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선화공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선화공주는 신라 진평왕의 딸로, 백제 무왕의 왕비가 되었다는 설화 속 인물이다. 삼국유사에 따르면, 미모의 선화공주를 사모한 백제의 서동이 서동요를 퍼뜨려 공주와 결혼한 후 무왕이 되었으며, 선화공주는 미륵사 창건을 무왕에게 요청했다. 그러나 2009년 미륵사지 석탑에서 발견된 금제 사리 봉안기 기록과 관련해, 선화공주의 실존 여부에 대한 논란이 있으며, 사택왕후가 미륵사 창건의 주체라는 주장도 제기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신라의 공주 - 천명공주
    천명공주는 진평왕과 마야부인 사이에서 태어나 김춘추의 어머니가 되었으며, 《화랑세기》에 따르면 진평왕의 장녀로서 선덕여왕에게 왕위를 양보한 후 문정태후로 추존되어 신라 사회에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보인다.
  • 7세기 여자 - 아이샤
    아이샤는 이슬람 예언자 무함마드의 아내 중 한 명으로 수니파 무슬림들에게 존경받는 여성상의 전형이며 초기 이슬람 정치와 사회에 관여했고 하디스 전승에 기여했지만, 결혼 시기와 제1차 피트나 당시 알리와의 대립은 역사적 논쟁거리이다.
  • 7세기 여자 - 파티마 자흐라
    파티마 자흐라는 이슬람 예언자 무함마드의 딸로서 수니파와 시아파 모두에게 존경받으며, 특히 시아파에서는 알리 이븐 아비 탈리브의 부인이자 하산 이븐 알리와 후세인 이븐 알리의 어머니로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며, 이상적인 여성의 표상으로 여겨진다.
  • 백제의 왕비 - 사택왕후
    사택왕후는 백제 무왕의 왕비로, 미륵사지 석탑 금제사리봉안기에 사택적덕의 딸로 기록되어 있으며 미륵사 창건을 주도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그녀의 이름과 선화공주와의 관계에 대해서는 논란이 있다.
  • 백제의 왕비 - 대부인 (백제)
    대부인은 백제 무령왕의 부인으로, 무령왕릉에서 발견된 유물과 은팔찌의 명문을 통해 존재가 확인되었으며, 사후 태비 또는 왕태비로 추존되어 529년 무령왕릉에 합장되었다.
선화공주 - [인물]에 관한 문서
인물 정보
이름김선화 (金善花)
전체 이름김선화 (金善花)
로마자 표기Gim Seon-hwa
한글김선화
한자金善花
직함백제의 왕후
가문
출생 가문경주 김씨
아버지진평왕
어머니마야부인
배우자무왕 (추정) 또는 동성왕(추정)
자녀의자왕(추정)
생애
출생미상
사망미상
기타 정보
관련 인물의자왕?

2. 생애

신라 진평왕마야부인의 딸이자 선덕대왕천명공주의 동생이며, 화랑세기에 등장하는 천화공주의 언니이다.

백제의 서동이 선화공주를 사모하여 지었다는 〈서동요〉 설화가 《삼국유사》에 전해진다. 서동요는 무왕과 함께 사자사에 행차했을 때, 큰 연못에서 미륵 삼존이 나타나자 미륵사 건립을 발원했다는 내용이다.

미륵사지 석탑 해체 조사시 발견된 금제 사리 봉안기에 따르면, 무왕의 왕비는 사택적덕의 딸이며 석탑을 발원했다고 기록되어 있어, 선화공주의 실존 여부에 대한 논쟁이 있다. 일설에는 무왕이 아닌 동성왕의 왕비라고도 하며, 선화공주의 신분에 대해서도 신라의 공주가 아니라 백제의 옹주, 귀족, 지방 호족의 딸 등 다양한 가설이 있다.

