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더글러스 호프스태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더글러스 호프스태터는 인지 과학, 인공지능, 언어, 번역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한 미국의 학자이다. 그는 인디애나 대학교와 미시간 대학교에서 교수로 재직하며 인지 모델을 연구했고, 특히 유추 형성과 의식에 대한 연구로 유명하다. 대표 저서로는 퓰리처상을 수상한 《괴델, 에셔, 바흐》가 있으며, 《메타매지컬 테마스》, 《나는 이상한 고리다》 등의 저서를 통해 대중에게도 널리 알려졌다. 호프스태터는 또한 언어에 대한 깊은 관심을 바탕으로 여러 문학 작품을 번역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퓰리처상 일반 논픽션 부문 수상자 - 스터즈 터클
    스터즈 터클은 45년간 라디오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미국의 사회상을 조명한 구술 역사 작품들을 저술하여 퓰리처상을 수상하고 국가 인문학 메달을 받은 미국의 작가, 역사가, 라디오 진행자, 배우이다.
  • 퓰리처상 일반 논픽션 부문 수상자 - 매튜 데스몬드
    매튜 데스몬드는 미국의 사회학자이자 작가로, 《쫓겨난 사람들: 미국 도시의 빈곤과 이윤》으로 퓰리처상 등을 수상했다.
  • 인디애나 대학교 교수 - 알프레드 킨제이
    알프레드 킨제이는 미국의 생물학자이자 성 연구가로, 킨제이 보고서로 알려진 『인간 남성의 성 행동』과 『인간 여성의 성 행동』을 통해 다양한 성적 행동에 대한 통계적 분석을 제시하고 성적 지향에 대한 새로운 이해를 제공하며 성혁명에 영향을 미쳤으나, 연구 방법론과 윤리적 문제에 대한 논란도 있다.
  • 인디애나 대학교 교수 - 제임스 D. 왓슨
    제임스 D. 왓슨은 DNA 이중 나선 구조를 밝혀내 노벨상을 수상하고 인간 게놈 프로젝트와 암 연구에 기여했으나, 인종과 지능에 대한 논란으로 비판받는 미국의 분자생물학자이다.
  • 팰로앨토 출신 - 스티브 잡스
    스티브 잡스는 애플의 공동 창업자이자 CEO, 픽사의 CEO, 디즈니의 이사회 멤버로서, 혁신적인 기술과 디자인으로 정보기술 산업에 큰 영향을 미친 미국의 기업인이다.
  • 팰로앨토 출신 - 앤드루 파이어
    앤드루 파이어는 이중 가닥 RNA가 상보적인 서열을 가진 mRNA를 파괴하여 단백질 번역을 억제하는 RNA 간섭 현상을 크레이그 멜로와 함께 발견하여 2006년 노벨 생리학·의학상을 수상한 미국의 생물학자이며, 현재 스탠퍼드 대학교 병리학 및 유전학 교수와 미국 국립과학원 및 미국 예술 과학 아카데미 회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더글러스 호프스태터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2006년 스탠포드 대학교에서 촬영된 더글러스 호프스태터의 사진
2006년의 호프스태터
본명더글러스 리처드 호프스태터
출생일1945년 2월 15일
출생지미국 뉴욕 시
분야인지 과학
심리 철학
인공지능
물리학
직장인디애나 대학교
스탠퍼드 대학교
오리건 대학교
미시간 대학교
학력스탠퍼드 대학교 (BS)
오리건 대학교 (PhD)
박사 학위 논문 제목자기장 내 블로흐 전자의 에너지 준위
박사 학위 논문 URL박사 학위 논문
박사 학위 논문 연도1975년
주목할 만한 저서괴델, 에셔, 바흐
나는 이상한 고리
수상전미 도서상
퓰리처상
미국 예술 과학 아카데미 회원
아카데미 오브 어치브먼트 골든 플레이트 상
웹사이트더글러스 호프스태터 웹사이트
배우자캐럴 앤 브러시 (1985년–1993년, 사별)
바오펀 린 (2012년–현재)
자녀2명
학문적 영향
박사 과정 학생데이비드 찰머스

스콧 A. 존스
주요 업적호프스태터의 나비
호프스태터의 법칙

2. 학력 및 경력

1977년 인디애나 대학교 컴퓨터 과학부 교수로 임명되었으며, 1984년 미시간 대학교로 옮겨 심리학과 교수가 되었다.[15][16] 1988년 인디애나 대학교 블루밍턴 캠퍼스로 돌아와 인지과학과 비교 문학 석좌교수로 재직하며, 개념과 인지에 관한 연구 센터(Center for Research on Concepts and Cognition)를 지휘하고 유동적 유추 연구 그룹(Fluid Analogies Research Group, FARG)을 이끌고 있다.[67][17]

호프스태터는 저서 《괴델, 에셔, 바흐》에서 의식을 뇌의 하급 활동이 들끓는 긴급한 결과라고 표현했다. 그는 개미 군집의 사회 조직과 뉴런의 일관성 있는 "집합"으로 보이는 마음 사이에 유추를 제시하며, "나"라는 감각은 "이상한 고리"라는 추상적 패턴에서 비롯된다고 주장한다.

그의 글은 형식과 내용 사이의 강렬한 상호작용이 특징인데, 《괴델, 에셔, 바흐》의 20개의 대화에서는 바흐가 사용하는 카논푸가 같은 엄격한 음악 형식을 이야기하고 모방하는 방식으로 나타난다.

2. 1. 초기 생애 및 교육

더글러스 호프스태터는 뉴욕에서 미래의 노벨상 수상자인 물리학자 로버트 호프스태터와 낸시 기번 호프스태터 사이에서 태어났다.[12] 그의 아버지는 1961년에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했다.[65] 그는 그의 아버지가 교수였던 스탠퍼드 대학교 캠퍼스에서 성장했으며, 1958년부터 1959년까지 제네바 국제학교에 다녔다. 1965년 스탠퍼드 대학교에서 수학으로 라틴어 명예를 받으며 졸업했고, 1975년에는 오리건 대학교에서 물리학으로 철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1][13][55][66] 그는 자기장 내의 블로흐 전자의 에너지 준위를 연구하여 호프스태터의 나비로 알려진 프랙탈을 발견했다.[13][66]

2. 2. 학문적 경력

1977년 인디애나 대학교 컴퓨터 과학부 교수로 임명되면서 정신 과정의 컴퓨터 모델링에 대한 연구를 시작했다. 그는 이 연구를 "인공 지능 연구"라고 불렀지만, 이후 "인지 과학 연구"라는 용어를 선호하게 되었다.[14] 1984년 미시간 대학교로 옮겨 심리학과 교수가 되었고, 인간 이해 연구로 월그린 의장에 임명되었다.[15][16]

1988년, 호프스태터는 인디애나 대학교로 돌아와 인지 과학과 컴퓨터 과학 분야의 예술과학대학 석좌교수가 되었다. 그는 또한 과학사 및 철학, 철학, 비교 문학, 심리학의 부교수로 임명되었지만, 해당 학과와의 연관성은 명목상에 불과하다고 밝혔다.[17]

