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광역시의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전광역시의회는 대전광역시의 입법 및 예산 심의, 행정 감시 등의 역할을 수행하는 지방 의회이다. 의장은 의원들의 투표로 선출되며, 부의장 2명과 함께 의회를 이끈다. 효율적인 운영을 위해 상임위원회와 특별위원회를 두고 있으며, 사무처를 설치하여 의정 활동을 지원한다. 역대 대전광역시의회 의원 선거 결과와 정당별 의석 현황을 제공하며, 4석 이상을 확보한 정당 또는 교섭단체에 속하지 않은 4명의 의원이 교섭단체를 구성할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전광역시의 정치 -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대전광역시의회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대전광역시의회는 더불어민주당이 다수 의석을 확보하고 지역구와 비례대표 선거를 통해 의원을 선출했다. - 대전광역시의 정치 -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대전광역시의회
2010년 6월 2일에 실시된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대전광역시의회 선거에서는 자유선진당, 민주당, 한나라당, 미래연합 후보들이 지역구 및 비례대표로 당선되었고, 5명의 교육의원이 선출되었다. - 대전 서구 소재의 관공서 - 대한민국 특허법원
대한민국 특허법원은 특허, 실용신안, 디자인, 상표, 종자 관련 사건을 전담하는 고등법원급 법원으로서 특허청과 농림수산식품부 소관 사건을 전속 관할하며, 특허심판원 또는 품종보호심판위원회의 심결에 대한 불복 소송을 통해 특허 관련 소송을 2심제로 운영한다. - 대전 서구 소재의 관공서 - 대전지방법원
대전지방법원은 대전광역시, 세종특별자치시, 충청남도를 관할하는 지방법원으로, 1895년 공주재판소로 설치되어 1938년 현재 명칭으로 변경되었으며, 본원은 대전 서구 둔산동에 위치하고 5개의 지원과 여러 시·군법원 및 등기소를 두며 2031년 세종지방법원이 분리 신설될 예정이다. - 대한민국의 시도교육청 - 서울특별시교육청
서울특별시교육청은 서울특별시의 교육 행정을 담당하는 기관으로, 교육감과 부교육감을 중심으로 실·국과 직속기관 및 교육지원청으로 구성되어 교육 연구, 정보 제공, 학생 지원 등 다양한 사업을 수행하며 교원 평가 및 학생 관리 문제 해결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 대한민국의 시도교육청 - 부산광역시의회
부산광역시의회는 의장, 부의장, 상임위원회, 특별위원회 등을 통해 부산 시정을 심의하고 감독하는 자치입법기관으로, 의회사무처의 지원을 받아 운영되며, 역대 의장들은 다양한 정당 소속으로 구성되어 왔다.
대전광역시의회 - [의회]에 관한 문서 | |
---|---|
의회 정보 | |
이름 | 대전광역시의회 |
로마자 표기 | Daejeon Gwangyeoksi Uihoe |
한자 표기 | 大田廣域市議會 |
영어 이름 | Daejeon Metropolitan Council |
의회 임기 | 대전광역시의회 |
의회 체제 | 단원제 |
설립일 | 1991년 7월 8일 |
해산일 | 해당 없음 (현재 존속) |
이전 의회 | 해당 없음 |
다음 의회 | 해당 없음 |
의원 정수 | 22석 |
의원 임기 | 4년 |
의회 구성 | 해당 없음 |
선거 제도 | 보통선거 평등선거 직접 선거 비밀 선거 |
선거구 | 소선거구제 (19석) 비례대표제 (3석) |
최근 선거일 | 2022년 6월 1일 |
의사당 위치 | 대전광역시 서구 둔산동 |
웹사이트 | 대전광역시의회 |
구성 | |
![]() | |
정당별 의석수 | 국민의힘 (18석) 더불어민주당 (4석) |
의장단 | |
의장 | 이상래 |
의장 소속 정당 | 국민의힘 |
부의장 | 김진오 |
부의장 소속 정당 | 국민의힘 |
부의장 | 조원휘 |
부의장 소속 정당 | 더불어민주당 |
2. 조직
대전광역시의회는 의장 1명과 부의장 2명으로 구성된 의장단과 의회 운영을 위한 상임위원회와 특별위원회를 두고 있다.
상임위원회는 5개로 다음과 같다.
- 운영위원회
- 행정자치위원회
- 복지환경위원회
- 산업건설위원회
- 교육위원회
특별위원회는 다음과 같다.
