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캐나다의 국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캐나다의 국가 "O Canada"는 프랑스어 가사를 아돌프-바실 루티에가 작사하고, 칼릭사 라발레가 작곡하여 1880년 생-장-밥티스트의 날에 처음 불렸다. 1908년 로버트 스탠리 웨어가 영어 가사를 만들었으며, 1980년 국가 제정법 통과로 공식 국가가 되었다. 영어와 프랑스어 가사가 있으며, 여러 언어로 번역되어 불린다. "O Canada"는 퍼블릭 도메인에 속하며, 캐나다 팀이 참여하는 스포츠 행사에서 연주된다. 2018년 영어 가사에서 성 중립적인 표현으로 개정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880년 캐나다 - 벨 캐나다
    벨 캐나다는 알렉산더 그레이엄 벨의 이름을 딴 캐나다 통신 회사로, 장거리 전화 서비스 독점과 규제 완화 및 경쟁 심화 속에서 유무선 통신, 텔레비전, 인터넷 접속 등 다양한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며 사업 확장을 추진 중이나 사회적 논란도 있다.
  • 캐나다의 음악 - 나라의 사람들이여
    퀘벡의 역사와 정체성을 담아 퀘벡인들의 단결을 상징하는 '''나라의 사람들이여'''는 질 비뇨가 작사하고 가스통 로숑과 함께 작곡한 노래로, 퀘벡의 국가로 여겨진다.
  • 캐나다의 음악 - 단풍잎이여 영원하라
    "단풍잎이여 영원하라"는 1960년대 캐나다에서 큰 인기를 얻어 비공식 국가로 여겨졌으나, 프랑스계 캐나다인들의 반발과 가사 수정 과정을 거치며 캐나다 국가적 정체성 형성에 기여한 알렉산더 뮤어 작곡의 곡이다.
  • 1880년 노래 - 일본의 국가
    일본의 국가는 10세기에 유래된 와카를 가사로 하여, 1880년 프란츠 에케르트가 서양식 화성을 더해 완성되었으며, 천황의 만세와 일본의 번영을 기원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 1880년 노래 - 푸니쿨리, 푸니쿨라
    1880년 루이지 덴자가 작곡하고 피피노 투르코가 작사한 나폴리 민요인 푸니쿨리, 푸니쿨라는 베수비오 산의 강삭철도 개통을 기념하기 위해 만들어져 피에디그로타 축제에서 처음 발표된 후 전 세계적으로 인기를 얻었다.
캐나다의 국가
기본 정보
공식 2개 국어 악보
공식 2개 국어 악보
국가캐나다
작곡가칼리사 라발레
작사아돌프-바질 루치에(프랑스어, 1880년), 로버트 스탠리 위어(영어, 1908년)
채택일1980년 7월 1일
제목
영어O Canada 오 캐나다
프랑스어Ô Canada 오 캐나다
이누크티투트어ᐆ ᑲᓇᑕ! Uu Kanata!
작곡
작곡가칼리사 라발레
작곡 연도1880년
작사
프랑스어 작사아돌프-바질 루치에
영어 작사로버트 스탠리 위어
채택
사실상 채택1880년
법률상 채택1980년

2. 역사

"오 캐나다"는 아돌프-바실 루티에 경이 프랑스어 가사를 쓰고 칼릭사 라발레가 작곡한 노래로, 생-장-밥티스트 협회를 위한 프랑스계 캐나다인 애국가로 만들어졌다. 1880년 6월 24일 퀘벡 시에서 열린 생-장-밥티스트의 날 연회에서 처음 불렸으며, 프랑스어 사용 인구 사이에서 국가로 인기를 얻었다.[18]

음악학자 로스 더핀은 라발레가 "오 캐나다"의 멜로디를 모차르트 ("마술 피리"), 바그너 ("Wach auf, es nahet gen den Tag"), 리스트 ("Festklänge"), 마티아스 켈러 ("The American Hymn")의 자료를 차용하여 구성했다고 주장했다.[4][5]

