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철도청 2100호대 디젤 기관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한민국 철도청 2100호대 디젤 기관차는 미국 EMD SW1000 모델을 기반으로 1969년부터 1971년까지 총 28대가 도입된 입환용 디젤 전기 기관차이다. 철도 디젤화 과정에서 증기 기관차를 대체하기 위해 도입되었으며, 주로 소운전 및 구내 입환 용도로 사용되다 2006년에 퇴역했다. 현재 3량이 보존되어 있으며, 2101호는 국립과천과학관에, 2116호는 가톨릭상지대학교에, 2122호는 섬진강 기차마을에서 보존 및 운행 중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디젤 기관차 - 대한민국 철도청 4000호대 디젤 기관차
1963년 10월에 도입된 대한민국 철도청 4000호대 디젤 기관차는 총 15량으로, 일부는 4300호대로 개번되었으며 현재는 모두 운행이 중단되고 2량이 월정리역과 독립기념관에 보존되어 있다. - 대한민국의 디젤 기관차 - 대한민국 철도청 6000호대 디젤 기관차
대한민국 철도청 6000호대 디젤 기관차는 1963년에 15량 도입되었으나 1994년부터 1999년 사이에 모두 퇴역하였으며, 일부 차량은 도입 당시 다른 차번을 사용했다.
대한민국 철도청 2100호대 디젤 기관차 | |
---|---|
기본 정보 | |
![]() | |
기관차 유형 | 스위칭 기관차 |
동력 방식 | 디젤-전기 |
제작사 | 제너럴 모터스 일렉트로-모티브 사업부 |
제작 모델 | SW1000 |
제작 기간 | 1966년 6월 – 1972년 10월 |
주 동력 장치 | EMD 645 |
엔진 유형 | V8 디젤 엔진 |
실린더 수 | 8 |
차륜 배열 | B-B |
총 생산량 | 119 |
사용 국가 | 미국 자메이카 멕시코 대한민국 캐나다 |
대한민국 철도청 2100호대 디젤 기관차 (SW1001) | |
엔진 | EMD 8-645E |
출력 | 1,000 |
기어비 | 62:15 |
차륜 배열 | Bo-Bo |
영업 최고 속도 | 105 |
용도 | 본선, 소운전 및 입환 |
전장 | 13,614 |
전폭 | 3,051 |
전고 | 4,343 |
차량 중량 | 87.0 |
대차 간 거리 | 6,706 |
축중 | 22.0 |
궤간 | 1,435 |
구동 장치 | 디젤-전기식 |
제동 방식 | 공기 제동 |
제작사 | EMD |
제작 연도 | (도입 기준)1969년~1971년 |
도입 단가 | 172,375달러 (1969년) 187,500달러 (1971년) |
생산량 | 28 |
2. 역사
2100호대의 원 모델은 미국 EMD사에서 제작한 입환용의 디젤 전기 기관차/diesel electric locomotive영어 SW1 계열의 파생형 차량으로, 1,000마력형 입환기 SW1000 모델이다. 원 제작사에서는 1969년부터 1971년까지 생산되었다. 동 차량의 도입 계기는 철도의 디젤화와 증기 기관차의 퇴역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입환용 기관차의 공백을 메꾸기 위한 것으로 추정된다.
최초의 도입은 1969년에 미국 수출입은행 차관(EXIM)을 통해 20량을 도입한 것이었으며, 이후 1971년에 양회협회가 8량을 자체 재원으로 도입 철도청에 기증하여 총 28대가 도입되었다.
이후 본선용의 중형 및 대형 디젤 기관차들이 증가하면서 소운전 및 구내 입환 용도 위주로 활용되었다. 이후 차츰 폐차되어, 2006년 부로 전 차량이 퇴역하였다. 현재 3량이 동태 보존되어 있다.
2. 1. 도입 배경
대한민국 철도청 2100호대 디젤 기관차의 원 모델은 미국 EMD사에서 제작한 입환용 디젤 전기 기관차 SW1 계열의 파생형 차량으로, 1,000마력형 입환기 SW1000 모델이다. 원 제작사에서는 1969년부터 1971년까지 생산되었다.[1] 철도의 디젤화와 증기 기관차의 퇴역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입환용 기관차의 공백을 메꾸기 위해 도입된 것으로 추정된다.최초의 도입은 1969년에 미국 수출입은행 차관(EXIM)을 통해 20량을 도입한 것이었으며, 이후 1971년에 양회협회가 8량을 자체 재원으로 도입하여 철도청에 기증, 총 28대가 도입되었다.
