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도폐쇄증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담도폐쇄증은 간에서 십이지장으로 담즙을 운반하는 담관이 막히는 희귀 질환으로, 신생아에게 발생하며, 원인은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다. 임신 중 바이러스 감염, 유전적 요인, 독성 물질 노출 등이 원인으로 추정된다. 주요 증상으로는 황달, 흰색 변, 어두운 소변이 나타나며, 치료하지 않으면 간부전으로 이어진다. 진단은 혈액 검사, 영상 검사 등을 통해 이루어지며, 확진을 위해 수술적 담도 조영술을 실시하기도 한다. 치료는 수술이 유일하며, 카사이 수술(간문맥장문합술)을 통해 담즙 배출 통로를 만들고, 수술 후에도 합병증 관리 및 간 이식이 필요할 수 있다. 전 세계적으로 신생아 1만 명당 1명 정도의 빈도로 발생하며, 여아에게서 더 흔하게 나타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간장학 - 간세포암
간세포암은 간에서 발생하는 악성 종양으로, 만성 간 질환 환자에게서 주로 발생하며, 다양한 원인과 위험 요인에 의해 발생하고, 복통, 황달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으며, 수술, 간 이식 등의 치료 방법이 사용되고, 예방을 위해 B형 간염 예방 접종 등이 중요하다. - 간장학 - 담관
담관은 간에서 십이지장으로 연결되는 관 네트워크로, 담즙을 운반하여 지방의 소화와 흡수를 돕고, 폐쇄 시 황달을 유발하며, 담관 배액 시술 등으로 치료한다. - 희귀질환 - 쇼그렌 증후군
쇼그렌 증후군은 자가면역 반응으로 발생하는 만성 염증성 질환으로, 침샘과 눈물샘 등에서 분비물 감소를 유발하여 건성안, 구강건조증 등 다양한 증상을 나타낸다. - 희귀질환 - 헌팅턴병
헌팅턴병은 헌팅턴 유전자 내 CAG 삼염기 반복 서열의 이상으로 인해 발생하는 진행성 신경퇴행성 질환으로, 운동, 인지, 정신 기능에 다양한 증상을 유발하며, 상염색체 우성 유전 방식으로 유전된다.
담도폐쇄증 | |
---|---|
질병 정보 | |
![]() | |
분야 | 소아외과학 |
ICD10 | Q44.2 |
OMIM | 210500 |
DiseasesDB | 1400 |
MedlinePlus | 001145 |
개요 | |
정의 | 출생 시 간 내 담도의 폐쇄, 차단 또는 협착 |
동의어 | 간외 담관결핍증 |
증상 | 황달, 창백한 대변, 짙은 소변 |
합병증 | 간경변, 문맥압항진증, 간부전 |
발병 시기 | 유아기 |
유형 | 선천성, 후천성 |
원인 | 불명 |
위험 요인 | 불명 |
진단 | 검사 및 영상 검사 |
감별 진단 | 기타 간 질환 |
예방 | 불가능 |
치료 | 수술, 간 이식 |
약물 | 해당사항 없음 |
예후 | 치료 시 생존 가능성 증가 |
빈도 | 동아시아 1/5,000, 미국 1/10,000-15,000 |
사망률 | 치료하지 않으면 높음 |
기타 정보 | |
영어 | Biliary atresia, progressive obliterative cholangiopathy |
일본어 | 胆道閉鎖症 (Tandō heisashō) |
로마자 표기 | Tandō heisashō |
2. 원인
간에서 생성된 담즙은 좌우의 간관에서 총간관, 담낭, 총담관(간외 담관)을 거쳐 십이지장의 파터 유두로 배출된다. 담도 폐쇄증 환아는 생후 초기에 이 간외 담관이 염증으로 파괴되어 담즙의 흐름이 막힌다. 그 결과 배출되지 못한 담즙이 간에 축적되어 (담즙 울체) 폐쇄성 황달을 일으킨다. 이 때문에 환아는 직접 빌리루빈이 높은 고빌리루빈혈증을 보인다. 방치하면 간 내에 울체된 담즙으로 인해 담즙성 간경변이 유발되어 치명적일 수 있다. 약 85%에서 간문부를 주 병변으로 하여 이 부분의 섬유화 및 결합 조직 치환이 보이지만, 병변이 간 내의 소엽간 담관까지 미치는 예도 많다.