1964년 레스터 B. 피어슨 총리는 국가를 한 곡으로 정해야 한다고 주장했고, 정부는 합동 위원회를 구성하여 검토를 진행했다. 1967년 특별 합동 위원회는 "오 캐나다"를 국가로, "신이 여왕을 지켜주소서"를 왕실 찬가로 지정하고, 각 노래의 한 연을 두 개의 공식 언어로 채택할 것을 제안했다. 이후 영어 가사는 로버트 스탠리 웨어의 1908년 버전을 바탕으로 약간 수정되었다.[1]

1970년, 캐나다의 여왕은 "오 캐나다"의 가사와 음악에 대한 권리를 1USD에 구매했다.[28] 이 노래는 1980년 ''국가 제정법'' 통과로 공식 국가가 되었다.[23][26] 영어 가사는 일부 수정되었으나, 프랑스어 가사는 변경되지 않았다.[29]

2. 1. 국가 제정 이전의 역사

"오 캐나다"는 아돌프-바실 루티에 경이 프랑스어 가사를 쓰고 칼릭사 라발레가 곡을 붙여 프랑스계 캐나다인의 애국가로 만들어졌다. 1880년 6월 24일 퀘벡 시에서 열린 생-장-밥티스트의 날 행사에서 처음으로 불렸다.[18] 이 노래는 프랑스어 사용 주민들 사이에서 큰 인기를 얻었다.[18]

1867년 이후, 영어 사용 캐나다에서는 "신이여, 국왕을 지켜주소서(God Save the Queen)"와 "영원한 단풍잎(The Maple Leaf Forever)"이 비공식 국가 자리를 두고 경쟁했다. 1901년 콘월 공작과 콘월 공작 부인(후에 조지 5세와 메리 왕비)이 캐나다를 방문했을 때 학생들이 "오 캐나다"를 부르면서 이 노래도 경쟁에 합류했다.[1] 이것은 퀘벡 밖에서 이 노래가 불린 최초의 공연으로 알려져 있다.[19]

1906년에 출판된 "오 캐나다"의 영어 버전 악보.


1906년, 토론토의 Whaley and Royce 회사는 프랑스어 가사와 토마스 베드포드 리처드슨의 영어 번역 가사를 함께 출판했다. 1908년에는 ''콜리어스(Collier's Weekly)'' 잡지가 새로운 영어 가사를 공모했는데, 머시 E. 파웰 맥컬로흐의 가사가 당선되었지만 널리 받아들여지지는 않았다.[18]

많은 사람들이 루티에의 가사를 영어로 번역했지만, 가장 인기 있는 버전은 1908년 변호사이자 몬트리올 시 서기였던 로버트 스탠리 웨어가 만든 것이었다. 웨어의 가사는 1913년에 수정되었고,[1][20][26] 1926년에는 종교적인 내용의 네 번째 절이 추가되었다.[21] 약간 수정된 버전은 1927년 연방 다이아몬드 주빌리를 위해 공식 출판되었고, 점차 가장 널리 불리는 버전이 되었다.[1]

1939년 5월 21일, 조지 6세 국왕이 오타와의 국립 전쟁 기념관 봉헌식에서 이 노래가 연주되는 동안 기립하면서 ''사실상(de facto)'' 국가가 된 것으로 여겨진다.[22] 그러나 이는 에드워드 8세가 1936년 프랑스에서 캐나다 국립 비미 기념관을 봉헌했을 때 세운 선례를 따른 것이었다.[23]

2. 2. 국가 제정 과정

아돌프-바실 루티에 경이 프랑스어 가사 "오 캐나다(O Canada)"를 작사하고 칼릭사 라발레가 작곡하여 생-장-밥티스트 협회를 위한 프랑스계 캐나다인 애국가로 제작되었다. 1880년 6월 24일 퀘벡 시에서 열린 생-장-밥티스트의 날 연회에서 처음으로 불렸으며, 당시 루티에가 작사한 "샹트 나시오날(Chant National)"은 프랑스어 사용 인구 사이에서 국가로 인기를 얻었다.[18] 1867년 이후 "신이여, 국왕을 지켜주소서(God Save the Queen)"와 "영원한 단풍잎(The Maple Leaf Forever)"은 영어 사용 캐나다에서 비공식 국가로 경쟁하였다. "오 캐나다"는 1901년 콘월 공작과 콘월 공작 부인(후에 조지 5세와 메리 왕비)이 캐나다를 순방했을 때, 한 무리의 학생들이 이 노래를 부르면서 경쟁에 합류했으며,[1] 퀘벡 외부에서 이 노래가 불린 최초의 공연으로 알려져 있다.[19]

