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델리의 철 기둥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델리의 철 기둥은 인도 델리에 위치한 7.21m 높이의 고대 철 기둥으로, 굽타 왕조 시대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된다. 기둥에는 굽타 시대의 찬드라 왕을 기리는 비문이 새겨져 있으며, 비슈누 신앙과 관련된 내용이 담겨 있다. 뛰어난 내식성을 자랑하며, 표면에 형성된 인산염 피막이 부식을 방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13세기에 쿠트브 단지로 옮겨졌으며, 현재는 쿠와트 알 이슬람 사원 안에 위치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굽타 금석문 - 비라세나 사바
    비라세나 사바는 인도 정부의 고위 관료로서 서기, 철도 위원회 재무 위원, 산업부 서기관, 재무부 비서관, 재무 장관 등을 역임하며 행정 및 재정 분야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으며, 우다야기리 석굴 비문을 통해 그의 업적과 자이나교 신자였음이 알려져 있다.
  • 인도의 금석문 - 프라샤스티
    프라샤스티는 고대 인도에서 왕조와 통치자들의 업적을 찬양하고 기록하기 위해 제작된 비문으로, 시대별 정치, 사회, 문화 연구의 중요한 자료이며 굽타 제국의 프라야가 프라샤스티, 사타바하나 왕조의 나시크 프라샤스티, 세나 왕조의 데오파라 프라샤스티, 시소디아 왕조의 라지 프라샤스티 등이 있다.
  • 금속공학사 - 황동
    황동은 구리와 아연의 합금으로 비율에 따라 색상과 물성이 다양하며, 선사시대부터 사용되었고, 다양한 형태로 가공이 용이하며 내구성과 가공성이 뛰어나 여러 분야에 사용되지만 특정 환경에서 부식될 수 있고 납 함량에 대한 환경 규제가 존재한다.
델리의 철 기둥 - [유적/문화재]에 관한 문서
개요
델리의 철 기둥
델리의 철 기둥
위치쿠트브 미나르 단지, 델리, 인도
좌표28°31′28.76″N 77°11′6.25″E
상세 정보
종류역사적인 기둥
건축 양식힌두 건축
건설 시기서기 5세기
건축가찬드라굽타 2세
높이7.21m
지름41cm
문화재 지정유네스코 세계유산 (1993년)
세계유산 등재 기준(iv)
세계유산 지역인도
세계유산 명칭쿠트브 미나르와 기념물
역사적 의의
목적비슈누 신을 기리기 위해 세워짐
특징녹슬지 않는 철로 만들어짐
추가 정보
발견 장소현재 위치로 옮겨지기 전 원래 장소는 불명
재료높은 순도의 연철
과학적 분석인도 공과대학교 팀이 녹슬지 않는 이유를 밝혀냄

2. 역사

델리의 철 기둥은 원래 비슈누 사원에 세워졌던 것으로 보이나, 13세기 델리 술탄국의 일투트미쉬에 의해 현재의 위치로 옮겨졌다.[17] 기둥의 원래 위치와 이동 시기에 대해서는 여러 학설이 존재한다.

기둥에 새겨진 가장 오래된 비문은 찬드라(Candra|찬드라sa)라는 왕의 것으로, 굽타 제국의 황제 찬드라굽타 2세로 추정된다.[7] 알렉산더 커닝엄은 토마라 왕조의 아낭팔 왕이 델리 시를 건설하면서 기둥을 옮겼다고 보았으나,[7] 후대 학자들은 이 해석에 이의를 제기했다. 부다 라쉬미 마니는 비문을 "아낭팔은 삼밧 1109년에 못 [철 기둥]을 조였다"라고 해석했다.[7]

일부 학자들은 쿠틉 알딘 아이바크가 쿠트브 단지 건설을 시작한 1200년경에 기둥이 옮겨졌다고 추정한다.[7] 핀바르 배리 플러드는 일투트미쉬가 13세기에 비디샤를 약탈했을 때 기둥을 쿠틉 단지로 옮겼다고 주장한다.[23]

