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경 132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동경 132도는 북극에서 시작하여 남극으로 이어지는 경선으로, 러시아, 중화인민공화국, 일본, 인도네시아, 오스트레일리아를 통과한다. 이 경선은 동해에서 독도 동쪽을 지나며, 일본 시마네현과 야마구치현, 인도네시아 뉴기니섬, 오스트레일리아 노던 준주와 사우스오스트레일리아주를 지난다. 또한, 팔라우 풀로 안나 섬 동쪽, 오스트레일리아 남극 영토를 통과하며, 오스트레일리아는 이 해역을 남극해의 일부로 간주하고, 남극 영토에 대한 영유권을 주장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경선 - 파리 자오선
파리 자오선은 파리 천문대를 기준으로 하는 자오선으로, 프랑스에서 지도의 기준으로 사용되었고 지구 크기 측정과 미터법 정의에 기여했으나, 그리니치 자오선이 국제 표준으로 채택된 후 중요성이 감소했지만 일부 지도나 예술 작품에 활용된다. - 경선 - 경도 180도
경도 180도는 북극점에서 남극점까지 이어지는 지리 좌표의 한 종류이며, 러시아, 피지, 남극 대륙 등을 통과하고, 열대 저기압 명칭 구분 기준이 되며, 지리 데이터 처리에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다. - 국기 - 중구 (부산광역시)
부산광역시 중구는 부산의 중심지로, 과거 왜관이 위치했으며 부산부청과 부산시청이 있었고 현재는 교통의 요지이자 다양한 관광 명소를 보유하고 있다. - 국기 - 아시아
아시아는 세계에서 가장 크고 인구가 많은 대륙으로, 유라시아 동쪽 4/5를 차지하며, 4대 문명 중 3개의 발원지이고 다양한 종교와 문화가 발전했으며 경제 성장과 분쟁을 동시에 겪고 있다.
동경 132도 | |
---|---|
개요 | |
종류 | 경도선 |
위치 | 동경 132도 |
통과 지역 | 북극해, 러시아, 중국, 동해, 일본, 태평양, 인도네시아, 오스트레일리아, 인도양, 남극해, 남극 |
상세 정보 | |
북극해 | 북극해 통과 |
러시아 | 러시아 통과 |
중국 | 중국 통과 |
동해 | 동해 통과 |
일본 | 일본 통과 |
태평양 | 태평양 통과 |
인도네시아 | 인도네시아 통과 |
오스트레일리아 | 오스트레일리아 통과 |
인도양 | 인도양 통과 |
남극해 | 남극해 통과 |
남극 | 남극 통과 |
2. 통과 지역
동경 132도선은 북극점에서 시작하여 남극점까지 남하하면서 여러 국가와 해역을 통과한다. 주요 경로는 다음과 같다.
먼저 북극해와 랍테프해를 지나 러시아의 사하 공화국, 하바롭스크 지방, 아무르주, 유대 자치주 등 시베리아 동부 지역을 관통한다. 이후 중화인민공화국의 헤이룽장성 북동부를 잠시 거친 뒤, 다시 러시아의 프리모르스키 지방으로 들어서며 블라디보스토크 동쪽을 지난다.
계속 남하하여 동해로 진입하며, 대한민국이 실효 지배하고 있는 독도의 동쪽 해역을 통과한다. 이후 일본 열도로 들어서 혼슈의 시마네현과 야마구치현, 세토 내해, 분고 수도를 거쳐 규슈의 오이타현을 지난다.
태평양으로 나와 팔라우의 풀로 안나 섬 동쪽을 지나고, 인도네시아의 뉴기니섬 서부와 스람해, 반다해의 여러 섬(쿠르 섬, 포르다타 섬 등)을 통과한다. 아라푸라해를 건너 오스트레일리아 북부의 노던 준주 (코버그 반도 포함)와 사우스오스트레일리아주를 지난다.
남쪽으로 더 내려가면 인도양으로 이어지는데, 오스트레일리아는 이 해역을 남극해의 일부로 간주하기도 한다.[1][2] 마지막으로 남극해를 지나 남극 대륙의 오스트레일리아령 남극 지역에 도달한다.
2. 1. 북반구
하바롭스크 지방 (북위 58° 3′ 동경 132° 0′부터)사하 공화국 (북위 57° 46′ 동경 132° 0′부터)
하바롭스크 지방 (북위 57° 40′ 동경 132° 0′부터)
아무르주 (북위 55° 42′ 동경 132° 0′부터)
하바롭스크 지방 (북위 54° 56′ 동경 132° 0′부터)
아무르주 (북위 53° 9′ 동경 132° 0′부터)
하바롭스크 지방 (북위 51° 46′ 동경 132° 0′부터)
유대 자치주 (북위 49° 23′ 동경 132° 0′부터)
— 시마네현
— 야마구치현 (북위 34° 22′ 동경 132° 0′부터)
— 오이타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