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대한민국 철도청 2000호대 디젤 기관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한민국 철도청 2000호대 디젤 기관차는 한국 전쟁 중 UN군이 군수 물자 수송을 위해 도입한 SW8 모델을 기반으로 한다. 1955년 대한민국 철도청이 UN군으로부터 4량을 기증받아 운행을 시작했으며, 이후 1957년 추가 도입을 통해 본선 운행에도 투입되었다. 2100호대 등 다른 디젤 기관차 도입 이후에는 소운전 및 구내 입환 용도로 사용되었으며, 1990년대부터 폐차되어 2003년까지 대부분 운행이 중단되었다. 현재는 2001호 기관차가 부산철도차량정비창에서 보존 중이며, 일부 차량은 미국 등지에서 박물관에 전시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부산광역시의 국가등록문화유산 - 송정역 (부산)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송정동에 위치한 송정역은 동해선 광역전철의 역으로, 과거 무인역으로 개업하여 보통역으로 승격되었고 등록문화재로 지정된 구 역사를 가지며, 송정해수욕장 인근에 있어 이용객이 많다.
  • 부산광역시의 국가등록문화유산 - 부산전차
    부산전차는 조선와사전기가 부산궤도를 인수하여 1915년부터 1968년까지 부산 시내를 운행한 노면전차로, 일제강점기에 전성기를 맞았으나 한국전쟁 이후 쇠퇴하여 폐지되었고 현재 동아대학교에 1량이 보존되어 있으며, 2020년 오륙도선 트램 건설로 부활이 추진되었으나 지연되고 있다.
  • 대한민국의 디젤 기관차 - 대한민국 철도청 4000호대 디젤 기관차
    1963년 10월에 도입된 대한민국 철도청 4000호대 디젤 기관차는 총 15량으로, 일부는 4300호대로 개번되었으며 현재는 모두 운행이 중단되고 2량이 월정리역과 독립기념관에 보존되어 있다.
  • 대한민국의 디젤 기관차 - 대한민국 철도청 2100호대 디젤 기관차
    대한민국 철도청 2100호대 디젤 기관차는 철도 디젤화와 증기 기관차 퇴역 후 입환용으로 1969년부터 1971년까지 미국 EMD사에서 제작한 1,000마력형 기관차였으나 2006년 모두 퇴역하였고 일부는 동태 보존되어 호랑이 도색으로 알려져 있다.
대한민국 철도청 2000호대 디젤 기관차
기본 정보
미국 공군에서 퇴역한 EMD SW8 [[Titan (rocket family)|타이탄]] 미사일 프로그램
미국 공군에서 퇴역한 EMD SW8 타이탄 미사일 프로그램
동력디젤-전기
제작제너럴 모터스 일렉트로-모티브 디비전
제너럴 모터스 디젤 (GMD, 캐나다)
제작 모델SW8, TR6
제작 기간1950년 9월 ~ 1954년 2월
총 생산량EMD SW8: 309
GMD SW8: 65
EMD TR6A: 12
EMD TR6B: 12
AAR 차륜 배치B-B
UIC 분류Bo’Bo’
길이13.54 미터
3.04 미터
높이4.43 미터
기관차 중량104,326 킬로그램
원동기EMD 8-567B
엔진 종류V8 2행정 디젤
흡기 방식루츠형 과급기
실린더 수8
최고 속도105 킬로미터 매 시
출력597 킬로와트
기동 견인력254 킬로뉴턴 (25% 점착시)
연속 견인력160 킬로뉴턴 (18 킬로미터 매 시)
운행 지역북아메리카
대한민국
대한민국 철도청 2000호대 디젤 기관차 정보
기관차 명칭2000호대 디젤 기관차 (SW8)
[[수색역]](서울기관차사무소)의 2004호 기관차
수색역(서울기관차사무소)의 2004호 기관차
엔진EMD 8-567C
차륜 배열Bo-Bo
영업 최고 속도105
출력597 킬로와트
용도본선, 소운전 및 입환
전장13,414
전폭3,100
전고4,425
차량 중량94.5
대차 간 거리6,706
축중23.5
궤도1,435
구동 장치디젤-전기식
제동 방식공기 제동 6BL
제작사EMD
제작 연도(도입 기준) 1955년~1957년
도입 단가172,375 달러 (1955년)
187,500 달러 (1957년)
생산량41

2. 역사

2000호대 디젤 기관차는 미국 EMD사에서 1950년부터 1954년까지 생산한 800마력급 입환용 디젤 전기 기관차 SW8 모델을 기반으로 한다.