- 예산결산특별위원회
- 윤리특별위원회
의정 활동을 지원하기 위해 사무처를 두고 있으며[3], 사무처에는 총무담당관실, 의사담당관실, 입법정책실, 전문위원이 있다.[4]
2. 1. 의장단
대전광역시의회의 의장은 의원들의 투표로 선출되며, 임기는 2년이다. 의장은 의회를 대표하고 의사를 정리하며 질서를 유지하고 사무를 감독하는 권한을 가진다. 의장 외에도 2명의 부의장이 존재한다.2. 1. 1. 역대 의장단
2. 2. 위원회
다음은 대전광역시의회의 구성이다.- 의장
- 부의장 2명
- 상임위원회
- * 운영위원회
- * 행정자치위원회
- * 복지환경위원회
- * 산업건설위원회
- * 교육위원회
- 특별위원회
- * 예산결산특별위원회
- * 윤리특별위원회
2. 3. 사무기구
대전광역시의회는 의정 활동을 지원하기 위해 사무처를 두고 있다.[3] 사무처에는 총무담당관실, 의사담당관실, 입법정책실, 전문위원이 있다.[4]3. 역대 대전광역시의회 의원 선거 결과
1991년 대한민국 지방 선거를 통해 제1대 대전직할시의회 의원 23명이 선출된 것을 시작으로, 2022년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까지 총 9번의 선거를 통해 대전광역시의회 의원들이 선출되었다. 각 선거별 결과는 다음과 같다.
대수 | 선거일 | 지역구 | 비례대표 | 정당별 의석 |
---|---|---|---|---|
제1대 | 1991년 대한민국 지방 선거 | 23 | - | 민주자유당 14석, 신민주연합당 2석, 민주당 1석, 무소속 6석 |
제2대 |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23 | 3 | 자유민주연합 25석, 민주당 1석 |
제3대 | 제2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14 | 3 | 자유민주연합 16석, 새정치국민회의 1석 |
제4대 | 제3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16 | 3 | 한나라당 9석, 자유민주연합 9석, 새천년민주당 1석 |
제5대 |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16 | 3 | 한나라당 17석, 열린우리당 1석, 국민중심당 1석 |
제6대 |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19 | 3 | 자유선진당 16석, 민주당 5석, 한나라당 1석, 교육의원 4명 |
제7대 |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19 | 3 | 새정치민주연합 16석, 새누리당 6석 |
제8대 |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19 | 3 | 더불어민주당 21석, 자유한국당 1석 |
제9대 |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19 | 3 | 국민의힘 18석, 더불어민주당 4석 |
3. 1. 제1대 대전직할시의회 (1991)
1991년 대한민국 지방 선거를 통해 23명의 제1대 대전직할시의원이 선출되었다.정당 | 합계 |
---|---|
민주자유당 | 14 |
신민주연합당 | 2 |
민주당 | 1 |
무소속 | 6 |
3. 2. 제2대 대전광역시의회 (1995)
1995년 6월 27일에 실시된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를 통해 35명의 제2대 대전광역시의원이 선출되었다. 본 선거를 통해 지역구 의원 23명과 비례대표 의원 3명이 선출되었다.정당 | 지역구 | 비례대표 | 합계 | |
---|---|---|---|---|
style="background-color:#F4B400;"| | 자유민주연합 | 23 | 2 | 25 |
style="background-color:#0054FF;"| | 민주당 | 0 | 1 | 1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당선자수 | |
---|---|---|---|---|
style="background-color:#008000;"| | 민주자유당 | 67,508 | 12.8% | 0 |
style="background-color:#0054FF;"| | 민주당 | 85,965 | 16.4% | 1 |
style="background-color:#F4B400;"| | 자유민주연합 | 293,940 | 55.9% | 2 |
style="background-color:#C0C0C0;"| | 무소속 | 78,359 | 14.9% | - |
3. 3. 제3대 대전광역시의회 (1998)
1998년 6월 4일에 실시된 제2회 전국동시지방선거를 통해 17명의 제3대 대전광역시의원이 선출되었다. 본 선거를 통해 지역구 의원 14명과 비례대표 의원 3명이 선출되었다.
