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진평왕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진평왕은 김백정으로, 진흥왕의 손자이자 동륜태자의 아들로 태어났다. 신라의 제26대 왕으로 즉위하여, 중앙 관제 정비, 국방 강화, 불교 장려 등 다양한 정책을 추진했다. 그는 수나라와 외교 관계를 맺고 고구려, 백제와 대립하며 국가의 안정을 도모했다. 말년에는 반란과 정치적 혼란을 겪었지만, 그의 치세는 신라가 삼국 통일의 기반을 다지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진평왕은 세 딸을 두었으며, 그중 선덕여왕이 왕위를 계승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진평왕 - 건복 (신라)
    건복은 신라에서 584년부터 633년까지 사용된 연호이며, 각 연도별 서력 기원과 간지를 표로 정리하여 보여준다.
  • 진평왕 - 진평왕릉
    진평왕릉은 경주 평야에 위치한 원형 봉토무덤으로, 신라 제26대 왕인 진평왕의 능으로 추정되지만 신문왕릉으로 보는 견해도 있다.
  • 632년 사망 - 무함마드
    무함마드는 570년경 메카에서 태어나 이슬람교를 창시하고 최종 예언자로 여겨지며, 610년경 알라의 계시를 받아 이슬람을 전파하고 메디나로 이주하여 공동체를 건설, 아라비아 반도 통일에 기여했으나 그의 삶에 대한 다양한 해석과 논쟁이 존재한다.
  • 632년 사망 - 호르미즈드 6세
    호르미즈드 6세에 대한 문서가 없으므로, 이 페이지는 1911 브리태니커 템플릿 사용법에 대한 설명을 제공한다.
진평왕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진평왕릉
진평왕릉 (경주)
김백정(金伯淨)
시호진평(眞平)
재위 기간579년 7월 ~ 632년 1월
출생567년?
사망632년 1월 (65세?)
능묘진평왕릉
신라 역대 국왕제26대 신라 국왕
이름
한국어진평왕(眞平王)
로마자 표기Jinpyeong wang
한글진평왕
한자眞平王
출생 시 이름(한글)백정
출생 시 이름(한자)白淨
출생 시 이름(로마자 표기)Baek Jeong
가계
부친동륜태자
모친만호부인
형제자매김백반, 김국반
왕후마야부인, 승만부인
자녀선덕여왕, 천명공주, 선화공주
종교
종교불교
연호
연호홍제(鴻濟) : 579년 ~ 584년, 건복(建福) : 584년 ~ 632년
왕위 계승
이전 임금진지왕
다음 임금선덕여왕

2. 생애

진평왕(金白淨, 567년? ~ 632년)은 신라 진흥왕의 손자이자 동륜태자갈문왕 김립종(金立宗)의 딸인 마노부인(摩奴夫人) 사이에서 태어났다. 《삼국사기》에 따르면, 진평왕은 키가 크고 얼굴이 뚜렷했으며, 젊은 시절에는 뛰어난 결단력과 날카로운 지성을 지녔다고 한다. 아버지 동륜태자는 왕위에 오르기 전에 사망했고, 진흥왕 사후 그의 둘째 아들인 진지왕이 왕위에 올랐으나 3년 후 폐위되고 1년 후 사망하자 진평왕이 신라 제26대 군주로 즉위했다.

진평왕은 마야 부인(갈문왕 복승(福勝)의 딸)과 결혼하여 천명공주, 덕만공주, 선화공주 세 딸을 두었다. 《삼국유사》에는 마야 부인 이후 승남부인(承南夫人)을 두 번째 왕비로 맞이했다고 기록되어 있다. 《화랑세기》에 따르면, 승남부인이 아들을 낳아 덕만공주의 후계자 지위에 위협이 되었으나, 그 아들은 곧 사망했다. 승남부인은 덕만공주와 김용춘을 자신의 아이의 죽음에 대해 비난했고, 심한 질투심으로 인해 궁궐을 떠나게 되었다고 한다.

진평왕은 13세의 어린 나이로 즉위하여 사도태후가 섭정을 맡았다. 사도 태후는 ''노리부''를 상대등으로, ''후직''을 군부의 수장으로 임명했다. 진평왕은 국내외 정세 안정을 위해 이들에게 크게 의존했다. 또한, 그는 그의 형제 백반과 국반에게 ''갈문왕'' 지위를 부여하여 왕권을 강화했다.

