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동조 압력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동조 압력은 개인이 집단의 기준이나 행동에 따르도록 유도하는 사회적 영향력을 의미한다. 심리학적으로는 뇌의 특정 영역 활성화와 관련되며, 특히 청소년기에 또래 집단의 영향으로 위험 감수 행동을 하거나 약물 사용에 노출될 가능성이 높아진다. 사회학적으로는 웬디 트레이너의 '정체성 변화 효과' 이론을 통해 설명되며, 사회적 배경과 문화에 따라 다양한 양상으로 나타난다.

동조 압력은 긍정적으로 활용될 수도 있지만,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기도 한다. 예를 들어, 소셜 미디어에서 '좋아요' 수에 따라 콘텐츠를 게시하는 압박감을 느끼거나, 역사적으로는 집단 학살과 같은 비극적인 사건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청소년의 약물 사용, 범죄 등에도 영향을 미치며, 다양한 형태로 나타날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동조 - 사회화
    사회화는 개인이 사회 구성원으로 필요한 지식, 기술, 태도, 가치관 등을 학습하고 내면화하는 과정으로, 기능론, 갈등론, 상징적 상호작용론 등 다양한 관점에서 분석되며, 콜버그, 에릭슨, 미드 등의 이론과 사회적 사전 프로그래밍 가설로 설명되고, 초기 사회화, 이차 사회화, 성별 사회화, 정치 사회화 등 다양한 유형과 계획된 사회화, 자연적 사회화, 긍정적 사회화, 부정적 사회화 등으로 구분되며, 한국 사회는 급격한 사회 변화와 함께 학교 문화, 젠더 사회화 등 새로운 과제를 맞이하고 있다.
  • 동조 - 풍자
    풍자는 개인이나 사회의 문제점을 비판하는 표현 방식으로, 유머와 달리 웃음을 동반하지 않을 수 있으며, 사회 비판적인 목적을 가지고, 정치, 종교, 사회 등 다양한 주제를 다루는 문학, 예술, 공연 등 다양한 형태로 나타난다.
  • 의사결정 - 비판적 사고
    비판적 사고는 정보를 객관적으로 분석하고 평가하여 합리적인 결론을 도출하는 사고 과정이며, 문제 해결, 의사 결정, 메타인지 등을 포함하고 오류를 피하며 이해하려는 노력을 강조한다.
  • 의사결정 - 트레이드오프
    트레이드오프는 어떤 것을 얻기 위해 다른 것을 포기해야 하는 상황으로, 제한된 자원의 효율적 사용을 위한 선택이며, 가치판단을 통해 선택에 따른 장단점을 고려하여 최적의 균형점을 찾는 것이 중요하다.
  • 의사소통 - 번역
    번역은 출발어 텍스트를 목표어로 변환하는 과정으로, 직역과 의역 등의 방식을 통해 완역 또는 축약역으로 나뉘며, 기계 번역과 인간 번역의 차이, 그리고 문화와 사상의 교류라는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 의사소통 - 인간-컴퓨터 상호 작용
    인간-컴퓨터 상호작용(HCI)은 인간과 컴퓨터 간의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상호작용을 설계, 구현, 평가하는 학제간 분야로, 사용자 중심 설계 원칙을 통해 사용성, 효율성, 접근성을 개선하는 데 중점을 두며, 인공지능, 감정 컴퓨팅, 뇌-컴퓨터 인터페이스, 그리고 보안 상호작용 등의 새로운 연구 영역이 발전하고 있다.
동조 압력
사회심리학적 압력
정의또래 집단 구성원으로부터 특정 방식으로 행동하도록 받는 직접적 또는 간접적 영향
유형
규범적 영향다른 사람에게 인정받고 받아들여지기 위해 동조하는 경향
정보적 영향상황이 불확실할 때 다른 사람의 행동을 올바른 행동으로 간주하고 따르는 경향
자발적 동조개인의 자유 의지에 따른 선택적 동조
비자발적 동조사회적 압력에 의한 강제적 동조
요인
집단 크기집단 크기가 커질수록 동조 압력이 증가하는 경향
집단 응집력집단 구성원 간의 유대감이 강할수록 동조 압력이 증가하는 경향
문화적 요인개인주의 문화보다 집단주의 문화에서 동조 압력이 더 강하게 나타나는 경향
영향
긍정적 영향사회 질서 유지, 협력 증진, 학습 촉진 등
부정적 영향획일적인 사고방식 강화, 부당한 행위 묵인, 창의성 저해 등
관련 개념
순응사회적 압력에 따라 자신의 행동이나 태도를 바꾸는 것
복종권위 있는 인물의 명령에 따르는 것
집단 사고집단 내 합의를 우선시하여 비판적 사고를 억압하는 경향

2. 관계 개념

다수결의 문제점: 소수의견의 억압에서 보듯 소수의견을 가진 사람에게 태도 변용을 강요하는 수단에는 다양한 방법이 있다. 명확한 협박에서부터, 다수 의견에 반대하는 것에 수치심을 느끼게 하고, 네거티브 캠페인을 통해 소수의견자가 일부 별난 사람이라는 인상 조작을 하거나, "일부의 발맞춤이 흐트러지는 것이 전체에게 폐를 끼친다"고 주장하고, 소수의견의 단점을 필요 이상으로 과장하며, 동조 압력을 가한 집단에서 사회적 배제를 하는 것 등이 있다.

조직 사회학자인 오타 하지메는 사회의 폐쇄성, 동질성, 개인의 미분화라는 구조적 요인에 공동체주의라는 이데올로기가 더해지면서 동조 압력이 에스컬레이트된다고 설명한다. 문필가 야마모토 시치헤이는 "공기", 역사학자 아베 킨야는 "세간"이라는 개념을 사용하여 일본 사회의 동조 압력에 대한 고찰을 했다.

