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댕기물떼새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댕기물떼새는 몸길이 28–33 cm의 물떼새류로, 유라시아 대륙의 중위도 지역에서 번식하고 겨울에는 아프리카와 유라시아 남부에서 월동하는 철새이다. 수컷은 긴 댕기깃을 가지고 있으며, 곤충, 절지동물, 지렁이 등을 먹는다. 과거 유럽에서는 알이 고급 식재료로 이용되었으며, 아일랜드의 국조로 지정되기도 했다. 국제 자연 보전 연맹(IUCN) 적색 목록의 관심 필요(LC)종으로, 개체수 감소 추세에 있으며, 농업 기술, 토지 이용 변화, 포식, 사냥 등이 위협 요인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IUCN 적색 목록 최소관심종 - 올빼미
    올빼미는 귀깃이 없고 야행성이며 작은 동물을 잡아먹고 사는 중형 올빼미로, 히말라야올빼미의 다른 이름이며, 세 가지 아종으로 분류된다.
  • IUCN 적색 목록 최소관심종 - 쇠황조롱이
    쇠황조롱이는 매목 매과에 속하는 소형 맹금류로, 전 세계에 9개의 아종이 존재하며, 민첩한 사냥 능력으로 소형 조류, 포유류, 곤충 등을 먹이로 하고, 서식지 파괴의 위협에 직면해 있지만 IUCN 최소관심종으로 분류된다.
  • 유럽의 새 - 갈매기
    갈매기는 도요목 갈매기과에 속하는 바닷새의 총칭으로, 전 세계 연안과 하구 등에서 서식하며 잡식성으로 다양한 먹이를 섭취하고, 한국에서는 겨울철새이자 여러 지역의 상징 새이기도 하다.
  • 유럽의 새 - 청둥오리
    청둥오리는 북반구에 널리 분포하며 녹색 머리를 가진 수컷과 갈색 깃털의 암컷을 특징으로 하는 오리류로, 잡식성이며 집오리의 조상이고, 사육 및 사냥의 대상이 되기도 하며, 보전 문제가 있는 관심대상종이다.
  • 1758년 기재된 새 - 코뿔새
    코뿔새는 검은 깃털과 흰 꼬리, 뿔 모양 돌기가 있는 큰 새로, 열대우림에 살며 특이한 번식 습성을 가지고 말레이시아의 국조이자 취약종으로 보호받고 있다.
  • 1758년 기재된 새 - 갈매기
    갈매기는 도요목 갈매기과에 속하는 바닷새의 총칭으로, 전 세계 연안과 하구 등에서 서식하며 잡식성으로 다양한 먹이를 섭취하고, 한국에서는 겨울철새이자 여러 지역의 상징 새이기도 하다.
댕기물떼새 - [생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북방 댕기물떼새
북방 댕기물떼새
상태준위협 (NT)
학명Vanellus vanellus
명명자린네, 1758년
한국어 이름타게리
영어 이름Northern lapwing (북방 댕기물떼새)
북방 댕기물떼새 분포
북방 댕기물떼새 분포. 연두색: 여름 철새. 짙은 녹색: 텃새. 파란색: 겨울 철새.
분류
동물계
척삭동물문
조강
도요목
아목치도리아목
물떼새과
타게리속 (Vanellus)
이명
이명 목록Tringa vanellus Linnaeus, 1758
Vanellus cristatus Meyer
Vanellus vulgaris Bechstein
기타
IUCNhttp://www.iucnredlist.org/apps/redlist/details/106003153/0
ITIShttp://www.itis.gov/servlet/SingleRpt/SingleRpt?search_topic=TSN&search_value=176481
국제 조류 학회 (IOC)http://www.worldbirdnames.org/n-shorebirds.html
Avibasehttp://avibase.bsc-eoc.org/species.jsp?lang=EN&avibaseid=F029489ABD9D1334

2. 분류

댕기물떼새는 1758년 칼 린네가 《자연의 체계》 제10판에서 ''Tringa vanellus''라는 학명으로 처음 기재하였다.[4] 1760년 마튀랭 자크 브리송이 댕기물떼새속(''Vanellus'')을 도입하면서 현재의 학명인 ''Vanellus vanellus''로 분류되었다.[5][6] 학명 ''Vanellus''는 중세 라틴어로 댕기물떼새를 뜻하며, 키질 부채를 의미하는 ''vannus''에서 유래되었다.[7] 댕기물떼새는 단형종으로, 아종은 인정되지 않는다.[6]