2006년 싱귤래리티 서밋에서 발표 중인 호프스태터


1988년부터 인디애나 대학교 블루밍턴 캠퍼스의 예술 과학부에서 인지 과학과 비교 문학 특별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개념과 인지에 관한 연구 센터(Center for Research on Concepts and Cognition)를 지휘하며, 유동적 유추 연구 그룹(Fluid Analogies Research Group, FARG)을 이끌고 있다.[67]

미시간 대학교와 인디애나 대학교에서는, 멜라니 미첼과 공동으로 "고수준의 지각"의 계산 모델인 "Copycat (software)|카피캣영어"을 개발하거나, 로버트 M. 프렌치와 공동으로 "Tabletop" 프로젝트를 개발하는 등, 유추 형성 및 인지에 관한 몇 가지 모델을 발표하고 있다. 호프스태터의 박사 과정 지도 학생인 제임스 마셜은 카피캣을 확장한 Metacat을 개발했다.[75] "레터 스피릿" 프로젝트는, 스타일적으로 통일된 "그리드 폰트"(그리드에 한정된 서체)를 디자인함으로써, 예술적 창조성을 모델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게리 맥그로와 존 릴링에 의해 구현되었다. 최근 모델로는, 봉가드 문제와 수열의 미시 영역에서의 고도 지각 및 유추를 각각 모델화한 "Phaeaco"(구현: Harry Foundalis)와 "SeqSee"(구현: Abhijit Mahabal), 삼각형의 기하학에서 지각과 발견의 프로세스를 모델화한 "George"(구현: Francisco Lara-Dammer) 등이 있다.[76][77][78]

호프스태터는, 일의 안팎을 불문하고, 아름다움을 추구해 왔다. 아름다운 수학적 패턴, 아름다운 설명, 아름다운 서체, 시 속의 아름다운 소리의 패턴 등을 추구하고 있다. 그는 대학교 갤러리에서 몇 차례 작품전을 개최했다. 그곳에서는 자신의 그리드 폰트, 앰비그램, 왈리 아트(인도의 다양한 알파벳을 기반으로 한 형태를 사용한, 음악에서 영감을 받은 시각적 패턴) 등을 전시하고 있다. "앰비그램"이라는 말은 1984년에 호프스태터가 고안한 것이다.[79]

호프스태터는 인지적 오류(주로 Speech error|말실수영어), 봉모트(유머 있는 경구, 명문구), 다양한 유추를 수집·연구하고, 이러한 다양한 인지의 산물을 오랫동안 관찰해 왔으며, 그 배경에 있는 메커니즘에 대한 이론은 그와 FARG의 멤버들이 개발한 계산 모델의 아키텍처에 강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80]

모든 FARG의 계산 모델에는 다음과 같은 중요한 원칙이 있다.

  • 인간의 사고는 수천 개의 독립적인 작은 행동이 병행적으로 이루어지며, 현재 활성화되어 있는 개념에 치우쳐 있다는 것
  • 활성화된 개념으로부터 활성화되지 않은 "인접 개념"으로 활성화가 퍼져나간다는 것
  • 병행적으로 이루어지는 활동의 임의성의 정도를 조정하는 "정신적 온도"가 있다는 것
  • 유망한 경로는 그렇지 않은 경로보다 빨리 탐색되는 경향이 있다는 것


또한, FARG 모델에는 "모든 인지는 유추로부터 구축된다"라는 포괄적인 철학이 있다. 이러한 개념을 공유하는 컴퓨터 아키텍처는 "액티브 심볼" 아키텍처라고 불린다.

그는 저서에서도 교육에서도 항상 예와 유추를 사용하여 구체성을 강조하고 추상적인 표현을 피하고 있다. 대표적인 것으로 "군론갈루아 이론의 시각화"라는 세미나가 있는데, 이것은 추상적인 수학적 아이디어를 가능한 한 구체적으로 표현한 것이다. 또한 학생이 이해하지 못하는 것은 결코 학생의 잘못이 아니라 항상 자신의 잘못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호프스태터가 박사 과정을 지도한 학생 중 저명한 인물은 다음과 같다.[84]

  • 데이비드 차머스
  • 로버트 M. 프렌치영어
  • 스콧 A. 존스 - 인력 검색 엔진 차차(ChaCha (search engine))를 제작했다.
  • 멜라니 미첼영어


1988년 회의주의 연구 위원회의 최고 영예인 "In Praise of Reason"상을 수상했다.[71] 2009년 4월 미국 예술 과학 아카데미의 펠로우[72]와 미국 철학 협회의 회원[73]으로, 2010년 웁살라 스웨덴 왕립 과학 협회의 회원[74]으로 선출되었다.

3. 연구 업적 및 주요 이론

1988년부터 호프스태터는 인디애나 대학교 블루밍턴 캠퍼스에서 인지과학 및 비교문학 교수로 재직하며, 대학원생들과 함께 "유동적 유추 연구 그룹"(FARG)을 결성하여 개념 및 인지 연구 센터를 이끌고 있다.[22] 1977년에는 인디애나 대학교 컴퓨터 과학부 교수로, 1984년에는 미시건 대학교 심리학과 교수로 임용되었으며, 인간 이해 연구로 월그린 의장에 임명되기도 했다. 1988년 그는 인지과학과 컴퓨터과학 분야 "예술과학 대학 교수"로 블루밍턴에 돌아왔다.

호프스태터는 50편 이상의 논문을 발표했으며, 주요 논문은 다음과 같다.


  • "블로흐 전자의 에너지 준위와 파동 함수 in 유리수 및 무리수 자기장" (https://journals.aps.org/prb/abstract/10.1103/PhysRevB.14.2239 ''Phys. Rev. B'' '''14''' (1976) 2239)
  • 오리건 대학교 시절에 쓴 논문으로, 결정 격자 내 전자에너지 준위가 시스템의 자기장의 함수이며, 프랙탈 집합을 구성할 것이라고 예측했다. 이 프랙탈 구조는 "호프스태터의 나비"라고 불리며, 이후 실험으로 확인되었다.
  • "강자성의 이징 모형을 포함한 비결정론적 유사성 접근 방식" (Eduardo R. Caianiello|Eduardo Caianiello영어 (ed.), ''The Physics of Cognitive Processes''. Teaneck, NJ: World Scientific, 1987)
  • To Err Is Human; to Study Error-Making Is Cognitive Science|실수는 인간적이다; 오류를 연구하는 것은 인지 과학이다영어 (데이비드 J. 모세와의 공저), Michigan Quarterly Review, Vol. XXVIII, No. 2, 1989, pp. 185–215.
  • Speechstuff and Thoughtstuff: Musings on the Resonances Created by Words and Phrases via the Subliminal Perception of their Buried Parts|언어 재료와 사고 재료: 단어와 구절이 그 숨겨진 부분의 잠재적 인식을 통해 만들어내는 공명에 대한 성찰영어 (in Sture Allen (ed.), ''Of Thoughts and Words: The Relation between Language and Mind. Proceedings of the Nobel Symposium 92'', London/New Jersey: World Scientific Publ., 1995, 217–267)
  • To See an A and to See It as an A|A를 보고 A를 보는 것에 대하여영어, ''Stanford Humanities Review'' Vol. 4, No. 2 (1995) pp. 109–121.
  • Analogy as the Core of Cognition|인지의 핵심으로서의 유추영어 (Dedre Gentner|Dedre Gentner영어, Keith Holyoak|Keith Holyoak영어, and Boicho Kokinov (eds.) ''The Analogical Mind: Perspectives from Cognitive Science'', Cambridge, MA: The MIT Press/Bradford Book, 2001, pp. 499–538)