1만 명당 출생률은 1.03~1.37 정도로 추정된다. 통계상 여아의 발생률이 남아에 비해 약간 높다. 인종, 계절별 차이 등이 보고되고 있지만, 조사는 불충분하다. 명확한 유전성은 보고되지 않았으며, 다인자 유전의 관계가 시사되고 있다.[32] 해외에서는 무비증, 다비증(Situs ambiguus영어)과의 합병이 보고되고 있지만, 일본에서는 합병률이 낮다. 유럽, 미국에서 실시된 증례 조사에서는 약 10%에서 비장 이상과의 합병이 보이며 Biliary atresia splenic malfomation syndrome (BASM) 등으로 불린다.[33]
담도폐쇄증의 원인으로는 담도 형성 이상, 레오바이러스, 로타바이러스, 거대 세포 바이러스, 엡스타인-바 바이러스, 파필로마바이러스 등과 같은 바이러스 감염, 자가 면역 등의 면역 이상 설 등이 제기되고 있지만, 어느 것도 결정적이지 않다.
2. 1. 바이러스 감염
임신 중 산모의 로타바이러스 감염과 이후 자녀에게 바이러스가 전파되어 담도 상피에 감염, 폐쇄성 섬유증을 유발하는 것이 담도폐쇄증과 관련하여 중요할 수 있다.[11] 코로나19와 같은 다른 바이러스 감염과 관련될 수 있으며, 간친화성 바이러스인 레오바이러스 3 감염이 제안되었고,[12] 선천성 거대세포바이러스 감염도 관련될 수 있다.[13] 그러나 이러한 대체적 원인에 대한 실험적 증거는 다소 미약하다.[15]2. 2. 유전적 요인
전장 유전체 연관성 연구를 통해 ''ADD3'' 유전자와 담도폐쇄증 간의 연관성이 처음 중국인 집단에서 발견되었으며, 태국인 아시아인과 백인에서도 확인되었다. 글리피칸 1인 헤파란 황산 프로테오글리칸을 암호화하는 ''GPC1'' 유전자의 결손과도 관련이 있다는 보고가 있다.[16] ''GPC1'' 유전자는 2번 염색체의 장완(2q37)에 위치하며 염증 조절 및 고슴도치 신호 전달 경로 유전자에 관여한다.담도폐쇄증이 있는 이집트 신생아는 ''GSTM1'' 유전형이 결손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모든 어머니는 ''GSTM1''에 대해 이형접합성을 보였다. 따라서 이러한 신생아는 자궁 내에서는 어머니의 해독 시스템에 의해 보호받을 수 있지만, 출생 후에는 아플라톡신 부하의 해독을 처리할 수 없다.
2. 3. 독성 물질
임신 후기에 아플라톡신 B1, B2에 노출되면 담도폐쇄증이 발생할 수 있다. 산모의 해독 작용은 자궁 내 아기를 보호하지만, 출생 후 아기는 혈액과 간에서 아플라톡신과 싸우게 된다. 또한 아기는 엄마로부터 아플라톡신 B1의 해독 생성물인 아플라톡신 M1을 섭취하는데, 이는 아기에게 담관염을 유발하는 덜 심각한 독소이다.[17]동물에게서 담도폐쇄증은 드물게 나타난다. 예를 들어, 붉은 크럼위드라는 잡초에 오염된 땅에서 풀을 뜯어먹은 양에게서 태어난 새끼 양들은 특정 시기에 담도폐쇄증을 앓았다. 이 식물에서는 빌리아트레손이라는 독소가 발견되었다.[18] 인간 담도폐쇄증과 빌리아트레손 같은 독소 사이의 연관성을 밝히기 위한 연구가 진행 중이다. 특정 인간 장내 세균의 대사 산물이 빌리아트레손과 유사할 수 있다는 징후가 있다.[19]
2. 4. 자가면역
일부 사례에서 자가면역 과정이 담도 폐쇄증 발병에 기여할 수 있다는 가설이 제기되고 있다.[14] 그러나 이러한 대체적 원인에 대한 실험적 증거는 다소 미약하다.[15]3. 병태생리
간에서 생성된 담즙은 좌우의 간관에서 총간관, 담낭, 총담관(간외 담관)을 거쳐 십이지장의 파터 유두에서 배출된다. 담도 폐쇄증 환아는 생후 초기에 이 간외 담관이 염증으로 파괴되어 담즙의 흐름이 막힌다.[21] 이로 인해 배출되지 못한 담즙이 간에 축적되어 (담즙 울체) 폐쇄성 황달을 일으키고, 직접 빌리루빈 우위의 고빌리루빈혈증을 보인다. 방치하면 간 내에 울체된 담즙으로 인해 담즙성 간경변이 유발되어 치명적일 수 있다. 병변은 주로 간문부의 섬유화 및 결합 조직 치환 형태로 나타나지만, 간 내 소엽간 담관까지 미치는 경우도 많다.