대한민국에서의 운행은 한국 전쟁 중인 1951년 7월 15일, UN군이 군사 수송 목적으로 미군이 사용하던 SW8 기관차 41량을 국내에 들여오면서 시작되었다. 이 기관차들은 1951년 4월에서 6월 사이에 제작된 것들이었다. 전쟁 이후인 1955년 3월, UN군은 이 중 4량을 대한민국 정부에 기증하여 대한민국 철도청 소속으로 공식 운행이 시작되었다.

디젤 기관차는 기존 증기 기관차에 비해 우수한 성능과 운용 편의성으로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다. 이에 1957년 10월, 미국 국제협력처(ICA) 차관을 통해 10량이 추가로 도입되었다. 초기에는 본선 운행에도 투입되었으나, 이후 성능이 더 우수한 2100호대 등 신형 기관차들이 도입되면서 점차 소규모 운전이나 차량 기지 내 입환 작업용으로 주로 활용되었다.

1990년대부터 노후화로 인해 순차적으로 폐차되기 시작하여 2003년까지 대부분의 차량이 운행을 종료했다. 대한민국 최초로 운용된 디젤 기관차라는 역사적 가치를 지니며, 현재는 2001호 기관차 1량이 대한민국의 국가등록문화재 제416호로 지정되어 보존되고 있다. 전쟁 중 임시로 운용되었던 나머지 기관차들은 미국으로 반환되어 일부는 미국 내에서 계속 사용되거나 박물관 등에 보존되어 있다.

2. 1. 도입 배경

2000호대 디젤 기관차의 원 모델은 미국 EMD사에서 1950년부터 1954년까지 생산한 SW1 계열의 파생형 입환용 디젤 기관차인 SW8 모델이다. 800마력형 입환기로 개발되었다.

한국 전쟁이 발발하자 미군은 전쟁 수행을 위한 군사 수송 목적으로 SW8 기관차의 도입을 추진했다. 미국 육군1951년 봄, 한국에서의 운용을 위해 2000호부터 2040호까지 총 41대의 SW8을 주문하여 수송했다. 이 기관차들은 1951년 4월부터 6월 사이에 제작되었으며, 같은 해 7월 15일 UN군에 의해 한국에 양륙되어 운행을 시작했다. 이것이 대한민국에서 SW8, 즉 2000호대 디젤 기관차가 운행된 시초이다.

전쟁 이후인 1955년 3월, UN군은 이 기관차들 중 4량을 대한민국 정부에 기증하였고, 이를 통해 공식적인 운행이 시작되었다. 디젤 기관차는 기존 증기 기관차에 비해 뛰어난 등판 능력과 적은 매연, 운전의 편리함 및 쾌적한 운전실 환경 등으로 현장에서 높게 평가받았다. 이에 따라 1956년에는 부산공작창 기관차공장 제천분공장(현 제천기관차사무소)을 신설하여 본격적인 검수 및 운용 체계를 갖추었다.

디젤 기관차의 효용성이 입증되자, 1957년 10월에는 미국 국제협력처(ICA) 차관을 통해 10량을 추가로 도입하여 본선 운행에도 투입하였다. 2000호대 디젤 기관차는 대한민국 최초로 운용된 디젤 기관차라는 점에서 중요한 의의를 가진다.

2. 2. 대한민국 철도청 운행

한국 전쟁 당시 미군이 군사수송 목적으로 도입하여 운용하던 미국 EMD사의 SW8 모델 디젤 전기 기관차 41량 중 4량을 1955년 3월 UN군으로부터 기증받으면서 대한민국 철도청의 공식적인 운행이 시작되었다. 이는 대한민국 최초로 운용된 디젤 기관차라는 데에 의의가 있다.

1956년에는 부산공작창 기관차공장 제천분공장(현 제천기관차사무소)을 창설하여 검수 운용을 시작하였다. 디젤 기관차는 뛰어난 등판 능력, 적은 매연, 운전 편의성, 쾌적한 운전실 환경 등으로 인해 높게 평가받았다. 이에 따라 1957년 10월, 미국 국제협력처(ICA) 차관으로 10량을 추가 도입하여 본선 운행에 투입하였다.

이후 성능이 개량된 2100호대를 비롯하여 본선 운행을 위한 중·대형 디젤 기관차들이 도입되면서, 2000호대는 점차 소규모 운전이나 차량 기지 내 입환 작업 용도로 주로 사용되었다. 1990년대부터 점차 폐차되기 시작하여, 보존 중인 2001호 기관차를 제외하고 2003년까지 모든 차량이 운행을 종료하고 폐차되었다.