2. 1. 심리학

신경학적 관점에서, 내측 전전두피질(mPFC)과 선조체는 특정 행동의 가치를 파악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mPFC는 동료가 의견을 표명한 대상인 "사회적으로 태그된" 물체를 결정할 때 활성화되며, 선조체는 이러한 "사회적으로 태그된" 물체의 가치와 보상을 결정하는 데 중요하다.[53]

Stallen, Smidts 및 Sanfrey는 최소 그룹 패러다임 접근 방식을 사용하여 24명의 피험자를 대상으로 실험을 수행했다. 참가자들은 외집단에 비해 내집단의 결정에 더 순응할 가능성이 높았다. 이 실험은 사회적 영향에서 선조체의 중요성을 확인했으며, 내집단과의 순응은 긍정적 보상, 즉 사회적 포함과 연관된다는 것을 시사했다. 후상측두구(pSTS)는 원근법을 취하는 것과 관련이 있으며, 환자의 내집단 신뢰도에 대한 자기 보고와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54]

청소년기에 위험 감수가 극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보인다. 연구자들은 운전 면허를 가진 청소년 남성을 대상으로 실험을 실시하여 동승자(동일 연령의 동료)가 차 안에 있는지 여부에 따라 위험 감수도를 측정했다. 동료가 있을 때 위험을 감수할 가능성이 가장 높은 사람들은 단독 활동(동승자 없음) 동안 사회 인지 및 사회 정서 뇌 시스템에서 더 큰 뇌 활동을 보였다. 사회 인지 측면은 다른 사람이 무엇을 생각하는지 측정하는 능력과 관련이 있으며, 주로 mPFC, 우측 측두두정 접합부 및 후대상피질에 의해 제어된다. 사회 정서 측면은 다른 사람에 의해 수용되거나 거부되는 행동을 하는 것에 대한 보상 시스템과 관련이 있다. 보상 시스템의 한 측면은 "사회적 고통"[55]으로, 이는 집단 거부로 인해 개인이 느끼는 정서적 고통을 의미하며 전방 섬엽 및 세부 전방 대상피질의 활동 증가와 관련이 있다.[56]

사회 심리학자 웬디 트레이너(Wendy Treynor)는 동료 압력 과정이 어떻게 작동하는지에 대한 설명인 "정체성 변화 효과"를 제시했다. 집단 기준에 따르지 않아 외적 갈등(사회적 거부)의 위협에 직면하면 조화로운 상태가 깨진다. 따라서 집단 기준에 따르게 되지만, 그렇게 하는 즉시 외적 갈등이 제거되면서 내적 갈등이 발생한다(자신의 기준을 위반했기 때문). 이러한 내적 갈등(자기 거부)을 없애기 위해 "정체성 변화"가 이루어지며, 여기서 집단의 기준을 자신의 것으로 채택하여 내적 갈등을 제거하고, 조화로운 상태로 되돌아간다.[57]

소수의견(다수결의 문제점: 소수의견의 억압)을 가진 사람에게 태도 변용을 강요하는 수단에는 다양한 방법이 있다. 명확한 협박에서부터, 다수 의견에 반대하는 것에 수치심을 느끼게 하고, 네거티브 캠페인을 통해 소수의견자가 일부 별난 사람이라는 인상 조작을 하거나, "일부의 발맞춤이 흐트러지는 것이 전체에게 폐를 끼친다"고 주장하고, 소수의견의 단점을 필요 이상으로 과장하며, 동조 압력을 가한 집단에서 사회적 배제를 하는 것 등이 있다.

2. 2. 사회학

사회 심리학자 웬디 트레이너(Wendy Treynor)는 동료 압력 과정이 작동하는 방식에 대한 설명인 "정체성 변화 효과"를 제시했다. 그녀는 페스팅거(Festinger)의 두 가지 주요 사회 심리학 이론(내적 갈등을 다루는 부조화와 외적 갈등을 다루는 사회적 비교)을 통합했다. 트레이너의 "정체성 변화 효과" 가설에 따르면, 집단 기준을 따르지 않아 사회적 거부의 위협에 직면하면 조화로운 상태가 깨진다. 따라서 집단 기준에 따르게 되지만, 그렇게 하는 즉시 외적 갈등이 제거되면서 내적 갈등이 발생한다(자신의 기준을 위반했기 때문). 이러한 내적 갈등(자기 거부)을 없애기 위해 "정체성 변화"가 이루어지며, 여기서 집단의 기준을 자신의 것으로 채택하여 내적 갈등을 제거하고(이전에 제거된 외적 갈등 외에도), 조화로운 상태로 되돌아간다. 동료 압력 과정은 갈등이 없는 조화로운 상태에서 시작하여 끝나지만, 갈등과 갈등 해결 과정의 결과로 새로운 정체성, 즉 새로운 내면화된 기준을 갖게 된다.[57]

다수결의 문제점: 소수의견의 억압에서 보듯 소수의견을 가진 사람에게 태도 변용을 강요하는 수단에는 다양한 방법이 있다. 명확한 협박에서부터, 다수 의견에 반대하는 것에 수치심을 느끼게 하고, 네거티브 캠페인을 통해 소수의견자가 일부 별난 사람이라는 인상 조작을 하거나, "일부의 발맞춤이 흐트러지는 것이 전체에게 폐를 끼친다"고 주장하고, 소수의견의 단점을 필요 이상으로 과장하며, 동조 압력을 가한 집단에서 사회적 배제를 하는 것 등이 있다.

조직 사회학자인 오타 하지메는 사회의 폐쇄성, 동질성, 개인의 미분화라는 구조적 요인에 공동체주의라는 이데올로기가 더해지면서 동조 압력이 에스컬레이트된다고 설명한다.

3. 사회적 배경 및 문화

전 세계 30억 명 이상의 사람들이 소셜 미디어를 사용하면서, 동조 압력의 유형, 빈도, 범위도 플랫폼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다.[66] 일부 연구에 따르면, 소셜 미디어는 특히 중국 소비자의 구매 결정에 큰 영향을 미친다. 중국 소비자들은 친구들이 소셜 미디어에서 특정 제품을 긍정적으로 평가하면 구매를 고려할 가능성이 더 높다고 한다.[67] 그러나 소셜 미디어 사용률이 낮거나 중요하게 여겨지지 않는 문화도 있기 때문에, 디지털 동조 압력의 영향력은 전 세계적으로 차이가 있다.