3. 형태

댕기물떼새는 몸길이 28cm~33cm, 날개 길이 67cm~87cm, 몸무게 128g~330g이다. 둥근 날개와 댕기깃이 특징이며, 물떼새류 중 다리가 가장 짧다. 등은 광택이 있는 짙은 녹색, 복부는 흰색이며, 다리는 붉은색과 검은색이 섞여 있다.[25] 수컷은 긴 댕기깃을 가지고 있으며, 검은색 정수리, 턱, 가슴이 흰색 얼굴과 대조를 이룬다. 암컷과 어린 새는 댕기깃이 짧고 머리 무늬가 옅지만, 그 외 깃털은 비슷하다.

4. 분포

여름에는 유라시아 대륙 중위도의 광범위한 지역에서 번식하고, 겨울에는 아프리카 대륙 북부나 유라시아 대륙 남부, 북인도, 네팔, 부탄 및 중국 등에서 월동한다.[23] 2011년 3월 27일에는 몽골에서 날아온 컬러 플래그가 부착된 개체 (2008년 7월 31일에 부착)가 일본 이시카와현 가가시의 시바야마 호에서 확인되었다.[23]

일본에는 겨울에 월동을 위해 혼슈로 날아와( 겨울새) 주부 지방이나 간토 지방 북부에서 번식한 기록도 있다.[24] 홋카이도도호쿠 지방 북부에서는 나그네새이다.[25]

'''댕기물떼새의 분포'''
번식지
연중 서식지
월동지

5. 생태

하천, 습지, 간석지, 등 시야가 트인 개방된 장소에 서식하며, 경계심이 강하다.[24] 겨울에는 소규모 무리를 이룬다.

동물성 먹이를 선호하며, 곤충류, 절지동물, 지렁이 등을 먹는다.[24] 발로 땅을 두드려 지렁이를 유인하여 잡아먹기도 한다.[25][26] 유럽쇠물떼새 및 붉은부리갈매기와 함께 먹이를 먹기도 하는데, 붉은부리갈매기는 댕기물떼새의 먹이를 빼앗기도 하지만 포식자로부터 보호해주는 역할도 한다. 달빛이 있는 밤에 먹이를 먹는 것을 좋아한다.

번식기에는 쌍마다 영역을 형성하지만, 느슨하게 집단으로 둥지를 틀기도 한다. 땅에 얕은 웅덩이를 파고 마른 풀을 깐 둥지를 짓고, 3-7월에 4개의 알을 낳는다. 주로 암컷이 알을 품으며, 25-34일 후에 부화한다. 새끼는 29-42일 후에 독립한다.

"미유 미유"하는 고양이와 비슷한 소리로 울며,[24] 이 울음소리 때문에 영어로 "Pee Wee"라는 별명이 붙었다. 날아갈 때 많이 울고,[26] 펄럭이는 듯한 날갯짓이 특징이다.[24][26]

6. 인간과의 관계

과거 유럽에서는 댕기물떼새 알이 고급 식재료로 이용되었으며, 이블린 워의 소설 《브라이즈헤드 리비지티드》에도 언급되었다.[13] 그러나 현재는 유럽 연합에서 댕기물떼새 알 채취가 금지되어 있다. 네덜란드 프리슬란트주에서는 문화적 이유로 첫 댕기물떼새 알을 찾는 대회가 열리고 제한적인 채취가 허용되기도 했으나, 2005년 법원 판결에 따라 현재는 금지되었다. 2008년에는 위트레흐트주 에므네스에서, 2009년에는 크라벤데이크에서 첫 댕기물떼새 알이 발견되었다. 댕기물떼새 알이 발견되는 시기는 비료 사용 증가와 기후 변화로 인해 점점 빨라지고 있다.

깃털 모자를 쓴 스페인 국왕 펠리페 2세


북방댕기물떼새는 1990년 아일랜드 야생 생물 보호 협회 위원회에 의해 아일랜드 공화국의 국조로 지정되었다.[15][16][17] 아일랜드어로는 "작은 필립"을 의미하는 ''pilibín''이라고 불리는데, 이는 깃털 모자를 즐겨 썼던 스페인 국왕 펠리페 2세를 가리키는 것으로 여겨진다.[18]

오비디우스의 《변신 이야기》에 언급된 'lapwing'(댕기물떼새)은 북방댕기물떼새로 추정된다.