3. 1. 인지 모델 개발

인디애나 대학교 블루밍턴 캠퍼스와 미시간 대학교에서 Melanie Mitchell|멜라니 미첼영어과 공동으로 "고수준의 지각" 계산 모델인 Copycat (software)|카피캣영어을 개발하고, Robert M. French|로버트 M. 프렌치영어와 공동으로 "Tabletop" 프로젝트를 개발하는 등, 유추 형성과 인지에 관한 여러 모델을 발표했다.[22] 호프스태터의 박사 과정 지도 학생인 제임스 마셜은 카피캣을 확장한 Metacat을 개발했다.[75] 게리 맥그로와 존 레흘링이 구현한 레터 스피릿 프로젝트는 스타일이 통일된 "그리드폰트"(그리드로 제한된 서체)를 디자인하여 예술적 창의성을 모델링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23] 다른 최근 모델로는 Bongard problem|봉가드 문제영어와 숫자 시퀀스의 마이크로 도메인에서 고차원적 지각과 유추 생성을 모델링하는 Phaeaco(해리 파운달리스 구현)와 SeqSee(아비지트 마하발 구현), 그리고 삼각형 기하학에서 지각과 발견 과정을 모델링하는 George(프란시스코 라라-담머 구현) 등이 있다.[24][25]

FARG의 모든 계산 모델에는 다음과 같은 중요한 원칙이 있다.

  • 인간의 사고는 수천 개의 독립적인 작은 행동이 병행적으로 이루어지며, 현재 활성화되어 있는 개념에 치우쳐 있다.
  • 활성화된 개념에서 활성화되지 않은 "인접 개념"으로 활성화가 퍼져나간다.
  • 병행적으로 이루어지는 활동의 임의성 정도를 조정하는 "정신적 온도"가 있다.
  • 유망한 경로는 그렇지 않은 경로보다 빨리 탐색되는 경향이 있다.


또한, FARG 모델에는 "모든 인지는 유추로부터 구축된다"라는 포괄적인 철학이 있다. 이러한 개념을 공유하는 컴퓨터 아키텍처는 "액티브 심볼" 아키텍처라고 불린다.

3. 2. FARG 모델의 주요 원칙

FARG 모델의 주요 원칙은 다음과 같다.[80]

원칙
인간의 사고는 수천 개의 독립적인 작은 행동이 병행적으로 이루어지며, 현재 활성화되어 있는 개념에 치우쳐 있다.
활성화된 개념으로부터 활성화되지 않은 "인접 개념"으로 활성화가 퍼져나간다.
병행적으로 이루어지는 활동의 임의성의 정도를 조정하는 "정신적 온도"가 있다.
유망한 경로는 그렇지 않은 경로보다 빨리 탐색되는 경향이 있다.



또한, FARG 모델에는 "모든 인지는 유추로부터 구축된다"라는 포괄적인 철학이 있다. 이러한 개념을 공유하는 컴퓨터 아키텍처는 "액티브 심볼" 아키텍처라고 불린다.

3. 3. 의식 이론

호프스태터의 의식 이론은 그의 저서 《괴델, 에셔, 바흐》에서 처음 제시되었고, 이후 여러 저서에서 나타난다. 그는 의식이 "뇌의 낮은 수준의 활동이 끓어오르는 것의 결과로 나타나는 현상"이라고 주장한다.[81]

괴델, 에셔, 바흐》에서 호프스태터는 개미 군체의 사회적 조직과 뉴런의 집합체로서의 마음을 비교한다. 그는 우리의 "나"라는 감각, 즉 자아의식이 "이상한 고리"라는 추상적인 패턴에서 비롯된다고 말한다. 이 "이상한 고리"는 소리나 영상 피드백과 같은 구체적인 현상과 추상적으로 유사하며, 호프스태터는 이를 "레벨 크로스 피드백 루프"로 정의한다.[81] 괴델의 불완전성 정리의 핵심인 자기 참조적인 구조는 이상한 고리의 전형적인 예이다.

2007년 저서 《나는 이상한 고리다》에서 호프스태터는 자신의 의식 이론을 더욱 발전시켜, 인간이 느끼는 "나"는 하나의 뇌에 한정되지 않고, 다수의 뇌에 분산되어 있다는 주장을 펼친다.[81]

3. 4. 언어와 번역에 대한 관심

호프스태터는 언어와 번역, 특히 시 번역에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다. 언어의 음악을 찬양하며는 이 주제를 다룬 그의 저서이다. 이 책에서 그는 16세기 프랑스 시인 클레망 마로의 짧은 시 "Ma Mignonne"의 88가지 번역본을 모아 소개했다.[27] 호프스태터는 자신을 유머러스하게 "파이링구얼"(연구한 모든 언어의 숙련도를 합하면 3.14159 ... 정도라는 의미)이자, "소수의" 언어를 구사하는 "올리고글롯"(oligoglot)이라고 표현했다.[27][28]

1999년, 알렉산드르 푸시킨의 탄생 200주년에 호프스태터는 푸시킨의 운문 소설 ''예브게니 오네긴''의 운문 번역본을 출간했다.[27] 그는 프랑수아즈 사강의 ''그 몹쓸 아픔''과 발테르 벨트로니의 ''La Scoperta dell'Alba'' (''새벽의 발견'') 등 다른 시들과 두 편의 소설도 번역했다. ''새벽의 발견''은 2007년에, ''그 몹쓸 아픔''은 2009년에 호프스태터의 에세이 "번역가, 무역상: 번역의 즐겁게 만연한 역설에 대한 에세이"와 함께 출판되었다.[28]

