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도서켈트어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도서 켈트어군은 역사 언어학에서 브리튼어군과 게일어군이 대륙 켈트어와 달리 공통 조상으로부터 분리된 후 같은 지역에서 함께 진화하며 여러 공통적인 특징을 공유하게 되었다는 이론이다. 이 가설은 굴절 전치사의 발달, 특정 동사 입자의 사용, VSO 어순 고착, 자립형 및 접속형 동사 어미 구별 등을 근거로 제시한다. 도서 켈트어군은 고이델어, 브리튼어로 분류되며, 아일랜드어, 스코틀랜드 게일어, 웨일스어, 브르타뉴어 등이 포함된다. 또한 도서 켈트어군은 아프리카아시아어족 언어와 구조적 유사성을 공유하며 기층 언어의 영향을 받았다는 가설이 제기되었으나, 비판도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도서켈트어군 - 브르타뉴어
    브르타뉴어는 브리튼 제도에서 유래한 켈트어로서 콘월어, 웨일스어와 관련이 깊으며, 프랑스어 억압으로 화자가 감소했으나 부활을 위한 노력이 진행 중인 하부 브르타뉴 서부 지역의 언어이다.
  • 도서켈트어군 - 게일어군
    게일어군은 켈트어파에 속하며 아일랜드어, 스코틀랜드 게일어, 맨어 등을 포함하고 Q-켈트어로 분류되며, 현재 소멸 위기에 처해있으나 언어 부흥 운동을 통해 보존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 언어에 관한 - 네팔어
    네팔어는 데바나가리 문자로 표기되며, 산스크리트어와 프라크리트어의 영향을 받았으며, 10세기에서 14세기 사이에 나타나, 20세기 이후 표준화 과정을 거쳐 현대 네팔어로 자리 잡았으며, 인도 내 네팔어 사용자들의 권익 신장에 기여했다.
  • 언어에 관한 - 슬로바키아어
    슬로바키아어는 슬로바키아의 공용어이자 약 500만 명이 사용하는 서슬라브어군 언어로, 라틴 문자 기반의 고유한 문자를 사용하며 체코어와 유사하고 폴란드어 등 다른 슬라브어와도 연관성을 가진다.
도서켈트어군
개요
종류켈트어파
사용 지역브리타니, 콘월, 아일랜드, 맨섬, 스코틀랜드, 웨일스
어족
상위 어족인도유럽어족
하위 어족브리튼어군
게일어군

2. 도서 켈트어 가설

'''도서 켈트어 가설'''은 브리튼 제도아일랜드의 켈트어들이 대륙 켈트어와는 다른, 공통적인 특징들을 공유하며 발전했다는 역사 언어학의 가설이다.[2] 대륙 켈트어에는 켈트 이베리아어, 골어, 갈라티아어, 레폰티어 등이 있으며, 이들은 모두 오래전에 사멸했다. 도서 켈트어와 대륙 켈트어의 구분은 P/Q 켈트어 가설과는 대조적이다.

랑코 마타소비치는 도서 켈트어군의 두 분파 모두에 영향을 미쳤지만, 가상적인 원시 도서 켈트어 시대에 해당한다고 볼 증거가 없는 변화 목록을 제시했다.[3] 이러한 변화는 다음과 같다.


  • 음운 변화
  • * 무성 파열음의 약화
  • * 고모음화/i-변이
  • * 저모음화/a-변이
  • * 후음 탈락
  • * 음절 탈락
  • 형태 변화
  • * 굴절 전치사 생성
  • * 인칭 대명사의 격 변화 손실 (역사적 격 변화 형태)
  • * 동등 비교급 생성
  • * 미완료형 생성
  • * 가정법 생성
  • 형태 통사 및 통사 변화
  • * VSO 어순의 고정화
  • * 선행 한정사 생성
  • * 문장 긍정과 부정을 나타내는 입자 생성
  • * 주변 구조 생성
  • * 목적어 표지 생성
  • * 서수 사용의 의미 "그 중 하나"


이러한 변화들이 공통 조상으로부터 기인했음을 보이기 위해서는 최초 분리 이후 언어 접촉으로 인해 발생하지 않아야 한다. 언어 지역은 광범위한 이중 언어 사용의 결과일 수 있으며, 이는 아마도 족외혼과 날카로운 사회 언어학적 구분이 부재하기 때문일 것이다.

