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일어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게일어군은 아일랜드어, 스코틀랜드 게일어, 맨어를 포함하는 켈트어파의 언어군을 의미한다. '게일어'라는 용어는 스코틀랜드 게일어를 지칭하는 데 사용되기도 하지만, 아일랜드어와 맨어도 게일어로 불리기도 한다. 게일어군은 원시 아일랜드어에서 고대 아일랜드어, 중세 아일랜드어를 거쳐 아일랜드어, 스코틀랜드 게일어, 맨어로 분화되었다. 아일랜드어는 아일랜드 공화국의 공식 언어 중 하나이며, 스코틀랜드 게일어는 스코틀랜드 북부 및 서부 지역에서 사용된다. 맨어는 한때 사멸 위기에 놓였지만 부흥 운동을 통해 사용 인구가 증가하고 있다. 게일어는 아일랜드 영어와 스코틀랜드 영어에 영향을 미쳤으며, 셸타어, 번기 방언 등 다른 언어에도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게일어군 - 아일랜드어
아일랜드어는 아일랜드 공화국의 공식 언어이자 국어로, 고이델어군에 속하며, 영어의 영향으로 사용 인구가 감소했으나 정부의 사용 장려 정책으로 게일타흐트 지역을 보호하고 있다. - 도서켈트어군 - 브르타뉴어
브르타뉴어는 브리튼 제도에서 유래한 켈트어로서 콘월어, 웨일스어와 관련이 깊으며, 프랑스어 억압으로 화자가 감소했으나 부활을 위한 노력이 진행 중인 하부 브르타뉴 서부 지역의 언어이다. - 도서켈트어군 - 웨일스어
웨일스어는 청동기 시대부터 그레이트브리튼 섬에 거주한 켈트계 브리튼인들의 언어에서 발전하여 웨일스를 중심으로 사용되며, 1993년 웨일스어법으로 법적 지위를 얻었으나 영어의 영향으로 사용 인구는 변동을 겪고 있는, 유네스코가 소멸 위기 언어로 지정하지 않은 유일한 켈트어이다. - 켈트어파 - 브르타뉴어
브르타뉴어는 브리튼 제도에서 유래한 켈트어로서 콘월어, 웨일스어와 관련이 깊으며, 프랑스어 억압으로 화자가 감소했으나 부활을 위한 노력이 진행 중인 하부 브르타뉴 서부 지역의 언어이다. - 켈트어파 - 스코틀랜드 게일어
스코틀랜드 게일어는 켈트어의 일종으로 아일랜드 게일어, 맨섬 게일어와 관련이 깊으며, 스코틀랜드에 전파된 후 쇠퇴하여 현재는 소수만 사용하고 있고, 잉글랜드의 탄압과 영어 확산으로 사용 인구가 급감했으나 스코틀랜드 정부의 지원으로 소멸 위기를 극복하려 노력 중이지만 소멸 가능성 우려도 제기되는 언어이다.
게일어군 | |
---|---|
개요 | |
명칭 | 게일어군 |
다른 이름 | 게일 제어 |
언어 정보 | |
사용 지역 | 아일랜드 스코틀랜드 맨섬 |
어족 | 인도유럽어족 |
어파 | 켈트어파 |
하위 어군 | 도서켈트어군 |
조상 언어 | 원시 아일랜드어 |
조상 언어 2 | 고대 아일랜드어 |
조상 언어 3 | 중세 아일랜드어 |
하위 언어 | 아일랜드어 |
하위 언어 2 | 맨어 |
하위 언어 3 | 스코틀랜드 게일어 |
글라토로그 | goid1240 |
글라토로그 명칭 | 고이델어군 |
영어 명칭 | Gaelic languages |
아일랜드어 명칭 | Gaeilge (게일게) |
스코틀랜드 게일어 명칭 | Gàidhlig (가이드힐리그) |
맨어 명칭 | Gaelg (게일그) |
2. 명칭
"게일어"는 스코틀랜드 게일어를 지칭하는 데 사용되기도 하므로 모호하다. 아일랜드어와 맨어는 때때로 아일랜드 게일어와 맨스 게일어로 불리기도 하지만, 이들 언어를 지칭할 때 "게일어"라는 단어를 사용할 필요는 없다. 이는 스코틀랜드 게일어와 대조적인데, "게일어"는 스코틀랜드 게일어를 게르만어파에 속하는 스코트어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된다. 영어에서 스코틀랜드 ''게일어''는 로 발음되는 반면, 아일랜드어와 맨어 ''게일어''는 로 발음되는 등 단어의 발음이 뚜렷하게 다른 것이 일반적이다.