SW1000은 이전의 EMD 스위처보다 키가 컸는데, 이는 산업 고객에게 문제를 야기했다. 많은 시설에서 공간이 부족했고, SW1000은 이를 초과했기 때문이다. EMD는 SW1001로 이 문제를 해결했는데, 이는 더 나은 공간 확보를 위해 높이와 보행로를 낮춘 SW1000이었다.[1]
총 114대의 EMD SW1000이 미국의 철도 및 산업 운영을 위해 제작되었다. 1대는 광산 운영을 위해 자메이카로 수출되었고, 4대는 멕시코의 산업 운영 업체로 수출되었다.[1] 2014년 1월 현재, 2대의 EMD SW1000이 VIA 철도의 몬트리올 유지보수 센터에서 운영되고 있다.[2]
2. 2. 도입 과정
대한민국 철도청 2100호대 디젤 기관차의 원 모델은 미국 EMD사에서 제작한 입환용 디젤 전기 기관차 SW1 계열의 파생형 차량으로, 1,000마력형 입환기 SW1000 모델이다.[1] 원 제작사에서는 1969년부터 1971년까지 생산되었다.[1] 철도의 디젤화와 증기 기관차의 퇴역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입환용 기관차의 공백을 메꾸기 위해 도입된 것으로 추정된다.최초의 도입은 1969년에 미국 수출입은행 차관(EXIM)을 통해 20량을 도입한 것이었으며, 1971년에 양회협회가 8량을 자체 재원으로 도입, 철도청에 기증하여 총 28대가 도입되었다.
2. 3. 퇴역 및 보존
2100호대 디젤 기관차는 미국 EMD사에서 제작한 입환용 디젤 전기 기관차 SW1000 모델을 기반으로 한다. 원 제작사에서는 1969년부터 1971년까지 생산되었다.[3] 철도의 디젤화와 증기 기관차 퇴역 과정에서 입환용 기관차의 공백을 메우기 위해 도입된 것으로 추정된다.1969년 미국 수출입은행 차관(EXIM)을 통해 20량을 도입했고, 1971년 양회협회가 8량을 자체 재원으로 도입하여 철도청에 기증, 총 28대가 도입되었다.
이후 본선용 중형 및 대형 디젤 기관차들이 증가하면서 소운전 및 구내 입환 용도로 주로 활용되었다. 점차 폐차되어 2006년에 모든 차량이 퇴역하였다. 현재 3량이 동태 보존되어 있다.
3. 구조 및 특징
대한민국 철도청 2100호대 디젤 기관차는 디젤-전기식 동력구조를 갖추고 있으며, 외형과 특징은 전반적으로 2000호대 디젤 기관차와 흡사하다. 실린더 내경은 230mm, 행정은 254mm이며, 보조전원장치로는 A-7159를 사용한다.[5] 본선 운행 또는 입환 작업을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사업선택 스위치(Service Selector Switch)가 있으며, 견인 전동기 고장 시 한 대차를 차단하는 스위치와 과도한 발전 전류를 제한하는 전류제한 계전기가 있어 과부하를 방지한다.
운전정비 중량은 87톤으로 SW8형보다 무겁고 견인 출력이 높으며, 축당 중량은 22톤으로 SW8 모델보다 1.5톤 가볍다. 기관 최고 회전 속도는 835rpm으로 SW8형보다 35rpm 더 높게 설계되었다. 제동 장치는 26NL이지만 제동 배율이나 제동통 수는 SW8과 동일하다. 공기압축기 방식은 WBO로 수냉식 3 실린더 압축기를 사용하여 SW8보다 분당 2,000리터 더 많은 총 7,000리터의 압축 용량을 갖는다.[6]
2000호대 디젤 기관차와 외관상 주요 차이점은 다음과 같다.
- 중량 조절로 축중이 한국철도 건설기준에 부합하는 22톤이다.
- 엔진실 측면 통풍구 배치와 개수가 다르다.
- 운전실 전조등 배치가 가로로 되어 있어, 원판 위에 세로로 설치된 2000호대와 구분된다.
- 운전실 하단 연료통 외형이 다르다.
1969년 최초 도입 당시에는 흑색 바탕에 주황색 횡선이 그려진 도색(일명 "호랑이 도색", 단 2100호대의 도색은 2000호대와 다른 방식)이 적용되었고, 1990년대 이후에는 구 철도청 CI 도색(녹색+백색)이 도입되었다.