담도 폐쇄증의 주요 유형은 다음과 같다.
- I형: 총담관에 국한된 폐쇄.
- II형: 총간관의 폐쇄.
- III형: 담관 근위부의 폐쇄 (전체 사례의 95% 이상).
이집트 연구에 따르면, 담도 폐쇄증이 있는 모든 신생아의 간 조직과 혈액에서 아플라톡신 B1이 비정상적으로 높은 수치로 발견되었고, 아플라톡신 B2는 덜했다. 아플라톡신은 간세포에 광범위한 손상을 일으켜 간염을 유발하고, 담관 손상으로 염증, 유착, 담관 폐쇄를 유발할 수 있다.[17] 아플라톡신에 노출된 신생아는 글루타티온 S 전이 효소(GST) M1의 동형 접합자 결손과 같은 유전적 해독 결함으로 인해 아플라톡신을 효과적으로 해독하지 못한다.[22] 손상된 간세포 및 담관 세포는 호중구 엘라스타제와 CCL-2(MCP-1), TNF, IL-6, TGF-베타, ET, NO 등 면역계 매개체의 작용으로 제거된다. 이 중 TGF-베타는 진행성 간경변에서 나타나는 가장 중요한 섬유화 촉진 사이토카인이다.
손상된 간세포와 담관세포 제거를 위한 면역 반응은 재생을 유도하지만, 담도 폐쇄증 환아는 p53과 GSTPi 손상으로 간 재생 능력이 저하되어 간경변이 가속화되고 문맥 고혈압으로 진행된다.
4. 증상
신생아 황달은 유아에게 흔히 나타나는 비교적 무해한 질환이지만, 담도 폐쇄증의 초기 증상은 신생아 황달과 구별하기 어렵다. 그러나 담도 폐쇄증이 있는 유아는 점차적으로 결합 빌리루빈 증가를 동반한 황달, 창백한 흰색 변, 어두운 소변을 보인다. 일부 유아는 지방 및 지용성 비타민(예: 비타민 K) 흡수 불량으로 인해 제대로 성장하지 못하고, 이는 출혈 경향을 유발할 수 있다. 보통 2개월 이후에 간경변과 문맥 고혈압이 발생하며, 치료하지 않으면 간부전으로 이어질 수 있다.
담도폐쇄증의 3가지 징후는 "신생아기부터 영아기 초기에 나타나는 변색 이상, 간 비대, 황달"이다. 담즙이 장관으로 배설되지 않아 빌리루빈에 의해 변이 착색되지 않아 회백색 변이 된다. 그러나 미량이나마 담즙 배설이 일어나는 경우(담관이 완전 폐쇄되지 않은 경우)는 옅은 황색~노란색 변이 되기도 한다. 담즙 정체로 인해 간이 비대해지고, 치료가 늦어진 경우 간경변을 일으킨다. 또한, 간외 담관의 폐쇄로 인해 폐쇄성 황달, 직접 빌리루빈 우위의 고빌리루빈혈증이 발생하며, 이로 인해 진한 갈색 소변이 나타난다.[36]
담즙에 포함된 담즙산은 지질 흡수에 필수적이므로, 환아는 지용성 비타민(비타민 A, 비타민 D, 비타민 E, 비타민 K)의 흡수 장애를 겪는다. 이 중 비타민 K는 응고계에 필수적인 영양소이며, 부족하면 출혈 경향을 보인다(비타민 K 결핍성 출혈증). 환아의 약 4%는 두개 내 출혈로 발병하며, 신경학적 후유증을 남길 뿐만 아니라 때로는 사망에 이르기도 한다. 2차성 비타민 K 결핍성 출혈증의 2~3할이 담도폐쇄증 환아라는 보고도 있다. 환아에게 비타민 K를 보충할 때는 경구 섭취가 아닌 정맥 주사나 근육 주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37][38][39]