진평왕은 왕국 강화와 정치 체제 개선에 힘썼다. 자신과 가족을 부처와 관련된 인물로 지칭하여 왕족을 특별한 가문으로 만들었다. 또한, 문화관광부와 교육부 등 다양한 목적의 부서를 신설했다. 이 시기 불교가 융성하여, 진평왕은 사신과 승려를 중국에 파견하여 외교 관계를 돕고 연구하도록 했다. 신라의 불교는 강력한 국가 수호 종교로 발전했다.

594년 수나라와 외교 관계를 수립하기 위해 외교관을 파견했다. 602년 백제가 아막산성을 침략하자 군사를 보내 격퇴하고 천산, 소타, 외석에 요새를 건설했다. 603년 고구려 영양왕이 한산 북쪽을 공격하자, 1만 명의 군대를 이끌고 직접 출정하여 격퇴했다. 608년 원광에게 수나라에 보내는 편지를 쓰게 하여 고구려 공격에 대한 도움을 요청했으나, 영양왕은 신라를 공격하여 우명성을 점령하고 8천 명의 신라 백성을 포로로 잡았다.[17]

611년 진평왕은 다시 수나라에 고구려 공격을 요청했다. 같은 해 7월 가잠성이 백제에 침략당했고, 다음 해 수 양제는 100만 명 이상의 군대로 고구려를 공격했으나 패배했다. 수나라 양제는 이후 3년간 고구려를 계속 공격했지만 실패했다. 616년 백제가 모산성을 공격했지만 즉시 퇴각했다. 618년 수나라가 멸망하고 당나라가 건국되자, 진평왕은 변품에게 백제로부터 가잠성을 탈환하라고 명령했지만 실패했다. 이후 진평왕은 당나라와 외교 관계를 수립하고자 했다.[17]

623년 백제가 신라의 늑노를 공격했고, 624년에는 6개 요새를 포위했다. 최눌 장군은 용감하게 맞섰지만 3개 요새만 탈환할 수 있었다. 625년 진평왕은 당나라에 사신을 보내 고구려가 신라가 당나라에 조공을 바치는 길을 막고 있다고 알렸다. 당 태종은 고구려에 신라 공격 중단을 요청했고, 고구려 왕은 이에 따랐다. 626년 백제가 신라 주재성을 정복하고 동소의 관리를 살해했다. 신라는 고혜성 요새를 건설했다. 627년 백제 사걸 장군이 신라 서쪽 2개 요새를 점령하고 거주지를 점령했다.[17]

628년 신라는 가잠성을 탈환했고, 629년 김용수와 김서현은 고구려 낭비성을 정복했다. 백제와 고구려와의 끊임없는 전쟁으로 신라는 가난해졌고 기근이 발생하여 많은 가정이 자녀와 토지를 팔았다.[17]

631년 칠숙석품의 반란이 발각되어 칠숙은 가족과 함께 처형되었고, 석품은 탈출 후 돌아와 체포되어 처형되었다. 같은 해 진평왕은 신라 미녀 두 명을 당나라 황제에게 보냈지만, 다시 신라로 돌려보내졌다.[17]

632년 진평왕은 53년간 통치 후 66세 나이로 사망했고, 딸 김덕만(선덕여왕)이 왕위를 계승하여 한국 최초의 여성 통치자가 되었다.[17] 계속된 전쟁으로 신라는 큰 피해를 입었고, 가뭄, 기근, 불안이 전국에 퍼졌다. 귀족들은 정치적 견해가 달랐고, 덕만 공주를 후계자로 지명하자 여왕 즉위에 반대하는 귀족들로 인해 분열이 깊어졌다.[17][18]

631년 5월, 칠숙석품이 반란을 모의했으나 알천과 비담에 의해 진압되었다. 칠숙은 처형되었고, 석품은 탈출 후 돌아와 체포되어 살해되었다.[18][19][20] 반란 진압 후 권력은 왕의 지지자들에게 집중되었고, 이러한 분위기 속에서 덕만 공주가 여왕이 될 수 있었다.[21] 진평왕은 재위 54년인 632년 1월에 사망하여 경주 보문동에 묻혔으며, 그의 무덤은 1969년 사적으로 지정되었다.[22]