2021년 새크라멘토에 있는 Sacremento Southern (구 USAX) 2008


현재 유일하게 남아있는 2001호 기관차는 2008년 10월 17일 대한민국의 국가등록문화재 제416호 '디젤 전기 기관차 2001호'로 지정되어 보존되고 있다.

2. 3. 퇴역 및 보존

2100호대 등 성능이 개량된 기관차와 본선 운행용 중·대형 디젤 기관차들이 도입되면서 2000호대는 점차 소규모 운전이나 구내 입환 작업용으로 주로 사용되었다. 이후 노후화로 1990년대부터 점차 폐차되기 시작하여, 2003년까지 대부분의 차량이 운행을 중단하고 폐차되었다.

대한민국 최초로 운용된 디젤 기관차라는 역사적 가치를 인정받아 2001호 기관차는 보존 대상으로 선정되었다. 이 기관차는 2008년 10월 17일 국가등록문화재 제416호 '디젤 전기 기관차 2001호'로 지정되었으며,[12] 현재 부산광역시 부산진구에 위치한 부산철도차량정비단에서 보존 중이다. 과거 수색에서 입환 작업 중 고장이 발생한 이력이 있으며, 부산철도차량정비단에서 정비 후 가끔 입환 작업에 투입되기도 한다.

한국 전쟁 당시 UN군이 군사 수송 목적으로 들여왔던 차량 중 일부는 전쟁 후 미국으로 반환되었는데, 이들 중 일부가 미국의 박물관 등에 보존되어 있다. 대표적으로 다음과 같은 차량들이 있다.

  • 2002호: 1993년 운행 중단 후 미국으로 보내져 미주리 교통박물관에 보존되었다.
  • 2008호: 1997년 운행 중단 후 미국으로 보내져 캘리포니아에서 운행되거나 보존 중이다.
  • 2015호, 2028호: 미국 반환 후 사우스캐롤라이나주의 박물관에 보존되었다.[13]
  • 2019호, 2022호: 미국 반환 후 군 기지 등에서 운용되다가 1995년 앨라배마주의 Heart of Dixie Railroad Museum에서 인수하여 동태 보존(운행 가능한 상태로 보존)하며 이벤트용으로 사용 중이다.[14]
  • 2021호: 미국 반환 후 플로리다에서 보존되었다.
  • 2030호: 미국 반환 후 캘리포니아에서 운행되거나 보존 중이다.
  • 2034호: 미국 반환 후 1987년 9월 재생 작업을 거쳐 오클라호마주의 박물관에 보존되었다.[15]
  • 2038호: 미국 반환 후 TCRX 52호 기관차로 사용되다가 보존되었다.[7]


아래는 대한민국에서 운용되었던 2000호대 기관차의 운행 중단 시기 및 처리 현황이다.

차호운행 중단 시기[10]비고[11]
2001호2003년 11월[12]구 2011호. 국가등록문화재 제416호. 부산철도차량정비단 보존.
2002호1993년구 2031호. 미국 미주리 교통박물관 보존.
2003호1997년구 2033호. 2004년 고철 매각.
2004호2003년구 2039호. 2005년 고철 매각.
2005호1997년구 2023호.
2006호1997년구 2032호.
2007호1997년구 2004호.
2008호1997년구 2001호. 미국 캘리포니아에서 운행/보존.
2009호1997년구 2006호. 2005년 고철 매각.
2010호1997년구 2003호.
2011호1997년구 2040호.
2012호1997년구 2017호. 2005년 고철 매각.
2013호1997년구 2025호.
2014호1997년구 2026호.


3. 구조 및 특징

2000호대 디젤 기관차는 디젤-전기식 동력 구조를 가진 입환기로, 축당 중량이 크고 프레인 베어링을 사용한 점이 특징이다.[4] 입환 작업의 편의를 위해 운전실은 차량 한쪽에 높게 설치되어 시야 확보가 용이하며, 차량 양 끝과 측면에는 작업자의 안전과 편의를 위해 난간과 발판이 마련되어 있다. 초기 도입 시에는 미국식 증기 기관차와 유사한 경고용 종이 있었으나 이후 제거되었다. 외관 도색은 도입 시기에 따라 변화했는데, 초기 흑색 도색에서 주황색 줄무늬가 추가된 '호랑이 도색'을 거쳐, 1990년대 이후에는 녹색과 백색 조합의 구 철도청 CI 도색이 적용되었다.