다수결에서 소수의견을 가진 사람에게 태도 변화를 강요하는 방법은 여러 가지다. 명백한 협박부터 시작해, 수치심을 유발하거나 네거티브 캠페인을 통해 소수의견을 가진 사람을 별난 사람으로 인상 조작하기도 한다. 또한 "일부의 발맞춤이 흐트러지는 것이 전체에 폐를 끼친다"는 논리로 소수의견의 단점을 부각하거나, 집단에서 사회적 배제를 하는 경우도 있다.

3. 1. 대한민국

촌락 사회, 화의 문화, 동네 자치회, 여론, 정치적 올바름, 전체주의, 가부장제

3. 2. 일본

조직 사회학자 오타 하지메는 사회의 폐쇄성, 동질성, 개인의 미분화라는 구조적 요인에 공동체주의라는 이데올로기가 더해지면서 동조 압력이 심화된다고 설명한다.[1] 문필가 야마모토 시치헤이는 "공기", 역사학자 아베 킨야는 "세간"이라는 개념을 사용하여 일본 사회의 동조 압력에 대한 고찰을 했다.[2][3]

4. 동조 압력의 양상

소수의견을 가진 사람에게 태도 변화를 강요하는 수단은 다양하다. 물리적 해를 가하겠다는 협박부터 시작하여, 다수 의견에 반대하는 것에 수치심을 느끼게 하거나, 네거티브 캠페인을 통해 소수의견자를 별난 사람으로 인상 조작하는 방법이 있다. 또한 "일부의 발맞춤이 흐트러지는 것이 전체에게 폐를 끼친다"고 주장하거나, 소수의견의 단점을 과장하고, 동조 압력을 가하는 집단에서 사회적 배제를 하는 경우도 있다.

조직 사회학자 오타 하지메는 사회의 폐쇄성, 동질성, 개인의 미분화라는 구조적 요인에 공동체주의 이데올로기가 더해져 동조 압력이 심화된다고 설명한다. 문필가 야마모토 시치헤이는 "공기"라는 개념을, 역사학자 아베 킨야는 "세간"이라는 개념을 사용하여 일본 사회의 동조 압력을 고찰했다.

4. 1. 아동 및 청소년

아이들은 어릴 때부터 사회적 위계를 인식하고, 어른들과 다수의 의견에 따르려는 본능을 가지고 있다.[5] 애쉬의 동조 실험과 유사한 유아 대상 연구에서는 아이들이 또래 집단의 영향을 받아 명백히 잘못된 의견으로 바꾸는 경향을 보였다.[6] 실험에서 아이들은 다른 아이들 앞에서 그림 크기를 판단할 때 또래의 오답을 따라하는 경향이 있었지만, 연구자와 단독으로 있을 때는 또래 압력에 더 저항했다.[6] 이는 의견 형성에 있어서 또래의 물리적 존재가 중요함을 보여준다.

아이들은 또래 압력을 통해 서로의 행동을 감시하고 개입할 수 있다. 캔자스 대학교 연구에서는 또래 감시 시스템을 통해 아이들의 문제 행동을 완화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7] 교사가 점수 시스템을 운영하고 또래 감시자를 임명했을 때, 대상 학생들의 방해 행동이 크게 감소했다.[7]

청소년기는 또래 압력에 가장 취약한 시기이며, 또래는 행동에 큰 영향을 미친다.[8][9] 청소년들은 스타일, 취향, 외모, 이념, 가치관에서 또래 동조를 보인다.[10] 또래 압력은 청소년기 위험 감수 행동과 관련이 있으며,[9] 위험한 행동을 하는 친구는 청소년 자신의 행동을 예측하는 강력한 요인이다.[11] 그러나 또래 압력은 자선 봉사,[12] 학업 우수, 봉사 활동 참여와 같은 긍정적인 행동을 유도할 수도 있다.[13] 또래의 인정은 성인이 되면서 중요성이 감소한다.[14]

사회적으로 인정받는 아이들은 더 많은 기회를 얻지만, 인기 집단에 속하는 것은 위험 행동 가능성을 높일 수 있다.[15] 인기 있는 아이들은 또래 판단에 민감하여 집단 압력에 더 취약하다.[15] 여학생은 남학생보다 옷차림이나 말투 등에서 순응 압력을 더 많이 받는다.[16][17] 또한, 남녀는 서로 다른 영역에서 다른 압력을 경험하는데, 이는 각 성별의 가치관과 우선순위 차이를 반영한다.[16] 남학생의 경우 운동 능력이나 지능과 같은 전형적인 남성적 이상과 관련된 압력을 더 받을 가능성이 높고, 여학생의 경우 T팬티를 입는 것과 같은 패션 선택을 포함한 외모와 관련된 압력을 더 받을 가능성이 높다.[18]

또래 압력은 청소년의 약물 사용 시작에 주요 요인이다.[19] 니코틴,[20][21] 알코올[22] 등 다양한 물질에서 나타난다. 부모의 감시는 약물 사용을 줄이지만, 감시가 적을 때는 또래 압력이 위험을 증가시킨다.[23][24] 그러나 또래 압력이 약물 사용에 대한 보호 요인이 될 수도 있다.[25]

또래 압력은 우울 증상, 인기도 감소, 성적 행동 증가, 외현화된 행동 증가 등 다양한 부정적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26] 특히, 약물 사용은 또래 압력 취약성과 관련이 있다.

부모의 성관계 반대 태도와 의사소통은 청소년의 계획되지 않은 임신율을 낮추는 경향이 있다.[48] 남아프리카 공화국 연구에서는 집단 압력으로 인한 콘돔 기피, 금욕 비웃음, 여러 파트너와의 성관계 등의 문제가 발견되었고, 성인과의 의사소통 부족이 중요한 문제로 지적되었다.[49]

미국 내 멕시코계 청소년 연구에서는 미국 태생 청소년이 멕시코 태생 청소년보다 또래 압력에 더 취약하며, 특히 성관계와 관련하여 더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50] 이는 멕시코 태생 청소년이 더 강력한 가족 관계를 가지고 성장하여 가족과 더 많이 대화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이다.[50]

연구에 따르면, 성관계 참여를 유도하는 집단 규범에는 기술적 규범, 금지적 규범, 노골적인 집단 압력이 있다. 기술적 규범은 또래의 성적 행동, 금지적 규범은 또래의 태도, 노골적 집단 압력은 직접적인 격려나 압력을 의미한다. 간접적 규범(기술적 및 금지적)이 직접적인 집단 압력보다 개인의 성적 행동 참여 결정에 더 큰 영향을 미치며, 그중에서도 기술적 규범의 영향력이 더 크다.[51]

자기 조절과 성적 행동 참여 가능성 사이에는 연관성이 있다. 자기 조절과 자제력이 부족할수록 위험한 성적 행위를 유도하는 집단 압력에 더 취약해진다.[52] 따라서 의사 결정 프로그램이나 자기 조절 능력 향상을 통해 이러한 행위를 예방하는 것이 효과적일 수 있다.