5. 진단
진단은 병력 평가, 신체 검사, 혈액 검사, 간 생검, 영상 검사를 통해 이루어지며, 지속적이거나 오래 지속되는 황달과 간 기능 검사 이상으로 인해 의심된다. 초음파 검사 또는 방사성 동위원소 간 스캔과 같은 다른 형태의 영상 검사도 사용할 수 있지만, 최종 확진은 대개 탐색 수술 시에만 이루어진다.[25]
감별 진단은 광범위하며 알라질 증후군, 알파-1 항트립신 결핍증, 바이일러 병(진행성 가족성 간내 담즙 정체), 캐롤리 병, 총담관 낭종, 담즙 정체, 선천성 거대세포바이러스 질환, 선천성 단순 포진 바이러스 감염, 선천성 풍진, 선천성 매독, 선천성 톡소플라스마증, 낭성 섬유증, 갈락토스 혈증, 특발성 신생아 간염, 지질 축적 질환, 신생아 혈색소 침착증, 총 비경구 영양 관련 담즙 정체를 포함한다.[25]
지속성 황달이나 변색 이상(회백색 변 등), 간 비대를 보이는 환아는 가능한 한 빨리 정밀 검사를 실시해야 한다.
일본담도폐쇄증연구회가 2018년에 정리한 "담도폐쇄증 진료 가이드라인"에서는, 먼저 직접 빌리루빈을 포함한 혈액 검사를 실시하는 것이 간편하다고 되어 있다. 이 단계에서 담즙 울체가 의심되는 경우 비타민 K 제제의 정맥 주사를 고려한다. 십이지장액 채취 검사에서는 담즙이 혼입되지 않아 무색 투명하다. 복부 초음파 검사에서는 간문 부위의 문맥 전방에 고휘도 영역이 보이는 경우가 있으며, 두께 4mm 이상에서 triangular cord sign 양성으로 간주한다. 또한 담낭의 위축・묘출 불량을 동반하는 경우도 있다. 간담도 신티그래피에서는 핵종이 간에 축적되지만, 간 외로 배설되지 않는다.
이러한 검사에서 담도폐쇄증이 부정되지 않거나 의심되는 경우에는 조기에 수술적 담도 조영(개복 또는 복강경, 담낭 경유로 실시)을 실시하여 확정 진단을 내린다. 담도 조영 불가능 예에서는 수술 시의 육안 소견으로 병형을 결정한다.
6. 치료
담도폐쇄증의 근본적인 치료법은 수술이다. 담도폐쇄증을 앓는 영아의 대다수(95% 이상)는 자체 간을 보존하고, 담즙 흐름을 회복시키며, 황달 수치를 낮추기 위해 수술을 받는다.
간 이식은 카사이 수술 (간문맥장문합술)에 간 기능과 증상이 반응하지 않는 어린이들을 위한 선택 사항이다.
Davenport 등(''Annals of Surgery'', 2008)의 최근 대규모 연구에 따르면 환자의 연령은 예후에 영향을 미치는 절대적인 임상적 요인은 아니다. 연령의 영향은 담도폐쇄증이 고립성인지, 낭성(CBA)인지, 또는 비장 기형(BASM)을 동반하는지에 따라 질병의 원인에 따라 다르다.
코르티코스테로이드 치료는 카사이 수술 후, 담즙 분비 촉진제 및 항생제와 함께 또는 없이도 수술 후 담즙 흐름에 유익한 영향을 미치고 황달을 제거할 수 있다고 널리 알려져 있지만, 이상적인 스테로이드 프로토콜의 투여량과 지속 기간에 대해서는 논란이 있다. 또한, 많은 후향적 종단 연구에서 코르티코스테로이드 치료가 자체 간 생존율 또는 이식 없는 생존율을 연장하는 것으로 보이지 않는다는 관찰 결과가 있었다.