2. 1. 젊은 시절

진평왕은 태어나면서부터 얼굴이 기이하고 몸이 장대하였으며, 의지가 깊고 식견이 명철하였다.[42] 삼국유사에 의하면 신장이 11척(253cm)에 달했다.[43] 화랑세기에는 567년에 태어났다고 기록되어 있다.[41]

법흥왕이 불교를 받아들이면서, 신라 왕족의 이름에 불교적인 요소, 의미를 포함하여 짓게 되었는데, 진평왕 김백정의 이름은 석가모니의 아버지 백정, 마야 부인의 이름은 석가모니의 어머니 마야 부인, 또는 마하마야에서 비롯되었다. 또한 진평왕의 동생들 역시 석가모니의 숙부인 백반과 국반의 이름을 그대로 본따 지었다.

579년 진지왕이 폐위되자[44] 화백 회의를 비롯한 조정의 추대로 왕위에 올랐다.

2. 2. 치세

591년 7월, 남산성(南山城)을 쌓고,[45] 593년 7월에는 명활성(明活城)과 서형산성(西兄山城)을 고쳐 쌓는 등 국방을 충실히 하였다.[46] 602년 8월, 백제군이 아막성(阿莫城)을 공격하자 군사를 보내 격파하였으나 귀산(貴山) 등 장수들이 전사하였다.[47]

603년(건복 20년) 8월에는 고구려군이 북한산성에 침입하자 왕이 친히 군사를 끌고 상대하여 고구려군을 크게 격파하였다.[48] 605년(건복 22년) 8월에는 백제를 공격하여 크게 격퇴 시켰다.[49]

608년(건복 25년), 고구려의 침략을 막기위해 원광수나라에 구원을 요청하는 걸사표(乞師表)를 짓게 하였으나 고구려의 공격은 멈추지 않아, 2월에는 북쪽 변방의 백성 8백 명을 사로잡고, 4월에는 우명산성(牛鳴山城)을 빼앗아 갔다.[50]

611년(건복 28년), 왕이 수나라에 사신을 보내 도움을 요청하였고, 이에 수 양제612년 113만 3800명의 대 병력을 이끌고 고구려를 공격했으나 살수에서 을지문덕에게 대패하였다.[51] 같은 해에 백제와의 전쟁이 격화되었다. 10월에 백제가 가잠성(椵岑城)에 쳐들어와 100여일 간의 공방전 끝에 성을 함락 시키자 현령 찬덕(讚德)은 자결하였다.[52]

616년(건복 33년) 10월, 백제가 모산성(母山城)을 공격해 왔으나 이를 격퇴시켰다.[53]

618년(건복 35년), 빼앗긴 가잠성을 되찾기 위해 북한산주의 군주인 변품(邊品)을 보내 이를 탈환하였으나 전 가잠성 현령 찬덕의 아들 해론(奚論)이 전사하였다.[54]

623년(건복 40년), 백제가 늑노현(勒弩縣)을 습격하였으나 격퇴 시키다.[55] 624년 10월에 백제가 다시 쳐들어와 속함성(速含城), 기잠성(歧暫城), 혈책성(穴柵城)이 함락당하고, 급찬 눌최(訥催)가 전사하였다.[56]

626년(건복 43년) 8월, 백제군이 주재성(主在城)을 공격하여 함락 시키고, 성주 동소(東所)가 전사하였다. 이후 왕은 고허성(高墟城)을 쌓았다.[57]

627년(건복 44년) 7월, 백제사걸(沙乞)이 쳐들어와 두 성을 함락 시키고 백성 300여 명을 잡아갔다.[58] 전쟁의 피해가 극심해진 가운데 3월에 강풍이 불고 흙비가 5일간 내렸으며, 8월에 서리가 내려 곡식을 망쳐 백성들의 생활이 궁핍해졌다.