2. 1. 주요 특징

도서 켈트어 가설의 지지자들은 브리튼어군게일어군공통 조상에서 함께 진화했다고 보며, 다음과 같은 특징들을 근거로 제시한다.[2]

  • 굴절 전치사
  • 특정 동사 입자의 공통 사용
  • VSO 어순
  • 자립형 및 접속형 동사 어미의 차별화 (고대 아일랜드어에서 광범위하게 발견, 중세 웨일스어에서는 덜함)


지지자들은 브리튼어와 골어(P-켈트어) 사이, 그리고 고이델어와 켈트 이베리아어(Q-켈트어) 사이의 분리가 언어 접촉 현상으로 인해 피상적일 수 있다고 주장한다. 그들은 원시 켈트어의 음운 변화( to })가 골어와 브리튼어의 조상에서 독립적으로 발생했거나, 두 그룹 간의 언어 접촉으로 퍼졌을 수 있다고 본다.

이탈리아어족에서도 를 유지한 라틴-팔리스크어와 로 바꾼 오스크-움브리아어 사이의 유사한 분기가 나타난다. 16세기 조지 뷰캐넌은 브리튼어(P-켈트어)가 픽트어에서 파생되었다고 제안했다.

다음 표는 원시 켈트어 가 골어와 브리튼어에서는 로, 고이델어에서는 로 발달하는 것을 보여주는 동족어를 보여준다.

원시 켈트어 가 골어, 브리튼어, 고이델어에서 발달하는 것을 보여주는 동족어
원시-
켈트어
골어 및 브리튼어고이델어영어
글로스
골어웨일스어콘월어브르타뉴어원시 아일랜드어현대 아일랜드어스코틀랜드 게일어만어
pennos|펜노스|머리xtgpen|펜|머리cypenn|펜|머리kwpenn|펜|머리br*kʷennos|켄노스|머리pglceann|켄|머리gaceann|켄|머리gdkione|키오네|머리gv"머리"
petuar|페투아르|넷xtgpedwar|페드와르|넷cypeswar|페스와르|넷kwpevar|페바르|넷br*kʷetwar-|퀫와르|넷pglceathair|케하르|넷gaceithir|케이히르|넷gdkiare|키아레|넷gv"넷"
pempe|펨페|다섯xtgpump|핌프|다섯cypymp|핌프|다섯kwpemp|펨프|다섯br*kʷenkʷe|퀭퀘|다섯pglcúig|쿠이그|다섯gacòig|코이그|다섯gaqueig|퀘이그|다섯gv"다섯"
pis|피스|누구xtgpwy|푸이|누구cypiw|피우|누구kwpiv|피브|누구br*kʷeis|퀘이스|누구pglcé|케|누구ga (구형 cia|키아|누구ga)cò|코|누구gd/cia|키아|누구gdquoi|쿼이|누구gv"누구"



고이델어와 브리튼어 사이의 중요한 차이점은 , 이 원래 무성 파열음 또는 마찰음 앞에서, 장음이 있는 탈비음 모음, ''é''로 변환된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고대 아일랜드어 éc|에크|죽음sga, écath|에카흐|낚시 바늘sga, dét|데트|이sga, cét|케트|백sga은 웨일스어 angau|앙가우|죽음cy, angad|앙가드|~cy, dant|단트|이cy, cant|칸트|백cy와 비교된다.