5년 후, 토론토의 Whaley and Royce 회사는 프랑스어 가사와 토마스 베드포드 리처드슨이 처음으로 번역한 영어 가사를 함께 출판했으며, 1908년에는 잡지 ''콜리어스(Collier's Weekly)''가 "오 캐나다"의 새로운 영어 가사를 공모했다. 이 공모전에서는 머시 E. 파웰 맥컬로흐가 우승했지만, 그녀의 가사는 널리 받아들여지지 않았다.[18] 많은 사람들이 루티에의 가사를 영어로 번역했지만, 가장 인기 있는 버전은 변호사이자 몬트리올 시 서기였던 로버트 스탠리 웨어가 1908년에 만든 것이었다. 웨어의 1908년 가사에는 종교적 언급이 없었고, 1913년에 "너는 우리 안에서 명령한다(thou dost in us command)"라는 구절을 "너는 모든 네 아들 안에서 명령한다(in all thy sons command)"로 변경하기 전에 사용했다.[1][20][26] 1926년에는 종교적 내용의 네 번째 절이 추가되었다.[21] 약간 수정된 버전이 1927년 연방 다이아몬드 주빌리를 위해 공식적으로 출판되었고, 점차 이 노래의 가장 널리 받아들여지고 불리는 버전이 되었다.[1]

조지 6세 국왕이 1939년 5월 21일 온타리오주, 오타와의 국립 전쟁 기념관 봉헌식에서 이 노래가 연주되는 동안 기립하여, 이 곡이 ''사실상(de facto)'' 국가가 된 것으로 여겨졌다.[22] 그러나 조지는 1936년 프랑스에서 캐나다 국립 비미 기념관을 봉헌했을 때 형이자 이전 캐나다 군주국의 에드워드 8세가 세운 선례를 따른 것이었다.[23] 지방 자치 단체에서 공공 행사에서 이 노래의 사용을 규제하는 법규 및 관행은 다양했으며, 토론토에서는 "신이여, 국왕을 지켜주소서" 또는 "신이여, 여왕을 지켜주소서"를 사용했고, 몬트리올에서는 "오 캐나다"를 사용했다.

1964년 레스터 B. 피어슨 총리는 한 곡을 국가로 선택해야 한다고 말했고, 정부는 두 음악 작품의 지위를 검토하기 위해 합동 위원회를 구성하기로 결의했다. 다음 해, 피어슨은 하원에 "정부는 '오 캐나다'를 캐나다의 국가로, '신이 여왕을 지켜주소서'를 캐나다의 왕실 찬가로 규정하기 위해 필요한 조치를 취하도록 권한을 부여받는다"는 동의안을 제출했고, 의회는 이를 승인했다. 1967년, 총리는 캐나다 총독 조르주 바니에에게 국가 및 왕실 찬가에 관한 캐나다 상원캐나다 하원의 특별 합동 위원회를 임명하도록 권고했다. 이 그룹은 2월에 처음 회의를 가졌고,[26] 두 달 안에, 1967년 4월 12일에 "오 캐나다"를 국가로, "신이 여왕을 지켜주소서"를 캐나다의 왕실 찬가로 지정하고,[1] 각 노래의 한 연을 두 개의 공식 언어로 의회에서 채택해야 한다는 결론을 제시했다. 그 후 이 그룹은 각 노래에 대한 공식 가사를 확정하는 임무를 맡았다. "오 캐나다"의 경우, 1908년 로버트 스탠리 웨어 버전의 영어 가사가 추천되었으며, "지켜라"라는 구절 중 두 구절을 "온 세상에서"와 "하느님, 우리 땅을 지켜주소서"로 약간 변경했다.[27][1]