기둥이 원래 세워졌던 위치에 대해서는 마투라설과 우다야기리 동굴설이 대립한다. J. F. 플리트는 마투라를 주장했지만, 고고학적 증거는 굽타 시대에 마투라불교 중심지였음을 보여준다.[7] 미라 다스와 R. 발라수브라마니암은 고고학적 유사성과 야금 분석 등을 근거로 우다야기리 동굴설을 주장하며,[20] 마이클 D. 윌리스 역시 이를 지지했다.[22]

2. 1. 굽타 왕조 시대

기둥에 새겨진 가장 오래된 비문은 찬드라(Candra|찬드라sa)라는 왕의 비문으로, 일반적으로 굽타의 황제 찬드라굽타 2세로 여겨진다.[7]

이 비문은 산스크리트어 샤르둘비크리디타 운율로 작성되었으며, 굽타 문자의 동부 변형으로 쓰여졌다. 사무드라굽타의 프라야그라지 기둥 비문과 유사하지만, 쿠마라굽타 1세의 빌사드 비문과 유사한 독특한 mātrā|마트라sa(구분 기호)가 있다.[12]

비문의 내용, 필체, 시적 양식 등은 서기 4세기 후반 또는 5세기 초, 즉 굽타 시대에 기둥이 제작되었음을 시사한다.[12] 비문은 왕을 비슈누 신의 신봉자로 묘사하고, 비슈누파다("비슈누의 발자국 언덕")라는 언덕에 비슈누의 ''드바자''("표준" 또는 기둥)를 세웠다고 기록하고 있다.[13] 다른 굽타 비문에서도 찬드라굽타 2세를 바가바타 (비슈누의 신봉자)로 묘사하고 있다.[14] 비문에 언급된 Dakṣiṇa Jalanidhi|닥쉬나 잘라니디sa(인도양), Vaṅga|방가sa(벵골) 등의 지명 또한 굽타 시대의 특징을 보여준다.[13]

'찬드라'라는 짧은 이름은 찬드라굽타 2세의 궁수형 금화에 새겨져 있으며, 그의 전체 이름과 칭호는 동전의 별도의 원형 전설에 나타난다.[13] 또한, 찬드라굽타의 아내 드루바데비의 왕실 인장에는 Śrī Viṣṇupada-svāmī Nārāyaṇa|스리 비슈누파다-스와미 나라야나sa ("나야라야나, 빛나는 비슈누파다의 주")라는 문구가 포함되어 있다.[13]

일반적으로 굽타 왕조 시대인 서기 415년에 세워졌다고 한다.[41]

2. 2. 델리 술탄국 시대

13세기 초, 델리 술탄국노예 왕조를 세운 일투트미쉬는 비디샤를 공격하여 약탈하였고, 이때 델리의 철 기둥을 델리로 가져와 쿠와트 알 이슬람 사원 경내에 세웠다.[23]

2. 3. 현대

델리의 철 기둥은 현재 인도 메흐라울리 마을의 쿠트브 단지(Qutb Complex) 내에 위치해 있으며, 인도 유수의 관광 명소가 되었다.[41] 쿠트브 단지는 이슬람교 예배소와 기타 종류의 역사적 건축물이 모여 있는 곳이다. 델리의 철 기둥은 인도 고고학 연구소(ASI)의 관리 하에 있으며, 쿠트브 단지는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있다.

다마스쿠스 강으로 만들어졌다고도 하며, 이 철 기둥처럼 녹슬지 않는 철을 목표로 하는 연구에서 스테인리스강이 탄생했다는 설도 있다.