6. 1. 카사이 수술 (간문맥장문합술)
가사이 모리오가 개발한 수술법으로, 간문맥장문합술이라고도 부른다. 이 수술은 담도폐쇄증을 완치하는 것은 아니지만, 황달을 완화하고 간 섬유화를 멈추어 정상적인 성장과 발달을 돕는다.[50] 일본, 북미, 영국의 연구 결과에 따르면, 수술받은 영아의 약 50~55%는 빌리루빈 수치가 정상으로 회복되었고, 40~50%는 5세 및 10세 이상까지 자체 간을 유지했다.카사이 수술은 폐쇄된 간외 담관을 최대한 절제하고, 간관 장 문합술 또는 Hepatoportoenterostomy|간문부 장 문합술영어을 시행한다. 간관 장 문합술은 선천성 담도 확장증에 준하는 수술법으로,[48] 공장을 간문부까지 올려 직접 간관에 봉합한다. 이 수술은 문합할 수 있을 정도의 간관 개존부가 있는 경우(기본형 분류 I형·II형 등)에만 가능하다.[49] 가장 흔한 III형(간문부 폐쇄)의 경우, 간문부의 결합 조직을 절제하고 절제면을 공장 거상각으로 덮는 간문부 장 문합술을 시행한다.[49]
거상각의 항문쪽에서는, 단순 Roux-en-Y anastomosis|Roux-en-Y 문합영어 또는 인공 장 밸브(역류 방지 밸브) 부가 Roux-en-Y 문합으로 재건한다. 인공 장 밸브는 수술 후 담관염 예방을 목적으로 하지만, 수술 성적에 큰 차이는 없어 최근에는 단순 Roux-en-Y 문합이 대부분이다.[50]
수술은 생후 60일 이내에 시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늦어질수록 간 섬유화가 진행되어 수술 후 담즙 배설 효과가 떨어진다.[51][52][53] 생후 30일 이내에 수술하면 자체 간 생존율과 감황률이 유의하게 높아지므로, 가능한 한 조기에 수술하는 것이 권장된다.
카사이 수술 후에는 코르티코스테로이드 치료가 담즙 흐름을 개선하고 황달을 제거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 담즙 분비 촉진제 및 항생제와 함께 투여되기도 하지만, 이상적인 스테로이드 프로토콜의 투여량과 지속 기간에 대해서는 논란이 있다.
6. 2. 간 이식
카사이 수술 후에도 간 기능이 회복되지 않거나 간경변이 진행된 경우 간 이식을 고려한다.7. 합병증 및 예후
근치술(카사이 수술) 후 황달 소실률은 약 60% 정도이다. 충분한 효과를 얻지 못하거나 황달이 재발한 경우, 또는 담즙성 간경변이 진행되어 자가 간 생존이 어려운 경우에는 간 이식을 받는 경우가 많다. 이때 대부분 생체 간 이식을 받게 된다. 황달이 재발한 경우에는 카사이 수술을 다시 시행하기도 한다. 간 이식 여부와 관계없이, 한번 발생한 간 기능 장애는 회복에 시간이 걸린다.
자가 간 생존 예후 인자로는 증생 담관의 형성, 담즙 울체 및 담즙성 간경변(섬유화)의 진행 정도 등이 있다.[54] 담도 폐쇄증 수술 후 환아는 생후 시간이 지남에 따라 증생 담관이 증가하는 모습을 보인다.[55] 수술 후 합병증으로는 상행성 담관염, 간경변으로 이어지는 문맥압 항진증(이로 인한 위 정맥류, 식도 정맥류, 비장 기능 항진증), 정맥류로 인한 소화관 출혈, 간경변으로 인한 간폐 증후군 등이 있다. 특히 상행성 담관염과 황달 개선 효과는 간 예후에 큰 영향을 미치므로, 수술 후 장기간 항생제, 스테로이드, 이담제(우르소데옥시콜산) 투여가 이루어진다. 니오 등은 항생제를 정맥 내 투여하고, 수술 후 7일째부터 프레드니솔론을 시작하는 수술 후 관리를 제안했다. 또한, 경구 섭취 시작과 함께 우르소데옥시콜산을 시작하여 이담을 돕고, 담즙 부족으로 흡수가 저하되는 지방 제제나 지용성 비타민(비타민 A, D, E, K)을 보충하도록 권고한다.
'담도 폐쇄증 전국 등록 2018년 집계 결과'에 따르면, 전체 생존율은 5년 89.5%, 10년 88.3%, 25년 85.3%였다. 반면 자가 간 생존율은 1년 73.6%, 5년 57.2%, 10년 50.4%, 25년 39.7%였다.