3. 1. 기술 제원
대한민국 철도청 2100호대 디젤 기관차는 디젤-전기식 동력구조를 갖추고 있으며, 외형과 특징은 전반적으로 2000호대 디젤 기관차와 흡사하다. 실린더 내경은 230mm, 행정은 254mm이며, 보조전원장치로는 A-7159를 사용한다.[5] 본선 운행 또는 입환 작업을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사업선택 스위치(Service Selector Switch)가 있으며, 견인 전동기 고장 시 한 대차를 차단하는 스위치와 과도한 발전 전류를 제한하는 전류제한 계전기가 있어 과부하를 방지한다.운전정비 중량은 87톤으로 SW8형보다 무겁고 견인 출력이 높으며, 축당 중량은 22톤으로 SW8 모델보다 1.5톤 가볍다. 기관 최고 회전 속도는 835rpm으로 SW8형보다 35rpm 더 높게 설계되었다. 제동 장치는 26NL이지만 제동 배율이나 제동통 수는 SW8과 동일하다. 공기압축기 방식은 WBO로 수냉식 3 실린더 압축기를 사용하여 SW8보다 분당 2,000리터 더 많은 총 7,000리터의 압축 용량을 갖는다.[6]
2000호대 디젤 기관차와 외관상 주요 차이점은 다음과 같다.
- 중량 조절로 축중이 한국철도 건설기준에 부합하는 22톤이다.
- 엔진실 측면 통풍구 배치와 개수가 다르다.
- 운전실 전조등 배치가 가로로 되어 있어, 원판 위에 세로로 설치된 2000호대와 구분된다.
- 운전실 하단 연료통 외형이 다르다.
2100호대 디젤 기관차의 도색은 최초 도입 시(1969년) 적용된 흑색 바탕에 주황색 횡선이 그려진 도색(일명 "호랑이 도색", 단 2100호대의 도색은 2000호대와 다른 방식)과 1990년대 이후 도입된 구 철도청 CI 도색(녹색+백색)이 있다.
3. 2. 2000호대와의 차이점
2100호대 디젤 기관차는 디젤-전기식 동력 구조를 갖추고 있으며, 외형과 특징은 전반적으로 2000호대 디젤 기관차와 흡사하다. 실린더 내경은 230mm, 행정은 254mm이며 보조전원장치로는 A-7159를 사용한다.[5] 본선 운행 또는 입환 사업을 능률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사업에 따라 선택하는 사업선택 스위치(Service Selector Switch)가 있으며, 견인 전동기 고장 시 한 대차를 차단하는 차단 스위치가 있다. 또한 전류제한 계전기가 있어 과도한 발전전류를 제한하여 입환 사업 중 발생할 수 있는 과부하를 방지하는 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운전정비 중량은 87톤으로 SW8형과 비교되며, 견인 출력이 더 높고 축당 중량은 22톤으로 SW8 모델보다 1.5톤 적다. 기관 최고 회전 속도는 835rpm으로 35rpm 더 높게 설계되었다. 제동 장치는 26NL이지만 제동 배율이나 제동통 수 개수는 SW8과 동일하다. 공기압축기 방식은 WBO으로 수냉식 3 실린더 압축기를 사용하여 SW8보다 분당 2,000리터 압축 용량이 높아졌다(총 7,000리터).[6]2000호대 디젤 기관차와 외관상 주요 차이점은 다음과 같다.
- 중량이 조절되어 축중이 한국철도 건설기준에 부합하는 22톤이다.
- 엔진실 측면 통풍구의 배치와 개수가 다르다.
- 운전실에 부착된 전조등 배치가 가로로 되어 있어, 원판 위에 세로로 설치되어 있는 2000호대와 구분된다.
- 운전실 하단의 연료통 외형이 다르다.
2100호대 디젤 기관차의 도색은 최초 도입 시(1969년) 적용된 흑색 바탕에 주황색 횡선이 그려진 도색(이른바 "호랑이 도색", 단 2100호대의 도색은 2000호대와 다른 방식)과 1990년대 이후 도입된 구 철도청 CI 도색(녹색+백색)이 있다.
