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도미오카 사다야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도미오카 사다야스는 일본 제국 해군의 군인으로, 해군 소장까지 진급했다. 해군병학교를 수석 졸업하고 영국 해군 전함에 승무원으로 참관했으며, 청일 전쟁과 러일 전쟁에 참전했다. 해군사관학교 교감, 야쿠모, 시키시마 함장 등을 역임했으며, 1907년 남작위를 수여받아 화족이 되었다. 1911년 예비역으로 편입되었고, 제국 재향군인회 부회장을 지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막말 마쓰시로번 사람 - 사쿠마 쇼잔
    에도 막부 말기의 무사이자 사상가인 사쿠마 쇼잔은 서양 학문 수용을 통한 국력 강화, 화혼양재 사상의 기틀 마련, 그리고 요시다 쇼인, 가쓰 가이슈, 사카모토 료마 등 메이지 유신에 영향을 준 인물들을 양성했으나 존황양이파에 의해 암살당했다.
  • 해군병학교 (일본) 교수 - 이주인 마쓰지
    이주인 마쓰지는 일본 제국의 해군 군인으로, 해군 대장 이주인 고로의 아들이며 구축함 및 순양함 함장을 역임했고, 제2차 세계 대전 중 제3수뢰전대 사령관으로 활동하다 전사 후 해군 중장으로 추서되었다.
  • 해군병학교 (일본) 교수 - 시마무라 하야오
    시마무라 하야오는 청일 전쟁과 러일 전쟁에서 활약하고 해군병학교 교장, 군령부장 등을 역임하며 일본 해군 발전에 기여했으나, 제국주의 팽창에 기여했다는 비판도 받는 일본 제국 해군의 군인이다.
  • 훈6등 단광욱일장 수훈자 - 사이토 마코토
    사이토 마코토는 일본 제국의 해군 군인이자 정치가로, 해군대신, 조선총독, 내각총리대신 등을 역임하며 해군력 확장, 문화 통치 추진, 만주국 승인, 국제연맹 탈퇴 등의 행적을 남겼으나 2·26 사건으로 암살당했다.
  • 훈6등 단광욱일장 수훈자 - 가토 도모사부로
    가토 도모사부로는 청일 전쟁과 러일 전쟁에 참전하여 쓰시마 해전 승리에 기여한 일본 제국의 해군 군인이자 정치인으로, 해군 대신과 내각총리대신을 역임하며 워싱턴 해군 군축 회의에서 군축 협상을 주도하고, 총리 재임 중에는 워싱턴 해군 군축 조약 이행, 산둥반도 일본군 철수, 시베리아 출병 종결 등의 업적을 남겼다.
도미오카 사다야스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일본 제독 도미오카 사다야스 남작
이름도미오카 사다야스
한자 표기富岡 定恭
출생1854년 12월 24일
출생지마쓰시로, 나가노현, 일본
사망1917년 7월 1일 (향년 62세)
군 경력
소속일본 제국 해군
복무 기간1878년 – 1911년
최종 계급[[파일:Imperial Japan-Navy-OF-8-collar.svg|30px]] 해군 중장
참전청일 전쟁
러일 전쟁
기타
서훈남작

2. 생애

시나노국 마쓰시로 성 아래 성 아랫마을(바바 정) 출신으로, 마쓰시로번 해군 책임자의 장남으로 태어났다. 번교인 문무학교를 거쳐 1876년 해군병학교를 5기로 수석 졸업하고 영국 해군 군함에서 실무를 경험했다.

이후 해군대학교를 졸업하고 다양한 함정 및 육상 보직을 거쳤다. 청일 전쟁에서는 순양함 이쓰쿠시마의 부장으로 참전했으며, 이후 통보함 다쓰타, 장갑순양함 야쿠모, 전함 시키시마 등의 함장을 역임했다. 군령부 제1국장을 지내다 1903년 해군 소장으로 진급했다.

러일 전쟁 당시에는 아키야마 사네유키 등과 함께 조기 개전을 주장했으며, 전쟁 중에는 해군병학교 교장을 맡았다. 전쟁 후 연습함대 사령관을 거쳐 1907년 해군 중장으로 진급했고, 다케시키 요항부 사령관, 여순진수부 장관 등을 역임했다. 같은 해 9월 남작 작위를 받아 화족이 되었다.

1911년 예비역으로 편입되었고, 1914년에는 후비역이 되었다.[2] 1914년부터 사망한 1917년까지 제국 재향군인회 부회장을 지냈다. 사후 남작 작위는 장남 도미오카 사다토시가 계승했다.

2. 1. 초기 생애

시나노국 마쓰시로 성 아래 성 아랫마을(바바 정)에서 마쓰시로번 해군 책임자였던 도미오카 쇼사부로 사다토모의 장남으로 태어났다. 번교인 문무학교에서 수학한 후, 1876년 9월 해군병학교 5기생으로 입교하여 수석으로 졸업했다. 1878년에는 영국 해군의 군함 HMS ''Audacious''에 사관후보생 신분으로 파견되어 실무 경험을 쌓았다.

일본 귀국 후에는 해군대학교를 졸업하고, 해병 교수, 함정국 병기과 근무, 영국 및 프랑스 파견 근무, 영국 주재 조병 감독관, 해군대학교 강사 등 다양한 보직을 거쳤다. 1894년 발발한 청일 전쟁에서는 방호순양함 이쓰쿠시마의 부장(집행 장교)으로 참전했다.