원시 아일랜드어에서 고대 아일랜드어가, 고대 아일랜드어에서 중세 아일랜드어가 나왔다.[5][6] 중세 아일랜드어에서는 아일랜드어, 스코틀랜드 게일어, 맨어가 나왔다.[5][6]
원시 아일랜드어
내부 명칭(Gaeilgega, Gaelicga 및 Gaolainnga 아일랜드어, Gaelggv 맨어 및 스코틀랜드 게일어)은 고대 아일랜드어 Goídelcsga에서 파생되었으며, 이는 다시 "야만인, 미개인"을 의미하는 고대 웨일스어 Guoidelowl에서 파생되었다.[3][4] 레보르 가발라 에렌ga의 중세 신화는 언어를 발명한 게일족의 동명의 조상인 고이델 글라스|italic=noga를 그 기원으로 한다.
3. 분류
4. 기원, 역사 및 분포
아일랜드어
스코틀랜드 게일어
맨어
고이델어와 문화는 결국 픽트족 지역과 브리튼어군 지역의 북부로 확산되었다.
역사 시대 동안 고이델어는 아일랜드와 아마도 스코틀랜드 서부 해안 지역에 국한되었다. 중세 게일 문학에 따르면 6세기에 달 리어타 왕국이 스코틀랜드 서부에서 등장했다. 주류 견해는 달 리어타가 아일랜드 이민자들에 의해 세워졌다는 것이지만, 이것이 보편적으로 받아들여지는 것은 아니다. 고고학자 이언 캠벨(Ewan Campbell)은 이주나 침략의 고고학적 증거가 없으며, 강력한 해상 연결이 북해협 양쪽에 존재하던 게일 문화를 유지하는 데 기여했다고 주장한다.[7]
달 리어타는 규모와 영향력이 커졌고, 게일어와 문화는 결국 스코틀랜드 전역에 살았던 인종 집단인 인접한 픽트족 (아마도 브리튼어군 언어를 사용했을 것으로 추정)에게 채택되었다.[8] 맨어는 헤브리디스 제도에서 사용되는 게일어, 북동부와 동부 아일랜드에서 사용되는 아일랜드어, 현재는 사멸된 갈로웨이 게일어 (스코틀랜드 남서부)와 매우 유사하며, 바이킹 침략을 통해 고대 노르드어의 영향을, 그리고 이전 브리튼인들의 영향을 받았다.
가장 오래된 고이델어 기록은 원시 아일랜드어로, 4세기경의 오검 문자 비문에서 확인된다. 이 언어의 형태는 갈리아어가 로마 제국 이전과 기간 동안 기록된 형태와 매우 유사하며, 종종 동일하다. 다음 단계인 고대 아일랜드어는 6세기부터 10세기까지의 라틴어 필사본—주로 종교적 및 문법적—에 대한 주석에서 발견되며, 중세 아일랜드어 텍스트에 복사되거나 기록된 고대 텍스트에서도 발견된다. 현대 고이델어의 직접적인 조상인 중세 아일랜드어는 10세기부터 12세기까지 기록된 언어를 지칭하며, 초기 아일랜드 법률 텍스트를 포함하여 많은 문학 작품이 남아 있다.
고전 게일어는 초기 근대 아일랜드어라고도 하며,[9] 13세기부터 18세기까지의 기간을 포괄하며, 이 기간 동안 아일랜드와 스코틀랜드에서 문학 표준으로 사용되었다.[10] 이 언어는 종종 고전 아일랜드어라고 불리며, ''Ethnologue''는 이 표준화된 문어에 "하이베르노-스코틀랜드 게일어"라는 이름을 부여한다. 이 문어가 표준으로 유지되는 한, 아일랜드는 스코틀랜드 지식인들에게 게일족의 고향으로 여겨졌다.