1970년, 캐나다의 여왕은 Gordon V. Thompson Music으로부터 "오 캐나다"의 가사와 음악에 대한 권리를 1USD에 구매했다.[28] 이 노래는 마침내 1980년 ''국가 제정법''의 통과로 공식적인 국가가 되었다.[23][26] 이 법은 상원 특별 합동 위원회가 제안한 대로 영어 가사에서 "우리는 지킨다"라는 구절의 반복 중 두 구절을 대체했다. 이 변경은 전통주의자들에게 논란을 일으켰고, 그 후 몇 년 동안, 공공 행사에서 여전히 옛 가사를 부르는 사람들을 흔히 들을 수 있었다. 반면에, 프랑스어 가사는 원본 버전에서 변경되지 않았다.[29]

3. 가사

캐나다의 국가("O Canada")는 영어프랑스어 두 가지 공식 가사가 있으며, 두 가사는 서로 정확히 번역된 것이 아니다. 영어 가사는 원래 "in all thy sons command" (너의 모든 아들 안에)였으나, 성차별적이라는 비판을 받아 "in all of us command" (우리 모두에게)로 변경되었다.

영어 가사한국어 번역한국어 독음



프랑스어 가사한국어 번역


3. 1. 공식 가사

캐나다의 국가에 관한 법률은 캐나다의 두 공용어인 영어프랑스어로 "O Canada"에 대한 가사를 규정하고 있다. 그러나 두 가사는 서로 번역된 것이 아니다.[1][6][7]

영어 가사프랑스어 가사IPA 표기의회 번역국의 영어 번역



"강하고 자유로운 진정한 북쪽"이라는 구절은 테니슨 경이 캐나다를 "우리가 최근에 들었던 진실한 북쪽 / 우리를 부끄럽게 하는 소리"로 묘사한 것을 바탕으로 한다. 테니슨의 시 ''여왕에게''의 맥락에서, '진실한'이라는 단어는 '충성스러운' 또는 '충실한'을 의미한다.[10]

"O Canada"의 가사와 멜로디는 모두 퍼블릭 도메인에 속하며,[1] "빛나는 마음으로"와 "des plus brillants exploits프랑스어"라는 문구를 2010년 밴쿠버 동계 올림픽에 상표 등록해도 이 상태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11]

이중 언어 버전 1[8]이중 언어 버전 2[9]



NHL 경기에서는, 몬트리올에서는 2/3를 프랑스어로, 1/3을 영어로, 오타와에서는 처음 1/3을 영어로, 다음 1/3을 프랑스어로, 마지막 1/3을 영어로 부르는 등, 영어와 프랑스어를 섞어서 부르기도 한다. 처음과 마지막을 프랑스어로, 중간을 영어로 부르는 공식 가사도 있다.

한편 메이저 리그에서는, 토론토 블루제이스가 현재 유일한 캐나다 구단이지만, 해당 구단의 연고지인 온타리오주토론토를 포함해, 리그에 가맹된 모든 구단의 연고지가 영어권에 있기 때문에, 영어 가사만 불리고 있다. 비공식적으로는, 주로 누나부트 준주에서 사용되는 이누이트어 가사도 있다.

3. 2. 가사 논쟁과 변화

캐나다 국가의 영어 가사 중 "in all thy sons command"(모든 너의 아들 안에)라는 구절은 성차별적이라는 지적을 받아 "in all of us command"(우리 모두에게)로 변경되었다.[1]

1990년 6월, 토론토 시의회는 "우리의 고향이자 고유한 땅"을 "우리의 고향이자 소중한 땅"으로, "모든 아들들에게 명령을 내려라"를 "우리 모두에게 명령을 내려라"로 변경할 것을 캐나다 정부에 권고하는 안건에 대해 찬성 12표, 반대 7표로 가결했다. 하워드 모스코 시의원은 "고유한 땅"이라는 표현이 출생지가 캐나다가 아닌 사람들에게 부적합하며, "아들들"이라는 단어는 여성이 캐나다에 대한 진정한 애국심을 느낄 수 없다는 것을 암시한다고 주장했다.[30] 비비안 포이 상원의원 또한 국가의 영어 가사가 성 중립적 언어가 아니라며 2002년에 해당 구절을 변경하는 법안을 발의했다.[21] 2000년대 후반에는 국가의 종교적 언급(영어의 신, 프랑스어의 기독교 십자가)이 세속주의자들로부터 비판받았다.[31]