오른쪽

4. 2. 성인

소수의견(다수결의 문제점: 소수의견의 억압)을 가진 사람에게 태도 변용을 강요하는 수단에는 다양한 방법이 있다. 명확한 협박 (물리적인 해를 가하겠다는 통고)에서부터, 수치심을 느끼게 하기 (다수 의견에 반대하는 것에 대해), 네거티브 캠페인을 통해 소수의견자가 일부 별난 사람이라는 인상 조작, "일부의 발맞춤이 흐트러지는 것이 전체에게 폐를 끼친다"는 주장, 소수의견의 단점을 필요 이상으로 과장, 동조 압력을 가한 집단에서 사회적 배제 등이 있다.

조직 사회학자 오타 하지메는 사회의 폐쇄성, 동질성, 개인의 미분화라는 구조적 요인에 공동체주의라는 이데올로기가 더해지면서 동조 압력이 에스컬레이트된다고 설명한다. 문필가 야마모토 시치헤이는 "공기", 역사학자 아베 킨야는 "세간"이라는 개념을 사용하여 일본 사회의 동조 압력에 대한 고찰을 했다.

4. 3. 소셜 미디어

소셜 미디어는 동조 압력과 영향력 행사를 위한 거대한 새로운 디지털 장을 제공한다. 연구에 따르면 소셜 미디어 사용은 사교성 증가, 아이디어 노출, 더 높은 자신감과 같은 다양한 이점이 있다.[58] 그러나 광고 압력, 부적절한 행동 및/또는 대화 노출, 가짜 뉴스와 같은 부정적인 영향에 대한 증거도 있다.[59] 이러한 형태의 디지털 동조 압력은 청소년, 성인 및 기업 간에 존재한다. 어떤 경우에는 사람들이 24시간 이용 가능하거나 완벽해져야 한다는 압박감을 느낄 수 있다.[60] 이러한 디지털 대화 내에서 특히 다른 사람들이 좋아요 버튼을 누르는 빈도에 영향을 받으면서 동조하려는 압력이 있을 수 있다.[61]

2014년, 13~17세 응답자 789명 중 39%가 좋아요와 댓글을 위해 콘텐츠를 게시해야 한다는 압박감을 느꼈고, 40%는 소셜 미디어에서 다른 사람들에게 좋게 보이도록 콘텐츠만 게시해야 할 필요성을 느꼈다.[62] 다른 사람들이 소셜 미디어에서 자신을 묘사하는 방식은 젊은이들이 그러한 자질이나 행동을 모방하여 동조하려는 시도로 이어질 수 있다. 또한 고립감을 유발하여 청소년이 무책임한 행동이나 결정을 내리도록 압박할 수 있다. 소셜 미디어에서의 행동과 영향은 어린이, 청소년 및 성인의 실제 생활에서 정체성, 자신감, 또는 습관의 변화로 이어질 수 있다.[63]

소셜 미디어와 소셜 네트워크 그룹은 제품 구매에도 영향을 미친다.[64] 온라인 소셜 네트워킹 그룹의 구성원은 해당 그룹의 다른 구성원이 추천하는 제품을 구매할 가능성이 더 높다.[64] 브랜드에 대한 지식, 의견 및 구매 행동은 동료 및 미디어의 직접적인 영향을 받으며, 사람들의 구매 결정은 주로 친구들이 구매하는 것에서 비롯된다.[65] 소셜 네트워킹 그룹이 제품 구매에 미치는 영향은 구독에도 적용된다. 구독 기반 제품을 같은 그룹의 다른 구성원이 선물한 경우, 선물을 받은 사람은 구독 비용을 받아들이고 서비스를 계속 이용할 가능성이 더 높다.[64]

전 세계 30억 명 이상의 소셜 미디어 사용자들이 다양한 플랫폼을 사용하고 있으며, 발생하는 동조 압력의 유형, 빈도 및 범위는 다양하다.[66] 일부 연구에 따르면 소셜 미디어는 다른 국가보다 중국 소비자의 구매 결정에 더 큰 영향을 미친다. 중국 소비자들은 소셜 미디어에서 친구들이 제품에 대해 긍정적으로 이야기하는 것을 보면 제품 구매를 고려할 가능성이 더 높다고 말한다.[67] 소셜 미디어 사용률이 매우 낮거나, 소셜 미디어를 그다지 중요하게 생각하지 않는 문화도 있다. 따라서 디지털 동조 압력의 힘과 영향은 전 세계적으로 다를 수 있다. 전반적으로 이 주제와 그 세계적인 범위에 대한 연구는 제한적이다.

5. 역사적 사례

홀로코스트는 집단 학살의 대표적인 사례 중 하나이다. 1940년대 아돌프 히틀러가 이끄는 나치 독일은 유럽 내 유대인들을 체계적으로 제거하기 시작하여 제2차 세계 대전이 끝날 무렵에는 약 600만 명의 유대인을 학살했다.[69] SS 장교와 군인들은 유대인 학살에 적극적으로 참여했지만, 모든 독일인이 유대인 학살에 찬성한 것은 아니었다.