3. 1. 기술 제원

2000호대 디젤 기관차는 디젤-전기식의 동력구조를 갖추고 있으며, 축당 중량이 크고 프레인 베어링을 유일하게 적용한 입환기이다. 주발전기로는 D15C 형식을 사용하며, 본선 운행 때 사용하는 운행스위치가 있다. 후방전이는 수동으로 해야 하며, 특히 TM(견인전동기) 고장 시 한 대차를 차단할 수 있는 대차차단스위치와 기관냉각 팬을 벨트로 구동하는 방식이 특징이다. 공기 압축기는 WXE 형식으로 3개의 실린더가 공기를 압축하는 방식이며, 총 용량은 분당 약 5,000리터를 압축할 수 있다.[4] 제동배율은 5.58이며 4개의 제동통수가 작동하는 방식이다.[5]

3. 2. 운전실 및 외형

운전실은 차량 한쪽에 배치된 구조로, 차체의 기준면보다 한 단 높게 설치되어 있다. 이 구조 덕분에 단폐단(짧은 쪽) 방향으로는 시야가 완전히 트여 있고, 장폐단(긴 쪽) 방향으로는 엔진실이 일부 시야를 가리지만 전방 조망을 어느 정도 확보할 수 있다. 입환 작업의 편의성을 높이기 위해 차량 양 끝단과 측면에는 난간과 발판이 설치되어 있다. 초기 도입 시기에는 엔진실 상부에 미국식 증기 기관차와 비슷한 경고용 종이 있었으나, 이후 사용 과정에서 폐지되어 철거되었다.

사진으로 확인되는 2000호대 디젤 기관차의 도색은 크게 세 가지 종류가 있다. 1955년 처음 도입된 1호 차량은 검은색 바탕에 당시 철도국 마크와 "KNR" 글자가 새겨진 도색이었다. 1957년 이후 도입된 것으로 보이는 차량들은 검은색 바탕에 주황색 가로줄 두 개가 그어진, 이른바 '호랑이 도색'을 했다. 마지막으로 1990년대 이후에는 녹색과 흰색이 조합된 구 철도청 CI 도색이 적용되었다.

3. 3. 도색

사진으로 확인되는 2000호대 디젤 기관차의 도색은 크게 세 종류가 있다. 1955년 처음 도입되었을 때 1호 차량은 흑색 바탕에 당시 철도국 마크와 "KNR" 글자가 새겨진 도색이었다. 1957년 이후 도입된 것으로 보이는 차량들은 흑색 바탕에 주황색 가로줄 두 개가 그어진 도색(일명 '호랑이 도색')을 했다. 1990년대 이후에는 녹색과 백색이 사용된 구 철도청 CI 도색이 적용되었다.

4. 운행 구간

도입 초기에는 어느 노선에 정확히 투입되었는지 명확하지 않다. 그러나 차량 배치가 제천이었던 점으로 미루어 볼 때, 충북선중앙선 등에서 화물 및 여객 운송에 모두 사용되었을 것으로 보인다. 또한 경부선 구간에도 투입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후 중형 및 대형 디젤 기관차가 도입되면서 본선 운행에서는 비교적 일찍 철수한 것으로 보인다. 그 후에는 동해, 제천, 청량리 등 주요 역 구내에서 차량을 이동시키는 입환 작업이나 짧은 구간을 운행하는 소운전 용도로 전환되어 사용되었다.

5. 현황

1951년 한국 전쟁 중 UN군에 의해 미국 육군이 사용하던 차량 40량이 처음으로 한국 땅을 밟았다.[6][7] 전쟁이 끝난 후 이 중 일부가 대한민국에 기증되어 운행되었으나, 현재는 모든 차량이 퇴역하였다.[8][10][9] 대한민국에는 2001호 1량이 부산철도차량정비단에 보존되어 있으며,[12] 일부 차량은 미국 등지에서 보존되거나 다른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11]

5. 1. 대한민국

1951년 한국 전쟁 당시 UN군은 미국 육군 소속의 SW8 디젤 기관차 40량을 한반도에 들여와 임시로 운용했다.[6][7] 전쟁이 끝난 후, 이 기관차들 중 일부가 대한민국에 정식으로 기증되었다. 1955년 3월 15일에 4량이, 1957년 10월에 10량이 추가로 인도되어 총 14량이 도입되었다.[8][10][9] 이 차량들은 대한민국 철도청 소속으로 편입되어 2000호대 번호를 부여받고 운행을 시작했다.

도입된 14량은 모두 퇴역했으며, 현재 대한민국에는 2001호 단 1량만이 보존되어 있다. 이 차량은 국가등록문화재 제416호로 지정되었다.