3. 3. 도색
2100호대 디젤 기관차의 도색은 최초 도입시(1969년) 적용된 흑색 바탕에 주황색 횡선이 그려진 도색(이른바 "호랑이 도색", 단 2100호대의 도색은 2000호대와 다른 방식)과 1990년대 이후 도입된 구 철도청 CI도색(녹색+백색)이 존재한다.4. 운행 구간
이 차량은 주로 전 노선에 투입되었을 것으로 추정되나, 정확한 자료나 증언이 부족하여 구체적인 투입 노선은 확인되지 않는다. 본선 운행은 소운전 시에만 이루어졌을 것으로 보이며, 동해역, 청량리역 등에서 입환 및 소운전 용도로 퇴역 시까지 사용되었다.
현재 섬진강 기차마을에서 동태 보존 중인 차량이 객차 견인, 시설 내 입환 용도로 부정기적으로 운행되고 있다.
5. 현황
총 28대가 도입되었으며, 보존 중인 3량을 제외하고 모두 고철 매각되거나 미국으로 수출 매각되었다. 2122호는 전라남도 곡성군 섬진강기차마을에서 입환용으로 운행하기도 하거나 보존 중이다.
차호 | 시리얼[7][8][9] | 도입 시기[10] | 운행 중단 시기 | 비고 |
---|---|---|---|---|
2101호 | 34440 | 1969년 5월 | 2005년 | 경기도 과천시 국립과천과학관 옥외 전시장에서 반절개되어 새마을호 객차 304호와 연결되어 보존 중이다. 처음에는 새마을호 도색을 하고 있었으나, 이후 하양 바탕에 갈색 줄무늬 도색으로 변경되었고, 객차는 무도색 상태가 되었다.[11] |
2102호 | 34441 | 2005년 | 미국으로 매각되었다. | |
2103호 | 34442 | 2005년 | 미국으로 수출되었으나 미국 일리 노이주 마운트 버논 NRE 기지에서 방치 중 고철 매각되었다. | |
2104호 | 34443 | 2005년 | 미국으로 수출되었으나 미국 일리 노이주 마운트 버논 NRE 기지에서 방치 중 고철 매각되었다. | |
2105호 | 34444 | 2005년 | 미국으로 매각되었다. | |
2106호 | 34445 | 2005년 | 2007년 고철 매각되었다. | |
2107호 | 34446 | 2005년 | 미국으로 수출되었으나 미국 일리 노이주 마운트 버논 NRE 기지에서 방치 중 고철 매각되었다. | |
2108호 | 34447 | 2005년 | 미국으로 매각되었다. | |
2109호 | 34448 | 2005년[12] | 미국으로 수출되었으나 미국 일리 노이주 마운트 버논 NRE 기지에서 방치 중 8504호로 개번되었고 현차 매각되었다. | |
2110호 | 34449 | 2005년 | 미국으로 수출되었으나 미국 일리 노이주 마운트 버논 NRE 기지에서 방치 중 고철 매각되었다. | |
2111호 | 34450 | 2005년 | 미국으로 수출되었으나 미국 일리 노이주 마운트 버논 NRE 기지에서 입환 용도로 운행되거나 방치되었다. 2022년에 운행하는 모습이 확인되었지만, 현재는 NREX 700 1GS7B 디젤기관차로 교체되어 정확한 상태는 알 수 없다. | |
2112호 | 34451 | 2005년 | 2006년 고철 매각되었다. | |
2113호 | 34452 | 2005년 | 2006년 고철 매각되었다. | |
2114호 | 34453 | 2005년 | 미국으로 수출되었으나 미국 일리 노이주 마운트 버논 NRE 기지에서 방치 중 8604호로 개번되었고 현차 매각되었다. | |
2115호 | 34454 | 2005년 | 미국으로 수출되었으나 미국 일리 노이주 마운트 버논 NRE 기지에서 방치 중 고철 매각되었다. | |
2116호 | 34455 | 2005년 | 경상북도 안동시 가톨릭상지대학교에서 퇴역 당시의 철도청 구 도색으로 보존 중이다. | |
2117호 | 34456 | 2005년 | 미국으로 수출되었으나 미국 일리 노이주 마운트 버논 NRE 기지에서 방치 중 고철 매각되었다. | |
2118호 | 34457 | 2005년 | 미국으로 수출되었으나 미국 일리 노이주 마운트 버논 NRE 기지에서 방치 중 8704호로 개번되었고 현차 매각되었다. | |
2119호 | 34458 | 2005년 | 2007년 고철 매각되었다. | |