3. 특징

델리 철 기둥은 높이 7.21m(지하 1.12m 포함), 무게 6톤이 넘는 거대한 철 기둥이다. 기둥 몸체는 순도 높은 연철로 만들어졌으며, 상단에는 306mm 크기의 종 모양 기둥머리가 장식되어 있다.[4] 기둥 표면에는 산스크리트어 비문이 새겨져 있으며, 굽타 문자로 "찬드라"라는 이름이 새겨져 있는데, 이는 찬드라굽타 2세를 나타내는 것으로 여겨진다.[10][11]

이 기둥은 높은 부식 저항성을 가져 고고학자와 재료 과학자들의 관심을 받아왔으며, "고대 인도 철강 기술자들이 철의 추출 및 가공에서 달성한 높은 수준의 기술에 대한 증거"라고 불린다.[6][5]

아쇼카 대왕의 기둥으로 알려져 있기도 하지만, 아쇼카 대왕이 세운 것이 아니라 그보다 700년 가까이 뒤의 굽타 왕조 찬드라굽타 2세 때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된다. 이 철 기둥은 원래 우다야기리 석굴군 앞에 세워져 있었지만, 13세기에 델리로 옮겨졌다.[41]

철 기둥은 쿠와트 알 이슬람 사원 안뜰에 서 있다.

3. 1. 뛰어난 내식성

델리 철 기둥이 오랫동안 녹슬지 않은 이유는 표면에 얇은 인산염 피막이 형성되었기 때문이다. 이 피막은 철을 제련하는 과정에서 (P) 성분이 많이 함유된 철광석과 미미센나(Senna auriculata)라는 식물을 사용했기 때문에 형성된 것으로 추정된다.[24]

현대에는 스테인리스강과 같이 녹슬지 않는 철이 개발되었지만[6], 과거에는 가열하며 단조하는 방식으로 철의 순도를 높여 녹을 방지했다. 일본도가 그 예시이지만, 관리를 소홀히 하면 역시 녹이 슬게 된다. 델리의 철 기둥 역시 다마스쿠스 강으로 만들어졌다는 설이 있지만, 다마스쿠스 강도 완벽하게 녹슬지 않는 것은 아니다.

인도 공과대학교의 바라스브라마니암 박사는 99.72%의 순수한 철은 50년 정도면 녹이 슬기 때문에, 철 기둥이 1500년 이상 녹슬지 않은 이유는 철의 순도가 아닌 불순물, 즉 인(P)의 존재 때문이라고 설명한다.[24] 인도에서 생산되는 철광석에는 인이 많이 포함되어 있으며, 철을 정제할 때 미미센나와 같은 인을 함유한 식물을 사용했다는 기록이 있다. 인이 풍부한 철을 얇게 가열하고 두드리면 표면에 인산 화합물 피막이 형성되어 녹을 방지하는 것이다.[24]

철 기둥 표면에는 결정성 인산수소철(III) 수화물의 균일한 층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것이 델리 기후로부터 철 기둥을 보호한다.[6] 1600년 동안 이 막은 20분의 1밀리미터 두께로 성장했다.[25]

과거에는 관광객들이 철 기둥에 기대거나 만지는 행위가 잦았고, 현지인들이 몸에 바르는 기름이 기둥에 묻어 녹을 방지한다는 설도 있었다. 그러나 1997년 이후 울타리가 설치되어 직접적인 접촉은 불가능하다.

3. 2. 명문

기둥에는 다양한 시대의 여러 비문이 새겨져 있는데, 가장 오래된 것은 찬드라(Candra|찬드라sa) 왕의 비문이다. 이 왕은 일반적으로 굽타 제국의 황제 찬드라굽타 2세로 여겨진다.[7]

비문은 2′9.5″× 10.5″(65.09 cm x 26.67 cm) 면적을 덮고 있으며, 고대 문자가 부식에 강한 철에 새겨져 보존 상태가 좋다. 다만, 글자를 새기는 과정에서 철이 획의 일부를 덮어 일부 글자가 불완전하게 보이기도 한다.