아래는 대한민국에서 운용되었던 2000호대 디젤 기관차의 상세 현황이다.

차호시리얼[6][7]도입 시기[8][10][9]운행 중단 시기[10]비고[11]
2001호150061955년 3월 15일
(원래 1951년 7월 15일 임시 운용 시작)
2003년 11월[12]구 2011호. 부산철도차량정비단 보존. 가끔 입환 작업 투입. (국가등록문화재 제416호)
2002호150261993년구 2031호. 미국 미주리 교통박물관 보존.
2003호150281997년구 2033호. 2004년 고철 매각.
2004호150342003년구 2039호. 2005년 고철 매각.
2005호150181957년 10월1997년구 2023호.
2006호150271997년구 2032호.
2007호149991997년구 2004호.
2008호149961997년구 2001호. 미국 캘리포니아 운행/보존.
2009호150011997년구 2006호. 2005년 고철 매각.
2010호149981997년구 2003호.
2011호150351997년구 2040호.
2012호150121997년구 2017호. 2005년 고철 매각.
2013호150201997년구 2025호.
2014호150211997년구 2026호.


5. 2. 미국

미국 육군은 한국 전쟁 중 한국에서의 운용을 위해 2000호부터 2040호까지 총 41대의 SW8 디젤 기관차를 주문하여 1951년 봄에 한국으로 수송했다.[6][7] 이들 기관차 중 일부는 전쟁 이후 대한민국 정부에 인도되었고, 나머지는 미국으로 돌아가 여러 미군 부대, 창고, 탄약 공장 등에서 운용되었다. 대부분은 1990년경 퇴역했으며, 일부는 다른 기관차로 대체되었다.

한국 전쟁 당시 임시로 운용되다 미국으로 돌아간 차량 중 일부는 현재 미국 각지에서 보존되거나 운행 중이다.

  • '''2002호''' (시리얼 15026): 원래 한국철도청 소속 2031호였으나, 1993년 운행 중단 후 미국으로 보내져 미주리 교통박물관에 보존되어 있다.[11]
  • '''2008호''' (시리얼 14996): 원래 한국철도청 소속 2001호였으나, 1997년 운행 중단 후 미국으로 보내져 캘리포니아에서 운행되거나 보존 중이다.[11]
  • '''2015호''' (시리얼 15010): 한국 전쟁 중 임시 운용 후 미국으로 복귀하여 현재 사우스캐롤라이나주의 박물관에 보존되어 있다.[13]
  • '''2019호''' (시리얼 15014): 한국 전쟁 중 임시 운용 후 미국으로 복귀, Acipco의 2019호 기관차로 전용되었다.[7] 1953년 재정비를 위해 제조사로 보내졌었다. 현재는 동태보존 상태로 앨라배마주의 Heart of Dixie Railroad Museum에서 이벤트용으로 사용 중이다.[14] 1995년 박물관이 인수했다.
  • '''2021호''' (시리얼 15016): 한국 전쟁 중 임시 운용 후 미국으로 복귀, 미공군 2021호 기관차로 전용되었다.[7] 현재 미국 플로리다에서 보존되어 있다.
  • '''2022호''' (시리얼 15017): 한국 전쟁 중 임시 운용 후 미국으로 복귀, Acipco의 2022호 기관차로 전용되었다가 칼레라-셸비 철도의 2022호 기관차가 되었다.[7] 1955년 개조되었다. 현재는 동태보존 상태로 앨라배마주의 Heart of Dixie Railroad Museum에서 이벤트용으로 사용 중이다.[14] 1995년 박물관이 인수했다. (2019호와 2022호는 1990년대 초까지 미국 내 군 기지에서 운행되었으며, 켄터키주 포트 캠벨에서 마지막 운행을 마쳤다.)
  • '''2028호''' (시리얼 15023): 한국 전쟁 중 임시 운용 후 미국으로 복귀하여 현재 사우스캐롤라이나주의 박물관에 보존되어 있다.[13]
  • '''2030호''' (시리얼 15025): 한국 전쟁 중 임시 운용 후 미국으로 복귀하여 캘리포니아에서 운행되거나 보존 중이다.[11]
  • '''2034호''' (시리얼 15029): 한국 전쟁 중 임시 운용 후 미국으로 복귀, 1987년 9월 재생되었다. 현재 오클라호마주의 박물관에서 보존되어 있다.[15]