2120호 | 34459 | 2005년 | 미국으로 수출되었으나 미국 일리 노이주 마운트 버논 NRE 기지에서 방치 중 고철 매각되었다. | |
2121호 | 37050 | 1971년 2월 | 2005년 | 양회협회 기증 차량. 미국으로 수출되었으나 미국 일리 노이주 마운트 버논 NRE 기지에서 방치 중 고철 매각되었다. |
2122호 | 37051 | 2005년 | 양회협회 기증 차량. 전라남도 곡성군 섬진강 기차마을에서 주황색-검은색 호랑이 도색으로 보존 중이며, 간간히 입환 용도로도 운행 중이거나 동태보존 중이다. | |
2123호 | 37052 | 2005년 | 양회협회 기증 차량. 미국으로 매각되었다. | |
2124호 | 37053 | 2005년 | 양회협회 기증 차량. 2006년 고철 매각되었다. | |
2125호 | 37054 | 2005년 | 양회협회 기증 차량. 미국으로 수출되었으나 미국 일리 노이주 마운트 버논 NRE 기지에서 방치 중 고철 매각되었다. | |
2126호 | 37055 | 2005년 | 양회협회 기증 차량. 미국으로 수출되었으나 미국 일리 노이주 마운트 버논 NRE 기지에서 방치 중 고철 매각되었다. | |
2127호 | 37056 | 2005년 | 양회협회 기증 차량. 미국으로 수출되었으나 미국 일리 노이주 마운트 버논 NRE 기지에서 방치 중 고철 매각되었다. | |
2128호 | 37057 | 2005년 | 양회협회 기증 차량. 미국으로 수출되었으나 미국 일리 노이주 마운트 버논 NRE 기지에서 방치 중 고철 매각되었다. |
5. 1. 상세 현황 (표)
차호 | 시리얼[7][8][9] | 도입 시기[10] | 운행 중단 시기 | 비고 |
---|---|---|---|---|
2101호 | 34440 | 1969년 5월 | 2005년 | 경기도 과천시 국립과천과학관 옥외 전시장에서 반절개되어 새마을호 객차 304호와 연결되어 보존 중이다. 처음에는 새마을호 도색을 하고 있었으나, 이후 하양 바탕에 갈색 줄무늬 도색으로 변경되었고, 객차는 무도색 상태가 되었다.[11] |
2102호 | 34441 | 2005년 | 미국으로 매각되었다. | |
2103호 | 34442 | 2005년 | 미국으로 수출되었으나 미국 일리 노이주 마운트 버논 NRE 기지에서 방치 중 고철 매각되었다. | |
2104호 | 34443 | 2005년 | 미국으로 수출되었으나 미국 일리 노이주 마운트 버논 NRE 기지에서 방치 중 고철 매각되었다. | |
2105호 | 34444 | 2005년 | 미국으로 매각되었다. | |
2106호 | 34445 | 2005년 | 2007년 고철 매각되었다. | |
2107호 | 34446 | 2005년 | 미국으로 수출되었으나 미국 일리 노이주 마운트 버논 NRE 기지에서 방치 중 고철 매각되었다. | |
2108호 | 34447 | 2005년 | 미국으로 매각되었다. | |
2109호 | 34448 | 2005년[12] | 미국으로 수출되었으나 미국 일리 노이주 마운트 버논 NRE 기지에서 방치 중 8504호로 개번되었고 현차 매각되었다. | |
2110호 | 34449 | 2005년 | 미국으로 수출되었으나 미국 일리 노이주 마운트 버논 NRE 기지에서 방치 중 고철 매각되었다. | |
2111호 | 34450 | 2005년 | 미국으로 수출되었으나 미국 일리 노이주 마운트 버논 NRE 기지에서 입환 용도로 운행되거나 방치되었다. 2022년에 운행하는 모습이 확인되었지만, 현재는 NREX 700 1GS7B 디젤기관차로 교체되어 정확한 상태는 알 수 없다. | |
2112호 | 34451 | 2005년 | 2006년 고철 매각되었다. | |
2113호 | 34452 | 2005년 | 2006년 고철 매각되었다. | |
2114호 | 34453 | 2005년 | 미국으로 수출되었으나 미국 일리 노이주 마운트 버논 NRE 기지에서 방치 중 8604호로 개번되었고 현차 매각되었다. | |
2115호 | 34454 | 2005년 | 미국으로 수출되었으나 미국 일리 노이주 마운트 버논 NRE 기지에서 방치 중 고철 매각되었다. | |
