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켈트어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도서 켈트어군은 역사 언어학에서 브리튼어군과 게일어군이 대륙 켈트어와 달리 공통 조상으로부터 분리된 후 같은 지역에서 함께 진화하며 여러 공통적인 특징을 공유하게 되었다는 이론이다. 이 가설은 굴절 전치사의 발달, 특정 동사 입자의 사용, VSO 어순 고착, 자립형 및 접속형 동사 어미 구별 등을 근거로 제시한다. 도서 켈트어군은 고이델어, 브리튼어로 분류되며, 아일랜드어, 스코틀랜드 게일어, 웨일스어, 브르타뉴어 등이 포함된다. 또한 도서 켈트어군은 아프리카아시아어족 언어와 구조적 유사성을 공유하며 기층 언어의 영향을 받았다는 가설이 제기되었으나, 비판도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도서켈트어군 - 브르타뉴어
브르타뉴어는 브리튼 제도에서 유래한 켈트어로서 콘월어, 웨일스어와 관련이 깊으며, 프랑스어 억압으로 화자가 감소했으나 부활을 위한 노력이 진행 중인 하부 브르타뉴 서부 지역의 언어이다. - 도서켈트어군 - 게일어군
게일어군은 켈트어파에 속하며 아일랜드어, 스코틀랜드 게일어, 맨어 등을 포함하고 Q-켈트어로 분류되며, 현재 소멸 위기에 처해있으나 언어 부흥 운동을 통해 보존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 언어에 관한 - 네팔어
네팔어는 데바나가리 문자로 표기되며, 산스크리트어와 프라크리트어의 영향을 받았으며, 10세기에서 14세기 사이에 나타나, 20세기 이후 표준화 과정을 거쳐 현대 네팔어로 자리 잡았으며, 인도 내 네팔어 사용자들의 권익 신장에 기여했다. - 언어에 관한 - 슬로바키아어
슬로바키아어는 슬로바키아의 공용어이자 약 500만 명이 사용하는 서슬라브어군 언어로, 라틴 문자 기반의 고유한 문자를 사용하며 체코어와 유사하고 폴란드어 등 다른 슬라브어와도 연관성을 가진다.
도서켈트어군 | |
---|---|
개요 | |
종류 | 켈트어파 |
사용 지역 | 브리타니, 콘월, 아일랜드, 맨섬, 스코틀랜드, 웨일스 |
어족 | |
상위 어족 | 인도유럽어족 |
하위 어족 | 브리튼어군 게일어군 |
2. 도서 켈트어 가설
'''도서 켈트어 가설'''은 브리튼 제도와 아일랜드의 켈트어들이 대륙 켈트어와는 다른, 공통적인 특징들을 공유하며 발전했다는 역사 언어학의 가설이다.[2] 대륙 켈트어에는 켈트 이베리아어, 골어, 갈라티아어, 레폰티어 등이 있으며, 이들은 모두 오래전에 사멸했다. 도서 켈트어와 대륙 켈트어의 구분은 P/Q 켈트어 가설과는 대조적이다.
랑코 마타소비치는 도서 켈트어군의 두 분파 모두에 영향을 미쳤지만, 가상적인 원시 도서 켈트어 시대에 해당한다고 볼 증거가 없는 변화 목록을 제시했다.[3] 이러한 변화는 다음과 같다.
- 음운 변화
- * 무성 파열음의 약화
- * 고모음화/i-변이
- * 저모음화/a-변이
- * 후음 탈락
- * 음절 탈락
- 형태 변화
- * 굴절 전치사 생성
- * 인칭 대명사의 격 변화 손실 (역사적 격 변화 형태)
- * 동등 비교급 생성
- * 미완료형 생성
- * 가정법 생성
- 형태 통사 및 통사 변화
- * VSO 어순의 고정화
- * 선행 한정사 생성
- * 문장 긍정과 부정을 나타내는 입자 생성
- * 주변 구조 생성
- * 목적어 표지 생성
- * 서수 사용의 의미 "그 중 하나"
이러한 변화들이 공통 조상으로부터 기인했음을 보이기 위해서는 최초 분리 이후 언어 접촉으로 인해 발생하지 않아야 한다. 언어 지역은 광범위한 이중 언어 사용의 결과일 수 있으며, 이는 아마도 족외혼과 날카로운 사회 언어학적 구분이 부재하기 때문일 것이다.