비문은 산스크리트어 샤르둘비크리디타 운율로 구성된 구절을 포함하며, 굽타 문자의 동부 변형으로 쓰여졌다. 글자 크기는 0.3125″에서 0.5″ 사이이며, 사무드라굽타의 프라야그라지 기둥 비문에 있는 글자와 매우 유사하다. 그러나 쿠마라굽타 1세의 빌사드 비문과 유사한 독특한 mātrā|마트라sa(구분 기호)가 있다. 알라하바드 비문의 글자 가장자리는 둥글지만, 델리 비문의 글자는 더 직선적인데, 이는 프라야그라지 비문이 부드러운 사암에, 델리 비문은 단단한 에 새겨졌기 때문으로 보인다.

표준 산스크리트어 철자법에서 몇 가지 특이한 점은 다음과 같다.[7]

  • pranśu|프란슈sa 대신 praṃśu|프람슈sa: ''anusvāra'' 대신 치경 비음 사용
  • mūrtyā|무르티아sa 대신 mūrttyā|무르티아sa: 두 번째 ''t'' 생략
  • kīrtyā|키르티아sa 대신 kīrttyā|키르티아sa: 두 번째 ''t'' 생략
  • śattru|샤트루sa 대신 śatru|샤트루sa(적): ''t'' 추가


1831년, 동인도 회사 관리 윌리엄 엘리엇이 비문의 팩시밀리를 만들었고, 1834년 제임스 프린셉이 ''영국 및 아일랜드 왕립 아시아 학회 저널''에 석판화를 게재했다. 그러나 이 석판화는 비문의 모든 단어를 정확하게 나타내지는 못했다.[8] 1838년, 영국 기술자 T. S. 버트가 비문의 잉크 인상을 만들어, 프린셉은 같은 저널에 스크립트 판독과 텍스트 번역과 함께 개선된 석판화를 게재했다.[8]

바그완 랄 인드라지는 천에 비문의 또 다른 사본을 만들었고, 바우 다지 라드는 1875년 ''봄베이 지부 왕립 아시아 학회 저널''에 수정된 텍스트와 번역본을 게재했다. 이 판독본은 왕의 이름을 찬드라로 정확하게 언급한 최초의 판독본이었다. 1888년, 존 페이스풀 플리트는 ''Corpus Inscriptionum Indicarum''에 텍스트의 비평판을 게재했다.

1945년, 고바르단 라이 샤르마는 고서체학적 근거를 바탕으로 비문의 시기를 5세기 전반 CE로 추정했다.[9] 그는 비문의 글자가 빌사드(415 CE), 바이그람(449 CE), 카하눔(449 CE)에서 발견된 것을 포함하여 다른 굽타 시대 비문의 글자와 유사하다고 관찰했다. R. 발라수브라마니암(2005)은 델리 비문의 글자가 마드야프라데시 우다야기리에서 발견된 찬드라굽타 2세의 연대 비문과 매우 유사하다고 언급했다.

이 비문은 연대가 명시되어 있지 않으며, 왕조에 대한 언급 없이 찬드라라는 왕에 대한 찬사를 담고 있다. 이 왕의 정체성, 그리고 기둥의 연대에 대한 문제는 오랫동안 논쟁의 대상이 되어 왔다.

이 왕은 현재 일반적으로 굽타 왕 찬드라굽타 2세로 여겨진다.[13] 이러한 동일시는 다음과 같은 여러 사항에 근거한다.

  • 비문의 필체와 시적 양식은 서기 4세기 후반 또는 5세기 초, 즉 굽타 시대의 연대를 가리킨다.[12]
  • 비문은 왕을 비슈누 신의 신봉자로 묘사하고, 비슈누파다("비슈누의 발자국 언덕")라는 언덕에 비슈누의 ''드바자''("표준" 또는 기둥)를 세운 기록이 있다. 다른 굽타 비문에서도 찬드라굽타 2세를 바가바타 (비슈누의 신봉자)로 묘사한다. 비문에 언급된 장소의 이름 또한 굽타 시대의 특징을 보여준다. 예를 들어, Dakṣiṇa Jalanidhi|닥시나 잘라니디sa (인도양)와 Vaṅga|방가sa (벵골) 지역이 있다.
  • '찬드라'라는 짧은 이름은 찬드라굽타 2세의 궁수형 금화에 새겨져 있으며, 그의 전체 이름과 칭호는 동전의 별도의 원형 전설에 나타난다.
  • 찬드라굽타의 아내 드루바데비의 왕실 인장에는 Śrī Viṣṇupada-svāmī Nārāyaṇa|스리 비슈누파다-스와미 나라야나sa ("나라야나, 빛나는 비슈누파다의 주")라는 문구가 포함되어 있다.