628년(건복 45년) 2월에는 가잠성을 포위공격하는 백제군을 물리쳤으나, 여름에 크게 가물어 백성들이 자녀들을 내다 파는 일이 벌어졌다.[59]

629년(건복 46년) 8월, 대장군 김용춘, 김서현, 부장군 김유신을 파견해 고구려낭비성(娘臂城)을 공략하였다. 고구려 군의 기세가 대단했으나 김유신이 선두에 서서 용맹을 떨치니 신라 군은 크게 이겨 5천여 명을 베고, 성을 함락 시켰다.[60]

진흥왕 이래의 영역 확장에 발맞춰 국내 통치 정밀도를 높이기 위해 중앙 관제를 정비하는 데 힘썼다. 후대에까지 이어지는 주요 관부로 위화부(位和府, 후의 이부(吏部), 인사), 선부서(船府署, 항해), 조부(調府, 공부), 승부(乗府, 왕의 행차), 예부(礼部, 의례 교육), 영객부(領客府, 외교) 등이 진평왕 시대에 처음 설치되었다. 또한, 궁정 내 서무를 관장하는 삼궁(三宮, 대궁(大宮), 양궁(梁宮), 사량궁(沙梁宮))을 설치하고 각각에 사신(私臣)을 배치했으며, 후에는 혼자서 삼궁을 총괄하도록 고쳤다. 삼궁을 총괄하는 사신을 내성사신(内省私臣)이라 칭한 것이 후의 내성(궁정 서무)의 시작으로 여겨진다.

관제를 정비하는 가운데 지명(智明)·원광·담육(曇育) 등의 승려를 이나 수에 파견하여 불법을 닦게 하는 동시에, 빈번하게 조공을 행하여 수에 접근했다. 이로 인해 수로부터 594년에 '상개부(上開府)·낙랑군공(楽浪郡公)·신라왕(新羅王)'으로 책봉되었다.

한반도 내에서는 방어전이 이어졌지만, 602년 8월 백제와의 아막성(전라북도남원시) 전투에서 백제를 대패시켰고, 603년 8월 고구려가 북한산성(서울특별시)을 침입했을 때 친정하여 고구려를 격퇴했다. 608년 2월·8월에는 고구려의 침입으로 우명산성(강원도안변군 서곡면)을 함락당하기도 했다. 이 전후로 수에서 귀국한 승려 원광에게 명하여 수에 고구려 토벌을 요구하는 상표문을 쓰게 하여, 611년에 제출했다는 이야기가 전해진다. 『수서』에는 이 상표에 대한 기록은 없지만, 상표문 제출 직후인 612년에는 수나라의 고구려 원정이 벌어지게 되었다.

수나라의 고구려 원정이 멈춘 후에는 백제와 가잠성(충청북도괴산군)·모산성(충청북도진천군) 부근에서 격렬하게 싸워 여러 성을 잃고, 성주를 전사시키는 등 패전이 이어졌다. 당나라에 외교를 통해 이러한 열세를 만회하려는 노력을 계속하여, 624년에는 당으로부터 '주국(柱国)·낙랑군공(楽浪郡公)·신라왕(新羅王)'으로 책봉되었고, 625년에는 고구려의 잘못을 호소했다. 그러나 당나라에서는 고구려와의 화해를 권할 뿐, 적극적인 지원을 얻지는 못했다. 626년에는 고구려와 백제가 화해하여 함께 신라에 대항하는 상황이 되어, 삼국 간 신라의 열세는 더욱 심각해졌다. 629년에는 고구려와 낭비성(娘臂城, 충청북도청주시)에서 싸워, 첫 출전인 부장 김유신(『삼국사기』 김유신 열전에 따르면, 김유신은 중국황제의 아들 소호의 후손이다[37])의 활약으로 성을 함락시키는 승리를 거두었고, 이후 637년까지 삼국 간에 큰 싸움 없이 지냈다.

2. 3. 제도 개혁

진평왕은 즉위 초부터 신라의 행정 및 군사 제도를 개혁하고 정비하는 데 힘썼다.