2116호 | 34455 | 2005년 | 경상북도 안동시 가톨릭상지대학교에서 퇴역 당시의 철도청 구 도색으로 보존 중이다. | |
2117호 | 34456 | 2005년 | 미국으로 수출되었으나 미국 일리 노이주 마운트 버논 NRE 기지에서 방치 중 고철 매각되었다. | |
2118호 | 34457 | 2005년 | 미국으로 수출되었으나 미국 일리 노이주 마운트 버논 NRE 기지에서 방치 중 8704호로 개번되었고 현차 매각되었다. | |
2119호 | 34458 | 2005년 | 2007년 고철 매각되었다. | |
2120호 | 34459 | 2005년 | 미국으로 수출되었으나 미국 일리 노이주 마운트 버논 NRE 기지에서 방치 중 고철 매각되었다. | |
2121호 | 37050 | 1971년 2월 | 2005년 | 양회협회 기증 차량. 미국으로 수출되었으나 미국 일리 노이주 마운트 버논 NRE 기지에서 방치 중 고철 매각되었다. |
2122호 | 37051 | 2005년 | 양회협회 기증 차량. 전라남도 곡성군 섬진강 기차마을에서 주황색-검은색 호랑이 도색으로 보존 중이며, 간간히 입환 용도로도 운행 중이거나 동태보존 중이다. | |
2123호 | 37052 | 2005년 | 양회협회 기증 차량. 미국으로 매각되었다. | |
2124호 | 37053 | 2005년 | 양회협회 기증 차량. 2006년 고철 매각되었다. | |
2125호 | 37054 | 2005년 | 양회협회 기증 차량. 미국으로 수출되었으나 미국 일리 노이주 마운트 버논 NRE 기지에서 방치 중 고철 매각되었다. | |
2126호 | 37055 | 2005년 | 양회협회 기증 차량. 미국으로 수출되었으나 미국 일리 노이주 마운트 버논 NRE 기지에서 방치 중 고철 매각되었다. | |
2127호 | 37056 | 2005년 | 양회협회 기증 차량. 미국으로 수출되었으나 미국 일리 노이주 마운트 버논 NRE 기지에서 방치 중 고철 매각되었다. | |
2128호 | 37057 | 2005년 | 양회협회 기증 차량. 미국으로 수출되었으나 미국 일리 노이주 마운트 버논 NRE 기지에서 방치 중 고철 매각되었다. |
6. 기타
6. 1. 사진
6. 2. 등장 작품
EBS와 춘천시가 제작한 '띠띠뽀 띠띠뽀'에는 이 차량을 모델로 한 '세터'라는 캐릭터가 등장하고 있다.7. 원 제작사
EMD SW1000 모델은 여러 철도 회사에서 사용되었다. 알토스 오르노스 데 멕시코(Altos Hornos de Mexico)는 2대(132, 137)를 보유했으며, 세멘토스 아나우악(Cementos Anahuac)은 1대(번호 없음)를 보유했고, 이 차량은 세멕스(Cemex)로 이전되었다.[4] 애팔래치안 파워(Appalachian Power)는 1대(1)를 보유했으며, 현재 로어노크 지부 NRHS 소유이다. 암코 스틸(Armco Steel)은 1대(B81)를, 버밍햄 서던 철도(Birmingham Southern Railroad)는 8대(10-17)를 보유했다. 벌링턴 노던(Burlington Northern)은 43대(375-394, 427-449)를, 시카고 벌링턴 앤드 퀸시(Chicago Burlington and Quincy)는 12대(9310-9321)를 보유했으며, 이는 벌링턴 노던 574-585로 변경되었다.
페로카릴 치와와 셀룰로스(Ferrocarril Chihuahua Cellulose)는 1대(1811)를 보유했으며, 페로멕스(Ferromex)로 이전되었다. 잉그리디언(Ingredion)은 2대(68–69)를, 쿠야호가 밸리 철도(Cuyahoga Valley Railroad)는 1대(1050)를 보유했다. 덴버 앤드 리오 그란데(Denver and Rio Grande)는 10대(140-149)를, 디트로이트 에디슨(Detroit Edison)은 1대(216)를 보유했다. 클로켓 터미널 철도(Cloquet Terminal Railroad)와 덜루스 앤드 노스이스턴(Duluth and Northeastern)은 1대(35)를, 이스턴 코닥(Eastman Kodak)은 1대(8)를 보유했다.