이 외에도 한국 전쟁 중 임시 운용 후 미국으로 복귀한 차량 중 일부는 다른 기관차로 전용되거나 용도가 변경되었다. 예를 들어, 2000호(미공군 2000호), 2005호(RSCX 133호), 2007호(미공군 2007호), 2009호(미해병대 289538호), 2020호(RSSM 2020호), 2038호(TCRX 52호) 등이 있다.[6][7]

5. 3. 기타

한국 전쟁 중 UN군이 임시로 운용했던 40량의 기관차 중 대한민국에 기증된 차량을 제외한 나머지는 종전 후 미국으로 복귀했다.[6][7][8][10][9] 미국으로 돌아간 차량들은 미군에서 계속 사용되거나 민간 철도 회사 등으로 넘어갔으며, 일부는 박물관 등에 보존되어 있다.

미국으로 복귀한 차량들의 구체적인 현황은 다음과 같다.

  • 2000호: 미 공군 2000호 기관차로 사용되었다.[6]
  • 2005호: RSCX의 133호 기관차가 되었다.[7]
  • 2007호: 미 공군 2007호 기관차로 사용되었다.[7]
  • 2009호: 미 해병대 289538호 기관차가 되었다.[7]
  • 2015호: 사우스캐롤라이나주의 박물관에 보존 중이다.[13]
  • 2019호: Acipco의 2019호 기관차로 사용되었으며,[7] 현재는 앨라배마주의 박물관에서 동태 보존되어 이벤트용으로 운행된다.[14]
  • 2020호: RSSM의 2020호 기관차가 되었다.[7]
  • 2021호: 미 공군 2021호 기관차로 사용되었고,[7] 이후 플로리다주에 보존되었다.
  • 2022호: Acipco의 2022호 기관차를 거쳐 칼레라-셸비 철도의 2022호 기관차가 되었으며,[7] 현재는 앨라배마주의 박물관에서 동태 보존되어 이벤트용으로 운행된다.[14]
  • 2028호: 사우스캐롤라이나주의 박물관에 보존 중이다.[13]
  • 2030호: 캘리포니아주에서 운행 중이거나 보존된 것으로 알려졌다.
  • 2034호: 1987년 9월 재생되었으며, 현재 오클라호마주의 박물관에 보존되어 있다.[15]
  • 2038호: TCRX의 52호 기관차로 사용되었으며 보존되었다.[7]

6. 기타 파생 모델

12개의 TR6 카우-캘프 쌍 세트가 생산되기도 했다.

1953년 5월, SW8 모델을 기반으로 유압식 변속기를 장착한 시험 모델인 DH2가 제작되었다. 이 기관차는 1955년 무역 박람회에 전시되었으나 실제 판매로 이어지지는 못했다. 이후 표준 전기식 변속기로 개조되어 1968년까지 EMD 공장의 입환기 #105로 사용되었다.

최초의 TR6A 모델인 서던 퍼시픽 4600호(이후 1100호로 변경)는 미국 캘리포니아주 포토라에 위치한 웨스턴 퍼시픽 철도 박물관에 보존되어 있다.

7. 원 구매자 (Original buyers)

2000호대 기관차의 원형인 EMD의 SW8 모델은 다양한 구매자를 대상으로 생산되었다. 특히 미국 육군은 한국 전쟁 중 군사 수송 목적으로 41대의 SW8을 주문하여 한국에서 운용했으며, 이 중 일부가 전쟁 후 대한민국 철도청에 인도되어 한국 최초의 디젤 기관차 운행 시대를 열었다.

미국 육군 외에도 미국과 캐나다의 여러 주요 철도 회사들과 산업체들이 SW8 모델을 도입하여 주로 입환 및 소규모 운행에 사용하였다. 또한 SW8을 기반으로 한 파생 모델인 TR6 역시 일부 철도 회사에서 도입하여 운용되었다. 각 모델별 상세 구매자 목록은 하위 섹션에서 확인할 수 있다.

7. 1. SW8

2000호대의 원 모델은 미국 EMD에서 제작한 입환용 디젤 전기 기관차 SW1 계열의 파생형 차량인 SW8 모델이다. 800마력형 입환기로, 원 제작사에서는 1950년부터 1954년까지 생산되었다.

미국 육군은 한국 전쟁 중 한국에서의 운용을 위해 2000호부터 2040호까지 총 41대의 SW8을 주문하여 1951년 봄에 한국으로 수송되었다. 이 기관차들은 1951년 7월 15일부터 UN군에 의해 군사수송 목적으로 운행되기 시작했으며, 이것이 대한민국 SW8 운행의 시초이다. 이후 1955년 3월, UN군으로부터 4량을 기증받아 대한민국 철도청이 공식적인 운행을 개시하였다.