연도내용
580년(홍제 9년)지증왕의 증손 김후직을 병부령(兵部令)에 임명하여 군사권을 장악하게 했다.
581년(홍제 10년)관리들의 인사를 담당하는 위화부(位和府)를 설치했다.[5]
583년(홍제 12년)선박을 관리하는 선부서(船府署)를 설치했다.[5]
584년(건복 원년)연호를 건복(建福)으로 변경하고, 공물과 부역을 담당하는 조부(調府)와 수레, 가마를 관장하는 승부(乘府)를 설치했다. 조부와 승부에는 각각 장관인 조부령 1인과 승부령 1인을 두었다.[5]
585년(건복 2년)대궁(大宮), 양궁(梁宮), 사량궁(沙梁宮)의 3궁에 각각 궁내 업무를 책임지는 사신(私臣)을 두었다.[5]
586년(건복 3년)의례 등을 담당하는 예부(禮部)를 설치하고 예부령 2인을 두었다.[5]
591년(건복 8년)왜전(倭典)을 영객부(領客府)로 고치고 외국 사신을 접대하는 영객부령 2인을 두었다.[5]
604년(건복 21년)고구려의 공격에 대비하여 남천주(南川州)를 폐지하고 북한산주(北漢山州)를 설치했다.[6]
614년(건복 31년)백제의 침략에 대비해 사벌주(沙伐州)를 폐지하고 일선주(一善州)를 설치하였다.[7]
622년(건복 39년)진지왕의 아들 김용춘을 첫 번째 내성사신(內省私臣)으로 삼았다. 내성사신은 585년에 설치한 3궁의 사신을 하나로 통합한 것이다.[8]
623년(건복 40년)병부에 대감 2인을 두었다.[8]
624년(건복 41년)시위부(侍衛府)에 대감 6인, 상사서(賞賜署, 유공자 상훈 기관)와 대도서(大道署, 불교 관장 기관)에 각각 대정(大正, 장관) 1인씩 두었다.[8]



이러한 제도 개혁은 신라의 중앙 집권 체제를 강화하고, 대외적인 위협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이었다.

2. 4. 불교 및 중국과의 관계

진평왕은 불교를 적극적으로 장려하여, 그의 통치 기간 동안 많은 승려들이 중국으로 건너가 불교를 배우고 외교적 역할을 수행했다. 585년 중국 진나라에 불교를 배우러 간 승려 지명(智明)은 602년 사신과 함께 귀국했으며, 589년 중국으로 유학을 갔던 승려 원광(圓光) 역시 600년에 사신과 함께 귀국했다.[9] 승려 담육(曇育) 또한 596년 진평왕의 사신과 선물과 함께 수나라로 유학을 갔다.[10]

608년, 신라가 백제고구려의 공격을 받자 진평왕은 수나라에 도움을 요청했고, 그 요청은 승려 원광이 작성했다. 수나라는 이에 응하여 고구려 공격에 신라와 연합했고, 613년 수 양제는 신라에 사신을 보내 승려 원광이 황룡사에서 개최한 불교 의식에 참여하게 했다.[11]

594년에는 수나라와 외교 관계를 수립하기 위해 외교관을 파견했다. 618년 수나라가 멸망하고 당나라가 건국된 후, 진평왕은 당나라와 외교 관계를 수립하고자 했다. 621년 당나라에 사신과 함께 선물을 보냈고, 당 고조는 비단과 병풍과 함께 공식 서한을 답례로 보냈다.[12] 이러한 외교 관계는 그 후 몇 년 동안 지속되었고, 신라는 이 관계를 이용하여 고구려에 맞서기 위한 당나라의 지원을 요청했다. 625년 진평왕은 당나라에 사자를 보내 고구려가 신라가 당나라에 조공을 바치는 길을 막고 있다고 알렸다. 당나라 당태종은 고구려에 신라 공격을 중단할 것을 요청했고, 고구려 왕은 이에 따랐다. 626년 당 고조는 신라와 고구려 양국에 관리들을 보내 잠시나마 두 나라 간의 휴전을 성사시켰다.[8]

2. 5. 말년

594년 진평왕은 수나라와 외교 관계를 수립하기 위해 외교관을 파견했다. 2년 후에는 중국 불교를 연구하기 위해 승려 담육을 수나라에 보냈다.[17]

602년 아막산성이 백제 장수 해수에게 침략당하자, 진평왕은 군사를 보내 격퇴하고 천산, 소타, 외석에 요새를 건설했다. 그러나 백제 무왕은 4만 명의 군대로 반격했고, 신라는 군포름 장군과 무은을 보내 맞섰다. 무은은 매복에 빠져 죽을 뻔했지만 아들 귀산과 추항의 도움으로 살아남았고, 이들의 용기는 신라군의 사기를 높여 백제군을 퇴각시켰다.[17]