2. 1. 주요 특징
도서 켈트어 가설의 지지자들은 브리튼어군과 게일어군이 공통 조상에서 함께 진화했다고 보며, 다음과 같은 특징들을 근거로 제시한다.[2]- 굴절 전치사
- 특정 동사 입자의 공통 사용
- VSO 어순
- 자립형 및 접속형 동사 어미의 차별화 (고대 아일랜드어에서 광범위하게 발견, 중세 웨일스어에서는 덜함)
지지자들은 브리튼어와 골어(P-켈트어) 사이, 그리고 고이델어와 켈트 이베리아어(Q-켈트어) 사이의 분리가 언어 접촉 현상으로 인해 피상적일 수 있다고 주장한다. 그들은 원시 켈트어의 음운 변화( to })가 골어와 브리튼어의 조상에서 독립적으로 발생했거나, 두 그룹 간의 언어 접촉으로 퍼졌을 수 있다고 본다.
이탈리아어족에서도 를 유지한 라틴-팔리스크어와 로 바꾼 오스크-움브리아어 사이의 유사한 분기가 나타난다. 16세기 조지 뷰캐넌은 브리튼어(P-켈트어)가 픽트어에서 파생되었다고 제안했다.
다음 표는 원시 켈트어 가 골어와 브리튼어에서는 로, 고이델어에서는 로 발달하는 것을 보여주는 동족어를 보여준다.
원시- 켈트어 | 골어 및 브리튼어 | 고이델어 | 영어 글로스 | ||||||
---|---|---|---|---|---|---|---|---|---|
골어 | 웨일스어 | 콘월어 | 브르타뉴어 | 원시 아일랜드어 | 현대 아일랜드어 | 스코틀랜드 게일어 | 만어 | ||
pennos|펜노스|머리xtg | pen|펜|머리cy | penn|펜|머리kw | penn|펜|머리br | *kʷennos|켄노스|머리pgl | ceann|켄|머리ga | ceann|켄|머리gd | kione|키오네|머리gv | "머리" | |
petuar|페투아르|넷xtg | pedwar|페드와르|넷cy | peswar|페스와르|넷kw | pevar|페바르|넷br | *kʷetwar-|퀫와르|넷pgl | ceathair|케하르|넷ga | ceithir|케이히르|넷gd | kiare|키아레|넷gv | "넷" | |
pempe|펨페|다섯xtg | pump|핌프|다섯cy | pymp|핌프|다섯kw | pemp|펨프|다섯br | *kʷenkʷe|퀭퀘|다섯pgl | cúig|쿠이그|다섯ga | còig|코이그|다섯ga | queig|퀘이그|다섯gv | "다섯" | |
pis|피스|누구xtg | pwy|푸이|누구cy | piw|피우|누구kw | piv|피브|누구br | *kʷeis|퀘이스|누구pgl | cé|케|누구ga (구형 cia|키아|누구ga) | cò|코|누구gd/cia|키아|누구gd | quoi|쿼이|누구gv | "누구" |
고이델어와 브리튼어 사이의 중요한 차이점은 , 이 원래 무성 파열음 또는 마찰음 앞에서, 장음이 있는 탈비음 모음, ''é''로 변환된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고대 아일랜드어 éc|에크|죽음sga, écath|에카흐|낚시 바늘sga, dét|데트|이sga, cét|케트|백sga은 웨일스어 angau|앙가우|죽음cy, angad|앙가드|~cy, dant|단트|이cy, cant|칸트|백cy와 비교된다.
2. 2. 계통도
{{clade|label1=도서 켈트어
|1=
{{clade
|label1=원시 아일랜드어
|grouplabel1=고이델어
|bar1=lightseagreen
|1=
{{clade
|label1=고대 아일랜드어
|1=
{{clade
|label1=중세 아일랜드어
|1=
{{clade
|1=아일랜드어
|2=스코틀랜드 게일어
|3=만어
}}
}}
}}
|grouplabel2=브리튼어
|bar2=pink
|2=
{{clade
|1=
픽트어/*Pictishart
|grouplabel2=서부 브리튼어
|bar2=red
|2=
{{clade
|1=
쿰브리아어/Cumbriccel
|label2=고대 웨일스어
|2=
{{clade
|label1=중세 웨일스어
|1=
{{clade
|1=
웨일스어
}}
}}
}}
|grouplabel3=남서부 브리튼어
|bar3=black
|3=
{{clade
|1=
브르타뉴어
|2=
콘월어
}}
}}
}}
원시 켈트어 가 골어와 브리튼어에서는 로, 고이델어에서는 로 발달하는 것을 보여주는 동족어는 다음과 같다.
2. 3. 음운 변화
켈트어글로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