이 비문은 찬사이며 왕이 세상을 떠났다고 언급하고 있으므로, 이것이 사후의 것인지에 대한 논의가 있었다. 다샤라타 샤르마 (1938)는 사후가 아니라고 주장했다.[14] B. Chhabra와 G. S. Gai에 따르면, 비문은 왕의 마음이 "헌신으로 비슈누에게 고정되어 있다"고 언급하고 있으며, 따라서 왕이 당시 살아 있었음을 나타낸다. 그들은 이것이 찬드라굽타 2세가 왕위를 포기하고 비슈누파다에서 바나프라스타 (은퇴자)로 정착했을 때 기록되었을 수 있다고 이론화한다.

4. 제작 방법

인도에서 나오는 철광석에는 (P)이 비교적 많이 포함되어 있다. 인도에서는 철을 정제할 때 Senna auriculata|미미센나영어라는 인을 포함한 식물을 첨가했다는 기록이 있다. 인을 풍부하게 포함한 철을 얇은 원반 모양으로 가열하면서 두드리면, 철의 표면은 인산 화합물로 덮인다. 그 원반을 겹쳐 쌓아 한 층 더 두드려 일체화시키면, 철 기둥의 표면이 인산 화합물로 코팅되어 녹에 강한 철 기둥이 완성된다.[41]

이와 같이 델리의 철 기둥은 단조 방식으로 제작되었다. 고대 인도에서는 철광석에 인이 많이 함유된 특성을 이용하여 철을 제련하였고, 미미센나와 같은 식물을 첨가하여 인 함량을 더욱 높였다. 이렇게 만들어진 철을 얇은 원반 모양으로 가열하고 두드리는 과정을 반복하여 철 기둥을 제작한 것으로 보인다.

5. 과학적 분석

델리의 철 기둥은 높은 부식 저항성으로 고고학자와 재료 과학자들의 관심을 받아왔으며, "고대 인도 철강 기술자들이 철의 추출 및 가공에서 달성한 높은 수준의 기술에 대한 증거"라고 불린다.[6][5]

가열하면서 단련한 철이 녹슬기 어려운 것은 경험적으로 알려져 있다. 열을 가해 두드리는 것으로, 불순물이 바깥으로 밀려 나와 철의 순도가 올라가고 내부에서는 재결정화가 촉진되기 때문이다. 일본도가 그 예시이지만, 관리를 소홀히 하면 녹이 발생한다. 현대에는 녹슬지 않는 철로 1913년에 개발된 스테인리스강이 알려져 있다.

인도 공과대학교의 바라스브라마니암 박사에 의하면, 99.72%의 순도라면 50년 정도에 녹이 슬 수 있다고 한다. 철 기둥이 1500년간 비바람에 노출되면서도 녹슬지 않은 이유는 철의 순도 문제가 아니라 불순물의 존재에 있다는 가설이 유력하다. 인도에서 나오는 철광석에는 (P)이 비교적 많이 포함되어 있으며, 철을 정제 할 때에 미미센나라는 인을 포함한 식물을 첨가했다는 기록이 있다. 인이 풍부한 철을 얇은 원반 모양으로 가열하면서 두드리면, 철 표면은 인산 화합물로 덮인다. 이 원반들을 겹쳐 쌓아 다시 두드려 일체화시키면, 철 기둥 표면이 인산 화합물로 코팅되어 녹에 강해진다.