603년 고구려 영양왕이 한산 북쪽을 공격하자, 진평왕은 1만 명의 군대를 이끌고 직접 출정하여 격퇴했다.[17] 605년에는 신라가 백제를 공격했으나, 고구려의 공격을 받았다.[17]

608년 진평왕은 원광에게 수나라에 보내는 편지를 쓰게 하여 고구려 공격에 대한 도움을 요청했다. 영양왕은 이 소식을 듣고 신라를 공격하여 우명성을 점령하고 8천 명의 신라 백성을 포로로 잡았다.[17]

611년 진평왕은 다시 수나라에 고구려 공격을 요청했다. 같은 해 7월 가잠성이 백제에 침략당했고, 다음 해 수나라 양제는 100만 명 이상의 군대로 고구려를 공격했으나 패배했다. 수나라 양제는 이후 3년간 고구려를 계속 공격했지만 실패했다.[17]

616년 백제가 모산성을 공격했지만 즉시 퇴각했다.[17] 618년 수나라가 멸망하고 당나라가 건국되었다. 같은 해 진평왕은 변품에게 백제로부터 가잠성을 탈환하라고 명령했지만 실패했다. 이후 진평왕은 당나라와 외교 관계를 수립하고자 했다.[17]

623년 백제가 신라의 늑노를 공격했고, 624년에는 6개 요새를 포위했다. 최눌 장군은 용감하게 맞섰지만 3개 요새만 탈환할 수 있었다.[17]

625년 진평왕은 당나라에 사신을 보내 고구려가 조공 길을 막고 있다고 알렸다. 당 태종은 고구려에 신라 공격 중단을 요청했고, 고구려 왕은 이에 따랐다.[17]

626년 백제가 신라 주재성을 정복하고 동소의 관리를 살해했다. 신라는 고혜성 요새를 건설했다.[17] 627년 백제 사걸 장군이 신라 서쪽 2개 요새를 점령하고 거주지를 점령했다.[17]

628년 신라는 가잠성을 탈환했고, 629년 김용수와 김서현은 고구려 낭비성을 정복했다.[17]

백제와 고구려와의 끊임없는 전쟁으로 신라는 가난해졌고 기근이 발생했다. 많은 가정이 자녀와 토지를 팔았다.[17]

631년 5월, 칠숙석품은 반란을 계획했지만 발각되어 칠숙은 가족과 함께 처형되었고, 석품은 탈출 후 돌아와 체포되어 처형되었다. 같은 해 진평왕은 신라 미녀 두 명을 당나라 황제에게 보냈지만, 다시 신라로 돌려보내졌다.[17]

632년 진평왕은 53년간 통치 후 66세 나이로 사망했다. 딸 김덕만(선덕여왕)이 왕위를 계승하여 한국 최초의 여성 통치자가 되었다.[17]

신라와 백제, 고구려와의 계속된 전투는 신라와 백성들에게 큰 피해를 입혔다. 가뭄, 기근, 불안이 전국에 퍼졌다. 귀족들은 정치적 견해가 달랐고, 진평왕이 딸 덕만 공주를 후계자로 지명하자 여왕 즉위에 반대하는 귀족들로 인해 분열이 깊어졌다.[17][18]

정치적 갈등은 631년 5월, 이찬 칠숙과 아찬 석품이 덕만 공주를 다음 통치자로 옹립하는 것에 반대하여 반란을 모의하면서 절정에 달했다. 이 반란은 알천과 비담에 의해 진압되었다. 칠숙은 공개 처형되었고, 그의 친척들은 처형되었다. 석품은 탈출했지만, 나중에 돌아와 체포되어 살해되었다.[18][19][20] 반란 진압 후 권력은 왕의 지지자들(김유신 등)에게 집중되었고, 이러한 분위기 속에서 덕만 공주가 여왕이 될 수 있었다.[21]

진평왕은 재위 54년인 632년 1월에 사망했다. 경주 보문동에 묻혔으며, 그의 무덤은 1969년 사적으로 지정되었다.[22]

3. 일화

579년, 진평왕 즉위 원년에 선녀가 궁전 뜰에 내려와 왕에게 상제(上帝)의 하사품이라며 천사옥대(天賜玉帶)를 주었다. 이 옥대의 길이는 10위(圍)에 마디가 62개였다고 하며, 진평왕은 천지신령 혹은 종묘에 제사를 지낼 때 항상 이 옥대를 착용하였다고 한다. 이 옥대는 '성제대(聖帝帶)'라 불리며, 황룡사 9층목탑, 황룡사 장륙삼존불상과 함께 신라 3보로 여겨졌다. 신라 멸망 후 937년 5월, 경순왕이 고려 태조에게 이 옥대를 바쳤다고 한다.[23]