이후의 철자법의 분기로 인해 표준화된 복심 언어 철자법이 생겨났다. 16세기와 17세기에 도입된 맨어 철자법은 영어와 웨일스어 철자법을 기반으로 했기 때문에 이러한 문학 표준의 일부가 된 적이 없다.
4. 1. 원시 게일어
원시 고이델어 또는 원시 게일어는 켈트어파의 고이델어군의 모든 언어의 조상 언어(상위 언어)이다.[12][13][14][15] 중세 아일랜드어 시대에 아일랜드어, 만어, 스코틀랜드 게일어로 분화되기 시작했다.
5. 지역별 게일어
5. 1. 아일랜드
아일랜드어는 아일랜드 공화국의 두 공식 언어 중 하나로, 영어와 함께 사용된다.[16] 역사적으로 아일랜드 섬의 주요 언어였으나, 현재는 남부, 서부 및 북서부 지역에서 주로 사용된다. 법적으로 정의된 아일랜드어 사용 지역은 게일타흐트/Gaeltachtga라고 불린다. 의회( ''Oireachtasga''), 상원(''Seanadga''), 하원(''Dáilga'')을 포함한 아일랜드 공화국의 모든 정부 기관과 총리(''Taoiseachga'')는 이 언어로 공식 명칭을 가지고 있으며, 일부는 영어에서도 공식적으로 아일랜드어 이름으로만 언급된다. 현재 게일타흐트/Gaeltachtaíga는 주로 코크, 도니골, 메이요, 골웨이, 케리, 그리고 워터포드와 미스에서도 일부 발견된다. 아일랜드 공화국에서는 1,774,437명 (3세 이상 인구의 41.4%)이 어느 정도 아일랜드어를 구사할 수 있다고 생각하며,[16] 이 중 77,185명 (1.8%)이 학교 밖에서 매일 아일랜드어를 사용한다.[16]
1607년 백작들의 도주 이후 아일랜드에서 영어와 영국의 지배 계급이 부상했음에도 불구하고, 아일랜드어는 18세기 후반까지 인구 대다수가 사용했으며, 1840년대의 대기근으로 인해 큰 영향을 받았다. 아일랜드어가 주로 사용되는 계급에 불균형적으로 영향을 미친 기근과 이주는 모국어 사용자의 급격한 감소를 초래했으며, 최근에야 비로소 반전되기 시작했다.[17]
아일랜드어는 유럽 연합의 공식 및 실무 언어로 인정받고 있다.[18] 아일랜드의 국어는 EU에 의해 이러한 인정을 받은 스물세 번째 언어였으며, 이전에는 조약 언어의 지위를 가지고 있었다.[19] 아일랜드 게일어는 단순히 아일랜드어라고도 불리며, 아일랜드의 첫 번째 공용어 (국어)로 지정되어 있지만, 이 나라에서 일상적으로 이 언어가 사용되는 것은 게일타흐트라고 불리는 극히 일부 아일랜드어 (아일랜드 게일어) 보호 지역뿐이다.
5. 2. 스코틀랜드
[[File:https://cdn.onul.works/wiki/source/194fbc903f4_c6fa7d12.svg|thumb|12세기 초 스코틀랜드의 언어 구분:
- ]]
스코틀랜드 게일어는 스코틀랜드 본토 북부 및 서부 일부 지역과 헤브리디스 제도에서 주로 사용되지만, 현재 쇠퇴하고 있다. 스코틀랜드에는 약 6만 명의 스코틀랜드 게일어 원어민이 있으며, 캐나다 노바스코샤에는 약 1,000명의 캐나다 게일어 방언 사용자가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20]
과거 갤러웨이 지역에서도 게일어가 사용되었으나, 갤러웨이 게일어 방언은 약 3세기 전에 사멸했다. 스코틀랜드 변경 지역과 로디언 전역에서도 중세 성기에 게일어가 사용되었으나, 다수가 사용한 언어는 아니었고 지배 엘리트, 토지 소유주 및 성직자들의 언어였을 가능성이 높다. 스코틀랜드 저지대의 다른 지역에서는 컴브릭어를 사용했고, 오크니 제도와 셰틀랜드 제도에서는 노르드어를 사용했다. 스코틀랜드 게일어는 게일계 정착민들과 함께 북아메리카 전역에 도입되었으며, 케이프 브레턴 섬에서 캘리포니아에 이르기까지 북미 게일어 출판물과 인쇄 매체가 필요했다.