듀폰(DuPont)은 2대(106-107)를, 카르무즈 라임 & 스톤(Carmeuse Lime & Stone)은 2대(108-109)를 보유했다. 제너럴 모터스-센트럴 파운드리 부서(General Motors-Central Foundry Division)의 사기노 몰리어블 아이언(Saginaw Malleable Iron)은 1대(번호 없음)를, 그레이트 레이크 스틸 코퍼레이션(Great Lakes Steel Corporation)은 1대(58)를 보유했다. 햄프턴 앤드 브랜치빌(Hampton and Branchville)은 1대(120)를, 휴스턴 벨트 앤드 터미널(Houston Belt and Terminal)은 3대(40-42)를 보유했다. 인랜드 스틸(Inland Steel)은 4대(115-118)를 보유했으며, 모두 비아 레일(Via Rail)에 판매되었다. 존스 앤드 러플린 스틸(Jones and Laughlin Steel)은 2대(102–103)를 보유했다.
카이저 보크사이트(Kaiser Bauxite)는 1대(5109)를, 엑손모빌(ExxonMobil)은 1대(2)를 보유했다. 뉴올리언스 퍼블릭 벨트(New Orleans Public Belt)는 6대(101-106)를, 인디애나 공공 서비스 회사(Public Service Company of Indiana)는 1대(1)를 보유했다. 위스콘신 일렉트릭 파워(Wisconsin Electric Power)는 1대(번호 없음)를, 영스타운 시트 앤드 튜브(Youngstown Sheet and Tube)는 10대(905-914)를 보유했다.
총 119대의 EMD SW1000이 여러 회사에서 사용되었다.
7. 1. EMD SW1000 제원
EMD SW1000 모델은 여러 철도 회사에서 사용되었다. 알토스 오르노스 데 멕시코(Altos Hornos de Mexico)는 2대(132, 137), 세멘토스 아나우악(Cementos Anahuac)은 1대(번호 없음)를 보유했으며, 후자는 세멕스(Cemex)로 이전되었다.[4] 애팔래치안 파워(Appalachian Power)는 1대(1)를 보유했으며, 현재 로어노크 지부 NRHS 소유이다. 암코 스틸(Armco Steel)은 1대(B81)를, 버밍햄 서던 철도(Birmingham Southern Railroad)는 8대(10-17)를 보유했다. 벌링턴 노던(Burlington Northern)은 43대(375-394, 427-449)를, 시카고 벌링턴 앤드 퀸시(Chicago Burlington and Quincy)는 12대(9310-9321)를 보유했으며, 이는 벌링턴 노던 574-585로 변경되었다.페로카릴 치와와 셀룰로스(Ferrocarril Chihuahua Cellulose)는 1대(1811)를 보유했으며, 페로멕스(Ferromex)로 이전되었다. 잉그리디언(Ingredion)은 2대(68–69)를, 쿠야호가 밸리 철도(Cuyahoga Valley Railroad)는 1대(1050)를 보유했다. 덴버 앤드 리오 그란데(Denver and Rio Grande)는 10대(140-149)를, 디트로이트 에디슨(Detroit Edison)은 1대(216)를 보유했다. 클로켓 터미널 철도(Cloquet Terminal Railroad)와 덜루스 앤드 노스이스턴(Duluth and Northeastern)은 1대(35)를, 이스턴 코닥(Eastman Kodak)은 1대(8)를 보유했다.
듀폰(DuPont)은 2대(106-107)를, 카르무즈 라임 & 스톤(Carmeuse Lime & Stone)은 2대(108-109)를 보유했다. 제너럴 모터스-센트럴 파운드리 부서(General Motors-Central Foundry Division)의 사기노 몰리어블 아이언(Saginaw Malleable Iron)은 1대(번호 없음)를, 그레이트 레이크 스틸 코퍼레이션(Great Lakes Steel Corporation)은 1대(58)를 보유했다. 햄프턴 앤드 브랜치빌(Hampton and Branchville)은 1대(120)를, 휴스턴 벨트 앤드 터미널(Houston Belt and Terminal)은 3대(40-42)를 보유했다. 인랜드 스틸(Inland Steel)은 4대(115-118)를 보유했으며, 모두 비아 레일(Via Rail)에 판매되었다. 존스 앤드 러플린 스틸(Jones and Laughlin Steel)은 2대(102–103)를 보유했다.