벨기에네덜란드에서는 예로부터 댕기물떼새 알을 식용으로 사용했지만, 최근에는 종 보호를 위해 채취가 금지되었다.

7. 보전 상태

댕기물떼새는 국제 자연 보전 연맹(IUCN) 레드 리스트에서 관심 필요(LC) 종으로 지정되었다.[19] 개체수는 감소 추세에 있다.

잉글랜드웨일스에서 1987년부터 1998년 사이에 개체수 감소가 확인되었으며, 2009년부터는 영국의 적색 목록 보존 상태에 놓였다.[10] 이 종의 개체 수 감소는 집약적인 농업 기술의 영향이 크다. 저지대에서는 거친 초원의 손실, 경작지 또는 개량된 초원으로의 전환, 혼합 농장의 손실, 봄 파종 작물에서 가을 파종 작물로의 전환 등이 영향을 미쳤다. 고지대에서는 방목 밀도의 증가가 개체수 감소의 원인으로 추정된다. 내추럴 잉글랜드는 환경 관리(Environmental Stewardship) 계획을 통해 댕기물떼새 서식지 복원을 위한 보조금을 지원하고 있다. 농업 집약화와 토지 이용 변화 외에도 둥지와 새끼에 대한 포식 행위도 댕기물떼새 감소에 영향을 준다.[11]

아르메니아에서도 개체수 감소와 번식 서식지 손실이 기록되었다. 토지 이용의 집약화와 사냥이 위협 요인으로 추정되지만, 추가적인 조사가 필요하다. 중동에서는 겨울철 이동 경로에서 대량으로 사냥되어 과도한 사냥의 위협을 받고 있다. 멸종 위기에 처한 유럽 비둘기와 유럽 황금도요를 포함한 다른 철새들과 함께 지속 불가능하고 불필요한 수의 댕기물떼새가 스포츠를 위해 살해된 사진들이 공개되기도 했다.[12]

한국에서는 환경부 지정 멸종위기 야생생물 Ⅱ급으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있다.

일본에서는 여러 도도부현에서 레드 리스트에 등재되어 있다.[27] 가나가와현 지가사키시 니시쿠보에서는 댕기물떼새의 월동지인 논 환경을 보전하기 위해 "쇼난 댕기물떼새 쌀"이라는 브랜드로 을 판매하고 있다.[28]

일본 도도부현 레드 리스트[27]
등급도도부현
위기종 II류도쿄도, 가나가와현[29], 미에현[30]
보호 대상 생물(C)지바현 (환경성의 위기종 II류 상당)[31]
준위기사이타마현, 시즈오카현, 오사카부, 돗토리현, 고치현, 후쿠오카현
희소 야생 생물 (C등급)아오모리현 (환경성의 준위기 상당)
희소종시가현, 나라현 (환경성의 준위기 상당)
기타 (희소)후쿠시마현
기타 (정보 부족)군마현[37]