2010년 3월 3일, 캐나다 총독 미셸 장은 어좌 연설에서 국가의 "원래의 성 중립적 표현"을 검토할 것을 의회에 요청하는 계획을 발표했다.[32] 그러나 이 제안은 캐나다 국민 4분의 3의 반대에 부딪혔고,[33] 이틀 후 캐나다 총리실은 캐나다 내각이 원래 가사를 복원하지 않기로 결정했다고 발표했다.[34]

모릴 벨랑제 자유당 국회의원은 국가를 성 중립적으로 만들기 위해 2014년 9월 의원 발의 법안을 제출했다. 그의 법안 C-624, '국가법 개정법(성)'은 2015년 4월 2독회에서 부결되었다.[35] 2015년 캐나다 연방 선거 이후, 벨랑제는 2016년 1월 새 의회에서 이 법안을 법안 C-210으로 재발의했다.[36] 2016년 6월, 이 법안은 캐나다 하원에서 찬성 225표, 반대 74표로 3독회를 통과했다.[37] 2018년 1월 31일, 캐나다 상원에서 구두 표결로 3독회를 통과했으며, 2018년 2월 7일 국왕 재가를 받았다.[38][39]

웨어가 1908년에 영어 가사를 처음 작성했을 때는 "sons"라는 단어가 없었고, "thou dost in us command"라는 다소 고풍스러운 표현을 사용했으며, 종교적 표현도 없었다. 그러나 제1차 세계 대전의 영향으로 "thou dost in us command"가 "in all thy sons command"로 바뀌면서 종교적인 표현이 추가되었다고 한다.[56]

2010년 밴쿠버 동계 올림픽에서 캐나다가 획득한 금메달 14개 중 6개가 여성 선수들의 몫이었고, 캘거리 대학교의 리즈베스 도널드슨 명예 교수는 스티븐 하퍼 총리에게 "여성들이 시상대에서 'in all thy sons command'라고 노래하는 것은 눈에 거슬린다"라는 내용의 이메일을 보냈다. 하퍼 총리도 이에 동의하여 국가 수정안을 국회에 제출했지만, 국민들의 비판이 쇄도하여 즉시 철회했다.[57]

2016년 1월, 모릴 벨랑제 하원 의원은 "아들들(in all thy sons command)"을 "우리(in all of us command)"로 바꾸는 법안을 의원 입법으로 제출했다.[58] 이 법안은 같은 해 6월 하원을 통과하고, 2018년 2월 2일 상원에서 가결되어 새로운 가사가 된 국가가 그 자리에서 제창되었다.[58][59]

3. 3. 다양한 언어 버전

캐나다의 국가에 관한 법률은 캐나다의 두 공용어인 영어프랑스어로 "O Canada"의 가사를 규정하고 있다. 그러나 두 가사는 서로 번역된 것이 아니다.[1][6][7]

영어 가사한국어 번역한국어 독음



프랑스어 가사한국어 번역



"O Canada"의 가사와 멜로디는 모두 퍼블릭 도메인에 속한다.[1] 가사는 캐나다 원주민 언어 여러 개로 번역되었으며, 여기에는 이누이트어, 오지브웨어,[14] 크리어,[15] 그리고 미크맥어가 포함된다.[16] 영어, 프랑스어, 이누이트어로 된 3개 국어 버전도 있다.[17]

NHL 경기에서는, 몬트리올에서는 2/3를 프랑스어로, 1/3을 영어로, 오타와에서는 처음 1/3을 영어로, 다음 1/3을 프랑스어로, 마지막 1/3을 영어로 부르는 등, 영어와 프랑스어를 섞어서 부르기도 한다. 처음과 마지막을 프랑스어로, 중간을 영어로 부르는 공식 가사도 있다.