에리히 폰 데니켄은 저서 ''신의 전차?''에서 델리 기둥의 부식이 없는 점과 제작 방법을 알 수 없다는 점을 들어 외계인 방문의 증거로 인용했다.[28][29] 그러나 1974년 인터뷰에서 기둥이 실제로 녹슬지 않았고 제작 방법이 잘 알려져 있다는 정보를 접한 폰 데니켄은 더 이상 기둥이나 그 제작을 미스터리로 여기지 않는다고 답했다.[30][31]

2009년에 발표된 연구에 따르면 부식이 기둥 표면 전체에 고르게 진행되었다.[33]

5. 1. 인산염 피막

델리 철 기둥이 1500년 이상 비바람에 노출되고도 녹슬지 않은 주된 이유는 표면에 형성된 얇은 인산염 피막 덕분이다. 인도에서 채굴되는 철광석에는 인(P)이 비교적 많이 함유되어 있고, 전통적인 철 정제 과정에서 Senna auriculata영어(미미센나)라는 인 함유 식물을 첨가했다. 인이 풍부한 철을 얇은 원반 모양으로 가열하고 두드리면 표면이 인산 화합물로 덮인다.[24] 이 원반들을 겹쳐 쌓아 다시 두드려 하나로 만들면, 철 기둥 표면 전체가 인산 화합물로 코팅되어 녹에 강해진다.[6]

IIT 칸푸르의 R. 바라수브라마니암 교수는 철과 녹 사이 계면에 형성된 수동적 보호막이 부식 저항성의 핵심이라고 설명한다. 철 미세 구조 내의 2상 입자(슬래그, 미환원 산화철), 높은 인 함량, 대기 중 습윤 및 건조 주기 반복이 보호막 형성에 기여한다.[24]

레피도크로사이트와 게타이트는 초기 산화철 부산물이다. 초기에는 부식률이 높지만, 슬래그와 미환원 산화철의 화학 반응으로 금속-스케일 계면에 인이 농축되어 부동태화가 촉진된다. 2상 입자는 음극, 금속은 양극으로 작용하며 초기 수산화철 일부는 자철광으로 변환되어 부식을 늦춘다.[25]

녹 방지에 관여하는 주요 물질은 인이며, 금속-스케일 계면에서 강화된다. 고대 인도 제련공들은 고로에 석회석을 넣지 않았는데, 이는 현대 제철 방식과 다르다. 석회석을 사용하면 대부분의 인이 슬래그로 제거되지만, 석회석 없이 인 함량이 높은 나무(예: 카시아 아우리쿨라타영어)를 사용하면 철에 높은 인 함량(평균 0.25%)이 유지된다.[26]

높은 인 함량과 특수한 분포는 금속과 녹 계면에 장벽을 형성하는 미사와이트(d-FeOOH)의 수동 보호막 형성에 중요한 촉매 역할을 한다. 가장 중요한 내식성 물질은 결정질 인산수소철 수화물(FePO4-H3PO4-4H2O)로, 금속과 녹 사이에 얇은 층을 형성한다. 초기 부식으로 금속-스케일 계면에 인이 더 많아지고, 습윤 및 건조 주기가 반복되면서 비정질 인산염이 결정 형태로 침전된다. 이 결정질 인산염은 금속에 인접한 연속 층을 형성하여 우수한 내식성을 제공한다.[6] 1,600년 동안 이 막은 20분의 1밀리미터 두께로 성장했다.[25]

과거 관광객들이 기둥에 손을 대거나 올라가는 경우가 있었고, 현지인들이 피부 보호를 위해 바르는 기름이 기둥에 묻어 녹을 방지한다는 설도 있었다. 그러나 현재는 기둥 주위에 울타리가 설치되어 직접 접촉할 수 없다.