4. 대중적 이미지와 영향

2002년 이탈리아 볼로냐에 있는 호프스태터


더글러스 호프스태터는 "컴퓨터 중심의 오타쿠 문화에 위화감을 느낀다"고 말했다. 그는 "자신의 청중 대부분은 기술에 매료된 사람들 같다"고 인정하면서도, 자신의 연구가 "많은 학생들이 컴퓨터나 인공지능 분야에서 경력을 시작하는 계기가 되었다"는 점은 기쁘게 생각하지만, 자신은 "컴퓨터에는 전혀 관심이 없다"고 답했다.[30][31] 인디애나 대학교에서 진행한 강의에서 "높이 평가받는 많은 AI 프로젝트와 전반적인 접근 방식을 회의적으로 보고 있다"고도 말했다.[16] 예를 들어, 딥 블루가 가리 카스파로프를 이겼을 때, "컴퓨터가 지능적이 되었다는 것과는 관련이 없다"고 언급했다.[32] 다만, 저서 ''메타매지컬 테마스''에서는 "오늘날 창의성과 아름다움에 매료된 사람이 컴퓨터에서 그 본질을 탐구하는 궁극적인 도구를 보지 못할 수 있겠는가?"라고 말하기도 했다.[33]

1988년, 네덜란드 감독 피에트 헌더도스는 호프스태터와 그의 아이디어를 다룬 다큐 드라마 ''두뇌의 희생자''를 제작했다. 이 작품은 ''마음의 거울''을 기반으로 했으며, 호프스태터의 작업에 대한 인터뷰를 포함하고 있다.[34]

호프스태터는 싱귤래리티 (인공지능이 인류를 대신하여 문명의 진보 주역이 되는 순간) 예측에 자극을 받아, 이 주제에 관한 여러 공개 토론회를 기획하고 참여했다. 1999년 인디애나 대학교, 2000년 4월 스탠퍼드 대학교에서 "스피리추얼 로봇"이라는 심포지엄을 개최하여 레이 커즈와일, 한스 모라벡, 케빈 켈리 등 여러 인사를 패널 토론에 초대하고 사회를 맡았다. 2006년 5월 스탠퍼드 대학교에서 개최된 제1회 특이점 정상 회담에도 패널리스트로 초청되었다. 호프스태터는 가까운 미래에 싱귤래리티가 일어날 것이라는 예측에는 의문을 제기하고 있다.[35][36][37][38][39][40]

2023년, 호프스태터는 AI의 급속한 발전에 따라 AI의 한계에 대한 자신의 "핵심적인 믿음" 중 일부가 "무너졌다"고 말했다. 그는 AI 장악을 암시하며, 인간이 곧 "훨씬 더 지능적이고 우리에게 이해할 수 없게 될 다른 무언가"에 의해 대체될 수 있다고 덧붙였다.[41][42]

4. 1. 대중 강연 및 저술 활동

1988년부터 호프스태터는 블룸링턴 인디애나 대학교에서 인지과학 및 비교문학 교수로 재직하며, 자신과 대학원생들로 구성된 개념 및 인지 연구 센터를 지휘하여 "유동적 아날로그 연구 그룹"(FARG)을 결성했다.[22] 1977년에는 인디애나 대학교 컴퓨터 과학부 교수로 임용되었고, 1984년에는 앤아버의 미시건 대학교로 옮겨 심리학과 교수가 되었으며, 인간 이해 연구로 월그린 의장에 임명되기도 했다. 1988년 그는 인지과학과 컴퓨터과학 모두에서 "예술과학 대학 교수"로 블룸링턴으로 돌아왔다.

미시간 대학교와 인디애나 대학교에서 호프스태터는 멜라니 미첼과 공동으로 "고차원적 지각"에 대한 계산 모델인 카피캣과, 인지와 유추에 대한 여러 모델을 공동으로 저술했다. 여기에는 로버트 M. 프렌치와 공동으로 개발한 테이블탑 프로젝트가 포함된다.[22] 게리 맥그로우와 존 레흘링이 구현한 레터 스피릿 프로젝트는 스타일리시하게 통일된 "그리드폰트"(그리드로 제한된 서체)를 디자인하여 예술적 창의성을 모델링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다른 최근 모델로는 봉가드 문제와 숫자 시퀀스의 마이크로 도메인에서 고차원적 지각과 유추 생성을 모델링하는 Phaeaco(해리 파운달리스 구현)와 SeqSee(아비지트 마하발 구현), 그리고 삼각형 기하학에서 지각과 발견의 과정을 모델링하는 George(프란시스코 라라-담머 구현) 등이 있다.[23][24][25]

1999년, 알렉산드르 푸시킨 탄생 200주년에 호프스태터는 푸시킨의 운문 소설 ''예브게니 오네긴''의 운문 번역본을 출간했다. 그는 프랑수아즈 사강의 ''그 몹쓸 아픔''과 발테르 벨트로니의 ''La Scoperta dell'Alba'' (''새벽의 발견'') 등 다른 시들과 두 편의 소설도 번역했다. ''새벽의 발견''은 2007년에, ''그 몹쓸 아픔''은 2009년에 호프스태터의 에세이 "번역가, 무역상: 번역의 즐겁게 만연한 역설에 대한 에세이"와 함께 출판되었다.

호프스태터는 자신이 "컴퓨터에 집중하는 너드 문화에 불편함을 느낀다"고 말했다. 그는 "청중의 상당수가 기술에 매료된 사람들인 것 같다"고 인정했지만, 그의 저서가 "많은 학생들이 컴퓨팅과 인공지능 분야에서 경력을 시작하도록 영감을 주었다"는 제안에 대해 기쁘지만, 그는 "컴퓨터에는 관심이 없다"고 답했다.[30][31] 그는 인터뷰에서 인디애나 대학교에서 두 번이나 강의한 강좌에 대해서도 언급했는데, 이 강좌에서 그는 "높이 평가받는 AI 프로젝트와 전반적인 접근 방식에 대해 회의적인 시각"을 가졌다.[16] 예를 들어, 가리 카스파로프가 딥 블루에 패배했을 때, 그는 "획기적인 사건이었지만, 컴퓨터가 지능적이 되는 것과는 관련이 없다"고 언급했다.[32]

기술적 특이점 (자기 강화, 인공지능의 급격한 발전이 기술과 문화에 급격한 변화를 일으키는 미래의 가상적인 시점)에 대한 예측에 자극을 받아, 호프스태터는 이 주제에 대한 여러 공개 토론을 조직하고 참여했다. 1999년 인디애나 대학교에서 그는 그러한 심포지엄을 조직했고, 2000년 4월에는 스탠퍼드 대학교에서 "영적 로봇"이라는 더 큰 심포지엄을 조직하여 레이 커즈와일, 한스 모라벡, 케빈 켈리, 랄프 머클, 빌 조이, 프랭크 드레이크, 존 홀랜드, 존 코자로 구성된 패널을 진행했다. 호프스태터는 또한 2006년 5월 스탠퍼드에서 열린 제1회 특이점 정상 회담의 초청 패널리스트이기도 했다. 호프스태터는 특이점이 가까운 미래에 발생할 것이라는 데 의문을 표명했다.[35][36][37][38][39][40]

2023년, 호프스태터는 AI의 급속한 발전에 따라 AI의 한계에 대한 자신의 "핵심적인 믿음" 중 일부가 "무너졌다"고 말했다. 그는 AI 장악을 암시하며, 인간이 곧 "훨씬 더 지능적이고 우리에게 이해할 수 없게 될 다른 무언가"에 의해 대체될 수 있다고 덧붙였다.[41][42]