1956년에는 부산공작창 기관차공장 제천분공장(현 제천기관차사무소)을 창설하여 검수와 운용을 시작했다. 디젤 기관차는 뛰어난 등판 능력, 적은 매연, 운전 편의성, 쾌적한 운전실 환경 등으로 높게 평가받았다. 이에 따라 1957년 10월, 미국 국제협력처(ICA) 차관으로 10량을 추가 도입하여 본선 운행에 투입하였다.

이후 성능이 개량된 2100호대 및 중·대형 디젤 기관차들이 도입되면서, 2000호대는 점차 소규모 운전 및 구내 입환 작업용으로 전환되었다. 1990년대부터 차츰 폐차되어, 보존 처리 중인 2001호 기관차를 제외하고 2003년까지 모든 차량이 폐차되었다. 2001호 기관차는 대한민국 최초로 운용된 디젤 기관차라는 역사적 가치를 인정받아 2008년 10월 17일 국가등록문화재 제416호로 지정되었으며, 부산광역시 부산진구한국철도공사 부산차량정비단에 보존되어 있다.

한국 전쟁 이후, 미국 육군 소유의 SW8 중 일부는 대한민국 정부에 인도되었고, 나머지는 미국 본토의 여러 육군 부대, 창고, 탄약 공장 등에서 운용되었다. 이들 대부분은 1990년경 퇴역했으며, 일부는 개조되거나 다른 기관차로 대체되었다. 한국 전쟁에 투입되었던 기관차 중 일부는 미국 내 박물관에 보존되어 있다. 예를 들어, 구 USAX #2019와 #2022는 앨라배마주의 하트 오브 딕시 철도 박물관에,[1] 구 USAX #2002는 미주리주 커크우드의 국립 교통 박물관에 전시되어 있다.[3]

SW8 모델은 미국과 캐나다의 여러 철도 회사 및 산업체에서도 널리 사용되었다. 미국에서는 총 309대, 캐나다에서는 총 65대가 다양한 회사에 의해 도입되어 운용되었다. 자세한 도입 현황은 아래 하위 섹션에서 확인할 수 있다.

7. 1. 1. 미국

wikitext

철도 회사수량차량 번호비고
일렉트로-모티브 디비전 (공장)1105DH-2 모델로 제작
일렉트로-모티브 디비전 (시연용)1800일리노이 터미널 철도 725로 이관
1801조지아 노던 철도 801로 이관
1500쿠야호가 밸리 철도 855로 이관
앨리퀴파 앤드 사우스 철도3800–802567BC형 엔진으로 제작
애틀랜틱 코스트 라인 철도1050–59
밤베르거 철도2601–602
보스턴 앤드 메인 철도8800–807
캔톤 철도440–4342-43은 567C형 엔진으로 제작
시더 래피즈 앤드 아이오와 시티 철도 ("Crandic")391–93567BC형 엔진으로 제작
시카고 앤드 노스웨스턴 철도1801
시카고, 세인트 폴, 미니애폴리스 앤드 오마하 철도 ("오마하 로드")4126–129
시카고, 록 아일랜드 앤드 퍼시픽 철도28811–838836-838은 567BC형 엔진으로 제작. 838은 1989년 화이자 (Pfizer Incorporated)에 인수된 후 2002년 댄버리 철도 박물관에 기증되었다.
시카고, 웨스트 풀먼 앤드 사우스 철도542–46
신시내티 유니언 터미널830–37
콜로라도 앤드 와이오밍 철도12201–212
컬럼비아 아이언 앤드 스틸11
델라웨어, 래커워나 앤드 웨스턴 철도11501–511
드 퀸 앤드 이스턴 철도1D-3
디트로이트, 톨레도 앤드 아이론턴 철도2900–901
도노라 사우스 철도10802–811
그레이트 노던 철도398–99, 10198–99는 벌링턴 노던으로 이관. 101은 NW1에서 개조
레이크 터미널 철도4821–824
레이크사이드 앤드 마블헤드 철도213–14
리하이 밸리 철도29128–129, 250–276256-273은 동적 제동 장치 장착
루이지애나 앤드 노스 웨스트 철도240–41
러딩턴 앤드 노던 철도116현재 켄들빌 터미널 #16으로 운행 중.
머천츠 데스패치115
모네센 사우스웨스턴 철도222, 26
뉴올리언스 유니언 여객 터미널31–3567BC형 엔진으로 제작
뉴욕 센트럴 철도269602–9627펜 센트럴 교통을 거쳐 콘레일 8602–8627로 이관, 8618은 스트라스버그 철도에 보존
뉴욕 센트럴 철도 (시카고 강 및 인디애나 철도)29600–9601펜 센트럴 교통을 거쳐 콘레일 8600-8601로 이관
뉴욕, 시카고 앤드 세인트 루이스 철도 ("니켈 플레이트 로드")8107–114
노스 루이지애나 앤드 걸프 철도237–38567BC형 엔진으로 제작
피츠버그 코크 앤드 케미컬 컴퍼니14
팝라 리지 석탄1801
리저브 마이닝 컴퍼니21200–1201
로스코, 스나이더 앤드 퍼시픽 철도1200
사우스 쇼어 철도112일리노이 센트럴 철도 802로 이관
서던 퍼시픽 컴퍼니204604–4623모두 동적 제동 장치 장착; 4622-4623은 567BC형 엔진으로 제작
서던 퍼시픽 (텍사스 앤드 뉴올리언스 철도)512–16
스틸턴 앤드 하이스파이어 철도126
테네시 석탄, 철강 및 철도 회사6750–754, 770
텍사스 앤드 퍼시픽 철도8811–818
트레몬트 앤드 걸프 철도275, 77일리노이 센트럴 철도 800 및 801로 이관
유니티 철도153
미국 육군412000–204041대 모두 한국 전쟁에 참전, 2019와 2022는 현재 하트 오브 딕시 철도 박물관에 전시.[1] 2002는 미주리주 커크우드에 있는 국립 교통 박물관에 전시.[3]
미국 강철1109
와바시 철도9120–121, 125–126, 128–132
휠링 강철21152–1153
위치타 폴스 앤드 사우스 철도2801–802록 아일랜드 839–840으로 이관
우드워드 철강 회사260–61
합계309