메이저 리그에서는, 토론토 블루제이스가 현재 유일한 캐나다 구단이지만, 해당 구단의 연고지인 온타리오주토론토를 포함해, 리그에 가맹된 모든 구단의 연고지가 영어권에 있기 때문에, 영어 가사만 불리고 있다. 비공식적으로는, 주로 누나부트 준주에서 사용되는 이누이트어 가사도 있다.

4. 음악

Ô Canada프랑스어는 원래 F 장조로 쓰여진 28마디의 노래로, 4성부와 피아노를 위한 행진곡이며, 4/4 박자로 "장엄하게 그리고 결연하게it" 연주되도록 작곡되었다. 원본 악보는 분실되었다.[26]

음악학자 로스 더핀은 라발레가 Ô Canada프랑스어의 멜로디를 모차르트의 마술 피리(1–8마디), 바그너의 "Wach auf, es nahet gen den Tag"(9–16마디), 리스트의 "Festklänge"(17–20마디)와 마티아스 켈러의 "The American Hymn"(21–28마디)에서 자료를 차용하여 구성했다고 주장했다.[4][5]

5. 연주

"O Canada"는 캐나다 팀이 참여하는 스포츠 행사 전에 정기적으로 연주된다. 이러한 공개 행사에서 가수는 종종 영어와 프랑스어 가사를 섞어 캐나다의 언어적 이원성을 나타낸다.[41] 다른 언어적 변형도 연주되었다. 1988년 캘거리 동계 올림픽 개막식에서 "O Canada"는 유콘 원주민 다니엘 텔렌이 남부 투촌어로 불렀다.[42][43] 2007년 2월 캘거리에서 열린 내셔널 하키 리그(NHL) 경기에서 크리족 가수 아키나 셔츠는 이 행사에서 크리어로 "O Canada"를 공연한 최초의 사람이 되었다.[44]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메이저 리그 사커, 내셔널 농구 협회, 그리고 NHL은 모두 양국에서 온 팀이 참여하는 경기(예: 올스타전)에서 캐나다 국가와 미국 국가를 모두 연주하도록 요구하며, 원정 팀의 국가를 먼저 연주하고, 개최국의 국가를 연주한다.[45] NHL의 버팔로 세이버스는 팀의 상당한 캐나다 팬층을 인정하여 상대 팀에 관계없이 모든 홈 경기 전에 두 국가를 모두 연주한다.[46]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팀은 토론토 블루제이스와 이전의 몬트리올 엑스포스가 참여하는 경기에서 이 노래를 연주했으며,[47] 내셔널 농구 협회 팀은 토론토 랩터스와 이전에 밴쿠버 그리즐리스가 참여하는 경기를 위해 그렇게 한다. 메이저 리그 사커토론토 FC, CF 몬트리올, 밴쿠버 화이트캡스 FC가 참여하는 경기에서 국가를 연주한다. 또한, 캐나다 팬층을 인정하여 내셔널 풋볼 리그의 버팔로 빌스는 캐나다에 기반을 둔 NFL 팀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홈 경기 전에 "The Star-Spangled Banner" 전에 "O Canada"를 연주한다. "O Canada"는 랩터스가 참여하는 NBA 글로벌 게임 및 블루제이스가 참여하는 MLB 월드 투어 게임뿐만 아니라 캐나다 팀이 참여하는 NHL 글로벌 시리즈 게임에서도 연주되었다.

린든 슬루이치가 오타와 세너터스 경기 전에 "O Canada"를 부르는 모습

6. 법적 지위

''국가법''은 "O Canada"의 가사와 선율을 명시하며, 둘 다 퍼블릭 도메인에 두어 국가를 자유롭게 복제하거나 편곡을 포함한 파생 작품의 기반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48][49] "O Canada"의 연주에 대한 규정은 없으며, 시민의 판단에 맡겨져 있다. 행사에서 연주될 때, 다른 국가가 연주되는 경우를 포함하여 의례의 시작이나 끝에 국가를 연주하는 것이 전통적인 에티켓이며, 관객은 연주 동안 기립해야 한다. 민간 남성은 보통 모자를 벗지만, 여성과 어린이는 그럴 필요가 없다.[50] 군인은 제복을 입고 국가 연주 동안 모자를 쓴 채 캐나다 국기가 있는 경우 국기를 향해, 국기가 없는 경우에는 차렷 자세로 경례를 한다.[50]