마틴 가드너가 ''사이언티픽 아메리칸'' 잡지에 "수학 게임" 칼럼의 집필을 은퇴하자, 호프스태터는 1981년부터 1983년까지 이 칼럼의 후임으로 ''메타매지컬 테마''( "Mathematical Games"의 애너그램)라는 칼럼을 썼다. 그는 이 칼럼 중 하나에서 "이 책에 대한 리뷰"라는 개념을 소개했는데, 이는 자기 자신에 대한 상호 참조 리뷰로만 구성된 책으로, 온라인 구현이 가능하다.[43] 호프스태터는 ''사이언티픽 아메리칸''에 실은 칼럼 중 하나에서 성차별적인 언어가 미치는 해로운 영향에 대해 다루었고, 그의 책 ''메타매지컬 테마''의 두 장은 그 주제에 할애되었는데, 그 중 하나는 "[http://www.cs.virginia.edu/~evans/cs655/readings/purity.html 언어의 순수성에 관한 사람 논문]" (1985)이라는 신랄한 비유 기반 풍자였으며, 여기서는 독자가 인종차별과 인종차별적 언어에 대해 느끼는 혐오감을 성차별과 성차별적 언어에 대한 유사한 혐오감을 유발하는 지렛대로 사용했다; 호프스태터는 윌리엄 사파이어를 암시하는 필명 윌리엄 새타이어로 이 논문을 발표했다.[44] 또 다른 칼럼에서는 미시간 대학교 로버트 액설로드 교수가 여러 반복된 죄수의 딜레마 전략을 서로 겨루는 컴퓨터 토너먼트에서 발견한 내용을 보도했으며, 후속 칼럼에서는 호프스태터와 그의 대학원생 마렉 루고우스키가 조직한 유사한 토너먼트에 대해 논의했다. "메타매지컬 테마" 칼럼은 프레데리크 쇼팽의 피아노 음악(특히 그의 연습곡)의 패턴, 초합리성의 개념(상대방/적대자가 자신만큼 똑똑하다고 가정할 때 협력하도록 선택하는 것), 그리고 철학자 피터 수버가 개발한, 법률 시스템이 자체적으로 수정되는 방식을 기반으로 한 자기 수정 게임인 노믹 등 다양한 주제를 다루었다.[45]

4. 2. 대중 문화 속 호프스태터



호프스태터는 자신이 "컴퓨터에 집중하는 너드 문화에 불편함을 느낀다"고 말했으며, "청중의 상당수가 기술에 매료된 사람들인 것 같다"고 인정했다. 하지만 그의 저서가 "많은 학생들이 컴퓨팅과 인공지능 분야에서 경력을 시작하도록 영감을 주었다"는 제안에 대해 기쁘지만, 그는 "컴퓨터에는 관심이 없다"고 답했다.[30][31] 그는 인디애나 대학교에서 두 번이나 강의한 강좌에서 "높이 평가받는 AI 프로젝트와 전반적인 접근 방식에 대해 회의적인 시각"을 가졌다고 언급했다.[16] 예를 들어, 가리 카스파로프가 딥 블루에 패배했을 때, 그는 "획기적인 사건이었지만, 컴퓨터가 지능적이 되는 것과는 관련이 없다"고 언급했다.[32] 그의 저서 ''메타매지컬 테마스''에서 그는 "오늘날 창의성과 아름다움에 매료된 사람이 컴퓨터에서 그 본질을 탐구하는 궁극적인 도구를 보지 못할 수 있겠는가?"라고 말했다.[33]

1988년, 네덜란드 감독 피에트 헌더도스는 호프스태터와 그의 아이디어에 관한 다큐 드라마 ''두뇌의 희생자''를 제작했으며, 이는 ''마음의 거울''을 기반으로 했다. 이 작품에는 그의 작업에 대한 호프스태터와의 인터뷰가 포함되어 있다.[34]

기술적 특이점(자기 강화, 인공지능의 급격한 발전이 기술과 문화에 급격한 변화를 일으키는 미래의 가상적인 시점)에 대한 예측에 자극을 받아, 호프스태터는 이 주제에 대한 여러 공개 토론을 조직하고 참여했다. 1999년 인디애나 대학교에서 그는 그러한 심포지엄을 조직했고, 2000년 4월에는 스탠퍼드 대학교에서 "영적 로봇"이라는 더 큰 심포지엄을 조직하여 레이 커즈와일, 한스 모라벡, 케빈 켈리, 랄프 머클, 빌 조이, 프랭크 드레이크, 존 홀랜드, 존 코자로 구성된 패널을 진행했다. 호프스태터는 또한 2006년 5월 스탠퍼드에서 열린 제1회 특이점 정상 회담의 초청 패널리스트이기도 했다. 호프스태터는 특이점이 가까운 미래에 발생할 것이라는 데 의문을 표명했다.[35][36][37][38][39][40]

2023년, 호프스태터는 AI의 급속한 발전에 따라 AI의 한계에 대한 자신의 "핵심적인 믿음" 중 일부가 "무너졌다"고 말했다. 그는 AI 장악을 암시하며, 인간이 곧 "훨씬 더 지능적이고 우리에게 이해할 수 없게 될 다른 무언가"에 의해 대체될 수 있다고 덧붙였다.[41][42]

1982년 소설 《2010: 오디세이 2》에서, 아서 C. 클라크의 《2001 스페이스 오디세이》의 첫 번째 후속작에서, 등장인물 "찬드라 박사"는 HAL 9000이 "호프스태터–뫼비우스 루프"에 갇혔다고 묘사한다. 영화에서는 "H. 뫼비우스 루프"라는 용어를 사용한다. 1995년 4월 3일, 호프스태터의 저서 《유동적 개념과 창의적 유추: 사고의 기본 메커니즘에 대한 컴퓨터 모델》은 아마존.com에서 판매된 첫 번째 책이었다.[54] 마이클 R. 잭슨의 뮤지컬 《이상한 루프》는 호프스태터의 개념과 그의 2007년 저서의 제목을 언급한다.