2. 2. 계통도

{{clade

|label1=도서 켈트어

|1=

{{clade

|label1=원시 아일랜드어

|grouplabel1=고이델어

|bar1=lightseagreen

|1=

{{clade

|label1=고대 아일랜드어

|1=

{{clade

|label1=중세 아일랜드어

|1=

{{clade

|1=아일랜드어

|2=스코틀랜드 게일어

|3=만어

}}

}}

}}

|grouplabel2=브리튼어

|bar2=pink

|2=

{{clade

|1=

픽트어/*Pictishart

|grouplabel2=서부 브리튼어

|bar2=red

|2=

{{clade

|1=

쿰브리아어/Cumbriccel

|label2=고대 웨일스어

|2=

{{clade

|label1=중세 웨일스어

|1=

{{clade

|1=

웨일스어

}}

}}

}}

|grouplabel3=남서부 브리튼어

|bar3=black

|3=

{{clade

|1=

브르타뉴어

|2=

콘월어

}}

}}

}}

원시 켈트어 가 골어와 브리튼어에서는 로, 고이델어에서는 로 발달하는 것을 보여주는 동족어는 다음과 같다.

원시 켈트어 가 골어, 브리튼어, 고이델어에서 발달하는 양상
원시 켈트어골어 및 브리튼어고이델어영어
골어웨일스어콘월어브르타뉴어원시 아일랜드어현대 아일랜드어스코틀랜드 게일어만어
골어/pennosxtg웨일스어/pency콘월어/pennkw브르타뉴어/pennbr원시 아일랜드어/*kʷennospgl아일랜드어/ceannga스코틀랜드 게일어/ceanngd만어/kionegvhead (머리)
골어/petuarxtg웨일스어/pedwarcy콘월어/peswarkw브르타뉴어/pevarbr원시 아일랜드어/*kʷetwar-pgl아일랜드어/ceathairga스코틀랜드 게일어/ceithirgd만어/kiaregvfour (넷)
골어/pempextg웨일스어/pumpcy[2]콘월어/pympkw브르타뉴어/pempbr원시 아일랜드어/*kʷenkʷepgl아일랜드어/cúigga스코틀랜드 게일어/còigga만어/queiggvfive (다섯)
골어/pisxtg웨일스어/pwycy콘월어/piwkw브르타뉴어/pivbr원시 아일랜드어/*kʷeispgl아일랜드어/céga (구형 아일랜드어/ciaga)스코틀랜드 게일어/cògd/스코틀랜드 게일어/ciagd만어/quoigvwho (누구)


2. 3. 음운 변화

켈트어골어 및 브리튼어고이델어영어
글로스골어웨일스어콘월어브르타뉴어원시 아일랜드어아일랜드어스코틀랜드 게일어만어pennosxtgpencypennkwpennbr*kʷennospglceanngaceanngdkionegv머리petuarxtgpedwarcypeswarkwpevarbr*kʷetwar-pglceathairgaceithirgdkiaregv넷pempextgpumpcy[2]pympkwpempbr*kʷenkʷepglcúiggacòiggaqueiggv다섯pisxtgpwycypiwkwpivbr*kʷeispglga (구형 ciaga)cògd/ciagdquoigv누구


2. 4. 절대형과 결합형 동사

도서 켈트어, 특히 고대 아일랜드어스코틀랜드 게일어는 동사가 문장의 첫 위치에 오는지, 아니면 특정 입자 뒤에 오는지에 따라 다른 활용형을 가진다. 중세 웨일스어에서도 이러한 흔적이 나타난다.

고대 아일랜드어 동사 beiridsga "나르다"의 현재 능동 직설법 활용 형태는 다음과 같다. 결합형은 입자 nísga "아니다"로 예시한다.

 절대형결합형
고대 아일랜드어영어 번역고대 아일랜드어영어 번역
단수1인칭birusga나는 나른다ní biursga나는 나르지 않는다
2인칭birisga너는 나른다ní birsga너는 나르지 않는다
3인칭beiridsga그/그녀는 나른다ní beirsga그/그녀는 나르지 않는다
복수1인칭bermaisga우리는 나른다ní beramsga우리는 나르지 않는다
2인칭beirthesga너희는 나른다ní beiridsga너희는 나르지 않는다
3인칭beraitsga그들은 나른다ní beratsga그들은 나르지 않는다



스코틀랜드 게일어에서는 이러한 구분이 거의 모든 동사에서 특정 동사 형태에서 여전히 발견된다(극소수의 예외 제외). 이는 VSO 언어이다. 아래 첫 번째 열에 제시된 예는 동사가 절의 첫 위치에 있거나(또는 절에서 특정 동사 앞 입자가 앞에 오는 경우) 사용해야 하는 '독립' 또는 '절대' 형태이다. 그 다음에는 절에서 특정 다른 동사 앞 입자, 특히 의문 또는 부정 동사 앞 입자가 앞에 오는 경우에 필요한 '의존' 또는 '결합' 형태가 이어진다. 이 예에서 첫 번째 열에는 절의 첫 위치에 있는 동사가 있다. 두 번째 열에는 동사 바로 앞에 부정 입자가 와서 동사가 '의존' 활용의 동사 형태를 사용하게 된다.