8. 역학
담도폐쇄증은 전 세계적으로 신생아 1만 명당 1명 정도의 빈도로 발생하며, 인종 및 지역에 따라 발생률에 차이가 있다. 한국에서는 1만 명당 1.03~1.37명 정도의 발생률을 보인다.[26] 통계상 여아의 발생률이 남아에 비해 약간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인종, 계절에 따른 발생률 차이도 보고되고 있지만, 추가적인 조사가 필요하다. 명확한 유전성은 보고되지 않았으며, 다인자 유전의 관계가 시사되고 있다.[32]
무비증(Asplenia), 다비증(Polysplenia) (내장 전위 증후군(Situs ambiguus))과 합병되는 경우가 보고되기도 하지만, 한국에서는 해외에 비해 합병률이 낮다. 유럽, 미국에서 실시된 증례 조사에서는 약 10%에서 비장 이상과 합병되며, 이를 BASM (Biliary atresia splenic malformation syndrome)이라고 부른다.[33]
참조
[1]
논문
Biliary atresia
[2]
서적
Sleisenger and Fordtran's Gastrointestinal and Liver Disease: Pathophysiology, Diagnosis, Management
Elsevier Health Sciences
[3]
논문
The frequency and outcome of biliary atresia in the UK and Ireland
[4]
논문
Biliary atresia
[5]
논문
Extrahepatic Biliary Atresia is an Aflatoxin Induced Cholangiopathy in Infants with Null GSTM1 Genotype with Disrupted P53 and GSTPi to Mothers Heterozygous for GSTM1 Polymorphism: Damage Control is Mediated through Neutrophil Elastase and CD14+ Activated Monocytes: Kotb Disease
https://scholar.cu.e[...]
2015-03
[6]
논문
Identification of Polycystic Kidney Disease 1 Like 1 Gene Variants in Children With Biliary Atresia Splenic Malformation Syndrome
2019-09
[7]
논문
The Pathogenesis of Biliary Atresia: Evidence for a Virus-Induced Autoimmune Disease
[8]
논문
Biliatresone, a Reactive Natural Toxin from Dysphania glomulifera and D. littoralis: Discovery of the Toxic Moiety 1,2-Diaryl-2-Propenone
2015-08-17
[9]
논문
Biliary atresia and liver transplantation: results and thoughts for primary liver transplantation in select patients
2017-12
[10]
논문
Effects of the infant stool color card screening program on 5-year outcome of biliary atresia in Taiwan
[11]
논문
Rotavirus Infection and Cytopathogenesis in Human Biliary Organoids Potentially Recapitulate Biliary Atresia Development
2020-08
[12]
논문
Detection of Epstein Barr Virus by Chromogenic In Situ Hybridization in cases of extra-hepatic biliary atresia
2008
[13]
논문
Role of some viral infections in neonatal cholestasis
2004
[14]
논문
Low doses of CMV induce autoimmune-mediated and inflammatory responses in bile duct epithelia of regulatory T cell-depleted neonatal mice
2015-02
[15]
논문
Lack of evidence for reovirus infection in tissues from patients with biliary atresia and congenital dilatation of the bile duct
2004-02
[16]
논문
Evidence from Human and Zebrafish That GPC1 is a Biliary Atresia Susceptibility Gene
[17]
논문
Aflatoxins in Infants with Extrahepatic Biliary Atresia
http://scholar.cu.ed[...]
2015-03
[18]
논문
The toxin biliatresone causes mouse extrahepatic cholangiocyte damage and fibrosis via decreased glutathione and SOX17
[19]
논문
Biliary tract: Newly identified biliatresone causes biliary atresia
[20]
논문
Biliary atresia splenic malformation syndrome: an etiologic and prognostic subgroup
1993-06
[21]
논문
Long-term outcomes of biliary atresia with splenic malformation
[22]
논문
Glutathione S Transferase M1 Polymorphism in Extrahepatic Biliary Atresia
http://scholar.cu.ed[...]
2015-03
[23]
논문
Nuetrophil Elastase Mediated Damage in Infants with Extrahepatic Biliary Atresia: A Prospective Cohort Study
http://scholar.cu.ed[...]
2014-09
[24]
논문
Evidence of Disruption of p53 and Glutathione S Transferase Pi in Extrahepatic Biliary Atresia in Association with Neutrophil Elastase
http://scholar.cu.ed[...]