비형랑(鼻荊郞)은 《삼국유사》에, 폐위된 진지왕(眞智王)이 사량부의 미인 도화녀(桃花女)와 사통하여 낳은 자식으로 소개되어 있다. 진평왕은 비형랑을 불러 궁중에서 살게 하고 관직을 주었지만, 비형랑은 밤마다 궁궐을 빠져나가 귀신들을 데리고 황천(荒川) 위에서 놀았다. 비형랑은 귀신들을 거느리며 왕명에 따라 강에 다리를 놓기도 하고, 길달(吉達)이라는 귀신을 관직에 추천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길달이 자신의 일을 저버리고 여우로 변해 도망치자, 비형랑은 귀신을 시켜 길달을 잡아 죽였다. 이후로 귀신들은 비형랑을 두려워하여 모두 달아났다고 한다.

진평왕의 치세에 제5거열랑과 제6실처랑, 제7보동랑 등 세 화랑의 무리가 풍악산에 유람하러 가는데, 마침 혜성이 심대성(心大星)을 침범하는 변란이 일어나자 화랑들은 불길해하면서 풍악산으로 유람가는 것을 그만두려 했는데, 융천사(融天師)가 노래를 지어 부르니 혜성의 변괴가 사라지는 것은 물론, 일본의 병사들도 자신들의 나라로 물러갔다. 이에 진평왕은 기뻐하며 화랑들을 다시 풍악산으로 보내 놀게 하였다고 한다.

4. 연호

진평왕 재위 중의 연호는 홍제건복이다. 홍제572년(진흥왕 33년)부터 584년까지 사용되었다. 584년 2월 건복으로 개원하였다. 건복은 633년 선덕여왕인평으로 개원하기까지 49년동안 사용되었으며 고대의 연호를 통틀어 가장 오래 사용되었다.[1]


5. 가계

진평왕은 진흥왕의 장남인 동륜태자지소태후의 딸인 만호부인 사이에서 태어났다. 아버지 동륜은 태자 시절 사망하였고, 어머니 만호부인은 작은 할아버지 숙흘종과 재혼하여 만명부인을 낳았다. 만명부인은 김서현과 혼인하여 김유신을 낳았으므로, 진평왕은 김유신의 외숙부이다.[74] 동생 김국반의 딸인 승만선덕여왕 사후 진덕여왕으로 즉위하였다.[75]

진평왕은 왕비 마야부인 김씨와의 사이에서 아들 없이 덕만공주, 천명공주, 선화공주 등의 딸을 두었다. 천명공주진지왕의 아들 김용춘과 결혼하여 김춘추를 낳았다.

관계이름비고
아버지동륜태자진흥왕의 아들
어머니만호부인 김씨
동생김백반
동생김국반
조카승만진덕여왕으로 즉위
이부여동생만명부인[74]
이부조카김유신
왕비마야부인 김씨복승갈문왕(福勝葛文王)의 딸
덕만공주선덕여왕으로 즉위
천명공주문정태후(文貞太后)로 추존, 김춘추의 어머니
선화공주백제 무왕의 왕비
왕비승만부인 손씨[75]
연화공주
후궁미실궁주
보화공주
후궁보량궁주 설씨
아들보로전군