스코틀랜드는 '게일인'을 뜻하는 라틴어 단어인 ''Scotusla''(복수형 ''Scotila'')에서 영어 이름을 가져왔다.[20] 15세기 말까지 스코틀랜드 영어에서 ''Scottis''는 게일어만을 지칭하는 데 사용되었으며, 이 언어의 사용자는 ''스코트인''으로 식별되었다. 그러나 지배 엘리트가 스코트 잉글리시/영어를 사용하게 되면서, ''Scottis''는 점차 사람보다는 땅과 연관되었고, ''Erse'' ('아일랜드어')라는 단어가 사용되었다.
16세기 초, 로디언에서 발전하여 스코틀랜드 왕국의 다른 지역에서도 사용되게 된 중기 영어의 북부 방언, 즉 초기 스코트어는 나중에 스스로 스코트어라는 이름을 사용하게 되었다. 17세기까지 게일어 사용자는 주로 고지대와 헤브리디스 제도에 국한되었다. 1746년의 두 번째 자코바이트 반란 이후 왕실이 반항적인 고지대 공동체에 대해 취한 문화적으로 억압적인 조치로 인해 언어 사용이 더욱 감소했다.
스코틀랜드 의회는 이 언어에 안전한 법적 지위와 영어와 "동등한 존중"을 부여했다.[22]
5. 3. 맨 섬
오랫동안 맨 섬 대부분의 일상 언어였던 맨어는 19세기에 급격하게 쇠퇴하기 시작했다. 마지막 맨어 단독 사용자는 19세기 중반경에 사망한 것으로 여겨진다. 1874년에는 인구의 약 30%가 맨어를 사용했다고 추정되었지만, 1901년에는 9.1%, 1921년에는 1.1%로 감소했다.[23] 마지막 맨어 원어민인 네드 매드렐은 1974년에 사망했다.19세기 말에 맨어 부흥 운동이 시작되었으며, 이는 맨어 학회(Yn Çheshaght Ghailckagh)가 주도했다. 언어학자와 언어 애호가들은 20세기에 마지막 원어민을 찾아 그들의 언어를 기록하고 그들에게서 배웠다. 2011년 영국 인구 조사에 따르면, 섬에는 1,823명의 맨어 사용자가 있었으며, 이는 인구 80,398명의 2.27%를 차지하며, 화자 수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24]
오늘날 맨어는 섬 내 5개의 유치원에서 유일한 교육 매체로 사용되며, 유일한 맨어 교육 초등학교도 운영한다. 맨어는 섬의 모든 초등학교와 중등학교, 그리고 맨 섬 대학교와 맨어 연구 센터에서도 제2 언어로 가르치고 있다.
'''맨어'''('''마닝 게일어''')는 그레이트브리튼 섬 서쪽 아일랜드해에 떠 있는 맨 섬에서 사용되었던 언어로, 한때는 사멸한 언어라고 할 수 있지만, 부흥 시도가 계속되고 있다.
6. 언어학적 특징
게일어는 켈트어파 중에서도 아일랜드어, 스코틀랜드 게일어, 맨어를 포함하는 Q-켈트어(Q-Celtic)로 분류된다. 반면 웨일스어, 콘월어, 브르타뉴어는 P-켈트어(P-Celtic)로 분류되는데, 이는 인도유럽조어 시대에 어두가 [qu]와 같은 소리였던 것이 [p]로 변화한 데서 유래한다. Q-켈트어는 [qu]를 유지하다가 나중에 c-로 표기하게 되었다.[32]
고대 아일랜드어와 현대 게일어(아일랜드어, 스코틀랜드 게일어, 맨어)의 숫자 표현은 다음과 같다.