현재, 매니토바, 뉴브런즈윅, 노바스코샤, 온타리오 및 프린스 에드워드 아일랜드의 지방 규정 및 정책은 공립 초등학교 및 중등학교에서 매일 국가를 연주하도록 의무화하고 있다.[51][52] 브리티시컬럼비아 학교에서는 연례 행사에서 최소 세 번 "O Canada"를 연주해야 한다.[52] 다른 주 및 준주에는 학교에서 국가를 연주하는 것에 대한 주 차원의 의무 규정 및 정책이 없다.[52]

참조

[1] 웹사이트 Full history of 'O Canada' https://www.canada.c[...] Department of Canadian Heritage 2018-01-05
[2] 뉴스 The women who fought to make Canada's national anthem gender-neutral https://www.bbc.co.u[...] 2018-02-09
[3] 서적 From sea to sea to sea: a newcomer's guide to Canada Full Blast Productions
[4] 간행물 Calixa Lavallée and the Construction of a National Anthem https://doi.org/10.1[...] 2020-06-28
[5] 뉴스 Expat Musicologist Contends O Canada Not an Original Composition https://www.theglobe[...] 2020-08-03
[6] 웹사이트 Patrimoine canadien – Hymne national du Canada http://canada.pch.gc[...] Queen's Printer for Canada null
[7] 서적 House of Commons debates, official report http://parl.canadian[...] Queen's Printer
[8] 웹사이트 O Canada our national anthem https://www.canada.c[...]
[9] 웹사이트 O Canada – Notre hymne national (version bilingue) https://www.canada.c[...]
[10] 서적 Colombo's All-Time Great Canadian Quotations https://archive.org/[...] Stoddart 1995-02
[11] 뉴스 Olympic mottoes borrow lines from O Canada https://www.cbc.ca/n[...] Canadian Broadcasting Corporation 2008-09-25
[12] 웹사이트 The Coat of Arms, Emblems and the Manitoba Tartan Amendment Act http://web2.gov.mb.c[...] Manitoba Government 1993-07-27
[13] 웹사이트 Alberta Culture and Community Spirit – Provincial Motto, Colour and Logos http://culture.alber[...] Culture.alberta.ca 1968-06-01
[14] 웹사이트 Canadian National Anthem - Translations https://www.edu.gov.[...] Manitoba Education and Early Childhood Learning
[15] 웹사이트 CityNews https://calgary.city[...] 2022-07-26
[16] 웹사이트 Aboriginal Language Initiative - O' Kanata https://firstnationh[...]
[17] 웹사이트 O Canada in Inuktitut, French, and English https://www.youtube.[...] 2021-11-10
[18] 서적 The Quebec History Encyclopedia Marianopolis College
[19] 뉴스 The Strange History of 'O Canada' https://thewalrus.ca[...] 2017-06-27
[20] 서적 The Common School Book of Vocal Music: A One-Book Course of Song and Study for Use in Schools of Mixed Grades https://archive.org/[...] W. J. Gage & Co
[21] 간행물 Bill to Amend—Second Reading—Debate Adjourned http://www.parl.gc.c[...] Queen's Printer for Canada 2002-02-21
[22] 간행물 A gift fit for a king http://www.macleans.[...] Rogers Communications 2011-07-07
[23] 간행물 Fiftieth Anniversary of the 1939 Royal Visit http://www2.parl.gc.[...] Commonwealth Parliamentary Association
[24] 간행물 Calixa Lavallée and the Construction of a National Anthem 2020-06-28
[25] 뉴스 Expat Musicologist Contends O Canada Not an Original Composition https://www.theglobe[...] 2020-08-03
[26] 서적 The Canadian Encyclopedia Historica Foundation of Canada
[27] 서적 The Canadian Encyclopedia Historica Foundation of Canada
[28] 웹사이트 The Canadian Encyclopedia