6. 진평왕이 등장하는 작품

참조

[1] 웹사이트 King Jinpyeong http://100.naver.com[...]
[2] 뉴스 Visual History of Korea] Cheomseongdae observatory: A witness to 1,400 years of celestial phenomena https://www.koreaher[...] 2024-03-10
[3] 뉴스 Silla, when giants ruled the peninsula https://www.koreatim[...] 2024-03-09
[4] 웹사이트 Princess Seonhwa http://100.naver.com[...]
[5] 웹사이트 King Jinpyeong http://100.nate.com/[...]
[6] 웹사이트 Namcheonju http://100.naver.com[...]
[7] 웹사이트 Ilseonju http://gumi.grandcul[...]
[8] 웹사이트 King Jinpyeong http://people.aks.ac[...]
[9] 웹사이트 Wongwang http://100.nate.com/[...]
[10] 웹사이트 Damyuk http://100.nate.com/[...]
[11] 서적 Stories of our ancestors who shook China Ilsong Book 2004
[12] 서적 Queen Seondeok
[13] 웹사이트 Gajamseong http://100.naver.com[...]
[14] 웹사이트 Baekgi http://100.nate.com/[...]
[15] 웹사이트 Nulchoe http://100.nate.com/[...]
[16] 웹사이트 King Mu http://100.naver.com[...]
[17] 서적 Queen Seondeok
[18] 서적 Chronicles of the Silla Dynasty Woongjin.com 2004
[19] 웹사이트 Chilsuk http://people.aks.ac[...]
[20] 웹사이트 Seokpum http://people.aks.ac[...]
[21] 서적 Queen Seondeok
[22] 웹사이트 Tomb of King Jinpyeong http://100.naver.com[...]
[23] 웹사이트 Angel jade belt http://100.nate.com/[...]
[24] 웹사이트 Coal http://100.nate.com/[...]
[25] 문서 Samguk yusa and Samguk sagi records on Princess Seonhwa's parentage
[26] 웹사이트 Princess Seonhwa http://people.aks.ac[...]
[27] 웹사이트 Lady Seungman https://archive.toda[...]
[28] 서적 Queen Seondeok
[29] 문서 Daughter of Bojong
[30] 웹사이트 Samgukgi http://movie.naver.c[...]
[31] 웹사이트 Cast of Samgukgi http://cafe.naver.co[...]
[32] 웹사이트 Seodongyo http://tv.sbs.co.kr/[...]
[33] 웹사이트 Yeongae Somun http://tv.sbs.co.kr/[...]
[34] 뉴스 Cha Du Ok to be King Jinpyeong http://news.naver.co[...] Newsis 2010-06-30
[35] 웹사이트 Queen Seondeok http://www.imbc.com/[...]
[36] 문서 삼국사기와 삼국유사의 진지왕 기록 비교
[37] 서적 삼국사기 권41 (삼국사기 저술자 정보)
[38] 서적 신唐서, 자치통감
[39] 서적 한국사 상식 바로잡기 책과함께 2007-11-24
[40] 서적 삼국사기 본기 권4 진평왕
[41] 웹사이트 https://www.bostonko[...]
[42] 서적 삼국사기 본기 권4 진평왕
[43] 문서 진평왕 신장 추정치
[44] 서적 삼국유사
[45] 서적 삼국사기 본기 권4 진평왕
[46] 서적 삼국사기 본기 권4 진평왕
[47] 서적 삼국사기 본기 권4 진평왕
[48] 서적 삼국사기 본기 권4 진평왕
[49] 서적 삼국사기 본기 권4 진평왕
[50] 서적 삼국사기 본기 권4 진평왕
[51] 서적 삼국사기 본기 권4 진평왕
[52] 서적 삼국사기 본기 권4 진평왕
[53] 서적 삼국사기 본기 권4 진평왕
[54] 서적 삼국사기 본기 권4 진평왕
[55] 서적 삼국사기 본기 권4 진평왕
[56] 서적 삼국사기 본기 권4 진평왕
[57] 서적 삼국사기 본기 권4 진평왕
[58] 서적 삼국사기 본기 권4 진평왕
[59] 서적 삼국사기 본기 권4 진평왕
[60] 서적 삼국사기 본기 권4 진평왕
[61] 서적 삼국사기 본기 권4 진평왕
[62] 서적 삼국사기 본기 권4 진평왕
[63] 서적 삼국사기 본기 권4 진평왕
[64] 서적 삼국사기 본기 권4 진평왕
[65] 서적 삼국사기 본기 권4 진평왕
[66] 서적 삼국사기 본기 권4 진평왕
[67] 서적 삼국사기 본기 권4 진평왕
[68] 서적 삼국사기 본기 권4 진평왕
[69] 서적 삼국사기 본기 권4 진평왕
[70] 서적 삼국사기 본기 권4 진평왕
[71] 서적 삼국사기
[72] 서적 삼국사기
[73] 서적 삼국사기
[74] 문서 진평왕의 어머니
[75] 서적 삼국유사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