3. 4. 제4대 대전광역시의회 (2002)
2002년 6월 13일에 실시된 제3회 전국동시지방선거를 통해 19명의 제4대 대전광역시의원이 선출되었다. 본 선거를 통해 지역구 의원 16명과 비례대표 의원 3명이 선출되었다.정당 | 지역구 | 비례대표 | 합계 |
---|---|---|---|
한나라당 | 8 | 1 | 9 |
자유민주연합 | 8 | 1 | 9 |
새천년민주당 | 0 | 1 | 1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당선자수 |
---|---|---|---|
한나라당 | 174,796 | 42.86% | 1 |
자유민주연합 | 142,701 | 34.99% | 1 |
새천년민주당 | 51,349 | 12.59% | 1 |
민주노동당 | 30,752 | 7.54% | 0 |
사회당 | 8,163 | 2.00% | 0 |
3. 5. 제5대 대전광역시의회 (2006)
2006년 5월 31일에 실시된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를 통해 제5대 대전광역시의원이 선출되었다. 이 선거를 통해 지역구 의원 16명과 비례대표 의원 3명이 선출되었다.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당선자수 | |
---|---|---|---|---|
style="background-color: #0066CC;"| | 한나라당 | 243,789 | 46.40% | 1 |
style="background-color: #F5E622;"| | 열린우리당 | 139,436 | 26.54% | 1 |
style="background-color: #FF8800;"| | 국민중심당 | 96,026 | 18.27% | 1 |
style="background-color: #E63870;"| | 민주노동당 | 46,074 | 8.77% | 0 |
정당 | 지역구 | 비례대표 | 합계 | |
---|---|---|---|---|
style="background-color: #0066CC;"| | 한나라당 | 16 | 1 | 17 |
style="background-color: #F5E622;"| | 열린우리당 | 0 | 1 | 1 |
style="background-color: #FF8800;"| | 국민중심당 | 0 | 1 | 1 |
3. 6. 제6대 대전광역시의회 (2010)
2010년 6월 2일에 실시된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를 통해 26명의 제6대 대전광역시의원이 선출되었다. 본 선거를 통해 지역구 의원 19명과 비례대표 의원 3명, 교육의원 4명이 선출되었다.정당 | 지역구 | 비례대표 | 합계 |
---|---|---|---|
자유선진당 | 15 | 1 | 16 |
민주당 | 4 | 1 | 5 |
한나라당 | 0 | 1 | 1 |
교육의원 | - | - | 4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당선자수 |
---|---|---|---|
자유선진당 | 216,880 | 36.99% | 1 |
민주당 | 174,876 | 29.83% | 1 |
한나라당 | 145,394 | 24.80% | 1 |
국민참여당 | 22,402 | 3.82% | 0 |
민주노동당 | 14,854 | 2.53% | 0 |
진보신당 | 8,695 | 1.48% | 0 |
평화민주당 | 2,120 | 0.36% | 0 |
사회당 | 1,007 | 0.17% | 0 |
3. 7. 제7대 대전광역시의회 (2014)
2014년 6월 4일에 실시된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를 통해 22명의 제7대 대전광역시의원이 선출되었다. 본 선거를 통해 지역구 의원 19명과 비례대표 의원 3명이 선출되었다.정당 | 지역구 | 비례대표 | 합계 |
---|---|---|---|
새정치민주연합 | 14 | 2 | 16 |
새누리당 | 5 | 1 | 6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당선자수 |
---|---|---|---|
새정치민주연합 | 303,890 | 47.72 | 2 |
새누리당 | 294,903 | 46.31 | 1 |
통합진보당 | 17,219 | 2.70 | 0 |
정의당 | 16,819 | 2.64 | 0 |
새정치국민의당 | 3,948 | 0.61 | 0 |
3. 8. 제8대 대전광역시의회 (2018)
2018년 6월 13일에 실시된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를 통해 22명의 제8대 대전광역시의원이 선출되었다. 지역구 의원 19명과 비례대표 의원 3명이 선출되었다.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당선자수 |
---|---|---|---|
더불어민주당 | 384,083 | 55.21% | 2 |
자유한국당 | 183,819 | 26.42% | 1 |
바른미래당 | 61,971 | 8.90% | 0 |
정의당 | 54,292 | 7.80% | 0 |
녹색당 | 4,509 | 0.64% | 0 |
민중당 | 3,613 | 0.51% | 0 |
노동당 | 3,315 | 0.47% | 0 |
3. 9. 제9대 대전광역시의회 (2022)
2022년 6월 1일에 실시된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를 통해 22명의 제9대 대전광역시의원이 선출되었다. 본 선거를 통해 지역구 의원 19명과 비례대표 의원 3명이 선출되었다.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당선자수 |
---|---|---|---|
국민의힘 | 318,824 | 52.69% | 2 |
더불어민주당 | 255,321 | 42.20% | 1 |
정의당 | 22,585 | 3.73% | 0 |
진보당 | 4,189 | 0.69% | 0 |
녹색당 | 2,205 | 0.36% | 0 |
기본소득당 | 1,875 | 0.30% | 0 |
4. 정당별 의석 수
현재 대전광역시의회에는 더불어민주당만으로 구성된 의원 협의회가 있다.
5. 교섭단체
대전광역시의회는 4석 이상을 확보한 정당, 또는 교섭단체에 속하지 않은 4명의 의원이 교섭단체를 구성할 수 있다.[5]
참조
[1]
웹사이트
제8대 대전시의회 개원…김종천 의장 "견제·감시에 충실하겠다"
http://news.khan.co.[...]
2018-08-18
[2]
웹사이트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선거통계시스템
http://info.nec.go.k[...]
National Election Commission
[3]
문서
지방이사관 또는 지방부이사관으로 보한다.
[4]
문서
지방서기관으로 보한다.
[5]
웹인용
대전광역시의회 교섭단체 조례
http://law.go.kr/ord[...]
대한민국 법제처
2018-07-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