절대형/독립형결합형/의존형
cuiridh migd "나는 놓다/놓을 것이다"cha chuir migd "나는 놓지 않는다/놓지 않을 것이다"
òlaidh egd "그는 마신다/마실 것이다"chan òl egd "그는 마시지 않는다/마시지 않을 것이다"
ceannaichidh iadgd "그들은 산다/살 것이다"cha cheannaich iadgd "그들은 사지 않는다/사지 않을 것이다"



위 예의 동사 형태는 예에서 선택된 특정 인칭뿐만 아니라 모든 주어 인칭 대명사와 동일하다. 또한 이러한 동사 형태에 내재된 시제–상–법 속성의 조합은 비과거이지만 다른 모든 측면에서는 시간과 관련하여 불확실하며 다양한 비과거 시간과 호환되며 상황에 따라 시간을 나타낸다. 항상 참이거나 항상 발생하는 무언가를 주장할 때처럼 의미는 완전히 무시될 수 있다. 이 동사 형태는 많은 교육용 문법에서 '미래'라고 잘못 불렸다. 언어학 텍스트에서는 정확하고 중립적인 용어 'INDEF1'이 사용되었다.

중세 웨일스어에서 이 구분은 "X가 발생하고 Y는 발생하지 않는다"라는 공식에 따른 속담에서 가장 명확하게 나타난다:[2]

3. 도서 켈트어와 기층 언어

도서 켈트어군이 다른 인도유럽어족 언어들과는 달리 아프리카아시아어족과 일부 구조적 특징을 공유한다는 주장이 제기되어 왔다. 이러한 유사성은 1621년에 웨일스어히브리어 간의 관계에서 처음 언급되었다.[4][5]

이후, 도서 켈트어군이 아프리카아시아어족 기층 언어의 영향을 받았다는 가설, 또는 두 언어군이 공통된 기층 언어의 영향을 받았다는 가설 등이 제기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가설들은 켈트어 연구 학자들에게 큰 호응을 얻지 못했으며, 여러 학자들에 의해 비판받기도 했다.

3. 1. 아프리카아시아어족 기층 언어 가설

도서 켈트어군은 대륙 켈트어군과 달리 다른 인도유럽어족 언어에서는 드문 다양한 아프리카아시아어족과의 구조적 특징을 공유한다. 이러한 특징에는 동사-주어-목적어 어순, 복수 후치 동사를 가진 단수 동사, 구성 상태와 유사한 속격 구문, 융합된 굴절 대명사를 가진 전치사("결합 전치사" 또는 "전치사 대명사"), 대명사 복사본이 있는 간접 관계절 등이 있다. 이러한 유사성은 1621년에 웨일스어와 히브리어 간의 관계에서 처음 언급되었다.[4][5]

도서 켈트어군이 아프리카아시아어족 기층 언어(이베리아어 및 베르베르어)의 영향을 받았다는 가설은 1899년 존 모리스-존스에 의해 처음 제안되었다.[6] 이 이론은 헨리 제너(1904),[7] 율리우스 포코르니(1927),[8] 하인리히 바그너(1959),[9] 오린 겐슬러(1993),[10] 테오 베네만(1995),[11] 아리엘 시샤-할레비(2003)[12] 등 여러 언어학자들에 의해 지지되었다.