5. 2. 미사와이트

초기 부식 과정에서 형성되는 비정질 수산화철인 미사와이트(d-FeOOH)는 내식성을 갖는 물질로, 철 기둥의 부식을 억제하는 데 기여한다.[27] 고대 인도 제련공들은 용광로에 석회를 첨가하지 않았고, 제련 과정에서 인 함량이 높은 Senna auriculata|카시아 아우리쿨라타영어를 사용했다.[26] 이로 인해 현대 고로에서 생산되는 철(보통 0.05% 미만)보다 높은 인 함량(> 0.1%, 평균 0.25%)을 유도한다.[26] 이러한 높은 인 함량과 특별한 분포는 금속과 녹 사이의 계면에 인접하여 장벽을 형성하는 미사와이트의 수동 보호막 형성에 필수적인 촉매 역할을 한다.[27]

6. 논란과 의문점

델리의 철 기둥은 오랫동안 많은 이들의 궁금증을 자아냈으며, 여러 가지 논란과 의문점을 낳았다.

일반적으로 '아쇼카 대왕의 기둥'이라고 불리지만, 아쇼카 대왕이 세운 것이 아니다. 아쇼카 대왕보다 700년 가까이 뒤의 굽타 왕조 찬드라굽타 2세 시기에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된다. 왕명은 기둥에 새겨져 있다. 이 철 기둥은 원래 우다야기리 석굴군 앞에 세워져 있었지만, 13세기에 델리로 옮겨졌다.[41]

다마스쿠스 강으로 만들어졌다는 설도 있으며, 이 철 기둥처럼 녹슬지 않는 철을 목표로 하는 연구에서 스테인리스강이 탄생했다는 설도 있다.

6. 1. 포탄 피격 흔적

기둥 중간 부분, 현재 뜰 바닥에서 약 4m 높이에 있는 상당한 크기의 움푹 들어간 부분은 근거리에서 발사된 포탄의 결과로 밝혀졌다.[36] 충격은 움푹 들어간 부분의 정반대 영역에 기둥의 수평적인 균열을 일으켰지만, 기둥 자체는 손상되지 않았다.
포탄 공격으로 추정되는 수평 균열이 나타난 기둥 상단부
이 사건을 묘사하는 동시대 기록, 비문 또는 문서가 존재하지는 않지만, 역사가들은 일반적으로 나디르 샤가 1739년 델리 침공 중에 기둥 파괴를 명령했을 것으로 본다. 그는 이슬람 사원 단지 내에서 힌두 사원 기념물을 원치 않았을 것이기 때문이다.[37] 또는, 그는 숨겨진 보석이나 다른 귀중품을 찾기 위해 기둥의 장식적인 상단 부분을 제거하려고 했을 수도 있다.[38]

포탄 공격으로 인한 추가적인 손상은 기둥에서 발견되지 않아 더 이상의 포격은 없었음을 시사한다. 역사가들은 포탄의 파편이 튕겨 나가 같은 시기에 남서쪽 부분이 손상된 인근의 쿠왓 울 이슬람 사원에 피해를 입혔을 수 있으며, 그 결과 기둥에 대한 공격이 중단되었을 수 있다고 추측한다.[39]