참조

[1] 간행물 "''Vanellus vanellus''" 2018-01-15
[2] GBIF 2022-05-11
[3] 웹사이트 "''Vanellus vanellus'' (Linnaeus, 1758) – Northern Lapwing" https://www.nhm.ac.u[...] The Natural History Museum 2020-04-01
[4] 서적 Systema Naturae per regna tria naturae, secundum classes, ordines, genera, species, cum characteribus, differentiis, synonymis, locis https://www.biodiver[...] Laurentii Salvii
[5] 서적 Ornithologie, ou, Méthode Contenant la Division des Oiseaux en Ordres, Sections, Genres, Especes & leurs Variétés Jean-Baptiste Bauche
[6] 웹사이트 Sandpipers, snipes, coursers https://www.worldbir[...] International Ornithologists' Union 2021-11-22
[7] 서적 The Helm Dictionary of Scientific Bird Names https://archive.org/[...] Christopher Helm
[8] OED Lapwing
[9] dictionary Peewit http://www.dictionar[...] 2018-02-02
[10] 웹사이트 "Lapwing ''Vanellus vanellus''" https://www.bto.org/[...] British Trust for Ornithology 2020-04-01
[11] 논문 Tracking day and night provides insights into the relative importance of different wader chick predators
[12] 웹사이트 WorldWaders https://worldwaders.[...] 2013-05-03
[13] Q Q108533626
[14] 서적 Wildlife Photographer of the Year Firefly Books 2014
[15] 뉴스 Lapwing's tricolour feathers fit the bill http://www.independe[...] 2020-04-01
[16] 웹사이트 National Bird of Ireland – Northern Lapwing – Light Future Art https://lightfuturea[...]
[17] 서적 1000 Facts About Ireland https://books.google[...] Lulu.com 2018-08-26
[18] 뉴스 Opinion: Connecting with nature a sure-fire way to bolster your wellbeing https://www.independ[...] 2020-04-01
[19] 웹사이트 "IUCN 2011. IUCN Red List of Threatened Species. Version 2011.2. (''Vanellus vanellus'' (Linnaeus, 1758)" http://www.iucnredli[...] "[[IUCN]]" 2012-03-18
[20] 웹사이트 "''Vanellus vanellus'' Linnaeus, 1758" http://www.itis.gov/[...] "[[ITIS]]" 2012-03-18
[21] 웹사이트 IOC World Bird List 3.2 (Shorebirds & allies) http://www.worldbird[...] "[[国際鳥類学会議|国際鳥類学会議(IOC)]]" 2013-01-14
[22] 웹사이트 "Northern Lapwing (''Vanellus vanellus'') (Linnaeus, 1758)" http://avibase.bsc-e[...] "[[バードライフ・インターナショナル]]" 2013-01-14
[23] 웹사이트 カラーフラッグ付きのタゲリ 一般の方の撮影でモンゴルとの渡り判明 http://www.yamashina[...] "[[山階鳥類研究所]]" 2013-01-14
[24] 문서 ひと目でわかる野鳥 (2010)、91頁
[25] 문서 山溪ハンディ図鑑7 日本の野鳥 (2006)、216-217頁
[26] 문서 水辺の鳥 (2002)、110-111頁
[27] 웹사이트 日本のレッドデータ検索システム「タゲリ」 http://jpnrdb.com/se[...] (エンビジョン環境保全事務局) 2013-01-14
[28] 웹사이트 生きものマーク米一覧 http://www.maff.go.j[...] "[[農林水産省]]" 2013-01-14
[29] 문서 2010年に茅ヶ崎市、[[高座郡]][[寒川町]]、[[藤沢市]]でタゲリの一斉調査を行われた。
[30] 웹사이트 三重県レッドデータブック2005・タゲリ http://www.eco.pref.[...] 三重県 2013-01-14
[31] 웹사이트 千葉県レッドデータブック動物編(2011年改訂版) http://www.bdcchiba.[...] 千葉県 2013-01-14
[32] 웹사이트 埼玉県レッドデータブック2008動物編 http://www.pref.sait[...] 埼玉県 2013-01-14
[33] 웹사이트 大阪府レッドデータブック・タゲリ http://www.epcc.pref[...] 大阪府 2012-12-13
[34] 웹사이트 レッドデータブックとっとり (動物) http://www.pref.tott[...] 鳥取県 2013-01-14
[35] 웹사이트 福岡県の希少野生生物 RED DATA BOOK 2011 FUKUOKA・タゲリ http://www.fihes.pre[...] 福岡県 2013-01-14
[36] 웹사이트 青森県レッドデータブック(2010年改訂版) http://www.pref.aomo[...] 青森県 2013-01-14
[37] 웹사이트 動物レッドリスト(2012年改訂版) http://www.pref.gunm[...] 群馬県 2013-01-14
[38] 웹사이트 Vanellus Brisson, 1760 http://www.itis.gov/[...] ITIS 2013-01-14
[39] 웹사이트 Search for Vanellus http://avibase.bsc-e[...] バードライフ・インターナショナル 2013-01-14
[40] 웹사이트 動物の輸入届出制度について - 届出書 - 届出対象動物の種類名リスト(鳥類スズメ目以外のもの) https://www.mhlw.go.[...] 厚生労働省 2013-01-15
[41] 서적 ひと目でわかる野鳥 2010-01-01
[42] 웹사이트 IUCN 2012. IUCN Red List of Threatened Species. Version 2012.2. (Search Results for Vanellus) http://www.iucnredli[...] IUCN 2013-01-1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