5. 개인적인 삶

더글러스 호프스태터는 캐럴 앤 브러시와 결혼하여 사망할 때까지 함께 살았다. 둘은 블루밍턴에서 만나 1985년 앤아버에서 결혼식을 올렸고, 슬하에 두 자녀를 두었다. 캐럴은 1993년 교아세포종이라는 뇌종양으로 세상을 떠났다. 1996년에는 그녀의 이름을 따 볼로냐로 유학 가는 인디애나 대학교 학생들을 위한 캐럴 앤 브러시 호프스태터 기념 장학금이 제정되었다.[46] 호프스태터의 저서 ''마로의 아름다운 어조''는 두 자녀에게 헌정되었으며, "M. & D., 그들의 엄마의 영혼의 살아있는 불꽃에게"라는 헌사가 적혀 있다. 2012년 9월, 호프스태터는 차차차 수업에서 만난 린바오펀과 블루밍턴에서 결혼했다.[47][48]

호프스태터는 피아노를 위한 곡과 피아노와 목소리를 위한 곡을 작곡했다. 그는 이 곡들을 모아 오디오 CD ''DRH/JJ''를 제작했는데, 주로 피아니스트 제인 잭슨이 연주하고 브라이언 존스, 다프나 바렌보임, 기탄잘리 마투르가 참여했으며, 호프스태터 자신도 몇 곡을 연주했다.[49] ''나는 이상한 고리다''의 헌사는 "이해할 수 있는 나의 누이 로라에게, 그리고 이해할 수 없는 우리의 누이 몰리에게."라고 적혀 있다.[50] 호프스태터는 서문에서 그의 여동생 몰리가 언어를 말하거나 이해하는 능력을 발달시키지 못했다고 설명한다.[51] 의식과 공감에 대한 그의 신념으로, 호프스태터는 십 대 시절에 채식주의자가 되었고, 그 이후로도 주로 채식주의를 실천하고 있다.[52][53]

6. 출판물

더글러스 호프스태터는 과학, 철학, 문학, 번역 등 다양한 분야에 걸쳐 폭넓은 저술 활동을 펼쳤다. 그의 저서들은 독창적인 아이디어와 깊이 있는 통찰을 제시한다.
주요 저서:


  • 괴델, 에셔, 바흐 - 영원한 황금의 매듭 (1979): 쿠르트 괴델, M.C. 에셔, 요한 제바스티안 바흐의 작품과 사상을 연결하여 인공지능, 인지과학, 수학, 논리학 등을 탐구한다. 퓰리처상 논픽션 부문 수상작이다.
  • 메타매지컬 테마스 (1985): ''사이언티픽 아메리칸''에 기고한 칼럼과 에세이를 모은 책으로, 인지과학, 컴퓨터 과학, 언어학, 문학, 음악 등 다양한 분야를 넘나든다.
  • 유동적 개념과 창의적 유추 (1995): 호프스태터와 그의 대학원생들이 함께 쓴 책으로, 인지 과정에서 유추의 역할과 중요성을 강조한다.
  • 나는 이상한 고리다 (2007): 자아와 의식의 본질을 탐구하는 책으로, 개인적인 경험과 철학적 사유를 결합하여 독특한 관점을 제시한다.
  • 표면과 본질: 사고의 연료이자 불꽃으로서의 유추 (2013): 엠마누엘 샌더와 공동 저술한 책으로, 유추가 인간 사고의 핵심 메커니즘임을 주장하며, 다양한 사례를 통해 유추의 작동 방식을 보여준다.

기타 저서 참여:호프스태터는 다른 저자들의 책에 서문, 서론, 편집 등으로 참여하기도 했다.

출판 연도제목저자참여
1981《마음의 I: 자아와 영혼에 대한 환상과 성찰(The Mind's I: Fantasies and Reflections on Self and Soul)》대니얼 데닛 공저공저
1981《Inversions》스콧 김서문
1983《앨런 튜링: 수수께끼(Alan Turing: The Enigma)》앤드루 호지스서문
1988《희소 분산 메모리(Sparse Distributed Memory)》펜티 카네르바서문
1989《양자란 실재하는가? 갈릴레이 대화》(Are Quanta Real? A Galilean Dialogue)》J.M. 자우흐서문
2002《괴델의 증명》(2002년 개정판)어니스트 네이글, 제임스 R. 뉴먼서문, 편집
2003《누가 컴퓨터를 발명했는가? 컴퓨팅 역사를 바꾼 법적 공방》(Who Invented the Computer? The Legal Battle That Changed Computing History)》앨리스 버크스서문
2003《앨런 튜링]: 위대한 사상가의 삶과 유산(Alan Turing: Life and Legacy of a Great Thinker)》크리스토프 토이셔편집
2004《뇌간 정물》(Brainstem Still Life)》제이슨 살라본서론
2004《기만의 대가: 에셔, 달리 & 착시 예술가들》(Masters of Deception: Escher, Dalí & the Artists of Optical Illusion)》알 세켈서문
2006《무한 공간의 왕: 기하학을 구한 남자, 도널드 콕세터(King of Infinite Space: Donald Coxeter, the Man Who Saved Geometry)》시반 로버츠서문
2017《광기의 시대의 정확한 사고: 빈 학파와 과학의 기초를 위한 장대한 탐구》(Exact Thinking in Demented Times: The Vienna Circle and the Epic Quest for the Foundations of Science)》카를 지그문트서문, 번역 도움
2022《이성의 불꽃을 밝히기 위해: 21세기를 위한 명확한 사고》(To Light the Flame of Reason: Clear Thinking for the Twenty-First Century)》크리스토퍼 스터마크서문, 기여


번역:호프스태터는 알렉산드르 푸시킨의 운문 소설 ''예브게니 오네긴''을 비롯하여 프랑수아즈 사강의 ''그 몹쓸 아픔'', 발테르 벨트로니의 ''La Scoperta dell'Alba'' (''새벽의 발견'') 등 여러 작품을 번역했다.[27] 번역에 대한 자신의 철학을 담은 에세이 "번역가, 무역상: 번역의 즐겁게 만연한 역설에 대한 에세이"를 출판하기도 했다.[28] 언어의 음악을 찬양하며는 언어와 번역, 특히 시 번역에 관한 책으로, 클레망 마로의 시 "마 미뇽"의 88가지 번역본을 수록하고 있다.[27]

6. 1. 저서


  • 괴델, 에셔, 바흐 - 영원한 황금의 매듭 (1979)
  • 메타매지컬 테마스 (1985) (''사이언티픽 아메리칸'' 칼럼 및 기타 에세이 모음)
  • ''Ambigrammi: un microcosmo ideale per lo studio della creatività'' (이탈리아어판)
  • 유동적 개념과 창의적 유추 (호프스태터의 여러 대학원생들과 공동 저술)
  • ''Rhapsody on a Theme by Clement Marot'' (1996)
  • 르 통 보 드 마로: 언어의 음악을 찬양하며
  • 나는 이상한 고리다 (2007)
  • 표면과 본질: 사고의 연료이자 불꽃으로서의 유추 (엠마누엘 샌더와 공동 저술, 프랑스어 초판: ''L'Analogie. Cœur de la pensée''; 2013년 미국 영어 출판)