청일 전쟁 이후에는 통보함 다쓰타, 장갑순양함 야쿠모, 전함 시키시마의 함장을 역임했으며, 해군병학교 교감으로도 근무했다. 이후 군령부 제1국장을 지내다가 1903년 7월 해군 소장으로 진급했다.

러일 전쟁 발발 전에는 아키야마 사네유키 등과 함께 조기 개전을 주장하는 그룹(코게츠회)의 일원이었으며, 전쟁 중에는 해군병학교 교장과 전략 기획 업무를 담당했다. 전쟁 후에는 연습함대 사령관을 거쳐 1907년 3월 해군 중장으로 진급했으며, 다케시키 요항부 사령관과 여순진수부 장관을 지냈다. 1907년 9월에는 남작 작위를 받아 화족의 일원이 되었다.

1911년 12월에 예비역으로 편입되었고, 1914년 11월 5일에는 후비역으로 편입되었다.[2] 1914년부터 사망하던 1917년까지 제국 재향군인회 부회장을 역임했다. 1917년 7월 사망하였으며, 남작 작위는 제2차 세계 대전에 해군 제독으로 참전한 장남 도미오카 사다토시가 이어받았다.

2. 2. 군 경력

마쓰시로번의 번교인 문무학교를 거쳐 1876년 9월, 해군병학교 5기생으로 입학하여 수석으로 졸업했다. 1878년까지 영국 해군의 군함 HMS Audacious에 사관후보생으로 파견되어 복무했다. 일본 귀국 후 해병 교수, 함정국 병기과 근무, 영국 및 프랑스 파견, 조병 감독관(영국), 해군대학교 교관 등 다양한 보직을 거쳤다. 청일 전쟁에서는 순양함 이쓰쿠시마의 부장으로 참전했다.

이후 다쓰타, 야쿠모, 시키시마의 함장을 역임했으며, 해군병학교 교감으로도 근무했다. 군령부 제1국장을 거쳐 1903년 7월 해군 소장으로 진급했다. 러일 전쟁 이후 연습함대 사령관을 지냈고, 1907년 3월 해군 중장으로 진급하여 다케시키 요항부 사령관과 여순진수부 장관을 역임했다. 1907년 9월, 화족 제도를 통해 남작 작위를 받아 화족이 되었다.

1911년 12월 예비역으로 편입되었고, 1914년 11월 5일 후비역이 되었다.[2] 1914년부터 1917년 사망할 때까지 제국 재향군인회 부회장을 역임했다.

2. 2. 1. 청일 전쟁

1894년 청일 전쟁이 발발하자 방호순양함 이쓰쿠시마의 부장으로 참전했다.

2. 2. 2. 러일 전쟁

군령부 제1국장을 거쳐 1903년 7월 해군 소장으로 진급했다. 러일 전쟁을 앞두고 야마지 엔지로, 아키야마 사네유키 등과 함께 조기 개전을 요구하는 강경파 그룹(코게츠회)의 일원이었다. 러일 전쟁 중에는 아키야마 사네유키와 함께 전략 기획에 참여했으며, 해군병학교 교장을 맡았다. 전쟁 후에는 연습함대 사령관을 지냈고, 1907년 3월 해군 중장으로 진급했다.

2. 3. 퇴역 이후

1911년 12월 예비역으로 편입되었고, 1914년 11월 5일에는 후비역이 되었다.[2] 1914년부터 1917년 7월 사망할 때까지 제국 재향군인회 부회장을 역임했다.

사후 남작 작위는 장남인 사다토시가 이어받았다. 그의 아들 사다토시 또한 일본 제국 해군제독으로 제2차 세계 대전에 참전했다.

3. 평가

(내용 없음)

4. 영전

'''위계'''



'''훈장 등'''


5. 가족


  • '''장남''': 도미오카 사다토시 (해군 소장) - 제2차 세계 대전에 참전한 해군 제독이었다.
  • '''사위'''
  • 마루야마 스미타로 (해군 대좌)
  • 쓰루 유조 (해군 대좌)
  • 사에키 우시로 (일본 토기 사장·참의원 의원)
  • '''남동생''': 도미오카 엔지로 (해군 기관 소장)

6. 같이 보기

참조

[1] 문서 Nishida, Imperial Japanese Navy
[2] 간행물 『官報』第680号 1914-11-06
[3] 간행물 『官報』第177号「叙任」 1884-02-04
[4] 간행물 『官報』第4402号「叙任及辞令」 1898-03-09
[5] 간행물 『官報』第5937号「叙任及辞令」 1903-04-21
[6] 간행물 『官報』第7157号「叙任及辞令」 1907-05-11
[7] 간행물 『官報』第7770号「叙任及辞令」 1909-05-22
[8] 간행물 『官報』第8552号「叙任及辞令」 1911-12-21
[9] 간행물 『官報』第2680号「叙任及辞令」 1892-06-06
[10] 간행물 『官報』第3676号「叙任及辞令」 1895-09-28
[11] 간행물 『官報』第5525号「叙任及辞令」 1901-12-02
[12] 간행물 『官報』号外「叙任及辞令」 1907-01-28
[13] 간행물 『官報』第7272号「授爵敍任及辞令」 1907-09-23
[14] 간행물 『官報』第1310号・付録「辞令」 1916-12-13
[15] 간행물 『관보』 제7072호 호외 「叙任及辞令」 1907-01-28
[16] 간행물 『관보』 제7157호 「叙任及辞令」 1907-05-11
[17] 간행물 『관보』 제1310호, 부록 「辞令」 1916-12-1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