1994년 후투족투치족 사이에 벌어진 르완다 집단 학살은 민족 분쟁의 한 사례이다. 모든 후투족이 투치족 학살에 적극적이었던 것은 아니었으며, 학살 참여를 꺼리는 사람들에게는 처벌이 가해졌다.[73]

5. 1. 나치 독일의 홀로코스트

제2차 세계 대전 기간 동안 아돌프 히틀러가 이끄는 나치 독일은 유럽에 거주하는 유대인에 대한 체계적인 숙청을 시작하여 약 600만 명의 유대인을 살해했다. 홀로코스트에 대한 독일인들의 유죄는 분명하지만, 모든 독일인이 유대인 학살에 동의한 것은 아니었다. 동조 압력의 개념을 홀로코스트에 적용하면 독일의 책임 여부를 결정하기가 더 어려워진다.[69]

이 문제에 대해 크리스토퍼 브라우닝과 다니엘 골드하게는 서로 다른 두 가지 입장을 제시한다.

  • 크리스토퍼 브라우닝: 제101 예비 경찰대대를 분석한 결과, 이들은 열렬한 나치가 아니라 평범한 중년 노동자 계층의 사람들이었다. 이들은 징집되었지만 정규 군 복무에는 부적격 판정을 받았다. 폴란드 요제포프에서 유대인 게토의 남자들을 체포하고 여성, 어린이, 노인을 살해하라는 명령을 받았지만, 처형 과정에서 수십 명의 대원들은 처형 임무에서 면제되거나 미루는 모습을 보였다.[68] 브라우닝은 권위와 동료 압력의 조합이 강압 도구로 작용했다고 주장한다. 나치 지도부는 군인들이 심리적으로 건강하게 유지되기를 원했기 때문에 살인을 강요하지 않았고, 거부하는 군인에게는 다른 임무가 주어졌다. 장교들에게는 공식적인 제재는 없었지만, 처형을 수행할 수 없다는 것은 "약한" 지도자의 징표로 여겨져 승진에서 제외될 수 있었다.[69] 또한, 동료 압력으로 인해 개별 경찰관들은 동료들 앞에서 "체면을 잃고 싶어"하지 않았고, 일부는 한 명을 쏘고 그만두는 것이 겁쟁이가 되는 것보다 낫다고 생각했다. 임무를 거부하는 것은 동료들에게 부담과 죄책감을 안겨주는 것을 의미했기 때문에 살해를 강요받았다.[68]

  • 다니엘 골드하게: 브라우닝의 결론에 동의하지 않으며, 독일인들이 항상 반유대주의적이었고, 일종의 "제거주의"에 관여했다고 주장한다. 그는 동료 압력이나 권위적 압력이 평범한 독일인들이 이러한 행동을 한 이유를 설명할 수 없다고 믿으며, 제101대대의 경찰관들이 살인을 저지르기 위해서는 모두가 이 행동에 완전히 헌신해야 한다고 주장한다.[70] 그는 독일인의 반유대주의를 강조하지만, 브라우닝은 골드하게가 독일인들을 "획일적으로 묘사"하여 모든 가해자들을 비인간화했다고 비판한다.[71] 루스 베티나 비른은 골드하게가 기존 기록을 선택하고 평가하는 방식이 임의적이라고 지적했고, 콘라트 크비에트는 골드하게가 독일의 반유대주의에 좁게 초점을 맞춘 것이 다른 고려 사항들을 보지 못하게 했다고 주장하며, 비유대인 대량 학살의 예를 들었다.[72]

5. 2. 르완다 집단 학살

1994년에 발생한 르완다 집단 학살은 후투족투치족 간의 민족 폭력으로 이어졌다. 주된 가해 세력은 후투족이었지만, 모든 후투족이 투치족을 살해하려 한 것은 아니었다. 생존자 Mectilde는 후투족의 분열을 다음과 같이 묘사했다. 10%는 도왔고, 30%는 강요받았으며, 20%는 꺼렸고, 40%는 기꺼이 참여했다.[73] 학살에 기꺼이 참여한 사람들에게는 보상 체계가, 꺼리는 사람들에게는 처벌 체계가 적용되었다. Bhavnani 교수는 이러한 조합이 내부 집단 경찰에 의해 시행되는 행동 규범이라고 주장한다. 투치족과 후투족이 결혼한 르완다 집단 학살 내의 동조 압력은 강압 속에서 작용했다. 집단 학살에 참여하기를 꺼리거나 투치족을 폭력으로부터 보호한 후투족은 재산 파괴, 강간, 투옥, 사망과 같은 위험에 직면했다.[73]

집단 학살 기간 동안 Tare 마을의 3426명의 표본 공동체를 관찰한 McDoom은 이웃과 가족 구조가 개인이 폭력에 참여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데 중요한 미시적 공간임을 발견했다. 물리적 근접성은 사회적 상호 작용과 영향력의 가능성을 높였다. 예를 들어, 후투족 "동원" 요원(마을에서 공격을 계획하거나 주도한 개인)의 집에서 반경 100m 이내에 거주하는 유죄 판결을 받은 사람들의 비율은 그렇지 않은 사람보다 거의 두 배나 높았다. 반경이 증가함에 따라 그 비율도 감소했다. 이웃을 살펴보면, 개인은 자신 반경 100m 이내에 거주하는 유죄 판결을 받은 가해자의 비율이 1% 증가할 때마다 집단 학살에 참여할 가능성이 4% 더 높아졌다. 가족 구조를 살펴보면, 개인의 가구에서 집단 학살 참여자의 비율이 1% 증가할 때마다 폭력에 가담할 가능성이 21~25% 증가했다.[74]

그러나 상황은 더 미묘하다. 정부의 극심한 통제는 집단 학살의 확산을 촉진하고, 처음에는 참여하고 싶지 않았던 사람들의 결의를 무너뜨렸다. 집단 학살 이전에 르완다인들의 규율 의식은 매주 ''우무간다''(집단 작업) 세션을 통해 도입되고 강화되었으며, 정권과 지도자에 대한 칭찬과 지역 사회를 위한 다양한 집단 활동이 포함되었다. 권위에 대한 존중과 선을 넘는 것에 대한 두려움은 집단 학살 이전 르완다의 강력한 문화적 가치였다.[75] 농민들은 정확히 언제 무엇을 경작해야 하는지 지시받았고, 순종하지 않으면 벌금을 부과받을 수 있었다. 이러한 요인들이 살육의 빠른 속도를 촉진하는 데 기여했다.