의자왕은 무왕이 사망하자 동생을 포함한 대대적인 숙청을 단행했는데, 이는 의자왕과 선화공주 간의 갈등과 늦은 나이에 태자로 책봉된 이유를 암시한다는 주장도 있다.[2]

2. 1. 서동 설화

고려 시대 승려 일연이 편찬한 《삼국유사》의 설화에 따르면, 선화공주는 미모가 매우 뛰어나 백제의 서동이 사모하여, 두 사람이 남 몰래 밤에 만나곤 한다는 〈서동요〉를 지어 금성(지금의 경주)에 퍼뜨렸다고 한다. 공주는 억울한 누명을 쓰고 유배되어 가던 중 서동을 만나 결혼하고 백제에 가서 왕비가 되었으며, 이후에는 미륵사의 창건을 무왕에게 부탁하였다고 한다.[2]

백제의 왕자 서동은 신라의 수도인 경주로 가서 그곳의 아이들에게 그가 직접 지은 동요를 가르치고, 이를 잘 부르면 마를 주었다. 이 동요는 ''서동요'' (薯童謠|서동요한국어)라고 불리는데, 선화공주가 밤마다 서동과 은밀하게 만나는 사랑 이야기를 담고 있다. 곧 온 도시의 아이들이 이 노래를 부르고 다니는 소식을 들은 진평왕은 크게 분노하여 선화공주를 경주에서 내쫓았다.

유배지로 가는 길에 선화공주는 서동을 만나 사랑에 빠져 결국 백제로 건너가 그와 함께 살게 되었다. 이후 서동은 무왕이 되었고, 선화공주는 그의 왕비가 되었다. 선화공주는 무왕에게 미륵사를 전라북도 익산에 지어달라고 요청했다.

3. 논란

2009년 미륵사지 석탑에서 금제사리봉안기가 발견되었는데, 여기에는 미륵사 창건의 주체가 '좌평 사택적덕의 딸' 사택왕후로 기록되어 있어 선화공주의 실존 여부에 대한 논쟁이 일어났다. 학자들은 선화공주 실존 여부에 대해 대립했다. 일부 학자들은 설화가 어느 정도 역사적 사실을 바탕으로 만들어진다는 점을 들어 미륵사를 처음 짓기 시작한 것은 선화공주이지만, 선화공주가 죽은 뒤 사택왕후가 절을 완성했다는 가설을 제시했다. 또한 김부식삼국사기에 무왕이 신라와 혼인 관계를 맺었다는 기록이 있어, 신라 선화공주가 백제를 다스렸을 가능성이 높다고 주장한다.

삼국유사의 서동 설화에 따르면, 선화공주는 백제 서동과 맺어져 서동이 무왕으로 즉위하면서 왕비가 되었다고 한다.

3. 1. 의자왕과의 관계

서동은 신라의 수도인 경주로 가서 그곳의 아이들에게 그가 직접 지은 동요를 가르치고, 이를 잘 부르면 마를 주었다. 이 동요는 '서동요'(서동요|薯童謠한국어)라고 불리는데, 선화공주가 밤마다 서동과 은밀하게 만나는 사랑 이야기를 담고 있다. 곧 온 도시의 아이들이 이 노래를 부르고 다니는 소식을 들은 진평왕은 크게 분노하여 선화공주를 경주에서 내쫓았다.

유배지로 가는 길에 선화공주는 서동을 만나 사랑에 빠져 결국 백제로 건너가 그와 함께 살게 되었다. 이후 서동은 백제 무왕이 되었고, 선화공주는 그의 왕비가 되었다. 선화공주는 무왕에게 미륵사를 전라북도 익산에 지어달라고 요청했다. 그리고 그녀와 무왕은 의자왕을 낳았는데, 그는 백제 왕조의 마지막 왕이 되었다.

4. 가계

진평왕마야부인의 딸이자 선덕대왕천명공주의 동생이며, 화랑세기에 등장하는 천화공주의 언니이다.

관계이름
조부동륜태자 (? ~572)
조모만호부인
부왕진평왕 (567~632, 재위:579~632)
모후마야부인
언니선덕여왕 (? ~647, 재위:632~647)
언니천명공주
조카태종무열왕 (603~661, 재위:654~661)
조카 며느리문명왕후
남편무왕 (? ~641, 재위:600~641)
아들의자왕 (599~660, 재위:641~660)


5. 선화공주가 등장하는 작품

1948년 창극 《선화공주》가 공연되었다. 1992년 KBS 1TV 드라마 《삼국기》에서 배우 장희진이, 2005년~2006년 SBS 드라마 《서동요》에서 배우 이보영, 설리가, 2011년 MBC 드라마 《계백》에서 배우 신은정이 선화공주 역을 맡았다.

5. 1. 창극

1948년선화공주 창극이 공연되었다.

5. 2. 드라마

참조

[1] 논문 미륵사의 창건 주체에 관하여 - 주요 쟁점 검토를 중심으로 - https://www.dbpia.co[...] 2022-06-00
[2] 서적 이덕일의 여인열전 김영사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