2015-03
[25]
문서
Pediatric Biliary Atresia
[26]
논문
The biliary atresia splenic malformation syndrome: A 28-year single-center retrospective study
2006-09
[27]
웹사이트
胆道閉鎖症(指定難病296)
https://www.nanbyou.[...]
難病情報センター
2020-07-08
[28]
웹사이트
胆道閉鎖症
http://www.jsps.or.j[...]
日本小児外科学会
2020-07-08
[29]
웹사이트
胆道閉鎖症 - 23. 小児の健康上の問題
https://www.msdmanua[...]
MSD
2020-07-08
[30]
논문
胆道閉鎖症全国登録2018年集計結果
2020-07-01
[31]
논문
胆道閉鎖症早期発見のためのスクリーニングテストに関する研究―第2報―
2020-07-19
[32]
OMIM
BILIARY ATRESIA, EXTRAHEPATIC; EHBA
2020-07-19
[33]
논문
Extra-Hepatic Biliary Atresia in Association with Polysplenia and Intestinal Malrotation
2020-07-23
[34]
논문
6.出生前診断された胆道閉鎖症の2例(第30回日本胆道閉鎖症研究会)
2020-07-19
[35]
웹사이트
胆道閉鎖症早期発見のための便色カード活用マニュアル
https://www.mhlw.go.[...]
厚生労働省
2012-03
[36]
웹사이트
胆道閉鎖症 パパ・ママ質問のお部屋 vol.1.0.
https://www.ncchd.go[...]
2020-07-19
[37]
논문
乳児ビタミンK欠乏性出血症を呈した胆道閉鎖症の検討
2020-07-19
[38]
웹사이트
新生児・乳児ビタミンK欠乏性出血症に対するビタミンK製剤投与の改訂ガイドライン(修正版)
https://www.jpeds.or[...]
2020-07-19
[39]
웹사이트
【ケイツーN・静注】 用法・用量(投与量、投与タイミングなど)について教えてください。
https://faq-medical.[...]
エーザイ
2019-08
[40]
논문
新生児黄疸(新生児高ビリルビン血症)
https://www.jmedj.co[...]
日本医事新報社
2017-07-26
[41]
웹사이트
新生児高ビリルビン血症(新生児の黄疸)
https://www.msdmanua[...]
2015-08
[42]
웹사이트
生理的黄疸
https://medicalnote.[...]
2020-07-19
[43]
논문
Triangular cord sign (biliary atresia)
https://radiopaedia.[...]
2020-06-28
[44]
논문
肝機能検査法の現況
2020-07-19
[45]
논문
技術解説. - 糞便ビリルビン検査法
2020-07-19
[46]
웹사이트
胆道閉鎖症
https://kompas.hosp.[...]
2020-07-19
[47]
웹사이트
胆道閉鎖症 診断の手引き
https://www.shouman.[...]
小児慢性特定疾病情報センター
2020-06-28
[48]
논문
先天性胆道拡張症に対する有茎空腸移植肝管十二指腸吻合術
2020-07-19
[49]
논문
肝管消化管吻合を施行した胆道閉鎖症の臨床的検討
2020-07-19
[50]
논문
Morio Kasai: A Remarkable Impact Beyond the Kasai Procedure
https://www.ncbi.nlm[...]
2017-08-14
[51]
논문
〔第31回 日本胆道学会記録〕特別講演 胆道閉鎖症の長期予後
https://doi.org/10.1[...]
[52]
논문
Clinical practice: Management of biliary atresia
2010-04
[53]
웹사이트
胆道閉鎖症の外科的治療・「葛西手術」は遅くても生後90日以内に
https://medicalnote.[...]
メディカルノート
2016-01-11
[54]
논문
胆道閉鎖症児の肝内胆管の組織分類と予後
2020-07-19
[55]
논문
先天性胆道閉鎖症の病理組織学的研究
2020-07-19
[56]
저널 인용
Biliary atresia
[57]
서적 인용
Sleisenger and Fordtran's Gastrointestinal and Liver Disease: Pathophysiology, Diagnosis, Management
Elsevier Health Sciences
[58]
저널 인용
The frequency and outcome of biliary atresia in the UK and Ireland
[59]
저널 인용
Biliary atresia
[60]
저널 인용
The Pathogenesis of Biliary Atresia: Evidence for a Virus-Induced Autoimmune Disease
[61]
저널 인용
Effects of the infant stool color card screening program on 5-year outcome of biliary atresia in taiwan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