집단 간에는 토지 할당 문제(농업 대 목초지)와 르완다의 주요 수출품인 커피 가격 하락과 관련된 갈등 등 다양한 이유로 민족적 긴장이 이미 존재했다. 하비아리마나 정권 하의 제2 공화국이 도입되면서, 권력을 잡았던 전 투치족은 즉시 숙청되었고, 인종차별은 다수 후투족을 정당한 정부 권력에 유지하기 위한 설명으로 작용했다.[76] 그 결과, 전쟁이 발발했을 때 후투족은 이미 동료에 대한 인종차별 개념을 접하게 되었다.

르완다의 분열은 수백 년 동안 강화되었다. 1800년대, 벨기에 식민 통치가 시작될 무렵, 투치족인 키겔리 4세는 르완다의 권력을 중앙 집권화했다. 벨기에는 차별적인 인종에 대한 메시지를 더욱 강화하여 투치족 남성이 사회의 지도자로 남도록 했다.[76]

6. 긍정적 활용

동조 압력은 긍정적인 방향으로 활용될 수 있다.

교장은 강력한 "수업" 리더 역할을 수행하며 새로운 교육 과정과 학업 프로그램을 도입하여 교사 수준에서 동조 압력을 조성할 수 있었고, 교사들은 스스로에게 책임 압력을 가했다.[77]

동조 압력은 사람들의 투표 참여를 유도하는 데 효과적일 수 있다. 2006년 미시간 주에서 180,000 가구를 대상으로 실시된 실험에서, 이웃 간의 투표 기록을 공개하는 방식으로 동조 압력을 활용한 결과, 투표율이 8.1%p 증가했다. 이는 직접 방문 및 맞춤형 전화 통화보다 더 효과적이었다.[78] 2017년에 실시된 유사한 실험[79]에서는 1.0%p의 투표율 증가 효과가 나타났으며, 이는 투표 성향이 낮은 유권자에게 특히 컸다.[79]

런던 정치경제대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실험에서는 짝을 이룬 기부자 간에 기부액을 공개하고 논의하는 과정을 통해 기부액이 증가하는 현상이 나타났다. 짝을 이룬 기부자는 평균 3.64GBP를 기부한 반면, 개인은 평균 2.55GBP를 기부했다. 또한, 짝 중 한 명이 더 많이 기부한 경우, 다른 한 명은 평균 0.55GBP 더 기부했다.[80]

조직 연구자들은 대기업에서도 유사한 현상을 발견했다. 대기업의 임원과 관리자는 유사한 조직을 참고하여 기업 자선 기부의 적절한 수준을 파악하며, 더 적은 기부를 하는 기업은 평판에 손상을 입을 수 있다.[1]

청소년이 형사 사법 및 소년 사법 시스템에 노출되는 것과 관련된 동조 압력은 소수 민족의 불균형적 접촉, 차별적 관여, 그리고 거리의 규범과 같은 주제와 관련이 있다. 사회적 연결 부족은 범죄 행위 및 재범 가능성과 상당한 상관 관계가 있다.[81] 동조 압력은 사회 해체와 약물 사용 및 범죄와 같은 부정적인 결과 사이의 관계에 강력하게 영향을 미치는 교란 변수이다.[82]

7. 부정적 영향 및 문제점

물질 사용은 유전적 소인과 환경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현상이다. 일부 연구에서는 유전적 요인이 있는 청소년이 물질을 과다 사용하는 친구의 부정적 영향에 더 취약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28] 니코틴 사용 연구에서는 흡연하는 친구가 특정 유전자(CHRNA5)를 가진 사람에게 미치는 영향이 적다는 결과도 있지만,[29] 사회적 맥락이 물질 사용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점을 간과할 수는 없다.

청소년들 사이에서 전자담배 사용이 증가하고 있으며,[30] 이는 순응, 사회 집단 내 수용과 같은 사회 심리적 요인과 관련이 있다.[32] 소속 욕구, 고통 완화, 호기심 등이 전자담배 사용의 주된 이유로 언급되며,[32] 특정 사회 집단 내에서 전자담배 사용이 규범적인 행동으로 간주되기도 한다.[33]

청소년기 또래 압력은 알코올, 불법 물질 사용에도 영향을 미치지만, 나이가 들면서 또래 압력에 대한 저항력이 증가한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34] 특히 소녀들이 소년들보다 또래 압력에 더 잘 저항하며,[34] 부모의 긍정적인 양육 태도가 또래 압력 저항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36]

대학에서는 모델링, 사회적 규범, 알코올 제공 등 다양한 요인으로 인해 알코올 사용과 관련된 또래 압력이 발생한다. 학생들은 동료의 행동을 따르지 않으면 사회적 지위가 위태로워질 수 있다고 느껴 또래 압력에 굴복하기도 한다.[37]

청소년의 알코올 및 담배 사용 외에도, 마리화나 및 기타 약물 사용에도 또래 압력이 작용한다. 마리화나 합법화는 청소년의 접근성을 높여 또래 압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30] 또한, 규제 완화된 오피오이드 시장에 펜타닐과 같은 오염 물질이 유입되어 오피오이드 관련 사망 위험을 증가시키고 있다.[38]

또래 압력과 사회 집단 선택은 마리화나를 비롯한 다른 물질 남용에 대한 긍정적인 피드백 루프를 만들 수 있다. 물질 사용을 지지하는 청소년과 성인은 자신의 습관을 공유하는 다른 사람들과 어울리는 경향이 있으며,[39][40] 이는 물질 사용을 더욱 강화한다.