[29] 웹사이트 National anthem: O Canada http://cnews.canoe.c[...] Canoe 2004-05-26
[30] 뉴스 'O Canada' offensive, Metro says 1990-06-06
[31] 웹사이트 Is Canada a Secular Nation? Part 3: Post-Charter Canada http://www.americanh[...] Institute for Humanist Studies 2006-05-17
[32] 뉴스 O Canada lyrics to be reviewed http://news.ca.msn.c[...] MSN 2010-03-03
[33] 뉴스 English-Speaking Canadians Reject Changing Verse from "O Canada" Angus Reid Public Opinion 2010-03-05
[34] 뉴스 National anthem won't change: PMO http://www.cbc.ca/ne[...] Canadian Broadcasting Corporation 2010-03-05
[35] 웹사이트 Private Member's Bill C-624 (41–2) http://www.parl.gc.c[...] Parliament of Canada
[36] 웹사이트 "Private Member's Bill C-210 (42–1)" http://www.parl.gc.c[...] Parliament of Canada 2016-06-06
[37] 뉴스 "Dying MP's gender-neutral O Canada bill passes final Commons vote" http://www.cbc.ca/ne[...] 2016-06-15
[38] 뉴스 "'In all of us command': Senate passes bill approving gender neutral anthem wording" http://www.cbc.ca/ne[...] 2018-01-31
[39] 웹사이트 O Canada now officially gender neutral after bill receives royal assent http://www.cbc.ca/ne[...] 2018-02-07
[40] 웹사이트 O Canada http://www.lieutenan[...] Queen's Printer for Alberta 2008-04-17
[41] 뉴스 Turin Bids Arrivederci to Winter Olympics https://www.nytimes.[...] 2006-02-26
[42] 웹사이트 Daniel Tlen http://www.yfn2010.o[...] Yukon First Nations
[43] Youtube O Canada (Canada National Anthem) // Calgary 1988 Version
[44] 뉴스 Edmonton girl to sing anthem in NHL first at Saddledome https://www.cbc.ca/n[...] Canadian Broadcasting Corporation 2007-02-01
[45] 웹사이트 NHL Seeks to Stop Booing For a Song https://www.usatoday[...] 2003-03-23
[46] 웹사이트 Buffalo Sabres' History with Canada https://thehockeywri[...] 2022-08-07
[47] 서적 Canada 2012 https://archive.org/[...] Stryker Post
[48] 웹사이트 "National Anthem Act (R.S.C., 1985, c. N-2)" http://laws-lois.jus[...] Queen's Printer for Canada 2011-04-15
[49] 문서 National Anthem Act
[50] 웹사이트 Anthems of Canada http://canada.pch.gc[...] Government of Canada 2016-06-02
[51] 웹사이트 Policy/Program Memorandum No. 108 http://www.edu.gov.o[...] Queen's Printer for Ontario 2019-05-29
[52] 논문 Patriotism, nationalism, and national identity in music education: 'O Canada', how well do we know thee?
[53] 웹사이트 A Song For Mary http://www.ateneo.ed[...] 2015-06-14
[54] 웹사이트 THE PHILIPPINE CONSTABULARY BAND https://www.filipina[...]
[55] 문서 汝の息子全ての中に流れる真の愛国心」はカナダ大使館のHPにも見られる訳文である。ただしその文法をみると、True patriot loveは目的語、in all thy sonsは前置詞句、commandは動詞で、主語はなく、通常の語順であれば、Command true patriot love in all thy sons.となる。commandを文尾に置いたのは、landとともに韻をふませるためであろう。これを命令文と解するならばその訳文は、「汝の息子全ての中に、真の愛国心を鼓舞せしめよ」となろうか。
[56] 웹사이트 国歌「オー・カナダ」の歌詞変更を検討 http://blog.so-net.n[...]
[57] 웹사이트 カナダの国歌が男女差別的?五輪余波かも https://web.archive.[...]
[58] 뉴스 カナダにもALS患者の議員 国歌の歌詞修正に尽力 https://digital.asah[...] 2019-07-28
[59] 웹사이트 カナダ上院、国歌の歌詞変更法案を可決 性的区別なくす(AFPBB、2018年2月3日) http://www.afpbb.com[...] 2018120508111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