7. 1. 2. 캐나다

철도 회사수량차량 번호비고
알고마 센트럴 철도2140–141
알고마 철강150
캐나다 앤드 걸프 터미널 철도1356
캐나다 국립 철도348500–8533
캐나다 태평양 철도106700–6709
도미니언 파운드리 앤드 스틸 컴퍼니 ("Dofasco")211–12
도미니언 아이언 앤드 스틸211–12
에섹스 터미널 철도2102, 104에섹스 터미널 104는 1954년 2월에 제작된 마지막 SW8
캐나다 철강 회사771–77
와바시 철도4122–124, 127캐나다에서 사용하기 위해 구매
총계65


7. 2. TR6

wikitext

철도수량 A호기수량 B호기A호기 차량 번호B호기 차량 번호비고
EMD(시연용)1116001600B사우스 퍼시픽 철도 4600 (A), 4700 (B)으로 운행
올리버 철광 회사881207A–1213A, 1216A1207B–1213B, 1216B
사우스 퍼시픽 철도334601–46034701–4703
합계1212


참조

[1] 웹사이트 From Korea to Alabama: Train engines still pulling duty http://www.dvidshub.[...] US Army 314th Public Affairs Operations Center 2012-06
[2] 웹사이트 EMD SW-8 (1953) Pfizer 1 (Danbury Railway Museum) http://www.danburyra[...]
[3] 웹사이트 Railway Equipment https://web.archive.[...] National Transport Museum Association 2017
[4]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ptv.vic.gov.a[...] 2014-09-15
[5] 웹사이트 이글루스 - 기관차의 제원 및 특징(2000∼3200호대) http://corbizoo.eglo[...]
[6] 웹인용 EMD 14900 to 14999 http://www.trainweb.[...] 2016-07-03
[7] 웹인용 EMD 15000 to 15099 http://www.trainweb.[...] 2016-07-03
[8] 서적 한국철도차량 100년사 철도차량기술검정단 1999
[9] 문서
[10] 서적 한국철도차량 100년사 철도차량기술검정단 1999
[11] 웹인용 Korean National Locomotives https://www.thediese[...] 2017-03-12
[12] 웹사이트 부산광역시 문화관광 - 디젤전기기관차 2001호 https://tour.busan.g[...] 20141022024445
[13] 웹사이트 The South Carolina Railroad Museum - Railfan Info http://www.scrm.org/[...] 20141025132136
[14] 웹사이트 Heart Of Dixie Railroad Museum - EMD SW-8 #2019 & 2022 http://www.hodrrm.or[...]
[15] 웹사이트 Oklahoma Railway Museum - OKRX 48 – SW 8 http://www.oklahoma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