약물 사용 예방 및 중재 프로그램은 또래 압력 저항 기술,[42][43] 규범적 교육,[43] 약물 위험성 교육 등 다양한 방법을 활용한다. 그러나 이러한 접근 방식의 효과는 연구마다 다르게 나타난다.[43][44][45]

의사 결정 훈련은[47] 자폐증 아동의 위험 인식과 의사 결정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47]

부모의 반대는 청소년의 계획되지 않은 임신율을 낮추는 경향이 있으며,[48] 이는 부모의 태도와 의사소통 방식에 영향을 받는다.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한 연구에서는 집단 압력으로 인한 콘돔 사용 기피, 금욕에 대한 조롱, 여러 파트너와의 성관계 등의 문제가 나타났다. 이러한 문제 해결을 위해서는 성인과의 의사소통이 중요하지만, 청소년 사회 집단 내에서 이러한 의사소통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49]

미국 내 멕시코계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는 미국 태생 청소년이 멕시코 태생 청소년보다 또래 압력에 더 취약하며, 이는 가족 관계의 차이에서 기인한다고 밝혔다.[50]

성적 행동에 대한 집단 규범에는 기술적 규범, 금지적 규범, 노골적인 집단 압력이 있으며, 간접적 규범(기술적 및 금지적)이 직접적인 집단 압력보다 개인의 성적 행동 결정에 더 큰 영향을 미친다.[51] 또한, 자기 조절 능력과 성적 행동 참여 가능성 사이에는 연관성이 있으며, 자기 조절 능력이 낮은 사람일수록 집단 압력에 더 취약해질 수 있다.[52]

소셜 미디어는 동조 압력과 영향력 행사를 위한 새로운 공간을 제공한다. 소셜 미디어는 사교성 증가, 아이디어 노출, 자신감 향상 등의 긍정적 측면도 있지만,[58] 광고 압력, 부적절한 행동 노출, 가짜 뉴스 등의 부정적 영향도 존재한다.[59] 특히 '좋아요' 수에 영향을 받아 콘텐츠 게시 압박을 느끼거나,[61] 다른 사람의 모습을 모방하려는 경향이 나타날 수 있다.[62] 소셜 미디어는 정체성, 자신감, 습관 변화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63] 제품 구매에도 영향을 미친다.[64]

형사 사법 및 소년 사법 시스템에서 동조 압력은 소수 민족의 불균형적 접촉, 차별적 관여, 거리의 규범 등과 관련된다. 사회적 연결 부족은 범죄 행위/재범 가능성과 상관관계가 있으며,[81] 동조 압력은 사회 해체와 약물 사용, 범죄와 같은 부정적 결과 사이의 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교란 변수이다.[82]

소수의견을 가진 사람에게 태도 변용을 강요하는 수단에는 협박, 수치심, 네거티브 캠페인, 인상 조작, 사회적 배제 등이 있다.

오타 하지메는 사회의 폐쇄성, 동질성, 개인의 미분화라는 구조적 요인에 공동체주의라는 이데올로기가 더해지면서 동조 압력이 심화된다고 설명한다. 야마모토 시치헤이는 "공기", 아베 킨야는 "세간"이라는 개념을 사용하여 일본 사회의 동조 압력을 설명한다.