참조

[1] 논문 Pillar, palimpsets, and princely practices https://www.nyu.edu/[...] New York University 2003
[2] 뉴스 IIT team solves the pillar mystery https://timesofindia[...] 2005
[3] 서적 Story of the Delhi Iron Pillar https://www.google.c[...] Foundation Books 2005
[4] 간행물 The Mehrauli dhiraj patil Iron Pillar Berghahn Books
[5] 서적 Characterization of corrosion products on steel surfaces https://books.google[...] Springer
[6] 기타 'On the Corrosion Resistance of the Delhi Iron Pillar' http://home.iitk.ac.[...] Corrosion Science 2000
[7] 서적 Rise and fall of the imperial Guptas https://books.google[...] Motilal Banarsidass Publ. 1989-01-01
[8] 서적 The Journal of the Asiatic Society of Bengal. Ed. by James Prinsep, Volume 7 https://books.google[...] 2019-12-16
[9] 간행물 Chandra of the Mehrauli Pillar Inscription
[10] 서적 Coin Splendour: A Journey into the Past https://books.google[...] Abhinav Publications 2003
[11] 서적 Catalogue of the coins of the Gupta dynasties https://archive.org/[...] 1914
[12] 기타 King Chandra and the Mehrauli Pillar Meerut 1989
[13] 서적 Delhi Iron Pillar: New Insights http://www.infinityf[...] Aryan Books International, Delhi, and Indian Institute of Advanced Study, Shimla 2002
[14] 간행물 The Non-Posthumous Character of the Mehrauli Iron Pillar Inscription http://www.southasia[...] 1938
[15] 서적 The Archaeology of Hindu Ritual Cambridge 2009
[16] 서적 Catalogue of the Coins of the Gupta Dynasties
[17] 서적 India in the Persianate Age: 1000-1765 https://books.google[...] Penguin UK 2019-07-25
[18] 기타 King Chandra and the Mehrauli Pillar Meerut 1989
[19] 서적 World Heritage Monuments and Related Edifices in India Vol 1 https://books.google[...] Algora Publishing 2012-10-29
[20] 기타 Identity of Chandra and Vishnupadagiri of the Delhi Iron Pillar Inscription: Numismatic, Archaeological and Literary Evidence 2000
[21] 기타 On the Astronomical Significance of the Delhi Iron Pillar http://www.iisc.erne[...] 2004
[22] 서적 The Archaeology of Hindu Ritual {{!}} Temples and the Establishment of the Gods http://www.cambridge[...] Cambridge
[23] 웹사이트 Iron Pillar of Delhi: Solving the Mystery https://www.livehist[...] 2021-07-02
[24] 기타 'On the Corrosion Resistance of the Delhi Iron Pillar' http://home.iitk.ac.[...] 2000
[25] 기타 'On the growth kinetics of the protective passive film of the Delhi Iron Pillar' http://www.iisc.erne[...] Department of Materials and Metallurgical Engineering, Indian Institute of Technology, Kanpur 208 016, India 2002-06-10
[26] 기타 'On the Origin of High Phosphorus Content in Ancient Indian Iron' http://home.iitk.ac.[...] 2002
[27] 간행물 The mechanism of atmospheric rusting and the effect of Cu and P on the rust formation of low alloy steels
[28] 웹사이트 Scholars Will Call It Nonsense: The Structure of Erich von Däniken's Argument https://www.penn.mus[...] University of Pennsylvania Museum of Archaeology and Anthropology 2021-07-01
[29] 기타 Chariots of the Gods?
[30] 웹사이트 Playboy Interview: Erich von Däniken http://wutwouldyoudo[...] 1974-08
[31] 서적 The Space Gods Revealed: A Close Look at the Theories of Erich von Däniken New York: Harper & Row 1976
[32] 기타 1600 Years Young, Materials Performance, July, 2005. http://www.iupac.org[...]
[33] 간행물 Insitu corrosion investigations on Delhi iron pillar 2009-02
[34] 기타 Andrew McWilliam 1920, cited in Chakrabarti 1992
[35] 기타 Some Observations on Corrosion-Resistance of Ancient Delhi Iron Pillar and Present-time Adivasi Iron Made by Primitive Methods 1963
[36] 간행물 The Making of (and attempts at breaking) the Iron Pillar of Delhi Steel World 2015-02-03
[37] 서적 The Seven Cities of Delhi Nabu Press 2015-02-03
[38] 논문 Decorative Bell Capital of the Delhi Iron Pillar
[39] 간행물 On Technical Analysis of Cannon Shot Crater on Delhi Iron Pillar http://www.insa.nic.[...] Indian Journal of History of Science 2015-02-03
[40] 웹사이트 デリーの鉄柱 デリーノテッチュウ https://kotobank.jp/[...] コトバンク 2018-04-22
[41] 서적 人はどのように鉄を作ってきたか 4000年の歴史と製鉄の原理 講談社ブルーバックス 2017-05-2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