6. 2. 기타 저서 참여


  • 《마음의 I: 자아와 영혼에 대한 환상과 성찰(The Mind's I: Fantasies and Reflections on Self and Soul)》 (대니얼 데닛 공저), 1981.
  • 《Inversions》 (스콧 김 저), 1981. (서문)
  • 《앨런 튜링: 수수께끼(Alan Turing: The Enigma)》 (앤드루 호지스 저), 1983. (서문)
  • 《희소 분산 메모리(Sparse Distributed Memory)》 (펜티 카네르바 저), 1988. (서문)
  • 《양자란 실재하는가? 갈릴레이 대화》(Are Quanta Real? A Galilean Dialogue)》 (J.M. 자우흐 저), 1989. (서문)
  • 《괴델의 증명》(2002년 개정판) (어니스트 네이글, 제임스 R. 뉴먼 저, 호프스태터 편집), 2002. (서문)
  • 《누가 컴퓨터를 발명했는가? 컴퓨팅 역사를 바꾼 법적 공방》(Who Invented the Computer? The Legal Battle That Changed Computing History)》 (앨리스 버크스 저), 2003. (서문)
  • 《앨런 튜링]: 위대한 사상가의 삶과 유산(Alan Turing: Life and Legacy of a Great Thinker)》 (크리스토프 토이셔 저), 2003. (편집)
  • 《뇌간 정물》(Brainstem Still Life)》 (제이슨 살라본 저), 2004. (서론)
  • 《기만의 대가: 에셔, 달리 & 착시 예술가들》(Masters of Deception: Escher, Dalí & the Artists of Optical Illusion)》 (알 세켈 저), 2004. (서문)
  • 《무한 공간의 왕: 기하학을 구한 남자, 도널드 콕세터(King of Infinite Space: Donald Coxeter, the Man Who Saved Geometry)》 (시반 로버츠 저), 2006. (서문)
  • 《광기의 시대의 정확한 사고: 빈 학파와 과학의 기초를 위한 장대한 탐구》(Exact Thinking in Demented Times: The Vienna Circle and the Epic Quest for the Foundations of Science)》 (카를 지그문트 저), 2017. (서문 및 번역 도움)
  • 《이성의 불꽃을 밝히기 위해: 21세기를 위한 명확한 사고》(To Light the Flame of Reason: Clear Thinking for the Twenty-First Century)》 (크리스토퍼 스터마크 저), 2022. (서문 및 기여)

6. 3. 번역

1999년 알렉산드르 푸시킨 탄생 200주년을 맞아 호프스태터는 푸시킨의 운문 소설 ''예브게니 오네긴''을 번역하여 출간했다.[27] 그는 프랑수아즈 사강의 ''그 몹쓸 아픔''과 발테르 벨트로니의 ''La Scoperta dell'Alba'' (''새벽의 발견'') 등 두 편의 소설과 여러 편의 시도 번역했다. ''새벽의 발견''은 2007년에, ''그 몹쓸 아픔''은 2009년에 호프스태터의 에세이 "번역가, 무역상: 번역의 즐겁게 만연한 역설에 대한 에세이"와 함께 출판되었다.[28] 언어의 음악을 찬양하며는 언어와 번역, 특히 시 번역에 관한 책으로, 클레망 마로의 시 "마 미뇽"의 88가지 번역본을 수록하고 있다.[27]

