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륜태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동륜태자는 신라 진흥왕과 사도부인 박씨의 맏아들이다. 566년에 태자로 책봉되었고 승려로 출가했으나 572년에 사망하여 왕위를 잇지 못했다. 진지왕의 즉위 후, 진지왕이 폐위되면서 동륜태자의 장남인 진평왕이 왕위를 이었다. 《화랑세기》에 따르면 미실과 관계를 맺었으며, 불교의 전륜성왕 개념에서 이름을 따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572년 사망 - 우문호
우문호는 남북조 시대 서위 및 북주의 권신으로, 우문태의 조카로서 효민제를 옹립하여 북주 건국에 기여했으나 효민제와 명제를 폐위 및 살해하고 무제에 의해 암살당했으며, 폭정으로 비판받지만 북주 국력 신장에 공헌했다는 평가도 받는다. - 572년 사망 - 곡률광
곡률광은 북제의 장군으로 북주 정벌에 참여하여 공을 세우고 요직을 거쳤으나, 권력 다툼에 휘말려 모반 혐의로 처형되었다. - 신라의 태자 - 문무왕
문무왕은 신라의 제30대 국왕으로 삼국 통일을 완수하고 당나라와의 전쟁에서 승리하여 통일 신라의 기틀을 다졌으며, 중앙 집권 체제 강화, 불교 장려 등의 정책을 통해 신라의 안정과 발전에 기여한 군주이다. - 신라의 태자 - 효소왕
효소왕은 신라의 제30대 왕으로, 신문왕의 아들이자 신목왕후의 아들이며, 당나라로부터 신라왕으로 책봉받고 국내 통치를 시작하여 서시전과 남시전을 설치하고 일본 사신을 접견했으며 이찬 경영의 모반을 진압하다가 16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 신라의 승려 - 궁예
궁예는 신라 왕족의 서자로 추정되며 후삼국시대에 후고구려를 건국하고 태봉으로 국호를 변경한 인물이며, 말년에 폭정을 일삼다 신하들에게 축출되어 사망했다. - 신라의 승려 - 밀본
동륜태자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원래 이름 | 銅輪太子 |
휘 | 김동륜(金銅輪) |
작위 | 왕자(王子) 황자(皇子) 태자(太子) 태손(太孫) |
직업 | 신라 왕족(新羅 王族) |
별칭 | 불교 법명은 전륜(轉輪) |
출생일 | 생년 미상(生年 未詳) |
출생지 | 신라 금성(新羅 金城) |
사망일 | 572년 |
사망지 | 신라 금성 비명횡사(新羅 金城 妃明橫絲) |
재위 | ? ~572년 |
배우자 | 만호부인(萬呼夫人) 윤궁부인(允宮夫人) 측실 1명 |
자녀 | 진평왕(眞平王) 김백반(金伯飯) 김국반(金國飯) 애송궁주(艾松宮主) 윤실궁주(允實宮主) |
친인척 | 마야부인 김씨(摩耶夫人 金氏) 선덕여왕(善德女王) 월명부인 박씨(月明夫人 朴氏) 천명공주(天明公主) 선덕여왕(德曼女王) 선화공주(善花公主) 천화공주(天花公主) 진덕여왕(眞德女王) |
부왕 | 진흥왕(眞興王) |
모후 | 사도왕후 박씨(思道王后 朴氏) |
전임자 | 진흥왕(眞興王) |
후임자 | 진지왕(眞智王) |
묘호 | 미상 |
시호 | 미상 |
능묘 | 미상 |
거주지 | 신라(新羅) |
국적 | 신라(新羅) |
가문 | 경주(慶州) |
종교 | 불교(佛敎) |
소속 | 미상 |
왕조 | 신라(新羅) |
목록 | 신라의 태자 |
2. 생애
김동륜(金銅輪)은 사도부인 박씨의 아들이자 진흥왕의 맏아들로 태어났다. 진흥왕 27년(566년)에 어린 나이로 태자에 책봉되었고 불교 승려로도 출가하였으나 572년에 사망하여 왕위를 잇지 못하였다.[7]
위서 논란이 있는 《화랑세기》 기록에 따르면, 동륜태자는 아버지 진흥왕의 후궁인 미실과 몰래 사랑하였는데, 보명궁주를 만나려 담을 넘다 개에게 물려 생을 마감하였으며, 미실과의 관계도 들통났다고 한다.[7] 동륜이라는 이름은 불교의 《전륜성왕》 개념에서 따온 것이며,[7] 동륜의 장남과 그 부인, 차남과 삼남의 경우에도 석가모니의 부모와 숙부의 이름을 그대로 본따고 있다.
[1]
서적
천년의 향기-선덕여왕(역사를 바꾼 인물 인물을 키운 역사_012)
https://books.google[...]
역사디딤돌
2009-06-30
위서 논란이 있는 《화랑세기》에 따르면, 김동륜은 아버지 진흥왕의 후궁인 미실(美室)과 몰래 사랑하였는데, 보명궁주를 만나려 담을 넘다 개에게 물려 생을 마감하였으며, 미실과의 관계도 들통났다고 한다.
김동륜이라는 이름은 불교의 《전륜성왕》(轉輪聖王) 개념에서 따온 것이다. 동륜의 장남인 진평왕과 그 부인, 차남과 삼남인 백반·국반의 경우에도 석가모니의 부모와 숙부의 이름을 그대로 본따고 있다.[7]
3. 가계
동륜태자 가계 부왕 진흥왕(534~576, 재위:540~576) 모후 사도왕후 박씨(? ~614) 태자 동륜태자(? ~572) 부인 만호부인(생몰년 미상) 윤궁부인(생몰년 미상) (문노의 아내) 장남 진평왕(?~632, 재위:579~632) 며느리 마야부인 김씨(생몰년 미상) 손녀 천명공주(생몰년 미상) 손녀 선덕여왕(? ~ 647년) 손녀 선화공주(생몰년 미상) 차남 백반 갈문왕(생몰년 미상) 삼남 국반 갈문왕(생몰년 미상) 며느리 월명부인 박씨(생몰년 미상) 손녀 진덕여왕(? ~654년, 재위:647~654) 장녀 애송궁주(혹은 애송공주, 생몰년 미상)[8] 차녀 윤실궁주(생몰년 미상)
4. 기타
참조
[2]
서적
한국사 스크랩
https://books.google[...]
서해문집
2015-07-20
[3]
서적
新羅中古政治史硏究
https://books.google[...]
景仁文化社
2007
[4]
서적
B급 한국사: 지식의 빈틈을 메워 주는 역사 잡학 사전
https://books.google[...]
행복한작업실
2020-04-10
[5]
뉴스
진안갈문왕
https://m.terms.nave[...]
[6]
문서
Hwarang segi
[7]
웹사이트
한국민족문화대백과
http://100.nate.com/[...]
[8]
문서
화랑세기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