참조

[1] 논문 Institutional Equivalence: How Industry and Community Peers Influence Corporate Philanthropy https://ecommons.cor[...] 2016-10-01
[2] 서적 Development through the lifespan 2018
[3] 논문 Social comparison on Facebook: Its antecedents and psychological outcomes 2016-09-01
[4] 논문 Networks of Conflict and Cooperation 2021-05-11
[5] 논문 Preschoolers (sometimes) defer to the majority in making simple perceptual judgments. 2010-03-01
[6] 논문 Conformity to Peer Pressure in Preschool Children http://www.eva.mpg.d[...] 2019-09-01
[7] 논문 Positive peer pressure: the effects of peer monitoring on children's disruptive behavior 1984
[8] 간행물 John Wiley & Sons, Inc. 2004
[9] 논문 Age differences in resistance to peer influence
[10] 문서 Peer Pressure Anthony S. R. Manstead and [[Miles Hewstone]] (Eds.), The Blackwell Encyclopedia of Social Psychology 1996
[11] 논문 Adolescent Health Behaviors and Related Factors: A Review
[12] 뉴스 Teens and volunteering: Altruism or just peer pressure? https://www.csmonito[...] 2012-10-25
[13] 뉴스 Peer pressure — for students and adults — can be positive https://archive.trib[...] 2013-03-18
[14] 논문 The importance of peer group ("crowd") affiliation in adolescence
[15] 논문 The Two Faces of Adolescents' Success With Peers: Adolescent Popularity, Social Adaptation, and Deviant Behavior
[16] 논문 The extent and effects of peer pressure among high school students: A retrospective analysis
[17] 논문 The multidimensionality of peer pressure in adolescence
[18] 논문 The Thing About Thongs https://time.com/arc[...] "[[Time Magazine]]" 2003-10-06
[19] 논문 Parental and Peer Influences on the Risk of Adolescent Drug Use 2005-10-15
[20] 논문 Peer influence in adolescent cigarette smoking 1990
[21] 논문 Peer influences and drug use among urban adolescents: Family structure and parent-adolescent relationship as protective factors. 1998-04
[22] 논문 Structural Equation Model Tests of Patterns of Family Interaction, Peer Alcohol Use, and Intrapersonal Predictors of Adolescent Alcohol Use and Misuse 1993
[23] 논문 Parental monitoring and peer influences on adolescent substance use
[24] 논문 Leisure Context, Parental Control, and Resistance to Peer Pressure as Predictors of Adolescent Partying and Substance Use: An Ecological Perspective 1999
[25] 논문 Friends: The Role of Peer Influence Across Adolescent Risk Behaviors 2002-08
[26] 논문 Leaders and followers in adolescent close friendships: Susceptibility to peer influence as a predictor of risky behavior, friendship instability, and depression
[27] 논문 The Structure of Genetic and Environmental Risk Factors for Common Psychiatric and Substance Use Disorders in Men and Women 2003-09
[28] 논문 Gene-Environment Correlation and Interaction in Peer Effects on Adolescent Alcohol and Tobacco Use 2008-03-27
[29] 논문 Peer smoking and the nicotinic receptor genes: an examination of genetic and environmental risks for nicotine dependence 2010-11
[30] 논문 Peer Influence and Adolescent Substance Use: A Systematic Review of Dynamic Social Network Research https://link.springe[...] 2021-03-01
[31] 웹사이트 E-Cigarette Use Among Youth https://www.cdc.gov/[...] 2024-10-17
[32] 논문 Adolescent Perspectives on Their E-Cigarette Initiation Experiences https://pubmed.ncbi.[...] 2024-08-27
[33] 논문 My friends made me do it: Peer influences and different types of vaping in adolescence https://linkinghub.e[...] 2024-12-01
[34] 논문 The developmental pattern of resistance to peer influence in adolescence: Will the teenager ever be able to resist? 2009-08
[35] 논문 Lifetime Prevalence of Mental Disorders in U.S. Adolescents: Results from the National Comorbidity Survey Replication–Adolescent Supplement (NCS-A) 2010-10
[36] 논문 Peer Influence on Adolescent Alcohol Use: The Moderating Role of Parental Support and Discipline 2000-03
[37] 논문 Peer influences on college drinking: A review of the research 2001-12
[38] 논문 Characteristics of Opioid Toxicity Deaths Among Adolescents and Young Adults in Ontario Prior To and During the COVID-19 Pandemic https://linkinghub.e[...] 2024-12-01
[39] 논문 Birds of a Feather: Homophily in Social Networks http://www.jstor.org[...] 2024-12-01
[40] 논문 Peer selection and influence for marijuana use in a complete network of first-year college students 2022-01
[41] 논문 Longitudinal trajectories of prescription opioid misuse in adolescents 2022-07-01
[42] 논문 Meta-analysis of 143 adolescent drug prevention programs: Quantitative outcome results of program participants compared to a control or comparison group https://www.ncjrs.go[...] 2014-11-30
[43] 논문 Preventing alcohol, marijuana, and cigarette use among adolescents: Peer pressure resistance training versus establishing conservative norms 1991-05
[44] 논문 Cochrane Review: Universal school-based prevention programs for alcohol misuse in young people 2012-03
[45] 논문 Effectiveness of a High School Alcohol Misuse Prevention Program 1996-08
[46] 논문 School-based programmes to reduce and prevent substance use in different age groups: What works for whom? Systematic review and meta-regression analysis 2016-03-01
[47] 논문 Evaluation of a Decision-Making Curriculum for Teaching Adolescents with Disabilities to Resist Negative Peer Pressure 2016-03-18
[48] 논문 Influence of Teens' Perceptions of Parental Disapproval and Peer Behaviour on Their Initiation of Sexual Intercourse https://www.research[...] 2005
[49] 논문 I am not "umqwayito": a qualitative study of peer pressure and sexual risk behaviour among young adolescents in Cape Town, South Africa 2009-06
[50] 논문 Mothers, Fathers, Peers, and Mexican-Origin Adolescents' Sexual Intentions 2012-02-01
[51] 논문 A Meta-Analysis of the Relations Between Three Types of Peer Norms and Adolescent Sexual Behavior 2015-08-01
[52] 논문 Linking Self-Regulation and Risk Proneness to Risky Sexual Behavior: Pathways through Peer Pressure and Early Substance Use http://digitalcommon[...] 2016-11-01
[53] 논문 Neural Mechanisms of Social Influence
[54] 논문 Peer influence: neural mechanisms underlying in-group conformity
[55] 논문 Does Rejection Hurt? An fMRI Study of Social Exclusion 2003-10-10
[56] 논문 Neural Responses to Exclusion Predict Susceptibility to Social Influence 2014-05
[57] 서적 Towards a General Theory of Social Psychology: Understanding Human Cruelty, Human Misery, and, Perhaps, a Remedy (A Theory of the Socialization Process) Euphoria Press 2009
[58] 논문 The Impact of Social Media on Children, Adolescents, and Families http://pediatrics.aa[...] 2017-11-29
[59] 웹사이트 Influence of Social Media on Teenagers https://www.huffingt[...] 2017-12-07
[60] 뉴스 Social media is harming the mental health of teenagers. The state has to act https://www.theguard[...] 2017-12-07
[61] 웹사이트 The teenage brain on social media http://newsroom.ucla[...] 2017-12-07
[62] 웹사이트 U.S. teen social media peer pressure 2015 https://www.statista[...] 2023-04-27
[63] 웹사이트 The Power of Prime https://www.psycholo[...] 2017-12-07
[64] 논문 Do Your Online Friends Make You Pay? A Randomized Field Experiment on Peer Influence in Online Social Networks 2015-08
[65] 논문 Influence of parents, peers, and media on adolescents' consumer knowledge, attitudes, and purchase behavior: A meta-analysis https://onlinelibrar[...] 2021-11
[66] 뉴스 There are now over 3 billion social media users in the world — about 40 percent of the global population http://mashable.com/[...] 2017-11-30
[67] 웹사이트 China's social-media boom https://www.mckinsey[...] 2017-11-30
[68] 서적 Ordinary Men: Reserve Police Battalion 101 and the Final Solution in Poland Penguin
[69] 서적 The Good Old Days: The Holocaust as Seen by Its Perpetrators and Bystanders The Free Press
[70] 논문 Hitler's willing executioners
[71] 논문 Daniel Goldhagen's Willing Executioners
[72] 논문 Goldhagen, the Germans, and the Holocaust
[73] 논문 Ethnic Norms and Interethnic Violence: Accounting for Mass Participation in the Rwandan Genocide 2006-11-01
[74] 논문 Who killed in Rwanda's genocide? Micro-space, social influence and individual participation in intergroup violence http://eprints.lse.a[...] 2020-06-03
[75] 논문 Explaining the 1994 Genocide in Rwanda http://repub.eur.nl/[...] 2019-07-10
[76] 논문 Prejudice, Crisis, and Genocide in Rwanda 1997-01-01
[77] 논문 Successful leadership in challenging US schools: enabling principles, enabling schools
[78] 논문 Social Pressure and Voter Turnout: Evidence from a Large-Scale Field Experiment https://www.cambridg[...] 2016-11-01
[79] 논문 Social pressure and voting: A field experiment conducted in a high-salience election 2017
[80] 논문 Reluctant altruism and peer pressure in charitable giving http://journal.sjdm.[...] 2019-11-21
[81] 논문 Social Risk Factors of Institutionalized Juvenile Offenders: A Systematic Review https://link.springe[...] 2020-06-01
[82] 논문 Neighborhood Variation in Adolescent Alcohol Use: Examination of Socioecological and Social Disorganization Theories 2011-0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