colspan="1"| | 게일어 | |||
---|---|---|---|---|
# | 고대 아일랜드어 | 아일랜드어 | 스코틀랜드 게일어 | 맨어 |
1 | óensga | aonga | aongd | *ungv |
2 | dásga | dóga | dàgd | *daagv |
3 | trísga | tríga | trìgd | treegv |
4 | cethairsga | ceathairga | ceithirgd | kiaregv |
5 | cóicsga | cúigga | còiggd | queiggv |
6 | sésga | séga | siagd | sheygv |
7 | sechtsga | seachtga | seachdgd | shiaghtgv |
8 | ochtsga | ochtga | ochdgd | hoghtgv |
9 | noísga | naoiga | naoigd | nuygv |
10 | deichsga | deichga | deichgd | jeihgv |
11 | óen déacsga | aon déagga | aon deuggd | nane-jeiggv |
12 | dá dhéac/dhéucsga | dó dhéagga | dà dheuggd | daa-yeiggv |
20 | fichisga | fichega | ficheadgd | feedgv |
100 | cétsga | céadga | ceudgd | keeadgv |
- ungv과 daagv는 더 이상 숫자를 셀 때 사용되지 않고, nanegv과 jeesgv가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아일랜드어, 스코틀랜드 게일어, 맨어의 기본적인 표현은 다음과 같다.
아일랜드어 | 스코틀랜드 게일어 | 맨어 | 영어 |
---|---|---|---|
Fáiltega | Fàiltegd | Failtgv | 환영합니다 |
얼스터: Goidé mar atá tú?ga 코노트: Cén chaoi a bhfuil tú?ga 먼스터: Conas taoi?, Conas tánn tú?ga | 광역:[25] Ciamar a tha thu?gd 루이스:[26] Dè man a tha thu?gd 아길 및 아우터헤브리디스:[27] Dè mar a tha thu?gd | Kys t'ou?gv | 안녕하세요? (안부 묻는 말) |
얼스터: Cad é an t-ainm atá ort?ga 코노트: Cén t-ainm atá ort?ga 먼스터: Cad is ainm duit?ga | 광역: Dè an t-ainm a tha ort?gd 서부 해안 본토:[28] C' ainm a tha ort?gd | Cren ennym tort?gv | 이름이 무엇입니까? |
Is mise...ga | 'S mise...gd | Mish...gv | 저는... 입니다 |
Lá maithga | Latha mathgd | Laa miegv | 안녕하십니까 (낮인사) |
Maidin mhaithga | Madainn mhathgd | Moghrey miegv | 안녕하십니까 (아침인사) |
Tráthnóna maithga | Feasgar mathgd | Fastyr miegv | 안녕하십니까 (오후/저녁인사) |
Oíche mhaithga | Oidhche mhathgd | Oie viegv | 안녕히 주무세요 |
Go raibh maith agatga | 아우터헤브리디스 및 스카이섬:[29] Tapadh leatgd 광역:[30] Mòran tainggd 남서부:[31] Gun robh math agadgd | Gura mie aydgv | 감사합니다 |
Slán leatga | Mar sin leatgd | Slane lhiatgv | 안녕히 가세요 |
Sláintega | Slàintegd | Slayntgv | 건강 (건배할 때 사용 [참고: 영어 "cheers"]) |
7. 다른 언어에 미친 영향
게일어군 언어는 아니지만 게일어군의 영향을 받은 언어들이 몇 가지 있다. 셸타어는 때때로 게일어군 언어로 여겨지기도 하지만, 실제로는 아일랜드어와 영어를 기반으로 한 은어이며, 문법은 주로 아일랜드어를 따르고 구문은 영어를 따른다. 캐나다의 번기 방언은 메티스족이 사용하는 영어 방언으로, 오크니 영어, 스코틀랜드 영어, 크리어, 아니시나베어, 스코틀랜드 게일어의 영향을 받았다. 뵈를라 레가르드는 스코틀랜드 여행자들이 사용하는 은어로, 상당 부분 스코틀랜드 게일어를 기반으로 한다.
서부 웨일스에서 사용되는 웨일스어는 과거 게일어를 사용했던 흔적의 영향을 일부 보존하고 있을 수 있으며, 콘월어와 머지사이드의 영어 방언인 스코스어도 마찬가지이다. 영어, 특히 하일랜드 영어에는 스코틀랜드 게일어와 아일랜드어에서 유래된 단어가 많이 있다.
