAL WESTMINSTER REGIMENT http://www.cmp-cpm.f[...] 2018-02-03
[8] 웹사이트 Neighbourhood grows trees from the seeds of Canada's history (with video) https://ottawacitize[...] 2017-06-26
[9] 웹사이트 Maple_leaf_forever_new http://www.piddingwo[...] 2011-06-17
[10] Youtube Michael Buble at Closing Ceremony https://www.youtube.[...]
[11] 웹사이트 'The Maple Leaf Forever' - The Canadian Encyclopedia http://www.thecanadi[...]
[12] 웹사이트 CanadaInfo: Symbols, Facts, and Lists: Anthems and Other Patriotic Songs http://www.craigmarl[...]
[13] 뉴스 マイケル・ブーブレ、オリンピックの閉会式でパフォーマンス/BARKS ニュース https://www.barks.jp[...]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