참조

[1] 학위논문 The Energy Levels of Bloch Electrons in a Magnetic Field
[2] 서적 I Am a Strange Loop Basic Books
[3] 웹사이트 Golden Plate Awardees of the American Academy of Achievement https://achievement.[...] American Academy of Achievement
[4] 학술저널 Who shoves whom around inside the careenium? Or what is the meaning of the word "I"?
[5] 웹사이트 General Nonfiction http://www.pulitzer.[...] The Pulitzer Prizes 2012-03-17
[6] 뉴스 A bedside book of paradoxes https://www.nytimes.[...] New York Times 2017-03-26
[7] 웹사이트 National Book Awards – 1980 http://www.nationalb[...] National Book Foundation 2012-03-07
[8] 웹사이트 And the L.A. Times Book Prize winners are... https://www.latimes.[...] 2023-04-10
[9] 웹사이트 Book Prizes – Los Angeles Times Festival of Books» Winners by Award http://events.latime[...] 2012-09-25
[10] 문서 "{{First word|{{#property:P2456}}|sep=,}} }}"
[11] 문서 "{{scopus|id=16483470000}}"
[12] 뉴스 Nancy Hofstadter, widow of Nobel laureate in physics, dead at 87 http://news.stanford[...] Stanford News Service 2007-08-17
[13] 학술저널 Energy levels and wave functions of Bloch electrons in rational and irrational magnetic fields
[14] 웹사이트 faculty http://www.cogs.indi[...] IU
[15] 웹사이트 A Day in the Life of ... Douglas Hofstadter http://www.acm.org/c[...] 2004
[16] 웹사이트 Seminar: AI: Hope and Hype http://www.indiana.e[...] 1999
[17] 웹사이트 Center for Research on Concepts and Cognition: Indiana University Bloomington http://www.cogsci.in[...] 2016-04-30
[18] 학술저널 New Light on the New Age CSICOP's Chicago conference was the first to critically evaluate the New Age movement. 1988
[19] 웹사이트 American Academy of Arts & Sciences http://www.amacad.or[...] 2016-04-30
[20] 웹사이트 Home - American Philosophical Society http://www.amphilsoc[...] 2016-04-30
[21] 웹사이트 Center for Research on Concepts and Cognition: Indiana University Bloomington http://www.cogsci.in[...] 2013-10-06
[22] 웹사이트 An overview of Metacat http://science.slc.e[...] 2003
[23] 뉴스 By Analogy: A talk with the most remarkable researcher in artificial intelligence today, Douglas Hofstadter, the author of Gödel, Escher, Bach https://www.wired.co[...] Wired Magazine 1995-11
[24] 웹사이트 Analogy as the Core of Cognition http://kwc.org/blog/[...] 2006-02-02
[25] 웹사이트 Center for Research on Concepts and Cognition http://www.cogsci.in[...]
[26] 웹사이트 Consciousness In The Cosmos: Perspective of Mind: Douglas Hofstadter http://www.bizcharts[...]
[27] 서적 Le Ton Beau de Marot Basic Books
[28] 서적 Le Ton Beau de Marot, Chapter "How Jolly the Lot of an Oligoglot" Basic Books
[29] 웹사이트 People at the CRCC http://www.cogsci.in[...] The Center for Research on Concepts and Cognition 2014-02-18
[30] 잡지 Me, My Soul, and I https://www.wired.co[...] 2007-03
[31] 뉴스 The Mind Reader https://www.nytimes.[...] New York Times Magazine 2007-04-01
[32] 뉴스 Mean Chess-Playing Computer Tears at Meaning of Thought http://besser.tsoa.n[...] New York Times 1996-02-19
[33] 서적 Metamagical Themas http://avalonlibrary[...] 1985
[34] 웹사이트 Victim of the Brain http://video.google.[...] 1988
[35] 문서 Will Spiritual Robots Replace Humanity By 2100? 2000-04-01
[36] 서적 "Moore's Law, Artificial Evolution, and the Fate of Humanity" Oxford University Press
[37] 웹사이트 The Singularity Summit at Stanford http://sss.stanford.[...] 2007-10-18
[38] Youtube Trying to Muse Rationally about the Singularity Scenario http://video.google.[...] 2008-03-30
[39] 웹사이트 Quotes from his 2006 Singularity Summit presentation http://www.singinst.[...] 2007-12-28
[40] 서적 "Staring EMI Straight in the Eye—and Doing My Best Not to Flinch" The MIT Press
[41] 뉴스 "Opinion {{!}} 'Human Beings Are Soon Going to Be Eclipsed'" https://www.nytimes.[...] 2023-07-13
[42] 웹사이트 Douglas Hofstadter thinks GPT-4 may undermine the "nature of truth on which our society is based" https://the-decoder.[...] 2023-07-09
[43] 웹사이트 Online implementation of his Reviews of this Book idea http://www.reenigne.[...] 2009-01-07
[44] 웹사이트 A Person Paper on Purity in Language http://www.cs.virgin[...]
[45] 서적 Metamagical Themas Basic Books
[46] 웹사이트 French and Italian http://www.indiana.e[...] 2007-12-12
[47] 웹사이트 Search https://www.hoosiert[...]
[48] 웹사이트 Falling in Love, With Panache https://www.theryder[...] The Ryder 2013-11
[49] 간행물 Piano Music by Douglas Hofstadter
[50] 서적 I Am a Strange Loop Basic Books
[51] 서적 I Am a Strange Loop https://books.google[...] Basic Books
[52] 논문 Do Loops Explain Consciousness? Review of I Am a Strange Loop https://www.ams.org/[...] 2007-08
[53] 서적 I Am a Strange Loop Basic Books
[54] 웹사이트 What Was The First Item Ever Ordered On Amazon? http://www.interneth[...] 2015-04-03
[55] 학위논문 The Energy Levels of Bloch Electrons in a Magnetic Field
[56] 서적 I Am a Strange Loop Basic Books
[57] 웹사이트 Golden Plate Awardees of the American Academy of Achievement https://achievement.[...] American Academy of Achievement
[58] 논문 Who shoves whom around inside the careenium? Or what is the meaning of the word ?I??
[59] 웹사이트 "General Nonfiction" http://www.pulitzer.[...] The Pulitzer Prizes 2012-02-26
[60] 뉴스 A bedside book of paradoxes https://www.nytimes.[...] New York Times 2017-03-26
[61] 웹사이트 "National Book Awards – 1980" http://www.nationalb[...] National Book Foundation 2014-08-13
[62] 웹사이트 Book Prizes – Los Angeles Times Festival of Books» Winners By Award http://events.latime[...] Events.latimes.com 2013-04-05
[63] 문서 "- DBLP Bibliography Server"
[64] 문서 scopus
[65] 뉴스 "Nancy Hofstadter, widow of Nobel laureate in physics, dead at 87" http://news.stanford[...] Stanford News Service 2007-08-17
[66] 논문 Energy levels and wave functions of Bloch electrons in rational and irrational magnetic fields
[67] 웹사이트 Center for Research on Concepts and Cognition: Indiana University Bloomington http://www.cogsci.in[...]
[68] 웹사이트 IU pages as faculty http://www.cogs.indi[...] 2003-12-31
[69] 웹사이트 A Day in the Life of ... Douglas Hofstadter http://www.acm.org/c[...] 2007-12-30
[70] 웹사이트 Seminar: AI: Hope and Hype http://www.indiana.e[...] 2007-06-06
[71] 논문 New Light on the New Age CSICOP's Chicago conference was the first to critically evaluate the New Age movement. 1988
[72] 웹사이트 American Academy of Arts & Sciences http://www.amacad.or[...] 2016-04-30
[73] 웹사이트 Home - American Philosophical Society http://www.amphilsoc[...] 2016-04-30
[74] 웹사이트 Center for Research on Concepts and Cognition: Indiana University Bloomington http://www.cogsci.in[...] 2013-10-06
[75] 웹사이트 An overview of Metacat http://science.slc.e[...] 2003
[76] 웹사이트 By Analogy: A talk with the most remarkable researcher in artificial intelligence today, Douglas Hofstadter, the author of Gödel, Escher, Bach https://www.wired.co[...] Wired Magazine 1995-11
[77] 웹사이트 Analogy as the Core of Cognition http://kwc.org/blog/[...] 2006-02-02
[78] 웹사이트 Center for Research on Concepts and Cognition http://www.cogsci.in[...]
[79] 웹사이트 Sounds like Bach http://www.unc.edu/~[...]
[80] 간행물 To Err is Human; to Study Error-making is Cognitive Science 1989
[81] 웹사이트 Consciousness In The Cosmos: Perspective of Mind: Douglas Hofstadter http://www.bizcharts[...]
[82] 서적 Le Ton Beau de Marot Basic Books 1997
[83] 서적 Le Ton Beau de Marot, Chapter "How Jolly the Lot of an Oligoglot" Basic Books 1997
[84] 웹사이트 People at the CRCC http://www.cogsci.in[...] The Center for Research on Concepts and Cognition 2014-02-18
[85] 웹사이트 Me, My Soul, and I https://www.wired.co[...] 2007-03
[86] 뉴스 The Mind Reader https://www.nytimes.[...] New York Times Magazine 2007-04-01
[87] 뉴스 Mean Chess-Playing Computer Tears at Meaning of Thought http://besser.tsoa.n[...] New York Times 1996-02-19
[88] 서적 Metamagical Themas http://avalonlibrary[...] 1985
[89] 문서 Will Spiritual Robots Replace Humanity By 2100? 2000-04-01
[90] 문서 Moore's Law, Artificial Evolution, and the Fate of Humanity.
[91] 웹사이트 The Singularity Summit at Stanford http://sss.stanford.[...] 2006
[92] 웹사이트 Trying to Muse Rationally about the Singularity Scenario http://video.google.[...] 2006-05-13
[93] 웹사이트 Quotes from his 2006 Singularity Summit presentation http://www.singinst.[...]
[94] 문서 Staring EMI Straight in the Eye—and Doing My Best Not to Flinch.
[95] 웹사이트 Victim of the Brain http://video.google.[...]
[96] 웹사이트 Online implementation of his ''Reviews of this Book'' idea http://www.reenigne.[...]
[97] 웹사이트 A Person Paper on Purity in Language http://www.cs.virgin[...] 1985
[98] 서적 Metamagical Themas Basic Books 1985
[99] 웹사이트 French and Italian http://www.indiana.e[...] 1996
[100] 문서 hofstadter baofen https://www.hoosiert[...]
[101] 웹사이트 Brief Autobiographical Statement by Douglas Hofstadter https://www.citadel.[...] 2021-04-05
[102] 서적 I Am a Strange Loop Basic Books 2007
[103] 서적 I Am a Strange Loop https://books.google[...] Basic Books 2007
[104] 논문 Do Loops Explain Consciousness? Review of ''I Am a Strange Loop'' http://www.ams.org/n[...] 2007-08
[105] 기타 Piano Music by Douglas Hofstadter 2000
[106] 서적 ゲーデル・エッシャー・バッハ 20周年記念版
[107] 웹사이트 Here Is the First Book Ever Ordered on Amazon https://www.theatlan[...] The Atlantic 2012-11-01
[108]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www.cogsci.in[...] 2004-05-2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