켈트어파 중에서도 게일어, 아일랜드어, 맨어는 Q-켈트어(q-Celtic)로 분류되는 반면, 웨일스어, 콘월어, 브르타뉴어는 P켈트어 (p-Celtic)로 분류된다. P-켈트어는 인도유럽조어 시대에 어두가 [qu]와 같은 소리였던 것이 [p]로 변화한 데서 유래하며, 반면 Q-켈트어는 [qu]를 유지하다가 나중에 c-로 표기하게 되었다.
게일어는 아일랜드 영어와 스코틀랜드 영어의 기층 언어가 되었다.
참조
[1]
서적
The Syntax of the Celtic Languages: A Comparative Perspectiv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
서적
The Syntax of the Celtic Languages: A Comparative Perspective
Cambridge University Press
[3]
간행물
The Gododdin of Aneirin
Celtic Studies Publications
[4]
간행물
Celtic Culture: A Historical Encyclopedia
ABC-CLIO
[5]
서적
Stair na Gaeilge
St Patrick's College, Maynooth
1994
[6]
서적
Sengoídelc Old Irish for Beginners
Syracuse University Press
2006
[7]
웹사이트
Were the Scots Irish?
[8]
서적
The Celtic languages
Routledge
[9]
서적
The Spoken Word: Oral Culture in Britain, 1500–1850
Manchester University Press
[10]
서적
The Oxford Companion to Scottish History
Oxford University Press
[11]
서적
Language in the British Isle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2]
학위논문
The Prosodic Structure of Irish, Scots Gaelic, and Manx
1997-05-15
[13]
서적
Neural Models for Predicting Celtic Mutations
https://aclanthology[...]
European Language Resources association
2020-05-12
[14]
학술지
Interarticulatory Timing and Celtic Mutations
https://www.ingentac[...]
2020-01-01
[15]
CiteSeerX
Some effects of the Weight-to-Stress Principle and grouping harmony in the Goidelic languages
1996-04-12
[16]
웹사이트
CDD31: Population Aged Three Years and Over and Percentage of Irish Speakers by Age Group, Sex, CensusYear and Statistic
http://www.cso.ie/px[...]
[17]
웹사이트
Gaelic enjoys a revival in Ireland
http://news.bbc.co.u[...]
BBC News
2001-01-10
[18]
웹사이트
Official languages of the EU – Education and training – European Commission
http://ec.europa.eu/[...]
2017-03-11
[19]
뉴스
Irish becomes the 23rd official language of EU
https://www.independ[...]
2007-01-03
[20]
문서
Oxford English Dictionary': Scot, n.1
http://dictionary.oe[...]
[21]
간행물
The Old English Translation of Bede's Historia Ecclesiastica Gentis Anglorum in its Historical and Cultural Context
https://www.univerla[...]
Universitätsdrucke Göttingen
[22]
뉴스
MSPs rule against Gaelic equality
http://news.bbc.co.u[...]
BBC News
2005-04-21
[23]
서적
Four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Minority Languages
Multilingual Matters
[24]
웹사이트
Isle of Man Census Report 2011
http://www.gov.im/li[...]
Isle of Man Government
2012-04
[25]
웹사이트
ciamar
https://www.faclair.[...]
Michael Bauer and Will Robertson
2019-01-15
[26]
웹사이트
dè man
https://www.faclair.[...]
Michael Bauer and Will Robertson
2019-01-15
[27]
웹사이트
dè mar
https://www.faclair.[...]
Michael Bauer and Will Robertson
2019-01-15
[28]
웹사이트
c' ainm a tha ort?
https://www.faclair.[...]
Michael Bauer and Will Robertson
2019-01-15
[29]
웹사이트
tapadh leat
https://www.faclair.[...]
Michael Bauer and Will Robertson
2019-01-15
[30]
웹사이트
mòran taing
https://www.faclair.[...]
Michael Bauer and Will Robertson
2019-01-15
[31]
웹사이트
gun robh math agad
https://www.faclair.[...]
Michael Bauer and Will Robertson
2019-01-15
[32]
학술지
스코틀랜드における言語事情とグラスゴーのゲール語教育
http://id.nii.ac.jp/[...]
成城大学文芸学部
20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