카이저 보크사이트(Kaiser Bauxite)는 1대(5109)를, 엑손모빌(ExxonMobil)은 1대(2)를 보유했다. 뉴올리언스 퍼블릭 벨트(New Orleans Public Belt)는 6대(101-106)를, 인디애나 공공 서비스 회사(Public Service Company of Indiana)는 1대(1)를 보유했다. 위스콘신 일렉트릭 파워(Wisconsin Electric Power)는 1대(번호 없음)를, 영스타운 시트 앤드 튜브(Youngstown Sheet and Tube)는 10대(905-914)를 보유했다.
총 119대의 EMD SW1000이 여러 회사에서 사용되었다.
7. 2. 보존
대한민국 철도청 2100호대 디젤 기관차는 총 28대가 도입되었으나, 보존 중인 3량을 제외하고는 대부분 고철로 매각되거나 미국으로 수출되었다.[7][8][9][10]- 2101호: 1969년 도입되어 2005년 운행이 중단되었다.[11] 경기도 과천시 국립과천과학관 옥외 전시장에 반절개된 상태로 보존되어 있으며, 새마을호 객차 304호가 연결되어 있다. 처음에는 새마을호 도색을 하고 있었으나, 현재는 하얀 바탕에 갈색 줄무늬 도색으로 변경되었고, 새마을호 객차는 무도색 상태이다.
- 2116호: 1969년 도입되어 2005년 운행이 중단되었다.[11] 경상북도 안동시 가톨릭상지대학교에 퇴역 당시의 철도청 구 도색으로 보존되어 있다. 구도색 차량은 희귀하여 가치가 높다.
- 2122호: 1971년 도입되어 2005년 운행이 중단되었다. 전라남도 곡성군 섬진강 기차마을에서 주황색-검은색 호랑이 도색으로 보존 중이며, 가끔 입환용으로 운행하기도 한다. 호랑이 도색을 한 2100호대는 2122호가 유일하다.
- 2102호, 2105호, 2108호, 2123호: 미국으로 매각되었다.
- 2103호, 2104호, 2107호, 2110호, 2115호, 2117호, 2120호, 2121호, 2125호, 2126호, 2127호, 2128호: 미국으로 수출되었으나, 미국 일리노이주 마운트 버논 NRE 기지에서 방치되다가 고철로 매각되었다.
- 2109호: 미국으로 수출되었으나, 미국 일리노이주 마운트 버논 NRE 기지에서 방치되다가 8504호로 개번되었고 현지에서 매각되었다.[12]
- 2111호: 미국으로 수출되어 미국 일리노이주 마운트 버논 NRE 기지에서 입환용으로 운행되거나 방치되었다. 2022년에 운행하는 모습이 확인되었으나, 현재 상태는 정확히 알 수 없다. 노후화로 인해 NREX 700 1GS7B 디젤 기관차로 교체되었다.
- 2114호: 미국으로 수출되었으나, 미국 일리노이주 마운트 버논 NRE 기지에서 방치되다가 8604호로 개번되었고 현지에서 매각되었다.
- 2118호: 미국으로 수출되었으나, 미국 일리노이주 마운트 버논 NRE 기지에서 방치되다가 8704호로 개번되었고 현지에서 매각되었다.
- 2106호, 2112호, 2113호, 2119호: 2006년 또는 2007년에 고철로 매각되었다.
- 2124호: 2006년 고철로 매각되었다.
참조
[1]
서적
Field guide to modern diesel locomotives
https://www.worldcat[...]
Kalmbach Publishing
2002
[2]
웹사이트
Locomotives - SW1000 (switcher)
http://www.viarail.c[...]
Via Rail
2014-01-19
[3]
웹사이트
Burlington Northern EMD SW1000 Saved in Oregon
https://railfan.com/[...]
Railfan & Railroad
2022-08-11
[4]
웹사이트
Our History {{!}} CEMEX UAE
https://www.cemex.ae[...]
[5]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s://web.archive.[...]
2014-09-15
[6]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corbizoo.eglo[...]
2014-09-15
[7]
웹인용
EMD 34400 to 34499
http://www.trainweb.[...]
2016-07-03
[8]
웹인용
EMD 37000 to 37099
http://www.trainweb.[...]
2016-07-03
[9]
웹인용
Korean National Locomotives
https://www.thediese[...]
2017-03-12
[10]
서적
한국철도차량 100년사
철도차량기술검정단
1999
[11]
웹인용
국립과천과학관 사이버전시관
https://web.archive.[...]
2018-11-13
[12]
서적
한국철도차량 100년사
철도차량기술검정단
199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