다른 학자들은 아프리카아시아어가 도서 켈트어군에 직접 영향을 준 것이 아니라, 두 언어 그룹 모두 현재는 사라진 기층 언어의 영향을 받았다고 주장했다. 이는 Jongeling(2000)에 의해 제안되었다.[13] 랭코 마타소비치(2012) 또한 "도서 켈트어군은 알 수 없는, 아마도 비-인도유럽 기층 언어의 강한 영향을 받았다"고 주장하며 도서 켈트어군과 아프리카아시아어족 언어 사이의 통사적 유사성이 "우연이 아닐 것"이라고 보았다. 그는 이들의 유사성이 "켈트어를 포함한 인도유럽어 사용자들이 도착하기 전, 북서 아프리카의 일부와 서유럽의 넓은 지역을 포괄하는 거대한 언어적 거대 지역"에서 비롯되었다고 주장했다.[14]

레이먼드 히키에 따르면, 아프리카아시아 기층 언어 이론은 "켈트어 연구 학자들에게 그다지 호응을 얻지 못했다".[15] 이 이론은 김 매코니(2006), 그레이엄 아이작(2007), 스티브 헤위트(2009)에 의해 비판을 받았다.[16][17][18] 아이작은 겐슬러가 식별한 20개의 특징이 사소하거나, 의존적이거나, 무의미하다고 주장한다. 따라서 그는 이 이론이 입증되지 않았을 뿐만 아니라 틀렸다고 간주한다. 대신, 도서 켈트어군과 아프리카아시아어족 사이의 유사성은 독립적으로 진화했을 수 있다.

3. 2. 비판

레이먼드 히키에 따르면, 아프리카아시아 기층 언어 이론은 "켈트어 연구 학자들에게 그다지 호응을 얻지 못했다".[15] 이 이론은 2006년 김 매코니, 2007년 그레이엄 아이작, 2009년 스티브 헤위트에 의해 비판받았다.[16][17][18] 아이작은 오린 겐슬러가 식별한 20개의 포인트가 사소하거나, 의존적이거나, 무의미하다고 주장한다. 따라서 그는 이 이론이 입증되지 않았을 뿐만 아니라 틀렸다고 간주한다. 대신, 도서 켈트어군과 아프리카아시아어족 사이의 유사성은 독립적으로 진화했을 수 있다.

참조

[1] 백과사전 Galatian language https://books.google[...] ABC-CLIO
[2] 웹사이트 The language of the Picts http://www.orkneyjar[...] 2023-08-01
[3] 간행물 Insular Celtic as a Language Area Hildegard Tristram 2007
[4] 서적 The Question of a Hamito-Semitic Substratum in Insular Celtic and Celtic from the West John T. Koch, Barry Cunliffe
[5] 서적 Antiquae linguae Britannicae rudimenta 1621
[6] 서적 The Welsh People: Chapters on Their Origins, History, Laws, Language, Literature, and Characteristics https://books.google[...] T.F. Unwin 1906
[7] 서적 A handbook of the Cornish language: chiefly in its latest stages with some account of its history and literature https://archive.org/[...] London : Nutt 1904
[8] 간행물 Das nicht-indogermanische Substrat im Irischen Zeitschrift für celtische Philologie
[9] 간행물 Gaeilge theilinn 1959
[10] 학위논문 A Typological Evaluation of Celtic/Hamito-Semitic Syntactic Parallels https://escholarship[...] University of California at Berkeley 1993
[11] 간행물 Etymologische Beziehungen im Alten Europa Der GinkgoBaum: Germanistisches Jahrbuch für Nordeuropa 1995
[12] 웹사이트 Celtic Syntax, Egyptian-Coptic Syntax http://ling.huji.ac.[...] Das Alte Ägypten und seine Nachbarn: Festschrift Helmut Satzinger 2011-07-21
[13] 학술저널 The Question of a Hamito-Semitic Substratum in Insular Celtic https://onlinelibrar[...]
[14] 학술저널 The substratum in Insular Celtic http://www.jolr.ru/f[...] 2012
[15] 서적 The Handbook of Language Contact https://books.google[...] John Wiley & Sons 2013-04-24
[16] 서적 The origins and development of the Insular Celtic verbal complex Department of Old Irish, National University of Ireland 2006
[17] 간행물 Celtic and Afro-Asiatic https://publishup.un[...]
[18] 학술저널 The Question of a Hamito-Semitic Substratum in Insular Celtic https://onlinelibra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